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이승만의 기독교 국가건설 연구 : 없음

        김필자 백석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ABSTRACT A Study on The ‘Christian State Construction’ of Syngman Rhee Pil-Ja Kim Major in Historical Theology Graduate School of Christian Studies Baekseok University This researcher studied the ‘Christian State Construction Theory’ of Dr. Syngman Rhee, well-known as the founding president who led the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the Republic of Korea. Research on Syngman Rhee so far has highlighted Syngman Rhee as a politician. However, Syngman Rhee's vision, which dominated his thoughts and life as a born-again Christian, was in the ‘Christian State Construction Theory’, which builds the Republic of Korea based on Christian faith. Therefore, it is impossible to understand Syngman Rhee's political ideology except for ‘Christian State Construction Theory’. The 「Spirit of Independence」, written by Syngman Rhee in Hanseong Prison on June 29, 1904, contains the gist of the ‘Christian State Construction Theory’. : “People in civilized countries of the world have taken Christianity as the foundation of their society, and as a result, even ordinary people have reached a high moral level. Now, our country is trying to get up from where it has fallen and try to sprout from a rotten place. Without Christianity as the foundation, even if we make contact with the whole world, we will not get any real benefit. ... Therefore, with Christianity as the root of everything we do, we should do our best to become people who work for others rather than ourselves, and support the country with one mind so that our country can reach the same level as England and the United States.” This thesis aims to reveal the identity of Syngman Rhee as a believer rather than an educator and politician. For Syngman Rhee, I intend to prove that education and politics were merely means to accomplish God's will. First, if Syngman Rhee's thoughts could be expressed in one word, it would be the ‘Christian State Construction Theory’. He came to this conclusion because he clearly experienced a Christian conversion where he met God dramatically in the Hanseong Prison amid the desperate circumstances of the death sentence. In addition, the reason why the United States and Britain became great powers and civilized countries in the world is because Syngman Rhee realized that it was possible because they followed the teachings of Christianity and believed in God. So, he firmly believed that in order for our nation to become a powerful and civilized nation, it must become a Christian nation. Therefore, Syngman Rhee recognized the vision of making Korea ‘the first Christian nation in the East’ as God's calling. Second, Syngman Rhee paid attention to education based on Christian thought as a means to achieve the ‘Christian State Construction Theory’ given to him as God's calling. He was convinced that only education based on Christian thought was the driving force to awaken this nation and become advanced citizens. So, after his conversion, he opened a prison school in Hanseong Prison, operated a library, and wrote a book called the 「Spirit of Independence」 in prison, trying to realize the ‘Christian State Construction Theory’ through education based on Christian faith. His passion for Christian education is also evidenced by the fact that he founded Christian educational institutions such as ‘Korean Central School’ and the ‘Korean Christian Institute’ during the decades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United States to inspire national consciousness and the spirit of independence. In fact, Syngman Rhee obtained a master's degree in political science from Harvard University and a doctorate in political science from Princeton University, thereby further solidifying the academic theory of ‘Christian State Construction’. Third, Syngman Rhee paid attention to politics based on Christian thought as a means to achieve the ‘Christian State Construction Theory’ given to him as God's calling. Syngman Rhee came to realize that Christianity teaches the ideology of ‘natural human rights’ that contains the concepts of ‘freedom’ and ‘equality’ of the individual. And based on these individual ‘freedom’ and ‘equality’, he asserted that the world order based on the ‘Elements of International Law’ is the Christian spirit. Here, the ‘Elements of International Law’ is a theory that seeks to preserve equal interests and rights for all nations and peoples of the world in accordance with natural principles and recognition. Syngman Rhee recognized the ‘Elements of International Law’ as a practical means for protecting the sovereignty of the weaker countries because if all mankind followed the ‘Elements of International Law’, a powerful country would not oppress and dominate a weak country. And Syngman Rhee rejected the communist ideology that opposes God and was convinced that liberal democracy, the American political system, is a political system close to the ‘Elements of International Law’. So, Syngman Rhee thought that the political system of the new Republic of Korea should be liberal democracy, not communism. Fourth, Syngman Rhee clearly recognized that the purpose of world missionary work was to achieve the ‘Christian State Construction Theory’ given to him as God's vocation. Syngman Rhee, not a nominal Christian, but a born-again Christian, attended church services every week and did not neglect to read the Bible and pray every day. Most scholars who study Syngman Rhee tend to evaluate Syngman Rhee only as an educator and politician. However, the most important fact that we should never overlook here is that Syngman Rhee had a great vision for evangelism and missions as a Christian. Syngman Rhee's reason for the Republic of Korea to become a great power through education, politics, and economy is to spread the gospel to the whole world. In fact, the purpose of the ‘Christian State Construction Theory’ argued by Syngman Rhee was that the Republic of Korea would send numerous missionaries to the world so that the whole world could enjoy God's blessings through the gospel. Indeed, Syngman Rhee's amazing spiritual insight reveals his true nature as a biblical believer. 국문초록 본 연구자는 대한민국 근현대사를 이끌었던 건국대통령으로 잘 알려진 우남 이승만 박사의 ‘기독교 국가건설론’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승만에 대한 지금까지의 연구는 정치가로서의 이승만을 부각시켰다. 하지만 이승만은 거듭난 기독교인으로서 그의 사상과 삶을 지배하였던 비전은 대한민국을 기독교 신앙에 기초하여 건설하는 ‘기독교 국가건설론’에 있었다. 그러니까 이승만의 ‘기독교 국가건설론’을 빼고, 그의 정치사상을 이해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1904년 6월 29일 한성감옥 안에서 이승만이 집필한 『독립정신(獨立精神)』(The Spirit of Independence)에 ‘기독교 국가건설론’의 요지가 들어있다: “세계 문명국 사람들이 기독교를 사회의 근본으로 삼고 있으며, 그 결과 일반 백성들까지 높은 도덕적 수준에 이른 것이다. 지금 우리나라가 쓰러진 데서 일어나려 하며 썩은 곳에서 싹을 틔우고자 애쓰고 있는데, 기독교를 근본으로 삼지 않고는 온 세계와 접촉할지라도 참된 이익을 얻지 못할 것이다. ⋯ 그러므로 우리가 기독교를 모든 일의 근원으로 삼아 자기 자신보다 다른 사람을 위해 일하는 자가 되어 나라를 한마음으로써 받들어 우리나라를 영국과 미국처럼 동등한 수준에 이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은 이승만의 정체성이 교육가와 정치가이기 이전에 신앙인임을 드러내는 데 있다. 이승만에게 있어서 교육과 정치는 기독교 국가건설론을 이루기 위한 수단에 불과했음을 본 논문에서 입증하고자 한다. 첫째, 이승만의 사상을 한마디로 표현한다면 그것은 ‘기독교 국가건설론’이다. 그가 이런 결론에 도달한 것은 사형언도가 내려진 절체절명의 상황 가운데 한성감옥에서 하나님을 극적으로 만나는 기독교적 회심을 뚜렷하게 경험했기 때문이다. 이와 더불어 미국과 영국이 세계에서 강대국과 문명국이 된 이유는 저들 나라가 기독교의 가르침을 따라 하나님을 잘 믿었기에 가능했다는 사실을 이승만이 깨달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우리 민족이 강대국과 문명국이 되려면 반드시 기독교 국가가 되어야 한다고 그는 확고하게 믿었다. 그래서 이승만은 우리나라를 ‘동양 최초의 예수교 나라’로 만들겠다는 비전을 하나님의 소명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이승만은 하나님의 소명으로서 자신에게 주어진 ‘기독교 국가건설론’을 성취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기독교 사상에 근거한 교육에 주목하였다. 기독교 사상에 근거한 교육만이 이 민족을 각성시키고 선진 시민과 국민이 되도록 만드는 원동력이라고 그는 확신하였다. 그래서 그는 회심 이후 한성감옥에서 옥중 학교를 개설하고 도서관을 운영하며, 옥중에서 『독립정신』이라는 책을 집필하여 기독교 신앙에 근거한 교육을 통해 ‘기독교 국가건설론’을 실현하고자 힘썼다. 그의 기독교교육에 대한 열정은 그가 미국에서 독립운동을 전개하던 수십 년 동안 ‘한인중앙학원’과 ‘한인기독학원’ 등의 기독교 교육기관을 설립하여 민족의식과 독립정신을 고취시켰다는 사실을 통해서도 입증된다. 실제로 이승만은 하버드 정치학 석사와 프린스턴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여 ‘기독교 국가건설론’의 학문적 이론을 더욱 견고하게 확립하였다. 셋째, 이승만은 하나님의 소명으로서 자신에게 주어진 ‘기독교 국가건설론’을 성취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기독교 사상에 근거한 정치에 주목하였다. 이승만은 기독교가 개인의 ‘자유’와 ‘평등’이라는 개념을 담은 ‘천부인권’ 사상을 가르치고 있음을 깨닫게 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개인의 ‘자유’와 ‘평등’에 근거하여 ‘만국공법’(萬國公法, Elements of International Law)에 의한 세계 질서가 기독교 정신임을 주장하였다. 여기서 ‘만국공법’이란 천리와 인정을 따라 세계 만국과 만민들이 똑같이 균등한 이익과 권리를 보전하도록 하자는 이론이다. 만일 온 인류가 ‘만국공법’을 따른다면 강대국이 약소국을 억압하고 지배하는 일은 없을 것이기 때문에, 이승만은 만국공법(萬國公法)을 약소국의 국권수호를 위한 현실적 수단으로 인식하였다. 그리고 이승만은 하나님을 대적하는 공산주의 사상을 배격하고, 미국의 정치제도인 자유민주주의가 만국공법에 근접한 정치제도라고 확신하였다. 그래서 이승만은 신생 대한민국의 정치제도는 공산주의가 아닌 자유민주주의여야만 된다고 생각했다. 넷째, 이승만은 하나님의 소명으로서 자신에게 주어진 ‘기독교 국가건설론’을 성취하기 위한 목적이 세계선교에 있음을 분명히 인식하였다. 이승만은 명목적인 기독교인이 아니라 거듭난 기독교인으로서, 매주 교회 예배에 참석하고, 매일 성경 읽기와 기도를 게을리 하지 않았다. 이승만을 연구하는 대다수의 학자들은 이승만을 교육가와 정치가로만 평가하려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여기서 결코 우리가 간과해서는 안 될 가장 중요한 사실은 이승만이 기독교인으로서 전도와 선교에 큰 비전을 품고 있었다는 것이다. 이승만은 대한민국이 교육과 정치 및 경제를 통하여 강대국이 되어야 하는 이유는 온 세상에 복음을 전파하는 데 있다고 그가 한성감옥에서 집필한 『독립정신』에 잘 표현되어 있다. 사실 이승만이 주장하였던 ‘기독교 국가건설론’의 목적은 대한민국이 세계에 수많은 선교사를 파송하여, 복음으로 온 세상이 하나님의 복을 누리게 하는 것이었다. 참으로 이승만의 이러한 놀라운 영적 통찰력은 성경적 신앙인으로서의 진면목을 드러낸다. 본 연구자는 대한민국 근현대사를 이끌었던 건국대통령으로 잘 알려진 우남 이승만 박사의 ‘기독교 국가건설론’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승만에 대한 지금까지의 연구는 정치가로서의 이승만을 부각시켰다. 하지만 이승만은 거듭난 기독교인으로서 그의 사상과 삶을 지배하였던 비전은 대한민국을 기독교 신앙에 기초하여 건설하는 ‘기독교 국가건설론’에 있었다. 그러니까 이승만의 ‘기독교 국가건설론’을 빼고, 그의 정치사상을 이해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1904년 6월 29일 한성감옥 안에서 이승만이 집필한 『독립정신(獨立精神)』(The Spirit of Independence)에 ‘기독교 국가건설론’의 요지가 들어있다: “세계 문명국 사람들이 기독교를 사회의 근본으로 삼고 있으며, 그 결과 일반 백성들까지 높은 도덕적 수준에 이른 것이다. 지금 우리나라가 쓰러진 데서 일어나려 하며 썩은 곳에서 싹을 틔우고자 애쓰고 있는데, 기독교를 근본으로 삼지 않고는 온 세계와 접촉할지라도 참된 이익을 얻지 못할 것이다. ⋯ 그러므로 우리가 기독교를 모든 일의 근원으로 삼아 자기 자신보다 다른 사람을 위해 일하는 자가 되어 나라를 한마음으로써 받들어 우리나라를 영국과 미국처럼 동등한 수준에 이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은 이승만의 정체성이 교육가와 정치가이기 이전에 신앙인임을 드러내는 데 있다. 이승만에게 있어서 교육과 정치는 기독교 국가건설론을 이루기 위한 수단에 불과했음을 본 논문에서 입증하고자 한다. 첫째, 이승만의 사상을 한마디로 표현한다면 그것은 ‘기독교 국가건설론’이다. 그가 이런 결론에 도달한 것은 사형언도가 내려진 절체절명의 상황 가운데 한성감옥에서 하나님을 극적으로 만나는 기독교적 회심을 뚜렷하게 경험했기 때문이다. 이와 더불어 미국과 영국이 세계에서 강대국과 문명국이 된 이유는 저들 나라가 기독교의 가르침을 따라 하나님을 잘 믿었기에 가능했다는 사실을 이승만이 깨달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우리 민족이 강대국과 문명국이 되려면 반드시 기독교 국가가 되어야 한다고 그는 확고하게 믿었다. 그래서 이승만은 우리나라를 ‘동양 최초의 예수교 나라’로 만들겠다는 비전을 하나님의 소명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이승만은 하나님의 소명으로서 자신에게 주어진 ‘기독교 국가건설론’을 성취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기독교 사상에 근거한 교육에 주목하였다. 기독교 사상에 근거한 교육만이 이 민족을 각성시키고 선진 시민과 국민이 되도록 만드는 원동력이라고 그는 확신하였다. 그래서 그는 회심 이후 한성감옥에서 옥중 학교를 개설하고 도서관을 운영하며, 옥중에서 『독립정신』이라는 책을 집필하여 기독교 신앙에 근거한 교육을 통해 ‘기독교 국가건설론’을 실현하고자 힘썼다. 그의 기독교교육에 대한 열정은 그가 미국에서 독립운동을 전개하던 수십 년 동안 ‘한인중앙학원’과 ‘한인기독학원’ 등의 기독교 교육기관을 설립하여 민족의식과 독립정신을 고취시켰다는 사실을 통해서도 입증된다. 실제로 이승만은 하버드 정치학 석사와 프린스턴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여 ‘기독교 국가건설론’의 학문적 이론을 더욱 견고하게 확립하였다. 셋째, 이승만은 하나님의 소명으로서 자신에게 주어진 ‘기독교 국가건설론’을 성취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기독교 사상에 근거한 정치에 주목하였다. 이승만은 기독교가 개인의 ‘자유’와 ‘평등’이라는 개념을 담은 ‘천부인권’ 사상을 가르치고 있음을 깨닫게 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개인의 ‘자유’와 ‘평등’에 근거하여 ‘만국공법’(萬國公法, Elements of International Law)에 의한 세계 질서가 기독교 정신임을 주장하였다. 여기서 ‘만국공법’이란 천리와 인정을 따라 세계 만국과 만민들이 똑같이 균등한 이익과 권리를 보전하도록 하자는 이론이다. 만일 온 인류가 ‘만국공법’을 따른다면 강대국이 약소국을 억압하고 지배하는 일은 없을 것이기 때문에, 이승만은 만국공법(萬國公法)을 약소국의 국권수호를 위한 현실적 수단으로 인식하였다. 그리고 이승만은 하나님을 대적하는 공산주의 사상을 배격하고, 미국의 정치제도인 자유민주주의가 만국공법에 근접한 정치제도라고 확신하였다. 그래서 이승만은 신생 대한민국의 정치제도는 공산주의가 아닌 자유민주주의여야만 된다고 생각했다. 넷째, 이승만은 하나님의 소명으로서 자신에게 주어진 ‘기독교 국가건설론’을 성취하기 위한 목적이 세계선교에 있음을 분명히 인식하였다. 이승만은 명목적인 기독교인이 아니라 거듭난 기독교인으로서, 매주 교회 예배에 참석하고, 매일 성경 읽기와 기도를 게을리 하지 않았다. 이승만을 연구하는 대다수의 학자들은 이승만을 교육가와 정치가로만 평가하려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여기서 결코 우리가 간과해서는 안 될 가장 중요한 사실은 이승만이 기독교인으로서 전도와 선교에 큰 비전을 품고 있었다는 것이다. 이승만은 대한민국이 교육과 정치 및 경제를 통하여 강대국이 되어야 하는 이유는 온 세상에 복음을 전파하는 데 있다고 그가 한성감옥에서 집필한 『독립정신』에 잘 표현되어 있다. 사실 이승만이 주장하였던 ‘기독교 국가건설론’의 목적은 대한민국이 세계에 수많은 선교사를 파송하여, 복음으로 온 세상이 하나님의 복을 누리게 하는 것이었다. 참으로 이승만의 이러한 놀라운 영적 통찰력은 성경적 신앙인으로서의 진면목을 드러낸다.

      • 그림책을 활용한 역할놀이가 영아의 정서지능 및 친사회적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필자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만 2세 영아들을 대상으로 그림책을 활용한 역할놀이가 영아의 정서지능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 대상은 경기도 P시에 위치한 B어린이집과 Y어린이집 만 2세 영아 28명이다. 실험집단은 그림책을 활용한 역할놀이에 참여하였고, 통제집단은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한 그림책 읽기 활동을 실시하였다. 실험 처치는 2018년 3월 26일 ∼ 2018년 5월 18일까지 총 8주에 걸쳐 주2회, 총 16회기의 실험처치를 실시하였다. 영아의 정서지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김경희(1998)가 제작한 교사용 유아 정서지능 평정척도를 만 2세 영아용으로 수정 보완한 김효진(2005)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친사회적 행동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Mcginnis 와 Goldstein(1990)이 제작한 교사용 친사회적 행동평정척도를 유은정(2010)이 영아용으로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수집된 자료는 SPSS for Win 24.0을 사용하였고, 사전-사후 검사결과를 비모수 검증인 Wilcoxon signed rank 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책을 활용한 역할놀이 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정서지능의 하위요인에 있어서 대인관계기술(또래)를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림책을 활용한 역할놀이 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영아는 정서지능의 하위요인인 자기정서의 인식 및 표현, 정서조절 및 충동억제, 자기정서 이용, 타인정서의 인식 및 배려, 대인관계기술(성인)에 통제 집단 영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그림책을 활용한 역할놀이 활동은 영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책을 활용한 역할놀이 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친사회적 행동의 하위요인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림책을 활용한 역할놀이 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 영아는 친사회적 행동의 하위요인인 사회생활 기본 능력, 기관적응 능력, 친구관계 다루기, 감정 다루기, 비공격적 대처함, 스트레스 다루기에 있어 통제집단 영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하여 영아의 정서지능과 친사회적 행동을 발달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역할놀이 활동을 개발함으로써 현장에서 영아를 위해 적용할 수 있는 풍부한 교육활동을 제공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ole play using picture books on infant 's emotional intelligence and pro-social behavio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8 two-year-old infants in B nursery school and Y nursery school located in P city, Gyeonggi-do.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role play using the picture book and the control group read the picture book based on the standard child care course. The experimental procedure was performed twice a week for 8 weeks from March 26, 2018 to May 18, 2018, a total of 16 sessions. In order to measure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infants, Kim Hyo-jin's tool(2005) was used, which modified and supplemented “A Measurement of Childhood Emotional Intelligence for Teachers” by Kim Kyung-hee(1998) for two-year-old infants. Also, To measure pro-social behavior, Yoon Eun-jung’ tool (2010)was used, which revised “ A measurement of pro-social behavior ” by Mcginnis And Goldstein (1990) for infants. The SPSS for Win 24.0 was used for the study and the pre-post test was analyzed by Wilcoxon signed rank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role-play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the role-play activities using the picture book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areas except interpersonal skills(peer) in the sub-factors of emotional intelligence compared with a control group. Infants of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the role - play activities using the picture book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b-factors of the emotional intelligence such as recognition and expression of their own emotions, emotion control and impulse suppression, use of self-emotion, recognition and consideration of other emotions and interpersonal skills(adult) compared with a control group. Second, the role-play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showed positive effects on pro-social behavior of infants.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the role play activities using the picture book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b-factors of pro-social behavior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infants who participated in the role play activities using the picture book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ub-factors of pro-social behavior such as the basic social life ability, institutional adaptation ability, handling of friendship, emotion handling, non-aggressive coping, and dealing with stres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is study has meaning that it provided a rich educational activity that can be applied to infants in the field by developing specific role play activities that can develop emotional intelligence and pro-social behavior of infants using picture books.

      • 간호과정의 전자의무기록(EMR) 적용을 위한 모형 : 심장혈관계 중환자를 중심으로

        김필자 연세대학교 2006 국내박사

        RANK : 248639

        간호과정의 전자의무기록 적용은 간호과정에 대해 임상에서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으며 간호기록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간호진술문을 시스템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분류체계를 적용한 모형은 큰 의미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본 연구는 모형 개발을 위한 방법론적 연구로써 문헌고찰과 전문가 집단을 통한 Delphi방법을 이용하였다. 심장혈관계 중환자실에 입실한 환자를 대상으로 도출된 10개의 간호진단을 본 연구의 모형에 사용하였다. 선정된 간호진단에 대해 NANDA의 정의적 특성 중에서 핵심 내용을 전문가 집단을 통해 선정하였다. 선정된 정의적 특성에 대해 구체적인 간호진술문이나 검사결과수치 등을 구체적 특성이라 정하고 전문가 집단을 통해 그 내용을 작성케 하였다. 선정된 구체적 특성에 대해 내용 타당도를 본 후, 간호진단의 관련 요인 및 간호진단의 분류체계인 NNN Taxonomy에 따라 구성된 전문가 집단과 합의하여 선별하였다. 간호중재명은 간호중재분류(NIC 4판, 2004)를, 간호결과명은 간호결과분류(NOC 3판, 2004)를 기본으로, 관련 요인별로 재분류하여 전문가 집단에게 심장혈관계 중환자에게 해당하는 간호중재명 및 간호활동, 간호결과명 및 간호결과 지표를 선정케 하였다. 각각에 대한 내용 선정은 설문지를 통하였으며 타당도 검증을 통해 본 연구의 모형에 사용하였다. 문헌고찰 및 전문가 집단을 이용하여 도출 및 선정된 자료들을 기본으로 하여 10개 간호진단에 대한 간호과정의 전자의무기록 적용을 위한 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모형 중 심박출량 감소에 대한 것을 일 Y대학 부속병원의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에 적용하여 임상타당도를 보았다. 환자 재원 시 심박출량 감소의 간호진단이 시스템에서 제시되었을 때, 임상현장의 간호사들이 심박출량 감소의 간호진단명을 채택한 환자 중 23명을 무작위로 선정하였다. 무작위로 선정된 환자에서 심박출량 감소의 간호진단이 채택되었을 시점의 간호기록, 검사결과수치, 임상관찰 기록지 등에서 심박출량 감소의 간호진단을 위한 정의적 특성 및 구체적 특성과 간호결과 지표가 될 수 있는 내용들을 전문가 집단에게 추출케 하였다. 그리고 시스템 전문가와 상의하여 모형에 따라 작성한 흐름도의 사용빈도 및 내용 분석을 통해 임상타당도를 보았다. 간호중재명 및 간호활동은 심박출량 감소가 채택된 시점의 간호중재명 및 간호활동내용의 건수로 조사하였다.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본 연구에 활용한 간호진단명은 출혈의 위험, 급성 통증, 심박출량 감소, 비사용증후군의 위험, 감염의 위험, 불안, 비효율적 기도청결, 오심, 손상의 위험, 피부통합성 장애 위험이었다. 각 간호진단의 정의적 특성은 관련 요인 및 NNN Taxonomy에 따라 전문가 집단과 합의하여 선별하였다. 전문가 집단을 통해 선정된 10개의 간호진단에 대한 간호중재명은 107개였으며, 간호결과명은 55개였다. 10개의 간호진단중 1개 간호진단 심박출량 감소에 대한 임상타당도 결과 개발된 모형의 흐름에 따른 경우가 91.3%로 높은 사용 빈도 율을 보였다. 심박출량 감소의 전자의무기록 적용 시 가장 많이 추출된 정의적 특성 및 구체적 특성은 혈압의 변화에 대한 것(69.6%)이었으며 부종 및 맥박 수 등에 대한 내용이 추가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스템의 내용을 통해 전문가 집단이 가장 많이 추출한 관련요인은 후부하의 변화(43.5%)였다. 간호중재명의 경우 시스템에서 가장 많이 선택하여 사용한 간호중재명은 부정맥 관리(26.8%)외 9가지였으며 평균 6.8개의 간호활동을 선택하여 사용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관련 요인별로 평균 8개의 간호중재명과 한 간호중재명에 대해 평균 6.0개정도의 간호활동이 선정되었다. 시스템의 내용에서 간호결과 및 간호결과 지표에 해당하는 내용을 전문가 집단에게 추출하게 하였을 때 전체 환자의 39.1%에서만 그 내용을 찾아 볼 수 있었으며, 혈압에 대한 기록(17.4%)이 가장 많았다.본 연구에서 개발된 모형을 적용할 수 있는 간호과정의 전 과정이 포함된 시스템이 구현되어 임상간호사들의 의사결정에 도움 줄 수 있기를 바란다.핵심되는 말 : 간호과정, 전자의무기록

      • 호스피스 자원봉사활동의 실태와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대구·부산지역을 중심으로

        김필자 동국대학교 사회과학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situation of hospice volunteering service and to find efficient activation plan. This process is based on the result of the questionnaires from the hospice corporations in Daegu and Busan. The research is based on the questions for 182 volunteers and next is the summary of the result. First, in general female occupies 81.3% among volunteers and 40s and 50s take a high rate in an age bracket. Secondly, the most induecements to a participation are to follow religious convictions and instructions and to render a service to neighbors in trouble. They come in most through their communities. 73.7% of hospice volunteers has taken part in for a long period and 58.2% of them does once a week. Also average number of patients who they have taken care of is 49 and the experience that they have had the most often is listening ot the patients. Thirdly,the satisfaction on hospice volunteering was 4.21 in 5, a full marks and especially the section of 'personally it was an opportunity to mature' averaged 4.23 which is the most satisfied. On the section of the difficulties, the lack of their ability and knowledge charged the highest rate and when they meet with it, 41.8% of them consults with their colleagues about a solution. Fourth, 87.9% of hospice volunteers answered that supplementary education is necessary for the activation of hospice volunteering service and 96.2% of associated corps has regular meetings. The content that volunteers want to include in the supplementary education was how to build up relationship with partients and to converse with them which took 18.6%, the highest rate. From this result, four suggestions are abstracted. First, by consultation with new volunteers and seniors, both essential and constant education is required to settle the problems. For this, a program development and a study is necessary. Secondly, the expert in this field should be reared to educate and manage volunteers efficiently and they should take charge of it. Third, there are not many male volunteers so the publicity work is required to make them join in. Finally, hospice volunteers themselves should have a sense of duty and try to be professional hospice volunteers who offer positive serv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