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청소년기 최초범죄와 재범발생의 상관관계 연구 - 소년보호사건 보호관찰대상자를 중심으로 -

        金幸錫 全南大學校 行政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소년보호처분으로 보호관찰을 받고 있는 자를 대상으로 최초비행의 발생 양태, 최초비행 후의 행태, 재비행 발생의 양태에 대해서 살펴보고, 최초비행과 재비행을 비교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재비행 방지에 필요한 개입전략은 어떤 것이어야 하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의 또 다른 목적은 청소년의 재비행에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를 위해 소년법상 보호관찰 2회 이상인 자를 연구대상으로 질적·양적 분석을 병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비행의 두드러진 특징은 공범관계에서 저질러진다는 것이다. 최초비행이든 재비행이든 80%가 넘게 공범이 존재하였다. 즉 비행청소년에 관한 이론 중 사회환경적 특성 요인인 또래의 영향이 비행에 많은 작용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비행청소년을 지도하고 교육하는 사회내의 체계적인 시스템이 절실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현 실정은 전혀 부응하지 못하고 있었다. 특히 최초비행 보다 재비행으로 인하여 구속되는 청소년 비율이 두 배 정도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미성숙한 청소년으로 하여금 가족, 친구, 학교 등과의 단절과 수용시설의 악풍을 경험하는 것이어서 그 부작용과 후유증이 크게 우려된다고 하겠다. 셋째, 비행청소년들이 비행적 상황인식이나 비행 환경을 바라보는 시각이 잘못되어 있었고, 이 점이 재비행을 저지르는 요소의 하나라는 것이 드러났다. 따라서 비행청소년에 대한 재비행 방지교육을 실시할 경우에는 이 점을 반드시 고려해야 할 것이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review the trends of initial delinquency generation, activity after initial delinquency, and re-delinquency generation of those under the protective inspection by adolescence protective measure, to compare the initial delinquency and re-delinquency, and to identify the intervention strategy required for preventing re-delinquency. Further, this study presents yet another objective of identifying the factors greatly affecting the juvenile re-delinquency. For such purpose,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es were performed together for those who receive more than 2 times of protective inspection under adolescence law. For personal characteristic factor, the age and cause of initial delinquency, and for the social environment characteristic factor, the influences of family, school and peer were reviewed.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below. First, the most conspicuous characteristic of juvenile delinquency is that it is committed in a complicity relationship. Over 80% of delinquencies were involved in complicity regardless of initial or re-delinquency. Namely, it is identified that peer influence which is the social environment characteristic among the theories on juvenile delinquencies has strong impact on the delinquency. Second, although the desperate need of systematic system within the society of teaching and guiding the delinquent juveniles, the current situation is not responding to this reality at all. Particularly, the ratio of adolescences arrested by the re-delinquency was 2 times higher than those arrested by the initial delinquency, which induces the immature adolescence to experience the severance from the family, school and friends as well as the vice of confinement facilities and brings great considerations for its negative impact and aftereffect. Third, the recognition for the delinquent circumstances or the viewpoint on the delinquent environment of these adolescences were not rightful, which was one of the factors of committing delinquency again. Therefore, this must be considered in conducting re-delinquency prevention education for the delinquent juveniles. Based on such study results, the proposals were made for the institutions that guide delinquent juveniles conduct policies to identify the problem of juvenile delinquency as the complicity problem, and to conduct programs to prevent complicity simultaneously with the respective guidance. Further, the importance of enforcing the awakening on the initial crime and the initial response on the crimes was emphasized.

      • 노인의 주거환경 만족도가 지역사회 계속거주(Aging in Place) 욕구에 미치는 영향

        김행석 경기대학교 행정.사회복지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경기도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노인 442명을 대상으로 노인들의 주거환경 만족도가 지역사회 계속거주 욕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주거환경 만족도의 하위변인인 주택만족도, 근린만족도, 지역사회환경만족도, 공동체만족도가 지역사회 계속거주 욕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에 참여한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주요 특성을 살펴보면 총 442명으로 ‘남성’ 220명(49%), ‘여성’ 222명(50.2%)이었고, 평균나이는 73.5세였다. 학력의 경우 ‘고등학교 중퇴·졸업’이 151명(34.2%)으로 가장 많았고, 주관적 건강상태는 ‘나쁨’ 88명(19.9%), ‘좋음’ 161명(36.4%)으로 ‘좋음’이 더 높게 나타났다. 기초생활수급자는 61명(13.8%)이었으며, 주관적 경제수준은 ‘어렵다’ 125명(28.3%), ‘넉넉하다’ 56명(12.7%)으로 ‘어렵다’가 더 높게 나타났다. 들째, 주요 변수들의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살펴보면 주거환경만족도는 5점 구간에 평균은 3.574(SD=.323)였고, 지역사회 계속거주 욕구의 평균은 3.675(SD=.736)였으며, 중간 값(3점, 보통) 이상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통제변수에 따라 지역사회 계속거주 욕구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 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배치 분산분석 결과 나이, 혼인상황, 가구원수, 주관적 건강상태, 수급여부, 주관적 경제수준, 주택소유형태는 유의미한 영향이 있었다. 셋째,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해보니 통제변수인 나이, 혼인상황, 가구원수, 주관적 건강상태, 수급여부는 지역사회 계속거주 욕구와 정적(+)인 상관관계에 있었지만, 주관적 경제수준은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독립변수인 노인의 주거환경만족도와 하위 변인인 주택만족도, 근린만족도, 지역사회환경만족도, 공동체만족도는 지역사회 계속거주 욕구와 모두가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노인의 주거환경 만족도가 지역사회 계속거주 욕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주거환경 만족도(β=.287, p<.001)가 높을수록 지역사회 계속거주 욕구는 높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또한 주거환경만족도의 하위변인중에서 노인의 공동체만족도(β=.329, p<.001)만 지역사회 계속거주 욕구에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지역사회 계속거주를 위해서는 지역 편의시설 뿐만 아니라 공동체 기반의 접근방식으로 자녀와 이웃, 일자리, 마을공동체, 자연환경 등을 총체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또한 장기요양시설, 재가복지시설 및 의료시설과의 연계적인 서비스 제공 등 통합적인 사회복지체계의 구축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노인의 주거환경 만족도가 지역사회 계속거주 욕구에 미치는 영향을 주고 있음을 나타내는 실증적 결과로서, 계속거주를 노인 복지적 관점에서 볼 때 정상화의 확대와 노인대상 돌봄 구축을 위한 커뮤니티케어와 고령친화도시 등 다양한 정책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sidential environment satisfaction on the needs of aging in place in the community of 442 elderly people over 65 years of age living in Gyeonggi-do. In addition, the effects of housing satisfaction, neighborhood satisfaction, community environment satisfaction, and community satisfaction, which are sub-variables of residential environment satisfaction, were also examined on the needs of aging in place in the commun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demographic and soci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in the study were 442 people, 220 males(49%) and 222 females(50.2%). The average age was 73.5 years. In terms of education, ‘high school dropouts and graduations’ were the most common, with 151 students(34.2%), subjective health status was ‘poor’ 88(19.9%), ‘good’ 161(36.4%), ‘good’ was higher. The number of basic livelihood security assistance was 61(13.8%), and the subjective economic level was ‘difficult’ 125(28.3%) and ‘generous’ 56(12.7%), ‘difficult’ was higher. Second, according to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major variables, the mean of residential environment satisfaction was 3.574(SD=.323) in 5 points, and the mean of the needs of aging in place in the community was 3.675(SD=.736), which was higher than the median(3 points, average). In addition,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OVA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age, marital status, the number of households, subjective health status, benefits, subjective economic level, and the type of house ownership according to the control variables. Third, analyzing the correlations among the variables, control variables such as age, marital status, th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benefit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needs of aging in place in the community, but subjective economic level was negatively correlated. Residential environment satisfaction, sub-variable housing satisfaction, neighborhood satisfaction, community environmental satisfaction, and community satisfaction, which were independent variabl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needs of aging in place in the community. Fourth, the effect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satisfaction of the elderly on the needs of aging in place in the community was verified that the higher the residential environment satisfaction(β=.287, p<.001), the higher the needs of aging in place in the community. In addition, only the community satisfaction of the elderly(β=.329, p<.001) was found to have an influence on the needs of aging in place in the community. For aging in place in the communit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children, neighbors, jobs, village communities, and the natural environment as a community-based approach as well as local amenitie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integrated social welfare system such as providing services linked to long-term care facilities, home welfare facilities and medical facilities. This study is an empirical result indicating that residential environment satisfaction of the elderly has an effect on the needs of aging in place in the community. From the welfare perspective of the elderly, aging in place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various policies such as community care and elderly-friendly cities for the expansion of normalization and care for the elderly. Key words: elderly, residential environment satisfaction, community satisfaction, needs of aging in place in the commu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