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지구적 및 지역적 조약상 어업분쟁 해결제도에 관한 연구

        김태린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47

        Before adopting the 1982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UNCLOS), the coastal States exercised absolute sovereignty over fishing in their territorial waters. On the high seas, all States enjoyed the freedom of fishing, and only the flag States had exclusive responsibility for controlling the activities of their fishing vessels. However, in the 20th century, various issues related to the use of the sea, such as fishing, started to emerge and it was generally agreed that a universal legal framework should be established to govern all uses of the oceans and their resources, including the conservation of marine living resources. Against this backdrop, UNCLOS was adopted in 1982 as a result of nine years of negotiations in the Third United Nations Conference on the Law of the Sea. Since the adoption of UNCLOS, three more important global fisheries instruments, binding in nature, were additionally adopted to specify the rights and obligations of the States related to fishing and to better regulate fishing. In 1993, the United Nations Food and Agricultural Organization (FAO) adopted the Agreement to Promote Compliance with International Conservation and Management Measures by Fishing Vessels on the High Seas (Compliance Agreement) to strengthen the roles and control of the flag States operating on high seas. In 1995, the UN adopted the Agreement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vision of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of 10 December 1982 relating to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Straddling Fish Stocks and Highly Migratory Fish Stocks (UNFSA) to address the issues that UNCLOS did not fully address relating to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straddling fish stocks and highly migratory fish stocks on high seas. Most recently, in 2006, the FAO adopted the Agreement on Port State Measures to Prevent, Deter, and Eliminate illegal unreported, Unregulated Fishing (PSMA) with the aim to strengthen the control of the port States in eradicating illegal, unreported, and unregulated (IUU) fishing. In addition, regional efforts to achieve the conservation of marine living resources were also initiated in earnest after the UNFSA was adopted. Article 8 of the UNFSA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aking a regional approach to regulating fishing by stipulating that the coastal States and the fishing States pursue cooperation through appropriate sub-regional or regional fisheries management organizations or arrangements. Since the provision was incorporated into the UNFSA, a large number of regional fisheries bodies (RFB) have been established and it is now common to manage marine living resources on high seas through regional fisheries instruments represented by RFBs. In 2022, 52 RFBs are registered on the FAO website and each has different target species, waters, and authorities, working towards realizing sustainable management of marine living resources. As such, the current international fisheries order is comprised of various global and regional fisheries instruments that perform a significant role in regulating world fisheries. However, IUU fishing has become a major threat to the international efforts to conserve marine living resources over the recent decades, which caused the coastal States and RFBs to further strengthen the level of regulations in fisheries. Under the recognition that it is difficult for the flag States to respond to IUU fishing alone, the scope of regulation has been expanded from illegal fishing to unreported and unregulated fishing, and the duties and responsibilities for controlling fishing are shifting to the coastal States, fishing States, port States, and even trade States. While fishing is being regulated more tightly than ever, international fisheries conflicts over limited marine living resources have become more widespread, and the number of international fisheries disputes submitted to the international courts continues to increase. While international fisheries disputes have continued to occur in the past, today’s international fisheries disputes tend to be more frequent, complex, and diverse in nature. Since its inception in the 1950s, the Korean distant water fishing industry has greatly contributed to the national economic development in the 1970s and 80s. Today, Korea is recognized as one of the world's top five distant water fishing nations. Korea also has acceded to or ratified the legally binding international instruments related to fisheries, including UNCLOS, Compliance Agreement, UNFSA, and PSMA, and is a member of 18 RFBs. Given the recent history of IUU fishing committed by some Korean distant water fishing vessels,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Republic of Korea may become a party to an international fisheries dispute, putting itself - as a fishing State - into a very unfavorable situation. Therefore, it is important that the Republic of Korea understand the fisheries dispute settlement system under the global and regional legal instruments comprehensively and examine how it will be able to better respond to international fisheries disputes that might arise in the future. On this basis, this paper aims to hav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dispute settlement system under the global and regional fisheries instruments and the cases of international fisheries disputes submitted to the international courts to suggest ways for the Republic of Korea to effectively address international fisheries disputes in the future. Chapter 2 reviewed the global dispute settlement system of the four internationally binding instruments related to fisheries, i.e. UNCLOS, Compliance Agreement, UNFSA, and PSMA by comparing their jurisdiction, institution of proceedings, and effect of a judgment or decision. Chapter 3 examined the regional dispute settlement system of the 14 RFBs of which the Republic of Korea is a member based on the same criteria,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the understanding of the fisheries dispute settlement procedures adopted by RFBs. Chapter 4 analyzed the cases of international fisheries disputes that were submitted to the international courts to seek a binding deci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hapter 4 presented how Korea will be able to effectively address future fisheries disputes as a fishing State and a flag State. Chapter 5 summarized the key points of each chapter and suggested the need for the Republic of Korea to fully prepare for international fisheries disputes that may occur in the future. 유엔해양법협약이 채택되기 전 해양은 연안국의 주권이 인정되는 영해와 국제법상 공해의 자유 원칙이 확립된 공해로 구분되었다. 이에 연안국은 영해에서 어업에 대한 절대적인 주권을 행사하였고, 모든 국가는 공해에서 어업의 자유를 향유하였다. 또한 기국주의에 따라 공해상 어선의 활동은 오직 기국에 의해서만 통제될 수 있었다. 그러나 20세기에 이르러 어업을 비롯한 바다의 이용에 관한 다양한 문제가 대두되기 시작하였다. 이에 국제사회는 해양생물자원 보존 등 해양의 이용에 관한 사항을 폭넓게 규제하기 위한 보편적인 조약이 필요하다는 인식 아래 제3차 유엔해양법회의에서 약 10여 년에 걸친 논의를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 1982년 해양의 헌법이라 불리는 유엔해양법협약을 채택하였다. 유엔해양법협약 이후에도 어업에 관한 권리와 의무를 더욱 구체화하고 해양생물자원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일련의 구속력 있는 전지구적 어업조약이 채택되었다. 1993년 유엔식량농업기구(UN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FAO)는 공해상에서 조업하는 모든 어선에 대한 기국의 역할과 통제를 강화하고자 ‘공해상 어선의 국제적 보존관리조치 이행증진을 위한 협정(Agreement to Promote Compliance with International Conservation and Management Measures by Fishing Vessels on the High Seas, 준수협정)’을 채택하였으며, 1995년 유엔은 유엔해양법협약이 구체적으로 다루지 못한 공해상 해양생물 보존과 관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1982년 12월 10일 해양법에 관한 국제연합 협약의 경계왕래성어족 및 고도회유성어족 보존과 관리에 관한 조항의 이행을 위한 협정(Agreement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vision of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of 10 December 1982 relating to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Straddling Fish Stocks and Highly Migratory Fish Stocks: 공해어업이행협정)’을 채택하였다. 가장 최근인 2006년에 FAO는 불법어업 근절을 위한 항만국 통제 강화를 목적으로 2006년 불법, 비보고, 비규제어업 예방, 억지, 근절을 위한 ‘항만국조치협정(Agreement on Port State Measures to Prevent, Deter, and Eliminate illegal unreported, Unregulated Fishing )’을 채택한 바 있다. 이와 더불어 해양생물자원을 보존하기 위한 노력은 지역적 어업조약에 의해서도 본격적으로 진행되기 시작했다. 공해어업이행협정 제8조에서 지역수산기구에 의한 공해어업자원 관리와 국가들의 협력 의무를 명문화한 이후 공해상에는 지역수산기구를 통한 지역 단위의 어업관리가 일반화되었다. 2022년 현재 FAO 기준으로 설립 조약에 의해 설립된 52개의 지역수산기구가 등록되어 있으며, 개별 해양환경에 적합한 대상수역, 관리어종, 권한을 가지고 해양생물자원의 지속가능한 관리를 도모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현대 국제어업 질서는 다양한 전지구적 및 지역적 어업조약에 의해 규제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불거진 불법, 비보고, 비규제 어업(Illegal, unreported, and unregulated fishing : IUU 어업)은 연안국과 지역수산기구 차원의 규제를 더욱 심화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이에 규제의 범위는 불법어업에서 비보고, 비규제어업으로 확대되었으며, 기국의 통제만으로는 IUU 어업에 대응하기 어려워짐에 따라 어업의 책임은 연안국을 비롯한 조업국, 항만국, 그리고 거래국으로 전환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상황을 반영하듯 어업이라는 한정된 자원을 둘러싼 국가간 갈등은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으며, 국제재판소에 회부되는 분쟁 또한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어업과 관련된 국가간 분쟁은 과거부터 발생해왔으나, 최근 어업규제가 심화될수록 국제어업분쟁이 더욱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그 양상도 과거보다 복잡한 실정이다. 1950년대 이후 크게 성장한 대한민국 원양산업은 1970~80년대 국가 경제발전에 크게 기여하였으며, 현재 대한민국은 규모면에서 세계 5위안에 드는 원양어업국으로 평가받고 있다. 대한민국은 유엔해양법협약을 비롯하여 준수협정, 공해어업이행협정, 항만국조치협정과 같은 모든 구속력있는 전지구적 어업조약의 당사국이자, 18개 지역수산기구 설립 조약의 당사국이기도 하다. 그러나 최근 계속된 대한민국 원양어선의 IUU 어업 문제를 고려하였을 때 대한민국이 국제어업분쟁의 당사국이 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며, 특히 조업국의 지위를 가진 대한민국의 특성상 피소될 경우 연안국에 비해 불리한 입장이 놓일 수 있다. 따라서 현재 어업질서를 구성하는 전지구적 및 지역적 어업조약상의 분쟁해결제도와 절차를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국제어업 분쟁사례를 분석함으로써 대한민국이 불가피하게 국제어업분쟁의 당사국이 될 경우 어떠한 실효적인 해결을 도모할 수 있을지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필요성을 바탕으로 본 논문은 전지구적 및 지역적 어업조약상의 분쟁해결제도, 그리고 국제재판소에 회부된 국제어업 분쟁사례를 종합적으로 고찰하고, 대한민국이 분쟁의 당사자가 되었을 경우를 대비하여 대응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2장에서는 국제어업질서의 발전과정을 살펴본 뒤 유엔해양법협약을 비롯하여 구속력있는 전지구적 어업조약인 준수협정, 공해어업이행협정, 항만국조치협정상의 분쟁해결제도를 관할권, 절차의 개시, 그리고 효과라는 동일한 기준에서 비교하여 그 특징을 도출하였다. 제3장에서는 지역적 어업조약인 지역수산기구 설립 조약에 의해 설립된 지역수산기구를 개관한 뒤, 대한민국이 가입한 지역수산기구 중 관리의 권한을 가진 14개 지역수산기구를 대양별로 구분한 후 각각의 기구가 채택한 분쟁해결제도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지역수산기구 설립 조약상 분쟁해결제도에 대한 전반적인 특징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제4장에서는 국제재판소에 회부되었던 국제어업분쟁 사례를 검토하고 대한민국의 대응방안을 상세히 제시하였다. 특히 국제어업분쟁의 유형을 전지구적 어업조약의 해석과 적용에 대한 분쟁의 경우 기국의 의무 및 억류된 선박 및 선원의 신속한 석방이 쟁점이 된 사건을 살펴보았으며, 지역수산기구 설립 조약에 대한 해석과 적용에 관한 분쟁으로 지역수산기구 설립 조약의 해석과 보존관리조치 준수 여부가 쟁점이 된 사건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에는 이러한 사례 분석으로 바탕으로 원양어업국인 대한민국이 국제어업분쟁의 당사자가 될 경우에 대비한 대응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결론인 제5장에서는 각 장에서 살펴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 및 정리하고, 이를 토대로 대한민국이 국제어업분쟁에 대비하여야 할 필요성과 대응방안을 다시 한번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 결혼이민자의 직업문식성 신장 교육 연구 : 다문화가족지원센터 통번역 지원사를 중심으로

        김태린 인하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47

        이 연구는 먼저 인천시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이용하고 있는 결혼이민자들의 취업 목적 한국어 교육의 필요성과 취업 희망 직종 요구에 대해 조사하였다. 다음으로 현재 전문직, 교육직, 사무직에 종사하고 있는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직업문식성 교육의 필요성과 직업문식성 교육 시 요구되는 구체적 항목에 대해 탐구하였다. 마지막으로 그 범위를 좁혀 다문화가족지원센터 6개 기관에 종사하고 있는 통번역 지원사의 직업문식성 수준을 평가하고 직업문식성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조사와 이에 따른 신장 방안에 대한 연구로 이루어져 있다. 결혼이민자는 한국 국민과 결혼한 한국 사회의 새로운 구성원으로서 한국어 교육의 특수 목적 한국어 학습자로 분류된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해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육 연구 분야에서도 다양한 각도에서 관심을 가지고 있다. 특히 결혼이민자들은 한국어 교육을 받음과 동시에 경제활동 참여에 많은 욕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결혼이민자를 위한 취업 목적 한국어 교육과 직업 훈련 교육에 대한 연구 또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결혼이민자의 취업 목적 한국어 교육은 2016년 이후 연구 분야를 세부적으로 나누어 본격적으로 논의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시점에서 결혼이민자의 직업 목적 한국어 교육의 방향을 새롭게 모색해 볼 필요가 있다. 취업 목적 한국어 교육 목적의 방향을 개선하여 취업한 후에 한국 직장에서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업무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좀 더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한국어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한국어 교육뿐만이 아니라 업무 수행에 필요한 범위를 넓혀 탐구해야 할 필요가 있다. 즉 업무 수행을 정확하고 원활하게 할 수 있는 능력을 직업문식성 능력으로 간주하고 직업문식성 신장을 시킬 필요가 있다는 것이 이 연구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학습자 대상을 ‘결혼이민자’라는 범위에서 ‘현직에 종사하고 있는 전문직, 교육직, 사무직’으로 그 범위를 축소하고 마지막으로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종사하고 있는 ‘통번역 지원사’로 한정하였다. 대상을 3단계로 나누어 조사한 결과 1차 조사에서는 김태린(2016)으로부터 4년 후의 변동 추이는 직업 목적 한국어 교육에 대한 욕구는 여전히 높은 것으로 밝혀졌으나 희망 직종은 서비스직, 사무직, 교육직 순에서 전문직, 교육직, 사무직 순으로 변동이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2차 조사에서는 전문직, 교육직, 사무직으로 제한하여 현직에 있는 결혼이민자들의 직업문식성 교육에 대한 필요성과 직업문식성 교육 시 요구되는 구체적 항목에 대해 밝혀내고자 하였다. 그 결과 90% 이상이 직업문식성 교육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다는 결과와 언어 사용 기능 신장 요구를 도출해 낼 수 있었다. 통번역 지원사는 결혼이민자가 전문직으로 종사할 수 있는 새로운 직종으로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이용하고 있는 결혼이민자들에게 많은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미 다문화 사회로의 정착 단계에 있는 한국 사회에서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역할은 점점 커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이유로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 종사하고 있는 통번역 지원사로 그 대상을 한정해 그 업무를 조사 분석하고 업무에 따른 직업문식성 수준을 조사 분석하였다. 통번역 지원사의 업무는 한국어가 부족한 입국 초기의 결혼이민자들을 위해 통번역을 하는 것이다. 업무의 세부사항을 조사 분석한 결과 주요업무로는 6개의 항목으로 구분할 수 있었고 세부항목으로는 50개의 항목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이렇게 방대한 업무를 수행하는 통번역 지원사들은 과연 어떤 직무 교육을 받고 현장에 투입될까에 의문점을 갖게 되었다. 신입 통번역 지원사를 위해 현재 직무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중앙부처와 지방자치단체 기관들을 추출하여 관련 자료를 수집하고 직접 전화 인터뷰를 통해 조사 분석하였다. 그러나 현직 통번역 지원사들에게 인터뷰를 하는 과정에서 계획적이고 세부적인 직무 교육 과정임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으로는 큰 도움을 받지 못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에 유입된 후 학습하기 시작하는 한국어 교육 과정은 결혼이민자들에게는 새로운 문식성이 형성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식성 교육이 이루어지기도 전에 취업이라는 전선에 뛰어듦과 동시에 직업문식성이라는 새로운 벽에 부딪히게 된다. 직업문식성은 직장에서 업무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이라고 하였다. 과거의 취업 목적 한국어 교육에서 이루어졌던 말하기 교육이나 쓰기, 듣기, 읽기 등의 영역별 세부 교육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직장에서 업무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신장시킬 필요가 있다. 그렇다면 현재 통번역 지원사로 종사하고 있는 결혼이민자들의 직업문식성 수준은 어떠한지 진단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결과를 도출해 내고자 설문 문항을 구성하여 통번역 지원사들이 처음 업무를 시작했을 때 관련 업무에 대한 어휘, 언어 사용 기능, 한국문화 이해, 관계 형성, 업무 관련 기술 능력은 어떠하였는지 세부항목으로 구분하여 그 수준을 조사하고 결과를 도출해 내었다. 현직에 있는 통번역 지원사들은 업무와 관련한 직업문식성 조사에서 어휘 능력의 부족과 언어 사용 기능의 부족 등으로 처음 업무를 수행할 시 많은 어려움으로 인해 가중되는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있었음을 알게 되었다. 또한 통번역 지원사들은 직업문식성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조사에서 90% 이상이 직업문식성 교육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구체적인 교육 항목 요구에서는 어휘 능력 신장과 언어 사용 기능 향상, 한국문화 이해 능력 신장, 관계 형성 능력 신장, 업무와 관련된 기술 능력(컴퓨터 이용 기술 능력) 등의 순으로 요구하였다. 이러한 결과에서 통번역 지원사의 업무와 관련된 어휘와 언어 사용 기능이 직업문식성에서의 갖는 의미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그 관계를 연구하였다. 통번역 지원사의 업무 중에서 가장 비중이 많은 업무를 추출하여 관련 자료와 관련된 어휘를 추출해 내었다. 고빈도 어휘 목록에서 명사, 동사, 형용사, 부사, 접속부사 순으로 추출하여 제시하였고 통번역 업무와 관련된 언어 사용 행위를 업무와 관련지어 정리하였다. 또한 업무와 관련된 언어 사용 기능이 직업문식성에서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지 그 관계를 밝혀 놓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직업문식성 신장 방안을 구체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통번역 지원사의 직업문식성 신장 방안의 초점은 한국어 교육 기관과 직업 훈련 기관과의 협력 체제 구축의 필요성에서 시작하고자 하였다. 이에 대한 세부적인 신장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직업문식성 교육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하기 위해서는 한국어 교육 기관과 직업 훈련 기관과의 협력 체제를 구축할 필요성이 있음을 논하였다. 형식적인 정책이 아닌 실현 가능한 정책을 실현하기 위해 한국어 교육 기관과 직업 훈련 기관과의 구체적인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둘째, 어휘 능력 신장을 위한 방안과 언어 사용 능력 신장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방안으로는 학습 전략 관련 기존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그 근거에 의하여 통번역 지원사의 업무와 통번역 지원사의 특성에 맞는 기준을 세워 제시하였다. 셋째, 한국문화 이해와 관계 형성 능력 신장을 위한 방안으로는 의사소통능력과 관련하여 제시하였다. 어휘 능력이 신장 되고 이를 바탕으로 언어 사용 능력이 신장되었을 때 의사소통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이러한 맥락 속에서 문화이해 능력과 관계 형성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음을 밝혔다. 넷째, 통번역 업무 수행 시 필수적으로 이루어지는 문서 작성 업무나 신청서 작성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업무 기술 능력 신장 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직업문식성 범위는 언어 사용 기능이나 문화이해, 관계 형성, 컴퓨터 활용 등을 위한 기술 능력까지 범위를 넓혔음을 밝혔다.

      • 고령자의 물가상승률 추정 : 소비자물가지수의 편의를 중심으로

        김태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내 각종 연금은 수급 대상인 고령자의 물가 변동에 대응하여 실질 구매력을 담보하기 위해 매년 소비자물가지수에 연동된다. 고령자가 경험하는 물가상승률이 소비자물가지수와 차이가 있는 경우 연금의 수급 목적 달성에 문제가 발생한다. 본 논문은 소비자물가지수가 고령자의 물가상승률을 대표할 수 있는지 여부를 엥겔 법칙을 이용해서 확인한다. 엥겔 법칙은 실질 소득이 상승할 때 식료품 비중이 낮아지는 현상을 의미한다. 시간에 따라 실질 소득과 식료품 비중 간 관계를 그린 엥겔 곡선이 이동하는 현상을 통해 소비자물가지수와 가계의 물가상승률이 괴리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고령자의 물가상승률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고령자만의 물가지수 편의의 도출이 요구된다. 고령자는 소비자물가지수 편의 중 품질향상 편의, 신제품 편의에 있어서 영향을 덜 받는 등 비고령자와 물가지수 편의 양상에 있어서 차이를 보인다. 한국재정패널을 이용하여 고령 가계의 물가지수 편의를 도출한 결과, 고령 가구는 소비자물가지수보다 연평균 0.58% 높은 물가상승률, 비고령가구는 소비자물가지수보다 연평균 0.67% 낮은 물가상승률을 경험하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고령가구와 비고령가구의 물가상승률의 차이로서 소비 비중의 차이와 가구 규모의 경제 효과 차이를 들 수 있다. 고령 가구는 비고령가구 대비 식료품과 의료비 지출에서 소비비중이 높다. 식료품은 소비자물가지수보다 매년 높은 물가상승률을 보인다. 의료비의 경우 의료수가가 국가에 의해 통제되어 물가상승률 자체는 높지 않으나, 비고령가구에서 고령가구로 변화 시 의료 지출 규모가 큰 점, 고령자의 1인당 의료비 지출 규모가 매년 증가하고 있음이 여타 자료에서 확인되는 점을 고려할 때, 비고령가구에서 고령가구로 변화함에 따라 물가상승률을 높일 것을 예상할 수 있다. 또한 고령가구는 비고령가구에 비해 가구 규모의 경제 효과를 적게 누린다. 가구 규모의 경제 효과란 가구원 수 증가에 따른 실질 후생의 증가를 의미한다. 고령 가구의 평균 가구원 수는 비고령가구에 비해 적으므로 규모의 경제 효과를 덜 누릴 것을 예상할 수 있다. 한국재정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국내 전체 가구에 대해 규모의 경제를 파악한 결과 4인 이상 가구는 3인 이하 가구 대비 1.671배 높은 규모의 경제 효과를 누리고 있음이 보고되었다. 즉 비고령가구에서 고령가구로 전환됨에 따라 규모의 경제 효과 축소가 고령가구의 물가상승률이 비고령가구보다 높아지는 데 일조할 것을 예상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iveness of the CPI as a measure of inflation faced by seniors by estimating CPI bias. CPI bias can be estimated by using Engel curves. Drift in Engel curves over time for similar households would be due to CPI-deflated income.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 Engel curves drift to the right for seniors, in contrast to the left for non-seniors. The bias in the CPI is to underestimate the annual rate of increase in the cost of living for senior households by 0.58% on average. For non-senior households, CPI overestimates the annual rate of increase in the cost of living by 0.67% on average. The difference between senior and non-senior households can be attributed to the CPI weights and the economies of scale in the household. Seniors spend a larger budgets on food and medical care, compared to non-seniors. Also, it is expected that the reduction in economies of scale would increase inflation rate of seniors. The estimated size economies with more than four members are 1.671 times higher than less than three members.

      • 관상학을 응용한 눈썹 메이크업의 인식도 조사 연구 : 마의상법을 중심으로

        김태린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Nowadays the social concerns of physiognomy are getting greater day by day. This trend has emerged through broadcasting industries, publishing industries, plastic surgery industries, skin care industries etc. And many studies are developing contents with utilization and application of physiognomy including psychology, plastic surgery medicine, korean traditional medicine, counselling studies, image making, beauty makeup, alternative medicine. Working to the social concerns of physiognomy, Beauty Design world is supposed to keep pace with physiognomy. Many difficulties lie in applying physiognomy to Beauty Design. First physiognomy has about 2000 years of history and vast contents of both in quality and quantity, so is not easy to apply. So in this study we conduct a study of physiognomy applied research limited to eyebrow makeup which has a less contents comparatively, easy to perform and effective visibly. And we also conduct a study of the satisfactory rate research about physiognomy applied eyebrow makeup in practice. In application of physiognomy this study is for 24 kinds of eyebrows in Ma-Yi xiangfa considered the progenitor of physiognomy world. Above all we need to have a plan to select a standard model of physiognomy applied eyebrow makeup by classification of face type and fortune for 24 kinds of eyebrows of Ma-Yi xiangfa. We borrow the classification model of eyebrow in Beauty Design, and introduce a fortune and characters of eyebrows in Ma-Yi xiangfa. Accordingly we practice a standard model of eyebrow makeup, and also perform a study of establishing a classification guideline for 24 kinds of eyebrow. As a result 4 kinds of eyebrow (Geom-mi, Yong-mi, Seonra-mi, Wajam-mi) are applied to round face type, 5 kinds of eyebrow (Sinwol-mi, Cheongsu-mi, Gyeongcheong-mi, Saja-mi, Ho-mi) are applied to square and inverted triangle face type, 5 kinds of eyebrow (Ilja-mi, Geom-mi, Jeoncheonghuso-mi, Danchoksu-mi, Yong-mi) are applied to long face type, and 6 kinds of eyebrow (Saja-mi, Ho-mi, Seonra-mi, Wajam-mi, Yong-mi) are applied to lozenge type. So we conduct a research on the satisfactory rate of eyebrow makeup applying physiognomy. This study is performed for adult men and women over the age of 20 living in Seoul and its area including Chungcheongbukdo by online questionnaire survey. We have conducted a study of 3 surveys on the perception level for eyebrow makeup, the satisfactory rate on eyebrow makeup applying physiognomy, and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 So it shows like that: Firstly, The respondents set the highest value on eyebrow among many parts of face makeup, eyebrow tail and head among many parts of eyebrow, and eyebrow shape and thickness among many parts of eyebrow components. They set the highest value on image in eyebrow makeup, and natural image among many parts of images. Secondly, they set the highest value on wealth fortune among many fortunes, next one is health fortune and family fortune. And they set the highest value on the point which is to reflect a seeking fortune and professional counselling for their physiognomies. And we conclude that they consider a reasonable price of eyebrow makeup applying physiognomy as 2 or 1,5 times of general eyebrow makeup. The perception level of eyebrow makeup applying physiognomy weighs on non-awareness so far, but the interest level of it weighs on 'somewhat much' and 'very much'. The course of getting information on eyebrow makeup weighs on the internet and acquaintances and the preference type weighs on semi-permanent eyebrow makeup. This study shows that the perception level of eyebrow makeup applying physiognomy is still low, but the interest level of it is high. And we conclude that they prefer a eyebrow makeup of reflecting their seeking fortune and professional counselling for their physiognomies. Through the above results on this study, many Beauty Design majors could develop their world by applying physiognomy and making more various and plentiful contents. 요즘 관상학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날로 증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추세는 방송계, 출판계, 성형시장업계, 피부미용업계 등 사회 전반에 있어 나타나고 있다, 또한 관상학을 활용 및 응용하여 심리학, 성형의학, 한의학, 상담학, 이미지 메이킹, 미용 메이크업, 대체의학 등 많은 분야의 학문들이 컨텐츠를 개발하고 있다, 이러한 관상학에 대한 사회적 관심에 발맞추어 뷰티 디자인업계에서도 뷰티 디자인과 관상학의 상생을 도모할 수 있다고 본다. 관상학을 뷰티 디자인에 응용함에 있어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다, 우선 관상학은 약 2천년의 역사를 가진 학문으로 질적인 면 뿐 아니라 양적인 면에서도 방대한 컨텐츠가 존재하기에 쉽지 않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비교적 컨텐츠의 양이 적으면서 연출하기 간편하고 가시적 효과가 뛰어난 눈썹 메이크업 분야에 국한하여 관상학을 응용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또한 실제로 관상학을 응용한 눈썹 메이크업에 대한 인식도 조사 연구도 아울러 병행하고자 한다, 연구에 응용되는 관상학은 관상학계의 시조로 평가받는 마의상법을 중심으로 하여 본 텍스트의 24종 눈썹을 그 대상으로 한다. 우선 마의상법의 24종 눈썹을 현대의 뷰티디자인 눈썹 메이크업에 활용하기 위하여 마의상법의 24종 눈썹을 얼굴형과 길흉에 따라 분류하여 관상학을 응용한 눈썹 메이크업의 표준 모델을 선정한다, 뷰티 디자인에서 쓰이고 있는 얼굴형에 따른 눈썹 분류방식을 차용하며, 아울러 마의상법에서 제시하고 있는 각 눈썹들의 길흉과 운세별 특성을 도입한다, 따라서 실제 고객에게 관상학을 응용하여 눈썹 메이크업의 표준 모델을 제시하며, 아울러 24종 눈썹에 대한 감별 가이드라인을 확립하는 작업을 병행하기로 한다. 그 결과 총 4종 눈썹(검미, 용미, 선라미, 와잠미)이 둥근형 얼굴형에 응용되며, 총 5종 눈썹(신월미, 청수미, 경청미, 사자미, 호미)이 사각형과 역삼각형 얼굴형에 응용되며, 총 5종 눈썹(일자미, 검미, 전청후소미, 단촉수미, 용미)이 긴 형 얼굴형에 응용되며, 총 6종 눈썹(사자미, 호미, 선라미, 와잠미, 용미)이 마름모형 얼굴형에 응용될 수 있게 되었다. 이렇게 해서 완성된 관상학을 응용한 눈썹 메이크업의 인식도 조사를 실시한다, 이 연구는 서울 수도권과 충청북도에 거주하는 20대 이상의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하여 관상학을 응용한 눈썹 메이크업의 인식도 조사 연구를 실시하였다, 눈썹 메이크업의 인식도 조사, 관상학을 응용한 눈썹 메이크업의 인식도,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관하여 총 3가지 조사항목에 걸쳐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얼굴 메이크업 시에 여러 항목 중 눈썹을 가장 중요시했음을 알 수 있으며, 눈썹 부위 중에서도 눈썹꼬리와 눈썹머리를 가장 중요시하였고, 눈썹 메이크업 시에 눈썹 형태와 눈썹 굵기를 가장 중요시하였다, 눈썹 메이크업을 함에 있어 중요시하는 개념은 이미지였으며, 여러 이미지 중에서도 내추럴 이미지를 중시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관상학을 눈썹 메이크업에 응용함에 있어 중요시하는 운세는 재물운이었으며, 다음으로는 건강운과 가족운 순으로 빈도가 높았다, 또한 관상학을 눈썹 메이크업에 응용함에 있어서의 주안점은 자신이 추구하고자 하는 운세를 메이크업에 반영하는 것과 고객의 관상에 대한 전문적 상담을 중요시하였다, 관상학을 응용한 눈썹 메이크업의 비용은 일반 메이크업의 2배와 1,5배가 적정 가격으로 인식함을 알 수 있었다, 관상학을 응용한 눈썹 메이크업의 인지도는 아직까지는 모르는 사람이 다수를 차지했으나, 관심도는 ‘다소 많다’와 ‘매우 많다’가 과반 이상을 차지하여 많은 편임을 알 수 있었다, 눈썹 메이크업의 정보 습득 경로는 인터넷과 지인 순으로 높았으며, 눈썹 메이크업의 선호 형태는 세미 퍼머넌트 메이크업이 과반을 차지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서 관상학을 응용한 눈썹 메이크업에 대한 아직 인지도는 낮으나 높은 관심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대중은 관상학을 응용하여 눈썹 메이크업을 함에 있어 자신이 추구하는 운세가 메이크업에 반영되며 아울러 자신의 관상에 대한 전문적인 상담을 원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서 뷰티 디자인 전공자들이 관상학을 응용하여 좀 더 다채로우며 풍성한 컨텐츠로서 뷰티 디자인 업계를 발전시킬 수 있는 활로가 활용하였으면 하는 바이다.

      • 어머니의 코칭역량이 초등학생 자녀의 자기주도 학습역량에 미치는 영향

        김태린 동덕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대량의 정보가 유통되는 21세기 현대사회와 다가오는 4차 산업시대에서 개인은 자신의 역할을 끊임없이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스스로 가치 있는 정보를 선택하고 가공하며 공유하는 주체자로서의 노력이 요구된다. 이러한 노력은 학습의 진행에 대한 모든 과정을 스스로 결정하고 학습할 수 있는 역량, 즉 자기주도 학습역량에 의해 좌우된다. 이러한 시대적, 교육적 당위성을 바탕으로 학습자의 자기주도 학습태도 및 효과와 관련된 다양한 관점과 담론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자기주도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과 요인이 무엇인지가 교육공동체의 지속적인 관심이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자기주도 학습태도를 정착시키고 이로 인한 학습 효과를 극대화하는 데 가장 중요한 시기는 초등학교 고학년 시기이다. 그리고 아이들의 자기주도 학습을 완성시키는 가장 훌륭한 파트너는 부모의 양육태도이다. 어머니는 어둠을 뚫고 나온 인간이 빛과 함께 가장 처음 만나는 타인으로서 그 이미지가 개인의 삶 전체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친다. 성숙한 어머니야말로 인생의 멘토이며 코치이다. 어머니의 역할은 다양하지만 자기주도 학습자의 양성에 국한해 보면 자녀들이 스스로 문제를 발굴하고 타당한 질문을 이어가며, 이에 대한 답을 찾을 수 있는 태도와 능력을 함양하도록 리드하는 것으로 함축할 수 있다. 이러한 어머니의 역할은 코칭 리더십으로 설명이 가능한 부분이다.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코칭역량이 초등학생 자녀의 자기주도 학습역량을 얼마나 향상시킬 수 있는지, 어떤 영향을 줄 수 있는지를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인천 지역에 거주하는 초등학생 6학년 자녀와 그 어머니 각각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사전에 연구 대상에게 연구 참여에 동의를 얻어 2017년 11월6일∼12월30일까지 진행되었다. 이 기간 동안 연구자는 초등학생 6학년 자녀와 그 어머니 각각 50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그 중 476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다. 회수된 설문지를 사전 검토하여 누락된 응답이 많거나 불성실하게 응답하였다고 판단된 47부를 제외하고, 총 429부의 설문지를 통계처리 하였으며, 통계를 기준으로 한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배경변인인 연령, 코칭교육, 부모교육, 학력 등은 어머니의 코칭역량 차이가 있다. 어머니의 배경변인 중 학력과 연령이 높을수록 코칭역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코칭교육과 부모교육의 유무를 통해서도 코칭역량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는 부모의 다양한 경험과 코칭교육이 통해서 코칭역량을 신장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둘째, 자녀의 배경변인의 따른 자기주도 학습은 메타인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어머니의 코칭역량은 자녀의 자기주도 학습역량에 영향을 미쳤다. 어머니의 코칭역량이 높다는 것은 그만큼 자녀와의 관계(상호작용)에 있어 서로에게 친밀감을 줄 수 있다는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서로의 신뢰를 바탕으로 자녀의 잠재능력을 최대한 이끌어내어 자기주도 학습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것이다. 넷째, 어머니의 코칭역량의 하위변인과 자녀의 자기주도 학습역량의 하위변인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자기주도 학습능력이 필요한 자녀를 둔 어머니를 상대로 한 코칭역량 강화학습의 방향을 설정하고, 적합한 코칭학습 모델의 정착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본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코칭에 대한 효과성의 검증을 통해 부모를 대상으로 한 코칭프로그램의 개발과 함께 부모코칭 분야가 전문적인 분야로 성장 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또한, 어머니의 코칭역량 및 자녀의 자기주도 학습역량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도록 실제로 소규모 그룹을 구성하여 수준별, 주제별로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13세 학생들과 그 어머니를 대상으로 진행하였기에 좀 더 다양한 연령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객관적인 검증이 요구된다. In a modern society of 21th century in which a great deal of information is actively exchanged, and the upcoming fourth industry, each individual needs to ceaselessly redefine their own role. For doing this, efforts to be a main agent who can choose, modify, and share valuable information by himself are required. These endeavors are controlled by competency that is allowed to decide the whole process of learning, and to learn something by oneself, that is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y. Various perspectives and discussions related to learners' self-directed attitude toward learning and its effectiveness were being proceeded based on the need of the times and education. In particular, what environment and factors affect self-directed learning is a lasting interest of a education community. Previous studies indicate that the most important time to establish attitude toward self-directed learning, and maximize learning effectiveness is high grades of primary school. On top of that, parents' nurturing attitude most significantly helps children to complete self-directed learning. The image about as a stranger whom a human coming out from the darkness first meets with light continuously impacts an individual's entire life. Mature mother is the very person that can be a mentor and coach of someone's life. There are a wide range of mother's roles. However, when focusing on only fostering learners who do self-directed learning, it implies that mother's role is to lead young learners to develop attitude and competency to find a problem by themselves, keep questioning on a problem, and seek answers to the problem. This mother's role can be explained as coaching leadership. This study aims to explore what effects of mother's coaching competency on primary school children's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y and to what extent mother's coaching competency improve primary school children's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y. For doing this study, 500 students in the 6th grade of primary school living in Incheon and their mother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Prior to conducting the study, consent on the study from respondents was obtained and the survey was performed from November 6 to December 30 in 2017. 5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500 students and their mothers. 476 of them were collected and incomplete 47 questionnaires were excluded. A total of 429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Primary findings are as follow. First, mother's age, education background, coaching education, and parents' education that are mother's background variables could influence mother's coaching competency. In particular, mother's age and education background positively influenced mother's coaching competency. In addition, the experience of coaching education and the execution of parents' education were closely correlated with mother's coaching competency. It implies that coaching competency can be improved through parents' various experiences and coaching education. Second, self-directed learning depending on children's background variables had significant difference in meta-cognition. Third, mother's coaching competency influenced their children's competency in self-directed learning. Mother's high coaching competency signified that mother could make deeper intimacy with their children in the interaction between mothers and their children. Also, based on credibility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potential can be drawn, which consequently enables children's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y to heighten. Fourth, sub-factors of mother's coaching competency and sub-factors of children's self-directed learning significantly competency influenced children's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y. It implies that these findings will considerably affect the direction of reinforcing coaching competency of mothers with primary school children who need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y, and the establishment of an appropriate model of coaching for learning. As such, it is expected that through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coaching in this study, not only the coaching programs for parents will develop but parents' coaching will professionally grow. Furthermore, programs which enable children in a micro group to do various activities depending on a level of children's learning competency and a topic are necessary. These programs will help mother's coaching competency and children's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y to effectively increase. Since this study examined only 13-year-old children and their mothers, there is a limitation of gaining more objective results. Therefore, in further studies, mother's coaching competency and children's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y by investigating more various aged children and their mothers need to be objectively verified. levels and themes should be organized and work on how mothers’ coaching capability and children’s self-directed learning can be efficiently improved.

      • 간호사의 주사바늘자상에 대한 보고의도 영향요인

        김태린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간호사의 주사바늘자상에 대한 보고의도의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의료기관 내 주사바늘자상에 대한 보고 행위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U 광역시 소재의 감염관리실의 기준을 갖춘 150병상 이상의 5개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16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2020년 1월 20일부터 2월 5일까지 약 2주간 시행되었다. 자료분석은 SPSS/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 실수와 백분율 등을 이용한 기술 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서 최근 1년간 주사바늘자상을 경험한 대상자는 60.1%로 나타났다. 2. 주사바늘자상에 대한 보고의도는 평균 3.69(±0.88)점으로 나타났다.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주사바늘자상에 대한 보고의도 차이는 기타 부서에서 근무하는 대상자의 보고의도 점수가 4.00(±1.00)점, 주사바늘자상 경험이 없는 대상자의 보고의도 점수가 4.06(±0.66)점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4. 주사바늘자상 경험자의 보고 관련 특성 중 주사바늘자상 후 보고를 한 대상자의 보고의도 점수가 3.83(±0.9)점, 보고 후 처치 만족도에 대해 ‘매우 만족’이라고 응답한 대상자의 보고의도 점수가 4.60(±0.55)점, 주사바늘자상 재경험 시 보고의도를 묻는 질문에 대해 ‘예’라고 응답한 대상자의 보고의도 점수가 3.75(±0.84)점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5. 주사바늘자상에 대한 보고의도는 보고지식(r=0.298, 𝑝<.001), 보고태도(r=0.241, 𝑝=.002), 간호조직문화의 관계지향적문화(r=0.217, 𝑝=.006)와 혁신지향적문화(r=0.198, 𝑝=.011)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6. 주사바늘자상에 대한 보고의도 영향요인은 보고지식(t=2.49, 𝑝=.014)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간호사가 인지하는 보고지식이 주사바늘자상의 보고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각 의료 기관은 주사바늘자상 후 보고에 대한 절차와 방법을 포함하는 보고지식에 대한 교육을 제공하고 보고 체계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개선 방안을 마련해야 함을 알 수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nurses’ intention to report needlestick injuries in order to encourage the intention to report such injuries within medical institution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63 nurses working in five general hospitals with at least 150 beds, complying with legal requirements for having a specialized infection control department, in U City. The data were collected over a period of two weeks from January 20 to February 5, 2020.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version 22.0 for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60.1% of subjects experienced needle stick injuries in the last year. The intention to report needlestick injuries scored 3.69(±0.88). The intention to report needlestick injuries was significantly higher among subjects in other departments who scored 4.00(±1.00), compared to subjects who did not experience needlestick injuries and scored 4.06(±0.66). Based on feedback from subjects who experienced needlestick injuries, the intention to report was significantly higher among the following: those who reported after the experience had a score of 3.83(±0.9), those who responded "very satisfied" with treatment had a score of 4.60(±0.55), those who responded that they are willing to report if needlestick injuries occur again had a score of 3.75(±0.84). The intention to report needlestick injuries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knowledge of reporting(r=0.298, 𝑝<.001), attitude of reporting (r=0.241, 𝑝=.002), and relation-oriented culture(r=0.217, 𝑝=.006) and innovation-oriented culture(r=0.198, 𝑝=.011) of a nursing organization culture. The intention to report needlestick injuries was influenced by knowledge of reporting(t=2.49, 𝑝=.014).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nurses’ perceived knowledge of reporting is a significant influential factor on their intention to report needlestick injuri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imply that medical institutions should provide education and training on the procedure and methods for reporting needlestick injuries and necessary measures to improve the accessibility to the reporting system.

      • 베토벤 후기 피아노 소나타의 푸가 기법에 관한 연구

        김태린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 1770-1827)은 전 생애에 걸쳐 32개의 피아노 소나타를 작곡했다. 32개의 피아노 소나타는 그의 다양한 작곡 양식의 변화들을 보여주는데 소나타 형식을 바탕으로 창작시기에 따른 다양한 작곡 기법들이 여기에 나타난다. 그 대표적인 예가 대위법 사용의 변화이다. 초기에는 캐논기법이 주로 사용되어졌다면 그의 후기 피아노 소나타에서는 푸가기법이 등장한다. 베토벤은 바로크 시대에서 주로 사용하였던 작곡 기법 중 하나인 푸가를 이용하여 구조적인 테두리는 소나타 형식을 가지되, 자신만의 자유롭고 발전적인 방식으로 소나타 형식 안에서의 결합을 모색하였다.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No.28 Op. 101>은 4악장의 발전부 안에서 푸가가 등장한다. 베토벤의 소나타 중에서 처음으로 푸가를 쓴 곡이며 푸가의 주제 선율이 화성적, 대위적으로 전개되어 나타난다. <피아노 소나타 No.29 Op.106>은 대위적 작곡기법이 총 동원된 대(大)푸가로서 이중 푸가의 등장과 더불어 긴 에피소드와 스트레토는 베토벤이 전통적 푸가를 그의 음악적 모티브와 함께 더욱 확대, 발전 시켰다고 할 수 있다. <피아노 소나타 No.30 Op. 109>는 3악장의 제 5변주에서 나타난다. 변주곡 형식과 푸가기법을 결합한 작품으로 주제의 시작과 동시에 스트레토를 보이고 주제응답이 4도와 5도 관계조가 아닌 2도 관계를 보이고 3도와 6도의 화성 진행을 사용함으로 이는 베토벤이 곡의 형식적인 면보다는 즉흥적인 면을 추구하면서 기존의 소나타 형식에 변화를 연구하였다. <피아노 소나타 No.31 Op.110>의 3악장에 2개의 푸가 부분이 있고 푸가 주제를 전위, 확대, 축소시키며 다양하게 변화를 주고 주제 이외의 성부를 화성반주로 구성하여 주제를 더욱 돋보이게 하는 베토벤만의 창의적인 면모가 드러난다. <피아노 소나타 No.32 Op.111>은 앞의 4개의 소나타에서 나타나는 푸가기법을 사용하지는 않았지만 1악장의 제시부에서부터 부분적인 대위법과 함께 화성적인 전개를 진행함으로서 앞의 4개의 후기 피아노 소나타에 비해 좀 더 자유로운 전개를 추구하였다. 5개의 후기 소나타에서 베토벤은 소나타 형식과 결합해서 푸가를 작곡 하였고 푸가 길이의 확장과 축소 그리고 대위법을 사용하고 복잡하고 대담한 화성 진행과 주제와 소재의 선율적 구성 등 다양한 표현방식을 나타냄으로서 후기 피아노 소나타의 특징들과 합쳐져 개성있고 자신만의 독창적인 푸가기법을 고안해냈다. 위의 연구 내용을 바탕으로 베토벤은 전통적 푸가를 그대로 답습한 것이 아닌 이를 활용하고 재구성 하여 후기 피아노 소나타 안에서 재탄생 시켰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작곡 기법은 새로운 음향의 시도이며 낭만주의시대를 여는 걸작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나타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