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외식 프랜차이즈 몰입에 대한 연구 : 만족 및 조절변수를 중심으로

        김하윤 경기대학교 2006 국내박사

        RANK : 247647

        최근 외식 시장의 규모가 커지면서 소규모 창업자들이 늘어나고 있다. 소규모 사업자들은 초기비용, 운영비용, 운영 노하우 등 도움을 받을 수 있는 프랜차이즈 비즈니스 형태를 선호 하면서 외식 프랜차이즈 시장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프랜차이즈의 사업형태가 늘어나면서 가맹본부와 가맹점간의 이해관계나 갈등으로 인한 분쟁이 늘어나고 있는데, 본 연구는 이러한 분쟁으로 인한 관계 단절을 가맹본부 운영관리를 통하여 미연에 방지 할 수 있다고 가정하였다. 또한 가맹본부와 가맹점의 특성이 만족이나 몰입에 영향을 줄 것이라 가정하고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의 주 흐름은 가맹점들은 가맹본부와 가맹점의 특성에 따라 느끼는 만족이 차이가 있을 것이고 이러한 만족을 조절하는 요소로 가맹본부의 운영방법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라 가정하였다. 또한 가맹점이 느낀 만족은 몰입과 인과관계가 높고, 만족과 몰입사이에 재무적인 성과가 만족의 크기에 조절역할을 할 것이라 가정하였다. 따라서 가맹점의 특성 및 본부 특성, 운영관리 특성, 재무적 특성에 따른 성과변수인 만족과 몰입의 차이가 종합적이고 실증적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위해서 문헌연구를 통해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프랜차이즈 가맹본부의 특성 변수들을 선정하였다. 추출된 변수로는 가맹본부 항목은 외형, 능력, 엄격함이 가맹점 특성 변수는 가맹점의 본부의존도, 거래특유투자, 입지를 선정하여 만족과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가맹본부 및 가맹점 특성과 만족도 사이를 조절하는 변수로 가맹본부의 운영관리에 따라 이러한 만족도가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여 본부의 운영관리 요소로 커뮤니케이션, 지원, 갈등을 조절변수로 추출하여 조절회귀 분석을 하였다. 또한, 만족과 관계몰입의 인과관계 및, 만족과 관계몰입간의 관계를 강화하는 요인을 매출, 순익, 재무적 성과 평가로 보고, 조절역할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만족이 가맹본부 및 가맹점 특성과 몰입사이에서 직․간접적 매개역할을 하는지에 대하여도 알아보았다. 조사 절차는 프랜차이즈 가맹점주 들에게 심층 면접 후 서울, 경인지역의 프랜차이즈 가맹 점주와 매니저에게 조사가 실시되었다. 총 448부의 설문 데이터 중, 386개의 설문이 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은 SPSS. 10.0을 사용하였고, 분석 방법은 요인분석을 통하여 각각의 변수 개념을 정리하였고, 다중회귀분석, 일원배치 분산분석, 조절회귀분석, 계층회귀분석 등을 사용하였다. 프랜차이즈 가맹본부 및 가맹점 특성에 따른 관계마케팅에 관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맹본부의 특성과 만족과의 관계를 보면 가맹본부의 외형에 해당하는 체인점 수나 규모, 명성 등이 크면 가맹점들은 가맹본부에 대하여 더 큰 만족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맹본부의 능력이 좋을수록 가맹점의 만족도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가맹점이 엄격성은 유의한 영양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맹점들은 가맹본부의 특성 중 가맹본부의 외형이나 능력 같은 외적인 면을 좋게 평가할 때 전반적인 만족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가맹점의 특성과 만족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가맹점들은 시설이나, 교육 등 자신들 점포에 거래특유투자를 많이 했을 경우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가맹점 자신들의 입지가 좋을 경우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가맹점의 본부에 대한 의존도는 만족과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맹점들이 자신들이 투자한 투자액이 높을 때, 또는 입지에 대한 자부심이 있을 경우 가맹본부에 대해서도 더 많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운영관리요소의 조절역할을 살펴보면, 커뮤니케이션은 엄격함과 만족사이에서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커뮤니케이션이 적을 경우 엄격한 집단에서는 만족도가 매우 낮고, 커뮤니케이션이 많을 경우 엄격함이 높더라도 만족도는 매우 높은 것은 결과나 나왔다. 그리고 지원은 가맹본부의 외형과 만족사이를, 엄격함과 만족사이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데, 가맹본부의 지원이 클수록 만족을 더 크게 느끼는 경향이 있으며, 지원에 의한 조절효과는 가맹본부의 외형이 큰 집단에서 더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엄격함이 높을 경우 지원이 높으면 만족도는 높겠지만, 지원이 낮으면 만족도는 현저하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갈등도 가맹본부의 외형과 만족사이, 엄격함과 만족사이에 조절역할을 하는데 갈등이 크면 만족도가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갈등은 가맹본부의 외형이 클수록 더욱더 큰 조절효과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엄격함이 높은 집단에서 갈등이 높으면 만족도는 떨어지지만 갈등이 낮으면 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가맹점 특성과 만족사이의 운영관리 요소역할을 보면, 지원은 가맹본부의 입지와 만족사이에 조절역할을 하고, 지원에 의한 조절효과는 가맹점의 입지가 좋을수록 더 크게 나타났다. 갈등은 본부의존도와 만족, 거래특유자산과 만족, 입지와 만족 사이에 조절함으로써 가맹점 특성에서는 갈등의 조절역할이 모두 지지되었다. 갈등의 의존도 조절 효과는 의존도가 낮을수록 더 큰 조절 효과를 나타냈고, 거래특유자산이 적을수록 더 큰 조절효과를, 입지가 좋을수록 더 큰 조절효과를 보였다. 다섯째, 가맹본부에 대한 만족과 관계몰입의 관계는 매우 밀접하게 인과관계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여섯째, 만족의 매개효과를 보면, 만족은 가맹본부의 외형, 능력, 가맹점의 거래특유투자, 입지와 몰입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하고 있다. 이중 가맹본부의 외형, 능력, 가맹점의 거래특유투자는 관계몰입에 만족을 매개로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가맹본부의 입지는 관계몰입에 만족을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가맹점의 만족과 관계몰입사이에 재무성과의 조절역할을 보면 월매출이 높을수록, 재무적 성과평가가 높을수록 관계몰입이 높게 나타나는 결과를 보이고 있어 재무성과가 관계몰입을 강화하는 조절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Franchise system has been popular in Korea since 1990s. This study is focused in the relational commitment between the franchisor and franchise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mainly to inquire the variable of franchisor and franchisees characteristic affecting the relational commitment and satisfaction. And it will be difference satisfaction level cause to operation management and financial performance. A large percentage Previous studies of franchise system has focused on qualitative relationship propensities, resulting in lack of study on financial performance. The data for the empirical analysis were collected through survey questionnaire and personal interviews and 448 store were participated in the study. Each questions is based on a 5-point likert-type scale. After initial data recording, 62 questionnaires were deleted from the data set because of missing answer or participate part-time staff. Finally, the sample data of 386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Using SPSS Win 10.0. To test hypothesis, factor analysis, 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he result of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result of factor analysis, franchiser characteristic are composed external form, capability and enforcement. And franchisee characteristic are composed franchisee's dependence, transaction specific investment, and location of franchisee's store. Secondly,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 that, franchiser external form, capability, franchisee transaction specific investment and location are positively influence on franchisee's satisfaction. Third, franchisor's operation management effect as follow. Analyzing a moderating effect of the communication,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nforcement and satisfaction. Support are moderating effect on external form and satisfaction, enforcement and satisfaction, and, location and satisfaction. Conflict are moderating effect on external form and satisfaction, enforcement and satisfaction, dependence and satisfaction, transaction specific investment and satisfaction, and, location and satisfaction. Also financial performance(monthly sale, perceived sale performance) are moderating effect between satisfaction and commitment. Fourth, satisfaction positively influence on commitment. Finally, satisfaction is mediated between franchiser, franchisee characteristic and commitment. In detail, external form, capability and transaction specific investment, directly and indirectly, and location indirectly influences commitment, through satisfaction.

      • 새치염색의 인식 및 실태와 컬러 이미지 변화에 대한 선호도·만족도에 관한 연구

        김하윤 한남대학교 사회문화·행정복지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ttempted to suggest marketing for gray hair coloring by analyzing the perception and current patterns of gray hair coloring and people’s preferences and satisfaction with changes in color images. For this, a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against a total of 250 adult men and women in their 20-70s in Jeolla-do, who had gray hair coloring befo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8.0, and the results found the followings: First, concerning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61 respondents (24.4%) were men while 189 respondents (75.6%) were women. In terms of negative perception of gray hair coloring by gender, women were higher than men. In terms of positive perception, no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men and women. Second, in the perception of gray hair coloring, negative perception was higher in ‘women (M=3.73)’ and ‘married (M=3.81)’ in terms of gender and marital status respectively while positive perception was higher in ‘KRW 4-5 million’ in terms of average monthly income. Third, concerning current gray hair coloring patterns, when asked when hair started to go gray, ‘40s’ was most responded with 32.8%. When asked how often they color their hair fully, 36.8% responded, ‘bimonthly or quarterly’. When asked where they usually get hair coloring, ‘beauty salon’ was most responded with 74.0%. When asked why they visit a beauty salon for hair coloring, ‘to prevent scalp and hair damage’ was most responded with 32.8%. When asked what they most consider before gray hair coloring, ‘covering gray hair’ was most responded with 47.6%. When asked if they are willing to color their gray hair provided that such coloring is adjustable according to their personal image, 93.6% responded, ‘Yes’. In terms of willingness to change by age, ‘50s’ was higher than ‘60s or older’. Fourth, regarding color preferences by change in gray hair color, ‘natural brown (30.4%)’ was the highest. In terms of gender, men (42.6%) preferred dark brown while natural brown was most responded in women (32.3%). In terms of brightness of hair color, ‘natural brown (32.0%)’ was the highest. Regarding preferred color for gray-hair coloring, ‘neutral brown (31.2%)’ was most responded. In terms of gender, ‘neutral’ was the highest in men. In women, ‘chestnut’ was mostly responded. In brown color, ‘ash brown’ was most preferred with 46.7%. When asked what made them choose the color, ‘my favorite color’ was most responded with 48%, followed by ‘considering different skin/hair color (34.0%)’. In terms of preferred personal images after gray hair coloring, ‘gentle image (42.6%)’ was preferred in men while elegant and refined images were preferred by women (33.2%). Fifth, regarding satisfaction with gray hair coloring, no difference was found from the perspective of appearance/color in gender, age and marital status. However, there was a big difference in satisfaction by average monthly income. Appearance satisfaction was higher in ‘KRW 3-4 million’.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proposes it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First, in this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gainst 250 adult men and women in their 20-70s living in Jeolla-do, who had gray hair coloring before. Therefore, there are limitations in generalizing the results. It is required to inspect more respondents who had gray hair coloring before in diverse regions. Second, since it is hard to measure the status of gray hair, there are limitations according to personal image changes. It is anticipated that there might be better results with changes in color images provided that a body imag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with hair model, not with image color, bringing in better results. 본 연구는 새치염색의 인식 및 실태와 컬러 이미지 변화에 대한 선호도·만족도에 관한 연구하여 그에 따른 새치컬러 관련 마케팅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전남·북 지역의 새치염색 경험자를 대상으로 20대 이상 70대이하 총 250명을 대상으로 비교분석하였으며, 조사도구는 설문지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 프로그램 SPSS 28.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으로는 남자 61명(24.4%), 여자 189명(75.6%), 이었으며, 새치염색의 대한 인식 중 부정적인 인식은 여자가 남자보다 더 높았고, 긍정적인 인식은 남·여 비슷했다. 둘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새치염색에 대한 인식 차이 결과, 성별 중 여자(M=3.73)가 염색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더 높았고, 결혼여부에 따라서는 기혼이(M=3.81)로 미혼보다 전후 관리 필요성이 높았고, 월평균 소득 400-500만원이 긍정적인 인식이 더 높았다. 셋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새치염색을 실태 차이 결과, 새치염색을 처음 시작한 나이는 전체적으로 40대가 32.8% 높았고, 전체염색의 빈도는 전체적으로 2-3개월에 한번이 36.8% 높았고, 주로 장소는 미용실에서 74.0%로 가장 높았다. 미용실에서 하는 이유는 두피/모발 손상 예방이 32.8% 가장 높았고, 새치염색을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것은 흰머리 커버력이 47.6%로 가장 높았고, 새치염색이 자신의 이미지에 맞게 변화가 가능하다면 바꿀의향이 93.6% 나타났다. 연령은 50대 이하가 60대 이상보다 더 많았다. 넷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새치염색의 이미지변화 컬러 선호도 차이 결과, 현재 모발 색상은 전체적으로 자연갈색(30.4%)이 가장 많았고, 성별로는 남자(42.6%) 어두운 갈색, 여자(32.3%)는 자연갈색이 가장 많았다. 선호하는 모발염색의 밝기는 전체적으로 자연갈색(32.0%)이 가장 많았으며, 새치염색 시 선호하는 컬러는 뉴트럴브라운(31.2%)이 가장 많게 나타났다. 성별로는 남자가 뉴트럴이 가장 많고, 여자가 체스넛이 많았으며, 브라운계열에서는 전체적으로 선호하는 것이 애쉬브라운이 46.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컬러를 선택하는 요인은 자신이 좋아하는 색이 48%, 다음 피부색이나 모발색을 고려하는 34.0% 순으로 많았다. 새치염색 후 선호하는 이미지는 남자가 부드러운 이미지(42.6%)를 선호하였고, 여자가 고급스럽고 세련된 이미지(33.2%)를 선호하였다. 다섯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새치염색 만족도 차이 결과, 성별, 연령, 결혼여부로는 외모적·컬러적으로 만족도 차이는 없으며, 월평균 소득에 따른 만족도에서는 차이가 있었다. 300-400만원이 외모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전남·북 지역에 거주하는 20∼70대 이하 새치염색 경험자를 250명 대상으로 설문조사 표본으로 한정하였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에 한계점이 있으며,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지역과 새치염색 경험자의 대상자를 더 많이 조사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정확한 자신의 새치실태를 측정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미지변화의 결과 한계점이 있으며, 이미지 색상이 아닌 헤어모델로 이미지 설문을 하였다면 컬러 이미지 변화에 대한 도움이 되어 결과가 더 좋았을 것으로 사료된다.

      • 창의성 발달을 위한 아동미술 프로그램 : 평면활동을 중심으로

        김하윤 강릉원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창의성 발달을 위한 아동미술 프로그램 :평면활동을 중심으로 金 何 潤 江陵原州大學校 敎育大學院 美術敎育專攻 우리는 빠르게 변화하는 21세기에 살고 있다. 누구도 예측할 수 없는 미래사회를 살아가려면 무한한 내적자원인 창의력을 지닌 사람만이 자아의 분열을 극복하고 생동적이며 가치 있는 삶으로 나아갈 수 있는 동시에 물질과 정신의 조화를 이루어 미래를 설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현재 우리의 교육 현장에서는 열악한 교육여건, 입시 위주의 그릇된 교육들로 인해 창의력을 저하 시키고 있다. 하지만 가장 큰 원인은 교사에게 있다. 즉 교육의 현장에서 창의성 계발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지만, 창의성 교육을 위한 교육은 어떻게 이루어 져야 하는지 창의성 교육을 위한 자료개발과 수업상황에 대한 지식, 창의성 교육결과 아동들의 창의성 증진에 대한 효과 등을 보다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활동 등에 대한 선행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창의력은 어느 한 순간에 생기는 것이 아니다. 창의력 발달이 가장 활발하게 나타나는 아동기 시기부터 개인의 자유분방함과 개성을 살려주고 창의력을 북돋아 주는 교육에서 비롯된다. 본 연구에서는 아동들이 창의성과 밀접하게 관련이 있는 미술활동을 통해 느끼고, 만져보고, 경험해 봄으로써 스스로 표현활동을 통해서 창의성이 증진되고, 아동의 잠재능력을 표출함으로써 스스로 창조하는 능력을 개발시킬 수 있도록 지도방법을 연구하고, 아동들이 언제 어디서나 쉽게 접할 수 있는 평면활동을 실제 수업에 활용하여, 다양한 재료와 표현기법에 대한 이해와 목표를 설정해주고, 자기 내면의 생각을 자유롭게 상상하여 창의적 표현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유도했다. 그리고 결과물 보다는 작품을 만들어가는 과정과 아동 스스로 표현 할 수 있도록 동기부여를 해주고, 다양한 재료와 표현이 효과적으로 이루어 졌는지 함께 감상해보며 자유롭게 평가하며 점검해 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신감이 부족하고, 소극적인 아동들이 평면활동을 통해 스스로 만족감을 느끼며 자신감을 갖게 되었다. 둘째, 교사의 적절한 동기 유발이 중요하며 그것은 아동의 다양한 표현방법과 연결되었다. 셋째, 잠재 되어 있는 창의성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아동의 본성과 발달단계에 맞는 적절한 주제를 부여해 주어야 한다. 넷째, 아동들이 만들어낸 결과물에 대한 자기평가와 만족도 등을 이야기 해보는 것, 그리고 다른 아동들의 작품 또한 함께 감상해 보는 것이 중요하다. 다섯째, 교사는 아동표현의 특징을 이해하고 격려를 아끼지 말아야 한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연구자는 아동들이 평면활동을 통해 자기표현활동이 조금씩 다양해지고, 스토리텔링이 풍부 해지는걸 느꼈다. 교사의 사전준비와 아동의 발달단계를 고려한 적절한 주제와 지도방법이 아동의 흥미를 자극하고, 그것은 다양한 미술표현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게 되었다.

      • 외식기업의 SNS마케팅 특성이 MZ세대의 고객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 SNS 관여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하윤 호남대학교 사회융합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터넷, 모바일 기기의 발달과 보편화로 SNS 이용자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기업들의 마케팅도 변화되어 가고 있다. 실제적으로 기업들이 SNS를 홍보채널의 수단으로 활용하는 사례는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SNS를 마케팅 전략의 차원에서 고객과 소통하고 실질적인 매출 증대를 위해 활용하고 있으므로 SNS는 중요한 마케팅 채널이라고 할 수 있다. 근래 식품·외식 시장에서 그들만의 가치관과 라이프 스타일로 새로운 트렌드를 형성하며 차세대 소비주도층으로 부상하고 있는 MZ세대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MZ세대는 밀레니얼(Millennials)의 M과 제네레이션(Generation)의 Z가 합쳐진 말로서, 밀레니얼 세대는 1980~2000년대 출생한 세대로 정보기술IT에 능통하며 대학 진학률이 높다는 특징이 있고, Z세대는 1990~2000년대 출생한 세대로 디지털 환경에서 자란 ‘디지털 네이티브’라는 특징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외식기업의 SNS마케팅이 MZ세대의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관여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설문지는 외식기업의 SNS마케팅 특성, 행동의도, 관여도, 인구통계학적 특성까지 4개 항목에 걸쳐 총37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연구 대상은 인구 밀집지역인 서울, 경기 중심으로 살고있는 MZ세대들로 설정하였으며, 명목척도와 리커트 5점 척도를 이용하였다. 총 334부의 설문지를 최종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통해 단순회귀분석과 다중회귀분석, 외계적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식기업의 SNS마케팅 특성 중 정보제공성, 상호작용성, 유희성, 신뢰성은 MZ세대의 재방문의도와 추천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식기업이 SNS에서 MZ세대들에게 기업에 대한 정보, 광고,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MZ세대들에게 신뢰를 형성하고 의사결정에 드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며, 흥미, 최신정보, 서비스 등 이용자들 간의 정보공유 및 의사소통이 즐거움에 대해 스스로 지각하게 만들어 단순 정보가 아닌 가치를 제공하면, 재방문 및 추천에 대한 의도가 높아진다는 것이다. 둘째, 외식기업의 SNS마케팅 특성 중 상호작용성과 신뢰성은 재방문의도 및 추천의도 관계에서, 고관여 집단은 관여도의 조절작용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이 제품을 및 서비스를 홍보하고 광고하는 데만 머무르지 않고 외식기업의 SNS를 통해 다양한 정보를 제공해 줌으로써 고객의 궁금증을 해결해 줌과 동시에 기업의 이미지를 높이는 상호작용성 방향을 택한다면 재방문의도와 추천의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외식기업의 SNS에 관심 및 중요도가 높을수록 기업은 MZ세대에게 상품과 서비스를 넘어선 가치를 제공하고, MZ세대에게 신망을 얻는 것이다. 셋째, 남성보다는 여성, 미혼자보다는 기혼자. 연소득 3500~5000만원 대의 MZ세대들이 강하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구매결정권은 여성에게 달려있으므로 SNS마케팅 타켓은 남성보다는 여성 중심인 MZ세대들에게 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우리는 라이브방송과 같은 양방형 소통의 SNS마케팅을 늘려야하며, 신뢰할 수 있는 진실된 정보를 MZ세대 즉, 소비자들에게 제공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SNS마케팅을 통해 제품이 아닌 가치를 선물하여 단순하게 정보를 제공하는 것보다는 이벤트나 제품에 대한 스토리텔링을 통하여 흥미를 유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 메타버스 미술교육을 위한 메타버스 전시기획 프로그램 개발

        김하윤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메타버스 미술교육을 위한 메타버스 전시기획 프로그램’을 개발한 것이다. 메타버스 미술교육을 통해 4차 산업 시대 흐름에 따라 메타버스라는 새로운 공간에서 미술 활동을 향유하는 미래인재를 육성하는 데에 연구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연구 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메타버스 미술교육을 위한 메타버스 전시기획 프로그램을 어떻게 설계할 것인가? 둘째, 메타버스 미술교육을 위한 메타버스 전시기획 프로그램은 체험, 표현, 감상 영역 측면에서 어떤 교육적 효과가 있는가? 메타버스란 가상공간에서 현실처럼 문화·사회·경제 활동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코로나 팬데믹과 함께 맞물린 메타버스 플랫폼의 보편화는 우리 사회에 많은 영향을 가져왔다. 대표적으로 교육부(2021a)는 디지털 전환을 통한 미래 교육 비전을 정립하기 위하여 ‘디지털 기반 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현시대의 학생들은 디지털 디지털 네이티브(Digital Native) 세대로서, 메타버스에서 현실의 문제를 해결하는 미래인재로서의 역량이 기대된다. 미래에는 학생들이 메타버스라는 가상공간에 문화 활동을 포함한 다양한 활동을 할 것이므로 그에 적합한 미래 교육을 통해 대비할 필요성이 있기 때문이다. 그 결과 현장에서 메타버스 플랫폼을 교육에 활용하는 시도들이 있으며, 메타버스를 활용한 교육 방안과 가능성에 대한 연구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졌다. 미술 교육에서도 메타버스 미술교육의 필요성을 고찰하는 선행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졌다. 메타버스 공간을 활용한 수업을 통해 학생들의 능동적 참여와 몰입도 향상 뿐만 아니라 지각의 확장, 참여적 상호작용성과 내러티브, 창작자로서의 경험 등의 교육적 효과 등을 제시하고 있다. 이를 종합했을 때, 메타버스 미술교육으로 체험 영역의 확장, 표현 도구와 표현 능력의 확장, 자기주도적 감상이라는 교육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메타버스 미술교육 방안을 고찰하는 선행연구도 살펴볼 수 있었다. 주로 가상현실 앱을 활용해 세계 박물관을 체험하는 활동, 가상 3D 공간을 캔버스로 활용하며 새로운 형태의 회화를 표현하는 활동, 학생들의 작품 또는 시대별 화가들의 작품을 가상공간에 전시하는 전시기획 활동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선행 연구들을 분석한 결과 메타버스 미술 교육과 연계한 수업 중 초등 수준에서 활용 가능성이 높은 것은 전시 기획 수업임을 알 수 있었다. 예술 분야에서 전시를 위해 메타버스 공간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어 학생들이 쉽게 체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학생들이 직접 공간을 만들 수 있는 교육용 메타버스 플랫폼이 시중에 많이 나와 있기 때문이다. 한편, 전시 기획 활동은 학습자 중심의 감상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어 중·고등학교 과정에서는 교육과정으로까지 편성되었으나, 초등 수준에서는 시간적·공간적 한계로 활용도가 낮다. 하지만 메타버스 공간에서 전시기획 활동을 하게 된다면 시간적·공간적 한계를 극복하여 교육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시중의 메타버스 전시 체험은 접근성이 높고, 학생들이 전시 공간을 만드는 표현 활동이 가능하며, 자율적으로 작품을 선택하고 서로의 전시를 감상하는 과정에서 자기주도적 감상 활동도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선행연구는 메타버스 공간에서 전시공간을 제작하는 활동의 다양한 교육적 가능성을 제안한다. 하지만, 메타버스 전시기획 수업과 같은 메타버스 미술교육을 직접 실행하고, 그 결과를 분석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메타버스 미술교육을 위한 메타버스 전시기획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행한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경기도 소재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이다. 질적연구로서 관찰, 녹화, 설문, 활동 결과물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II장에서 제시한 메타버스 전시기획 활동의 영역별 교육적 가능성을 바탕으로 체험의 확장이 이루어졌는지, 표현의 확장 이루어졌는지, 자기주도적 감상이 이루어졌는지를 기준으로 분석한다. ‘메타버스 미술교육을 위한 메타버스 전시기획 프로그램’은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세 영역을 바탕으로 두 가지 프로그램으로 구성한다. 체험 영역의 ‘메타버스 전시 체험 프로그램’, 표현·감상 영역의 ‘메타버스 전시기획 프로그램’ 2가지로 총 8차시로 진행된다. ‘메타버스 전시 체험 프로그램’에서는 ‘구글 카드보드’를 통해 시중의 다양한 메타버스 전시를 체험하고, ‘제페토’라는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학급 학생들이 아바타로서 만나 전시에 대한 생각을 공유하는 소통을 체험한다. 그리고 메타버스에 대한 이해를 통해 기술과 예술의 연결을 체험하게 된다. ‘메타버스 전시기획 프로그램’은 실제 전시기획 과정인 계획, 기획, 제작, 진행, 평가의 흐름을 따른다. 계획 및 기획 단계에서 학생들은 전시 주제를 설정하고 작품을 선정하는 과정에서 능동적으로 다양한 작품을 감상하게 된다. 제작 단계에서는 ‘코스페이시스 에듀’라는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하여 전시 공간을 구축하며 화가들의 작품 사진 및 자신이 녹음한 도슨트 파일을 업로드한다. 학생들은 계획단계에서 상상했던 전시를 메타버스 공간에서 구현함으로써 표현 도구 및 표현 능력의 확장이 이루어진다. 진행 단계에서 학생들은 자신의 전시를 소개하고 서로의 전시를 감상하게 된다. 감상 활동 중 ‘패들릿’ 프로그램에 방명록을 남김으로써 상호평가를 하고, 평가를 통한 성찰을 하며 전시를 개선하기 위한 계획을 세운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메타버스 미술교육을 위한 메타버스 전시기획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도출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체험’ 측면에서 활동 결과를 분석하였을 때, 첫째, 신체적 몰입을 통한 지각의 확장이 일어났다. ‘구글 카드보드’를 통한 메타버스 전시 체험 과정의 면담 자료를 분석한 결과, 가상공간에서의 신체적 개입을 통해 새로운 감각과 몰입감을 경험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새로운 사회적 소통을 경험하였다. 메타버스 공간에서 나눈 채팅 및 활동 결과물을 분석한 결과, 가상 공간에서 아바타로서 생각과 느낌을 나눈 경험이 즐거움을 제공하고 멀리 떨어진 친구들과 연결된 느낌을 경험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기술과 예술의 융합적 연결을 경험하였다. 메타버스 개념을 이해하는 과정에서 뿐만 아니라 전시공간 제작 과정에서 코딩을 활용함으로써 기술과 미술의 연결성을 인식하였다. 따라서 현실과 비슷하면서도 다른 가상 공간을 경험함으로써 체험의 확장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표현’ 측면에서 활동 결과를 분석하였을 때, 상상했던 것을 구현하는 범위가 확장됨으로써 표현 도구 및 표현 능력의 확장이 가능해졌다. 설문 자료를 분석한 결과, 학생들은 기존 교실 공간에서 한정된 크기와 재료로 만들었던 것에 비해 상상한 것을 마음껏 만드는 것에 대한 만족감을 드러내고 있다. 또한, 미술표현에 자신감이 없던 학생들도 자신감을 가지고 표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감상’ 측면에서 활동 결과를 분석하였을 때,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참여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첫째, 계획 단계에서 학생들은 미술 교과서를 둘러보며 작품 탐색을 위한 내재적 동기가 강화되었다. 둘째, 제작 단계에서는 작품 설명을 위해 도슨트 대사를 녹음하면서 학습자의 의미 창조를 통한 자기주도적 감상이 이루어졌다. 셋째, 평가 단계에서 상호 피드백을 수용하고 이번 활동 중 자신의 태도를 되돌아본 후 다음 활동은 더 잘 수행하겠다는 자기강화를 통해 자기성찰 태도를 살필 수 있었다. 따라서, 내재적 동기 강화, 학습자의 의미 창조, 자기성찰과 같은 자기주도적 감상 활동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미래 사회에서 요구하는 메타버스 미술교육을 위해 메타버스 전시기획 프로그램을 개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학생들이 메타버스 공간에서 활동하는 과정에서 체험의 확장을 경험하고, 메타버스 공간을 구축하는 과정에서 표현 도구 및 표현 능력의 확장을 경험하며, 작품 선택 및 감상 과정에서 자기주도적인 감상이 이루어졌다는 분석 결과를 도출함으로써 메타버스 전시기획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를 확인했다는 의의가 있다.

      • 게임화(Gamification)를 적용한 종묘제례악 교수ㆍ학습 방안 연구

        김하윤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2015 개정 중학교 음악교과서를 중심으로 종묘제례악 교수ㆍ학습 현황을 고찰하고, 종묘제례악 교수ㆍ학습에 적용하기 적합한 게임화 요소들을 분석하여,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효과적인 학습을 도울 수 있는 중학생 대상의 게임화 적용 종묘제례악 교수ㆍ학습 방안을 제시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첫째, 종묘제례악의 문헌자료를 고찰하고,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및 중학교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종묘제례악의 교수ㆍ학습 내용을 분석하였다. 둘째, 게임화(Gamification)이론을 바탕으로 종묘제례악 교수ㆍ학습에 적합한 게임화 요소를 선택하여 중학생 대상의 종묘제례악 교수ㆍ학습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셋째, 온라인 게임 기반 학습 도구 프로그램인 ‘Kahoot!’(카훗)을 주요 매체로 하여 ‘역사 속 종묘제례악’, ‘종묘제례악 속으로!’, ‘세계 속 종묘제례악’의 세 가지 교수ㆍ학습 방안으로 이루어진 게임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구현하였다. ‘역사 속 종묘제례악’은 종묘제례악의 역사ㆍ문화적 배경에 대한 이해와 종묘제례 및 종묘제례악에 대한 개괄적 이해를 돕는 교수ㆍ학습 방안으로, 학습 목표를 역사적 배경 속에서 종묘제례 및 종묘제례악의 특징을 이해할 수 있다로 하여, 영상자료 및 카훗 슬라이드, 퀴즈를 활용한 강의식 수업으로 진행된다. ‘종묘제례악 속으로!’는 학습 목표를 종묘제례악을 이루는 가ㆍ무ㆍ악 요소를 이해하고 이를 노래, 신체, 악기연주로 표현할 수 있다로 설정하고, 스토리(서사), 협력, 미션, 보상, 성취, 경쟁, 피드백 등의 게임화 요소를 적용한 카훗 컨텐츠로 설계하였다. 학생들은 시나리오 속 주인공이 되어 미션화 한 종묘제례악 학습활동에 게임하며 참여한다. 미션은 종묘제례악을 이루는 세가지 요소인 가ㆍ무ㆍ악의 각 요소별 미션 및 가무악 통합 미션으로 구성하였다. ‘세계 속 종묘제례악’은 ‘문화유산으로서의 종묘제례악의 가치를 이해하고 소개할 수 있다.’를 학습 목표로 한, 조별 토론과 발표 중심의 참여형 수업으로 구성하였다. 학생들은 토론하며 인터뷰 형식의 활동지를 작성하고, 역할극을 진행한다. 제시한 게임화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해, 중학교 1학년 및 3학년 50명을 대상으로 ‘종묘제례악 속으로!’를 적용한 음악 수업을 진행하고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분석 결과, 참여 학생 중 약 90%가 게임화 프로그램을 통한 종묘제례악 학습에 흥미 및 재미를 느꼈고, 약 80%가 종묘제례악을 효과적으로 이해하고 학습하는 것에 유의미한 도움을 받았다고 답하였다. This study suggested teaching-learning program of Jongmyo Jeryeak applying gamifica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by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of schooling ‘Jongmyo Jeryeak’ and applying suitable gamification factors for teaching Jongmyo Jeryeak. First, examination on Jongmyo Jeryeak was done with literature materials. Improvements in the contents of Jongmyo Jeryeak in middle school music textbooks were proposed based on and the learning contents of 2015 revised music curriculum. Next, with the analysis of the ‘Gamification’ theory, Jongmyo Jeryeak schooling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were designed by applying gamification elements suitable for teaching Jongmyo Jeryeak. Finally, with the online game-based learning tool program ‘Kahoot!’ as the main medium, a gamification program consisting of three goals: ‘Jongmyo Jeryeak in History’, ‘Into Jongmyo Jeryeak!’, ‘Jongmyo Jeryeak in the World’ was implemented and presented. ‘Jongmyo Jeryeak in History’ is a teaching method to help understand the historical, cultural background, and general understandings of Jongmyo Jeryeak. With the goal of learning "The characteristics of Jongmyo Jerye and Jongmyo Jeryeak can be understood in historical background.", it was conducted as a lecture-style class using video materials, kahoot slides, and quizzes. ‘Into Jongmyo Jeryeak!’ was designed as a kahoot content with gamification elements, such as story, cooperation, mission, reward, achievement, competition, and feedback. students become the main characters in the scenario and participate in the Jongmyo Jeryeak learning activities. This helps students to understand the three elements of Jongmyo Jeryeak, which are song, dance and music, and express them with songs,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s, and body. Each mission is consisted of ‘Song’, ‘Dance’, and ‘Music’, and the integration of them. ‘Jongmyo Jeryeak in the World’ is a participatory class centered on group discussions and presentations. The course which is composed of group discussions, interview-type activity sheets and role plays helps students understand the value of Jongmyo Jeryeak and introduce it as cultural heritage. In order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the presented program, a survey was conducted on 50 students first and third graders of middle school. As a result of the survey analysis, about 90% of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learning of Jongmyo Jeryeak through the gamification program were interested, and about 80% said they received significant help in learning Jongmyo Jeryeak.

      • 건설공사 안전관리비 산정 모델 개발

        김하윤 인하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건설기술진흥법」안전관리비는 건설공사 수행 시 시설물 안전 및 사업장 외부 시민안전과 관련하여 안전관리계획에 따른 안전관리가 적절히 이행되도록 하는데 필수적인 비용이며, 안전사고 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현행 안전관리비 계상 방법은 세부 기준이 규정되어 있지 않고 시공자의 재량에 따라 사용 가능 금액을 계상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시공자의 재량에만 의존하여 제한된 시간과 인력으로 안전관리비 모든 항목에 대해 건설현장의 특성을 충분히 고려한 안전관리비를 산정하기에는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선행 연구 분석 결과, 대부분의 선행 연구에서는 현행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계상 방법과 동일하게 공사종류와 공사비만을 영향요인으로 고려하고 있으나, 각 안전관리 비용의 목적과 사용기준이 상이함에 따라 산업안전보건관리비의 계상 방법을 안전관리비 계상에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합리적이지 못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건설기술진흥법」안전관리비의 주요 영향요인을 도출하고,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건설현장의 특성을 고려한 적정 안전관리비를 산정하는 모델을 개발 및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안전관리비 산정 모델과 산정 방법론의 활용을 통해 시공자는 건설현장의 다양한 특성이 고려된 적정 안전관리비를 쉽게 산정하여 확보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안전관리 예산을 편성 및 운영하여 안전사고를 효율적으로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성공한 지역공동체를 위한 창조적 장소 만들기: 목포 ‘괜찮아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김하윤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창조적 장소로서의 지역공동체가 지역사회에 미친 역할과 의미에 관한 연구이다. 사례로 삼은 목포 ‘괜찮아 마을’은 청년들이 자의적으로 원도심에 방치된 유휴공간을 활용하여 만든 창의적인 대안공간이라는 점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이들을 통해 창조적 장소와 성공한 공동체의 특성을 살펴보고, 지역사회에서 청년공동체가 나아갈 바람직한 방향을 논의하였다. 현재 대한민국은 수도권과 대도시를 중심으로 인구 밀집 현상이 심각한 상태에 이르러 주거, 고용, 교육 등 다양한 문제가 사회적으로 크게 대두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에서는 지방으로 인구 분산을 위해 주거 지원, 일자리 창출, 청년 지원 등 다양한 정책을 내놓고 있으나 실제로 뚜렷한 효과가 나타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현실적, 경제적인 문제의 대안도 중요하지만, 지역이 좀 더 매력적인 장소로 떠오를 수 있는 대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그 대안으로 지역의 문화와 예술성이 담긴 창조적 장소 만들기를 통해 지역사회와 소통이 활발하고, 경제적으로 지속 가능한 성공한 공동체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창조적 장소 만들기를 통한 성공한 공동체로서 ‘괜찮아마을’를 선정하고, 주요 이해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문헌연구를 통해 창조적 장소와 성공한 지역공동체의 특징적 요소들을 도출해 분석틀을 만들었다. 그 후 이해관계자 심층 인터뷰와 참여 관찰을 진행하였으며, 분석틀을 토대로 연구자료를 분석하여 괜찮아마을이 갖는 특성과 의미를 연구하였다. 이를 통해 창조적 장소와 성공한 공동체 사이의 상관관계를 밝히고, 그 중요성과 필요성을 시사하여 앞으로 지역에서 청년공동체가 앞으로 지향해야 할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role and meaning of the local community as a creative place. I conducted a case study of Mokpo’s Don’t Worry Village, which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creative alternative space in abandoned place in the city’s original downtown. I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creative places and successful communities and discuss desirable directions for youth in the local community. Currently, Korea has a population density problem in the capital area and other big cities, which has posed various problems in housing, employment, and education. In order to address these problems, the government is proposing to disperse the population to the provinces and offering various supporting policies in housing, job creation, and youth programs. However, there is little discernible effect from these initiatives. Therefore, while realistic and economical solutions are important, there is a need for interventions that present a region as a positive and attractive choice for prospective residents. In this study I present a model for a successful, economically sustainable community that utilizes local culture and artistry for creative placemaking. Accordingly, Don’t Worry Village was selected as a successful example of the constitution of community through creative placemaking. I created an analytical framework through a literature review on the characteristic elements of creative places and successful local communities. Based on this framework, I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Don’t Worry Village and conducted close observation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stakeholders. My findings strongly suggest a clear correlation between creative places and successful communities, identify the challenges facing the youth community, and provide insight into the path forward.

      • 이상적 욕망 추구를 위한 채색화 연구 : 본인작품을 중심으로

        김하윤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사람은 자기표현의 욕구를 가지고 있다. 본 논문은 더 나은 나를 꿈꾸는 본인의 욕망을 다룬 본인 작품을 분석한 것으로 자화적 표현의 형상인 치타가 바로‘이상적인 욕망’의 상징이다. 욕망은 긍정적인 측면에서 삶의 원동력과 활력을 가져다주지만 사회적 물의를 일으키는 부정적인 측면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욕망을 어떻게 바라보고 활용해야 하는지 동양철학과 서양철학의 이론을 바탕으로 본인 작품의 창작의도를 알아볼 것이다. 동양철학은 일원론적 사유에 기초하여 변화와 직관을 강조하고 물질보다 정신을 중요시 여기며 유기체적 통합을 주장하는 특징이 있다. 때문에 생성론을 기반으로 노자가 말하는 도의 관점에서 무위자연의 미와 맹자가 말하는 양기설의 핵심인 호연지기를 작품형성의 이론적 근거로 삼았다. 더불어 서양철학으로는 존재론을 비판하고 생성을 강조한 니체의 힘의 의지와 위버멘쉬를 근거로 작품을 분석하였다. 선행연구로 니체의 사상에서 동양철학의 생성중심적인 성격과 유사점을 찾을 수 있었으며, 본인이 추구하는 욕망의 방향성에 깊이를 더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본인작품은 생성 중심적 성격을 띠고 있으며, 우리의 삶에 건강한 의욕을 불러오는 동력으로써 ‘욕망’을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있다. 욕망에 대한 과도한 억제나 억압은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욕망을 적절히 활용하여 인생의 좋은 동반자로 함께 할 것을 주장한다. 본 논문을 통해 이러한 생각을 본인 작품의 특징으로 구체화 시켜 이상적인 욕망추구에 대한 주제의식과 표현방법에 객관성을 더했다. People have a desire for self-expression. This study analyzes my work dealing with my desire to become a better me, a cheetah, the figure of self-portrait expression, is the symbol of 'ideal desire.' The desire brings dynamic and vitality to life in a positive way. However, it can also be interpreted as a negative aspect that could cause social controversy. This study will investigate the creative intention of my work based on the theories of Eastern and Western philosophy to view and utilize these desires. Eastern philosophy emphasizes change and intuition based on monistic thinking, values spirit over matter, and insists on organic integration. Therefore, based on generative theory, Lao-tzu's claim on the aesthetics of the idleness naturalism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ao and Mencius' claim on vast-flowing spirit, the core of the Yangqi (Mencius' mental training method), were used as the theoretical basis for the formation of the work. In addition, as for Western philosophy, the work was analyzed based on Nietzsche's will of power, which criticized ontology and emphasized creation, and Ubermensch. Through my previous studies, it was possible to find similarities with the generative-centered nature of Eastern philosophy in Nietzsche's thoughts, and I was able to add depth to the direction of desire that I pursue. Therefore, my work has generative-centered nature, and I view 'desire' positively as a driving force that brings a healthy will to our lives. Excessive suppression or repression of desire could lead to negative results, so I insist on using desire appropriately and making it a good companion in life. Through this study, I have materialized these thoughts as the characteristics of my work, adding objectivity to the subject consciousness and expression methods for the pursuit of ideal desires.

      • 칼슘채널차단제 시장에서 촉진이 제약회사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하윤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칼슘채널차단제 시장을 분석하고, 칼슘채널차단제의 마케팅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촉진 변수와 촉진외 변수에 대해 조사하였다. 그리고 칼슘채널차단제를 판매하는 제약회사의 촉진이 의약품의 성과(시장점유율, 성장률, 매출량, 용법을 보정한 매출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행하였다. 2002년 7월부터 2003년 6월까지의 기간동안 칼슘채널차단제를 판매하는 40개의 제약회사의 마케팅 담당자를 대상으로 본 연구 대상 제품에 대해 광고, 인적판매, 판매촉진, 홍보, 직접마케팅 등의 촉진 활용 여부에 대해 설문 조사하였다. 그리고 같은 기간동안의 칼슘채널차단제의 매출액, 출시년도는 IMS Data를 이용하였으며, 촉진 이외의 요인에 대해서는 대한민국의약품정보센터(www.kimsonline.co.kr)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0.0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칼슘채널차단제의 시장 및 조사 대상 의약품의 특징에 대해서는 실수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정리하였다. 그리고 촉진과 제약회사의 성과와의 관계는 다중선형회귀분석을 하였다. 분석의 종속변수는 제약회사의 성과(시장점유율, 성장률, 매출량, 용법을 보정한 매출량)로 정하였다. 독립변수는 촉진 변수와 촉진외 변수로 분류하였으며, 촉진 변수로는 광고(전문지, 학회지, 온라인 매체에 광고 여부), 인적판매(총 인적판매원수), 직접마케팅(Direct mail 및 인터넷 마케팅 사용 여부), 판매촉진(세미나, 심포지엄, 판촉물 제작, 학술행사 후원 및 전시, 임상시험, 의약품재심사, 기타 사용 여부), 홍보(홍보 활동 여부)로 선정하였다. 독립변수 중 촉진외 변수로는 출시년도, 가격, 용법, 의약품의 분류(일반명 의약품, 상품명 의약품), 의약품의 제조회사의 분류(국내제약회사, 외국계제약회사)로 정하였다. 연구 결과, 칼슘채널차단제 시장의 집중도는 높지 않았으며, 경쟁은 심하였다. 조사 기간 동안 칼슘채널차단제를 판매하는 58개 제약회사 중 40개 제품의 일반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일반명 의약품의 비율은 65%, 국내 제약회사의 제품의 비율이 90%였다. 제품의 평균 출시년도는 7.8(±5.4)년, 제품의 평균가격은 264.3(±212.2)원이었다. 조사 대상 의약품의 용법은 1일 3회, 1일 1회의 비율이 각 37.5%였다. 분석 결과, 제약회사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촉진은 판매촉진, 홍보, 직접마케팅이었고, 인적판매 및 광고는 제약회사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적거나 없었다. 본 연구 결과는 칼슘채널차단제의 판매에서는 상업적이고 직접적인 광고와 인적판매원을 통한 촉진보다는 학술적인 판매촉진, 선택적인 직접마케팅 그리고 신뢰성 있으면서, 간접적인 홍보가 효율적인 촉진이었다. 제약회사의 효율적인 촉진은 효율적인 의약품 생산 및 판매 그리고, 나아가 제약 산업의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arket of Ca-channel blockers and to verify factors which affects performance of pharmaceutical company. The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 IMS Data, Internet site. 40 marketers of Ca-channel blokers were asked how to promote the product by telephone and e-mail. The data of sales and launching date were gathered by IMS Data. The data of other factors were collected by www.kimsonline.co.kr. The data were processed with SPSS 10.0. Descriptive analysis was used to deline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rket and product of Ca-channel. Multiple-regression was employed to analyze the relation between promotion and all the dependent variables. Dependent variables of the analysis were market share, growth rate, sales quantity and quantity corrected by usage. Explanatory variables were divided into promotion and others. Explanatory variables related to promotion were advertisement, personal selling, direct marketing, sales promotion and public relation. Other explanatory variables were launching date, price, usage, class of the product, manufacturer. The result are as follows. The concentration was not high and the competition was very keen in Ca-channel blocker marke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40 products researched were as follows. 65% of them was generic drug and 90% of them was made by local pharmaceutical company. The mean of period after the product had been launched was 7.8(±5.4)year. The mean of price was 264.3(±212.2)won. The proportion of usage of once a day was 37.5% and that of three times a day was so. The result of analysis was that promotion factors which affect on performance of pharmaceutical were sales promotion, public relation and direct marketing. Personal sales and advertisement did not influence on the performance of pharmaceutical company. This result of study meant that effective promotion were sales promotion, public relation and direct marketing which were scientific, selective, credible and indirect in the Ca-channel blocker market. The effective promotion will contribute to effective production and sales of drug and strengthen competitiveness of the pharmaceutical indus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