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剪燈新話硏究

        김춘해 全南大學校 1989 국내석사

        RANK : 1855

        剪燈新話는 唐 傳奇의 영향을 받은 明代 瞿佑의 作品이다. 本 論文의 目的은 剪燈新話의 제작목적과 내용, 종교사상, 唐 傳奇가 剪燈新話에 끼친 영향을 알아보고, 唐 傳奇와 剪燈新話의 各 作品에서 드러나고 있는 내용과 체제의 유사성을 통해 剪燈新話가 단편소설로서 가능성이 있는가를 알아보는데 있다. 剪燈新話의 제작목적은 1. 勸善懲惡, 哀窮悼屈 2. 自身의 文才과시 3. 自身의 無罪를 호소하는 面으로 나타나고, 剪燈新話가 唐 傳奇로 부터 받은 내용적인 面에서의 영향은, 1. 唐 傳奇의 이야기를 전체적으로 인용한 것. 2. 대부분의 구상을 얻은 것. 3. 부분적인 사건이나 구절을 얻은 것으로 나타난다. 체제 역시 頭文, 結尾, 詩歌의 運用面에서 唐 傳奇와 유사하지만 이야기 전개의 구성방식은 唐 傳奇의 그것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즉, 구성의 단순·주제와 구성과의 不調和·제재의 미숙함 등으로 해서 단편소설이 갖추어야 할 치밀한 구성·상징의 사용·효과의 강열한 통일성이 없다. 이러한 결과로 해서 剪燈新話는 필기나 잡기류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Jian De ̄ng Xi ̄n Hua`(剪燈新話) is art of Ju`You`(瞿佑) who was effected Ta´ng(唐) dynasty's Chua´n qu´(傳奇).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know about Jiˇan De ̄ng Xi ̄n Hua`(剪燈新話)‘s production purpose, content, religious thought, How does Ta´ng(唐) dynasty's Chua´n qu´(傳奇) influences Jiˇn De ̄ng Xi ̄n Hua`(剪燈新話), the subject about Ta´ng(唐) dynasty's Chua´n qu´(傳奇), Jiˇan De ̄ng Xi ̄n Hua`(剪燈新話) as shortstory. The Jian Deng Xin Hua(剪燈新話)‘s production purpose. I. Qua`n sha`n che´ng e`(勸善懲惡), a ̄i qi´ong dao` gu ̄(哀窮悼屈). II. Make a show of one's knowledge. III. Appeal to the innocence. Jiˇan De ̄ng Xi ̄n Hua`(剪燈新話)'s influence of subject by Tang(唐) dynasty's Chu´an qu´(傳奇) I. Generally, quote the story of Ta´ng(唐) dynasty's Chua´n qu´(傳奇) II. Mostly, gain the concreteness. III. Partially, gain the a circums tance or phrase. In phrases and clauses, the first part, the application of the poetry and the last part are part are similar with Ta´ng(唐) dynasty's Chua´n qu´(傳奇). But the way of construction of sentence is not connected with Tang(唐) dynasty's Chua´n qu´(傳奇). That is, by simplization of constitution, inharmoniousness of subject constitution and immature to organization, Jiˇan De ̄ng Xi ̄n Hua`(剪燈新話) don't have a careful constitation, usefulness of symbol, effectiveness of intense unification in shortstory. In vie of the results so far achieved, Jiˇan De ̄ng Xi ̄n Hua`(剪燈新話) is almost similar to notes or miscellaneous notes.

      • 배추의 안정적 형질전환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김춘해 남부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1855

        Hypocotyl explants of Chinese cabbage (cvs. "Jeong Sang" and "Seoul") produced adventitious shoots on Murashige and Skoog (MS) basal medium supplemented with 4 mg/L AgNO3, 5 mg/L acetosyringone, 4 mg/L 6-benzyladenine and 3 mg/L alpha-naphthaleneacetic acid (SI) after cocultivation with strains of Agrobacterium tumefaciens (LBA4404) harboring the pCAMBIA1301 and the pPTN290 containing hygromycin-resistance gene and paromomycin-resistance gene as a selectable marker genes, respective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transgenic plants depending on antibiotics and cultivars used. Paromomycin was better thanhygromycin, and cultivar "Jeong-sang" was higher than "c.v. Seoul"in the frequency of transgenic plants. In particular, the highest frequency (0.70%) of transgenic plants was obtained from selection medium (SI) containing 100 mg/L paromomycin in c.v., Jeong-sang". GUS positive response were obtained 9 plants and 3 plants from the cultivars, "Jeong-sang" and "Seoul", respectively. They were grown to maturity in a greenhouse and normally produced T1 seeds. GUS histochemical assay for progeny (T1) revealed that the transgenes were expressed in the plant genome. Hypocotyl explants of Chinese cabbage (cvs. "Jeong Sang") produced transgenic calli on callus induction medium (MS salt, B5 vitamin, 5 mg/L acetosyringone, 1 mg/L 2,4-D, 3% sucrose, 400 mg/L cefotaxime, 100 mg/L paromomycin, pH 5.8) after cocultivation with strains of Agrobacterium tumefaciens (EHA101, LBA4404, GV3101) harboring the pPTN290 containing paromomycin-resistance gene as a selectable marker, and then they transferred to root induction medium (1/2MS salt, MS vitamins, 2% sucrose, 100 mg/L paromomycin, 100 mg/ L cefotaxime, pH 5.8) and shoot induction medium (MS salt, B5 vitamin, 4 mg/L AgNO3, 4 mg/L 6-benzyladenine, 3 mg/L alpha-naphthaleneacetic acid, 100 mg/L paromomycin, 100 mg/ L cefotaxime, 3% sucrose, pH 5.8) in ord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transgenic calli depending on Agrobacteriumstrains. In particular, the highest frequency (6.1%) of transgenic calli was obtained from the hypocotylscocultivated with EHA101 strains. Also, the frequency (%) of transgenic root and plants from each transgenic callus clone were obtained with 60.7% and 38.2% in EHA101, with 8.3% and 0% in LBA4404, with 20.5% and 85.7% in GV3101 strains, respectively. They were grown to maturity in a greenhouse and normally produced T1seeds. GUS histochemical assay for progeny (T1) revealed that the transgenes was expressed in the plant genome, and progeny analysis from 7 independent transgenic events demonstrated that the transformants transmitted the transgene as a single or multiple functional locus.

      • 聊霽志異硏究

        김춘해 전남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박사

        RANK : 1855

        本稿의 目的은 《聊齋志異》가 中國文言小說에 있어 以前 小說의 諸樣式을 集大成하고 있음을 살펴보고 아울러 作者 蒲松齡이 中國文言小說上의 큰 흐름인 志怪의 전통에 서서 《聊齋志異》 작품의 예술적 가치를 높인 志怪的 要素의 독특한 운용과 함께 대중들로부터 인기를 얻을 수 있었던 《聊齋志異》의 通俗性과 思想性에 대해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蒲松齡은 志怪類에 대한 흥미와 明末淸初 文言小說이 유행한 추세 및 사회에 대한 개인적인 불만에 起因하여 《聊齋志異》를 창작하였다. 《聊齋志異》는 前代의 文言小說을 여러 面에서 繼承·發展시키고 있는데 먼저 小說樣式面에서 보면 筆記散文樣式이든 근대적 의미의 小說樣式이든 간에 자신의 뜻을 기탁하기 좋은 中國文言小說上의 諸樣式을 활용하여 狐鬼神怪를 말하되 때로는 長篇의 내용으로 선명한 형상과 변화 있는 이야기를 가지고 자신의 감정을 토로했고, 때로는 짧은 말로 간단한 구도를 이루고 핵심을 찌르는 論旨로 자신의 심정을 기탁하고 있다. 그래서 《聊齋志異》에는 筆記散文樣式인 小品, 志人, 志怪類의 작품과 傳奇小說樣式의 作品이 모두 보인다. 특히 志怪的인 要素가 다분한 筆記散文樣式의 志怪類와 傳奇小說樣式의 作品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데 이러한 蒲松齡의 筆記散文樣式과 傳奇小說樣式을 결합한 諸樣式의 運用은 《聊齋志異》로 하여금 以前의 小說樣式의 우수한 전통을 繼承·發展케 하고 있으며 아울러 中國文言小說上의 모든 小說樣式을 집성토록 하는 결과를 가져온 것으로 보인다. 《聊齋志異》는 많은 작품이 現實과 幻想이 결합되어 있는데 傳奇類作品을 주요 대상으로 고찰한 《聊齋志異》 現實과 幻想의 결합 형태는 現實로 모순을 전개하고 幻想으로 모순을 해결하는 형태, 現實로 모순을 전개하고 幻想으로 모순을 고조시키는 형태, 現實과 幻想이 대비되는 형태, 現實이 幻想에서 중복되는 형태, 現實과 幻想이 교차하면서 幻想에서 인물의 성격을 부각시키는 형태, 幻想이 인물의 성격을 부각시키고 주제를 심화시키기 위하여 허구적인 환경을 제공하는 형태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러한 결합은 독자들로 하여금 추상적인 것을, 구체적으로 느낄 수 있는 시각 형상으로 변화시켜 보다 명확하고 절실하며 철저하게 주제를 파악토록 하는 작용을 하고 있다. 《聊齋志異》가 지니고 있는 娛樂指向으로서의 通俗性에서는 일반적으로 通俗性의 要素로 거론되는 言語의 口語化와, 웃음의 諧謔性·性의 官能性·暴力의 殘酷性·夢想의 幻想性을 포함하는 內容의 通俗化 그리고 作家 意識의 平民化로 구분하여 《聊齋志異》의 通俗性을 살펴보았는데 대부분의 작품들이 志怪的 要素를 運用하였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幻想性을 지니고 있으면서 또한 다른 通俗的 要素들과 유기적으로 결합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이러한 通俗的 要素의 절묘한 배합으로 《聊齋志異》는 수많은 대중들의 인기를 얻을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聊齋志異》가 지니고 있는 現實指向으로서의 思想性에서는 自由戀愛 追求, 科擧制度 批判, 封建統治階級 批判, 反淸 意識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는데 작품에서 蒲松齡은 자유스럽고 진실된 애정의 추구를 옹호하고 있으며 科擧制度와 관련된 여러 폐단과 부정 부패를 묘사하면서 그로 인한 지식인의 人性毁滅 및 천박한 세태를 풍자하고 있고 백성들의 고통에 대해서는 그 진정한 원인이 封建 統治者의 부패한 統治에 있음을 간파하여 집중적으로 統治者들의 부패와 백성에 대한 虐政을 쓰고 있다. 아울러 殉國烈士를 찬양하면서 淸兵의 잔혹한 약탈과 학살을 고발하고, 그 아래에서 무고하게 희생되는 사람들의 처지를 묘사함으로써 백성에 대한 愛民精神을 드러내고 있다. 결론적으로 蒲松齡의 《聊齋志異》는 中國文言小說史에 있어 모든 小說樣式을 集大成하고 있으면서 志怪的 要素를 要素 그 자체로 두지 않고 예술적으로 幻化시키고 또 현실과 결합시킴으로써 主題를 보다 선명히 드러내는 작용을 하도록 하고 있다. 小說의 社會的 作用이라는 面에서 小說이 일반인을 啓導하는 敎訓性을 지니기 위해서는 많은 大衆에게 감동을 주어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大衆의 審美趣味나 審美需要 그리고 文化水準에 적합해야 한다고 볼 때, 蒲松齡은 여러 가지 通俗的 要素를 잘 배합하여 文言小說인 《聊齋志異》로 하여금 大衆性을 지니게 하고 있으며 또한 심각한 思想性을 가지고 현실을 반영함으로써 보다 쉽게 大衆에게 접근하여 많은 영향을 끼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examine Lia´o zha ̄i zhi` yi`(聊齊志異) which integrated all types of previous chinese written novels, and to look into its popularization and ideology which enabled Pu´ so ̄ng li´ng(蒲松齡) to gain a popularity from people, because Pu´ so ̄ng li´ng(蒲松齡) added a special odd factors to his work. The background which Pu´ so ̄ng li´ng(蒲松齡) wrote Lia´o zha ̄i zhi` yi`(聊齊志異) was due to having his interest in odd things ,and his personal complaint against the trend of society which novels written from the end of Mi´ng(明) Dynasty to the beginning of Qi ̄ng(淸) Dynasty were very popular. Lia´o zha ̄i zhi` yi`(聊齊志異) succeeded to develop previous written novels in all the aspects. First of all, taking Lia´o zha ̄i zhi` yi`(聊齊志異) into consideration in terms of novel style, no matter whether the style of Lia´o zha ̄i zhi` yi`(聊齊志異) was a prose or modern novel, Lia´o zha ̄i zhi` yi`(聊齊志異) mentioned fox, ghost, God, and monster, using all styles of chinese written novel. Sometimes he expressed his feelings with a vivid configuration and changable story through the long story, and sometimes he expressed his heart through the short story in order to come to point. Therefore we couldn't only find prosaic properties, odd things, but also romance in Lia´o zha ̄i zhi` yi`(聊齊志異). Especially Lia´o zha ̄i zhi` yi`(聊齊志異) was composed of prosaic properties, odd things, and romance which were full of odd factors. It seems that his style which combined prosaic properties with odd things enabled Lia´o zha ̄i zhi` yi`(聊齊志異) to succeed to develop the excellent tradition of the previous novels, and that these caused Lia´o zha ̄i zhi` yi`(聊齊志異) to integrate all previous chinese written novels. There were many novels which were composed actuality and fantasy in Lia´o zha ̄i zhi` yi`(聊齊志異). The combination style which established a link between actuality and fantasy was as follows: Lia´o zha ̄i zhi` yi`(聊齊志異) developed inconsistency by means of actuality, and solved it by means of fantasy. Lia´o zha ̄i zhi` yi`(聊齊志異) developed inconsistency by means of actuality, and culminated it by means of fantasy. Actuality made a contrast with fantasy. Actuality and fantasy intersected with each other, and Lia´o zha ̄i zhi` yi`(聊齊志異) brought character painting into relief among fantasy. Lia´o zha ̄i zhi` yi`(聊齊志異) provided a fictitious circumstances, so that Lia´o zha ̄i zhi` yi`(聊齊志異) could bring character painting into relief among fantasy, and deepen its subject. These combination style enabled the readers to have a mind which they regarded abstract things as concrete things, and gave them a clear grasp of the subject. As for amusement-oriented popularity, we examined colloquial style, humour, sex senses, violence, fantasy and writer's popular consciousness etc.,which were generally mentioned as popular factors. Because most contents of Lia´o zha ̄i zhi` yi`(聊齊志異) were odd factors, Lia´o zha ̄i zhi` yi`(聊齊志異) showed us that the contents included fantasy, and that fantasy were related to other popular factors. Owing to these combination style of popular factors, it seemed that Lia´o zha ̄i zhi` yi`(聊齊志異) gained popularity from many people. As for actuality-oriented ideology, we examined the pursuit of free love, the criticism of the state examination, the criticism of feudalism, and consciousness against Qi ̄ng(淸) Dynasty. Pu´ so ̄ng li´ng(蒲松齡) supported the pursuit of free and real love. As for many abuses and corruptions of feudalism, he satirized the insult to human's character, and superficial social conditions. He knew that politician's corruptive reign of feudalism caused people to undergo pain. Hence he wrote mainly concerning the tyranny of ruler over people, and ruler's corruption. Also he admired patriotic martyrdoms, and accused Qi ̄ng(淸) Dynasty's soldiers of their cruel slaughter and plunder. Lia´o zha ̄i zhi` yi`(聊齊志異) reminded us of the facts that we must have a mind to love people, through Lia´o zha ̄i zhi` yi`(聊齊志異) which described the situation those who were not guilty were killed on a false charge under the rule of tyranny. We have reached the conclusion that Lia´o zha ̄i zhi` yi`(聊齊志異) integrated all novel styles in relation to the history of chinese written novel, and that Lia´o zha ̄i zhi` yi`(聊齊志異) showed us its subject much more clear, subliming odd factors artistically, and combining them with real world. As for social role of novel, the readers must be impressed by novel, so that novel could give the readers a lesson. In order to do so, the contents of novel must consider the reader's hobby, need, and cultural level. Pu´ so ̄ng li´ng(蒲松齡) made Lia´o zha ̄i zhi` yi`(聊齊志異) have a popularity, because of combining popular factors well. Also because Pu´ so ̄ng li´ng(蒲松齡) reflected a real world together with a serious ideology in his work, this caused the readers to approach his work.

      • Reubke's the 94th psalm : synthesis of consevative and progressive styles, a lecture recital, together with three recitals of selected works of J.S. Bach, C. Franck, A. Heiller,, M. Reger, L. Sowerby, M. Widor and others

        김춘해 University of North Texas 1989 해외박사

        RANK : 1839

        이 논문은 로이프케의 시편 94편에 나타난 스타일에 대한 연구이다. 베니케,쿨락, 막스의 제 자인 로리프케는 바로크와 고전주의적 전통으로 훈련을 받았다. 리스트와 함께한 새로운 스타일로후에 작곡된 시편 94편은 이런 여러다향한 영향들을 그의 자신의 고유의 스타일과 합쳐진 결정체의 나이23세의 업적으로는 놀라울 만한 것이다. 그것은 또한 그 당시의 오르간 음악의두 가지 다일의 합성체이기도 했다. 즉 멘델스존과 슈만에 대표되는전통적이며 보수적인 스타일과 리스트에대표되는 진보적인 스타일이다. 로이프케의 소나타 형식을 2중 기능으로 특이하게 접근했던 것은 각악장을 순환적 주제를 사용함으로 하나의 음악으로 통일시켰다. 작품의 화음과조성은 진보적이기 후반의 스타일을 예시하고 있다. 19세기의 최초의표제적 오르간 음악으로서 시편 94편은 그 눗탔揚岵�피아노 테크닉을사용하고 있는 이상적인 오르간 음악이다. 로이프케의 젊은 나이에도 봄쳤�94편은 그의 위대한 성숙미를 보여주고 있다. 그 자신을 표현하고자 하는그의 소망은 작품옜의�깊이와 상상력으로 잘 나타나 있다. 또한 시편가사를 통하여 그는 엄청난 정열로 그의 마음을 음악에 쏟아붓고 있다. 작품에 대한 리스트의 주요 영향이라는 지배적인 개념을 비롯해 이 연궉�4편에 똑같이 중요한 관점, 특히 그 당시의 고전적인 오르간 전통과 막스의영향을 자세히 논응獵� 제1장의 서론후에 제2장도 로이프케의 가족과그의 음악교육과 작품을 포함한 생애를 다루� 제3장은 시편 94편에나타난 여러 영향들, 즉 19세기 독일의 오르간 작품과 영향력있는 선생들걋徘갠湧�논의하고 있다. 제4장은 작품의 분석과 표제적인 특징들,특징적인 화음 및 주제의 순환등을 논의하고 있다. 제5장은 시편 94편의연주에 대해 논의하는데 독일의 19세기 중반의 오르간육�음색조합 및악상기호와 출판된 여러 편집판들을 분석하고 있다. 마지막 6장은 결론이다. The global nuclear nonproliferation regime (the NPT regime), based on the NPT, the IAEA, the UN, and the NSG, tends to rely on the supply-side strategic options such as export controls, diversion controls, and punitive sanctions. However, in spite of its remarkable achievements, the NPT regime reveals its limitations in halting nuclear proliferation. In this situation, the demand-side strategy, based on the strategic bargaining for reducing the aspirations of a proliferator for nuclear weapons, emerges as an alternative to nuclear nonproliferation, The North Korean case of nuclear proliferation (from mid 199 1 to December 1995) is an exemplary one which showed the potential of the demand-side strategy. As the NPT regime failed to fully dissuade North Korea from going nuclear, the U.S. and South Korea stroke several bargaining deals with North Korea in order to denuclearize the Korean Peninsula. North Korea tried to protect or promote its national interests by using its nuclear proliferation option as bargaining leverage. Meanwhile, the U.S. and South Korea adopted diverse strategic options which could affect the incentives and disincentives of North Korea for nuclear weapons. North Korea, South Korea, and the U.S. as bargaining parties faced a variety of uncertainties which they had to cope with in order to enhance the procedural or substantive rationality of their strategic choices. In the strategic bargaining to resolve the North Korean nuclear dispute, the patterns of uncertainty management (uncertainty ignoring, uncertainty reduction, uncertainty accommodation, and uncertainty overlooking) influenced the strategic choices of North Korea, South Korea, and the U. S.(conceding strategy, demanding strategy, and compromising strategy). Moreover, the patterns of uncertainty management also affected the bargaining outputs (conflict, cooperation, and capitulation) by influencing the combination of strategic choices of bargaining parties. Uncertainty as a critical variabl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dynamicity of the strategic nuclear bargaining. This research has significance in three dimensions. In theoretical terms,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developing the managerial approach to uncertainty which is newly emerging because of the limitations of the analytic approach to uncertainty. In practical terms, this research helps the understanding of the nuclear incentives, bargaining strategies, and bargaining tactics of North Korea as a nuclear proliferator. In policy terms, this research shows the weaknesses of the supply-side options of the NPT regime, especially the IAEA nuclear inspections and the UN sanctions. Meanwhile, this research reveals the limitations and potential of the demand-side strategic options which can be selected within or beyond the NPT regime. Index Words: Analytic approach, Conflict, Cooperation, Diversion controls, Export controls, IAEA, Managerial approach, NPT, NPT regime, North Korea, Nuclear Incentives, Nuclear nonproliferation, Nuclear proliferation, Punitive sanctions, Strategic choice, Supply-side strategy, UN, UN Sanctions, Uncertainty, Uncertainty management,

      • 공공건설공사 설계변경에 따른 계약금액 조정에 관한 고찰 : 지방계약법을 중심으로

        김춘 광운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1839

        Korea is experiencing a severe recession due to the Corona 19 crisis, and private consumption and exports have decreased, leading to a 1.3% growth rate in the first quarter of 2020, so the economic conditions of the people are very bad. Therefore, the SOC budget invested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is decreasing and the number of construction companies is constantly increasing. In particular, in 2020, the amount of orders for each company decreases due to the decrease in the SOC budget due to the COVID-19 outbreak and the economic slowdown, making it more difficult for construction companies It is judged to be. Most of the projects ordered by local governments are small-scale projects, and the number of contracts less than 100 million is about 1.97 million. In the study, the research was conducted mainly on the local contract law and related regulations, and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were derived. Local contracts are contracts that are subject to the “Act on Contracts with Local Governments as a Party” and all other contracts concluded by local governments. In addition, it is applied to contracts that contribute to income and expenditures concluded by local governments with contract partners to ensure smooth execution of contract work. The Local Contract Act stipulates that the contract amount is adjusted when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contract amount due to changes in prices, design changes, or other changes in the contract content after signing a contract. Among the reasons for adjusting the contract amount, design change is an abbreviation of design change. Additional construction to change the essence must be ordered separately. Problems in design change include unclear design change standards and too narrow scope of design documents, causing disputes, and being criticized for lack of construction quality, safety and practicality due to too much focus on budget reduction when operating the contract review system. However, there are frequent cases of disapproving design changes for additional construction. The problem of contract price adjustment is that when applying a new item price, the contract price is adjusted by unilaterally applying the winning bid rate without consultation between the contracting parties, and by driving several design changes without implementing the contract price at the same time as the design change. As a result, disputes arise due to the timing of application of the unit price, and there is no expert on contract amount.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is study proposed the following improvement measures. First, there is a regulation on the adjustment of the contract amount due to a design change in the Local Contract Act, but there is no regulation on the design change. Should be specified and a new penalty regulation should be established. Second, since the standard for design change is not clear in the general conditions of the construction contract, the standard for the size of the design change should be clarified, and when adjusting the contract amount, the unit price application standard should be increased by 10% or more, or for new construction types, the consideration consultation rate is obligatory. It is revised to apply, and the design document included in the contract document must be revised to be applied, and the design document included in the contract document must include the calculation of quantity, the price table, and the calculation of unit price. Since there is a time difference in applying the unit price at the time of design change, it must be amended so that the request for adjustment of the contract amount can be made simultaneously with the design change. Third. By normalizing the operation of the contract review system, which has become a tool for budget reduction, the estimated price is accurately calculated on a reasonable basis, and there is no fear of insolvent construction and the use of low-cost subcontracting or insolvent materials. Fourth, to cultivate specialists in charge of contracts, the training of the person in charge of the ordering agency will be strengthened, and the contract managers will be supported to acquire procurer qualifications, and by hiring persons with procurement qualifications, they will be able to develop their own procurement system with transparent and efficient procurement capabilities. The procurement business must be carried out. 우리나라는 코로나19 사태로 인하여 극심한 침체를 겪고 있고 민간소비 와 수출이 감소하여 2020년 1/4분기에 1.3%의 성장률을 보일 정도로 국 민의 경제여건은 매우 나쁜 실정이다. 따라서 건설업체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에도 건설산업에 투자되는 SOC예산은 감소하고 있으며, 특히, 2020년에는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SOC예산의 감소와 경기부진에 따라 업체별 수주액도 감소하여 건설업체 는 더욱 어려워질 것으로 판단된다. 지방자치단체에서 발주하는 공사는 대부분 소규모 공사로서 1억 미만 계약건수가 약19.74만 건에 이를 정도로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나 공 공건설공사의 설계변경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는 국가계약법을 위주로 이루어져 본 연구에서는 지방계약법 및 관련규정을 위주로 연구를 진행하여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지방계약은 “지방자치단체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의 적용 을 받는 계약과 그 밖에 지방자치단체가 체결하는 모든 계약으로써 지방 계약법령은 지방계약법과 행정자치부 장관이 고시 및 예규를 정하여 운용 하며, 계약업무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지방자치단체가 계약 상대자와 체결하는 수입 및 지출의 원인이 되는 계약에 대하여 적용한다. 지방계약법에는 계약체결 후 물가변동, 설계변경, 그 밖에 계약내용의 변경으로 계약금액을 조정할 필요가 있을 때 계약금액을 조정하도록 규정 되어 있다. 계약금액 조정 사유 중 설계변경은 설계서 변경의 줄임말로 공사시공 도중 예기치 못한 사태의 발생, 공사물량의 증․감, 계획의 변경 등으로 당초의 설계 내용을 변경하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발주 시 예측되었거나 계약의 본질을 바꿀 만큼의 추가공사는 별도발주하여야 한다. 설계변경 시 문제점으로는 설계변경기준이 불명확하고, 설계서의 범위 가 너무 좁아 분쟁의 원인이 되고 있고, 계약심사제도 운영 시 예산절감 에 너무 집중하여 공사품질, 안전 및 현실성이 결여되었다는 비판을 받고 있으며, 추가공사에 대하여 설계변경을 불인정하는 사례가 빈번히 발생하 고 있다. 계약금액조정 시의 문제점으로는 신규품목단가 적용 시 계약당사자간의 협의 없이 낙찰률을 일방적으로 적용한 단가를 사용하고, 설계변경과 동 시에 계약금액을 실시하지 않고 수차에 걸친 설계변경을 몰아서 계약금액 조정을 실시함에 따라 단가적용 시점으로 인한 분쟁이 발생하며, 계약금 액 전문가가 부재함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첫째, 지방계약법에는 설계변경으로 인한 계약금액의 조정에 관한 규정 은 있으나 설계변경에 관한 규정은 없이 단지 설계변경의 기준을 행정안 전부 훈령으로 정하고 있으므로 설계변경에 대한 근거를 명확히 하기 위 하여 법령에 관련근거를 명시하고 벌칙규정을 신설하도록 하여야 한다. 둘째, 공사계약일반조건에 설계변경기준이 명확하지 않으므로 설계변경 의 규모에 대한기준을 명확히 하고, 계약금액조정 시 단가적용기준을 공 사량이 10%이상 증가되거나 신규공종에 대해서는 간주협의율을 의무적으 로 적용하도록 개정하고, 관련 법규마다 다른 설계서를 통일하여 계약문 서에 포함되는 설계서에 수량산출서, 일위대가표 및 단가산출서 등을 포 함하여야 하며, 계약금액조정을 준공금액 수령전까지 청구하도록 되어 있 어 설계변경 당시 단가를 적용하는데 시차가 발생하므로 계약금액조정 청 구를 설계변경과 동시에 할 수 있도록 개정하여야 한다. 셋째. 예산절감의 도구로 전락한 계약심사제도의 운영을 정상화하여 예 정가격을 합리적인 근거에 의해 정확히 산정하고, 부실공사의 우려와 저 가 하도급이나 부실자재가 사용될 우려가 없도록 하여야 한다. 넷째, 계약담당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하여 발주기관 담당자 교육을 강 화하고, 계약담당자는 조달사 자격을 취득하도록 지원하고, 조달사 자격을 보유한 사람을 채용하여 투명하고 효율적인 조달능력을 갖춘 자체적인 조 달 시스템에 의해 조달업무를 수행하도록 하여야 한다.

      • 주식회사의 이익분배에 관한 법적 연구

        김춘 성균관대학교 2013 국내박사

        RANK : 1839

        A Legal Advanced foreign countries such as the U.S. and Japan where capital market has developed much more than in South Korea, has established a framework where systems with the nature of repayment of corporate assets are regarded under the same principle. In addition, to protect the investors’ profit they have extended the scope of the finances, and allowed unlimited times of distribution based on the interim results even during business year.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protect creditors, they tend to rely not on legal capital system which profit distribution is based on, but on other measures such as long- or short-term cash flow, or separate covenants. The Korean Commercial Code (KCC) has reflected this kind of foreign trends by allowing a share buy-back, unified the proceeds of finances and decision-making with that of dividend, and entitled the board of directors to the dividend decision right according to the articles of the association. It also expanded the scope of the assets just from cash to include other non-cash ones. On the other hand, it has relaxed the current capital regime, and introduced a measure to reduce legal reserves, which indirectly created the effect of expanding the distributable profit. The KCC, however, has shown a legal intent to adopt a unified regulatory regime on the procedures and finances regarding dividend, and buying back its own stock, but has failed to create a comprehensive framework considering the nature of each system. That’s because it lacks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among each distribution system. Furthermore, it has maintained the earned surplus test, a very restrictive model on the dividend standard, which fails not only to consider individual company’s financial soundness and cash flow but also to create protection measures for shareholders’ profit when issues of fewer amount of dividend occurs while entitling the board of directors to the dividend decision right. Against this backdrop, under the supposition that the KCC could accept the comprehensive concept of profit distribution, this study examines corporate behaviors returning the excess revenue to stockholders such as dividend, interim dividend, stock repurchases, and the repayment of the redeemable share, in terms of the scope of profit distribution, finances, distribution method and procedure, and how to deal with illegal distribution. This study suggests some ideas on how to interpret the current commercial code through cross-sectional comparisons and analyses, and also how to change them as follows, based on the issues created by some loopholes of it. First of all, in regard to defining the scope of profit distribution, the KCC shows a loophole in practice, when a company is supposed to return its profit to shareholders such as when a case for disguise distributions needed arise. Thus it should introduce a comprehensive concept of framework about profit distribution. On the other hand, share dividend, or property dividend by giving treasury stock, doesn’t cause any reduction in corporate assets so causing no harm to the creditors’ profit, so should be regulated under a separate principle and excluded from the concept of profit distribution. Next is about distribution finances. 1) The current KCC has been designed based on the conventional capital system and balance sheet, not based on the company’s current solvency, or its ability to create revenue in the future not considering an individual company’s financial situation, thus it should adopt an asset-liabilities ratio test such as in California Corporation Code as an additional standard and equitable insolvency test. And when a company has subsidiaries to control, it should introduce consolidated distribution system which designs distributable source of finances based on consolidated financial statement to reflect the subsidiary’s financial situation. 2) As recently, the accounting principles have varied, which one a company would adopt would create a different amount when distributing profits. So by considering unrealized loss or profit where major difference is created, this issue of changing value should be tackled. 3) According to the current GAAP, when the distributable profit is to be produced, the plus items of capital adjustment should be subtracted out of it. And when unrealized loss were not written off from the unrealized gain, it reduces the distributable profits too much, so it should be written off from the unrealized gain in each accounting title. 4) The KCC should create a more elaborate method to create the amount of distributable profit. When one time of distribution takes place, the next turn should consider the left-over profit. 5) An effective date of each distribution should be designated in order to judge which behavior would proceed the other. In terms of distribution method and procedure, 1) the stockholders should be granted the right to lawsuit for compulsory distribution against the case when the board of directors abuse the decision right to distribution. 2) The distribution timing and the number of times, considering the fairness with that of stock buy-back, should be liberalized. And to vitalize the dividend system, it should be made possible to distribute profit based on interim settlement anytime even during business year. 3) When paying the property to stockholders as a way of distribution, to secure the fairness of the evaluation of the property, an objective method of appraising should be specified in the articles of the association. 4) When paying the property dividend, to protect the minority shareholders, in regard to the right to demand money, the property dividend should be paid according to the same procedure with a general dividend. When the monetary claim right is not to be entitled, it should get a special resolution from the shareholders’ meeting. 5) To handle the issues such as a difficulty of the exact stock valuation and wealth transfers among investors due to the unreasonable dividend procedure, when the declaration of dividend is made at the general meeting of shareholders or the board of directors, a record date should be set after the declaration date. 6) There is no way to find out the amount of the profit available for dividend by the stakeholders such as shareholders and creditors. So, it’s impossible for them to judge whether any illegality is involved, the amount and method to calculate should be made public. Finally, related to the effect of unlawful distribution, when in the case of illegal distribution within the limit of the profit available for distribution, shareholders without the knowledge that the dividend would be prohibited should not be under obligation to return what they have received. In the future, the corporate law covering the profit distribution system is expected to develop into arbitrary law rather than an imperative one to flexibly and immediately respond to the needs of corporate practices, which in turn, will be contributed to the improved competiveness of domestic enterprises and advancement of the local capital market as well. 미국, 일본 등 자본시장이 발달한 선진 외국에서는 기본적으로 주주에 대한 회사재산의 반환의 성질을 갖는 제도들을 ‘분배’라는 개념 하에 동일한 원칙에 의하여 처리하고 있다. 또한, 분배재원을 완화하고, 영업년도 중간의 임시결산에 기초하여 회수에 제한 없이 언제라도 분배가 가능도록 함으로써 주주의 이익을 강하게 보호하고 있다. 이에 비하여 채권자 보호는 분배제도가 기초하고 있는 자본제도가 아니라, 장․단기 현금흐름 등 다른 수단을 고려하거나 별도의 약정을 통하여 해결하려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우리 상법도 외국의 이러한 경향을 반영하여 이익에 의한 자기주식취득을 허용하면서 이익배당과 재원 및 결정절차를 통일하였으며, 배당재산을 금전 외에 기타 재산으로 확대하였다. 한편, 자본제도를 완화하여 준비금의 감소절차를 마련함으로써 간접적으로 배당재원을 확대하였다. 그러나 대차대조표를 기업회계기준에 의하여 작성하도록 하면서도 공정가액평가에 따른 미실현이익을 분배재원에서 제외시킴으로써 종전의 보수주의적 실현이익관을 유지하고 있다. 상법은 배당, 자기주식취득 등에 대해서 재원 및 절차에 있어서 통일적인 규제체제를 도입하려는 입법적 의도가 있었지만 회사의 이익분배 행위들을 각각의 특성을 고려하여 통합적으로 규정하고 있지는 않다. 이는 아직까지 각 분배행위 간의 상호 연관관계에 관하여 인식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또한 배당기준에 관하여 입법모델 중 가장 엄격한 이익잉여금기준을 채택하고 있어 개별기업의 재무건전성이나 현금흐름을 고려하고 있지 못할 뿐만 아니라 분배결정권을 이사회에 부여하면서도 과소 배당에 따른 주주이익의 보호방안을 마련하지 못하는 등 보완되어야 하는 부분이 있다. 이에 상법상 이익분배 개념을 인정할 수 있다는 전제 하에서 이익에 의한 회사재산의 반환이라는 경제적 실질을 갖는 회사의 행위들, 예컨대 이익배당, 중간배당, 이익에 의한 자기주식취득, 상환주식의 상환에 대하여 분배개념의 획정, 분배재원, 분배방법 및 절차, 위법 분배의 구제로 구분하고, 횡단적인 비교와 분석을 통하여 현행 상법에 대한 해석론을 제시하면서 이에 기초하여 도출된 문제점에 대하여 입법론으로서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이익분배의 범위 획정과 관련하여 숨은 이익처분 등 실질적으로 회사재산이 주주에게 반환되는 경우에 대한 대처가 미흡하므로 상법에 포괄적 이익분배 개념을 도입하여야 한다. 한편, 주식배당이나 자기주식에 의한 현물배당은 회사재산의 감소가 없어 채권자의 이익을 해할 우려가 없으므로 별도의 원리에 의하여 규율되어야 하고 이익분배 개념에서는 제외하여야 한다. 둘째, 분배재원과 관련하여 ① 전통적인 자본제도 및 대차대조표에 기초한 설계로 인하여 회사의 현재의 지급능력이나 장래의 수익력에 기초하고 있지 않으며, 개별회사의 재무상황을 고려하고 있지 못하므로 추가적인 기준으로서 캘리포니아주 회사법과 같은 재무비율기준과 현금흐름상 지급불능기준을 도입하여야 한다. 또한, 연결지배회사의 경우에 종속회사의 재산상황을 적시에 반영할 수 있도록 연결재무제표에 기초하여 분배재원을 설계하는 연결분배제도를 도입하여야 한다. ② 어떤 회계처리기준을 적용하느냐에 따라 배당가능이익의 규모가 달라지므로 주로 차이가 나는 미실현손익을 고려함으로써 회계기준에 따라 배당가능이익 규모가 달라지는 문제를 해결하여야 한다. ③ 기업회계기준에서는 배당가능이익을 산정할 때 자본조정의 플러스 항목을 배당가능이익에서 공제하여야 하며, 미실현손실을 미실현이익과 상계하지 않을 경우 배당가능이익을 지나차게 감소시키므로 일반기업회계기준상의 개별 계정과목별로 미실현손실을 미실현이익과 상계하여야 한다. ④ 분배가능이익 한도 내에서 분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결산기말 이후의 이익분배금액을 고려하여 분배가능금액을 산정하여야 한다. ⑤ 개별 분배행위 간의 법률적 선후관계를 명확히 할 수 있도록 분배재원 충족 여부의 판단시점을 별도로 정하는 분배의 효력발생일로 규정하여야 한다. 셋째, 분배방법 및 절차와 관련하여 ① 이익배당 결정권을 이사회가 가지면서 이를 남용하는 경우에 대비하여 주주에게 이익배당강제 소송을 인정해주어야 한다. ② 이익배당의 시기도 자기주식취득과의 균형을 고려하여 자유화하여야 하며 배당의 활성화를 위하여 임시결산에 기초한 이익배당이 가능하도록 하여야 한다. ③ 분배의 대가로 현물을 주주에게 지급하는 경우에 현물가액 평가의 공정성 확보를 위하여 사전에 객관적인 평가방법을 정관에 정하도록 하여야 한다. ④ 현물배당시 주주에 대한 금전지급청구권 인정방식과 관련하여 소수주주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하여 현물배당을 일반적인 이익배당 절차와 동일하게 하고 주주에게 금전지급청구권을 인정하지 않을 경우에 한하여 주주총회의 특별결의를 얻도록 하여야 한다. ⑤ 배당투자의 불확실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결산일을 배당기준일로 간주하는 현행 상법상 규정을 모두 삭제하고 배당결정시 배당기준일을 정하도록 함으로써 배당기준일이 배당결정일 이후로 정해지도록 하여야 한다. ⑥ 배당가능이익의 크기 등 분배가능금액을 주주, 채권자 등 이해관계자들이 알 수 있는 방법이 없어 위법분배 여부를 판단할 수 없으므로 그 산정내역을 공시하도록 하여야 한다. 넷째, 위법분배의 효과와 관련하여 채권자의 이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즉 분배가능이익을 초과하지 않은 위법한 분배의 경우에는 선의의 주주(또는 거래상대방)를 보호함으로써 거래의 안전이 확보될 수 있도록 위법분배금액의 반환 대상을 악의 또는 악의로 추정되는 주주(또는 거래상대방)로 제한하여야 한다. 앞으로 이익분배제도를 포함하여 회사법이 규제법규로서 보다는 임의법규로서 기업의 실무수요에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체제로 유연하게 발전함으로써 기업의 경쟁력 제고와 자본시장의 선진화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공공건설공사 공사기간 연장에 따른 계약금액변경에 관한 연구

        김춘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에서 공공건설공사 공기연장에 따른 계약금액 변경에 대하여 국가계약법 등 관련법령 및 관련 판례 등을 통하여 살펴보았고, 이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여 계약상대자의 권리를 보호하고 건전한 건설시장 발전에 기여하기 위하여 본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제안을 하고자 한다. 첫째, 장기계속계약에서 공기연장에 따른 계약금액 조정의 대상을 명확히 하여야 한다. 장기계속계약은 총괄계약과 차수별계약으로 계약이 구분됨에 따라 계약금액조정 대상에 대한 논란이 지속되고 있으며, 하급심에서도 서로 상반된 판결이 지속적으로 대립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정부에서는 공사계약일반조건 제20조 제10항에 계약상대자의 ‘계약금액조정 청구는 준공대가(장기계속계약의 경우에는 각 차수별 준공대가) 수령 전까지 하여야 한다.’고 규정하였으나 하급심 및 실무에서는 논란이 지속되므로 현재 대법원에 계류중인 지하철7호선 사건의 조속한 판결을 통해 대법원 판례에 따른 법리를 체계적으로 정립할 필요가 있다. 둘째, 간접비 등 추가비용청구권의 상대방에 관한 논쟁의 해소이다. 장기계속계약의 경우 총괄계약과 1차수 계약은 조달청을 통해서 체결하지만 실제 최초계약체결을 제외한 모든 것이 실질적으로 수요기관에 의해 이루어지고 공사의 감독 또한 수요기관에서 시행되며 완성된 시설 또한 수요기관에 귀속되는 점을 감안하여 공사계약일반조건의 내용을 수요기관을 상대로 계약금액 조정 신청을 하여야 하는 것으로 개정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하수급인의 간접비 청구의 문제이다. 실무에서 공기연장에 따른 계약금액 조정과 관련하여 문제가 많이 되고 있는 것 중의 하나가 계약상대자가 발주자를 상대로 하수급인에게 지급하여야 할 공기연장에 따른 계약금액 조정분을 청구할 수 있는지 여부로써 하급심에서는 원수급인이 신청하는 것을 인정하는 판결이 있었으나 대법원 판단이 아닌 하급심 판결로써 실무적으로 논리적인 근거로 삼기에는 부족하므로 향후 제도개선 및 법령 정비 등을 통해 이를 해결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공기연장에 따른 계약금액 조정분 산정의 기준 및 범위를 명확히 하여야 한다. 실무에서는 입찰 시 입찰참가서와 함께 제출하는 산출내역서에 일반관리비와 이윤을 0원으로 기재하여 제출하는 경우가 있어 이에 대한 공기연장으로 인한 계약금액조정 청구 시 문제가 되고 있으므로 앞으로 계약현장에서는 계약관리를 철저히 하고 산출내역서 산출 시 0원으로 표기하여 피해를 보는 일이 없도록 하여야 한다. 다섯째, 간접비에 따른 계약금액조정에 대한 발주자의 인식개선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국가계약법 및 공사계약일반조건 등 관련 법령에는 공사기간 및 운반거리의 변경 등 계약내용의 변경으로 계약금액을 조정하여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실비를 초과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이를 조정하도록 규정되어 있으나 실무를 담당하고 있는 발주기관은 예산부족 등의 사유로 계약금액 조정에 부정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어 간접공사비를 받기 위한 건설업체의 소송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공공기관에서는 공기연장에 따른 분쟁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하여 사업계획 수립 시부터 철저한 검토가 필요하고, 부득이 공기연장 발생 시 바로 협의조정을 함으로써 간접비 소송이 야기되는 것을 방지해야 할 것이다. In this study, the change of the contract amount due to the extension of the public construction work was examined through related laws and related precedents such as the National Contract Law. The researcher would like to propose followings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to protect the rights of the contractor and to contribute to the sound development of the construction market. First,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object of the adjusted contract amount due to the extension of the long term continuation contract. As long-term continuation contract is divided into general contract and contract by order, the controversy over the subject of adjusted contract amount is continuing, and contradictory judgments are constantly confronted in trials by a lower court. Accordingly, the government stipulates in the Article 20, Paragraph 10 of the general terms of construction contract, ‘the contractor's request for the adjustment of the contract amount shall be made until the completion fee (in the case of the long-term contract, the completion fee for each level) is received’. However, as the controversy continues in trials by a lower court and working-level,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establish the legal principles according to the Supreme Court precedent through the rapid ruling of the subway Line 7 incident pending in the Supreme Court. Second, it is the dissolution of the controversy over the opponent of claim for additional expenses such as overhead cost. In the case of the long-term continuation contract, the general contract and the first-order contract are concluded through the Public Procurement Service. However, everything except the initial contract is actually carried out by the demanding organization, the supervision of the construction is also carried out by the demanding institution, and the completed facility belongs also to the demanding institution. Taking it into account, it is necessary to revise the contents of the general terms of construction contract to be applied to the demanding institution for the contract amount adjustment. Third, it is a problem of claim of overhead costs of subcontractors. One of the problems with regard to the adjustment of the contract amount due to the extension of construction work in practice is whether the other party of contract can claim the amount of the adjusted contract amount to be paid to subcontractor due to the extension of the construction work. There was a ruling to recognize the applicant's application in trials by a lower court. It is, however, not enough to make a practically logical basis as it is judgment not of the Supreme Court, but of lower court, so it is judged to solve this issue through improvement of system and regulation of law. Fourth,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criteria and scope of calculation of the adjusted contract amount according to the extension of the construction work period. In some cases at the time of bidding, the general management fee and profit are practically written by 0 won on the calculation statement submitted with the bid participation form.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claiming adjustment of contract amount due to the extension of the construction period. Therefore, contract management should be thoroughly performed at the contract site in the future, and the calculation statement should be written by 0 won not to get damage. Lastly,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contractor's recognition of the adjusted contract amount according to the overhead cost. As reviewed in this study, the related laws such as the national contract law and the general terms of construction contract stipulates, if there is a need to adjust the contract amount due to the change of the contract content such as the construction period and the transportation distance, adjustment within the scope not to surpass actual expense. However, the contracting organization that is in charge of the practice shows a negative attitude toward the adjustment of the contract amount due to the lack of funds, and the lawsuits of the construction companies are increasing to receive the overhead construction cost. Therefore, public institutions should thoroughly review the business plan from the time of establishing the business plan in order to prevent the dispute due to the extension of the construction period, and it is necessary to prevent lawsuit for overhead cost by negotiating immediately when the extension of the construction period inevitably occu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