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안락사 문제와 말기 환자에게 알릴 권리

        김형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Practice physicians are professionally obliged to interpret ethical precepts and laws in emergency situations under extreme pressure when resuscitation measures leave little or no time to consider deontological issues. The extent to which extraprofessional experiences influence physicians' attitudes towards terminal patients is a difficult issue to approach with preci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influence of some personal biographical circumstances on medical student' attitudes towards terminal patients. A total of 646 medical students were randomly chosen. Physicians, as an integral part of society cannot be expected to be immune to the influences which mould our attitudes. We suggest that medical students should receive information and training aimed at equipping them to face dying patients. 현대의학기술의 발달로 말기 환자와 안락사가 예상되는 환자에게 자신의 죽음을 알려야 할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이러한 문제들은 보다 합리적으로 접근하기 위하여 의견을 알아보고자 설문지를 준비하여 의과대학 학부학생과 대학원생 646명에게 설문지를 조사하였다. 남녀간에 차이는 별로 없으나,의과대학생이 자기 자신이 말기 환자라면 나는 내가 죽어간다는 사실(병세)을 알기를 원하는가라는 대답에 남·여학생 모두 96%이상이었다

      • 회전자장하에서 이중원관내 자성유체의 열유동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김형진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회전자장하에서 이중원관내 자성유체의 열유동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Heat Flow Characteristics of a Magnetic Fluid in Concentric Annuli under Rotating Magnetic Field 기계공학과 김 형 진 지 도 교 수 서 이 수 자성유체는 자장의 작용에 대해서 반응하는 물체로서 금속의 강자성체 성질과 유체의 유동특성을 겸비하고 있으며, 1960년데 Papell박사의 개발연구를 시작으로 각 방면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자성유체의 열유동에 관한 연구는 최근에 시작되어 열전도율 측정 및 내부입자의 농도에 관한 영향은 규명되어 있지만, 회전자장에서 이중원관내 자성유체의 열유동 특성은 미미한 상태이다. 또한 공업기술로 응용에 있어서도 대부분 외부의 조건에 대한 물성변화와 비접촉유지작용의 원리를 이용한 것이고 아직 열유동의 제어에 대한 개념은 적용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회전자장하에서 자성유체의 열유동 특성을 밀도있게 연구하기 위하여 내부와 외부원과에서 가열하는 이중원관으로 설정하여 외부에서 가하는 자장의 세기와 방향에 따라 자연대류 현상의 변화를 실험적으로 연구하였다. 주요어 : Magnetic fluid(자성유체), Magnet field(자석), Concentric annuli(이중원관), Thermal-flow(열유동), Thermo-senstive liquid crystal film(액정필름), Rotating magnetic field(회전자장), Fix magnetic field(고정자장)

      • 韓·中 自由貿易協定 推進 現況과 展望 : 農業部門을 中心으로

        김형진 蔚山大學校 政策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국은 1990년대 이후 새로운 대외 환경정책에 직면하게 되었는데 그것은 지역주의의 확대·심화와 중국의 부상으로 세계시장에서 경쟁력을 급속히 상실하고 있다는 것이다. WTO가 출범한 이후에도 지역경제 통합의 움직임은 가속화되고 있다. EU는 2004년 5월부터 10개국이 추가로 가입하여 가입국수가 25개국으로 확대될 예정이고, 북미와 중남미 34개국도 2005년을 목표로 미주자유무역지대(FTAA)를 추진 중이다. 이러한 자유무역협정은 회원국간에 혜택을 주고 받기위해 추진되므로 상대적으로 비회원국은 회원국에 비해 혜택을 받지 못하게 된다. 즉, 회원국 사이에서는 관세 및 비관세장벽이 해소되는 반면, 비회원국에게는 그대로 유지되기에 비회원국은 회원국시장에 진출이 어려워지게 된다. NAFTA의 회원국의 역내 수출비중이 NAFTA 출범이후 크게 증가했다는 사례는 이러한 자유무역협정의 확대는 한국의 수출에 직접적인 타격을 줄 수 있다는 것을 반증한다. 또한 중국의 급속한 발전으로 한국은 심각한 위기에 봉착해있는 상황이다. 중국은 1970년대 말 이후 개혁과 개방을 통해 점진적으로 세계체제로 편입하면서 노동집약적 산업을 중심으로 수출주도로 급속한 성장을 이루었다. 중국은 수출주도를 통해 성장을 하고 있으나, 인구 13억의 거대한 내수시장과 지속적인 외국인 투장의 유입으로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러한 중국의 급속도의 성장은 한국의 경쟁력에 크게 영향을 주었고, 한국의 주요시장인 미국, 일본, 아세안 지역에서 중국에게 시장을 잠식당하고 있는 현실이다. 이러한 환경의 급속한 변화에 발 빠르게 대처하지 못한 한국은 큰 위기를 맞고 있다. 한국은 중국에게 지속적으로 수출시장을 잠식당하고 있는 상황에서 외환위기 극복이후 구조조정의 목표인 성장잠재력 확충과 기업의 경쟁력 강화는 미흡한 현실이고, 부실기업의 구조조정도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은 지역주의의 확대·심화에 적극 대응하고, 산업경쟁력을 확보하여 지속적인 성장, 발전할 수 있는 발판으로 FTA를 추진하게 되었다. 한국 FTA는 경제적, 정치적으로 그 필요성은 증대되고 있으나, 그 추진에는 어려운 점이 많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풍부한 노동력과 광활한 농토를 보유한 중국에 비해 열세에 있는 한국의 농업부문은 자유무역협정으로 상당한 영향을 받을 것이기 때문에 농산물 분야에서 극심한 반발이 일어날 것으로 보이고 있다. 따라서 한·중 FTA는 우리나라 농업입장에서 보면 극히 부정적이다. 이 때문에 농업부문은 개방 폭을 최소화 하거나 개방일정을 장기간 유예하는 등의 조치와 함께, 특히 국내에 미치는 영향이 큰 채소류, 곡류 등은 관세철폐 계획에서 제외하는 등의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장애물이 많긴 하지만 한국의 구조조정으로 경쟁력을 제고하고, 미래지향적인 관계를 구축하며 동남아국가들을 어우르는 동아시아 통합을 공동 추진하는 계기가 된다는 점에서 한·중 양국은 FTA를 추진하는데 있어 서로 공존할 수 있는 방향으로 협력과 노력을 다해야 할 것이다. From 1990s, Korea has been facing new international economic environment. Korea is rapidly losing its competitive power in the global market due to the enlargement/deepening of regionalism and the rise of Chins. The move for the integration of regional economy is accelerated even after the start of WTO. As for EU, its member countries will be increased into 25 as of May 11, 2004 with additionally joining 10member countries, and North America and 34 countries in Latin America are trying to establish Free Trade Area of America(FTAA) aiming the year of 2005. These regional trade agreements are enforced aiming benefits among member countries so that non-member countries receive relatively smaller benefits than those of member countries. That is, tariff wall and non-tariff barriers are released among member countries while they are maintained among non-member countries making non-member countries hard to advance into the markets of member countries. The example of NAFTA that its member countries' exporting amount increased greatly within the region after its start disproves that the enlargement of regional trade agreement of this kind mat cause direct damage to the export of Korea. Meanwhile, Korea is faced with severe crisis due to rapid development of china. As being incorporated into global system through reform and opening in gradual manner from the end of 1970s, China has rapidly grown based on export mainly in lader-centered industries. Thought it is growing based mainly on export, China is prospected to continuously grow further thanks to its gigantic domestic market with 1.3 billions of China has great inflow of foreign investment, This rapid growth of China has great influence upon the competitive power of Korea actually encroaching its major markets such as the US, Japan and Asian region. Korea who couldn't step with these rapid changes in global situation is facing major crisis. The Korean export market is continuously being encroached by China. After overcoming the market is exchange crisis, the goals of restructuring, the expansion of growth potential and strengthening the competitive power of enterprise are not thoroughgoing enough, and the restructuring of insolvent enterprise is dull. In this situation, Korea and Japan started to establish FTA on which they can cope with enlargement and intensification of regionalism and secure industrial competitive power for their continuous growth and development. Although the need for Korea/Japan FTA is increasing in economic and political points of view, it is expected to have many problems in pushing it. As Korean agricultural sector, inferior to that of China with abundant labor force and vast farmland, will be considerably affected with a Free Trade Agreement, some furious reaction from the field of agricultural products is expected to take place. Therefore, the FTA between Korea and China is extremely negative on the part of Korean agriculture. On this account, with measures to minimize the opening and suspend the schedule of it for a long period of time in the agricultural sector, especially a plan should be sought out to exclude domestically highly vulnerable vegetables and grains from the prospective list of tariff exemption. Though there are many obstacles, Korea shall make it best effort and cooperate together aiming co-existence in establishing Korea-Japan FTA as if to pave the way for raising the competitive powers of both parties through industrial restructuring, building future-oriented relationship, and establishing the integration of east Asia covering southeast Asian countries.

      • 不動産名義信託法理에 관한 硏究

        김형진 東義大學校 大學院 2006 국내박사

        RANK : 247631

        독일법계를 따르는 우리나라의 경우 소유권과 일부의 물권은 등기제도를 통한 외부적인 공시방법을 취하고 있다. 원래 공시제도라고 하는 것은 어떠한 법률관계의 권리자와 의무자를 외부적으로 표상함으로써 선의의 제3자를 보호하여 거래의 안전이라는 動的인 권리관계와 공시된 대로 누구로 부터의 간섭도 배제하고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 靜的인 권리관계를 함께 보호하는 제도이다. 그런데 여러 가지의 이유로 등기부에 공시되어 있는 등기부상의 권리자와 실질적인 권리자가 일치하지 않는 현상이 실생활에서는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현상을 넓은 의미의 부실등기라고 하기도 한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등기제도를 가지고 있는 나라에서 실권리자와 등기명의인이 다른 경우는 언제나 발생할 수 있는 것이므로 소유권관계에서는 실체법적인 측면에서 소유권확정의 문제가 중요하고, 또 헌법상권리인 사유재산권보장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우리 나라의 경우는 근대사법이 도입단계에서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근대적소유권의 관념이 절대적인 권리가 아닌 상대적인 권리로 이해되면서 문제의 단초가 제공된 셈이다. 일제강점기가 끝나고 현행민법이 시행되면서 물권변동의 이론적 기초를 대항요건주의에서 성립요건주의로 전환하여 소유자와 등기부상 명의자의 일치를 도모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나라의 오랜 관행으로 실소유자와 등기부상명의자가 일치하지 않는 부실등기가 행해져 사법적인 거래질서가 문란해지고, 더 나아가 부동산투기의 수단으로 전락하게 되었다. 명의신탁의 사회적 폐해는 심각하여, 명의신탁이 부동산투기의 합법적 수단이 되는가 하면, 등기원인 또한 명의신탁이라 등기하지 아니하고 매매, 증여 등으로 기재함으로써 진실한 매매로 인한 소유권이전인지 아니면 가장된 원인인지 자체가 불분명하게 되어 스스로 공적인 신뢰성을 포기하는 듯 한 인상을 주기도 하였다. 이에 정부에서는 1995년부터 부동산실명법을 제정·시행하여 올해로 10년을 맞았다. 부동산실명법의 입법 당시부터 실효성의 문제가 대두되었지만 원칙적 유효를 원칙적 무효로 전환함으로서 획기적인 점환점을 맞게 되었음은 분명하다. 그러나 여전히 명의신탁행위는 근절되지 않고 은밀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부동산실명법이 소유권의 귀속에 관한 두 가지의 상반된 성격을 내포하고 있는 속성에서 빚어지는 필연적인 결과일 것이다. 명의신탁에 의한 소유권이전을 절대적 무효로 하여 명의수탁자에게 소유권을 귀속시키면 헌법상 보장된 권리인 사유재산권보장이 심각한 침해를 입을 것이고, 반대로 상대적 권리로 하여 신탁재산을 언제든지 회복할 수 있게 된다면 부동산실명법의 입법취지를 몰각시키기 때문이다. 바로 이러한 점이 부동산실명법이 가지는 한계이고 학계와 실무계가 가지고 있는 고민인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올해로 시행10년을 맞은 부동산실명법에 대하여 그 동안의 성과 및 문제점과 동법률의 시행전과 시행후의 판례의 변동 등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명의신탁행위가 무효로 됨에 따라 부동산소유권의 반환범위에 대해서 그 동안 상반된 견해가 존재하여 왔는데, 이를 판례를 중심으로 그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끝으로 명의신탁행위근절을 위해 부동산등기의 공신력인정을 둘러싼 입법의 과정에 대해서 간략히 소개하도록 한다. Korea, which follows German legal system, adopts an external a public notice system over ownership and part of real right through the system of registration. The public notice system was intended primarily for protecting a third party in good faith by representing the rightful person and responsible person of a legal relation externally and protecting dynamic right relation called as safety of trade and static right relation of excluding any person's interference as it is noticed and exercising its right, at the same time. By the way, such the phenomena are caused in reality that the rightful person on the register as it is noticed and the real rightful person are not the same for many reasons. The said phenomena are also designated as false registration in broad sense, sometimes. As is generally known, the cases that the real rightful person and the person registered are different in the country with its registration system are apt to happen and, so, important is the matter of ownership confirmation in the ownership relation in aspect of the substantive law and, therefore, its constitutional right, function to secure private property right, should be faithfully carried out. In Korea, however, the concept of modern ownership has been interpreted as not a absolute right but a relative right with modern private law going through its introduction stage to the legacy of Japan's colonial rule of Korea, which has resultingly provided the birth of the said problem. To begin with the legacy of Japan's colonial rule of Korea ended and the current civil law being put into effect,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change in real right converted from counter-requisite principle to formation requisite principle, thereby agreement of the real rightful person with the person registered being sought. Nevertheless, our long customary practice has followed false registration, what is called, showing disagreement of the real rightful person with the person registered, so judicial transaction order became disordered and, furthermore, it was degenerated into a means of real-estate speculation. Social evil of title-trust411) is serious; it presented a legal means of real-estate speculation and, on the other hand, the ground of registration is not designated as title-trust but as trade, gift, etc., resulting whether it is ownership transfer due to true trade or due to any feint ground, itself, became obscure, which even gave a cast of countenance to give up its public authenticity of its own accord. The government hereby established & put in operation Act on the Registration of the Name of Real Titleholders in Respect of Real Estates from 1995 and, today, entered upon its 10th year. From the present when the law of real-name property ownership was established, the question of its validity was raised, but it is clear that validity in principle was converted to invalidity in principle, thereby entering upon an epoch-making turning point. However, the action of title transfer under a third party's name has not been rooted out yet and still being done in secret. This should be an inevitable result derived from the property which the law of real-name property ownership contains the contrary two characters concerning reversion of ownership. That is because if one revert the ownership to the title-trustee with ownership transfer by title-trust as absolute ineffectiveness, private property right security which is a right guaranteed by constitutional law should be infringed severely and, on the contrary, if it will be possible, as the relative right, to retrieve trust property at any time, the effect of legislating the law of real-name property ownership be ignored. This respect is just the limitation of the law of real-name property ownership and the source of trouble which the academic world and the practical world hold themselves. Therefore, this study is aiming at examining the accomplishment of the law of real-name property ownership for the time being & its problem and the change of judicial precedent before and after putting the said law in operation. In particular, as the action of title transfer under a third party's name is made nullified, two conflicting opinions has existed concerning the return extent of ownership of real property for those days. This study is hereby to review the appropriateness of such the respect laying stress on the judicial precedent, and to examine the proposal for rooting out title-trust and its appropriateness as well. Finally, this is to introduce in brief the procedure of legislating including acknowledgement of public trust of real property registration for the purpose of rooting out trust action.

      • 환편물 상의의 패턴 설계방법 연구

        김형진 창원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컴퓨터산업의 발전에 따라 의복 제작에 있어서도 디자인, 패턴제작 및 봉제에 이르는 모든 과정에서 컴퓨터 제어자동 시스템의 도입이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특히 의복 구성 분야에서는 사이즈 측정에서부터 의복의 피팅 과정까지의 전 과정을 컴퓨터로 처리할 수 있는 가상봉제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 최근 편성물의 장점이 대두되면서 편성물에 대한 연구는 활기를 띠고 있으나, 편성물의 60%이상을 차지하는 환편물의 패턴 설계방법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미흡하다. 편성물은 여성복 상의에서도 다트를 사용하지 않는 등 직물과는 패턴 설계방법을 달리해야 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환편물에 적합한 토르소 패턴을 설계하였다. 기존의 패턴으로 환편물 상의를 I-Designer series Version 3.2에서 가상착의를 실시하여 적절성 여부를 확인하고, 부적절한 부분을 수정 보완하여, 환편물용 토르소 패턴을 설계하였다. 그 외관 및 단면의 형태를 기존 3종의 패턴과 비교하고, 실물제작하여 가상봉제와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1. 연구 패턴은 앞가슴둘레는 B/4+1cm, 뒤가슴둘레는 B/4-1cm로 하고, 앞과 뒤 허리둘레는 W/4+3cm, 엉덩이둘레는 H/4으로 하고, 앞품은 B/6+ 1.5cm, 뒤품은 B/6+2.5cm, 옷 길이를 62cm, 뒤목너비는 B/20+2.5cm, 소매산은 A·H/4+2.5cm로 하였다. 2. 4종의 패턴을 시뮬레이션 한 결과, 연구 패턴은 다른 기존 패턴에 비해 높은 점수를 얻었다. 12항목 중 전면과 후면의 군주름 유무와 밑단선의 수평, 전체적인 외관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연구패턴이 이 4가지 항목에서 높은 점수를 얻어 좋은 평가를 받았다. 3. 가상 봉제와 실물제작을 비교한 결과 목둘레와 소매너비를 제외한 그 이외 항목에서는 가상착의와 실물착의 간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는 가상 착의와 실물 착의 간의 차이가 없으므로 해석된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한 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시뮬레이션을 행하였으므로, 이를 전체 여성복 상의로 확대하는 경우에는 주의가 요구된다. 그러나 본 연구의 결과가 신축성 소재의 여유량을 감안한 패턴 제작 시 설계 방법 연구에 있어서는 참고 자료로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 되며, 앞으로는 다양한 체형에 적합한 환편물 패턴에 대한 개발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MEA를 이용한 심근세포의 활동전위 분석

        김형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심장마비의 원인이 되는 빈맥과 세동에 관한 연구를 하기 위하여 MEA(Multi Electrode Array) System을 제작하였고, 제작된 MEA위에서 2-3일 된 쥐(rat)의 심장세포를 배양하고 그곳에서 나오는 신호를 분석하였다. MEA system은 세포의 위치에 따른 미세한 전기적 신호를 증폭하여 세포간의 네트워크와 시간에 따른 신호 변화를 관찰하기 위한 장치로 64개 전극에서 100Hz-10kHz 영역의 신호를 1만배 증폭하도록 설계하였다. 제작 과정에서 saturation과 detection의 문제가 있었고 여러 확인과 수정과정을 거쳐 해결해 나갔다. 완성된 MEA system에서 생쥐의 심방세포를 중심으로 전기적 활동양상을 분석하였는데, 암세포인 경우는 ISI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정상세포는 ISI가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이들은 배지의 영향을 받았는데, 배지가 ISI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 어린이용품 유해물질 실태조사를 통한 휴대용 XRF의 적용성에 관한 연구-Pb 및 cd을 중심으로-

        김형진 금오공과대학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어린이용품에 함유된 중금속 함량을 분석할 수 있는 휴대용 XRF 측정방법은 시간과 비용, 절차상의 간편함 등 여러 가지 장점을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표준화된 방법으로 정해지지 않았기 때문에 어린이용품의 수출입 과정에서의 검사나 용품 제조 현장에서 품질관리의 방법으로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이 연구는 놀이용 장난감(완구류), 물놀이용품, 어린이 장신구, 학용품 및 어린이용 생활용품 등 4,000개의 어린이용품을 수집한 뒤 휴대용 XRF 장비를 이용한 Pb과 Cd 함량특성을 조사하므로써 중금속 함유실태를 파악하는 한편 표준화된 시험방법인 ICP 정량분석 결과와의 상대오차를 비교하므로써 신뢰도 확보를 위한 휴대용 XRF 장치의 현장 적용가능성을 검토하고 어린이용품의 중금속 함량 측정을 위한 1차 스크리닝 분석방법으로써의 제도적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추가적으로 제품 표시 및 인증현황 등의 고찰을 통해 문제점 파악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총 4,000개 제품의 5,200개 부분 시료를 대상으로 어린이용품의 표시 및 인증 현황을 확인한 결과 원산지가 표시되지 않은 제품이 전체의 13.3%인 527개에 달하고 있어 원산지 표시 의무를 강화하고 원산지가 표기되지 않거나 허위로 부착한 경우의 처벌을 엄격하게 하는 것이 필요하며 추가적으로 제품의 유효기간을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생산 및 수입, 보관과정에서 유해물질로부터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위해 자치단체에 환경감시대를 설치하여 어린이용품을 생산, 수입하는 업체들에 대한 수시점검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자율안전 확인기준 등에 따른 표기자료가 실제 내용과 일치하지 않거나 표기되지 않은 제품들도 다수 발견되고 있어 이에 대한 행정감독이 강화되어야 하며 홀로그램이나 위조방지 마크 등의 부착을 검토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동일 제품이라 하더라도 재질과 코팅여부, 색상에 따라 구분하여 함량시험을 하는 것이 필요하나, 제조업체의 시간 및 비용적 부담을 고려하여 XRF를 통한 1차 스크리닝 후 중금속 함유 가능성이 가장 높은 대표부위를 대상으로 함량분석을 실시할 경우 어린이용품에 함유되는 유해물질의 저감 및 관리에 매우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품질경영 및 공산품안전관리법, 환경보건법, 식품위생법 등 관련 법령에서 규제대상에서 제외되어 있는 품목이 641개로 조사됨에 따라 이들 제품을 관리대상으로 규정하고 경구, 경피 등의 전이량 시험 및 위해성 평가를 실시하여 엄격하게 관리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휴대용 XRF 분석을 통한 Pb 함량을 측정한 결과 17.4%인 907개 시료에서 Pb이 검출되었고 품공법의 Pb 함량 기준인 300 mg/kg을 초과한 시료는 3.9%인 200개였는데 대부분 반지, 아동용 커프스, 목걸이, 팔찌 등의 어린이 장신구였다. Cd 함량은 2.8%인 144개에서 검출되었고 Cd 함량 기준인 75 mg/kg을 초과한 시료는 2.6%인 136개로써 대부분 아동용 커프스, 물풀이나 물놀이용 튜브 등이었다. 휴대용 XRF 측정 결과 물놀이용품과 학용품을 중심으로 48개 제품에 대해 Pb 항목을, 19개 제품에 대해 Cd 항목을 ICP로 분석하여 비교한 결과 Pb은 책가방의 경우 XRF보다 ICP의 결과가 높게 나타났고 어린이 장신구는 XRF가 더 높게 나타나는 특징을 보였는데 이는 스캔 단면의 두께나 채취 시료 부분의 차이, 플라스틱 내부 재질의 차이, 시료조제과정에서의 차이 때문으로 판단되며 학용품에서의 상대오차는 15.5~261.1%, 어린이 장신구는 148.6~755.8%, 놀이용 장난감은 0.8~189.3%로 나타나 편평하고 동일 재질의 학용품이나 놀이용 장난감에 대한 현장 스크리닝 측정방법으로 매우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Cd은 놀이용 장난감의 상대오차가 2.3~194.3%, 학용품은 8.2~83.5%로 나타났는데 놀이용 장난감 1개를 제외하고는 모두 XRF 측정 결과 기준을 초과한 용품들이 ICP 분석을 통해서도 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나 XRF에 의해 일정 농도 이상 검출되는 용품에 대한 현장에서의 스크리닝 기법으로 적용이 가능하리라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XRF에 의한 어린이용품 분석방법을 1차적인 현장 스크리닝 검증방법으로 규정하되, ISO/IEC의 스크리닝 기준인 30 % 또는 40∼50% 기준을 설정한다면 현장에서 즉각적인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향후 내부 재질이나 측정 단면의 두께, 제품별 시료 준비 절차, 정도관리방법, 측정기기의 형식 승인 및 정도검사방법 및 SRM을 이용한 XRF 분석 검량선 작성 방법 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어린이용품의 종류별 영향인자를 고려한 측정 매뉴얼을 구축할 경우 어린이용품의 수입 시 세관에서의 현장측정이나 제품 제조기업에서 입고되는 원, 부자재의 유해물질 함유 여부에 대한 신속한 측정은 물론 함량분석을 위해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고 1차적인 스크리닝 분석방법 이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통해 유해화학물질의 저감은 물론 유해제품의 국내 반입 등을 철저하고 안전하게 관리함으로써 어린이용품을 사용하는 어린이들의 안전성 확보 및 환경오염 저감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Assessment of hepatic cytochrome P450 3A activity in healthy volunteers, pregnant women, and patients with renal impairment using endogenous metabolic markers

        김형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Introduction: Cytochrome P450 3A (CYP3A) is a phase I drug-metabolizing enzyme which has a key role in the metabolism of xenobiotics such as drugs and endogenous substrates. Assessment of CYP3A activity prior to dose prescription may enable doctors to predict the therapeutic efficacy and safety of a wide range of therapeutic agents. Previous studies have suggested physiology-based changes in the CYP3A activity: a pregnancy dependent increase in the CYP3A activity induced by hormonal changes and a renal impairment dependent decrease in the CYP3A activity induced by an accumulation of the plasma level of indoxyl sulfate. However, the CYP3A activity during the pregnancy and according to the renal severity were not properly evaluated from previous studies. Additionally, the assessment of the CYP3A activity using probe drugs such as midazolam may result in drug-induced toxicity, thus their use is inappropriate in such vulnerable populations.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endogenous metabolic markers by comparing them with exogenous markers of hepatic CYP3A activity and to utilize those results to assess the activity of hepatic CYP3A in various populations including healthy volunteers, pregnant women, and patients with renal impairment. Methods: A total of 100 healthy volunteers, 48 pregnant women, and 66 patients with renal impairment were enrolled in this study. Gas chromatography coupled with triple-quadruple mass spectrometry was used to quantify the endogenous metabolic markers of hepatic CYP3A activity (urinary 6β-OH-cortisol/cortisol, 6β-OH-cortisone/cortisone and plasma 4β-OH-cholesterol). Liquid chromatography coupled with electrospray tandem mass spectrometry was used to quantify the plasma concentration of midazolam, 1’OH-midazolam, urinary creatinine and indoxyl sulfate. The total plasma concentration of cholesterol was measured using an enzymatic colorimetric assay. Results: Midazolam clearance (MDZ CL) and the metabolic ratio of 1’OH-midazolam and midazolam (MDZ MR)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endogenous metabolic markers of CYP3A activity. MDZ CL, 6β-OH-cortisol/cortisol, and 6β-OH-cortisone/cortisone decreased with increasing age. The 4β-hydroxycholesterol/cholesterol ratio was higher in pregnant women compared with that in non-pregnant women; however, no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trimesters.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e (eGFR) and the indoxyl sulfate level.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either the eGFR or the indoxyl sulfate level with the endogenous metabolic markers of hepatic CYP3A activity. Conclusion: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xogenous and endogenous metabolic makers for hepatic CYP3A activity. Therefore, the replacement of endogenous metabolic markers is considered feasible to the use of midazolam to measure CYP3A activity. When hepatic CYP3A activity was assessed in health volunteers, age dependent decrease in its activity was observe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hepatic CYP3A activity during pregnancy but pregnancy induced increase in the hepatic CYP3A activity was observed. Lastly, in this study, the severity of renal impairment induced accumulation of the blood level of indoxyl sulfate was observed.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of the endogenous metabolic markers with the plasma level of indoxyl sulfate or the eGFR. Thus, the impact of renal impairment on the hepatic CYP3A activity may negligible. Therefore, when prescribing CYP3A substrates, age and pregnant status of subjects should be considered to maximize beneficial efficacy of the drug.

      • 다중 동흡진기의 설계 및 응용에 관한 연구

        김형진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대부분의 산업기계는 조화 가진력이 작용한 결과로 원치 않는 주기 운동이 발생한다. 이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진동을 줄이거나 제어하기 위한 많은 기법이 제안되었다. 동흡진기는 수동적인 진동 저감 기술 중 가장 잘 알려진 방법이며 스프링 잘량만으로 구성된 단순한 장치이지만 잘 설계되면 대단히 효과적으로 시스템의 진동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이 획기적인 생각은 오래전 1911년에 Frahm에 의해 처음 제안되었고[1], 그 이후에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다. Ormondroyd and Den Hartog는 감쇠를 갖지 않는 주진동계에 감쇠를 갖는 동흡진기의 해석 방법을 처음으로 제시하였다 [2]. Den Hartog는 불변점(Invariant Point) 방법을 사용하여 최적의 동흡진기 파라미터를 처음으로 결정하였다 [3]. 이 방법은 동흡진기의 감쇠에 상관없이 주진동계의 주파수응답 함수는 불변하는 두 점이 존재한다는데 기초를 두고 있다. 이는 동흡진기의 설계 변수를 적절하게 설정하면 두 점의 높이가 같게 되도록 조정한 다음 각 고정점에 주파수응답 함수의 극대값이 위치하도록 최적의 감쇠비를 얻는 방법이다. 최적해의 근사치는 두 해의 평균치로 결정한다. Brock은 단순한 섭동법을 이용하여 최적의 감쇠비에 대한 해석적 표현을 유도하였다 [4,5,6]. 최근 이 문제에 대한 정확한 해는 Nishihara and Asami [7][10]에 의해 주파수응답 함수의 피크치의 크기를 같게 하는 방법으로 유도되었다. 이것은 불변점 방법에 기초한 근사해가 정확한 최적 해와 매우 유사하며 높은 정확도가 있음을 보여준다. Snowdon [8]은 고무 같은 재질을 갖는 주진동계에 부착된 동흡진기의 최적의 파라미터를 근사 방법을 이용하여 결정하였으며, Ozer and Royston [9]에 의해 불변점 방법은 다자유도계로 확정되었다. 지금까지 검토된 내용은 비 감쇠 주진동계에 조화 가진력이 작용한 경우에 적용된 감쇠 동흡진기에 관한 내용이었다. 감쇠를 갖지 않으면서 감쇠 동흡진기가 부착된 주진동계의 주파수응답 함수는 불변점이 나타나지 않는다. 그러므로 이 같은 경우에서 불변점 방법으로 최적의 파라미터를 근사적으로 결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더욱이 목적함수가 너무 복잡하게 표현되기 때문에 정확한 최적해를 해석적으로 얻는 것은 어려운 문제이다. 그러나 산업현장의 실제 기계구조물은 일정 이상의 감쇠를 갖는 것이 일반적임에도 불구하고 주진동계의 감쇠효과를 고려하지 않을 경우 감쇠에 의한 에너지 소산효과가 적용되지 않기 때문에 매우 비 효율적인 동흡진기 설계결과가 도출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제 산업현장에서 수행되는 동흡진기 설계를 위하여 주진동계의 감쇠를 고려한 동흡진기 설계변수의 민감도 해석을 수행하고 이를 기반으로 동흡진기의 최적 설계방법을 정립하고자 한다. 또한 기존의 동흡진기 설계는 공진점에서의 진동진폭이 최소가 되도록 최적화 설계를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많은 적용 사례에서 기계의 사용범위 내에 여러 개의 공진점이 존재하거나 다양한 주파수의 가진력이 작용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경량화 설계된 가전제품의 경우 구조 강성이 낮아 낮은 영역에서부터 고유진동수가 나타나고, 회전 기계나 왕복동식 엔진의 경우는 회전수에 연관되어 기진력이 발생하므로 많은 주파수 성분으로 구성된 기진력 특성이 나타난다. 예로서 왕복동 엔진의 경우는 실제 유효한 기진력 주파수로 25차까지 검토되고 있으며, 실제 현상적으로 이와 같은 고차 기진력에 의한 진동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여기에 제품에 대한 진동 요구조건이 엄격해지고 있어 공진영역 뿐만 아니라 정격회전수에서도 진동 규제가 적용되는 경우도 많다. 이러한 경우 기존에 적용되던 최적설계 개념으로는 두 개 이상의 회전수 구간 모두에서 진동을 저감시킬 수 없다. 이를 위해 다중 동흡진기의 적용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다중 동흡진기의 성능에 대한 연구는 1989년 Bergman에 의해 시작된 이후 다수의 연구자들에 의해 수행되었다 [11]~[20]. 그러나 이러한 연구는 공진영역에서 발생되는 과도진동을 줄이기 위한 최적화에 초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공진점과 정격회전수 간격이 넓은 기기에 대해서는 효과적인 진동제어 방법이 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다중 동흡진기 최적 설계를 기존의 방식과는 달리 기기의 사용조건에 따라 최적상태의 개념을 재수립하고 이를 실제 제품에 적용하여 시험검증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