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함석헌의 민중·생명사상과 평화 : 요한 갈퉁의 평화이론의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특히 함석헌의 ‘민중사상’과 ‘생명사상’에 바탕을 둔 평화를 연구대상으로 설정한다. 함석헌의 ‘민중(씨ᄋᆞᆯ)사상’과 ‘생명사상’을 중심으로 연구범위를 설정하고, 그것을 현대 평화학의 창시자로 일컬어지는 요한 갈퉁(Johan Galtung)의 평화이론과의 비교고찰을 통하여 함석헌의 사상이 지닌 평화에 대한 인식과 관점을 체계적으로 다루어보는 것이 본 논문의 기본구상이다. 주지하다시피 요한 갈퉁은 ‘전쟁이 없는 상태’라고 인식되는 평화를 ‘소극적 평화’, 구조적‧문화적 폭력의 부재 상태를 ‘적극적 평화’라고 규정한 바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논문에서는 갈퉁이 주장한 ‘평화’를 기준으로 함석헌의 평화사상을 검토해보도록 한다. Ⅱ장에서는 논문의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함석헌의 사상을 다룬 국내의 선행연구 검토를 할 것이다. 그의 평화주의, 평화지향적 부문에 대한 연구가 정밀하게 검토될 필요성이 있는지에 대해 비판적 시각으로 사고해 볼 것이다. 이처럼 과거와 현재의 평화를 적절히 규정한 갈퉁의 평화사상이 지닌 핵심적인 두 범주를 다루는 논문의 ‘분석틀’을 마련하여, 함석헌의 평화사상을 다루는 Ⅲ장과 Ⅳ장에서 이것을 적용해보고자 한다. Ⅲ장에서는 함석헌의 민중사상에 나타난 평화에 대해 면밀히 살펴본다. 여기서는 그의 민중사상에서의 주요개념인 ‘고난사상’을 바탕으로 한 기독교민중론, 민중평화론, 민중주권론(반국가주의 사상)을 각각 살펴볼 것이다. Ⅳ장에서는 함석헌의 생명사상에 나타난 평화를 심도있게 살펴볼 것이다. 생명사상도 민중사상과 마찬가지로 ‘고난’을 바탕에 두고 있다. 함석헌에게 있어 고난은 하나님의 섭리이며, 생명의 원리가 된다. 생명은 고난이며, 고난은 생명의 근본원리이며, 고난을 통해서 자유에 이르게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점을 바탕으로 본고에서는 함석헌의 생명사상에 나타난 평화에 대한 입장과 평화의 실현방법을 요한갈퉁이 제시한 평화의 개념을 통해 언급한다. Ⅴ장에서는 앞의 내용을 종합하여 함석헌의 민중‧생명사상에 대한 평화학적 평가 및 결론을 내리도록 하겠다. 여기서 함석헌의 사상은 현대 평화학의 틀에서 비판될 수 있지만, 함석헌의 사상이 지닌 평화지향적 요소들은 여전히 현대 평화이론과 상통하는 지점이 있으며 현대 사회가 나아갈 방향과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는 것으로 끝맺음을 하겠다. In a word, It is a thesis that studies his thoughts on peace in Ham Suk-Heon 's idea. It is precisely the study of Peace in Minjung and Life Thought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modern peace scholar Johan Galtung's theory of peace. In order to study his idea of peace, the text was composed as follows. In chapter Ⅱ, I explain the 'negative peace' and 'positive peace' presented in Johann Galtung's theory of peace. I have outlined the position of John Galtung, who argues that positive peace should be implemented to eliminate structural and cultural violence as well as negative peace to reduce direct violence. In this way, I have established a 'framework of analysis' that covers two key categories of the peace thought of Galtung, which appropriately defined past and present peace, and applied it in Chapters III and IV of Ham Seok Heon's Peace Thought. ChapterⅢ, deals with Ham Suk-Heon's Minjung Thought. He refers to Christian minority theory, Minjung peace theory, and Minjung sovereignty based on his philosophical thoughts, and his Minjung Thought based on Suffering Thought show that he stands in a position of negative and positive peace. In ChapterIV, I briefly reviewed Ham Suk-Heon's Thought of life. Life thought is based on suffering as well as Minjung thought. In Ham Suk-Heon, suffering is the providence of God and the principle of life. ChapterⅤ summarizes the above points and concludes the peaceful evaluation and conclusion of Ham Suk-heon's Thought of Minjung and Life. Ham Suk-heon's ideas can be criticized in the framework of modern peace studies, but the peace-oriented elements of Ham Suk-hun's ideas still point to the point of contemporary peace theory and suggest ways for modern society to move forward.
(A) real-time system for recognizing human group activity based on spatiotemporal patterns
김택수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2014 국내석사
As smart surveillance cameras are becoming prevalent, human group activity recognition is attracting more attention. In this paper, an automatic real-time human group activity recognition system is proposed for consumer surveillance cameras. This system takes video frames as input, and automatically processes all the steps needed for recognition in real-time. A projected spatiotemporal motion pattern is generated by sampling pixels at a set of lines in each frame along time axis and projecting them into one motion pattern. Then, motion components are detected from the projected motion pattern and motion trajectories are extracted by spatiotemporal domain tracking. Two features computed from the motion trajectories are used as input to hidden Markov model (HMM) classifiers to recognize activitie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e significant time reduction at the rates of precision and recall which is slightly better than an existing approach
생성적 적대 신경망을 이용한 스캔 데이터의 치아 세그멘테이션
치의학계에서 구강 스캐너를 이용한 디지털 교정이 늘어가고 있다. 교정에서는 치아의 배열, 교합 등을 예측하고 이에 적합한 계획 수립이 중요한데, 이를 위해서 치아 세그멘테이션(Tooth segmentation)이 필수적이다.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구강 스캐너로 치아 스캔 데이터를 얻는다. 그 후 작업자가 치아의 경계를 수작업으로 지정해주고 치아의 주축을 설정한다. 그리고 축 정보와 치아의 경계를 이용하여 치아분리에 사용할 평면을 지정한 후, 마지막으로 치아와 치아 사이의 분리된 면을 확인하고 필요한 부분을 수정하여 마무리한다. 그리고 이 과정을 모든 치아에 대하여 반복하여 분리된 치아 데이터를 획득한다. 한편, 구강 스캐너는 구조적으로 스테레오 비전 시스템을 이용한다. 이로 인해 치아와 치아 사이의 간격이 매우 작은 경우 측정이 불가능해지는 부분을 오클루전 영역이라고 하며, 이 부분의 데이터 획득에 실패하여 정확도가 낮아지게 된다.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작업자의 세그멘테이션 난이도가 높아진다. 데이터가 없는 부분임에도 불구하고 경계를 지정하는 것은 정확도를 낮추는 요인이다. 또한, 3차원 데이터를 2차원 화면에서 육안으로 경계를 지정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구강 스캔 데이터의 개별 치아 분리 작업은 작업자의 높은 숙련도와 많은 시간을 요구하게 된다.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오클루전으로 인하여 데이터 획득에 실패한 부분을 생성적 적대 신경망(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을 이용하여 생성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작업자의 노력을 덜고자 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구강 스캔 데이터의 오클루젼 영역을 지정하고 제거한다. 다음으로, 데이터를 일정한 간격의 평면으로 분할하여 여러 장의 단면 이미지를 획득한다. 그리고 획득한 이미지의 제거된 부분을 생성적 적대 신경망을 이용하여 생성한다. 마지막으로, 여러 복원된 이미지를 3D 데이터로 재구성하고 처음 과정의 오클루젼 영역이 제거된 구강 스캔 데이터와 결합한다. 위 방법으로 구강 스캔 데이터의 오클루젼 영역을 제거 후 치아 세그멘테이션 과정을 진행하면 기존 방법에 비해 향상된 정확도를 얻을 수 있었고 실험을 통하여 이를 증명하였다.
창업가정신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 자기유능감의 매개효과와 사업실패부담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본 연구는 창업가정신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 두 변수간의 관계에서 자기유능감의 매개효과와 사업실패부담감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잠재적 창업가와 일반인 183명을 대상으로, 독립변수 창업가정신 하위 변수인 혁신성, 진취성, 위험감수성과 종속변수인 창업의지, 매개변수인 자기유능감, 그리고 조절변수인 사업실패부담감을 측정하였고, IBM SPSS 19.0과 Amos 19.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창업가정신의 혁신성, 진취성 및 위험감수성이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자기유능감은 창업가정신의 혁신성, 진취성 및 위험감수성이 창업의지의 관계에 미치는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업실패부담감은 창업가정신의 혁신성과 위험감수성이 창업의지의 관계에 미치는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사업실패부담감이 높은 집단에서 혁신성과 위험감수성이 자기유능감에 그리고 혁신성이 창업의지에 조절 영향을 미치며, 사업실패부담감이 낮은 집단에서 진취성이 자기유능감에 조절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