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지적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의 도덕적 판단능력 비교연구

        김진윤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between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normal students in the aspect of moral judgement according to their school levels and their gender. My research tasks are the following; First, is t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oral judgement ability between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normal students according to their school levels? Second, is t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oral judgement ability between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normal students according to their gender within their school levels? Third, is t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oral judgement ability between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normal students according to their school levels in being exposed to a problematic situation? Fourth, is t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oral judgement ability between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normal students according to their gender in being exposed to a problematic situation? To investigate the above questions, 20 normal students and 20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each consisted of 10 males and 10 females) were collected respectively from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Hebble'(1971)s (Intent Judgment Quotient: IJQ) was applied to identify their moral judgement abilities. SPSS 21.0 was used for statistic analysis. To sum up, the results are the following; Firs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oral judgement ability between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normal students according to their school levels. Overall, as both of the groups go up to the higher level of school, students show higher abilities of moral judgement. Second,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oral judgement ability between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normal students according to their gender within their school levels. Partially,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oral judgement ability between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normal students according to their gender within middle school. Third, there is a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moral judgement ability between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normal students according to their school levels in being exposed to certain problematic situations such as clumsiness, lying, stealing. Fourth, there is a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moral judgement ability between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normal students according to their gender in being exposed to certain problematic situations such as clumsiness, lying, stealing. In conclusion, when students reach the higher grades of the elementary school(age11-12), their moral judgements are likely to depend more on intent than on result regardless of their intellectual abilities. That is, students in both groups shows they are in the same moral developmental stage. This result reveals the great possibilities that morality can be incorporated in educational field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Here's the important implications to educate them. It is needed to develop more mediated programs to improve their moral judgemental abilities. With the persistent efforts,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ill be able to reach for the similar stage of moral maturation like the normal students.

      • 미술을 전공한 미술치료 석사과정생의 예비 미술치료사 정체성에 관한 예술기반연구

        김진윤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art-based research is to examine convergence and conflict which the students of Master’s degrees face as an artist and as an art therapist during their studies. Many art therapists have put forward that artistry and originality are two qualities that a professional art therapist should have. In the process of becoming professional art therapists, students who major in art therapy are trained to so that their artistic identity is alive in them. However, the art in art therapy and the art concept emphasized by an artist has conflicting aspects, and the problem of dealing with or integrating these differences that exist between the two has not been properly educated. The researcher felt the need of research to examine the convergence and conflict with a sense of problem from the conflict between the two identities, since it was experienced directly while majoring in art. This study was described based on the researcher's experience, and in order to examine the conflict between the two different identities, a study was conducted by recruiting those who is undergoing master degrees of art therapy with a similar background to the researcher. Art-based research performs like art that solves problems such as unity and distinction of identity that are difficult to access through the language. It also builds visual text, so the researcher judged it was appropriat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based on the participants' art work were divided into four top topics: "My current identity as a prospective art therapist," "My identity as an artist," "My identity as a prospective art therapist,” and "My ideal identity as an artist and art therapist," and were reclassified into a total of 14 sub-topics. Based on these results, the conclusion on the identity of a prospective art therapists studying master's degree in art therapy who majored in art is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seemed to be in confused state due to the unknown identity of the participants, giving anxiety. Second, it turned out that the artist part and the art therapist within the heart of participants helped each other and had a win-win relationship with their own distance. Third, the revealed ideal identity contributed to the participants' self-efficacy and growth. As finishing off current research, it was confirmed that the coexistence of the identity as an artist and as an art therapist, is very important for the growth of prospective art therapists. Recognizing the two identities as independent individuals but making efforts to maintain an appropriate distance, this will ultimately lead to the not only the growth of the art therapists’ own-self but also when helping others. In addition, this study does not suggest an integration to become an ideal art therapist, but rather reveals the convergence and conflict on the opposite side as an art phenomenon. It is hoped that this meaning will be provided as a foundation for strengthening the academic system of art therapy in subsequent studies. 본 예술기반연구는 학부에서 미술을 전공한 미술치료 석사과정생이 예비 미술치료사로서 갖는 융합과 충돌을 예술에 기반하여 드러내고, 정체성이라는 비언어가 어떠한 현상으로 드러났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정신건강 전문분야로서 미술치료의 핵심은 미술과 치료 양자에 균형을 갖고 충실해야 하는 것으로 강조된다(Rubin, 1999/2006). 미술치료는 미술의 창작 과정과 감상 그리고 치료적개입을 씨실과 날실로 하여 각자 다른 축을 하는 교차점 위에 있기 때문이다(주리애, 2010). 미술치료는 단순히 미술의 기법을 도구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창작의 과정을 바탕으로 치료의 목표를 갖는다. 때문에 예술성은 전문적인 미술치료사가 되어가는 과정에서도 미술치료와 적절히 통합되도록 교육받는다. 그러나 미술치료의 미술은 예술가로 강조되는 미술 개념과 상충되는 면이 있다. 치료로서의 미술은 자기발견과 자아성장을 이끄는 치료성에 목표를 두는 반면(안성원, 장연집, 2009), 예술가의 창작은 동시대 예술이라는 공동선을 향한 실천이며 그러한 문제 의식을 탄탄한 논리로써 발전시키고 완성하는 목표를 갖는다. 이러한 이유로 연구자는 두 정체성의 갈등을 겪었고, 예술가이자 미술치료사인 정체성을 다루는 연구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연구자의 경험으로부터 서술되었으며, 두 정체성의 융합과 충돌을 살폈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연구자와 유사한 배경의 미술치료 석사과정생들이며, 정체성이라는 비언어를 살피기에 적절한 예술기반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참여자는 미술치료 이론을 적절히 학습한 3학차 이상, 주치료사 혹은 보조치료사로서 20회 이상의 임상경험을 가진 미술치료 석사과정생으로 기준으로 하여 선정되었다. 그 결과로 참여자들은 학사 미술을 전공한 미술치료 석사과정생들로써, 작업을 꾸준히 하는 자들로 구성되었다. 본 예술기반연구의 연구자는 객관적 관찰자이기 보다 주관을 갖는 한 개인으로서, ‘장나비’라는 이름으로 평등한 관계를 맺고 미술 작업을 수행하는 협력자가 되어 대화의 장을 생생히 살피고자 하였다. 연구자와 참여자들의 만남은 오리엔테이션을 포함하여 총 5번으로 이루어졌으며, 일주일간 개인 미술 작업 후 온라인상으로 ZOOM을 통해 약 90분간 진행되었다. 첫 주 오리엔테이션에서는 각자가 예술가로서 해온 미술 작업에 대한 이야기와 미술치료를 배우게 된 계기를 나누었으며 이후로 부여된 주제에 따라 나눔이 진행되었다. 연구수행단계에서 연구자가 취한 ‘not-knowing’(Moon, 2002/2010)의 자세는 연구에 참여한 이들이 서로의 작업을 공유하고 이야기 나눌 때 평가 및 해석적 태도를 지양하고 드러난 현상에 주목하여 바라볼 수 있도록 제안되었다. 본 예술기반연구의 방법적 적용을 따라, 참여자들의 미술 작업, 작업노트, 심층면담을 데이터로 하여 수집 및 분석하였다. 윤리적 측면을 고려하여 참여자들의 미술작업은 단일한 해석으로 도출되지 않았으며, 결과분석 단계에서도 마찬가지로 ‘notknowing’의 자세에서 이들의 개성을 긍정하고 여러 갈래로 드러난 현상을 물러서서 살피고자 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미술을 전공한 예비 미술치료사로서 나의 현재 정체성>, <예술가인 나의 정체성>, <예비 미술치료사인 나의 정체성>, <예술가이자 미술치료사인 나의 이상적인 정체성>의 상위 주제는 총 14개의 하위 주제로 분 류되었다. 연구자가 각 4개의 주제에 따라 드러난 두 정체성의 통합과 분리를 살펴보면서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자들의 정체성은 알 수 없음으로 인한 혼란스러운 상태로 드러나면서 불안감을 주었다. 둘째, 내면의 예술가와 미술치료사는 서로 도우면서, 나름의 거리를 갖는 상생의 관계로 드러났다. 셋째, 이상적으로 드러난 정체성은 참여자들 의 자아효능감 및 성장에 기여하였다. 이와 같은 결론을 종합해 볼 때, 예술가와 미술치료사라는 두 정체성의 상생이 예비 미술치료사의 성장에 매우 중요한 가치로 확인되었다. 미술치료사로서 성장하기 위한 길은 두 정체성 중 어느 한쪽을 배척하는 것이 아니라, 독립된 정체성으로 인정하되 적절한 거리를 찾는 일에서 시작된다. 이는 궁극적으로 타인을 돕는 미술치료사로서인 자신의 역할을 성실히 하는 미술치료사가 되어가는 성장에 이바지한다는 점에서 거쳐야 하는 매우 중요한 지점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전문 미술치료사가 되기 위한 이상으로서 두 정체성의 통합을 제시하는 것이 아닌, 그 반대편의 혼란과 갈등을 살피는 일을 강조한다. 이로써 미술을 전공한 미술치료 석사과정생의 경험은 공통된 텍스트로 도출되면서, 미술치료사로서 형성해나갈 정체성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단초로써 의미를 갖는다. 더 나아가, 예술에서 치료로 눈을 돌린 나 자신을 위한 성장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의미를 따라 예술가이자 미술치료사인 정체성을 향한 연구가 지속되길 바라며, 미술치료라는 학제를 단단하게 하는 밑거름으로써 제공되기를 바란다.

      • 학점은행제 학습자들의 진로장애지각이 직업가치 및 진로포부에 미치는 영향

        김진윤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학점은행제가 1998년부터 시행되기 시작하여 올해로 시행된 지 10년째를 맞이하고 있으나, 현재 학점은행제를 수강하고 있는 학습자들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며, 학점은행제 학습자들의 직업에 관한 연구는 더욱 더 찾아보기 힘든 게 현실이다. 직업에 대한 연구들은 거의 고등학생과 일반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한 연구들이 대부분이며 간혹 여대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이 있을 뿐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그동안 소외되어온 학점은행제 수강생들을 중심으로 직업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생각하에 이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학점은행제 학습자들의 진로장애지각이 직업가치 및 진로포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학점은행제 학습자들에 대한 진로의식에 관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향후 이에 대한 교육적 정책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07년 현재 서울, 경기지역의 대학(교)부설 평생(사회)교육원 학점은행제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397명으로부터 획득한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설문지의 구성은 선행연구 및 관련문헌 고찰, 전문가 검토 및 예비조사를 통하여 학점은행제 학습자들의 개인적 특성 12문항, 진로장애지각 요인에 대한 5가지 하위요소(외적장애 요인, 자기명확 부족요인, 직업정보 부족요인, 우유부단 성격요인, 필요성인식 부족요인) 22문항, 직업가치 요인에 대한 2가지 하위요소(내적가치, 외적가치) 16문항, 진로포부 요인 10문항 등 총 60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각 문항마다 5단계 Likert 척도(1=‘전혀그렇지 않다’~5=‘매우 그렇다’)로 구성하여 각각의 문항에서 제시하는 내용에 응답하도록 설정하였다. 개발된 설문지의 신뢰도 계수 Cronbach's α=.718~.895로 나타나 매우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 수집된 자료는 분석의 목적에 따라 빈도분석, t-검증, 일원변량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을 이용하여 자료를 처리하였으며, 연구문제로는 개인배경별 진로장애지각, 직업가치, 진로포부의 차이, 진로장애지각과 직업가치의 관계, 진로장애지각과 진로포부의 관계, 직업가치와 진로포부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에 따른 해결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차이는 직업가치의 하위요인인 외적가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혼유무에 따른 차이는 진로장애지각의 하위요인 중 자기명확성 부족요인, 직업정보 부족요인, 우유부단한 성격요인, 필요성 인식 부족요인 및 직업가치의 하위요인 중 내적가치와 진로포부에서 집단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경험에 따른 차이는 진로장애지각의 하위요인 중 자기명확성 부족요인, 직업정보 부족요인, 우유부단한 성격요인 및 직업가치의 하위요인 중 내적가치에서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현 직장유무에 따른 차이는 진로장애지각의 하위요인 중 자기명확성 부족요인, 직업정보 부족요인 및 직업가치 요인 중 내적가치와 외적가치 모두와 진로포부에서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차이는 진로장애지각의 하위 요인 중 외적장애 요인을 제외한 모든 변인에서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학점은행제 학습자들의 진로장애지각의 하위요인 중 자기명확 부족요인(β=-.141)과 필요성 인식 부족요인(β=-.214)에서 부적(-)으로 내적가치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적가치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점은행제 학습자들의 진로장애지각의 하위요인 중 외적장애 요인(β=.105)은 정적(+)으로 자기명확 부족요인(β=-.281), 필요성 인식 부족요인(β=-.199)에서는 부적(-)으로 진로포부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점은행제 학습자들의 직업가치의 하위요인 중 내적가치 요인(β=.447)이 정적(+)으로 진로포부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 및 논의를 바탕으로 이 연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한계점을 지적하고 보다 개선된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이 연구는 학점은행제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이 연구의 결과를 모든 진로장애지각, 직업가치, 진로포부에 대한 경우로 일반화 하기는 어렵다. 이 연구결과가 다양한 경우의 설명력을 갖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후속연구들이 필요하다. 둘째, 진로장애, 직업가치, 진로포부에 대한 연구들은 다양한 요인들로 분류하기 시작했으며 국내에서도 이러한 체계를 따라 여러 가지 요인으로 나누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들은 각각의 분야를 맥락적으로 제한하여 왔기 때문에 다양한 변인들에 관한 연구들이 부족한 상황이므로 향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변인들 모두 적용할 수 있는 모형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이 연구에 사용된 측정방법은 모두 자기 보고식 질문지였다. 개인이 지각하는 평가가 진로장애지각, 직업가치, 진로포부의 실체보다 중요하다는 여러 연구들이 있지만 이 연구는 자기보고식 평가로만 이루어졌기 때문에 객관적인 실체를 반영하고 있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후속 연구들에서는 실제 객관적으로 진로장애가 어려운 집단을 선정하여 연구하는 방법 등으로 자기보고 연구의 한계를 보완할 필요가 있다. 넷째, 이 연구는 서울 및 경기의 학점은행제 학습자들을 위주로 표집 하였다. 연구자가 가능한 한 편중되지 않는 샘플을 구하고자 여러 대학에서 대상자를 모았고, 분포를 고르게 하려고 노력하였지만, 전공별로 편중된 경향이 있었다. 따라서 이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보다 공정하고 편중되지 않은 연구 대상을 중심으로 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다섯째, 이 연구는 설문지를 이용하여 통계적인 결과를 도출하였다. 즉 양적인 연구가 갖는 한계점이 있을 것이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후속 연구에서는 학점은행제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현장에서 직접 학점은행제 학습자들이 느끼는 문제점들을 찾을 수 있는 질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Characterization of Enterococcus spp. T3-7 producing dietary enzymes isolated in pigs : 돼지로부터 분리한 식이효소를 생산하는 Enterococcus T3-7 균주의 특성

        김진윤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돼지의 분변과 장내용물에서 균주를 분리하고 이중 4가지의 식이효소, 특히 cellulose를 가장 많이 생산하는 균을 선택한 후 질석에 흡착하여, probiotics으로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살모넬라와 co-culture 실험, 내산성, 내담즙성, 항생제 민감성을 평가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