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공공기관의 기록관리 비상계획 수립을 위한 절차모형 연구

        김현애 명지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사회의 발전과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비상사태나 재난의 종류는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다. 예전에는 자연재해로 인한 재난이 주로 일어났지만 현재 우리나라를 비롯한 세계에는 인간이 인위적으로 발생시키는 비상사태나 재난이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자연재해가 무분별한 자연의 훼손에 의해서 발생하고 그 피해가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확대되고 있다. 비상사태나 재난의 피해가 반복되면서 예상되는 위험의 확인이나 위험요소의 제거 등이 부각되면서 비상계획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다. 정보화 사회로 접어들고 전자정부가 표방되면서 정보에 대한 중요성이 인식되고 기록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기록물의 보존에도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러한 기록물들은 무분별한 폐기나 잘못된 보존방법 등에 의해서 훼손되기도 하지만 비상사태나 재난에 의해서 한꺼번에 많은 양이 훼손되거나 폐기되는 상황에 처할 수 있다. 그래서 비상사태나 재난 시에 기록물을 보존하기위한 비상계획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비상계획 전(全)단계에 관한 절차와 각 단계별 과정에 대한 일반적인 프로세스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를 위해서 첫째, 우리나라 공공기관의 비상계획 현황과 외국의 비상계획 운영방안을 토대로 비상계획 전(全)단계의 프로세스를 제시하였다. 둘째, 객관적인 필수기록물 선별을 위하여 ‘필수기록물 선별을 위한 체크 리스트’를 제시하였다. 비상사태 및 재난 시에 기관의 정상적인 운영을 위한 기록물을 Essential Records로 정하고 필수 기록물로 해석하고 국내․외 비상계획 현황을 통한 비상계획 프로세스 제시와 필수기록물에 대한 정의를 하였다. 그리고 필수기록물 선별을 위한 체크리스트를 통해서 비상사태 및 재난 시에 빠르고 적절한 대응 및 복구가 이루어지도록 하였으며, 필수기록물을 통한 재난 후 기관의 정상적인 업무의 복구로 인하여 직원의 업무에 필요한 요구를 충족시키고 기관의 이용자나 국민들이 정보 및 서비스를 빠르고 정확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돕는다. 셋째, 필수기록물의 경우 현용기록물과 전자기록물까지 포함하였다. 프로세스의 각 단계에서 전자기록물의 체크리스트에 관한 이용과 관리․활용에 관해서도 언급하였다.

      • 박물관 유물 대여 프로그램 활성화 방안 : 효과적인 초등 역사 수업을 위하여

        김현애 한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1997년 11월에 교육철학회에서는 ‘박물관과 교육’이라는 주제로 학술 대회를 열었는데, 이를 계기로 박물관 교육에 대한 관심이 꾸준히 증가하여 오늘에 이르게 되었다. 최근에 대내외적으로도 역사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이러한 관심과 요구를 교육과정에 반영하여 역사 교육을 강화하였다. 그러나 아직도 박물관이나 학교 현장에서는 이러한 요구를 실천할 만한 인프라 구축이 되어 있지 못하다는 생각에 이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박물관 교육 프로그램 중에서 유물 대여 프로그램이 역사 수업에서 널리 활용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시작하게 되었다. 이를 위해 Ⅰ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제시하고, 연구와 관련된 선행 연구를 살펴보았다. Ⅱ장에서는 박물관 교육의 역사와 유물 대여 프로그램을 활용하고 있는 외국의 사례를 알아보고, 우리나라에서 진행되고 있는 ‘찾아가는 박물관’과의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숙명여대 박물관에서 진행했던 ‘아웃리치 프로그램(Outreach Program)’을 6학년 1학기 사회과 수업에 적용한 수업안을 제시하였으며, 수업 전·후 실시한 설문지 분석을 통해 유물 대여 프로그램의 효용성을 알아보았다. 더불어 동료 교사에게 수업을 공개하여 프로그램에 대한 교사들의 반응도 알아보았다. 그 결과, 사진이나 영상물을 통한 수업이나 박물관에 직접 찾아가는 것도 의미가 있지만, 교육용 유물을 직접 보고 만져보는 수업이 역사를 이해하는 데 훨씬 도움이 될 것이라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Ⅳ장에서는 직접 제작한 유물 상자를 이용해 수업을 해서 학교 현장에서 실제로 적용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하였다. 외국 박물관의 경우처럼 박물관에서 교육용 유물 상자를 박스화하여 유물 상자를 대여해 준다면 높은 교육적 효과를 얻을 것으로 보이며, 구체적인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교육과정과 연계한 교육용 유물을 선정하여 유물 대여 상자를 교구화한다. 둘째, 국가 차원에서 교육용 유물 대여 서비스를 위한 예산을 지원한다. 셋째, 교사들이 편리하게 대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방법을 강구한다. 넷째, 유물 대여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박물관과 학교가 연계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가 현재 진행되고 있는 ‘찾아가는 박물관’ 프로그램의 부족한 점을 보완하고, 박물관의 교육적 기능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유물 대여 프로그램이 활성화되어 초등 역사 수업에 큰 주춧돌이 되기를 바란다. The enhancement of museum education was sparked by the November 1997 ‘Museums and Education’ symposium, which was held by the Educational Philosophy Research Society. Recently, The education authorities has built up measures to educate history in 2007 National revised curriculum, reflecting interests and requests of inside and outside concern of history education. However, there's no infrastructure in the field of museum and education to support this requests into the education. From such concern and issue this study is started and researched. This study is started from the concern and issue that a museum loan program could be more vitalized in history teaching. Chapter Ⅰ identifies the purpose and approach of this study. It also examines antecedent research papers. Chapter Ⅱ inspects the history of museum education and the difference between ‘찾아가는 박물관’ the history program used in Korean museum and a museum loan program used in foreign countries. Chapter Ⅲ includes teaching plans that were implemented as part of the Outreach Program at Sookmyong Women’s University to 6th graders in spring semester. In addition, before and after questionnaires that were completed by the participants were analyzed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Responses and suggestions from fellow teachers are also included. Lessons where students have direct contact with educational collections that correlate to the topic are more powerful and meaningful than just viewing pictures or visiting a museum. In Chapter Ⅳ, I have made educational collections by myself and developed lessons that can be conducted in an actual classroom setting. If we can borrow educational collections from Museum like in case of foreign country, the outcome of history teaching would be much better. Here are plans in detail. 1) Educational artifacts linked to school curriculum should be chosen to be teaching tools. 2) A national budget should be executed to loan service 3) A museum loan program should provide convenient service and easy access to teachers. 4) Local schools and museums should conduct teacher training to explain the museum loan program Through the use of a museum loan program, I hope that it will help enhance Korea’s ‘찾아가는 박물관’ curriculum and help provide a solid foundation in history for all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목격자를 찾습니다 외 1편

        김현애 국민대학교 문예창작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 목격자를 찾습니다 평소 개구쟁이였던 규동이는 초원이가 전학오면서 숙제도 잘해오고 준비물도 잘 챙겨오는 등 변해가고 있는 중이었다. 그러던 어느 날, 만들기 숙제를 잃어버리게 된다. 그 벌로 청소를 하던 중 <목격자를 찾습니다>라는 벽보를 붙일 좋은 방법을 생각해 낸다. 그 과정에서 친구를 오해하고 갈등하지만 결국 숙제를 잃어버린 게 아니라 깜빡하고 학교에 가져가지 않은 자신을 발견하게 된다. * 엄마의 눈물 공부라면 지겨워하는 현지는 미술학원에 보내달라고 엄마를 계속해서 졸라보지만 엄마는 끄떡도 안 한다. 오히려 모든지 잘하는 동생과 비교하며 더더욱 공부에 전념할 것을 현지에게 요구한다. 그로 인해 현지는 스트레스를 받고 고민에 빠진다. 어느 날, 화장대 위에 있는 수면제를 발견하고는 갑자기 엄마를 혼내 주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잠시 몇 시간 동안만 자고 일어나면 엄마가 놀라 자신의 뜻대로 미술학원에 보내 줄 수 있다는 생각으로 수면제를 먹는다. 잠시 뒤 병원에서 눈을 뜬 현지는 몹시 괴로워하는 엄마를 보며 죄책감을 느끼게 된다.

      • 영어 전치사 TO의 효과적인 학습을 위한 의미 분석

        김현애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A preposition which is used differently in different sentences seems to be like a homonym. To non-native speakers, memorizing all the meanings and usages each preposition has is not only difficult but also ineffective. The reason for using the same preposition in different sentences is that there is commonality in that preposition. Knowing the common attributes enables us to understand the preposition bett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emantic extensions of English prepositions based on the cognitive grammar and to present some efficient ways of learning polysemous prepositions. 'Phis study focuses on the English preposition TO that is most frequently used in 6 kinds of High School English Book 1. The theoretical background in the study of preposition TO is that each preposition has one prototype of meaning; although it seems that there is no relationship among them, all the various meanings of prepositions are derived from the one prototype. This prototype meaning is consistently extended to a wider range of related meanings, from spacial meanings to temporal and abstract meanings. The basic meaning of TO in X to Y is that something(X) is toward a goal(Y). It is shown that all the meanings commonly listed in dictionaries can be related to this basic meaning of TO. More importantly, in generative-transformational grammar, preposition TO and infinitive TO have been regarded as having different grammatical categories. However, in cognitive grammar, infinitive TO is regarded as being extended from the prototype meaning of preposition TO. In learning English as foreign language we have been asked to memorize idioms mechanically. However, this study shows that the various meanings of prepositions come from the prototype meaning and that the understanding relationships between the prototype meaning and the extended meaning of the preposition was more effective and efficient to learn, compared to the traditional memorizing method. Another noteworthy point is that all the extended meanings of one preposition can be explained with imagery. It will give you more powerful impression visually to learners and help them understand the relationship among all the various meanings of the preposition.

      • 영어어휘의 미묘한 어감들 : 영어어휘의 완벽한 이해를 돕는 가이드북

        김현애 제주대학교 통역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thesis is a translation of the book 'The Artful Nuance' by Rod L. Evans, Ph.D.. This book provides guidance to the readers on how to understand imperfectly understood words in the English language. To achieve that, this book brings out the meaning of an entry distinctly by distinguishing two or more things generally confused which are just the sorts of things distinguished by books on English usage. Also the confused words are listed alphabetically under the first word and examples sentences help the learners to understand it. The features in this book is not only unique but practical and useful for language learners. The through definitions and the vocabulary befitting language learners make it more comprehensive and comprehensible book. The author Rod L. Evans. Ph.D teaches philosophy at old Dominion University in Norfolk, Virginia. He is the Gilded Tongue, The Right Words, Getting Your Words' Worth, and Every Good Boy Deserves Fudge: The Book of Mnemonic Devices.

      • 도서관의 청소년 독서치료에 나타난 치료요인 탐색과 측정도구 개발

        김현애 경기대학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도서관의 청소년 독서치료 프로그램에 나타나는 치료요인을 찾아내고 그 속성과 구조를 탐색하여 체험형 독서치료의 이론적 기초를 마련함과 함께 독서치료의 치료요인을 측정할 수 있는 정량화된 검사 도구를 개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다항목 척도 개발에 자주 활용되는 순차적 탐구전략 3단계 방법을 채택함으로써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를 모두 사용한 혼합 연구방법을 채택하였다. 연구에 소요된 기간은 2010년 2월부터 2010년 10월까지 총 8개월이다. 연구 대상자는 체험형 독서치료 프로그램에 2개월 이상 참여경험이 있는 서울 소재 남자고등학교 학생 496명이다. 1단계 질적 연구에서는 포커스 그룹 인터뷰에 자발적으로 참여할 의향이 있는 학생 7명을 선정하여 2010년 4월 17일에 중요사건 질문지를 활용한 면담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독서치료 프로그램에서 작성한 회기별 반응일지와 중요사건 글쓰기 자료를 수집하여 자료수집의 삼각화를 꾀하였다. 수집된 면담자료와 글쓰기 자료는 근거이론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2단계 양적 연구에서는 질적 연구에서 도출된 내용을 근거로 예비문항을 개발하여 구조화된 질문지를 작성하였다. 개발된 질문지를 예비검사도구로 활용하여 248명을 대상으로 2010년 4월 20일부터 21일까지 1차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결과는, 치료요인의 구조를 밝히고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분석하기 위해 SPSSWIN 14.0 프로그램과 AMOS 7.0을 이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시행하였다. 또한 1차 검사 대상자를 대상으로 2010년 7월 13일부터 14일까지 2차 검사를 실시한 후 확인적 요인분석을 시행하여 내적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교차타당도의 검증은 1,2차 검사 대상자와는 다른 248명을 학생들을 대상으로 2010년 8월 31일부터 9월 6일까지 3차 검사를 시행하여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검사도구의 외적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3단계에서는 개발된 도구를 적용하여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치료요인 인식변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1,2차 검사 결과를 활용하여 사전, 사후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는 양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단계의 질적 연구자료 분석 결과 53개의 개념과 10개의 하위범주, 3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독서치료 프로그램에서 청소년들이 경험하는 치료요인은 크게 ‘자기 이해와 통찰’, ‘긍정적 관계 경험’, ‘독서치료 자료의 효과’ 등의 3개 범주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2단계의 도구개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1단계 자료를 바탕으로 독서치료 치료요인 측정을 위해 총 52개의 예비문항을 개발하였다. 2) 52문항에 대한 기술 통계치의 신뢰도는 적합하게 나타났으나, 요인 분석을 시행하여 요인부하량이 .50보다 작은 문항을 삭제한 결과 최종적으로 40문항이 남게 되었다. 3) 최종 독서치료 치료요인 검사 도구는 3개 요인, 40개 문항으로 나타났다. 4)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적합도 지수값들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나 신뢰도와 내적 타당성이 검증되었다. 5) 독서치료 치료요인 측정도구가 다른 표집에도 얼마나 효과적으로 적용되는지 검사하기 위해 교차타당도 검사를 시행한 결과 각 요인들이 동일한 구조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고, 요인 부하량도 유사하게 나타남으로써 측정도구의 보편적 효용성이 검증되었다. 3단계에서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치료요인의 인식 정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실시한 조사에서는 ‘자기이해와 통찰’, ‘긍정적 관계 경험’, ‘ 독서치료 자료의 효과’에 대한 인식이 1차 조사 때보다 의미 있게 높아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체험형 독서치료의 이론형성을 위하여 청소년 독서치료 프로그램의 치료요인 탐색과 측정도구 개발을 시도하고 과학적인 방법으로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reatment factors of the youth bibliotherapy program in the library and the attributes and structure of the treatment factors in an effort to lay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experience-oriented bibliotherapy. And it's also meant to exploit a quantified measuring device geared toward testing the treatment factors of the bibliotherapy. A three-phase sequential exploratory strategy that is widely used in the development of multi-item scale is adopted. It is a kind of mixed methods which combines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s. This study was implemented during eight-month period of time from February to October, 2010.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96 students in a boys' high school in Seoul, who have ever participated in experience-oriented bibliotherapy programs for two months or more. In the first phase of qualitative methods, seven students who intended to take part in focus group interview were selected, and they were interviewed on April 17, 2010, by using critical incident questionnaires. And their journal on each session of the bibliotherapy program and writings about critical incidents were gathered to ensure the triangulation strategy of data collection. The collected interview and writing data were analyzed by employing a grounded theory. In the second phase of quantitative methods, preliminary item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outcome of the qualitative methods to prepare a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then a primary survey was conducted on 248 students by using the questionnaire as a preliminary measuring device on April 20 and 21, 2010. SPSSWIN 14.0 and AMOS 7.0 programs were utilized to make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to analyze the structure of the treatment factors and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ing device. And then the secondary survey was conducted on the same students on July 13 and 14, 2010, and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made to verify the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of the measuring device. As for the cross-validity test of the measuring device, a third survey was implemented on another group of 248 students who didn't participate in the primary and secondary surveys from August 31 to September 6, 2010, to prove the external validity of the inventory. In the third phase, a quantitative methods was carried out by mak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rimary and secondary survey data to grasp the impact of the bibliotherapy program on the awareness of the teens on the treatment factors by employing the measuring device.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When the qualitative data of the first phase were analyzed, there appeared 53 concepts, 10 subcategories and three categories. The treatment factors that the adolescents experienced in the bibliotherapy program were largely categorized into three: self-understanding/insight, experience of positive relationship and the effect of bibliotherapy materials. In the second phase, 52 preliminary items were developed to analyze the treatment factors of the bibliotherapy. The statistical reliability of the replies to 52 items turned out to be good and after the factor analysis was made, the items whose factor loading was below .50 were ruled out. As a result, 40 items were selected, and the finalized measuring device for the treatment factors of bibliotherapy consisted of three factors and 40 items. When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arried out, the fit measures of the measuring devices were appropriate, which proved the reliability and internal validity of it.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e measuring device for the treatment factors of the bibliotherapy on other students, the cross-validity of the measuring device was checked, and every factor turned out to have the same structure, and their factor loading was similar as well. Thus, the general efficiency of the measuring device was proven. In the third phase, another survey was implemented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the bibliotherapy program on the awareness of the students on the treatment factors, and there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ir awareness of self-understanding/insight, experience of positive relationship and the effect of the bibliotherapy material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ttempted to lay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experience-oriented bibliotherapy by exploring the treatment factors of the youth bibliotherapy program, developing a measuring device and making a scientific verification of the device.

      • 자기통제훈련을 병행한 독서치료의 효과 :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김현애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자기통제훈련을 병행한 독서치료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자기통제력 증진과 문제행동 감소에 어떤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ADHD로 판정 받은 초등학교 저학년 남자아동 1명이다. 대상자의 진단은 DSM-Ⅳ, 주의집중 결함 과잉행동 평정지, 자기통제 검사 등을 통해 이루어졌다. 한편 독서치료 프로그램 실시 이후에 SCRS 점수와 회기별 아동의 표적행동 발생빈도가 어떻게 달라졌는가를 관찰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표와 그래프로 제시하였다. 이밖에도 아동의 세부적인 행동 변화를 회기별로 기록한 일화 기록도 함께 분석하여 아동의 태도와 심리적 변화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자기통제검사를 시행한 결과, 처치 이후의 자기통제검사 점수가 처지 이전의 점수보다 의미 있게 감소되어 자기통제훈련을 병행한 독서치료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자기통제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필요 이상으로 말하기, 이유 없이 몸 흔들기, 서두르기 등의 문제행동은 기초선 기간에 비해 처치기간에 의미 있게 감소되었고, 사후검사기간에도 기초선 기간보다 감소된 것으로 나타나, 자기통제훈련을 병행한 독서치료의 가능성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향후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에 대한 복합적인 치료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며, 한 걸음 더 나아가 장애아동의 발달수준 및 장애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임상 독서치료프로그램 개발 연구가 시도되어야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bibliotherapy along with self-sontrol training for the child with ADHD(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one boy in lower grade of the elementary school, who was diagnosed as ADHD. The effects of bibliotherapy were measured through checking the changes after treatments in SCRS marks and problem action frequency, and they were represented clearly by tables and graphs. Furthermore analysing the episode record about child's attitude during each session, I described the change in his behavior and psycholog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proved that the bibliotherapy is effective on self-control of the child with ADHD. Second, after the baseline which lasted three session, the problem actions such as talkativeness, body shaking and making haste had been decreased continuously throughout intervention. It is required to develop an adequate compound bibliotherapy program which is suitable for the degree of disability and level of growth for the children with ADH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