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비(非)영어교육 전공자의 예비영어교사 되기 : 내러티브 탐구

        김현미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79

        본 연구는 비(非)영어교육 전공자가 교육대학원에서 예비영어교사가 되어가는 과정을 세 명의 예비교사들의 경험을 통해 탐구하였다. 자료수집은 같은 시기에 교육대학원에 입학한 세 명의 연구참여자들이 각자 작성해 온 저널 및 개인자료들을 공유하고 정기적으로 만나 저널에 대한 응답을 주고받는 대화를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예비영어교사가 되어가는 과정은 다음과 같이 5가지로 나타났다. 영어교육 전공을 공부하는 학생으로 돌아감과 동시에 학생과 교사의 중간적 위치를 경험하는 과정, 교사로서의 갖추어야 할 전문적 지식을 습득하고 그것을 현장에 실천해보는 과정, 교사가 지녀야 할 자질을 스스로 가지고 있는지 확인하고 필요한 자질을 계발해가는 과정, 영어교사로서의 전문성을 기르는 과정, 연구자로서의 교사의 역할을 인지하고 교육연구자가 되어가는 과정이다. 결론적으로 예비교사가 된다는 것은 교사로서의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교사가 지녀야할 자질과 전문성을 기르는 과정이다. 내러티브로 구성한 세 명의 예비교사들의 성장 과정이 교육대학원에 진학을 두고 고민하는 이들에게 실제 교육대학원 학생들이 대학원 과정을 통해 무엇을 배우고 어떤 경험을 하는지 예비교사들의 삶을 이해하는 것을 도와주어 그들이 예비교사가 되기를 결정하는데에 있어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교육대학원의 교육담당자들에게 수업 및 교육환경에 대한 재학생들의 직접적인 목소리를 전달함으로써 교육대학원 재학생들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이를 교육과정에 반영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김현미의 졸업 작품 「The Light Of Garden」 해설

        김현미 동덕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63

        본 논문은 석사과정 이수를 위한 졸업 공연에서 발표한 4곡을 대학원 과정에서 학습한 것을 바탕으로 하여 각 작품에 대한 작품배경, 형식구조, 선율전개, 화성진행 등을 분석하여 정리하였다. 졸업 공연의 주제는 < The Light Of Garden(빛의 정원) > 이다 빛의 온도, 명암, 색깔의 변화 등을 상징하는 공간을 주제로 하여 현실과 몽환의 경계에 존재하는 빛의 세계와 이를 통한 영감을 음악으로 표현했다. 졸업 공연의 연주자는 총 6명으로 Piano, Accordion, Yanggum, Acoustic guitar, Hurdy-gurdy, percussions, Flute, Analog synth (Bass), Xylophone, Vocal 의 악기들을 연주하였다. 본문을 통해 졸업 작품 “The Light Of Garden(빛의 정원)”의 음악적 특징들에 대한 연구와 이것을 바탕으로 앞으로의 활동에 도움이 되고자 함이 논문의 목적이다.

      • 제작성능을 고려한 분할코어 영구자석 표면부착형 동기전동기의 코깅토크 저감 설계

        김현미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분할코어형 SPMSM(Surface-Mounted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achine)은 부품 제작 과정과 분할코어 조립 및 자석 부착 과정에서 제작 공차가 발생하며 이러한 제작공차는 코깅토크의 주기성 및 크기에 영향을 미친다. 코깅토크는 소음, 진동의 원인이 되므로, 제작공차에 의한 코깅토크의 변화는 전동기의 성능을 저하시키게 된다. 분할코어는 각 분할코어 제작 시 제작공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일체형 코어와 달리 코어를 조립하는 과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분할코어의 접합부에서 제작공차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SPMSM은 자석이 회전자 외부에 부착되어 있는 형태를 가지는데, 자석 형상에 따른 제작공차와 자석부착 위치에 대한 제작공차가 불가피하다. 따라서 제작공차의 영향에 대해 분석하고, 이를 고려하여 설계를 진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고정자와 회전자에서 각각 발생할 수 있는 제작공차에 대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첫 번째로, 고정자에 분할코어가 적용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제작공차와 고정자의 공극면 형상에 따른 제작공차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일체형 코어와 분할 코어로 이루어진 시작품을 각각 제작하여 코깅토크 실험과 동심도 및 진원도 분석을 통해 분할코어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두 번째로, SPMSM 회전자에 자석을 부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위치공차와 자석 형상에 따른 제작공차의 발생 가능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각각 다른 필렛이 적용된 자석을 부착한 두 개의 시작품을 제작하고 코깅토크 실험을 진행하여 자석 필렛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코깅토크에 대한 제작공차의 영향을 고려하여 차량용 EPS 모터 설계를 진행하고, 전자계 유한요소 해석과 시작품의 실험을 통해 검증을 수행하였다.

      • 기혼여성의 부부갈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포커싱적태도의 조절효과

        김현미 덕성여자대학교 문화·산업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기혼여성의 부부갈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포커싱적태도의 조절효과 임상 및 상담심리학과 김현미 본 연구는 기혼여성의 주요 스트레스 원인인 부부 갈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포커싱적태도가 조절효과를 갖는지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의 대상은 광주광역시 지역에 거주하며 현재 남편과 결혼생활을 영위하고 있는 기혼여성 319명이었다. 연구 분석은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변인들을 평균중심화하여 (Z점수)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고 상호작용 항이 우울에 유의한 효과를 갖는지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기혼여성의 부부갈등과 우울의 관계에서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포커싱적태도가 높은 집단의 부부갈등과 우울사이의 관계 기울기는 포커싱적태도가 낮은 집단의 부부갈등과 우울의 사이의 관계 기울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완만하였다. 이는 기혼 여성의 부부갈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포커싱적태도가 조절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의의는 부부갈등으로 우울을 경험하고 있는 기혼여성의 우울정도를 완화시키는 요인으로 포커싱적태도를 활용 할 수 있음을 제안하며 포커싱적태도를 증진 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였다는데 있다. 주요어 = 기혼여성의 부부갈등, 우울, 포커싱적태도 This research investigates whether Focusing manner has moderating effects on the influence which marital conflicts of a married woman have on depression. The subjects include a total of 319 married women, who are living with their husbands, residing in the Gwnagju metropolitan city area. For the research analysis, independent variables were transformed into mean centering(Z score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s used to verify moderating effects in order to see whether interactive terms were meaningful to depression.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marital conflicts of a married woman are positively related to depression. Second, the slope between marital conflicts and depression of the high Focusing manner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low Focusing manner group. This suggests that Focusing manner has moderating effects on the influence which marital conflicts of a married woman have on depressi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uggests that Focusing manner can be used to buffer the degree of depression of married women whose depression is caused by marital conflict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offers the theoretical basis for developing programs to increase Focusing manner.

      • Regular Curves in R³

        김현미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R^3의 정칙곡선을 R^3의 부분집합 C와 C에 몇가지 공리를 주어 정의하고, 이 정의로부터 기존의 정칙곡선의 정의를 충족함을 보인다.

      • 계약금에 관한 연구

        김현미 광주여자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계약금에 관한 연구 계약이란 사법상의 일정한 법률효과의 발생을 목적으로 하는 계약당사자들의 합의를 뜻하는 것으로, 매매계약은 매매계약 당사자 일방이 재산권을 상대방에게 이전할 것을 약정하고 다른 상대방이 금전을 지급할 것을 약정하는 것을 말한다. 부동산 매매계약서에서 매매계약은 주된 계약이고, 이에 반해 또 다른 계약인 계약금계약은 매매계약의 종된 계약으로서 계약금을 지급하기로 하는 약정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계약을 체결할 때 통상 매매대금의 10%를 계약금으로 매수인 매도인에게 교부하는 것이 거래의 관행이다. 그러나 계약 당사자는 계약금을 단순히 매매대금의 일부를 미리 지급하는 선급금의 의미로, 계약체결의 증거금으로 또는 해제권 유보에 대한 대가, 계약위반에 대한 대가 등 여러 가지 목적으로 교부하는데, 이 중 어느 것에 속하는 가는 계약 당사자의 의사해석 문제이다. 문제는 계약금을 교부한 후 계약 당사자 일방이 이행착수 이전에 매매계약을 해제하거나, 계약금계약을 체결한 후 계약금을 교부하기 이전에 매매계약을 해제하는 경우 매매계약의 효력에 어떠한 효력이 발생하는지 또 계약금 교부 후 계약이 해제되었을 경우 그에 따른 해제의 법적 효과가 문제가 된다. 그리고 우리민법에 계약금의 교부시기에 대해서는 특별한 규정이 없다. 계약을 체결할 때 또는 계약이 성립한 이후에 교부하기로 약정하여도 문제가 되지 않으며, 또한 매매계약 시 반드시 계약금을 지불하는 약정을 해야 하는 것도 아니다. 즉 계약금지급약정 없이 부동산매매계약을 체결하여도 그 매매계약의 성립에는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는다. 이는 계약이 당사자의 의사 합치로 이루어지는 낙성계약이므로 계약금의 지급이 계약의 성립요건이 아니기 때문이다. 통상적으로 계약금계약은 매매계약에 부수하여 행하여지는 종된 계약이다. 따라서 주된 계약이 무효가 되거나 취소된 때 또는 계약금으로 유보된 해제권의 행사 이외의 사유로 매매계약이 해제 되는 경우에는 계약금계약도 당연히 효력을 상실하게 된다. 그러나 계약금계약을 체결하였으나 계약금계약의 약정대로 어느 일방이 계약금 지급을 이행하지 않는다고 하여 주계약인 매매계약이 무효ㆍ취소되는 것은 아니고 단지 계약금 계약만이 성립하지 않을 뿐이라는 부분에 대해서도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민법 제565조에는 해석상 명확하지 않은 부분이 존재하여 이와 관련하여 문제가 많이 제기되고, 특히 당사자 사이에 다른 약정이 없는 한 계약금을 해약금으로 추정하는 바, 반대로 다른 약정이 있는 경우에는 해약금의 적용이 배제한다고 볼 수 있다. 즉 이러한 약정이 해약금의 적용을 배제할 수 없는 것으로 해석하는 경우에는 계약금을 해약금으로 추정하는 결과가 되어 계약을 지켜야한다는 원칙에 반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쟁점에 따른 입장을 정리함과 동시에 민법 제565조의 규정을 정확하게 해석을 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학설 및 대법원 판례와 외국의 입법례를 면밀하게 비교 분석하고 계약금에 관한 효과적인 타당성을 검토해 보고자 한다.

      • 한국전통머리 체험전시의 공공성에 관한연구 : 율곡문화제를 중심으로

        김현미 서울벤처대학원,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인의 경제력이 증대함에 따라 여가 휴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지역 축제의 참여율도 높아지고 있다. 지역 축제의 일환으로 한국전통머리 체험전시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관람객의 공적 관심에 관한 다양하고 질 높은 전시주제를 제공하여 관람객과 소통하고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열린 공간을 조성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율곡문화제에 참여한 한국전통머리 체험전시를 중심으로 율곡문화제 한국전통머리 체험전시 공공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를 통한 공공성의 구성요소를 추출하고 양적 연구를 위한 설문지와 질적 연구를 위한 인터뷰지를 작성하였다. 설문의 세부내용으로는 일반적 특성과 물리적 요소(개방성, 접근성, 연계성), 사회문화적 요소(심미성, 정체성, 교육성, 문화성, 역사성, 체류성, 참여성)를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작성된 설문은 율곡문화제 축제관계자, 한국전통머리 전문가(다수의 전시참여 경험자, 전공자), 일반 관람객을 중심으로 직접 설문과 전화 설문조사를 했으며 인터뷰는 축제관계자, 한국전통머리 전문가에게 직접 인터뷰를 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기준으로 설문을 통한 양적연구 및 축제관계자와 한국전통머리 전문가의 인터뷰를 중심으로 한 질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설문지 자료 분석 방법으로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데이터 코딩(data coding)과 데이터 크리닝(data cleaning) 과정을 거쳐,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 18.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율곡문화제 한국전통머리 체험전시에 대하여 대체로 들어본 경험이 있었으며, 체험의향에 따라 체험하거나 권유할 의향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설문의 결과 물리적 요소에서는 연계성, 개방성, 접근성 순으로 나타났으며 사회문화적 요소에서는 전반적으로 심미성이 가장 높고 교육성, 문화성, 역사성, 참여성, 정체성, 체류성 순으로 한국전통머리의 전시 작품을 전체적으로 아름답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전통머리 체험전시의 공공성을 전문적으로 평가해 줄 수 있는 축제관계자와 한국전통머리 전문가의 인터뷰 결과는 물리적 요소(개방성, 접근성, 연계성)에서는 모두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사회문화적 요소(심미성, 역사성, 문화성, 정체성, 참여성, 교육성, 체류성) 에서는 차이를 나타났다. 교육적 요소는 지금보다 더욱 적극적인 방법으로 나타냈으면 하는 의견과 체류성 요소는 관람 동선과 체험 동선의 정리를 통해 체류성을 높여야 한다는 의견도 있었다. 그 외 사회문화적 요소는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한국전통머리 체험전시의 공공성은 매우 높은 것으로 보이며 뷰티와 관련된 전시행사에서도 공공성은 확보되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뷰티관련 전시행사가 지자체의 일시적 행사가 아닌 예산을 지원한 지자체의 성과와 연계되므로 공공성 확보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는 뷰티관련 전시행사의 공공성을 측정하는데 하나의 지표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 미시적 교통류 시뮬레이션 파라미터 정산 방법 개발

        김현미 한국항공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미시적 교통류 시뮬레이션은 새로운 교통운영전략 및 기하구조 변화를 현 교통시스템에 실제 적용하기 이전에 대상지역에 대한 효과 및 성능을 분석하고 평가하는데 있어서 경제적?안전적인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시뮬레이션 결과의 신뢰도는 시뮬레이션이 구현하고자 하는 현장상황을 얼마나 현실적으로 표현하는가에 달려 있다. 따라서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새로운 전략의 효과를 분석?평가하기 위해서는 대상구간의 현장상황에 대한 시뮬레이션의 파라미터 정산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국내에서는 아직 이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미시적 교통류 시뮬레이션의 파라미터를 정산하는 과정을 제안하고, 정산모형에서 최적의 파라미터 값을 찾는 방법론으로 기존 연구에서 파라미터 정산에 주로 사용된 유전자 알고리즘(GA : Genetic Algorithm)과 시뮬레이티드 어닐링 알고리즘(SA : Simulated Annealing Algorithm)의 최적해 산정 성능을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미시적 교통류 시뮬레이션은 AIMSUN으로 효율적인 파라미터 정산을 수행하기 위해 개발된 파라미터 정산모형을 C++ language로 코딩하여 AIMSUN API를 개발하였다. 제안한 파라미터 정산모형을 검증하고 두 알고리즘의 최적해 산정 성능을 비교·분석하기 위해 개발된 AIMSUN API를 이용하여 중부고속도로와 제2중부고속도로를 대상으로 AIMSUN의 파라미터를 정산하였다. 더불어, 두 알고리즘의 최적해 산정과정에서 탐색된 해를 대상으로 단계선택방법을 이용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정산 대상 파라미터에 대하여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파라미터 정산 후 성능지표로 사용된 속도의 현장값과 시뮬레이션 결과값의 오차가 크게 줄어들어 본 연구에서 개발된 시뮬레이션 파라미터 정산모형이 타당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두 알고리즘의 최적해 산정성능을 비교해 본 결과, 유전자 알고리즘이 최적해를 탐색하여 수렴하는 속도는 빠르지만 시뮬레이티드 어닐링 알고리즘이 전역최적해에 좀 더 가까운 해를 탐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t is challenging to analyze and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system accurately before implementing new traffic management strategies and road geometry changes. Microscopic traffic simulation models have been used for evaluating road geometry changes, traffic signal plan updates or other strategies. The microscopic traffic simulation models are much faster, safer and cheaper than actual field implementations. However, without proper calibration and validation, the results could be misleading.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calibration method based on the application of a genetic algorithm and simulated annealing algorithm as optimization tools for determining a optimal set of AIMSUN parameter values. The paper also includes development of the optimization program using C++ language for the AIMSUN API to implement the proposed calibration process. For this purpose, field data collected on weekdays over a 40 km segment of the Jung-bu freeway and a 30km segment of the Je-eeh(2) jung-bu freeway were used. In addition, a stepwise multiple regressions analysis is implemented using tentative solution sets and their objective value for both algorithm to identify which parameters are more sensitive for the calibration.

      • 초·중학생의 설득적 글에 반영된 논증 구조 및 논증 도식 연구

        김현미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한 집단 내에서 구성원 간에 갈등이 발생하는 것은 그 문제를 바라보는 관점이나 해결책에 대한 생각 등이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이러한 갈등이 집단 전체에 대해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합리성에 기반을 둔 의사소통 양식이 필요하다. 그런 측면에서 최근 국어교육에서는 ‘논증’의 의사소통 양식에 주목하고 있다. 논증(argumentation)이란 ‘논쟁의 여지가 있는 어떤 주장과 관련하여 발신자(화자, 필자)가 수신자(청자, 독자)의 수용 가능성(acceptability)을 증대시킬 목적으로 수행하는 언어적이고 사회적인 추론 행위(van Eemeren et at, 1984:53)’로 합리적인 의사소통 방식과 비판적 사고력을 필요로 한다. 설득이 상대방으로 하여금 자신을 따르도록 하는 행위라고 한다면 ‘설득적 글’은 논증을 통해 그것을 가능하게 하는 문자 언어 행위의 결과물이다. 필자는 설득적 글 쓰기 과정을 통해 사회적 상호 작용을 구현하고 개인적으로는 비판적이고 논리적인 사고의 힘을 기를 수 있다. 따라서 설득적 글 쓰기 능력은 현대 사회의 구성원들이 갖추어야 할 기본 능력이며, 사회적 소통의 실천 주체로 성장할 학습자가 학습해야 할 중요한 교육 내용이 되고 있다. 설득적 글 쓰기의 필자 즉 논증자가 상대방에 대한 설득력을 높이기 위해 반드시 구현해야 할 핵심 설득 기제는 ‘논증 구조’와 ‘논증 도식’이다. 설득력이 높은 글을 쓰기 위해 논증자는 자신의 주장을 논증 구조에 담아 논증 도식을 활용하여 표현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설득적 글 쓰기에 필요한 논증 구조와 논증 도식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으로 이에 본고에서는 설득적 글이 갖추어야 할 논증 구조와 논증 도식을 유형화하고 초등학교 3학년부터 중학교 3학년까지의 학생들의 설득적 글을 분석하여 설득적 글의 설득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Ⅱ장에서는 우선, 설득적 글의 개념을 밝히고 설득적 글의 논증 구조를 모색하였다. 논증 구조에 관한 기존 논의를 참조하여 논증의 요소를 ‘주장’, ‘이유’, ‘근거’, ‘반론 인식 및 반박’으로 설정하였다. 이 가운데 핵심은 ‘주장’이며 여기에 ‘이유’, ‘근거’, ‘반론 인식과 반박’ 등의 요소가 결합되는 방식에 따라 ‘이유형’, ‘근거형’, ‘이유-근거형’, ‘이유-반박형’, ‘근거-반박형’, ‘이유-근거-반박형’으로 논증 구조 유형을 크게 여섯 가지로 구분하였다. Ⅲ장에서는 논증자가 상대방에 대한 설득력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다양한 논증 도식을 활용할 것으로 보고, 설득적 글의 논증 도식을 ‘인과’, 예시’, ‘비교’, ‘유사 연역’, ‘정의’, ‘유추’, ‘징후’, ‘반대’, ‘권위’ 논증 도식의 아홉 가지로 유형화하였다. Ⅳ장에서는 Ⅱ장과 Ⅲ장에서 밝힌 설득적 글의 논증 구조와 논증 도식이 학생들의 설득적 글에서 어떻게 반영되는지 살펴보기 위해 초등학교 3학년부터 중학교 3학년까지 학생들의 설득적 글을 양적 분석과 질적 분석을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학년별 발달을 살펴보면 ‘이유’, ‘근거’ 등의 사용에 있어서는 초등학교 5-6학년이 높은 발달을 보였고, ‘반론 인식과 반박’에 있어서 중학교 1-3학년이 높은 발달을 보였다. 성취도나 성별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발달 차이를 보이는 요소도 있었고 그렇지 않은 요소도 있었다. 논증 도식 사용량은 전체적으로 초등학생 보다 중학생의 사용량이 많았고, 성취도나 성별에 있어서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논증 구조와 논증 도식의 결합으로 생성되는 설득력을 분석한 결과 초등학교 5-6학년의 글이 가장 설득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학생의 글이 남학생의 글에 비해 설득력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본고는 설득적 글의 핵심 설득 기제에 해당되는 논증 구조와 논증 도식의 유형을 밝히고 이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설득적 글의 설득력이 학생들의 설득적 글을 통해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이는 매체의 발달로 문어를 통한 의사소통 능력이 요구되는 현대 사회에서 설득적 글 쓰기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교육적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핵심어: 설득적 글, 설득 기제, 논증 교육, 논증 구조, 주장, 이유, 근거, 반론 인식과 반박, 논증 구조 유형, 논증 도식, 인과 논증 도식, 비교 논증 도식, 예시 논증 도식, 권위 논증 도식, 설득력

      • 연근의 항산화 효과 및 렌즈 알도즈 리닥타제 저해작용과 PTP1B 효소 저해효과

        김현미 부경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Nelumbo nucifera Gaertn., a perennial aquatic plant, which was distributed throughout Asia, including India, China, the Middle east and Egypt. In particular, the rhizomes of N. nucifera, have been used foodstuffs as well as traditional medicines in China, India and Korea. Various pharmacological activities of the N. nucifera rhizomes, including antimicrobial, antioxidant, antiobese, antidiabetic, anti-Alzheimer, and antihypertensive effects have been reported. However, the diabetic complications effect of the rhizomes is unclear, and its antidiabetic and antioxidant effects is yet limited. Therefore, the preventive and therapeutic potency against oxidative stress and diabetic complications of Nelumbo nucifera were evaluated via the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total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ssays, as well as the rat lens aldose reductase (RLAR) and the human recombinant aldose reductase (HRAR) assays. In addition, the anti-diabetic effect of the rhizomes was determined via the protein tyrosin Protein tyrosine phosphatase (PTP) 1B assay. The MeOH extract of the N. nucifera rhizome exhibited marignal antioxidant effects, however the EtOAc fraction exerted significant antioxidant effects with IC_(50) values of 3.21 and 11.06 μg/ml, by compared with respective positive controls, L-ascorbic acid (IC_(50) 5.16 μg/ml) and trolox (IC_(50) 5.19 μg/ml) in the DPPH and total ROS assays, respectively. Also, the N. nucifera rhizome showed remarkable RLAR inhibitory effects with IC_(50) values of 7.70 μg/ml, by compared with positive control, quercetin (IC_(50) 3.28 μg/ml), however, no HRAR inhibitory effects within test concentration (f.c. 50 μg/ml). Interetingly, the EtOAc and n-BuOH fractions exerted predominant inhibitory effects with respective IC_(50) values of 0.15 and 0.68 μg/ml in the RLAR assay; 10.76 and 33.95 μg/ml in the HRAR assay. In the PTP1B assay, the CH₂Cl₂ fraction, along with the AR inhibitory EtOAc and n-BuOH fractions appeared significant inhibitory effects with IC_(50) values of 4.09, 0.85, and 6.76 μg/ml, by compared with a positive control, ursolic acid (IC_(50) 1.80 μg/ml). Since tryptophan was previously isolated to be antidiabetic components, the PTP1B inhibitory effect of this compound was evaluated in this study. This component showed great PTP1B inhibitory effect with an IC_(50) value of 4.75 μg/ml. In conclusion, the above results suggest that the rhizomes of of N. nucifera, and tryptophan contained within them, would clearly have potential uses in the development of therapeutic or preventive agents for oxidative stress, diabetic complications, and diabetes. 민간요법이나 문헌에 그 효과가 널리 알려진 연근의 MeOH추출물 및 분획물을 이용하여 in vitro 실험을 실시하였다.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DPPH radical 소거 활성, 활성산소종 생성억제활성 실험을 수행하였고 당뇨병 합병증 억제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aldose reductase 억제 활성, HRAR 억제활성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인슐린 감수성을 증가시켜 혈당강하 효과를 나타내는 연근의 효능을 확인하고자 PTP1B 억제활성에 대한 in vitro 실험을 수행하였다. 1. 연근의 MeOH 추출물뿐만 아니라 CH₂Cl₂, EtOAc, n-BuOH, H₂O 분획물에 대하여 DPPH radical 소거 활성, 활성산소종 생성 억제활성, Aldose reductase 억제 활성, HRAR 억제활성 및 PTP 1B 억제활성 실험을 수행하였다. 2. 연근의 DPPH radical 소거 활성은 EtOAc(IC_(50) 3.21 μg/ml), n-BuOH(IC_(50) 10.88 μg/ml) 획분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 결과로서 연근의DPPH radical 소거 활성을 지닌 성분은 대부분 EtOAc획분과 n-BuOH획분에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3. 생체 내에서 생성되는 활성산소종을 정량 측정하는 방법으로 간세포주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에 의해 비형광 probe인 DCFH-DA가 강한 형광성을 띠는 DCF로 전환되는 기전을 이용하여 연근의 MeOH 추출물과 CH₂Cl₂, EtOAc, n-BuOH, H₂O 분획물에 대한 활성산소종 억제효과를 측정하였다. DPPH radical 소거 활성에서도 강한 소거능을 보였던 EtOAc(IC_(50) 11.06 μg/ml), n-BuOH(IC_(50) 24.64 μg/ml) 획분에서 높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4. Aldose reductase 억제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연근의 MeOH 추출물과 그로부터 얻은 CH₂Cl₂, EtOAc, n-BuOH, H₂O 분획물의 활성을 검색하였다. 그 중 EtOAc 분획물의 활성은 IC_(50) 수치가 0.15 μg/ml 로 추출물과 분획물 중 가장 큰 억제활성을 나타내며, 대조약물인 quercetin의 IC_(50) 수치 3.28 μg/ml를 능가하는 강력한 억제활성을 나타냈다. 5. 연근의 MeOH 추출물 뿐만 아니라 CH₂Cl₂, EtOAc, n-BuOH과 H₂O 분획물에 대한 Human Recombinant aldose reductase 억제활성을 측정하였다. 이때 대조약물로는 대표적인 항산화제로 널리 알려져 있는 quercetin과 Aldose reductase inhibitor 로 사용되고 있는 화합물로서 succinimide 유도체인 Epalrestat를 선택하여 그 활성을 함께 비교하였다. 결과 EtOAc(IC_(50) 10.76 μg/ml), n-BuOH(IC_(50) 33.95 μg/ml) 획분에서 높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6. 연근의 MeOH 추출물과 CH₂Cl₂, EtOAc, n-BuOH과 H₂O 분획물에 대한 Phosphatase 1B 억제활성을 측정하였다. 이때 대조약물로는 Ursolic acid를 선택하여 그 활성을 함께 비교하였다. 그 중 EtOAc 분획물의 활성은 IC_(50) 수치가 0.85 μg/ml 로 분획물 중 가장 큰 억제활성을 나타내며, 대조약물인 Ursolic acid의 IC_(50) 수치 1.80 μg/ml에 근접하는 억제활성을 나타냈다. 이로써 연근 추출물은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기능과 더불어 혈당을 강하시키고 당뇨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는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가치가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