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신용협동조합 체크카드 발전방안 연구

        김형관 한밭대학교 창업경영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 문 요 약 신용협동조합 체크카드 발전방안 연구 논문제출자 김 형 관 지 도 교 수 류 덕 위 글로벌 금융위기와 금융산업의 환경변화, 금융 국제화와 증권화 및 종합화로 금융산업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이러한 환경 변화는 금융산업의 효율성과 경쟁력 제고 및 금융업계의 과당경쟁으로 인한 수익성 악화와 위험 부담이 증가하게 되었으며, 금융기관들은 과거의 보수적인 경영활동에서 벗어나 보다 창의적이고 능동적인 전략으로 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보다 다양하고 세분화된 경영전략을 수립하여 시행하고 있다. 신용협동조합(신협)도 이러한 금융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조합원과 유대를 강화하고, 새로운 사업 전략을 마련하여 타 금융기관과의 경쟁력을 갖추어야 함에 따라 신협체크카드가 탄생하게 되었다. 신협체크카드가 조합원에게 편리한 금융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차별화된 상품을 제공하여야 하며, 이를 계기로 신협 업무를 다양화시키는 기회로 삼아야 한다. 최근 지불결제수단이 다양화되어 현금을 대신하는 결제수단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추세에 있다. 2009년 주요 비현금 지급수단별 결제규모 중 이용건수 기준으로 카드가 49.6%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가운데서도 체크카드의 이용율이 매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체크카드 이용의 급상승으로 이용건수가 2004년 77,632천건에서 2009년 1,049,027천건으로 13.5배 성장하였고, 이용액은 2004년 2,637십억원에서 2009년 36,462십억원으로 5년만에 14배로 성장하였다. 앞으로 체크카드의 이용도는 점점 더 높아질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신협체크카드 발급으로 금융업무의 겸영확대 및 글로벌화에 대응하고, 조합원에게 편리하고 합리적인 소비생활을 유도할 수 있도록 신협체크카드가 활성화 되어야 할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최근에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체크카드에 대한 개념과 현황을 이해하고 신협에서 추진되어 온 체크카드업무 과정을 살펴보며, 이를 바탕으로 신협체크카드가 카드시장에서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신협에서 체크카드업무는 2004년 10월부터 현대카드사와 제휴를 통한 체크카드 발급을 시작하였으며, 2010년 7월부터 독자적인 신협체크카드 발급을 시작하고 있다. 그러나 신협체크카드가 시행 초기에 카드업무에 필요한 독자시스템을 갖추고 시작한 것이 아니라, 가맹점 등의 기본 인프라 미흡으로 타 카드사업자의 가맹점을 이용하는 등의 일부 미흡한 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신협체크카드가 신협의 핵심 사업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발전방안으로 제시한 자체가맹점 구축, 전문 인력 양성, 카드 사업을 위한 독립부서 운영, 조합과 중앙회의 역할 분담, 신협체크카드에 신용카드 기능 결합, 미래 조합원 확보를 위한 정책으로 활용과 조세정책에 대한 정부의 지원을 요구하는 전략을 체계적으로 수립하여 추진하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발전방안의 추진전략으로 신협은 인적ㆍ물적 자원의 정비를 통해 해결하면 신협체크카드가 중앙회의 핵심 사업으로 발전할 수 있으며, 또한 카드시장에서 신협체크카드가 서민ㆍ중산층을 위한 대표적인 카드상품으로 역할을 다할 수 있을 것이다.

      • 신문의 변형광고와 일반광고의 효과에 관한 연구

        김형관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변형광고 효과가 기존의 일반광고에 비해 그 효과가 어느 정도인지 살펴봄으로써 신문광고의 효과를 높이고 변형광고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변형광고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20∼40대 성인 여성 103명에게 일반광고와 변형광고를 노출시킨 뒤에 상표 회상도, 그리고 광고에 대한 태도 및 제품의 구매의도를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 첫째, 상표 회상도는 일반광고보다 변형광고가 더 높았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광고에 대한 태도는 일반광고보다 변형광고가 더 긍정적이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광고시청 태도별로는 광고형태에 주안점을 두는 소비자가 광고내용에 주안점을 두는 소비자보다 광고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이었다. 셋째, 구매의도는 일반광고보다 변형광고가 더 높았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신문구독과 광고형태에 따라 소비자들의 태도를 살펴본 결과, 신문구독 정도에 따라서는 광고형태에 대한 소비자들의 태도가 차이가 없었으나 광고형태에 따라서는 차이를 보였다. 또한 소비자들은 일반광고보다 변형광고에 대해 시선을 끄는 광고, 신뢰감이 가는 광고, 흥미가 느껴지는 광고, 구매욕구가 높은 광고, 기억에 남는 광고, 쉽게 이해되는 광고라고 평가하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통해서 볼 때, 변형광고가 일반광고보다 광고 효과가 더 높았으며, 소비자들은 일반광고보다 변형광고에 대해 더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변형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 광고태도와 광고효과, 소비가 가능한지를 파악함으로서 변형광고의 확대 실시 가능성을 보다 넓혀주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지닌다. 그러나 변형광고는 크리에이티브가 뒷받침되지 않은 채 형태변형만 고집해서는 효과를 발휘하기 어렵다. 따라서, 변형광고 운영에 있어 치밀한 광고표현이나 매체계획이 따라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e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superior effect of transformed advertisement to general advertisement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 of newspaper advertisement, and to suggest a direction for transformed advertisement. 103 women in their 20's and 30's were looked at general advertisements and transformed advertisements, and then examined of their remembrance of the brand name, attitude toward the ads, and their intension to purchase the goods in the ads. The results are as following; First, degree of remembering the brand name was higher for the transformed ads than for the general ads, which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the attitude toward the ads was more positive at the transformed ads than at the general ads, which also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s to the attitude of watching ads, customers who focused on ad type were more positive than who focused on the content of ads. Third, purchasing intention was higher for the transformed ads than for the general ads, which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Forth, as to the customers' attitude by newspaper subscription and ad type, there was no difference in customers' attitude by the degree of newspaper subscription, but there is a difference by the type of ads. The customers evaluated that transformed ads are more eye-catching, reliable, interesting, highly making them want to purchase, memorable, and easily understood than general ads are. From these findings, it can be concluded that transformed ads are more effective than general ads, and customers were more positive to transformed ads than general ads. The study has a meaning in that it broadened the feasibility of expanding transformed ads as it investigated customers' response to the transformed ads, advertising attitude and the effect of ads, and whether or not making the customers purchase the goods. But, transformed advertising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effect if it persists on just the transformation of the ad type without supporting with creativity. So, it is suggested that ad expression in detail and media plans are to follow the running of transformed ads.

      • 한국사회 복지태도 결정에 지역구조가 미치는 영향

        김형관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paper is an empirical study aiming at verifying the impacts of the regional structure on the welfare attitudes in Korea.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region, which reflects so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Korean society, were analyzed to overcome the limits of the theories that have been centrally discussed in the researches on welfare attitudes such as theories of the class, self-interest from the perspective of non-class theory, and welfare statu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if there are differences in welfare attitude in Korea depending on the region, if the region affects the decisions on welfare attitudes, and the decision-making pattern of welfare attitude depending on the region once the regional disparity was confirmed in welfare attitude in the Korean society. The original material of second survey, first conducted by Korean Welfare Panel Study in 2007, was analyzed. Korean Welfare Panel Study in 2007 also examined awareness on welfare as a secondary research using total 1,677 cases of respondents who completed the survey regarding awareness on welfare and data about houses and family members. Welfare attitude as a dependent variable, the regional structure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the other variable which was verified in previous studies as a controlled variable were selected and analyzed. Especially, the independent variable, the regional structure, was divided into three regional structures that reflect regional cleavage in Korean society to be analyzed. First regional structure was divided into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 local areas by vertical cleavage, second one consisted of the cities, which have been cleaved due to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and rural areas, and the third one was divided into three groupsㅡbig cities, small or medium-sized cities, and small towns. The major results of analyses are shown below. First, the study showed a regional difference in welfare attitude in Korean society. People who live in the Metropolitan area, cities, big cities, and small or medium-sized cities had higher level of welfare attitude than those who live in the local areas, rural areas or small towns. This means that regional cleavage, which is a so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 of Korean society, is applied to welfare attitudes. Second, even when the other related variables that affect welfare attitudes were controlled, welfare attitude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regional structures. In fact, the regional structures has an impact on welfare attitudes in Korean society. Third, decision-making pattern of welfare attitudes was different depending on regional structures. In other words, the mechanism was different depending on regional structures and it reflected the characteristic of the local structure. The findings of the study had following theoretical implications: First, this study verified the importance of regional structure which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society better than the perspectives of the theory of class or non-class theory, which used to be the mainstream. Secondly,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mechanism of welfare attitude is different depending on regional structure. That is, it proved the possibility of new theoretical approach in researches on welfare attitude. Third, it proved that regional differences in welfare attitude could be a reason that worsens the regional welfare disparity. Besides, the findings of the study had some political implications: First, the efforts to get rid of regional disparities are required to improve welfare attitudes in Korean society. Second, further researches on welfare attitudes in Korean society should focus on regional approach and diversified analysis of region. That is, strategies and efforts are required to improve welfare attitudes of local regional community.

      • 복지국가의 거시경제상황이 복지태도에 미치는 영향 : 개인 특성 및 복지체제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형관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서구 복지국가들의 거시경제상황이 복지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 간의 관계에서 개인특성 및 복지체제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그동안 선행연구들에서는 복지국가들에서 복지태도의 차이와 이의 발생 맥락을 규명함에 주로 제도주의 및 복지체제 이론에 초점을 두어 복지체제 혹은 국가의 제도적 맥락이 국가간 복지태도 차이의 주요한 맥락임을 논의하였다. 그렇지만 경험적 분석들에서의 결과는 이에 부합된 결과를 도출하지 못하여 한계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아울러, 이러한 초점에서는 복지태도를 복지체제간 고정적이고 안정적인 태도로 규정함으로 인해 복지태도의 가변성에 대한 체계적인 시각을 제공해주지 제한성을 지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선행연구들의 제한성으로 인해 일부 연구들에서는 거시경제상황을 주요 변수로 활용하여 분석하였지만, 대체로 정태적 관점에서 분석하여 거시경제상황들의 영향이 일관되게 산출되지 못한 한계를 지니고 있다. 또한 종단적 관점을 적용한 연구들에서는 적은 국가 사례 수와 짧은 분석 기간으로 분석결과의 신뢰성과 일반성에서 일정한 제한성을 지닌 것으로 평가되었다. 아울러,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에서는 복지태도와 거시적 맥락의 관련성을 분석함에 단면적인 관계로 가정하고 분석하여 거시경제상황의 영향이 모든 개인 및 국가들에 일면적으로 적용되는 양상으로 해석하고 있어 다각적인 시각을 제공해주지 못한 한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구 복지국가들의 복지태도 차이 및 이의 발생 맥락에는 거시경제상황의 변화가 적극 관련되어 있을 뿐 아니라 거시경제상황의 영향이 일면적인 차원에서 복지태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 아닌 개인특성 및 복지체제에 따라 상이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관련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에 선행연구들에서 주로 논의되고 있는 개인특성 및 국가특성의 관련 이론들을 검토하고 관련 변수들을 통제한 이후 서구 복지국가들에서 거시경제상황이 복지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과 더불어 거시경제상황과 개인특성 및 복지체제에 따른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 규명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반영한 연구문제는 크게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서구 복지국가들에서 거시경제상황이 복지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서구 복지국가들의 거시경제상황과 복지태도의 관계에서 개인특성의 조절효과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셋째, 서구 복지국가들의 거시경제상황과 복지태도의 관계에서 복지체제의 조절효과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규명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WVS와 EVS 자료를 1990년부터 2013년까지의 24년간 자료를 결합하여 총 19개 서구 복지국가들의 71개 국가 사례를 확보하고 국가특성의 거시자료를 관련 통계자료를 통해 결합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종속변수는 복지태도로 ‘소득재분배 태도’와 ‘복지 정부책임성 태도’ 의 두 문항을 각각 활용하였으며, 독립변수로는 국가특성의 거시경제상황 변수들인 경제성장, 실업수준, 인플레이션, 경제수준, 불평등수준을 주요 변수로 활용하였다. 조절변수로는 개인특성의 성별, 연령, 소득계층, 결혼지위, 고용지위, 정치이념성향과, 국가특성의 복지체제를 주요 변수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문제에 대한 규명은 위계적일반선형모형(HLM)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서구 복지국가들에서 거시경제상황은 복지태도에 체계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소득재분배 태도에는 경제성장률과 불평등수준이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복지 정부책임성 태도에는 실업수준과 불평등수준이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복지태도의 개념적 수준과 차원에 따라 거시적 맥락의 영향이 일부 상이하여 복지태도의 측정에 대한 중요성을 환기하여 준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는 복지태도가 복지체제나 제도와 같은 구조적 양상에 의해 일시적으로 확인되는 현상이 아닌 거시경제상황의 변화에 따라 복지태도가 변화될 수 있음을 시사해주고 있다. 따라서 서구 복지국가들에서 복지태도는 변화가 미약하고 고정적이며 안정적인 양상을 보인다는 제도주의 관점의 논의와는 상반된 분석결과로 복지태도의 가변성에 주목한 분석접근의 필요성을 제기하여 준다. 둘째, 서구 복지국가들에서 복지태도에 미치는 거시경제상황의 영향은 개인특성인 사회집단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나는 양상임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는 복지태도와 거시적 맥락의 영향을 단편적이고 일면적으로만 규정하고 분석하였던 선행연구들의 접근이 제한적임을 제기하여 주는 바, 복지국가들에서 복지태도의 차이와 이의 발생 맥락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다각적인 측면에서 거시적 맥락과 개인특성의 상호영향에 대한 분석적 고려가 필요함을 시사해주고 있다. 셋째, 서구 복지국가들에서 복지태도에 미치는 거시경제상황의 영향은 복지체제에 따라서도 상이하게 나타나는 양상임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는 복지체제를 독립변수로만 활용하였던 선행연구들의 접근에 제한성을 보여주는 바로, 복지국가들에서 복지태도의 차이와 이의 발생 맥락을 보다 면밀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복지체제의 조절변수로써의 활용이 적극 고려될 필요가 있음을 제기하여 준다. 아울러, 서구 복지국가들에서 거시경제상황의 영향은 사회구조적상황과의 상호작용에 의해서도 적극 규정되고 있다는 점을 시사해주고 있어 거시적 맥락간의 상호영향에 대한 분석접근이 필요함을 환기하여 준다. 본 연구는 복지태도의 가변성에 주목함으로써 복지국가에서 복지태도 결정에는 거시경제상황들에 의해 적극 규정되고 있음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는 의의를 지닌다. 또한 기존 복지태도 연구의 주류적 관점인 제도주의 혹은 복지체제 이론의 제한성을 극복하였다는 학술적 성과를 거두었다. 아울러, 복지태도에 거시경제상황의 영향은 모든 개인 및 국가에서 동일하게 적용되는 양상이 아닌 개인특성인 사회집단에 따라 그리고 복지체제에 따라 상이하게 적용되는 양상임을 확인하였다. 이에 복지국가들에서 복지태도의 차이와 이의 발생 맥락을 포괄적으로 이해하고 파악하기 위해서는 미시수준과 거시수준 혹은 거시수준간에 상호작용을 토대로 이해해야 함을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이상의 연구 결과를 기초로 한국 사회에 제공하는 정책적 및 정치적 함의로 복지정치의 전개 양상을 파악함에 거시경제상황 변화에 대한 주목이 필요하며, 복지정치의 역동성에 대한 관심과 정책적 노력이 필요함을 제기하였다. 다른 한편으로는 한국 복지국가 발전을 위해서는 거시경제상황에 따른 복지국가 및 복지정치의 전략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how welfare attitudes are affected by varying macroeconomic conditions, which then are moderated by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welfare regimes in the Western welfare states. Previous studies are largely preoccupied with institutionalism and welfare regimes theory in identifying different welfare attitudes. Welfare regimes and public institutions are considered as major factors but findings so far in those studies do not correspond to empirical data. In this focus, the welfare attitude is defined as a fixed and stable attitude among welfare regimes, which limits the systematic view of the variability of welfare attitude. Because of the limitations of this previous research, some studies attempted to analyze the macroeconomic situation as a major variable. However, most of these studies are analyzed from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and the effects of macroeconomic conditions are inconsistent. And some studies using the longitudinal viewpoint have limitations on the reliability and generality of the analysis results due to few country cases and short analysis period. Furthermore, most studies assume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welfare attitude and macro-contexts is one-sided, and the effects of macroeconomic conditions are applied to all individuals and countries as well. Thus, this study not only identifies the determinants welfare attitudes by focusing on macroeconomic conditions, but also particularly examining the moderate effect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welfare regimes This study has three research questions : First, how does the macroeconomic conditions affect welfare attitudes in Western welfare states? Second, how does moderating effect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appea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croeconomic conditions and welfare attitudes of Western welfare states? Third, how does moderating effects of welfare regimes appea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croeconomic conditions and welfare attitudes of Western welfare states? To answer these questions, this study used Hierarchical Linear Model(HLM) to analyze the World Values Survey(WVS) and the European Values Study(EVS) which combined cross-national and micro datasets. This study included 74,103 individuals based on 71 datasets(from 1990 to 2013) from 19 Western welfare states. Two items in particular from the surveys—Income Redistribution Attitude and Welfare Government Responsibility Attitude—are taken as dependent variables. Independent variables representative of national level are some macroeconomic variables such as real GDP, unemployment rate, inflation, GDP per capita and Gini coefficient. Moderate variables are classified into individual level—gender, age, income class, marital status, employment status, political ideological—and welfare regimes of national level. The major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acroeconomic conditions have systematically affected welfare attitudes in the Western welfare states. Especially, income redistribution attitudes was influenced by real GDP and Gini, and welfare responsibility attitudes by unemployment rate and Gini. These results suggest that welfare attitudes are affected by fluctuating macroeconomic conditions rather than identified by fixed structural patterns such as welfare regimes and institutions. It is justified, therefore, that I need to turn our attention to the dynamics, rather than stability, of welfare attitudes, and relativize the institutionalism approach. Second, the effect of macroeconomic conditions on welfare attitudes in Western welfare states varies among different social groups which feature individual characteristics. Previous approaches in which macroeconomic factors are defined one-dimensionally are clearly limited; mor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interactions between macroeconomic contexts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to fully grasp welfare attitudes in welfare states. Third, it is found that the welfare regimes is another factor in shaping welfare attitudes under various macroeconomic conditions in Western welfare states. The limitations of previous studies are clear in this regard as they take the welfare system as an independent variable. Rather, I should use it as a moderating variable in our analysis of welfare attitudes. Social and structural features like the welfare regimes interact with macroeconomic changes and they affect one another while both shaping welfare attitudes. I need to adopt a more nuanced and multi-dimensional approach in order to fully identify the pattern of welfare attitudes in welfare states. This study contributes to widening methodological basis for studying welfare attitudes in that it attends to its dynamic character especially in the context of macroeconomic conditions. The mainstream approaches hitherto preoccupied with institutionalism and welfare regimes theory can now be supplemented by a more multi-dimensional perspective. In analyzing welfare attitudes in welfare states, this study provides a fresh insight into the interactions between micro level and macro level or among macro level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in analyzing and proposing welfare policies in Korea, which have been critically affected by macroeconomic conditions. Strategies for welfare politics and the development of welfare state in Korea can be laid out with a proper consideration of the interactive relationship between macroeconomic and welfare culture.

      • 손 형상 및 제스처를 이용한 지능형 테이블 탑 디스플레이 시스템 : e-Desk : 지능형 테이블탑 디스플레이

        김형관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Table-Top Display의 Multi-Touch Gesture에 Non-Touch Gesture를 결합하여 보다 지능적이고 자유롭게 시스템을 컨트롤 할 수 있는 HCI(Human Computer Interface)에 대하여 기술한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Touchface Ⅳ(Multi-Touch Table-Top Display System)는 Multi-Touch와 복잡한 배경에서의 손 형상 인식을 위하여 적외선 직접 반사방식(ILDR-Infrared Light Direct Reflection)을 기반으로 제작되었고, 다수의 유저에 의한 Multi Touch 방식의 손 터치 제스처 입력이 가능하다. Table-Top Display 시스템은 영상 투영을 위한 단초점 빔 프로젝터와 적외선 LED 램프, 강화 유리와 부착 스크린(Diffuser), 터치 영상과 손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적외선 카메라 2대로 구성되어 있다. 제스처는 상호작용 및 테이블 탑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사용자의 직관적이고 감각적으로 시스템 제어를 할 수 있도록 정의하였고 스크린의 접촉한 손가락 개수를 이용한 Touch Gesture와 접촉하지 않은 손가락 개수 및 손의 위치 변화를 이용한 Non-Touch Gesture로 이루어진다. Non-Touch Gesture를 인식하기 위하여 사용된 영상은 적외선 영상을 이진화한 영상으로 색상의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Convex hull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손 형상을 구분하고 Fingertip 개수에 따라 Non-Touch Gesture를 정의 및 인식한다. In this paper, we describe about HCI (Human Computer Interface) that can control system intelligently and help user conveniently to combine Table-Top Display's Multi-Touch Gesture and Non-Touch Gesture. Touchface Ⅳ(Multi-Touch Table-Top Display System) used in this research was manufactured based on Infrared Light Direct Reflection in complex background for recognizing hand shapes in Multi-Touch interface. It is also possible to user hand touch gestures of multi users. Table-Top Display system is consisted to thermo camera 2 to acquire single sentry point beam floodlighting projector for image cast shadow and infrared rays Light Emitting Diode lamp, tempered glass and sticking screen (Diffuser), touch image and hand image. Gesture is consisted of Non-Touch Gesture utilizing fingertip shapes and Touch Gesture that defined for touch interaction on the screen. For the recognition of Non-Touch Gesture the used image is binary image of infrared camera is used and it is not usually influenced with color variation. For Non-touch gesture recognition we use convex hull algorithm to segment fingertips with whom we defined Non-touch gestures.

      • 공공갈등관리 제도화 현황과 입법과제 : Kingdon의 다중흐름모형 중심으로

        김형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갈등관리제도의 입법화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이유를 다양한 관점에서 종합적으로 분석함으로서 가장 큰 문제점이 무엇인지를 진단하고 그것을 해결하기 위해 실현 가능성이 높은 대안을 제시하는 것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Kingdon(2011)의 세 가지 흐름이 결합하면서 정책의 창이 부분적으로 열리는 과정을 상세히 기술하였으며 정책이 표류하고 있는 원인으로 문제의 흐름, 정책의 흐름, 정치의 흐름 세 가지 중 어떤 요인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는지를 비교평가 하였다. 시간적 범위로는 갈등관리 입법이 최초로 시도되었고 현재의 갈등관리 규정이 제정되었던 노무현정부 시기와 갈등관리 법제화를 위한 논의와 실제 공론화 방법의 활용이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진 문재인정부 시기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시기에 정책의 창이 부분적으로 열렸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입법이 표류하게 된 주요 원인은 무엇인가?”를 찾아내고, 문제점을 진단하였다. 그리고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은 무엇인가?”에 대해 국내외 관련법률 사례와 20대 국회의 관련 입법안들의 비교·분석 등을 통해 해결 방법을 모색해 보았다. 다중흐름이론을 이용한 연구결과, 각 시기별로 많은 중요한 갈등 사건이 발생하고 있었다. 그리고 법안을 최종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정치적 역량이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법안이 통과되지 못했기 때문에 문제의 흐름과 정치의 흐름이 주된 영향은 아닌 것으로 판단하였다. 반면 각 시기 모두 국회 상임위원회에서 법안을 논의할 때 내용의 미비 등으로 인해 법안의 필요성과 공감대를 형성하지 못했고 법안에 대한 논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했기 때문에 결국 정책의 흐름이 가장 큰 문제점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정책의 흐름의 문제점 해결을 위해서는 먼저 기존에 국회에서 제기되었던 문제점에 대한 명확한 설명과 함께 우려들을 불식시키고 갈등관리 관련법의 입법필요성에 대한 국회의원들과 국민들의 공감대를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아울러 공공갈등의 정의를 명확히 하고 적용분야의 범위와 대상을 한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적용기관도 각 기관별 갈등발생 정도를 주기적으로 평가하여 의무대상과 선택대상으로 구분 적용할 필요성이 있다. 공론화법에 대해서는 위원회의 공정성과 독립성이 가장 중요한 요소인 만큼 이를 확보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다만 현실적인 인력, 예산, 조직 확보 문제 등을 고려하여 처음에는 국무총리실 소속 비상설 위원회로 시작하고 중장기적으로는 상설독립기관으로 확대하는 단계적 방안이 실현가능성이 높다. 위원회의 구성은 기존 입법부, 행정부, 사법부의 공감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기관의 의견을 반영하여 선정하고 다양한 계층의 의견이 반영될 수 있도록 참여 범위를 확대하는 것이 좋다. 공론화 의제는 주제와 범위의 포괄성에 의한 우려의 목소리가 크므로 우선적으로는 환경 및 사회기반시설 등으로 한정하여 실시하고 중장기적으로 논의범위를 넓혀 가는 것이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 의제 검토 기준으로 의무검토 대상은 심도 있는 검토를 통해 정한 일정 금액 이상으로 하고, 선택검토 대상은 중요성, 시급성, 국민요구도 등 주관적 기준으로 할 수 있다. 다만 선택검토 대상은 국회와 행정부의 등의 논의절차 등을 거쳐 선정하는 것이 합리적일 것으로 보인다. Kingdon의 이론에서 볼 수 있듯이 새로운 입법안의 경우 정책의 창이 언제 열릴지, 문제의 흐름과 정치의 흐름이 어떻게 변화할지 합리적으로 예측하기는 매우 어렵다. 하지만 한 가지 확실한 것은 정책의 흐름을 미리 준비해 두지 않으면 기회가 와도 잡을 수 없다는 것이다. 정책흐름은 정책의 창이 열리기 위한 필수필요조건이다. 따라서 언제 또 다시 기회가 오기 전에 가능한 빨리, 실현 가능한 정책을 준비해 두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연구는 Kingdon의 다중흐름모형에 의한 비합리적 이론에 근거했음에도 불구하고 합리적 대안을 찾기 위해 노력했다는 비판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Kingdon의 이론 또한 비합리성 속에서 일정한 규칙을 찾으면서 일정부분 합리성을 도모한 이론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합리적 상황 속에서 이상적 대안과 함께 실현가능성이라는 요소를 고려하여 비합리성과 합리성의 중간에서 입법 가능성을 높이고자 노력하였다. 또한 다중흐름 모형을 적용할 때 노무현정부 시기와 문재인정부 시기만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는데 그 이외의 시기도 함께 분석하여 보완한다면 논거가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각각 법안 세부 내용별 대안의 방향성은 제시하였지만 실제 조문까지 제시하지 못한 점은 한계로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sively analyze the reasons behind the government’s failure to legislate public conflict management system and to diagnose what the biggest problems were and to present alternatives to move forward. In this study, the process of partially opening the policy window was described in detail with Kingdon(2011)'s three streams. Furthermore, the cause of the drift of the policy was comparatively evaluated which of the three factors (the stream of the problem, the stream of the policy and the stream of politics) had the greatest effect. In this thesis, I focused on the period of the Roh Moo-hyun government, in which was the first time to attempt to legislate conflict management and the current conflict management rules were enacted. Also, I focused on the period of the Moon Jae-in government, when discussions for conflict management legislation and the use of practical public deliberation methods were most active. This is because the window of policy was partially opened at this time. Through this, I analysed “What was the main cause of legislation drifting?” In addition, I tried to find a solution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related legislation cases and related legislations of the 20th National Assembly about “What is an alternative to solve this problem?” Research using the multiple streams theory, indicates that many important conflict events occurred during each period. And there was a political capacity to finally pass the bill. Nevertheless, it seemed that the stream of the problem and the stream of politics were not the main causes because the bill was not passed. On the other hand, the research shows that when discussing legislation at the National Assembly Standing Committee at each time, the stream of policy could be the biggest problem because they did not form consensus and discuss properly on the legislation due to the lack of content.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olicy stream, to begin with,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problems raised by the National Assembly and to dispel concerns and form a consensus among the National Assembly members and the public about the necessity of the conflict management-related law. it is also needed to clarify the definition of public conflict and to limit the scope and object of application. Furthermore, applicant institutions also need to be evaluated on a regular basis in terms of the degree of conflict occurrence and apply them separately as mandatory and optional. As for the public deliberation law, efforts should be made to secure the fairness and independence of the committee, which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However, considering the actual manpower, budget, and organization, it is highly feasible to establish a non-executive committee in the Prime Minister's Office, and then develop it to a permanent independent organization in the medium to long-term. The members of the committee should be selected based on the opinions of each institution so that the consensus of the existing legislative, executive, and judicial branches can be achieved, and it is recommended to expand the scope of participation so that opinions of various classes can be reflected. As the public deliberation agenda has a high voice of concern due to the inclusiveness of the subject and scope, it is possible to preferentially limit it to the environment and infrastructure, and to expand the scope of discussion in the medium and long term. The subject of mandatory review can be set to a certain amount or more determined by in-depth review, and subject to selective review can be based on subjective criteria such as importance, urgency, and national demand. However, it seems reasonable to select the subjects for selection review through the procedures of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 administration. As Kingdon's theory suggests, it is very difficult to reasonably predict when the policy window will open to new bills and how the flow of problems and the flow of politics will change. One thing is certain, however, that if you do not prepare for the policy flow in advance, you will not be able to catch the opportunity. Policy flow is the prerequisite for the opening of a policy window.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feasible policy as soon as possible before the opportunity comes again. On the other hand, there may be criticism that this study tried to find a reasonable alternative based on the irrational theory of Kingdon's multiple stream model. However, Kingdon’s theory can also be regarded as a theory that pursues a certain rationality while finding certain rules in irrationality.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increase the possibility of legislation in the middle of irrationality and rationality, considering factors of feasibility along with ideal alternatives in an irrational situation. In addition, when applying the multiple stream model, the analysis focused on only the Roh Moo-hyun and Moon Jae-in administration. If other periods are included to be analyzed, the argument will become more clearer. Lastly, while this study presents the guidelines on alternatives of each bill, it does not provide specific law clauses, which could be considered on of its limitation.

      • 스포츠강사의 수업지도유형이 신체활동 선호도 및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형관 명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스포츠강사의 수업지도유형이 신체활동 선호도 및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효율적인 수업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원시에 소재한 M중학교에서 24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중 분석이 불가능하거나 불성실하다고 판단되는 41부를 제외한 총 199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회수된 조사 자료는 목적에 따라 다중회귀분석, 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스포츠강사의 수업지도유형에 따라 신체활동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건강활동 선호도, 도전활동 선호도, 경쟁활동 선호도, 표현활동 선호도, 여가활동 선호도에는 수업지도유형 중 공통적으로 교수ㆍ지시형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경쟁활동 선호도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수업지도유형은 민주적 행동형이었으며, 교수ㆍ지시형이 두 번째의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데, 이는 상반되는 개념을 나타내는 ‘민주형’과 ‘지시형’이 동시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에서 특이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둘째, 스포츠강사의 수업지도유형에 따라 수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교수행동 만족도, 수업환경 만족도, 체육성적 만족도, 운동능력 만족도에는 수업지도유형 중 공통적으로 사회적지지 행동형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은 강압적인 지도유형보다는 민주적으로 자신의 생각과 의견을 존중해 주는 교수방법을 선호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influences of guidance type of sports instructors on physical activity preference and class satisfaction and to suggest basic sources for efficient class.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240 students in M middle school in Suwon and total 199 copies of questionnaires, except for 4l copies which were unavailable for analysis or insincere with answer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multiple-regression analysis,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according to purpose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guidance type of sports instructors, there are influences on physical activity preference. Specifically, for preferences of healthy activity, challenging activity, competitive activity, expressional activity and leisure activity, teaching-directing style of teaching styles has common influences on them. Especially, for competitive activity preference, the most influential guidance type is democratic action style and then teaching-directing style follows. Because both the guidance type are apposite, it is unique that 'democratic' and 'directing' styles have influences at same time. Second, guidance type of sport instructors have influences on class satisfaction, Specifically, for satisfactions for teaching action, class environment, physical education grading point, physical activity, social support action style of guidance type has common influences on them. Students prefer democratic guidance type with respecting their own thoughts and opinions.

      • 정규화 방법을 이용한 다층모형에서의 변수 선택

        김형관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교육 분야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양적연구방법 중 하나인 다층모형의 변수 선택에 관한 연구이다. 최근의 연구에서는 연구자가 직접 자료를 수집하는 것이 아닌 연구 기관 등에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해당 수집된 자료는 변수의 개수가 많은 대용량 자료로서 연구 모형에 포함될 변수를 선택하는 과정이 더욱 중요해졌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기존 변수 선택 방법인 전진선택법, 후진소거법, 단계선택법등의 전통적인 회귀모형에서의 변수 선택 접근법은 한계를 갖는다. 변수의 개수가 많아지면 전통적인 변수 선택 방법을 사용하기에는 현실적인 문제와 더불어 추정치 또한 불안정해진다는 문제가 생긴다. 따라서 기존 변수 선택 방법에 대한 대안적 접근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계학습 기법중 하나인 정규화 방법을 사용하는 벌점회귀모형이 위계를 고려할 수 있는 다층모형에 적용된 glmmLasso 알고리즘을 변수 선택의 대안적 접근법으로 채택하여 모의실험을 통해 해당 방법의 성능을 확인하고 실제 자료에 적용하였다. 모의실험 1에서는 glmmLasso를 처음 소개한 학술논문의 모의실험을 재연하였고, 모의실험 2에서는 재연의 결과를 발전시켜 교육 분야의 대용량 자료에서도 glmmLasso가 적절한 위계를 고려한 변수 선택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모의실험 3에서는 기존 벌점회귀모형을 glmmLasso와 비교하여 위계를 고려하지 않은 모형과 고려한 모형의 변수 선택 결과를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서 위계가 있는 자료에 대하여 변수 선택을 진행함에 있어서 기존의 벌점회귀모형보다 glmmLasso가 무선효과가 비교적 큰 경우에 더 좋은 성능을 갖는 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변수 탐색이라는 관점에서 위계를 고려해야 하거나 고려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기존 벌점회귀모형 대신에 glmmLasso를 활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glmmLasso의 적용을 위해 사용한 자료는 한국교육고용패널 Ⅱ 1차(2016)년도 자료이며, 반응변수는 ‘사교육 경험 여부’이다. 모형을 여러 번 적합한 뒤 모형에 변수가 포함된 횟수인 관련성 계수와 함께 고려한 결과,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의 사교육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13개가 선택되었다. 모의실험과 실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다층모형에서 glmmLasso는 대안적 변수 선택 방법으로 적절하며, 교육학 자료에서도 사용가능한 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glmmLasso가 갖는 제한점과 관련하여 제언하였다. This study is regarding variable selection in multilevel models which are widely use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in education field. The data collected by research institution is commonly used in recent research. That data has a lot of variables so that procedures to select variables would be included in research model became more important. In this context conventional variable selection technique in regression model has its limitations The more variables in data, the harder to use this conventional approaches, because they have a realistic problem and yield unstable estimates. Therefore an alternative approach to the conventional methods is needed. Accordingly I adopt the glmmLasso algorithm applied penalized regression that is one of the machine learning technique to select variables. This algorithm can concern the hierarchical structure. In the following there are verifying the glmmLasso’s performance by simulation studies and applying that to real data. In simulation study 1, there is replicating simulation study in the paper that first introduced the glmmLasso. In simulation study 2, the results of replicate are developed to simulate whether glmmLasso is a suitable variable selection methods in multilevel models for large-scale data in the field of education. And it is checked that glmmLasso is suitable for variable selection in multilevel models. In simulation study 3, the results of variable selection via traditional penalized regression and the glmmLasso which is regarding hierarchy are compared. Through this in variable selection for hierarchical data, it was checked that glmmLasso have better performance than the conventional penalized regression when the random effect is relatively higher. This suggests that glmmLasso can be used in place of the traditional penalized regression model when hierarchy structure need to or have to be considered in terms of variable selection. The real data used for the application of glmmLasso is the 1st (2016) year of the 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 and the response variable is 'the experience of private education'. After fitting the model several times and considering the relevance count which is the number of times the selected variables are contained the model, 13 variables were selected to influence the private education experience of second-year high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simulation and real data analysis results, glmmLasso was suitable as an alternative variable selection method of the multilevel models and could be used as an education field data. Finally, suggestions are made regarding the limitations of glmmLass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