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내 도서지역 독립형 마이크로 그리드 구축을 위한 풍력발전 시스템 적용에 관한 연구

        김찬종 강원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일반적으로 신재생 에너지원은 주변 환경변화에 많은 영향을 받기 때문에 과거에는 대부분 강건하게 구축된 기존 전력망에 연계되어 전력을 공급하였으나, 최근 신재생 에너지원 운영관련 기술의 발달로 인해 지역화된 소규모 전력망으로 소규모 사용처와 분산 에너지원들의 연결로 구성된 마이크로 그리드(Micro Grid)의 에너지원으로서 대두되고 있다. 특히 마이크로 그리드의 경우 도서지역과 같이 송전시설 설치가 어려운 지역에 전력 공급 등의 목적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해마다 지속적인 시장 성장률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마이크로 그리드에 적용 가능한 신재생 에너지원 시장 또한 전 세계적으로 활성화 되고 있는 추세이다. 신재생에너지원 중 풍력발전은 타 신재생에너지원에 비해 상대적으로 면적당 출력 효율이 매우 높기 때문에 설치 공간이 매우 한정적인 도서지역에 있어 타 신재생에너지원과 비교하였을 때 우위에 있기 때문에 도서지역의 마이크로 그리드의 발전원으로서 풍력발전이 각광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풍력발전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대상 지역의 유망후보지 분석 및 시뮬레이션 기반 연간발전량 예측을 통해 경제성 분석이 사전 수행되어야 한다. 풍력발전단지 유망후보지 분석과 관련하여 기존에 수행된 국내외 연구들은 재해석 자료 혹은 멀리 떨어진 곳에서 측정된 기상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실제 설치되어있는 해상 풍력발전단지 혹은 육상 풍력발전단지의 연간풍력발전량을 예측하거나, 배제분석을 통해 해상 혹은 육상의 영역에서 유망후보지를 선정, 연간발전량을 예측하는 연구가 수행되었다. 하지만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도출된 연구결과는 도서지역에 적용하기에 부적합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풍력발전시스템을 국내 도서지역 마이크로 그리드 구축에 적용하기 위한 풍력발전단지 설계 조건 분석과 향후 도서지역 풍력발전단지의 경제성 분석 연구를 위한 선행 연구로서 각 경제성 요인들의 민감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 Poly3,4-ethylenedioxythiopheae(PEDOT) 박막의 온도 및 게이트 전압 의존 전기전도도 측정 연구

        김찬종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도핑된 poly[3,4-ethylenedioxythiophene] (PEDOT)을 in situ 중합방법을 이용하여 두께가 약 500 nm인 박막 형태로 제작하였다. 이를 수산화나트륨(NaOH)을 이용하여 디도핑(dedoping)된 PEDOT 박막 시료로도 제작하였다. 도핑, 디도핑된 PEDOT 박막 시료의 직류 전기전도도 온도의존성을 4단자 접촉법으로 측정하였다. 상온(300K)에서 디도핑된 PEDOT 박막 시료의 직류 전기전도도가 도핑된 PEDOT 박막 시료의 전기전도도에 비해 약 1/4.5배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극저온(10 K 이하)에서의 전기전도도 측정 실험을 하였고 이를 W plot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도핑된 PEDOT 박막은 금속적 성질을, 디도핑된 PEDOT 박막은 부도체적 성질을 가짐을 관찰하였다. 또한 저온에서 게이트 전압을 걸어주었을 때 도핑, 디도핑된 PEDOT 박막의 전기전도도를 측정하였다. 음의 게이트 전압이 가해졌을 때 전기전도도가 증가함을 확인하였고, 특히 디도핑된 PEDOT 박막의 경우 증가하는 경향성이 더 뚜렷하였다.

      • 방사선 조사에 의한 신경세포 이주장애 질환 동물모델에서의 GABA Α수용체 변화

        김찬종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박사

        RANK : 247631

        신경세포 이주장애 질환이란 대뇌 피질을 구성하는 신경세포의 형성, 이주 및 분화의 이상에 의해 발생된 기형으로 어린이와 성인에서 약물 난치성 간질을 일으키는 중요한 원인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신경세포 이주장애 질환의 간질 기원성에 관계되는 기전은 아직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는 발달 과정 중의 흰쥐 대뇌 피질에 방사선조사를 시행하여 신경세포 이주장애 질환의 모델을 만들고, 이 실험 모델에서 GABA_A 수용체의 변화를 규명함으로써 간질 발작의 기전을 이해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Sprague-Dawley 종의 어미 흰쥐를 임신 16일째에 단단한 상자에 넣어 움직이지 못하게 하고, linear accelerator (6MV)로부터 1m의 거리에 유지시킨 후 12시간 간격으로 120cGy씩 총 240cGy의 방사선을 조사하였다. 방사선을 받고 태어난 실험 흰쥐에서 병리조직학적 검사, video monitoring을 이용한 임상적 관찰 및 [³H]muscimol에 대한 정량적 자가 방사법을 시행하였다. 간질 발작은 소량의 kainic acid (0.1mg/kg)를 복강에 주사하여 유도하였다. 방사선 조사를 받은 흰쥐의 대뇌는 소뇌증, 국소성 대뇌 피질 이형성증, 이소성 신경세포, 해마에서 국소적인 신경세포의 배열이상 등의 신경세포 이주장애 질환이 특징적으로 관찰되었다. 실험군에 소량의 kainic acid (0.1mg/kg)를 복강에 주입시 키면 비정상적인 뇌전도와 함께 간질 발작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자발적인 발작도 소수의 실험동물에서 관찰되었다. 또한 [³H]muscimol을 이용한 정량적 자가방사법에서도 신경세포 이주장애가 유발된 실험군에서 GABA_A 수용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P=0.02). 결론으로는, 방사선 조사로 유발된 실험 동물 모델은 병리조직학적 소견으로 인간의 신경세포 이주장애 질환과 비슷한 형태학적 소견을 보였으며, 이 병변에서의 간질 기원성은 억제성 신경전달 물질인 GABA_A 수용체의 감소가 하나의 원인일 것으로 사료되었다. Majority of patients with neuronal migration disorders (NMDs) in cortical structures suffer from medically intractable epilepsy. The role of NMDs on seizure susceptibility or epileptogenecity has not been well documented. In the present study, we established an experimental model of NMDs in Sprague-Dawley rats by exposing fetal rats to external irradiation in order to demonstrate epileptogenic effect of NMD lesions. Pregnant rats were exposed to 240cGy of external X-irradiation delivered by a linear accelerator source on gestational day 16 and 17 to produce NMD lesions in rat brain. Microcephaly is evident on gross examination of the affected brains. Thickness of neocortex was markedly reduced in irradiated animals. Seizure susceptibility was tested by an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small dose of kainate (0.1mg/kg), and irradiated animals showed increased susceptibility to kainate. Clinical spontaneous seizures were observed from the experimental animals. Histopathologic examination revealed focal and/or diffuse cortical dysplasia consisting of dyslamination of cerebral cortex and appearance of cytomegalic neurons, neuronal heterotopia in periventricular white matter, dispersion of pyramidal layer and hippocampal dentate gyrus, and agenesis of corpus callosum. Histopathologic change of the cerebral cortex and hippocampus closely correlated with seizure activity. Quantitative autoradiography of [³H]muscimol binding to GABA_A receptors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NMD lesions (P=0.02). In utero irradiation of fetal rats resulted in histopathologic abnormalities that mimic several characteristic features of human neuronal migration disorders, and hyperexcitability appears to be associated with reduction in density of GABA_A receptors in the brain particularly in hippocampus and neocortex.

      • 小兒 간질 환자의 항경련제 치료시 血淸 Carnitine 動態에 關한 硏究

        김찬종 全南大學校 大學院 1997 국내석사

        RANK : 247631

        Valproic acid(VPA) 등의 항경련제를 장기간 투여 받고 있는 간질 환자의 경우 혈청 carnitine치의 저하를 초래할 위험이 있으며 carnitine 결핍 시에는 근력저하, 의욕감퇴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본 연구는 간질 환아 86명(남 56, 여 30)과 대조군 27명(남 21, 여 6)을 대상으로 enzymatic cycling method를 이용한 혈청 carnitine치, 결핍시의 증상 유무, 위험 인자 등을 조사하여 혈청 carnitine 동태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인자들에 대한 상관 관계를 검토하였다. 치료군은 VPA 단독 투여군(A, 27명), VPA를 포함한 복합 투여군(B, 25명), carbamazepine 단독 투여군(C, 22명), VPA를 제외한 복합 투여군(D, 12명)의 네군으로 구분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조군의 혈청 총 carnitine, 유리 carnitine 및 acyl-carnitine치(평균±표준편차)는 각각 65.87±6.38, 55.44±6.70, 10.40±4.18 μmol/L 이었고 acyl-carnitine과 유리 carnitine 비(A: F 비)는 0.19±0.09 이었다. 2. 항경련제로 치료중인 86명 중 혈청 총 carnitine은 21명(24.4%)에서, 유리 carnitine은 16명(18.4%)에서 2표준편차 이 하치를 보였고, 혈청 총 carnitine과 유리 carnitine치가 대조군보다 2표준편차 이하인 경우는 A군의 7명(25.9%)과 5명(18.5%)에서, B군의 8명(32.0%)과 8명(32%)에서, C군의 3명(13.6%)과 1명 (4.5%)에서 그리고 D군의 12명중 3명(25%)과 2명(16.6%)이었다. 3. 각 연령군별 대조군에 비하여 혈청 총 carnitine치가 2표준편차 이하를 보인 경우는 5세 이하군의 23명중 15명(65.2%), 6-10세군의 30명중 4명(13.3%), 11세이상군의 33명중 6명(18.2%)으로 5세 이하에서 많은 경향을 보였고 각각의 A: F 비는 0.24±0.10, 0.22±0.02, 0.25±0.07이었다. A: F 비가 0.4이상인 2례는 모두 5세 이하였다. 4. 항경련제의 투여용량, 혈중 약물 농도 및 치료 기간과 혈청 carnitine치의 저하와는 유의한 관련이 없었다. 5. 본 연구에 포함된 8명의 뇌성 마비 환아중 3명에서 혈청 carnitine의 결핍을 보였으며 이들의 혈청 총 carnitine치는 대조군의 3표준편차 이하를 보였다. 또한 carnitine 결핍 환아 21례중 1례에서 근련 저하의 증상을 보였으나 기타 증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6. 혈청 carnitine 결핍을 보인 환아에서 AST, ALT 및 암모니아 혈청치의 이상을 관찰할 수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VPA 등의 항경련제를 투여 받는 소아 간질 환자의 일부에서 혈청 carnitine치의 저하를 나타낼 수 있으므로 임상 증상을 동반하지 않는 경우에도 5세 이하의 소아 또는 뇌성 마비 환아에서의 혈청 carnitine치의 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리라 사료되었다. Epileptic patients under prolonged treatment with anticonvulsants such as valporic acid, are apt to have low serum carnitine level, which produces muscle hypotonia and loss of interest in surroundings.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inter-relationship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serum carnitine level from the clinical observation of 86 epileptic patients under treatment(56 males, 30 females) and 27(21 males, 6 females) as a control group on the basis of serum carnitine level using enzymatic cycling method, its related symptoms and risk factors. The 86 epileptic patients under treatment was subdivided into 4 groups. (A group: 27 treated with valproic acid(VPA) only, B group: 25 with polytherapy including VPA, C group: 22 with carbamazepine only, D group: 12 with polytherapy excluding VPA)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s : 1. Among control group, total, free and acyl-carnitine in serum were 65.87±6.83, 55.44±6.70 and 10.40±4.18 μmol/L(mean±S.D.) respectively. 2. Among 86 with treatment, 2 standard deviation below from the mean control value was observed in 21(24.4%) for total serum carnitine and in 16(18.4%) for free carnitine. Total and free serum carnitine levels below 2 standard deviation from the mean control value were observed from 7(25.9%) and 5(18.5%); 8(32.0%) and 8(32.0%) in B group; 3(13.6%) and 1(4.5%) in C group; and 3(25.0%) and 2(16.6%) in D group. 3. Total serum carnitine level below 2 standard deviation from the mean control value was observed in 15 patients among 23(65.2%) below 5 years of age, 4 among 30(13.3%) between 6 and 10 years of age, and 6 among 33 patients(18.2%) above 11 years of age, form which it shows that those below 5 years of age are the most vulnerable for low serum carnitine level. 4.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observed between serum carnitine level and dosage, duration & the serum concentration of antiepiletpic drugs. 5. Among the 8 cerebral palsy patients, three showed low serum carnitine level(below 3 standard deviation from the mean control value). 6. Only 1 case out of 21 cases with low serum carnitine level showed mild motor weakness. 7. There were no abnormalities in serum AST, ALT levels among patients with low serum carnitine level. From the above observations, serum carnitine level is thought to be important in those below 5 years of age and cerebral palsy patients, who were treated with anticonvulsatns such as VPA, due to their vulnerability for low serum carnitine lev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