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수입 자동차와 국내자동차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와 구매태도에 관한 실증적 연구 : 국내소비자와 미국소비자 구매태도 비교

        김태현 전북대학교 경영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소비자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제품 중에서 자동차를 빠질 수 없다. 하다못해 누가 자동차를 구입했다고 하면, 어떤 차종을 구입했는지 물어보며 관심을 갖는다. 수입 자동차의 판매량이 해마다 늘어나고 있다. 그리고 예년에는 경제적으로 부유한 상류층에서 구입하여지만 저렴한 수입 자동차의 모델 출시로 구입조건이 한결 나아져 젊은 사람들도 구입을 많이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외제 자동차 제품의 국내 진입에 대응하여 본 연구는 FTA협상타결로 곧 완전한 수입개방화에 앞서 국내 소비자들의 외제 자동차의 의식은 어떤지를 알아보았고, 한충민(1998) 연구자료를 이용하여 국내 소비자들의 국산 자동차와 외제 자동차에 대한 구매 행동의 차이에 대하여 조사, 비교하였다. 설문지는 전주지역을 대상으로 국산자동차를 소유하고 있는 190명과 외제 자동차를 소유하고 있는 43명의 소비자를 표본으로 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연구의 중요한 연구 결과는 첫째, 국내 소비자들은 브랜드 인지도에 대해서 국산 자동차 보다는 외제 자동차에 대한 인지도가 높게 나왔다. 외제 자동차에 대한 막연한 기대심리도 작용한 것으로 보이는데 국산 자동차의 입장에서도 이러한 신뢰를 회하려는 노력과 더 많은 마케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입 자동차가 예전보다 점유율은 늘어났지만 아직도 국내 소비자들은 수입 자동차의 브랜드에 대한 태도에서는 사회적 규범의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의 소비자들은 브랜드에 대한 개인적 규범의 영향을 받고 있는 것과는 다른 것이었다. 아직도 우리 소비자들은 수입자동차를 구입할 때 주변사람들의 영향을 받고 있는 있지만 예년의 연구와 비교해 보았을 때 사회적 규범의 영향이 낮아지고 있는 것도 중요한 연구 결과였다. 본 연구는 이론적으로 국산 자동차의 구매 행동에 초점을 두어 진행 되었던 기존의 연구를 외제 자동차와 비교하였고 미국 소비자들과의 비교연구로 확장한 것을 의의를 둘 수 있다. Automobiles can’t be left out among products consumers are mostly interested in. The sales of imported automobiles are increasing every year. Also, in recent years, imported automobiles were purchased by the upper class, who are economically affluent, but nowadays, more young people are purchasing imported automobiles. This study researched and compared Korean consumers’ preferences in buying behaviors of domestic automobiles and imported automobiles. When one person purchases an automobile, others influences his / her decision. A questionnaire was used for analysis with 190 consumers who own domestic automobiles and 43 consumers who own imported automobiles in Jeonju region. The important result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s. First, Korean consumers had higher level of awareness on imported automobiles than on domestic automobiles. It seems that vague expectations on imported automobiles played a role here, and for domestic automobile manufacturers, they would have to put more efforts and marketing to retrieve confidence on their automobiles. Second, although a market share of imported automobiles has increased compared to the past, domestic consumers are still influenced by social norms in attitudes towards imported automobile brands. The result is different from that of American consumers’, who are influenced by individual norms more than by social norms.

      • eMMC를 이용한 비동기용 불휘발성 메모리 모듈 설계

        김태현 청주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논문에서는 eMMC를 이용한 비동기용 불휘발성 메모리 모듈을 구현하는 방법에 대해 제시하였다. NVSRAM은 SRAM과 불휘발성 메모리 기술이 접목된 소자로 시스템 정전시에 처리하던 데이터를 즉각적으로 백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 데이터 손실 위협을 최소화할 수 있다. 기존 NVSRAM은 해외에서 2Mbytes 단위의 높은 단가로 판매하고 있고 신뢰성 진단 기능에 많은 제한이 있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메모리 모듈은 데이터 처리를 위한 4Mbytes 단위의 PSRAM, 데이터 저장을 위한 1Gbyte 단위의 eMMC, 고성능 메모리 컨트롤러를 활용하여 구현하였다. 승압 회로를 설계 및 적용하여 모듈의 전원이 80% 이하가 되었을 때 모듈 내부의 메모리 컨트롤러로 저전압 감지 신호인 SAVE_REQ를 전달하여 데이터 백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또한 데이터 백업 동작이 수행되는 동안에 충분한 시간을 보장할 수 있도록 승압 회로에 슈퍼 커패시터를 적용하여 모듈 전원이 ON 상태일 때는 충전하고 시스템 정전시 충전된 전력을 승압하여 모듈에 공급할 수 있도록 구현했다. 데이터 처리를 위하여 모듈 내부의 메모리 컨트롤러를 통해 PSRAM을 쓰기 동작시에 65ns, 읽기 동작시에 70ns의 Access Time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며 빠른 속도로 간섭받지 않고 읽기와 쓰기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비동기 방식을 적용하고 워드(Word) 단위로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현했다. 또한 메모리 컨트롤러의 SDMMC 기능을 활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도록 eMMC 데이터 저장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자가 진단 시스템 구현을 위하여 eMMC Memory Map을 설계하였으며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유지 및 관리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모듈 내부의 MPU를 통해 RTC를 구현하여 모듈의 주요 동작 상태를 기록할 수 있게 하였다. 마지막으로 모듈의 데이터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0ppm의 에러율을 보이는 에러 보정 코드를 적용한 CRC32를 구현하였다. In this thesis, a method to implement the design of asynchronous non-volatile memory module Using eMMC is presented. NVSRAM is a device that combines SRAM and non-volatile memory technology to instantly back up processed data in the event of a system power failure, minimizing the threat of data loss. Existing NVSRAM is sold abroad at a high unit price of 2Mbytes, and there are many limitations in reliability diagnosis function. The memory module designed in this thesis is implemented using the 4Mbytes of PSRAM for data processing, the one Gbyte of eMMC for data storage, and a high-performance memory controller. By designing and applying a step-up circuit, when the power of the module is less than 80%, the low voltage detection signal SAVE_REQ is transmitted to the memory controller inside the module to perform data backup operation. In order to secure sufficient time for data backup, the super capacitor is applied to the boost circuit to charge when the module power is ON, and boost the charged power in case of a system power failure and supply it to the module. For data processing, PSRAM is configured to operate with an access time of 65ns for write operations and 70ns for read operations via a memory controller inside the module. In addition, in order to perform high-speed read and write operations without interference, an asynchronous method is applied to implement word-based transmission and reception. The eMMC data storage system is implemented to utilize the SDMMC function of the memory controller to store data. To implement a self-diagnostic system, the eMMC memory map can be designed to efficiently maintain data. Also, RTC can be implemented through the MPU inside the module to record the main operating status of the module. In addition, in order to improve the data reliability of the module, CRC32 algorithm with an error correction code showing an error rate of 0ppm was implemented.

      • 칼코게나이드 유리의 광대역 적외선 무반사코팅에 관한 연구

        김태현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에서는 8~12um 적외선 영역에서 Ge-Sb-Se로 이루어진 칼코게나이드계 유리의 광대역 무반사 코팅에 관해 연구하였다.

      • 여행사 집단과 소비자 집단의 국외여행상품속성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와 우선순위에 관한 연구 : -AHP분석을 이용하여

        김태현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2016년까지 우리나라 해외여행객의 총 출국 누적 인원은 1억 6천 8백만 명에 이른다. 국외여행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만큼 국외여행 관련 소비자 피해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학계에서는 여행상품에 대한 소비자 만족도를 재고하고자, 소비자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을 미치는 여행 상품의 속성이 무엇인지 밝히는 연구가 이어져 왔다. 그러나 수많은 선행연구들에서 밝힌 소비자의 만족도 재고 방안에도 불구하고 해외여행 자유화가 약 28년이 지난 지금에도 여전히 해외여행 관련 불만족은 야기되고 있다. 이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여행상품속성에 관한 연구들에 비해 여행상품 기획자가 상품을 구성하는 개별속성에 대한 인식과 상품속성들의 중요도와 우선순위에 관한 정보를 얻기에는 한계점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외여행상품속성에 대하여 여행상품을 기획 및 판매 운영하는 여행사 집단과 소비자 집단 간의 국외여행상품속성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여행사 집단과 소비자 집단 간의 국외여행상품속성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파악하여, 소비자 집단의 국외여행상품의 핵심요인들을 최대한 반영하여 치열한 아웃바운드의 여행시장 내에서 여행사의 경쟁력을 높이고자 한다. 또한 소비자 중심의 마케팅 전략 수립, 상품 구성과 고객 맞춤 서비스 제공 등에 참고자료로 제공하여 여행객들의 불만족을 최소화하려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외여행상품속성을 구성하고 있는 핵심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해 문헌조사와 기존의 선행연구들을 통하여 이론적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헤비유저들로 구성된 소비자 집단과 여행업계 실무전문가들로 구성된 여행사 집단을 대상으로 1차 전문가 의견조사와 2차 쌍대비교(pairwise comparison)조사를 수행한 후에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전용 솔루션인 Expert Choice 2000을 사용하여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방법으로 수행한 결과, 국외여행상품속성에 대한 두 집단 간의 인식에 차이가 있다는 점을 증명하였다. 두 집단 간 인식의 차이에 대한 연구결과 내용으로는 먼저 1차 여행사 집단의 의견조사를 통해 평가 소기준인 계층 3의 관광목적지는 관광지 요소, 일정구성 요소, 호텔 요소로 구성 되었고, 관광지 요소를 구성하는 계층 4는 관광지 근접성, 관광지 유명도, 쇼핑물품의 신뢰성, 선택 관광의 품질성으로 구성되었다. 반면, 소비자 집단의 1차 의견조사를 통해 평가 소기준인 계층 3의 관광목적지는 관광지 요소, 일정구성 요소로만 구성되었고 관광지 요소를 구성하는 계층 4는 관광지의 많은 유적지, 관광지의 자연경관, 관광지의 편의성, 선택 관광의 다양성으로 구성되어 여행사 집단과 명백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또한 여행사 집단의 계층 3의 인적서비스는 국외여행인솔자 요소, 현지가이드 요소, 여행사 직원 요소로 구성되었고, 소비자 집단의 계층 3의 인적서비스는 외부직원 요소, 내부직원 요소로 구성되었다. 여행사 집단에서 인적서비스를 구성하는 계층 4에서는 국외여행인솔자 동행여부와 여행사직원의 예약 및 상담에 대한 충분한 시간할애로 구성되어 있는 반면에 소비자 집단의 인적서비스를 구성하는 계층 4에서는 국외여행인솔자의 목적지에 대한 정보, 국외여행인솔자의 리더십, 국외여행인솔자의 친절성으로 구성되어 여행사 집단과 차이를 보이고 있다. 마지막으로 국외여행상품속성의 핵심요인들 간의 우선순위(Priority order)를 분석해 본 결과 전체 43개의 핵심요인들 중에서 여행사 집단에서는 짜임새 있는 일정 구성(8.6%)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밝혀졌고, 관광지 매력성(7.4%), 여행상품 가격의 합리성(7.3%), 국적기 이용 여부(7.2%), 국외여행인솔자의 위기대처능력(6.5%)의 순으로 상위 5개의 핵심요인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소비자 집단에서는 관광지 매력성(10.5%)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행상품 가격의 합리성(7.6%), 여행참가 구성원(6.3%), 짜임새 있는 일정 구성(6.3%), 항공기 여정의 편의성(4.6%)의 순으로 상위 5개의 핵심요인을 형성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통해 국외여행상품속성의 핵심요인들에 대한 두 집단 간의 상대적 중요도와 우선순위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통하여 밝혀진 여행사 집단과 소비자 집단 간의 국외여행상품속성의 핵심요인들은 향후 아웃바운드의 여행시장 내에서 여행사의 경쟁력을 높이고 소비자 중심의 마케팅 전략 수립, 상품 구성 및 서비스 제공 등에 유용한 참고자료로 제공한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결과가 유용하게 사용되어 지길 기대한다. The total number of overseas travelers in Korea reached 168 million By 2016. As the demand for overseas travel continues to increase, the consumer damage related to overseas travel is also steadily increasing. In the academic world, researches have been carried out to clarify the attributes of travel products that affect customer satisfaction in order to reconsider consumer satisfaction with travel products. However, despite numerous previous studies suggested the ways reconsidered the consumer satisfaction, there have been still dissatisfied with overseas travel products about 28 years after the Liberalization overseas travel. It was revealed that previous studies researched recognition of individual attributes of travel products, importance and priority of travel products attributes for travel planners. However these researches had a limitation in obtaining information on the travel product attributes as compared with the study of the travel product attributes for the consumer. In regard, in this study, we tried to find out the relative importance and priority of overseas travel product attributes between the travel agency group which were planning and selling and the consumer grou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ve importance and priorities of the overseas travel product attributes between the travel agency group and the consumer group, to maximize the competitiveness of the travel agency with reflected consumer’s core attributes about the overseas travel product in the fierce outbound travel market. In addition, it aims to minimize dissatisfaction of consumers by providing consumer based marketing strategies, product composition and customized service.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oretical research was carried out through the literature survey and previous researches to identify the key factors which were composed the attributes of the overseas travel product. The first Expert opinion survey was conducted for consumer group which were composed heavy users and the travel agency group which were composed with executive experts in travel industry. After conducting the first expert opinion survey and the pairwise comparison survey was conducted. The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Expert Choice 2000, which is an exclusive solution for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As the result of this study, it was prov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of perception between the two groups about the attributes of the Overseas travel product. As the result of perceptiv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e travel destination which was the evaluation sub-hierarchy criteria of Hierarchy 3 was composed of the element of tourist place, schedule composition and hotel through the first opinion survey of consumer group. Hierarchy 4 consisted of the element of tourist place was composed with the proximity of tourist place, reputation of tourist attraction, reliability of shopping items and quality of optional tour. On the other hand, through the first opinion survey of the consumer group, the tourist destination of Hierarchy 3, which was the evaluation sub-hierarchy criteria, was composed of only the element of tourist place and schedule composition. The Hierarchy 4 consisted of the tourist place element was composed of many historical sites, natural landscape, convenience of tourist places and variety of optional tour. It was shown definite difference from the travel agency group. In addition, the human services of the Hierarchy 3 of the travel agency group consisted of the elements of travel guide of overseas travel, local guide and travel agency staff, and the human services of the Hierarchy 3 of the consumer group consisted of the external staff and internal staff. In Hierarchy 4, which was composed with human services in the travel agency group, it consisted of whether or not to travel with overseas travel guide and sufficient time for reservation and consultation of travel agency personnel. On the other hand, in Hierarchy 4, which consisted of human service in the consumer group, was composed of information of destination, leadership and kindness of overseas travel guide. It was shown the difference from the travel agency group. Finally, the result of analysis the priority order among the key factors of the travel product attributes, In the travel agency group was found out that the most important factor was the structured schedule composition (8.6%) among the total 43 factors in the travel agency group. The tourist attraction (7.4%), the rationality of travel product prices (7.3%), the use of nationality plane (7.2%) and the ability of overseas travel guide to cope with cope with crises (6.5%) were composed of the 5 high priority factors and followed in this order. On the other hand, the tourist attraction (10.5%)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consumer group. The rationality of travel product prices (7.6%), travel participant (6.3%), structured schedule composition (6.3%) and convenience of plane travel (4.6%) was composed of the 5 high priority factors and followed in this order. 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relative importance and priority of the two groups about the key factors of the overseas travel product attributes were derived. We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hich suggested that the key factors of the travel product attributes between the travel agency group and the consumer group will be a valuable resource. Therefore it will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the travel agency in the outbound travel market and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establishing marketing strategies, product composition and service.

      • 경부 스포츠마사지가 일자목 환자의 경추 전만각도 및 중력선에 미치는 영향

        김태현 경기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일자목 환자를 대상으로 카이로프랙틱 시술 전 경부마사지가 경추의 전만각도 및 중력선 복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자는 부산시내 정형외과, 신경외과 및 방사선과 전문의에 의해 일자목(C자형의 커브가 손실 되면서 목뼈가 일자로 서는 것)으로 진단된 사람으로 30~40대 직장인 16명 (남성 8명, 여성 8명)으로 하였다. 2010년 7월부터 2010년 10월까지 16주간 주2회, 1회당 40분의 경부마사지를 카이로프랙틱 시술 전에 실시하여 일자목 환자의 카이로프랙틱 시술 전 경부마사지의 효과를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경부마사지 후 카이로프랙틱 시술을 받은 사람은 카이로프랙틱 시술만을 받은 사람보다 경추의 전만각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보여 복원효과가 있었다. 둘째. 경부마사지 후 카이로프랙틱 시술을 받은 사람은 카이로프랙틱 시술만을 받은 사람보다 경추의 중력선 각도에 변화가 있었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적으로, 일자목 환자에 대한 카이로프랙틱 시술 전 경부마사지는 경부 근육을 이완시킴으로서 카이로프랙틱 교정 시술에 보다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 주의와 인지를 이용한 촉감인터페이스 활용방안 연구

        김태현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성숙기에 접어들기 시작한 전자산업 속에서 사용편의성을 제품혁신의 돌파구로 활용 하고있다. 전자기기의 종류와 기기당 기능 수가 늘어남에 따라 보다 쉽고 보편적인 조작방식을 채택할 필요가 생기게 되었고 기업의 컨버전스 전략으로 인해 기기에 포함되는 기능이 늘고 있으나, 사용하기 불편하고 복잡하여 소비자가 기능피로(feature fatigue)를 겪는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음향기기에서도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전면이 클린한 느낌의 터치방식의 컨트롤러를 채용하는 제품들이 저변을 확대해 가고 있다. 고가의 하이앤드급 음향기기에서는 중요인터페이스인 콘트롤러에는 여전히 다이얼 방식을 채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서 터치 방식과 다이얼 방식을 비교해서 사용성 측면에서 어느방식이 사용자에게 더 직관적이고 사용하기 편리한가가 연구의 중심이 되었다. 본 연구의 심화 과정에 들어가기 전에 첫 번째 단계에서 인지심리학의 주의와 인지를 관해서 사람의 인지과정중에 주의가 어떻게 관여하는지에 이론적 고찰을 하였으며 사람의 주의가 사용자의 사용성에서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해서 연구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사람의 감각중 제일 반응속도가 빠르고 가장 직관적인 촉각이 어떤 과정을 거쳐서 외부자극을 인식하는지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사람의 촉각을 중심기반으로 촉감인터페이스에서 가상의 촉감이 어떤 과정을 거쳐 사용자에게 전달되는지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촉감인터페이스가 적용된 사례연구를 통해서 물체중심의 성격을 지니고 있는 능동적 접촉의 성격을 내포한 제품들이 출시된 제품의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사람의 컨트롤에 따라 반응이 제일 민감하게 반응하는 음향기기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음향기기 인터페이스에서 메뉴버튼의 지니고 있는 성격을 분류해 보았고 인간공학적 측면에서 로터리방식 노브가 입력의 정확성이 탁월함을 알수 있었고 콘트롤 다이얼의 재질 및 후가공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사용자의 터치로 인해 민감하게 작동하는 음향기기에서 콘트롤러도 능동적 접촉요소가 지니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 단계에서는 설문조사를 통해 피험자들의 콘트롤 인터페이스에 관한 주관적데이터를 수집/분석하여서 데이터를 얻었다. 다음으로는 음향기기 콘트롤러 노브의 사용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표본샘플을 제작하여 사용자의 정서상태와 생리적 변화를 측정 할 수 있는 뇌파측정시스템(EEG)를 통한 분석을 통해서 최적의 사용성을 가진 콘트롤러 의 가이드라인을 도출 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 콘트롤러의 크기비율에 따라서 사용성에 차이가 있음을 알수 있었다. 이와 같은 내용을 소비자가 사용하기 용이한 촉감인터페이스 활용한 콘트롤러 디자인 적용시에 필요한 데이터를 제시하는 것으로 연구를 마무리 하였다. Approaching in adolescence, from the key item within the electronics industry which starts applies a use usability in the breach of product innovation. Per type and the machinery and tools of electronic instrument the functional valence according to extending, sees and easily the necessity which will adopt the fabrication method which is universal, with vergence strategy of the enterprise to become is caused by and the function which is included in the machinery and tools is increased, to be inconvenient uses and, is complicated and the side effect where the consumer undergoes a functional fatigue (feature fatigue) occurs the actual condition where is. The acoustic machinery and tools user interface the products which employ the control of method of the phosphorus one impression where the whole surface will be big magnify a base and they are going. To the control which is an important interface as ever is the actual condition which employs a dial mode from high and the class acoustic machinery and tools of high price. Hereupon consequently compared a method and a dial mode and from the use characteristic side which method in the user more intuitional and the convenience which uses center of research was. Before entering into the deepening process of the research which sees with attention of stamp psychology refers the attention should have participated how in cognitive process of the person, investigated theoretically and the attention of the person from the use frost of the user should have affected how about, researched the stamp from first time phase. The first reaction velocity in the sense of the person quickly the antenna which is most intuitional goes through what kind of process from second level and recognize the external magnetic pole about, the antenna of the person to examine in central base the feeling of imagination goes through what kind of process from feeling interface and in the user about is delivered the case study where the feeling interface to examine is applied leads and occupies the majority of the product where the products which contain the character of the spontaneous contact which the character in the object center has come out the possibility of knowing the thing was. According to control of the person the reaction first sensitively from third phase, researched about the acoustic machinery and tools which reacts. Roh rotary method accuracy of input excels from the human engineering side to try to classify the character which the menu button has from acoustic machinery and tools interface examined about quality of material and after processing of the control dial to be the possibility which will know. Is caused by with of the users and sensitively, control keeps the possibility of knowing the thing there was a spontaneous contact element from the acoustic machinery and tools which operates. Last in order to examine acoustic machinery and tools control use characteristic of Roh from produces the sample sample from phase and the analysis which leads the brain wave measurement system (EEG) will be able to measure the emotional condition and a physiological changes of the user leads and guide line of the control which the use characteristic of optimum has escape the possibility of doing was. According to size ratio of research result control there being a use frost difference, the possibility of knowing was. Like this the feeling interface which is easy the consumer uses a contents finished a research with the fact that presents the data which is necessary to the control design application at the time of which applies.

      • Characterizations of Mg-doped ZnO thin films on fused silica grown by pulsed laser deposition

        김태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We have fabricated Mg-doped ZnO films by pulsed laser deposition (PLD) in oxygen atmosphere. Nd:YAG laser (355 nm) beam was focused on the target with a fluence of 2.37 J/cm2. A Zn:Mg target consisting of Mg metallic strips and a Zn disk was adopted with a goal to achieve a convenient control of Mg concentration. The structural and optical property was characterized by PL, XRD, XPS, SEM, and UV/VIS optical transmission spectroscopy. In particular, the PL intensity and peak position in the ultraviolet region were highly dependent on the concentration of Mg. Also, by adopting a fast photography and time-resolved optical emission spectrometry, we have investigated the expansion dynamics of the ZnI, ZnII, MgI, and MgII in a plume at various oxygen pressures.

      • DME/Air 비예혼합화염의 NOx 생성 특성에 관한 기초 연구

        김태현 인하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DME(Dimethyl ether; CH3-O-CH3)는 1개의 산소원자와 2개의 메탄기가 결합된 에테르 화합물로서 최근 디젤엔진, HCCI(Homogeneous charge compression ignition) 엔진, 가스터빈 연소기 및 LPG 대체연료, 연료전지 등의 다양한 용도에 그 적용성이 검토되고 있다. 최근에는 DME 연료의 분무 및 착화특성, 연소속도 및 희박 연소한계 등에 대한 기초 연구들이 보고 되어 있다. 또한 디젤엔진에서 DME를 사용한 경우의 엔진 성능 및 NOx 배출특성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디젤엔진에서의 NOx 생성특성은 반응열, 필요 공기량 및 화염온도 등의 연료 물성 외에도 연료 분사시기, 착화시기 및 EGR 등의 연소조건 및 연소과정 중의 압력변화와 같은 연소 천이조건(Transient condition)에도 민감하기 때문에 동일 운전 조건에서의 NOx 생성량이 각 연료의 NOx 배출특성을 대표한다고 보기는 어렵다. 따라서 DME 연료의 NOx 생성특성을 보다 명확히 규명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NOx 생성요인이 복잡하게 결합되어 있는 실용엔진에서 검토하기 이전에, 각각의 NOx 생성인자를 독립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단순화염을 대상으로 한 기초적인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DME 화염의 NOx 생성특성에 대한 기초연구는 디젤엔진 등의 실용 연구에 비해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연구에서는 먼저 화염특성 관찰이 용이한 동축 확산화염을 대상으로 한 실험을 통해 DME, C2H6, 그리고 LPG의 주성분인 C3H8의 화염형상과 NOx 배출특성을 검토하였으며, NOx를 포함한 DME 연료의 상세 반응기구를 정립하고, 실험결과를 토대로 탄화수소계열 연료에 비해 DME가 가지고 있는 고유한 특징인 부분 예혼합적 연소특성과 O-C 결합의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DME(CH3-O-CH3) 화염, 동일한 메탄기를 갖는 C2H6(CH3-CH3) 화염 및 DME와 원소비율이 동일한 C2H6-O2 혼합연료(C2H6-1/2O2) 화염을 대상으로 정립된 반응기구를 이용하여 대향류 비예혼합화염에서 NOx 생성특성을 수치적으로 검토하였다. 동축 제트화염의 실험을 통하여 DME의 NOx 발생량은 동일 질량유량의 C3H8 화염에 비해 약 40 % 정도 적게 배출되며, 동일 공급열량의 조건에서도 약 10 % 적게 배출됨을 확인하였으며 대향류에서의 수치해석을 통해 DME 화염의 EINO가 탄화수소 계열인 C2H6보다 감소하는 주된 인자는 DME 내부에 존재하는 ‘O’원자에 의한 DME의 부분 예혼합적인 연소특성이며, 탄화수소계열의 C-C 결합 대신에 존재하는 O-C 결합에 의한 반응구조의 차이도 EINO의 감소에 다소 영향을 미치며 본 연구 범위내에서는 동일 화염온도 조건의 경우에는 위 두 인자의 NO 저감 효과는 6:1의 비율로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 한국 비엔날레 도슨트의 현황 및 활성화 방안 연구

        김태현 숙명여자대학교 정책ㆍ산업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term biennale means international art events that happen every other year. It started more than one hundred years ago when the first biennale took place in Venice, Italy in 1893. It was the first Gwangju Biennale in 1995 when this kind of art exhibition was introduced to Korea for the first time. And now there are more than 10 biennales in the country. In general, a biennale is managed by its own committee or foundation designed only for hosting the art event. A selected general art director and other commissioners organize an exhibition team consisting of a few regular members of staff and a large number of volunteers and take charge of the overall functions. Among them there are some volunteers called docents who explain art works to visitors. This term was originally used in a museum or gallery but later its meaning extended to signify a guide in any exhibitions including biennales. In Korea, the 2002 Gwangju Biennale was the first biennale to introduce the docent system. This study defines the concept of docent and its roles first. Then it examines some examples of the Gwangju Design Biennale, the Cheongju International Craft Biennale and the International Incheon Women Artists’ Biennale that took place in 2009 so as to understand how the docent system has been run in Korean biennales. It also surveyed docents and their managers and carried out in-depth interviews with them. By comparing the systems of those three biennales and analyzing the results of surveys and interviews, it figures out three issues regarding the system- training, management and satisfaction- and tries to find a way to promote the system in the biennale environment. More specifically, for case studies, this paper makes a comparison of the three biennales in several respects as follows: staff members; working days and hours; the kinds of docents and their roles; the support for their jobs; job assignment; the entire recruiting procedures from application to employment and to training; and the reward for their activities. When it comes to the surveys and interviews, the questionnaires consist of questions that fall under the following categories: prior training; job assignment; the potential difficulties they could face while doing their jobs; the assessment of their performance; the level of satisfaction; and any questions and reports on their duty. In this wa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wareness of docent activities and potential problems. The results of the surveys and interviews show that most of the docents took pride in and were satisfied with their jobs. The volunteers said that they found the prior training course the most satisfying because it was systematic and specialized. They added the curriculum was right for their jobs. And they thought that the assessment of their performance was necessary for them to improve their professional skills and adapt to their jobs more easily. However, majority of them said they needed more practical exercises. They were classified into exhibition docents and teaching docents according to their roles or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considering the target audience: for the general, the children and the foreign language speakers. In most cases, they belonged to exhibition teams and as a way to improve their efficiency, some docents were appointed managers in charge of checking staff attendance, taking care of emergencies, communicating messages to other docents and reporting to their seniors. There were two types of docent program. One was that a docent took full charge of explaining all the works in one exhibition hall and the other was that a docent guided visitors through the entire showrooms. Each biennale used one or both of these two types. The docents were highly satisfied with and proud of their jobs in that they could attend professional training courses and work as a professional. This was reflected in the surveys and interviews that asked them about the level of their satisfaction with their jobs and reward they received. Based on the findings above, this study suggests four ways to promote the docent program. First, a management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so that the biennale committees could direct the volunteers in a more constructive way. For this, two more detailed suggestions are made: a more effective system to control the total number of people working for an event; and a team specialized for managing docents. Second, this study also finds that a mature biennale culture is necessary and the docent management should be done in a systematic way. In this respect, assistants could be added to an exhibition tour to help visitors understand the works on display. In addition, people could be taught about the right manner of appreciating exhibitions before watching the works. Third, it is necessary for a biennale committee to have a way to make sure that its docents deliver performance of high quality. Therefore a volunteer who want to work as a docent should be given more opportunities to have practical training. Moreover a docent can be supplied with a script on the artistic works on show. These two ways could be solutions to the potential problem caused by a docent with insufficient experiences. Finally, by raising the awareness of volunteer work and conducting an assessment in the middle of exhibition, a biennale committee can make sure that its docents stay alert and check their performance. This paper has been written in hope that the docent system will develop and serve as an opportunity for volunteers to show their abilities. Also it would be desirable that their activities help people have more satisfied experiences at art exhibitions and thus contribute to Korean culture and art becoming more popular. 비엔날레는 2년마다 개최되는 국제 예술 행사를 의미한다. 1893년 이탈리아의 베니스비엔날레를 효시로 하여 100 년이 넘는 역사를 가지고 있다. 비엔날레 제도가 우리나라에 들어온 것은 1995년 제 1회 광주비엔날레가 개최되면서 이다. 그리고 2009년 현재 국내에서는 10여 개의 비엔날레가 개최되고 있다. 비엔날레는 조직위원회 또는 이 행사를 목적으로 설립한 재단법인에 의해 운영되며, 선정된 예술감독과 커미셔너가 소수의 정규 인력과 다수의 자원봉사자를 모아 전시팀을 구성하여 행사 전반을 진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 중 도슨트는 전시 해설을 담당하는 자원봉사자로서, 원래 박물관 또는 미술관에서 사용하기 시작한 개념이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2002년 광주 비엔날레를 시작으로 비엔날레에 도슨트 제도를 본격적으로 도입하기 시작했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도슨트 고유의 개념과 역할에 대해 살펴보고 비엔날레에서 도슨트 제도를 어떻게 운영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2009년에 개최된 광주디자인비엔날레, 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 인천국제여성미술비엔날레의 도슨트 활동 사례를 조사하고, 도슨트와 도슨트 관리 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와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3개 비엔날레 도슨트 제도에 대한 비교 분석과 설문 조사 및 인터뷰 내용 분석을 통하여 도슨트 교육 측면과 운영적 측면 및 활동 만족 측면의 세 가지 측면에서의 쟁점을 도출한 후 비엔날레 도슨트 제도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였다. 사례 조사 내용은 3개 비엔날레의 도슨트 인력 현황, 주간 활동 일수 및 시간, 도슨트 구분 및 활동 영역, 전시 해설 지원 방법, 도슨트 배치 방식, 모집에서 선발 및 교육 과정, 도슨트 활동에 대한 혜택 등을 비교하였으며, 설문 조사 및 인터뷰 내용은 도슨트 사전 교육, 배치 방식, 전시 해설 중 발생 가능한 문제, 작품 시연 평가, 도슨트 활동 만족 정도, 활동 중 의문 사항 및 보고 상황으로 구분하여 도슨트 활동에 대한 인식과 활동 중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을 조사하였다. 설문 조사와 인터뷰 결과 대부분의 도슨트들이 자신의 활동에 대하여 큰 자부심을 가지고 있었고 대체로 활동에 만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슨트가 가장 만족하는 것은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내용으로 실행된 도슨트 사전 교육으로서, 도슨트들은 교육 과정에 대하여 만족하였고 그 내용이 도슨트 활동에 적합하다는 의견을 보였다. 그리고 작품 시연 평가가 실력을 향상시키고 현장 적응력을 높이기 위해 매우 필요한 과정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다만 현장 실습에 관하여는 다수의 도슨트가 실습 부족을 문제점으로 지적하였다. 운영적 측면을 살펴 보면, 비엔날레 도슨트는 역할에 따라 전시 도슨트, 교육 도슨트로 구분하거나 또는 대상 관람객 유형에 따라 일반 도슨트, 유아 도슨트, 외국어 도슨트 등으로 구분하여 운영되기도 하였다. 비엔날레 도슨트는 주로 전시팀에 소속되었으며, 도슨트 중에 관리 도슨트를 지명하여 출결 및 긴급 상황을 관리와 지시 사항 전달 및 각종 보고를 하게 함으로써 도슨트 운영의 효율을 높이고자 하였다. 그리고 도슨트 전시 해설 프로그램은 전시장 별로 도슨트가 상주하여 해설을 하는 방식과 한 도슨트가 모든 전시장을 순회하며 해설하는 방식으로 나뉘어서 두 방식을 혼용하거나 한 가지 방식만을 사용하는 방법으로 운영되었다. 도슨트들은 도슨트가 전문적인 교육을 받고 전문 분야에서 활동한다는 점에서 높은 만족감과 자긍심 및 보람을 느끼고 있으며, 이것은 도슨트 활동에 대한 만족도와 도슨트 활동에 대한 혜택 관련 만족도를 묻는 설문 조사와 인터뷰 결과에 잘 나타나 있다. 이를 토대로 고찰한 도슨트 제도 활성화 방안으로는 첫째로 지속적으로 개최되는 비엔날레가 도슨트들을 발전적 방향으로 관리해 나가기 위한 도슨트 운영체계의 구축을 들 수 있다. 여기서는 합리적인 전시장 운영 인력 충원과 도슨트 관리 전담팀 마련의 두 가지 세부 안을 제시하였다. 둘째로 관람 문화의 질서 확립과 전시 해설 운영의 체계화를 위해서는 전시 해설 투어에 보조 인력을 투입하여 전시 해설 운영 능력을 높이는 방안과 관람 예절 및 질서에 관한 사전 교육을 시행하는 방안을 내놓았다. 셋째로 도슨트의 해설의 질을 높이는 방안으로 현장 교육의 내실화와 전시 해설 스크립트 지원을 제안하여, 전시 초반의 부족한 경험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전시 해설 미숙을 최소화하고 도슨트 간의 격차 해소 방법을 찾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자원봉사 의식 고양 및 중간 평가를 통하여 도슨트 들이 지속적으로 긴장감을 갖고, 자신의 활동을 재정비해 나갈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앞으로 도슨트 제도가 더욱 활성화 되어서 이 분야에서 활동하고자 하는 자원봉사자들에게 자신의 능력을 최대한으로 발휘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해 주고 이들의 활동이 관람객 만족도를 극대화 시켜 나아가 우리나라 문화 예술의 대중화에 크게 기여하기를 기대해 본다.

      • 8-TQ에 의한 B 세포의 공동자극분자 표현조절과 PRNP 유전자 제거 쥐에서 Peyer's patches의 구조 변형에 대한 연구

        김태현 숭실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8-(Tosylamino)quinoline이 염증 상태의 비장의 B 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쥐의 비장 세포에 LPS를 처리하여 면역 반응을 유도한 다음, 8-TQ를 처리했다. 8-TQ를 처리한 B 세포에서 활성 분자인 CD40의 표현이 증가했고, 공동자극분자인 CD80과 CD86의 표현이 모두 증가했다. 이룰 통해 8-TQ는 염증 상태의 B 세포 활성도를 높이는데 효과가 있다고 보여진다. 다음으로 우리는 프라이온 단백질이 결핍된 쥐의 Peyer’s patches에서 프라이온 단백질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조사했다. 프라이온 단백질 결핍 쥐의 PPs에서 T 세포 homing chemokines CCL19와 CCL21의 발현이 대조군에 비해 감소했고, LTβ의 발현 또한 감소한 것을 확인했다. 프라이온 단백질 결핍 쥐의 PPs의 구조는 손상되었으며, T 세포 구역은 흐트러졌다. 림프조직-유도세포 수는 대조군에 비해 감소했다. 이 실험 결과에 따르면, 프라이온 단백질은 정상수준의 T cell homing chemokines을 발현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프라이온 단백질 결핍된 쥐는 CCL19와 CCL21의 발현이 감소하여, T 세포가 PPs에 정상적으로 모이지 못해서 PPs 구조가 손상된 것으로 추정된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effects of 8-(Tosylamino)quinoline (8-TQ) on splenic B cells in inflammation status. 8-TQ was treated on LPS-stimulated murine splenocytes. When 8-TQ was treated, B cell activation molecule CD40, costimulatory molecules CD80 and CD86 were all increas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8-TQ upregulates the expression of costimulatory molecules on activated B cell.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 prion protein on the structure and immune cells, we measured mRNA expression of chemokines and white pulps in Peyer’ patches (PPs). The mRNA expression of T cell homing chemokines, CCL19 and CCL21 were downregulated, also LTβ was down regulated in PPs. T cell areas were impaired showing scattered and number of lymphoid tissue inducer (LTi) cells decreased in prion protein deficient mi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roles of prion protein are contributing to the normal levels of T cell homing chemokines expression and proper white pulp struc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