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노인의 고령화 단계를 고려한 노인복지주택 단위평면내 욕실의 공간계획 연구

        김태성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노인주거시설 중 독립적 생활이 가능한 건강한 노인을 위한 주거시설로 노인복지주택이 있다. 이 시설은 노인복지법, 장애인 편의증진법에 위해 공용공간, 외부공간 등에 대한 설계기준이 규정되지만, 노인복지주택 단위주호공간에 대한 구체적인 법적 설계기준은 없다. 이에 2000년 중반 이후 정부 및 학계에서 노인주거시설에 대한 설계기준을 제시하였는데, 노인의 단계별 특성을 구분하지 못하고 가장 최고령화된 노인을 우선으로 고려하며 특히, 휠체어 등 재할보조 기구 이용자를 우선 고려하고 있는 현실이다. 또한 노인주택에서 욕실은 인간의 삶에 있어서 필수적이며, 안전사고의 위험이 가장 높음에도 불구하고 , 이러한 중요성에 비하여 노인주택의 욕실의 공간계획을 심도 있게 다룬 연구는 많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국내 설계기준 및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하며 이를 노인의 고령화 단계를 고려하여 노인주거시설중 노인복지주택의 설계기준을 제시하는데 있으며, 그 범위는 노인복지주택의 단위평면 중 욕실 공간계획을 대상으로 한다. 본 연구의 설계기준은 노인복지주택 뿐만 아니라 건강한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노인주거시설의 계획 및 관련기준 설정에 있어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공유공간의 개념이 적용된 전원주택단지 계획 : 분당·수서·판교 지구를 대상으로

        김태성 建國大學校 建築專門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1960년대 이후 급속하게 진행된 산업화 과정은 농촌에서 대도시로의 인구이동과 함께 이에따른 급속한 도시화과정을 동반하였다. 이러한 경향이 가속화되어 1980년대 이후 인구 및 산업도시는 계속 급상승하였으며 이로인한 도시문제가 심화되었다. 이를 해결하기위한 방안으로 도시계획측면에서의 녹지공간확보등 여러 가지 노력이 있었다. 도시지역의 편리성을 유지하면서 악화된 주거환경을 보완할 수 있는 대안의 하나로서 생겨난 전원주택단지는 80년대까지만 해도 일부고소득층의 별장정도로만 인식되어져왔었다. 그러나 90년대 들어서면서부터 소득수준의 향상, 경제의 발전, 신도시 건설등으로 인해 별장의 개념에서 상시주거의 개념으로 바뀌면서 전원주택단지는 그 수요가 급증하게 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전원주택단지가 소규모자본에 의한 필지별 분양, 취약한 안전성, 비효율적 관리체계등으로 인하여 여러 가지 문제점등을 드러내고 있다는 점을 인식하고 이를 탈피하기위해 단지형 전원주택단지의 개발을 통하여 질높은 주거환경을 제시할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연구목적을 위해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있다. 먼저 2장에서는 공유공간에 대한 이론적 틀로서 공유공간의 정의와 유형에 대해 알아본다. 그리고 공유공간의 공간적 틀을 생각함으로서 설계에 필요한 틀을 설정한다. 3장에서는 문헌고찰 및 연구동향분석으로 주거환경의 개념을 정립하고 주거문화의 변화 및 미래준거형태에 대한 전망을 하여 미래지향적인 주거에 대해 알아본다. 4장에서는 각계전문가와 여러 문헌들을 바탕으로 '전원', '전원주택'의 개념, 현재 국내에서 지어지고 있는 전원주택의 문제점, 개선방향들을 알아본다. 5장에서는 공유공간, 주거, 전원이라는 개념을 기준으로 국내외 여러 전원주택단지의 사례를 조사하여 특징과 문제점, 개선방안들을 알아본다. 6장에서는 상기의 이론들을 전제로 하여 공유공간개념이 적용된 전원주택단지를 제안한다. 7장에서는 본 연구의 종합적인 결론과 후행연구를 위한 전망 및 제안으로서 연구를 마감한다. 7장에서는 본 연구의 종합적인 결론과 후행연구를 위한 전망 및 제안으로서 연구를 마감한다.

      • 직장인의 퍼스널 트레이닝 참여가 직무만족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김태성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personal training participation on work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was used for 200 office workers sample who are participating personal training at gym in Seoul and Gyunggi area. Survey was conducted using direct contact method as giving detailed explanation to survey participants regarding purpose and note. Survey paper was given and directed to answer using self-administration method and collected. Survey was composed with 2 variables, work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considering personal characteristics using Likert scale (5 scales). SPSS Windw 21.0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to analyze result and details as follow; First, frequency analysis was used to inquire objects’ general characteristic and their participation of personal training. Seco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o inquire validity of means and calculate Cronbach’s coefficient to inquire reliability. Third,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OVA was used to inquire differences between objects’ general characteristic and their participation of personal training and work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Scheffé test was used as post verification method. Forth,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inquire correlations from objects’ work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and simple regression method was used to analyze effect from work satisfaction to quality of life. Results are following; 1. In work satisfaction by general characteristics, male scored high. Also in quality of life by sub factor for psychological part, male got higher score. 2. In work satisfaction by general characteristics, ages over 50 scored high. Also in quality of life by sub factor for psychological part, ages over 50 got higher score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quality of life by sub factor for self-satisfaction. 3. In work satisfaction by general characteristics, master’s degree achievers scored high. Also in quality of life by sub factor for psychological part, master’s degree achievers got higher score while bachelor’s degree achievers got higher scores in life environment and self-satisfaction. 4. In work satisfaction by general characteristics, having more than 16 years of working experience group scored high. Also in quality of life by sub factor for psychological part and life environment, having more than 16 years of working experience group got higher score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quality of life by sub factor for self-satisfaction. 5. In work satisfaction by general characteristics, earning more than four million won per month group scored high. Also in quality of life by sub factor for life environment and self-satisfaction, earning more than four million won per month group got higher score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quality of life by sub factor for psychological part. 6. In work satisfaction by participation of personal training, more than 120 minutes, more than five times a week and more than 12 months group scored high. 7. In quality of life by participation of personal training, for psychological part and self-satisfaction, more than four times a week and more than 12 months group scored high, for self-satisfaction, more than five times a week group scored high by participating terms. In quality of life by participation of personal training, for psychological part, more than 120 minutes group scored high, for life environment, 60 to 90 minutes group scored high, for self-satisfaction, 90 to 120 minutes and more than 120 minutes groups were scored high by participating hours. 8. Personal training participants’ correlation between work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there was significant plus correlation on work satisfaction by psychological part, life environment and self-satisfaction. 9. Sim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inquire personal training participants’ correlation between work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and the result was 24.8% for explanation power. There was significant plus effect from work satisfaction to psychological part. Life environment’s explanation power was shown as 10.5% and there was significant plus effect from work satisfaction to life environment. Self-satisfaction’s explanation power was shown as 37.1% and there was significant plus effect from work satisfaction to self-satisfaction. 본 연구는 직장인의 퍼스널 트레이닝 참여가 직무만족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이에 서울 및 경기도에 위치한 휘트니스 센터에서 퍼스널 트레이닝을 참여하는 직장인 200명을 선정, 대상의 표집은 편의추출 방법(convenience sampling method)을 이용하여 표본을 추출하였다. 조사 방법은 설문지를 이용하여 실시하고, 설문지는 본 연구자가 직접 연구의 목적을 설명한 후에 설문 내용에 따른 유의사항을 말한 뒤 자기평가 기입법(self-administration method)으로 응답하도록 지시하고 완료된 설문을 회수하는 방식으로 했다. 조사 도구는 직무만족, 삶의 질 총 2개의 변인들과 연구대상자의 개인적 특성을 구성하였으며, Likert척도(5단계)의 설문지로 구성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Window 21.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구체적인 분석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퍼스널 트레이닝 참여실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측정도구의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Cronbach's a계수를 산출하였다. 셋째, 연구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과 퍼스널 트레이닝 참여실태에 따라 직무만족 및 삶의 질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test와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증 방법으로는 Scheffé test를 실시하였다. 넷째, 퍼스널 트레이닝 참여자의 직무만족과 삶의 질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직무만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방법과 분석을 거쳐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 차이에서 성별은 남성이 높았다. 또한 삶의 질의 하위요인별 심리적 영역에서도 남성이 높았다.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 차이에서 연령은 50대 이상이 높았다. 또한 삶의 질의 하위요인별 심리적 영역에서도 50대 이상이 높았다. 이 외에 삶의 질의 하위요인별 자기만족은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 차이에서 최종학력은 대학원 졸업이 높았다. 또한 삶의 질 하위요인별 심리적 영역도 대학원 졸업이 높았고, 생활환경, 자기만족은 대학교 졸업이 높았다. 4.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 차이에서 총 근무년수는 16년 이상이 높았다. 또한 삶의 질의 하위요인별 심리적 영역, 생활환경도 모두 16년 이상이 높았다. 이 외에 삶의 질의 하위요인별 자기만족은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5.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 차이에서 월 평균은 400만원 이상이 높았다. 또한 삶의 질의 하위요인별 생활환경, 자기만족 모두 400만원 이상이 높았다. 이 외에 삶의 질 하위요인별 심리적 영역은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6. 퍼스널 트레이닝 참여 실태에 따른 참여 기간에 직무만족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12개월 이상, 주 5회, 120분 이상이 높았다. 7. 퍼스널 트레이닝 참여 실태에 따른 삶의 질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참여기간은 심리적 영역, 자기만족 모두 12개월 이상, 참여 횟수는 주 4회, 자기만족에 있어서는 주 5회가 높았고, 참여시간은 심리적 영역에서 120분 이상이 높았고, 생활만족에서는 60-90분, 또한 자기만족은 90-120분 미만, 120분 이상이 높았다. 8. 퍼스널 트레이닝 참여자의 직무만족과 삶의 질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직무만족은 삶의 질의 심리적 영역, 생활환경, 자기만족이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9. 퍼스널 트레이닝 참여자의 직무만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설명력은 24.8%로 나타났다. 직무만족은 심리적 영역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환경의 설명력은 10.5%로 나타났으며, 직무만족은 생활환경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만족의 설명력은 37.1%로 나타났으며, 직무만족은 자기만족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로테르담규칙상 해상운송인의 책임에 관한 연구

        김태성 경남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s to analyse the liability of carrier under Rotterdam Rules. The Hague and Hague-Visby Rules operate in a different way. The claimant has to prove its loss and the breach of the contract that caused the loss. At this stage it is important whether the carrier has discharged its due diligence obligation to make the ship seaworthy “before and at the beginning of the voyage.” If there is a breach of the due diligence obligation then the exceptions do not protect the carrier for the damage caused by this breach. However, where there is no breach of Article Ⅲ rule 1 then the exceptions protect the carrier because the carrier’s duties to load, handle, stow etc. are expressly subject to the exceptions in Article Ⅳ. It must be stressed that the scope of the Rotterdam Rules is much wider than that of the Hague and the Hague-Visby Rules, and thus comparing them at this general level is probably misleading. In addition, the exception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nd this makes the Rotterdam Rules a radically different legal framework. Containerisation is catered for by extending the Rules to contracts for the carriage of goods wholly or partly by sea. Electronic transport documents are accommodated as being functionally equivalent to paper transport documents. And finally, while the liner market is still regulated by the Rules and charterparties (absent express incorporation) are not, the Rotterdam Rules introduces a halfway house, volume contracts, where liner contracts may, if certain conditions are satisfied, be individually negotiated without the constraints of the Rules. In addition, a number of exceptions are available to the carrier. These exceptions, which will be discussed in detail later, are in essence of three kinds. First, there are seven exceptions relating to cause over which the carrier has no control, and these are contained in Articles 17.3(a) to (g). Then there are four exceptions where the damage can be attributed to the fault of the shipper or the condition of the goods, and these are provided in Articles 17.3(h) to (k). Finally, in Articles 17.3(l) to (o), there are four exceptions related to loss of, damage to the goods or delay in the delivery arising from permissible actions of the carrier arising out of emergency situations. If the carrier can prove that the damage, or part of the damage, is due to one of the exceptions, then the carrier is not liable for that part of the loss or damage or delay under Article 17.3. In conclusion, in all causes where fault of the carrier or any of the persons for whom it is responsible can be demonstrated, the carrier is liable. Thus faults of the carrier or the persons under Article 18 in respect of Article 13.1, that is, the duty to properly and carefully receive, load, handle, stow, carry, keep, care for, unload and deliver the goods, Article 13.1 will always make the carrier liable unless the breach of the seaworthiness obligation is due to a latent defect. In essence the Rotterdam Rules constitute a fault-based regime with a reverse burden of proof. Rotterdam 규칙의 운송계약은 해상뿐만 아니라 그 운송계약의 모든 구간에 Rotterdam 규칙이 강행적으로 적용된다. 그런데 이 규칙은 내륙 이행당사자의 의무·책임을 직접 규정하지 않고 있으므로 이 규칙이 규정하는 운송인의 항변과 책임제한에 대한 이익의 향유권한을 이행당사자 중 해상이행당사자에게만 보장하고 있다. 운송물처분권자는 운송인과 운송계약의 변경을 합의할 수 있는 유일한 자이므로 수량계약 화물이 중심인 선사 등은 예컨대 공급체인으로 상정되는 기업을 수량계약에 가입하게 하면 만재화물(FCL)의 내용물을 그들 각각의 사용자에게까지 수량계약의 운송조건으로 행할 수 있게 된다. 운송인의 책임기간에는 속구에서 속구까지(tackle to tackle)의 특약이 허용된다. 그러나 통운송을 인정하는 규정은 최종적으로 규칙안의 단계에서 삭제되었기 때문에 해상구간의 전후에 육상·항공 등의 운송구간이 있는 운송계약이라면 그와 같은 책임기간을 한정하는 특약은 이것도 수량계약 등에 의한 것 외에는 허용될지가 의문이며, 운송계약의 육상구간 등에 대한 Rotterdam 규칙의 적용배제는 기대할 수 없다고 볼 수 있다. 운송계약의 책임주체에는 그와 같이 기재되어 있는 것에 합의한 서류상의 송하인도 운송계약의 당사자인 송하인과 동일한 의무·책임이 연대하여 부과된다. 이것으로는 물류업자 등의 위험부담에 의한 화주의 비용증가를 초래하게 된다. 또한 해상이행당사자는 이행의 범위에서 그 책임은 운송인과 연대되고 있지만, 그 업무가 체약국 관련의 해상이행당사자에게는 그 업무의 범위 내에서 운송인의 의무·책임이 의제되므로 수량계약 등으로 감면된 운송인의 책임제한에 대한 이익의 향유도 별도로 인정되게 된다. 한편 그 이행이 체약국과 관련되지 않는 해상이행당사자에게는 운송인의 의무·책임이 의제되지 않는 반면, 운송인의 의무·책임 등이 수량계약으로 감면되는 경우에도 그 향유할 수 있는 것은 감면된 그것이 아니라 Rotterdam 규칙에서 규정되어 있는 운송인의 항변과 책임제한이므로 운송인이 수량계약에 가입하지 않는 한 이행범위에서의 사고책임은 보험대위구상 등에서 표적이 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Rotterdam 규칙상 운송인의 의무와 책임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 투자로서의 미술품과 미술품 가격형성 요인에 관한 연구

        김태성 연세대학교 경제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급격히 성장하고 있는 국내 미술품 시장을 배경으로 하여 소비재이자 투자자산인 미술품 고유의 특성인 이질성, 다양한 소비효용, 공공재, 가치재, 보유비용 등에 대해서 살펴보고 일반 제품들과 어떻게 다른지 고찰해 본다. 또한 금융자산의 대표적인 주식과 미술품은 어떠한 점이 다른지 비교하여 본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 미술시장의 구성요소를 생산자, 중개업자, 소비자로 나누어 분석함으로써 국내 미술시장의 규모를 파악하여 볼 것이다. 국내 미술시장의 성장과 국제화를 위하여서는 투자자산으로써의 미술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여러 가지 방법 중 반복판매지수법과 특성가격 모형을 이용하여 연구된 미술품의 수익률 분석 논문들을 고찰하여 볼 것이다. 미술품 시장의 수익률 외에도 미술품 시장의 효율성 및 미술품 시장과 금융시장의 연관성, 미술품 시장 간의 동행성 등에 관한 연구들을 살펴 본다. 마지막으로는 미술품 가격 결정요인을 일반적인 요인으로 정리하여 작가적 요인, 작품적 요인, 외부적 요인 등으로 나누어 정리하여 본다. 그리고 실제로 시장에서 거래되는 미술품의 가격 형성 요인을 분석한 국내외 논문들을 고찰함으로써 미술품 가격의 의미와 실증적으로 미술품 가격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점검하여 볼 것이다.

      • 雨天時汚濁負荷流出特性を考慮した分流式下水道の計畫·管理に關する硏究

        김태성 立命館大學大學院 2001 해외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분류식하수도의 계획, 설계, 관리를 실시하는데 있어서 종래 고려되어 있지 않았던 중규모 강우시의 비점원 오탁부하에 대해서 유출기구를 규명 하였으며, 분포형오탁 부하 유출모델의 파라미터설정 방법을 나타내는 것과 동시에, 유효한 오탁삭감 대책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우선, 수환경의 현상과 오탁부하 삭감대책의 진척상황을 분류식하수도 중심으로 개력, 총괄하여, 본 과제의 중요성 및 우선성을 나타낼 수 있었다. 다음에, 검토대상의 4개지역 7 배수구의 32강우에 대한 연속관측, 분석데이타를 이용하여, 하수도의 기본계획에 필요한 기본정보를 정리했다. 강우시 유출하는 유량그래프와 수질그래프를 지배하는 요인을 강우특성과 지역특성으로부터 검토하여 유출율, 비부하량의 강우량, 강우이력에 의한 정식화의 가능성을 나타냄과 동시에, 향후계획에 필요한 조사사항과 그 계획에 차지하는 중요성을 지적할 수 있었다. 상기의 지견을 분포형오탁 유출모델의 하나인 Hydro Works모델을 이용하여, 기본 설계에 대해 가장 중요한 유량그래프와 수질그래프를 표현할 수 있는 모델과 그 파라미터 설정에 관한 검토를 행해, 강우특성과 지역특성을 고려한 모델적용의 가능성과 그 한계에 대하여 지견을 얻었다. 조사결과, 관로관계의 정보를 추가 검토하여 강우특성에 관계없이 양호한 유량그래프를 재현할 수 있는 것을 나타냈다. 수질그래프에 대해서는 오탁 포텐셜등의 지역특성의 지표, 모델구조의 결정과 파라미터설정에 필요한 정보의 부족함이 있는 것에도 불구하고, 실용적인 재현성이 있는 것을 알았다. 관측데이타와 유출해석모델에 정확한 강우예측이 가능하면, 하수도에서 실시간제어(Real Time Control, RTC) 시스템의 도입이 가능해진다. 오탁제어, 침수방지, 물이용의 기능을 갖게한 RTC시스템의 검토를 실시하여, 지역특성에 의해서 RTC의 필요한 레벨이 다른 것을 규명했다. 이상의 결과로 부터, 지금까지 정성적인 검토 밖에 없었던 우수오탁 유출제어에 대한 분류식하수도의 계획, 설계, 관리에 대해서 정량적으로 취급 가능성을 나타낼 수 있었다. 분류식하수도 실무면에서 이용이 기대된다. 本硏究は, 分流式下水道の計劃, 設計, 管理を行なううえで, 最も重要な要素でありながらいままで十分解明されていないノンポイント汚濁負荷の流出機構を明らかにするとともに, 汚濁負荷流出モデルの適合したパラメ―タ設定と效果的な汚濁負荷削減對策を檢討することを目的として進めたものである. これにより得られた成果を本)論文としてまとめた. 第Ⅰ章では, 本硏究を行なうにあたって硏究の背景, 目的および構成を示した. 第Ⅱ章では, 雨天時汚濁負荷流出特性と分流式下水道における水環境問題を示し, 現在までの水環境問題に對する對應の經緯を在來硏究成果から既存の知見を整理することにより分流式下水道の計劃, 設計, 管理における課題を示した. 第Ⅲ章では, いままでほとんど檢討されていなかった水質汚濁に强く關係する中規模以下降雨の雨天時汚濁負荷流出機構5を解明するため, 4 縣7排水區32 降雨の詳細な實測値を用いて降雨特性と地域特性による影響を檢討した. その結果次のような成果を得られた. (1) 都市域での雨天時汚濁負荷流出現象と分流式下水道の計劃, 設計を行ううえでの最も重要な要素でありながら, いまだ十分定量評價されていないものの一つである降雨特性, 地域特性による雨天時汚濁負荷流出特性を定量的に檢討することの意義を示した. (2) 7 排水區32 降雨の汚濁負荷流出調査の概要と調査結果を整理した. (3) 分流式下水道の計劃, 設計における降雨流出および汚濁負荷流出に及ぼす降雨特性, 地域特性の指標について整理した. (4) 不浸透面の流出率は降雨量增加によってもあまり變わらないが, 浸透面積比率の高い排水區では增加していくことが分かった. (5) 7 排水區の不浸透面率50%で2 グル―プに分けて總降雨量と流出高の關係から, 不浸透面の多い排水區では流出率の變化が小さく, 浸透面の多い排水區では降雨量の增加とともに流出率が增加することを示した. これにより, 浸透面の多い排水區での流出率がどの程度變化するのかを明らかにした. (6) 總流出量の1/4 流出負荷量比をみると降雨特性の影響が大きく, SS 負荷量比がCODに比べると負荷量比の幅が大きくばらついていることが分かった. (7) 降雨初期の降雨强度が小さいほどCOD 負荷量がSS 負荷量よりだくさん流出することで, COD とSS の汚濁負荷流出特性が違うことを明らかにした. (8) 7 排水區の不浸透面率50%で2 グル―プに分けて總降雨量とSS, COD 比負荷量の關係から, SS では, 不浸透面の多い排水區からの負荷增加が大きく, 浸透面では捕捉されてあまり增加しない. COD では, 溶解分が流出することもあって, 浸透面からの負荷の增加が見られることが分かった. (9) 排水區の汚濁ポテンシャルは用途地域の影響が强いことが分かった. これにより, 地域特性に應じて效果的な汚濁負荷削減對策を行なうことができる. 第Ⅳ章では, 分流式下水道の計劃, 設計, 管理において, 分流式下水道排水區を對象に地域特性を考慮した分布型汚濁物流出モデルのパラメ―タ設定分布特性を檢討し, 設定した4 つの降雨を用いて地域別シミュレ―ション解析を行った結果, 次のような成果が得られた. (1) 都市域でのノンポイント汚濁負荷對策と下水道基本ノ設計の予測の效果を評價するために地域特性を考慮した汚濁負荷流出特性の地域間比較を定量的に檢討することの意義を示した. (2) 本硏究で用いた分布型モデルであるHydro Works に關する流出と水質モデルの構造と基礎式を整理した. (3) 分布型モデルの流出と水質に關するパラメ―タ設定の手順を示した. (4) 同一排水區において降雨間の流出と水質パラメ―タの値にばらつきが生じていることが確認でき, 設定されたパラメ―タは降雨量の大小による影響を受けていることが分かった. (5) 排水區同一パラメ―タの設定で地域特性である汚濁ポテンシャル(堆積速度)が都市計劃の用途地域と密接な關係があることが分かった. (6) ピ―クが早く現れるまでの時間順が志賀町, つくば市, 我孫子市, 大津市, 茅野市, 牛久市順になっていた. この順は排水區の一番遠いところから放流地點までの總延長と平均勾配を考慮した流下時間の順と一致することを示した. これにより, 地域特性(管路施設)が降雨流出特性に與える影響を明らかにした. (7) 中降雨量15mm で10 分間最大降雨强度が24mm/hr 程度の降雨では堆積汚濁物のほとんどが地表面や管渠內に殘存せず流出することが計算によって確かめられた. 第Ⅴ章では, 下水道計劃, 設計, 管理するための效果的な汚濁負荷削減對策としてRTCシステムを構3成し, 地域特性に應じたRTC レベルを設定し, 設定した4つの降雨によるRTC の效果を檢討した結果, 次のような成果が得られた. (1) 都市域から流出する汚濁物を效果的な汚濁負荷削減對策をおこなううえでの新しい制御手法としてRTC システムを構成し, RTC レベルを設定することによってRTC の效果を定量的に檢討する意義を示した. (2) 雨天時汚濁負荷策削減對策として下水道システムの中に管渠・雨水制御施設とモニタリングを含む情報處理システムの設置によるRTC システムを構成し, RTC レベルの設定に關する考え方を示した. (3) 貯留施「設の設置によって70%以上の負荷削減を期待できるが, RTC の導入によって, 削減率をさらに20%以上アップできることが分かり, 90%以上の削減をめざす水質制約の大きな流域においては有效であることを示した. これにより, 汚濁負荷制御の一つの手法としてのRTC の效果を明らかにした. (4) 今後の予測降雨の精度の向上やモニタリング機器の改良によってレベルの高い制御が可能Cになるものと期待できる. (5) RTC レベルを檢討し, 地域特性に應じたRTC レベルを決めることができる. (6) RTC の評價として初期汚濁雨水貯留と高度なRTC を行なった場合の汚濁負荷削減效果を示した. 最後に, 第Ⅵ章では, 以上をまとめて本コ論文の結論を述べて, また, 今後の課題を整理した.

      • 黃侃古音學之硏究

        김태성 私立東吳大學 1996 해외박사

        RANK : 247631

        황간 (1886∼1935)은 청대 말엽과 중화민국 초기에 걸쳐 중국의 국학계에 있어 대표적인 위치를 차지하는 인물로, 통상 그의 스승인 章炳麟과 함께 章 ·黃이라 병칭되고 있으며, 특히 그의 소학 (즉 문자학·성운학·훈고학)에 대한 조예는 대단하여 현대에 이르기까지 많은 학자들에게 지도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단지 유감스러운 것은, 그 자신이 본격적인 저술을 약속했던 50세가 되던 바로 그 해, 평소 심하게 앓아오던 위장병으로 인하여 不歸의 客 이 되어버린 탓으로 그의 심오한 학문세계는 본격적이고 체계적인 소개가 이 루어지지 못하고 다만 초기에 발표되었던 몇몇 논문과 그의 사후 제자들의 단 편적인 정리에 의존할 수 밖에 없었던 점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그 중에서도 특히 황간의 성운학 만을 연구의 대상으 로 하여, 그의 성운학이 중국언어학사에서 차지하는 위치를 재조명하고 더 나 아가 현대언어학 이론을 통해 그가 남긴 고음학 이론을 새롭게 해석해 보고자 했다. 우선 제1장에서는 황간의 생애와 그가 남긴 성운학 관련 학술저작들을 소개하고, 제2장부터 제4장까지는 각각 중국어 음운의 제3요소인 성·운·조 에 대한 황간의 이론을 집중 정리했다. 제5장에서는 황간의 일부 잘못된 이 론에 대한 후대학자들의 수정을 소개하고 마지막으로 결론인 제6장에서는 역 시 성·운·조 3부분으로 나누어 현대언어학에서 사용하는 음운구조(擬音)의 방법을 통해 황간 고음학 이론의 재조명을 시도하였다. Professional accountants ethical conduct has received, much. attention in recent .years (e.g., . Despite the importance of its issue; however, no effort has been Imade.@ study .ethics of professional accountants. in an integrated way. Integrating of previous accounting studies into theories developed in other disciplines (e.g., social psychology), this ctudy attempts to (1) develop a theoretical framework to identify variables (i.e.? knowledge, attitudes, subjective norms, sanctions, accounting firm size, and organizational. position) that have associations with professional accountants ethical conduct and (2) empirically test the effects of such variables A total of 104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professional accountants .region of the United States and 84 of them were .retur,ned. i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1) fjrofessional accountants .knowledge about-the Code should be emphasized;- (2) attitudes, have- significant .rejationship_s with professional, accountants behavioral intention;.(3) reference groups may. inffuance accountants ethical conduct; 4) althoughsome: effects of. conclusive; (5) the, accounting firm size is significant in. some cases, but- not in others;a professional position. (e.g.,senior, jiinior, eic.)~ in the accounting tirm does not an association with his or her behavioral intention.

      • 아말감 와동 이장제의 도포가 아말감 수복재의 변연누출과 유지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태성 단국대학교 대학원 199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아말감본드 이장재의 도포가 아말감 수복재의 변연 누출과 유지력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서, 소구치의 협설면에 표준화된 5급 와동을 형성한 후 와동의 내벽을 각기 다른 세 종류의 이장재인 Copal varnish, All-bond 2. Amalgambond Plus로 도포하여 통법에 따라 아말감 충전을 시행한 다음 각군 수복재의 인장강도 측정과 파절 단면의 주사 전자현미경 관찰 및 수복물과 치질사이에서 발생하는 미세누출의 정도를 측정하여 서로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아말감 충전재의 치질에 대한 결합 정도를 나타내는 인장강도의 측정치는 Amalgambond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All-bond 2 그리고 copalite가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으며 모든 군간에 통계학적인 유의차를 보였다(p<.05). 2. 인장강도 측정후 파절된 치질의 주사전자 현미경 관찰 결과, Amalgambond는 아말감과 레진 사이에서 파절된 cohesive failure pattern을 보였으며, All-bond 2는 레진과 상아질 표면 사이에서 파절된 adhesive failure pattern을 보였다. 3. Amalgambond의 미세누출은 All-Bond 2, copalite 군보다 다소 적게 나타났지만 군간에서의 통계학적 유의차는 발견할 수 없었다(p>.05). 4. Amalgambond나 All-Bond 2와 같은 이장재가 기존의 Copalite보다는 우수한 재료로 평가 되었으나, Amalgambond와 All-Bond 2간의 유의차는 없었다. In this study, we tried to evaluate the effect of Amalgambond liner application on the degree of marginal leakage and retention of amalgam restoration by comparing with that of the Copalite and All-bond 2.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experiment were as follows; 1. Tensile strength representing the bond between amalgam and tooth structure was the highest in Amalgambond and the lowest in Copalite.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bond strength values measured from each group(P<.05). 2. The degree of microleakage in Amalgambond was lower than that of All-Bond 2 and Copalite, but with no statistical significance(P>.05). 3. The liners such as Amalgambond or All-Bond 2 were evaluate to be superior to the conventional Copalite in the aspect of bond strength and microleakage. However, the result of this study could not show the superiority of one material over the others; Amalgambond and All-bond 2. Besides the physical properties observed in this study, the practical aspect of clinical convenience should be considered in determining the selection of material. The support of well-designed clinical studies on this subject are in demand.

      • 단채널 MOSFET 소자의 잡음 모델 구현

        김태성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paper presents an analytic noise model of short channel MOSFET for the accurate design of CMOS RF circuit. The implemented noise model incorporates the induced gate noise and the bias dependence of the proportional constant in the channel noise which are all lacked in the widely used BSIM3 MOSFET model. The model only uses BSIM parameters without additional empirical constants, which makes it possible to simply add the noise model to the signal model. Simulation results show very good agreements with measurements along variations of frequencies, bias, and gate width for 0.18μm MOSFET.

      • 록소프로펜 경피흡수제제의 설계 및 평가

        金泰成 동덕여자대학교 1999 국내박사

        RANK : 247631

        록소프로펜은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 약물로 경구투여되는 약물이나 장기투여시 위장장해가 있고 반감기가 짧아 1일 3회 투여되는 불편함이 있다. 그러나 피부적용을 위한 연구나 경피약물송달시스템의 설계 등에 관한 검토는 아직 보고된 바 없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록소프로펜이 경피약물 송달시스템을 개발하고자 록소프로펜의 용해성 및 분배계수를 측정하고, 용액상태에서 피부투과에 미치는 수종 용제 및 촉진제류의 영향을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약물을 함유한 감압 접착성 매트릭스형 플라스터를 제조한 후 이로부터의 약물 방출, 피부투과에 미치는 여러 인자와 제제학적 및 생물약제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록소프로펜은 물에세는 녹기 어려웠으며 검토한 8종의 비수성 용제에서의 용해성은 ethanol > TC > PEG 400 > PG > LG > Captex^? 200 > Captex^? 300 > IPM의 순이었다. 용해력 낮은 IPM이나 LG의 경우 TC의 첨가 비율을 증가시킴으로써 록소프로펜의 용해성을 현저히 상승시킬 수 있었다. 록소프로펜의 옥탄올-물 간의 분배계수는 15.5이었으며, 세포간극로로 피부를 투과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록소프로펜에 대한 수종 용제의 기니아피그 배부위 피부 투과 촉진효과는 IPM >> LG > Captex^? 300 > Captex^? 200 >> ethanol > PG > TC > PEG 400의 순으로 IPM의 투과촉진효과가 가장 컸으며 포화농도 IPM에 의한 록소프로펜의 투과 flux는 89.9μg/㎠/hr에 달하였다. IPM중 록소프로펜의 용해도를 향상시킨 공용제에서는 IPM-TC계가 LG-TC계보다 투과촉진 효과가 높았으며, 가용화제인 TC의 첨가비율 40%까지는 투과력의 현저한 감소는 없었으나 60% 이상에서는 투과촉진효과를 감소시켰다. 투과촉진제의 효과를 IPM-TC(6:4v/v) 공용제에 라우릴알코올, 올레일알코올, 카프린산, 카프릴산, 리놀레인산, 올레인산, 라우로일사르코신을 각각 3% 농도로 첨가하여 피부투과성을 비교한 결과 리놀레인산만 약간의 촉진효과가 보였을 뿐 다른 촉진제들은 영향이 없거나 다소 감소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점착 매트릭스로서는 Duro-Tak^? 87-2196이 적합하고 용제로서는 IPM-TC(6:4v/v)의 공용제가 적합하였으며 이로부터 약물방출은 신속하며 지속적이었고 용량 의존적이었다. IPM-TC(6:4v/v)의 공용제에서 loading dose를 포화농도인 180mg/ml까지 증량시킬 수 있었다. 점착 매트릭스에 적용된 용제로는 IPM중 TC의 비율이 0∼40% 범위에서 방출과 투과에 별다른 변화가 없었으나 TC가 60%로 증가되었을 때는 방출과 피부투과를 감소시켰다. 점착 매트릭스로부터 기니아피그 피부투과는 매트릭스중 약물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30 및 90mg/70㎠의 용량에서는 투과 flux가 각각 14.2 및 35.6μg/㎠/hr에 달하였다. 록소프로펜 플라스터는 두께와 중량이 균일하였으며 양호한 접착력을 가졌고, 경시적인 침전형성이나 결정성장 및 방출변동이 인정되지 않았다. 록소프로펜 플라스터는 토끼의 피부를 신속히 투과하여 혈중농도가 24시간 지속되었다. 록소프로펜 30, 60 및 90mg 용량에서 최고혈중농도는 392∼417ng/ml로 용량에 따른 차이는 별로 없었으나 AUC_(0-24hr)는 각각 4118±59, 6951±230 및 7448±1315ng·hr/ml이었다. 록소프로펜 플라스터는 카라기난 유발 흰쥐 족부종 시험에서 2∼6mg/rat의 용량에서 용량 의존적인 부종억제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적용 5시간에서의 부종억제율은 16.5%로 나타났으며, 이는 시판 케토프로펜 제제(케토톱)와 거의 동등한 수준이었다. 이상의 주요 연구결과로 볼 때 록소프로펜의 새로운 투여제형으로 drug-in-adhesive매트릭스형 경피약물송달시스템의 개발 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To develop a novel transdermal delivery system of loxoprofen, a potent antiinflammatory and analgesic agent, the effects of various vehicles on skin permeation of loxoprofen in a solution formulation and in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matrix were evaluated. The permeation rate of loxoprofen through excised guinea pig skin was measured using a side-by-side permeation system at 32℃. The solubility of loxoprofen was determined by the equilibrium solubility method, and partition coefficients (P_c) between some organic solvents and water were determined. The solubility of loxoprofen increased in the rank order of water < isopropyl myristate (IPM) < Captex^? 300 < Captex^? 200 < lauroglycol^? (LG) < PEG 400 < transcutol^? (TC) < ethanol. n-Octanol-water P_c value was 15.5. Among vehicles tested, IPM and LG showed highest fluxes of 89.9 and 45.4μg/㎠ per hr from saturated solutions, respectively. However, it was not possible to demonstrate any correlation between the solubility of loxoprofen and its permeationrate, indicating change in the barrier property of the skin and/or carrier mechanisms by vehicles tested. The addition of TC to IPM or LG increased the solubility of loxoprofen, but the permeation rate was not decreased upto 40% of TC in cosolvent. The addition of linoleicc acid (3%) in the cosolvent slightly increased the permeation rate, but others such as lauroyl sarcosine, fatty alcohols and fatty acids tested did not show any enhancing effect. When the effects of vehicles on the percutaneous absorption of loxoprofen from an acrylic PSA matrix were evaluated, IPM and IPM-TC (6:4v/v) cosolvent showed a high and similar permeation rate at loading doses of 60 and 90mg/ml. As the concentration of loxoprofen in acrylic PSA matrix increased from 0.56mg/㎠ to 1.19mg/㎠ as loading dose, the permeation rate also increased linearly. At loading dose of 1.19mg/㎠, the flux was 35.6㎍/㎠/hr. This loxoprofen-containing PSA matrix plaster showed a good adhesive property onto skin, and showed no crystal formation and no change in the release rate on storage. This new loxoprofen PSA matrix plaster showed higher percutaneous absorption in rabbits. The AUC_(0-24hr) and C_(max) after dermal application of loxoprofen PSA matrix plaster (60mg/70㎠) were found to be 6951±230ng·hr/ml and 400±44ng/ml, respectively. In the carrageenan-induced rat paw edema test, loxoprofen plaster showed similar inhibition rate with marketed ketoprofen (Ketotop^?) plas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