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접합 대순환 모형을 이용한 엘니뇨 모도키의 계절 예측성 연구

        김초롱 부산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Recent studies suggest that a different tpye of El Nino, so called El Nino Modoki, influencing the teleconnection region of Japan, New Zealand, and western coast of United States, is increasing in recent decades. Accordingly, the study and prediction of El Nino modoki are necessary. In this study, 1994-2002 hindcasts of 5 CGCMs, participating in APCC seasonal prediction project, are used to recognize the seasonal predictability of El Nino Modoki for each model. To show the systematic errors, we suggest the SST climatology and standard deviation fields for observation and each model. In climatology field, oceanic data assimilated models tend to reproduce warm western Pacific SST compared with no data assimilation models. All models represent the second EOF mode as El Nino Modoki, as in observation. Temporal correlation coefficients of the second PC time series for the models are statistically 99% significant. However, every models indicates a different location of warm core due to each own systematic error. PNU v1.0 and v1.1 have the best skill for one-point correlation or regression with similar to observed pattern, width and strength compared with other 3 models. Overall, models with the ocean data assimilation process in the coupled ocean initial field production can show the EOF pattern, PC time series, one-point correlation or regression field well compared to those without the assimilation process. The reason for the model's capability of reproduction of the El Nino Modoki is due to the models' ablility to separate the two types of El Nino as distinct modes. Moreover, it is noticeable that each model represents first EOF as El Nino and second as El Nino Modoki as shown in observation.

      • 유치원에서의 자발적 놀이에 대한 현상학적 탐구

        김초롱 고신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Play enables preschoolers to build relationships with their peers, to represent their potentials, complaints, limits or needs and to satisfy the needs or release negative emotions in a positive way. Indeed, play exerts an influence on young children's every part of life and overall development. But it should be noted here that play couldn't produce expected effects once the substance of play is removed, which is freedom and voluntary choice. In other words, it's quite important for preschoolers to play when they are motivated to do tha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educational institutions where young children spend a lot of time should assist them in playing voluntarily by being driven by their own inner motivations. In fact, however, they are sometimes forced to play with things designated by their teachers or according to specific plans in many educational institutions, though a variety of structural things to play with are provided. But they continue to attempt to satisfy their curiosity or interest through play while they spend time in educational institutions according to daily schedules, and curiosity and interest become motivations at that time. An effort to read their minds by making continuing observations of their play makes it possible to help them to play in a more extended and enriched manner, and gives a crucial clue on the right direction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However, it's not actually easy for researchers to keep observing young children while they pla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lay situations among the preschoolers in an educational institution where this researcher worked. It's basically meant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spontaneous early childhood play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 research question was posed: 1. What are the phenomenological characteristics of spontaneous early childhood play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the young children in a class of western age 3 in a kindergarten located in an urban community. Participant observations, videotaping and recording were all carried out to gather data. This researcher received guidance from an expert about how to make participant observations in advance, and then made participant observations of the play situations among the selected preschoolers during all the normal classroom hours to collect data on the types and meanings of spontaneous early childhood play. In the stage of observation, this researcher observed the young children while they play, and interacted with them only when they wanted to do that. The teacher who was in charge of the class was informed about what's observed without making it known to the preschoolers as much as possible. In this way, the observations were fulfilled according to the stages of sequential research that reduces time intervals between the stages of analysis, and what's observed was transcribed each day. In addition, all the preschoolers and their homeroom teacher were interviewed, and the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to have a more perfect understanding of the significance of spontaneous early childhood play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o categorize the characteristics of spontaneous early childhood play according to Hatch(2008)'s inductive analysis theory that is to classify the characteristics of a phenomenon by grouping significant themes together. As a result, verbal playfulness, projection of home and life, display of concerns, conflicts and reconciliation, and leading and extended learning. Verbal playfulness appeared during their murmuring, imitating sounds, repeating words, combining words, exchanging lyrics, repeating lyrics, changing lyrics, picking at what one said, and word chain. That meant to take pleasure in speaking itself. As for projection of home and life, the young children's daily experiences at home, educational experience and other sorts of experience were unveiled through play. Concerning display of concerns, various things that they were interested in were represented. As to conflict and reconciliation, there were scenes of "conflict" when they failed to resolve their differences and when they denied each other's request, and there also appeared scenes of "reconciliation," which was done by soothing, suggesting, explaining or teacher intervention. Regarding leading and extended learning, the preschoolers led or followed each other while they played together, and then they played in applied or extended ways.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it's required to shed new light on the phenomena of play that take plac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where preschoolers spend many time in this era characterized by a crisis of play. Taking a phenomenological look at the actual cases of play among preschoolers makes it possible to categorize the characteristics of spontaneous early childhood play and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early childhood play once more. But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not sufficient enough to find a solution for the crisis of play, because some extreme cases of spontaneous play were just mentioned without making any further efforts to categori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ses or consider their meanings. Finally, there are some suggestions on future research efforts: First, observation data should be gathered both in and outside educational institutions to find out where and when spontaneous play frequently takes place in order to consider what limitations there are to spontaneous play in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Second, it's necessary to suggest the right directions for spontaneous play in early childhood by squarely facing problems with spontaneous play among preschool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by listening to the voices of early childhood educators. That will serve to determine the right direction for play in these educational institutions because that makes it possible to take a new phenomenological approach based on the perspectives or opinions of participants other than the researcher himself or herself. If more extensive research is made to approach spontaneous early childhood play from a more critical perspective by making closer observations, by collecting more detailed data and by gathering opinions from various groups of people concerned, it will contribute to shedding new light on early childhood play and to leading educational institutions in the right direction. 유아의 놀이는 또래와의 관계를 형성하기도 하고 잠재의식 속에 있는 가능성, 불만, 한계, 욕구 등을 표출해 냄으로써 긍정적인 방향으로 해소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놀이는 유아의 모든 생활과 전반적인 발달에 있어서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놀이에서는 자유와 자발적인 선택이라는 본질이 사라지는 순간, 기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없으므로 내면의 동기에 따르는 것이 중요하다. 유아들이 많은 시간을 보내는 유아교육기관을 비롯한 유아교육현장에서는 내적 동기에 따른 자발적 유아놀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해주어야 한다. 그러나 실제로 많은 유아교육기관에서는 구조적 놀잇감을 다양하게 제공해주되, 교사가 놀잇감을 지정하거나 일정한 계획에 따라 이루어지는 경우가 있다. 그럼에도 유아들은 유아교육기관의 하루 일과를 보내는 중 내면의 호기심과 흥미를 동기화하여 놀이로 표출하고자 끊임없이 시도한다. 이렇게 시도되는 유아의 놀이를 지속적으로 관찰하여 유아의 생각과 행동 등을 읽어내는 행위는 나아가 유아의 놀이를 더욱 확장하고 심화시킬 수 있는 방법과 그것을 위한 유아교육현장의 방향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밑거름이 된다. 그러나 연구자들이 실제 유아교육현장 속에 파고들어 유아의 일상적인 놀이를 지속적으로 관찰하기에는 여건상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연구자가 근무하고 있는 실제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들을 대상으로 일과 중에 일어나는 놀이 상황을 관찰하고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것을 통해 유아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자발적인 유아놀이의 특성과 의미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이런 연구의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내용을 설정하였다. 1. 유아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자발적 유아놀이의 현상학적 특성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U시에 위치한 H유치원의 만3세 한 반의 유아들을 대상으로 참여관찰 및 비디오 녹화, 녹음을 하였다. 참여관찰 전, 본 연구자는 전문가로부터 참여관찰에 관한 지도를 받았다. 연구자는 자발적 유아 놀이의 유형과 의미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선정한 S반 유아들에게서 이루어지고 있는 놀이상황을 직접 참여관찰 하였다. 참여관찰은 S반의 정규반 일정에 따라 전반에 걸쳐 이루어졌다. 관찰의 단계에서 연구자는 유아들의 놀이를 지켜보고 유아 참여자가 원하는 경우에 한하여 상호작용을 하고, 관찰 사실은 함께 학급을 운영하는 교사 참여자에게만 알리고 관찰기간동안 되도록 유아 참여자에게는 노출되지 않게끔 계획하여 진행하였다. 이와 같이 참여관찰은 분석단계의 거리를 좁히는 순차적 연구 단계를 따랐으며, 매 회 일일관찰 한 것을 당일 전사 처리하여 자료화 하였다. 또한 유아교육현장에서의 자발적 유아놀이의 의미에 관해 조금 더 깊이 있게 이해하고 접근하기 위하여 S반 담임교사 및 S반 전체 유아들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여 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의미 있는 주제를 하나의 범주로 묶어 현상의 특성을 유목화 하는 귀납적 분석 과정을 제시한 Hatch(2008)의 이론에 기초하여 자발적 유아놀이 특성을 범주화하고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로 유아교육현장에서의 자발적 유아 놀이의 현상학적 특성에는 언어적 유희, 가정과 삶의 투사, 관심사의 표출, 갈등과 화해, 이끎과 배움의 확장의 형태로 나타났다. 언어적 유희는 중얼거리기, 소리흉내내기, 단어 반복하기, 단어 조합하기, 노랫말 주고받기, 노랫말 반복하기, 노랫말 바꾸기, 말꼬리물기, 말 잇기의 형태로 나타났으며, 말하는 그 자체에 대한 즐거움을 보이는 것이다. 가정과 삶의 투사는 가정에서의 일상적인 경험, 교육적인 경험, 그 외의 경험의 형태로 나타났다. 관심사의 표출은 유아들이 스스로 가지고 있는 다양한 관심 대상을 놀이 속에 등장시키는 형태로 나타났다. 갈등과 화해는 놀이를 함께 하는 유아들 간의 의견을 좁히지 못하거나 상대방의 요청을 거절함으로써 오는 ‘갈등’에서부터 달래기, 제안하기, 설명하기, 교사의 개입에 따른 중재를 통한 ‘화해’의 장면으로 나타났다. 이끎과 배움의 확장은 유아들의 놀이 속에서 또래를 이끄는 역할과 참여하고 따라가는 역할을 감당하며, 놀이를 응용하고 확장시키는 형태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놀이의 위기를 맞이한 현 시대의 유아들이 하루 중 많은 시간을 보내는 유아교육기관에서 보이는 놀이의 현상에 대해 새롭게 재조명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유아들의 실제 놀이 장면 사례를 통해 유아교육현장을 현상학적으로 들여다봄으로써 자발적 유아놀이의 특성을 범주화 하고 이에 따라 유아놀이의 중요성을 다시금 인식할 수 있었다. 그러나 자발적 놀이 형태가 극대화되는 상황을 놀이 사례에서 언급은 하였으나 이러한 측면에서 범주화 하는 작업이나 의미를 도출해내는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아 놀이 위기에 맞서는 현실적 대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쓰이기에는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자면, 첫째, 유아교육기관에의 실내뿐만 아니라 실외까지 모두 통틀어 관찰 조사하여 얻어진 자료를 바탕으로 유아교육기관 내에서 자발적 유아놀이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장소나 특정 시간대에 따라 범주화 하여 유아교육현장에서의 자발적 유아놀이의 한계점에 대해 고민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현재 유아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유아의 자발적 놀이에 대한 비판적인 자세로 문제를 직시하는 노력과 동시에 유아교육현장에서 함께 하는 이들의 이야기에서 새로이 의미를 도출하여 유아의 자발적 놀이를 위한 유아교육현장의 방향을 제시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연구자 이외의 다른 연구 참여자의 관점이나 의견으로부터 새로운 현상학적 관점으로의 접근이 가능하기 때문에 유아의 놀이를 위한 유아교육기관의 바람직한 방향과 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조금 더 관찰 내용과 자료들을 세분화하고, 유아교육현장과 관련된 참여자들의 의견을 분석하여 비판적인 관점으로 접근하는 등 포괄적이고 종합적인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현장에서의 유아놀이에 대한 재검토뿐만 아니라 유아의 자발적인 놀이를 위한 유아교육기관의 방향과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할 것으로 기대해 본다.

      • 어머니의 태아기·영아기 육아 실태와 유아발달과의 관계

        김초롱 고신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어머니의 태아기·영아기 육아 실태로서의 의미를 탐색해 보고, 어머니 육아와 유아발달과의 관련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현시대의 어머니들이 겪는 육아의 모습을 들여다보고, 유아발달과의 유의미한 관련성을 가지는 육아 요소들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궁극적으로는 생애 초기에 어머니로부터 제공받는 육아의 중요성에 대한 논의를 해 봄으로써 현시대의 ‘육아’에 대한 의식을 제고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에 근거하여 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어머니의 태아기·영아기 육아 실태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어머니의 태아기·영아기 육아와 유아발달은 관련성이 있는가? 2-1. 태아기 육아(임신, 태교, 출산)와 유아발달은 관련성이 있는가? 2-2. 영아기 육아(섭식, 배변, 보행, 자극, 애착)와 유아발달은 관련성이 있는가? 2-3. 태아기·영아기 육아에 대한 어머니의 자기인식이 유아발달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 어머니의 육아 실태조사는 U시에 소재한 8개의 유치원에 재원 중인 유아의 어머니 844명을 대상으로 하여 2019년 9월 23일부터 2019년 10월 2일까지의 기간 동안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실태조사는 임신육아종합포털(http://www.childcare.go.kr/cpin)의 육아 지침 내용을 기초로 개발하여 예비조사를 통한 문항수정을 거친 설문문항을 사용하였다. 이어서, 유아발달검사는 어머니 양육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3가지의 양육태도 유형별로 범주화한 뒤, 비비례유층표집을 하여 발달검사 대상 유아 31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유아발달검사는 국내외 여러 검사들과 발달 이론을 토대로 한국의 실정에 맞도록 윤치연(2011)이 개발한 한국형 유아용 발달검사 K-DIP(Korean-Development Inventory Preschoolers)를 사용하였다. 2019년 10월 7일부터 2019년 10월 17일까지 실시 및 결과를 수집하였으며, 어머니와 담임교사 간의 상호소통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했다. 315명의 유아발달검사 결과와 해당 유아의 어머니가 작성한 육아 실태조사지의 내용을 기초로 카이제곱 검정 및 일원변량분석 하여 관련성을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어머니 심층면담을 위한 면담자 선정은 참여 의사를 밝힌 10인을 선정하였으며, 2019년 10월 17일부터 2019년 10월 28일까지의 기간 동안 개별적으로 실시하였다. 육아 경험을 통해 드러나는 어머니의 태아기·영아기 육아의 실태를 살펴보고자 반구조화 된 면담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면담 내용을 녹음 및 전사하여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 내용에 대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어머니의 태아기·영아기 육아 실태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양적연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살펴본 결과, 태아기 육아문항 응답에서 나타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응답한 조사대상자들 중, 자연임신을 경험한 경우가 많았으며, 시험관시술과 유산·사산 경험 여부, 임신 중에 질환을 경험한 경우는 적었다. 임신 전에는 보통 체질량이 정상이고, 임신 중 체중의 증가폭은 10kg이상∼15kg미만 증가한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충분한 태교를 경험한 경우가 많았지만 경험하지 못한 경우도 많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신 중에 약물, 음주, 흡연, 카페인의 섭취는 경험하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임신 중에 스트레스의 정도는 보통이거나 낮은 경우가 많았으며, 조산경험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만 장소는 국내병원이 대부분이었으며, 자연분만과 제왕절개의 분만방법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출산 당시 감정은 두려움이 가장 크고 그 다음으로 설렘, 기쁨의 감정을 많이 느꼈던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어머니 육아 실태조사에서 영아기 육아문항 응답에서 나타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응답한 조사대상자들 중, 수유기간은 6개월, 이유식 시작 시기는 6개월∼12개월 미만, 이유식 전환기 질환 은 경험하지 못한 경우가 많았다. 도움 없이 혼자 배변을 시작한 시기는 24개월∼35개월 사이, 기저귀를 뗀 시기는 24개월∼35개월이 많았으며, 배변훈련 시에는 자녀가 유아변기에서 볼일을 다 볼 때까지 상호작용을 하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많았음이 나타났다. 11개월 이전에는 무언가를 짚고 일어나기 위해 시도하며, 12개월∼23개월에는 스스로의 힘으로 걷기 시작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행기를 많이 활용하였다. 처음 전자기기 노출 시기는 12개월∼23개월, 처음 학습지 경험 시기는 36개월∼47개월 사이, 처음 문화센터 경험 시기는 11개월 이전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지 활동, 문화센터 경험에 대한 영아기 자녀의 만족도는 높거나 보통인 경우가 많았다. 어머니들은 보통 영아기 자녀를 위해 주 2회∼3회의 책을 읽어줬으며, 영아기 자녀의 만족도는 높은 경우가 많았다고 나타났다. 영아기 자녀와 어머니의 애착 정도는 대체로 강하고, 놀이 시간은 보통이거나 충분했다 생각했으며, 영아기 자녀와 어머니의 놀이는 친밀하게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어머니 육아 실태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진행한 육아에 대한 자가 평가문항 응답에서 나타난 내용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어머니 육아 실태조사 설문지에 응답한 조사대상자들 중, 태아기 육아에 대해서 이해하고 있었으며, 태아기 육아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들은 많은 수가 자신의 태아기 육아에 대해 보통이거나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서, 영아기 육아에 대해서도 이해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했으며, 만족 정도는 보통인 것으로 나타났다. 육아에 대한 어머니의 신념과 육아행동 간 차이정도는 조금 차이가 났다고 느끼고 있었으며, 어머니의 양육태도는 대체로 민주적 유형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들이 다시 육아의 기회가 주어진다면, 자녀와 더 놀아주고 더 많은 시간을 함께하며, 다양한 경험들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로 어머니 태아기·영아기 육아 실태에 대해 알아보기 위한 질적연구로써 반구조화 된 면담 질문지를 통하여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 내용을 도출하여 어머니의 육아 경험에 따라 ‘임신은 걱정과 고민의 연속이야’, ‘조언과 정보 중, 어떤 태교를 선택하면 좋을까’, ‘출산은 이상과 현실 사이에서 괴리감이 느껴지지’, ‘일과 신체 문제로 완전모유는 어려워’, ‘이유식은 정성과 영양 중 고민하게 돼’, ‘보행기와 기저귀 떼기는 편리성과 원칙 사이의 선택이야’, ‘전자기기의 편리함은 유혹적이야’, ‘아이 성격발달, 내 책임인가’, ‘책과 온라인 커뮤니티는 육아 상담소야’로 10가지 유형으로 범주화하여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셋째로 어머니 육아실태조사와 한국유아발달검사(K-DIP)를 통하여 어머니의 태아기 육아와 유아발달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험관시술 여부와 인지발달, 소근육운동발달은 유의미한 관련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인지발달 및 소근육발달수준이 ‘지연’인 경우 시험관시술 ‘해당’이 높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유산·사산 경험 여부와 인지발달, 사회정서발달, 소근육운동발달은 유의미한 관련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인지발달, 사회정서발달, 소근육운동발달수준이 ‘지연’인 경우 유산·사산 ‘무경험’이 높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임신 외적 요인으로 인한 스트레스 정도와 기본생활발달은 유의미한 관련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신으로 인한 스트레스 정도와 인지발달은 유의미한 관련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만방법과 기본생활발달은 유의미한 관련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본생활발달수준이 ‘지연’인 경우 ‘제왕절개’ 분만방법이 높게 나타나고, 기본생활발달수준이 ‘최우수’인 경우 ‘무통분만’ 분만방법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다음으로는 어머니 육아 실태조사와 한국유아발달검사(K-DIP)를 통하여 어머니의 영아기 육아와 유아발달의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유식 시작 시기와 사회정서발달, 소근육운동발달, 통합발달은 유의미한 관련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저귀를 뗀 시기와 사회정서발달은 유의미한 관련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행기 사용 여부와 소근육운동발달은 유의미한 관련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근육운동발달수준이 ‘지연’인 경우 보행기 ‘사용’이 높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스스로의 힘으로 일어나 걷기 시작한 시기와 인지발달, 소근육운동발달, 통합발달은 유의미한 관련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자기기 노출 시기가 이른 경우 상대적으로 인지발달, 언어발달, 사회정서발달은 유의미한 관련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지 활동에 대한 영아기 자녀의 만족도와 인지발달, 사회정서발달, 소근육운동발달은 유의미한 관련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책 읽어주기에 대한 영아기 자녀의 만족도와 인지발달, 언어발달, 통합발달은 유의미한 관련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아기 자녀와 어머니의 애착 정도와 언어발달, 소근육운동발달은 유의미한 관련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아기 자녀와 어머니의 놀이 밀도와 인지발달, 소근육운동발달은 유의미한 관련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어머니 육아 실태조사와 한국유아발달검사(K-DIP)를 통하여 육아에 대한 어머니의 자기인식이 자녀의 유아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어머니의 태아기 육아에 대한 자기인식이 높을수록 기본생활영역의 발달수준이 높다 할 수 있다. 어머니의 영아기 육아에 대한 자기인식이 높을수록 자녀의 인지영역, 언어영역, 기본생활영역, 소근육운동영역의 발달수준이 높다 할 수 있다. 이로써 어머니의 태아기 및 영아기 육아에 대한 자기인식이 높을수록 유아기 자녀의 통합발달수준도 높다고 할 수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어머니의 태아기·영아기 육아에서 유아발달과의 유의미한 관련성을 보이는 요소에 대해 논의 및 분석해 보았다. 이를 통해, 현시대의 어머니들이 태아기·영아기 육아에서 겪는 어려움과 고민에 대해 살펴볼 수 있었다. 또한, 태아기·영아기 육아의 의미를 재검토할 뿐만 아니라, 어머니 육아의 중요성에 대해 제고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난 육아 요소들은 연구의 다각적 방법을 통해 육아 요소별로 더 세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평가된다.

      • 한국 재가노인의 연하곤란 위험성과 영양상태의 관계

        김초롱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dysphagia risk among the elderly persons living at home in a community using a questionnaire of dysphagia risk assessment. We also analyzed the differences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nutritional status between the dysphagia risk group and normal group. The study subjects were composed of 568 community-dwelling individuals, aged 65 years and older, who were living independently in their own home in Seoul, Gyeonggi, or Gwangju area in South Korea. We used the dysphagia risk assessment scale, developed by Fukada et al (2006) to screen for dysphagia risk, and the Mini Nutritional Assessment (MNA) to evaluate the nutritional status. Of the 568 subjects, 350 (61.6%) were classified into the dysphagia risk group (DR) and 218 (38.4%) were classified into the normal group (non-DR). Significantly more women (66.9%) than men (55.0%) were at risk for dysphagia (p = 0.004) and the average age of the DR group (76.5 year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non-DR group (74.3 years) (p < 0.001). In the DR group, 43.5% of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as malnourished or at risk for malnutrition, compared to only 18.1% in the non-DR group.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dysphagia risk and nutritional status was observed (r = -0.524, p < 0.001).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integrated programs to improve the dietary habits and nutritional status of the elderly at risk for dysphagia, especially for women aged 75 and older. 본 연구의 목적은 연하곤란 위험성 평가척도를 이용하여 재가노인의 연하곤란 위험성을 파악하고, 연구 대상자를 연하곤란 위험군과 정상군으로 나누어 두 군 간의 인구학적 특성과 영양상태 등의 차이를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경기 지역과 전라남도 광주 지역의 독립적으로 생활하고 있는 65세 이상 재가노인으로 총 565명이었다. Fukada 등(2006)에 의해 개발된 연하곤란 평가척도를 이용하여 연하곤란 위험성을 선별하였고, 간이영양평가 도구(mini nutritional assessment, MNA)를 이용하여 영양상태를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전체 565명의 연구 대상자 중 349(61.8%)명이 연하곤란 위험군(dysphagia risk group, DR)으로, 216(38.2%)명이 정상군(non-dysphagia risk group, non-DR)으로 분류되었다. 여자가 남자보다 연하곤란 위험군 비율이 유의적으로 높았고(p=0.004), 65-74세보다 75세 이상에서 연하곤란 위험군 비율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01). 평균 연령은 정상군(74.3세)에 비해 연하곤란 위험군(76.5세)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p<0.001). 영양상태 평가 결과, 연하곤란 위험군에서 43.4%가 영양불량 또는 영양불량 위험으로 분류된 반면, 정상군에서는 17.7%만이 분류되었다. 또한 연하곤란 위험성은 영양상태와 유의적인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r=-0.526, p<0.01). 결론적으로 재가노인의 상당수가 연하곤란 위험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연하곤란 위험은 영양불량 및 영양불량 위험과 유의적인 관련성이 있었다. 따라서 연하곤란 위험성이 있는 노인들의 영양상태 및 식습관 개선을 위한 통합관리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며 특히 그 위험 비율이 높은 75세 이상 여성노인에 대한 집중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Microplastic Detection Amplification Sensor with Au NRs Plasmonic Effect with 3D Photolithography

        김초롱 명지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oday, waste microplastics (MPs) after humans usage frequently causes serious environmental problems, however their detection methods have been lagged due to many obstacles. In this study to develop signal amplification method based on vibrational spectroscopy, we fabricated MPs specific detecting platforms of microneedle array through embedded gold nanorods (Au NRs). The Au NRs were conjugated by MPs binding peptide (BP) having a strong selectivity toward MPs, which was less than 20 amino-acid oligo peptide. An efficient MPs detection system was built by microneedles array format by trimethylolpropane ethoxylate triacrylate (ETPTA) three dimensional (3D) photolithography process. For the enhanced signal of MPs identification, Fourier transform infrared (FT-IR) and Raman spectroscopy method were mainly adopted accomplishing surface enhanced infrared spectroscopy (SEIRA), surface enhanced Raman soectroscopy (SERS) and tip enhanced Raman spectroscopy (TERS) phenomena by the Au NRs plasmonic antenna effect. Through the BP tethered Au NRs at the tip of the microneedle, specific binding of MPs toward BP was confirmed by the plasmonic amplification of FT-IR and Raman peaks to determine whether MPs was selectively captured or not. In addition, SEM images could confirm sensing of MPs specifically bound with BP conjugated Au NRs. It was confirmed that the selectivity of MPs through the microneedle was increased by comparing the hydrophobicity of the microneedle and the flat surface. Through this study, a simple MPs detection protocol for SEIRA and TERS effect could be newly provided. 오늘날, 인간이 사용한 폐 미세플라스틱은 심각한 환경 문제를 자주 야기하고 많은 장애물로 인해 그 검출 방법이 지연되어 왔다. 진동 분광법에 기반한 신호 증폭 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우리는 내장된 금 나노로드를 통해 탐지 기능을 향상시켜 마이크로니들의 미세 플라스틱 특정 탐지 플랫폼을 제작했다. 금 나노로드는 미세플라스틱에 대한 강한 선택성을 가지며, 20개 이하의 아미노산 올리고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미세플라스틱 바인딩 펩타이드에 의해 결합되었다. 효율적인 미세플라스틱 검출 시스템은 트리메틸올프로판 에톡실레이트 트리아크릴레이트 (ETPTA) 3차원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통해 마이크로니들 어레이 포맷으로 구축되었다. 미세플라스틱 식별의 향상된 신호를 위해, 금나노로드의 플라스모닉 안테나에 의한 표면 강화 적외선 분광법(SEIRA)과 팁 강화 라만 분광법(TERS) 현상을 적용하기 위해 푸리에 변환 적외선(FT-IR)과 라만 분광법이 주로 채택되었다. 마이크로니들 끝에 있는 금나노로드와 바인딩 펩타이드의 결합을 통해, FT-IR과 라만 피크의 플라즈모닉 증폭에 의해 바인딩 펩타이드와 미세플라스틱이 결합하여 선택적으로 미세플라스틱이 포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또한, SEM 이미지를 통해 바인딩 펩타이드와 결합된 금나노로드와 미세플라스틱이 특별히 결합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이크로니들과 평평한 표면의 소수성을 비교하여 마이크로니들을 통한 미세플라스틱의 선택성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SEIRA 및 TERS 효과를 위한 간단한 미세플라스틱 검출 프로토콜을 새롭게 제공할 수 있다.

      • 다문화가정 아동 대상 매체 특성별 한국어 말하기 교수 방안 연구

        김초롱 배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find ways to utiliz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various media in educational fields in order to improve the speaking ability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In order to achieve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the theory of language acquisition in children and the educational value of various media in speaking education was studied and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children was looked into. Also, in order to design appropriate speaking education programs for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relevant individuals and persons were subjected to surveys on the needs of such educational programs to set principles for studying methods.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applied to Korean speaking lesson plans according to various media characteristics. Currently, research on Korean education in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are mostly focused on those who were born between international marriages. However, with the increasing trend of children from expatriate families and international students attending and enrolling into Korean elementary schools, and with the difference in the language environment between multi-cultural and international marriage families, there is a growing need for discussions related to the subject from an alternative perspective. Korean language education must also be discussed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development theory in children while resolving any unanswered difficulties in “Speaking Education”, as hinderance in Korean speaking abilities does not just lead to difficulties in everyday situations, but also in their studies, inter-personal relations, emotional stability, and alienation. This study was proceeded as follows. Chapter I describes the purpose and the needs of the study and describes prerequisite studies on Korean speaking education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on media utiliz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on the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fter which the study subjects and the study method was listed. Chapter II, in order to design speaking education programs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using different media, deal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speech in children and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learning of foreign languages and the theory of foreign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es for children. In chapter III,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multi-cultural families were studied and analyzed, while relevant individuals, including Korean language teachers, multi-cultural parents, and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ho are receiving classes in Korean classes were subjected to a demand surveys in order to design appropriate speaking education courses. Chapter IV described the educational principles for media based speaking education, and compiled a lesson plan for Korean language classes according to the different media being utilized. Media based speaking education have 4 main principles. Education based on the student’s development level, education based on actual data, education raising the child’s interest, and education focused on meaningful speech tasks. Finally chapter V summarizes the contents of the study, and describes the educational value of media for speaking education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e actual research done, in a currently under-researched field, on the educational needs of Korean language teachers, the children and the par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order to improve the Korean speaking ability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lso, based on the demand survey results and the theory of foreign language acquisition in children, suggestions in the choice of, and the effective use of various different media with high educational values were made, such as with social media contents, children’s songs, fairy-tales and comics, while the study also arranged specified lesson plans according to the different media being utilized. Keywords :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Korean Language Speaking Education, Specified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different Media, Individuals Concerned, Demand Survey 본고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말하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매체가 가진 특성을 교수-학습 현장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인가를 모색한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아동을 대상으로 한 언어 습득 이론을 살피고 말하기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다매체의 교육적 가치를 고찰하였으며, 국내 다문화가정 아동의 한국어교육 현황을 조사하였다. 또한 다문화가정 아동을 위한 말하기교육을 설계하기 위하여 이해 관련자를 대상으로 요구 조사를 실시하여 말하기 교수 원리를 설정하고 매체 특성별 한국어 말하기 수업 지도안에 반영하였다. 현재 다문화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교육 관련 연구는 국제결혼을 통해 태어난 국내 출생 자녀에 집중되어 이루어져 온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외국인가정 자녀 및 중도입국 아동들의 초등학교 재학률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다문화가정 아동은 국제결혼 자녀와는 구분되는 언어적 배경을 가지고 있기에 다른 관점에서의 교육적 논의가 필요하다. 이와 더불어 ‘말하기교육’에서 방치되어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아동’의 발달론적 특성을 반영한 한국어교육적 논의가 절실하다. 한국어 말하기 능력이 부족하면 일상생활에서 어려움을 겪는 것은 물론이고, 학업 부진, 교우 관계의 불안정, 정서적 불안, 소외 현상 등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절차로 진행하였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에 대해 밝히고, 다문화가정 아동의 한국어 말하기교육과 관련된 연구, 한국어교육에서의 매체 활용 관련 연구, 한국어교육에서의 다문화가정 아동과 관련된 선행 연구들을 검토한 후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을 기술하였다. Ⅱ장에서는 다문화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한 매체 특성별 말하기교육 설계를 위하여 아동의 외국어 습득의 특성, 아동 대상 외국어 교수·학습 이론과 아동의 말하기 특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Ⅲ장에서는 다문화 가정 아동의 한국어교육의 현황을 조사하여 분석하고, 말하기교육의 설계를 위해 한국어학급 교사, 다문화가정 부모, 한국어학급에서 수업을 받는 다문화가정 아동 등의 이해 관련자를 대상으로 요구 조사를 하였다. Ⅳ장에서는 매체 특성별 말하기교육의 설계를 위해 매체를 활용한 말하기교육이 지향해야 할 교육 원리를 설정하고 매체 유형별 한국어 수업 지도안을 작성하였다. 매체를 활용한 말하기교육의 원리는 ‘학습자의 발달 수준을 고려한 교육, 실제적인 자료를 바탕으로 한 교육, 아동의 흥미를 높이는 교육, 유의미한 말하기 과업에 기반을 둔 교육’의 네 가지이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논문의 내용을 요약하고 다문화가정 아동의 말하기교육에서 매체가 가지는 교육적 가치를 기술하였다. 본 연구는 아직은 연구가 희소한 다문화가정 아동의 한국어 말하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한국어학급 교사와 다문화가정 아동과 학부모 등 이해관련자의 교육적 요구를 실제로 조사하고 분석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또한 아동의 외국어 습득 이론과 요구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적 가치가 높은 SNS 콘텐츠, 동요, 동화, 만화 등의 매체를 선정하고 말하기교육에서 이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교육적 원리를 제시하였으며 매체 특성별말하기 수업 지도안을 마련한 것에 연구의 가치가 있다. 핵심어 : 다문화가정 아동, 한국어 말하기교육, 매체 특성별 한국어교육, 이해관련자, 요구 분석

      • 다양한 박테리아 시스템을 이용한 인간 PKC mutants의 발현 및 정제에 관한 비교 분석

        김초롱 인하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Protein kinase C (PKC)는 9개의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된 10개의 protein serine/threonine kinase군이다. PKC isoforms는 세포 증식, 분화, 사멸을 포함하는 여러 중요한 신호전달경로에 연관되어 있다. Domain 구조와 cofactor 요구조건에 따라 PKC isoforms는 크게 세 가지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우리는 다양한 박테리아 발현 시스템에서 PKC isoforms의 다른 domains를 발현 및 정제하였고, 재조합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비교하였다. 우리는 pMBPN3와 pBADHisN3 박테리아 발현 벡터를 제조하였다. pMBPN3 벡터는 IPTG에 의해 유도되는 tac promoter를 malE의 upstream으로 포함하고, 반면에 pBADHisN3 발현 시스템은 arabinose에 의해 유도되는 BAD promoter를 포함한다. 이 벡터들은 인간 PKC isoforms의 wild-type, dominant negative, regulatory domain, catalytic domain mutants를 sub-cloning하는데 이용되었다. 재조합 단백질은 각각 BL21(DE3)와 TOP10 E.coli strain에서 발현하였다. pMBPN3-PKC는 N-terminal MBP fusion PKC mutants를, pBADHisN3-PKC는 N-terminal 6xHis-tag PKC mutants를 발현한다. MBP-fusion 단백질은 amylose resin에 의해 정제되었고, 반면에 6xHis-tag 단백질의 정제에는 Ni-NTA column이 사용되었다. 정제된 단백질은 SDS-PAGE에 의해 분석되었다. 이 결과는 pMBPN3 시스템과 비교했을 때, pBADHisN3 시스템이 재조합 PKC mutants의 발현에 더 적합하다는 것을 말해준다.

      •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 외로움의 매개효과

        김초롱 아주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기에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 외로움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수원에 소재한 중학교에 재학중인 중학생을 대상으로 총 190부의 설문지를 수집하고, 수집된 표본에 대한 통계분석을 SPSS 23.0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자녀 간 의사소통은 스마트폰 중독에 부(-)의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모-자녀 간 의사소통은 스마트폰 중독에 부(-)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부-자녀 간 의사소통과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에서 외로움은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자녀 간 의사소통은 외로움에 부(-)적 영향을, 외로움은 스마트 폰 중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에서 외로움은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자녀 간 의사소통은 외로움에 부(-)적 영향을, 외로움은 스마트 폰 중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는 부모와 자녀와의 의사소통이 성장기에 있는 중학생에게 심리적 위험요소인 외로움을 강화시키고, 스마트폰 중독을 높이는 중요 선행요인인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대부분의 청소년들이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부모가 자녀들을 어떤 관점으로 봐야하는지에 대한 인식의 전환과 올바른 스마트폰 사용을 위함 효과적인 지도를 위한 가족여가생활프로그램 등 부모와의 의사소통을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프로그램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기업의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자원봉사자 유형화 연구

        김초롱 숙명여자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은 ‘하면 좋은 일’이 아닌 비즈니스에서 ‘반드시 해야만 하는 일’이 되었다. 최근 사회적 책임의 일환 활동으로 문화예술교육 사업에도 투자를 많이 하고 있는 추제인데 문화 활용 유형에는 사회공헌전략으로써의 문화, 마케팅전략으로써의 문화, 기업전체의 경영전략으로써의 문화가 있다. 문화예술은 소비자 대상의 마케팅 도구로 활용되는 단계를 넘어서 또 하나의 중요한 내부고객인 임직원들을 대상으로 인적자원관리와 조직문화를 활성화하기 위한 경영 도구로 점차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내부직원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세분시장별 효율적인 마케팅 전략수립과 고객 지향적인 마케팅 활동에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시장세분화 방법의 한계점을 해결할 수 있는 Mixture Model을 이용한 시장세분화를 실시하여 내부직원 즉, 자원봉사자들의 효율적인 인적활용을 통한 효과의 극대화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A기업의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자원봉사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173부를 자료 분석에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자원봉사자들의 집단을 구분하기 위하여 Mixture Model을 이용한 시장세분화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3개의 세분집단이 통계적으로 적정하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첫 번째 집단으로는 남녀비율이 비슷한 가장 큰 규모의 집단이며, 7년 이상 장기적으로 봉사활동을 해온 집단이나 전반적으로 크고 낮음이 없이 적극적이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집단은 여성이 주를 이루며 봉사활동 참여 동기는 자발적이지 않고, 회사방침이나 지시로 인해 참여를 했으나 봉사활동을 통해 자신의 삶이 윤택해진다고 믿는 집단으로 나왔다. 마지막 집단은 전체집단 중 규모는 가장 작으나 남성 위주의 집단으로 모든 만족도가 높고, 문화예술봉사활동 참여를 적극적으로 남들에게도 권유하는 집단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에서는 자원봉사자들의 Mixture Model을 이용하여 시장세분화를 실시하여 각 세분집단을 설명하는 유의한 변수를 밝힐 수 있었고, 세분집단별 구체적인 자원봉사자들의 성향 차이를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자원봉사자들의 세분화는 각 세분집단별 특성을 심층적으로 자원봉사자들을 파악함으로써 앞으로 기업이 문화예술을 통해 건전한 조직문화를 만들어내고 조직구성원의 창의력과 상상력을 고취하여 생산성을 올리고, 호의적인 기업 이미지와 조직문화를 보여줄 수 있을 것이라는 정보를 파악하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related activities have become 'something that outhgt to be done' by businesses rather than 'something that is desirable to be done'. Recently, as part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related activities, businesses have been frequently investing in cultural projects. Types of utilization of culture including culture as a strategy to contribute to society, culture as a marketing strategy and culture as a management strategy for the company overall. Culture and arts passed the stage of being utilized as marketing tools for consumers and are now gradually more frequently utilized as management tools to help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activate organizational culture for the personnel that are also important internal customers. Therefore, efforts should be made to establish efficient marketing strategies by market segment that can satisfy internal employees' needs and perform customer oriented marketing activities. Therefore, the present study is intended to segment the market using the Mixture Model that can solve limitations in existing market segmentation methods in order to present a way to maximize the effects of marketing through efficient utilization of internal employees, that is, volunteers. The subjects of the present study were volunteers for A business's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 Answers from a total of 173 subjects were used in data analysis. Major results the present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o divide the volunteers into groups, market segmentat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Mixture Model. The result indicated that three segmented groups were statistically appropriate. The first group was the largest group with similar ratios of male and female. These group members had done voluntary service for long periods of time exceeding 7 years but were indicated as generally not being active without any large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activeness among the members. The second group was shown to be a group of majority female whose are not voluntarily participating necessarily but lead from the company policy or guide. However, the members of this group believed that their lives would become prosperous through participating in voluntary service. The last group was the smallest among all the groups majority males who were highly satisfied with all activities and actively new members to participate in culture and art voluntary service.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study, market segmentation was conducted using a Mixture Model of volunteers. Then, significant variables explaining individual segmented groups could be identified and differences in concrete tendencies among the volunteers in individual segmented groups could be found.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segmentation of volunteers will contribute to grasping information indicating that businesses will make sound organizational culture, inspire organization members' creativity and imagination to enhance productivity and show favorable corporate images and organizational culture through culture and art related activities by grasping in-depth characteristics of volunteers in individual segmented grou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