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생의 행동억제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긍정적 사건에 대한 부정적 해석의 순차적 매개효과

        김해린 아주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행동억제와 사회불안의 관계를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긍정적 사건에 대한 부정적 해석이 순차적으로 매개하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295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회고적 행동억제 척도,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척도, 긍정적 사건에 대한 해석 척도,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척도, 사회 공포증 척도로 구성된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긍정적 사건에 대한 부정적 해석은 행동억제와 사회불안의 관계를 순차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행동억제 기질을 가진 사람들은 사회적인 상황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는 것을 불편해하며, 이러한 경향은 긍정적인 사회적 상황에 있게 될 때 타인의 높아진 기대를 충족시킬 수 없을 것이라고 예상하는 편향으로 이어져 결국 사회불안이 증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if the relationship between behavioral inhibition and social anxiety was sequentially mediated by fear of positive evaluation and negative interpretation of positive events. A total sample of 295 undergraduate students completed a measure of Retrospective Self-Report of Inhibition, Fear of Positive Evaluation Scale, Interpretation of Positive Events Scale, Social Interaction Anxiety Scale, Social Phobia Scale. Study has shown that fear of positive evaluation and negative interpretation of positive events sequen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behavioral inhibition and social anxiety. In other words, people with behavioral inhibition are uncomfortable with receiving positive feedback in social situations, and this tendency can lead to a bias that they will not be able to meet the high expectations of others when they are in positive social situations, which can eventually increase social anxiety.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with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 어린이집 평가제 실행에 따른 보육교사의 어려움 -1영역 보육과정과 상호작용 영역을 중심으로-

        김해린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어린이집 평가제 실행 이후 1영역 보육과정과 상호작용에서 보육교사들의 실행 수준이 어떠한지를 설문조사를 통해 항목별로 파악하고 사후 면담을 통해 보육교사가 현장에서 실제적으로 경험하고 있는 어려움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보육과정과 상호작용 영역의 실행 수준과 실행 시 경험하는 어려움의 정도에 있어 보육교사의 경력별 차이를 파악하여 실행 수준과 긍정적 교사-영아 상호작용의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 평가제 보육과정과 상호작용 영역에서 지표별 보육교사의 실행 수준은 어떠하며, 경력별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어린이집 평가제 보육 과정과 상호작용 영역의 실행에 있어 보육 교사가 경험하는 어려움의 정도는 어떠하며, 경력별로 차이가 있는가? 셋째, 어린이집 평가제 보육 과정과 상호작용 영역의 실행에 있어 보육교 사는 현장에서 어떤 어려움을 경험하는가? 본 연구는 어린이집 평가제의 보육과정과 상호작용의 실행에 따른 보육교사의 실행수준과 어려움을 파악하기 위하여 G시와 J도의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30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그 중 총 253명의 설문지를 응답받아 그중 불성실하게 응답하여 통계처리에 부적절한 설문지와 무응답 32명을 제외한 221명을 분석자료로 이용하였다. 본 연구는 류혜영(2019)의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를 본 연구 상황에 맞게 2022년에 개정된 평가제 지표의 내용으로 수정·보완하여 총 60문항으로 보육과정과 상호작용에 관한 척도를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연구대상의 일반적 배경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고, 어린이집 평가제 실행에 따른 보육과정과 상호작용 영역의 실행 수준과 어려움 내용을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였으며, 경력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 변량분석(one-way ANOVA)과 Scheffé 사후검증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 평가제 1영역 보육과정과 상호작용의 전반적인 실행 수준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표별 실행 수준을 분석한 결과, ‘놀이 및 활동지원’의 실행수준이 가장 높았고, 차 순위로는 ‘보육과정 평가’, ‘영·유아간 상호작용 지원’, ‘보육계획 수립 및 실행’이였으며, ‘영·유아 권리존중 영역’의 실행 수준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행 수준은 경력별로 차이가 나타났는데, 7년 이상의 경력교사가 ‘보육계획 수립과 보육과정’의 실행 영역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실행 수준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경력이 높은 보육교사들은 대부분 평가제 참여경험이 많은 편이며, 보육교사 평가항목으로 제시되는 상호작용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고양되어 평소에도 영·유아들에게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보다 활발하게 실행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둘째, 어린이집 평가제 보육과정과 상호작용 영역의 실행에 따른 어려움 에 대한 설문 결과를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어려움의 정도가 크지는 않으나 ‘기타’ 항목에서 어려움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왔는데, 평가제로 인한 보육교사 인력지원부족, 보육 이외의 교육 및 행정 업무 과다로 인한 어려움을 언급하였다. 차 순위로는 ‘보육계획 수립 및 실행’과 ‘놀이 및 활동지원’과 ‘영·유아 권리존중’, ‘일반적 요인’ 순이였으며, 영역의 내용과 지침에 대한 이해와 관련한 ‘일반적 요인’의 어려움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력별로 보육교사가 경험하는 어려움의 차이를 살펴보면, 3년 미만 경력의 교사들이 ‘영·유아 권리 존중’영역의 실행에서 어려움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과거보다 보육교사들의 영·유아 권리 존중에 대한 인식은 향상되었으나, 여전히 현실적인 상황에서 보육교사의 권리를 충분히 보장받지 못하고 있는 점과 교사가 기존에 가지고 있는 고정관념이 쉽게 바뀌지 않음으로 인해 권리존중 실행의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음이 면담결과에서 드러났다. 셋째, 보육교사들이 현장에서 실제적으로 느끼고 경험하고 있는 보육과정과 상호작용에 대한 실행에 대한 어려움의 내용은 설문결과와 유사하게 늘어난 행정업무와 지원인력의 부족함을 느끼고 있었고, 이를 보완하고 개선하고자 보육교사들은 자신의 역량과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2019년부터 전국의 모든 어린이집으로 확대, 시행되고 있는 어린이집 평가제 1영역 보육과정과 상호작용 영역에 대한 보육교사의 이해와 실행 수준은 현재 전반적으로 높은 편이었고, 실행 상의 어려움이 크게 존재하는 것은 아니었다. 그러나 하위 지표별 실행 수준과 어려움의 정도에 있어 보육교사의 경력별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저경력 교사들이 교육적인 안목으로 보육계획을 수립할 수 있고, 영유아 권리존중 영역의 실천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평가제 강화로 인해 보육과정과 상호작용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는 실정에 맞춰 보육교사가 어려움이 없이 평가제를 진행할 수 있도록 교육 및 행정적 지원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육교사의 역량강화 및 전문성 향상을 위해 실질적인 교사교육이 더욱 확대된다면 1영역 보육과정과 상호작용의 질적 향상과 보육교사의 어려움이 해소될 것으로 기대한다.

      • 전문계 고등학교에서의 창의적 아이디어 발상교육에 관한 연구 : 스캠퍼와 ALU를 적용한 Found Object를 중심으로

        김해린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급변하는 현대 사회에서 가장 민감하게 소비자의 선호도를 따라야 하는 디자이너에게 창의성과 독창성은 제일 중요한 요소이다. 디자인에서 독창성이란 주어진 정보와 새로운 지식 및 경험을 바탕으로 디자이너의 창조적인 상상력을 결합시켜 독창적인 디자인을 개발하는 것이다. 또한, 독창성은 창의적 생각을 아이디어 차원에 머물게 하지 않고 시각적 혹은 물리적 표현으로 형상화하는 것, 즉 구체적인 창의적 발상 표현 능력을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전문계 고등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디자인 교육 현황은 창의적인 아이디어 발상 교육보다 획일적인 그래픽, 기술적인 프로그램 교육에 중점을 두고 있다. 또한, 발상 교육은 언어학에서 다루었던 자유연상법, 브레인스토밍, 등 언어적 발상법에 한정되어 있어 디자인 발상법에 대한 전문 교육 프로그램이 부족하고, 전문계 고등학교 내에서 발상 수업 시수의 배정도 적다. 본인의 경험이나 한정된 사고 안에서 이루어지는 언어적 발상법은 학생들에게 창의적인 아이디어 발상의 어려움을 호소하게 했다. 또한, 머리 속에서 생각해낸 아이디어를 시각화하고 형상화하여 표현하는 데 있어서도 애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언어적 관념에서 벗어나 보다 다양하고 창의적이며 표현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이 필요하다. 이에 보다 다양한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생산, 표현, 평가, 추출하는 능력을 강화하기 위해서 시각적 OBJECT 중심의 아이디어 발상 교육 프로그램을 만들고자 한다. 구체적인 OBJECT 이미지를 먼저 추출하여 조합, 재해석해가는 과정을 거치면서 학생들에게 예상치 못했던 아이디어를 발상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디자인 교육에서 초기 단계에 진행하는 아이디어 발상 과정은 모든 디자인 분야에 필요한 과정이므로 본 연구의 시각적 OBJECT 중심의 아이디어 발상 교육 프로그램은 보다 폭넓게 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Found Object를 활용한 창의적 아이디어 발상 교육이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교육적 기대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로, 국내외 출판 도서 및 관련 사이트와 선행 연구들의 문헌연구를 통해 Found Object의 개념 및 특성, 활용사례에 대하여 알아보고, 창의적 아이디어 발상 기법을 바탕으로 Found Object를 활용한 수업을 위해 아이디어 발상기법 중 스캠퍼(SCAMPER)기법과 ALU 기법을 좀 더 자세히 알아보았다. 둘째로, 전문계 고등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디자인 발상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현재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의 의식 구조와 교육적 접근 방법 및 현황, 교육 현장에서의 문제점을 설문조사를 토대로 분석해보고, 지도상의 유의해야 할 사항을 모색하였다. 셋째로, 디자인 교육에서 Found Object를 활용한 구체적인 학습지도계획과 디자인 수업의 프로세스를 제시하고 세부 학습지도안을 활용하여 수업 전∙후의 산출물에 대한 비교 평가하여 Found Object를 활용한 창의적 발상방법의 교육적인 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로 제시한 스캠퍼 기법의 아이디어 속성 매트릭스를 중심으로 Found Object를 활용한 창의적 아이디어 발상 교육 프로그램의 단계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계획단계에서는 학생들에게 Object를 제시하여 작업의 시작단계에서 오는 막연한 두려움을 가지고 있던 학생들도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스캠퍼 기법을 활용하기 전에 바르게 이해하고 쉽게 아이디어 발상 학습활동으로 연결 될 수 있게 이끌었다. 두 번째, 아이디어 발상단계에서는 창의적 아이디어 조합을 위한 Object에 대한 자료를 선택하고 분석하도록 하여 아이디어 발상을 미리 가정해보도록 하였다. 세 번째, 아이디어 전개단계에서는 아이디어 속성 매트릭스를 활용하여 Object를 조합하도록 유도하여 보다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도출할 수 있도록 이끌었다. 네 번째, 아이디어 구체화단계에서는 ALUDE 행렬표를 활용하여 조합한 Object에 대한 재해석을 통하여 아이디어를 보다 구체화 시키도록 하는 단계이다. 다섯 번째, 프리젠테이션 및 평가단계에서는 자신의 아이디어가 창의적 발상인지 검증하고 다른 사람의 아이디어를 감사하고 평가하는 단계이다. 아이디어 속성 매트릭스를 중심으로 스캠퍼 기법을 활용한 창의적 발상 교육을 통하여 학생들이 아이디어 발상의 확장과 문제해결능력의 신장과 같은 창의적 특성 변화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Object를 분석하고 조합하고 재해석을 하는 교육훈련을 통하여 이상적인 해결방안과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내어 구체화시키는데 도움을 주었다. 본 연구는 창의적인 발상 교육의 한계점을 보완하고 학생들에게 보다 창의적인 발상능력을 향상시켜 자신감을 배양하고, 창의적이고 독창성을 지닌 경쟁력 있는 디자이너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산출하기 위해서 시각 디자인 단원인 책 표지 디자인에 국한시켜 실험을 진행하였으나 스캠퍼 기법의 아이디어 속성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Found Object를 도입한 창의적 아이디어 발상 교육 프로그램은 다른 디자인 분야에서도 초기 단계에 연계하여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 그치지 않고 앞으로는 디자인 과정에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개발과 연구가 보다 심도있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모크 다큐멘터리의 사실성과 허구성 요소에 관한 연구 : 모크 다큐멘터리라 불리는 몇 가지 사례를 중심으로

        김해린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모크 다큐멘터리의 사실성과 허구성 요소에 대한 연구 : 모크 다큐멘터리라 불리는 몇 가지 사례를 중심으로 모크 다큐멘터리는 ‘다큐멘터리의 양식’과 ‘그 양식을 통해 보여주고자 하는 사실주의’를 조롱하는 영화의 한 형식으로 연구되어왔다. 모크 다큐멘터리 내의 다큐멘터리적 표현 양식은 극의 내용을 관객에게 실제의 사건으로 느끼게 하는 것과 동시에 허구임을 깨닫게 한다. 관객은 모크 다큐멘터리 작품을 보며 허구의 이야기를 실제의 사실로 받아들여 극에 더 깊이 몰입하거나 혹은 그 반대로 꾸며낸 이야기임을 알아채고 거리감을 둔 채로 감독이 제기하는 문제를 바라보게 된다. 2000년대 초에 접어들어서 국내에 등장하기 시작한 모크 다큐멘터리 양식은 다큐멘터리의 형식적 진화 속에서 등장하게 되었다. 이는 다양한 방식과 주제의 영화 제작을 가능하게 하는 사회 내 인프라의 발달과도 무관하지 않으며 모크 다큐멘터리라는 영화의 형식 자체가 개개인들의 사회적 담론을 논의하는데 있어서 적합한 형식으로 사용되었음을 보여준다. 사실적이고 객관적인 시선을 제시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내레이션, 인터뷰, 자막은 역설적이게도 오히려 허구성이나 희화성을 표면화시킨다. 객관적이라 믿고 영화에서 접하게 되는 내레이션이 실제로는 이미지를 증거로 삼은 주관적인 목소리일 뿐이었다는 것을 깨닫게 하기 위하여 작품은 이미지와의 불일치로 그 허구성을 더욱 드러내기도 한다. 다큐멘터리에서는 증인의 역할을 하는 인터뷰 대상자 역시 모크 다큐멘터리 내에서는 연기자에 불과하다는 것을 관객들로 하여금 깨닫게 한다.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해 왔던 자막 역시 허구의 가상 세계를 구체화 시키는데 이용되고 이를 관객에게 발견하게끔 함으로써 대상을 우스개로 전락시키기도 한다. 내레이션과 인터뷰, 자막의 다큐멘터리적 표현 기법을 중심으로 2008년 이후의 국내 사회 문제를 관객들에게 통찰력 있게 보여주는 독립 모크 다큐멘터리 작품들을 선정하고 분석하였다. 세 작품은 작가의 허구적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한 극영화이나 다큐멘터리적 표현 기법을 차용하고 있다. 관객은 모크 다큐멘터리 속의 허구성을 인식하면서 다큐멘터리를 무분별하게 맹신하고 있는 자신을 자각하게 된다. 현실에서 벌어지는 사건과 사고들이 있는 그대로를 보여주는 것만으로는 진실을 전달하기에 부족하다는 것을 알고, 허구의 이야기가 갖는 파급력을 발견하는 것이다. 이는 모크 다큐멘터리가 극영화이면서도 다큐멘터리의 양식을 갖추고 있기에 가능하다. 모크 다큐멘터리로 만들어진 패러디와 풍자는 관객들이 조작된 미디어로 인해 보지 못했던 사회의 숨겨진 지점들을 찾게끔 도와줄 뿐만 아니라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또 다큐멘터리가 갖는 사실성과 객관성이 극영화의 무궁무진한 허구와 상상과 만나면서 다채로운 작품들을 제작할 수 있다는 사실은 모크 다큐멘터리 형식을 지닌 콘텐츠가 늘어나는 이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키워드: 모크 다큐멘터리, 내레이션, 인터뷰, 자막, 사실성, 허구성, 다큐멘터리 The Mock-documentary genre has been examined and regarded as a form of film that mocks “documentary format” and “realism portrayed through documentary format”. The format of documentary expression used in mock-documentary makes audiences realize events in the film as the real and furthermore realize the events as mere fiction. Watching mock- documentary some audiences accept fictional story as factual thing and moreover they engage more deeply into the work. On the other hand other audiences realize that it is fabricated story and they view problems suggested by a director keeping the objective distance. In the early 2000s, mock-documentary format that emerged in Korea showed itself amidst formal evolution of documentary. The introduction of mock-documentary format in Korea indicates the development of infrastructure in our society that facilitates films which include various methods and topics, and it demonstrates that the format of mock- documentary film is adequate in discussing social discourses of individuals. Narration, interview, and subtitles that are used to present factual and objective perspective contradictorily surface fictional or comical elements. In order to depict that narration in films, which is believed to be objective, is actually subjective voice evidenced by image, a work sometimes portrays such fictional elements by discording with image. Audiences also realize that an interviewee that acts as witness in a documentary is a mere actor in a mock-documentary. Subtitles that convey information are utilized to specify virtual world in fiction and make a mockery of subjects as when audiences realizes the real function of subtitles. Focusing on methods of documentary expression of narration, interview and subtitles, this thesis selected and analyzed independent mock- documentaries that insightfully depict Korean social issues that have occurred since 2008. Three works, <Show me the money (2009)>, <Modern family- In good company(2012)>, <Cheer up, Mr. Lee(2012)>, utilize expression techniques of play film or documentary based on fictional scenario of the writer. As audiences recognize the fictional aspects of mock-documentary, they become aware of themselves who indiscreetly trust documentary. They realize that portraying events and incidents as they are in reality is not enough to convey truth, and discover the influence of fictional story because mock-documentary has the format of a play film and documentary. Parodies and satires in mock-documentary form not only help the audience find social points hidden by media manipulation, but also provide them with the opportunity to view the society with new perspective. Moreover, the fact, which dynamic works could be produced when factuality and objectivity of documentary meet the abundant fiction and imagination of play film, could be a reason to promote quantitative expansion of contents in mock- documentary format. Keyword: Mock-documentary, narration, interview, subtitle, factual, fictional, documentary

      • K-드라마 <도깨비: 쓸쓸하고 찬란하神>의 영어 제목 번역연구: 기술번역학(DTS)적 접근

        김해린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인문계열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OTT 플랫폼 시대에 과거부터 현재까지 제작된 K-Drama가 부상하면서 떠 오른 번역에 대한 문제를 고찰하며, 그중에서 K-드라마 <도깨비: 쓸쓸하고 찬란하神, 2016> 제목 번역에 초점을 둔다. 연구의 배경은 영미문화권에서 주로 사용하는 OTT 플랫폼에 등록된 <도깨비: 쓸쓸하고 찬란하神>의 제목을 조사한 결과, 모두 상이하게 등록되었고 영어 자막에서 ‘도깨비’가 모두 ‘Goblin’으로 번역되어 수용 문화권 시청자의 혼란을 가중시킨 점에 있다. 이러한 문제를 검토하기 위해 한국 전통 설화 도깨비, 영문학 작품 속 Goblin, 드라마 <도깨비>의 주인공 김신을 분석하고 비교하며, 영미문화권에서 사용하는 OTT 플랫폼의 영어 제목 번역 대안을 제시한다. 대안 마련을 위해 번역 작업에서 의사결정과정을 중시하는 기드온 뚜리의 기술번역학(DTS)의 이론에 따라 영미문화권에 맞는 규준(Norm)인 선행적 규준과 수행적 규준을 설정하고 적합성(adequacy)과 용인성(acceptability)을 고려하여 <도깨비: 쓸쓸하고 찬란하神>의 주제목과 부제목을 도출한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the issue of K-Drama title translation in English OTT platforms, especially focusing on K-Drama 〈Dokkaebi〉 (TV Series 2016–2017). The study researched the registered English title in English cultural OTT platforms and examined an issue that the original title and subtitle have been translated into different words. Furthermore, the issue resulted in making English audiences confused of the hero character. Considering the issue of English title translation, this paper describes characters by comparing among Dokkaebi in Korean folklore, Goblin in English literature, and Kim Shin in K-Drama 〈Dokkaebi〉 and suggests the English title translations, approaching to process-oriented Descriptive Translation Studies (DTS). Therefore, the study identifies the new English title and subtitle translations and demonstrates translation norms of ‘Preliminary norms’ and ‘Operational norms’ in accordance with the terms of adequacy and acceptability introduced by Gideon Toury through decision-making process for English culture and audiences.

      • 비핵심부채가 은행건전성에 미치는 영향

        김해린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Since the 2008 financial crisis which caused global economic turmoil, SIFI(Systmically Important Financial Institutions) has been unable to carry out their fund brokerage function in many countries. Consequently, real economic activity of households and businesses decreased. Since then macro-prudential issues of finacial market was actively discussed worldwide. In this study analyzed economy's turning point and past financial crisis such as foreign currency crisis, global financial crisis, and early 2000 credit card crisis by using cross-sectional data. Through an analysis of financial crisis situations, it is realized that insolvency of banks can lead to system risk of financial market. Therefore, a need of management and supervision of D-SIBs(Domestic Systemically Important Banks) has been increasing. Non-Core bank liabilities which is one of major funding methods appears economy adaptive leverage depending on business cycl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expansion of loan through sales of bank by funding non-core liabilities exposed a bank to danger of default. non-core liabilities is being used as an critical information variables for bank's macro-prudential management and supervision. In this paper, we studied how composition of non-core bank liabilities affects each bank's financial solvency by analyzing time series and cross-sectional data through balance sheets of domestic commercial banks.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 of domestic economy which has a lot of foreign exchange transaction due to international trade, foreign currency borrowings and foreign currency bonds are very important factor for bank's financial insolvency management. To ensure the safety of domestic financial market, we need to build financial insolvency through continuous management and supervision of non-core bank liabilities.

      • Natural Products from Acremonium sp. CNQ-049, Bacillus sp. SNC-135 and Spergularia marina (L.) Griseb

        김해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15

        Natural products have been a potential and significant source of new drug discovery and development. In particular, halophytes and marine microorganisms can be considerable assets of abundant natural products with diverse biological activities. In this study, two marine-derived microorganisms and a halophyte were investigated for their chemical components to discover natural products with biological activities. From this study, three new compounds (3) were isolated from marine-derived fungi Acremonium sp. CNQ-049, and one previously reported peptide (4) was isolated from marine-derived Bacillus hwajinponesis SNC-135. Furthermore, one known compound (5) was isolated from a halophyte Spergularia marina (L.) Griseb. The chemical structures of new natural products (1-3) were established using extensive MS, UV, and NMR spectroscopic data analysis, while chemical structures of known compounds (4-5) were identified from the comparison of NMR data to those of reported ones. 천연물은 계속해서 새로운 의약품의 발견과 개발의 잠재적이고 중요한 원천이 되어오고 있다. 특히 염생식물과 해양미생물은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진 천연물의 상당한 자산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두 종류의 해양유래 미생물과 염생식물로부터 그들의 화학 성분과 생물학적 활성을 조사하여 해양유래 곰팡이 Acremonium sp. CNQ-049로부터 3개의 신규물질 (1-3)을, 해양유래 바실러스 SNC-135로부터 기존에 보고되었던 펩타이드 (4)를 분리하였다. 또한 Spergularia marina (L.) Griseb으로부터 한 개의 알려진 천연물질 (5)을 분리하였다. 신규물질 (1-3)의 화학구조는 MS, UV, 그리고 NMR 분석에 의해 결정하였으며 알려진 천연물 (4-5)의 화학구조는 기존에 보고되었던 NMR과의 비교를 통해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