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일시적 회장루 보유자를 위한 건강관리 역량강화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김진미 계명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39

        목적: 본 연구는 일시적 회장루 보유자를 위한 건강관리 역량강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는 무작위 대조군 전후 실험설계를 실시하였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19년 6월부터 2020년 9월까지 이루어졌으며, 연구대상은 D 광역시 K대학병원에서 일시적 회장루 수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실험군 15명, 대조군 15명이었다. 방법: 자료분석은 SPSS Version 22.0 program을 이용하여, 사전 동질성 검증은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linear by linear association test, Mann-Whitney U test 가설검증은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Wilcoxon sign rank test, linear by linear association test 신뢰도 검사는 Cronbach’s α검증을 실시하였다. 결과: 역량강화는 건강관리 역량강화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역량강화 점수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P=.003), 장루 자가관리 지식 점수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P=.008), 장루자가관리 수행 점수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2). 또한 건강관리 역량강화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장루주위 피부손상 정도가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P<.001). 결론: 건강관리 역량강화 프로그램은 일시적 회장루 보유자의 건강관리 역량강화, 장루 자가관리 지식, 장루 자가관리 수행, 장루주위 피부손상 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중재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일시적 회장루 보유자를 위한 체계적인 건강관리 프로그램이 거의 없는 현 상황에서 본 건강관리 프로그램을 표준화하여 간호현장에 적응함으로써 일시적 회장루 보유자의 합병증을 감소시키고 삶의 질을 증진시키는 간호중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valuate a health care empowerment program and verify its effectiveness for temporary ileostomy patients. Method: A randomized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for this study; the data was collected from June 2019 to September 2020, and the subjects were patients who have received a surgery for the temporary ileostomy at A university hospital in Daegu city, Korea. The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were randomly assigned to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n=15), which participated in the health care empowerment program, and the control group(n=15), which was provided with a general program. Data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fisher exact test, linear by linear association test, Mann-Whitney U test, Wilcoxon test using the SPSS 20.0 program. Result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ost-test scores in health care empowerment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p=.003). Also,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ost-test scores in stoma self-management knowledge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p=.008). Furthermore,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ost-test scores in stoma self-management behavio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p=.002). Lastly,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ost-test scores in degree of peristomal skin damage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p<.001). Conclusion: The research presented that the health care empowerment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health care empowerment, self-management knowledge, self management behavior, as well as improving degree of peristomal skin damage. Therefore, in the present situation where there is a lack of systematic health care empowerment program for temporary ileostomy pati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develop and standardize a systematic health care program. For further research, strategic development that can continuously facilitate health care empowerment of patients with temporary ileostomy is highly recommended.

      • 노숙인의 거처 찾기 일에 관한 제도적 문화기술지

        김진미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흔히 회전문 현상으로 표현되곤 하는 노숙 탈피가 지체되는 문제를 노숙인의 입장에서 거처의 안정을 도모하고자 하는 일로 조망하고자 하였다. 이는 노숙인들이 거처의 상실과 삶의 위기 속에서 어떻게 자신의 거처를 찾고 유지하는지, 그 결과 어떻게 순환하는 삶의 모습을 빚어내는지를, 제도적 관계 속에서의 조직화 과정으로 파악해 보는 것이었다. 연구를 위해 본 연구자는 제도적 문화기술지 연구방법을 택하여 연구참여자인 18명의 노숙인들과 심층면접하여 일 지식을 수집하였고, 이 과정에서 제도적 접점들을 찾고 제도적 관계를 발견하기 위하여 11명의 노숙인복지 실무자들과 심층면접을 실시하고, 3개월의 현장 방문조사와 3개월의 현장 참여관찰을 통해 얻은 일지식과 텍스트 자료를 분석했다. 분석의 과정은 노숙인들이 거처 찾기와 유지하기 과정에서 노숙인복지 체계에 어떤 식으로 섞여 들어가고, 실무자 및 기관의 방침이나 서비스에 관련된 텍스트를 매개로 자신들의 삶을 어떻게 조직화하는지를 알아가는 일이었다. 분석결과로부터 알게 된 것을 개괄하자면, 노숙인들은 노숙화 이후 생존의 어려움을 노숙인복지 정책과 서비스가 제공하는 자원에 접근하여 해소하고자 했으며 노숙을 피하고 거처의 안정을 이루기 위해 접근한 응급/임시거처를 중심으로 순환하고, 단기의 노숙인생활시설 거처에서 머물며, 간혹 지역사회 독립거처를 마련하여 노숙을 벗어났다가 다시 노숙인시설 거처로 회귀하는 등의 회전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노숙인의 입장에서 회전문 현상의 실제는 노숙인복지 전달체계 및 노숙인복지시설 체계의 틀 안에서 모든 게 단기수혈에 그치고, 자기구제의 책임을 요구하는 제한적이고 규제적인 텍스트로 매개되는 자활지원 정책 및 사회담론과 조응하면서 나타나는 조정의 양상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빈곤할 뿐더러 사회적 관계의 취약함 등으로 지역사회에 안정적으로 정착하지 못하는 노숙인들은 공적복지의 협애한 틀 안으로 포용되지 못하고 배제되는 가운에 빈번하게 노숙 서비스로 회귀하곤 했다. 결론적으로, 제도적 관계 속에서 자신의 거처를 확보하고자 하는 노숙인 중 일부는 현실적으로 자활/자립의 어려움을 노숙인 응급구호라는 노숙인 복지정책의 성격으로부터 비롯되는 느슨한 텍스트의 틈새를 활용해서 해결할 수밖에 없었다. 이상의 분석을 기초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함의를 보여준다. 먼저, 이 연구는 제도적 문화기술지 연구방법에 기초하여, 노숙인의 입장을 취해서 ‘회전문 현상’을 살펴봄으로써 노숙인의 회전하는 삶의 구조를 제도적 관계 내에서의 형태로 조망하였다. 그 결과 제도적인 관계 속에서 조형되는 노숙인의 삶에 덮어씌워져 있는 ‘서비스를 탈피하지 못하는 의존하는 사람들’이라는 부정적 인식을 거둬내고, 오히려 노숙인의 인간다운 삶을 회복할 수 있는 노숙인복지 체계의 재설계가 시급하다는 점을 제기한다. 재설계는 이를테면 노숙인을 지원하는 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경로를 지역사회 거주의 안정성을 높이고 노숙인의 다양한 처지와 욕구를 반영하는 데 기초해 다양화할 필요, 숨겨진 노숙인으로서 광범위한 주거취약계층을 포괄하는 서비스 전달체계를 마련할 필요, 노숙인복지시설 체계의 조정, 노숙인의 순환하는 삶을 매개하는 중요한 텍스트로서 이용기간을 규제하는 텍스트의 점검, 법 텍스트가 담지하고 있는 노숙인의 책임담론에 대한 재검토 등을 포괄하는 것이다. 또한 노숙인 지원에서 강조해야 할 담론은 인권, 주거권 같은 노숙인의 기본권이 될 필요가 있고, 이를 중심으로 노숙인에게 보다 인간적인 환경을 조성하는 실천운동을 추가할 필요가 있음을 제기하고 있다.

      • 사회적 기술 훈련 프로그램이 저소득층 한 부모 가정 아동의 사회적 기술, 학교 적응,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김진미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on social skills, school adjustment and self-esteem of children from low-income single-parent families. For this purpose, LeCory's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translated by Lee Hyun-Sook, was utilized.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24 children in the forth and the fifth grade from I elementary school in Daegu, Korea. They were referred by their homeroom teacher. The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experimental group or control group.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administered for 6 weeks from 8th in June 2005 to 13th in July 2005.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program, a pretest and posttest were administered, and a follow up test was conducted 8 weeks after the posttest.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3 scales measuring social skills, school adjustment and self-esteem. The effects of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were analyzed by ANCOVA and paired t-test. Results showed that the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had significant effects on increasing social skills, school adjustment and self-esteem of children from low-income single-parent families, and that the effects were maintained up to 8 weeks after the program. 본 연구는 사회적 기술 훈련 프로그램이 저소득층 한 부모 가정 아동의 사회적 기술, 불안, 우울,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LeCroy가 초등학생을 위해 개발한 사회적 기술 훈련 프로그램을 본 연구자가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재구성한 것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대구시 소재 I초등학교 4,5학년 담임교사가 한 부모 가정 아동 중에서 생활 보호 대상인 아동 선정을 추천하였다. 집단상담 참여에 대한 자발적인 동기를 보인 24명을 각각 실험집단(12명), 통제집단(12명)으로 무선배정 하였다. 집단상담은 2005년 6월 8일부터 2005년 7월 13일까지 총 6주간 8회기, 매 회기 60분씩 본 연구자가 직접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실시 전과 실시 후, 그리고 프로그램 종결 8주 후 사회적 기술, 학교적응, 자아존중감 검사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SPSS 12.0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고, 집단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한 공변량분석(ANCOVA)과 집단 내의 시기별 변화를 알아보기 위한 대응표본 t 검증(paired t-test)이 적용되었다. 분석결과, 본 연구에서 실시한 사회적 기술 훈련 프로그램은 저소득층 한 부모 가정 아동의 사회적 기술의 증진, 학교적응 향상, 자아존중감의 증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효과도 8주 후까지 비교적 안정적으로 지속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전학령기 정상아동의 감각운동 발달촉진을 위한 그룹 감각통합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김진미 인제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목적: 전학령기 정상아동들에게 그룹 감각통합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아동의 감각운동 발달, 적응행동, 작업수행 및 보호자의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만 3-4세의 정상아동으로 H교육원에 등록된 회원들에게 공지를 통하여 선착순으로 모집하였으며, H교육원의 연구원이 무작위로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분류하여 최종적으로 실험군 3명, 대조군 4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그룹 감각통합치료가 아동의 감각운동 발달, 적응행동, 작업수행 및 보호자의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Miller Assessment for Preschoolers(MAP), 사회성숙도 검사,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COPM)를 사용하였다. 실험군은 그룹 감각통합치료 프로그램을 4주간 주 2회(총 8회), 매 40분씩 실시하였으며, 대조군은 아무런 치료를 하지 않았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0.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두 군 간의 감각운동 발달 및 적응행동 변화 차이를 측정하기 위해 독립표본 t 검정을 사용하였고, 실험군의 실험 전후 작업수행도 및 만족도 변화 차이를 측정하기 위해 대응표본 t 검정을 사용하였다. 결과: 그룹 감각통합치료 프로그램 적용 결과 실험군과 대조군은 감각운동 발달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t=3.825, p=.025), 실험군은 실험 전후 감각운동 영역(t=20.246, p=.002)과 그 하위영역인 협응(t=11.301, p=.008)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적응행동 비교에서는 사회성숙도 총점(t=4.226, p=.008)과 사회연령(t=4.942, p=.004)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실험군은 실험 전후 사회연령(t=5.000, p=.038)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실험군은 실험 전후 작업수행도(t=6.982, p=.020)와 작업만족도(t=10.955, p=.008)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 그룹 감각통합치료는 정상아동의 감각운동 발달 촉진 및 적응행동, 작업수행 및 보호자의 만족도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이는 장애아동뿐만 아니라 일반아동에게도 감각통합치료 프로그램을 확대시켜야 할 근거를 제시하며, 감각통합치료를 개별적인 접근이 아닌 그룹 프로그램으로 진행한 경우에도 치료의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연구 대상자의 수가 적고 치료기간이 짧아 일반화시키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향후에는 많은 인원수로 치료기간을 늘려서 연구해야 할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s of sensory integration program on sensory motor development, adaptive behavior, occupational performance, and occupational satisfaction with preschoolers. Methods: The subjects were children aged between 3 and 4 with typical development and were enrolled in the H Research Center. They were selected in the order of receipt after an announcement of the research. Staffs in the H Center randomly divided them into two groups: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ree of experimental group and 4 of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 this study. To assess the sensory motor development, adaptive behavior, occupational performance, and caregivers' satisfaction with children, the Miller Assessment for Preschoolers(MAP), Social maturity test,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COPM) were used. The sensory integration group program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during a 40-minute session twice per week, so there were 8 sessions in total for 4 weeks. There was no special treatment for the control group.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by making use of the SPSS 10.0 vers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sensory motor development and adaptive behavior was measured by the independent T test, and the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sensory integration program of the experimental group in occupational performance and occupational performance by the paired T test.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had significant difference in sensory motor development (t=3.825, p=.025), and the experimental group had significant difference in sensory motor area (t=20.246, p=.002) and its subarea coordination (t=11.301, p=.008)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had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ocial maturity test's total score (t=4.226, p=.008) and the Social age (t=4.942, p=.004), and the experimental group ha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ocial age (t=5.000, p=.038)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he experimental group had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occupational performance (t=6.982, p=.020) and the caregivers's satisfaction (t=10.955, p=.008)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sensory integration group program was effective in facilitating the sensory motor development and improving the adaptive behavior, the occupational performance and the caregivers' occupational satisfaction. They also provide a theoretical basis for the new program in which the sensory integration program should be applied to the children with typical development as well as the children with disability. Futherm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ed the effectiveness of group approach but not individual approach. However,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conclusion because period of the experiment was short and the number of the subject was limited. Therefore, the future research supplementing the aspects should be done before applying the program to normal children.

      • 경남지역 학교 행정실장의 급식 식재료 구매에 대한 인식조사

        김진미 인제대학교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학교급식 식 재료 구매에 대한 각 학교 행정실장들의 인식을 조사하고 추후 체계적인 구매개선제도가 형성될 수 있도록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경남 지역의 전 급식학교 행정실장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조사기간은 2009년 12월 22일에서 2009 12월 23일 사이에 각 학교에 설문지를 발송·회수하여 실시하였다. 본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분석내용은 급별(초, 중, 고), 급식규모별, 지역별, 입찰방법, 식 재료 품목별 구매계약방법 등 이고 분석 내용에 따라 빈도분석, 기술 통계분석, 비교분석을 하고 문항간, 지표간 대상자간, 지표와 총점 간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으로는 응답한 818개 학교 중 초등학교가 453개로 가장 많았으며, 학교 분류형태는 농·어촌 형이 434개교, 급식인원수는 101~500명이 225개교, 급식운영형태는 단독조리교가 679개교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 학교급식 운영에 관한 사항 중 학교에서 제공되는 급식 만족도는 매우 만족한다가 74.2%로 가장 높았으며, 학교급식 식재료 검수의 참여정도는 1주일에 1~2회가 29.0%, 학교급식에 사용되고 있는 식재료는 '친환경 농산물, 국내산, 한우, 농산물 등 품질이 우수한 식재료만 사용'이 66.7%로 가장 높은 결과가 나왔고, 학교급별 학교급식에 사용되고 있는 식재료는 초등학교는 ‘친환경 농산물, 국내산, 한우, 농산물 등 품질이 매우 우수한 식재료만 사용한다’의 응답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고등학교는 ‘전처리식재료, 포장제품, HACCP인증품 등 안전한 식재료를 사용한다’의 응답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구매계약에 관한 사항 중 식재료 구매시 계약방법은 ‘일부품목 수의계약과 입찰 병행’이 53.7%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식재료 구매에 있어 가장 바람직한 방향은 ‘수의계약과 입찰을 병행 실시’가 73.3%, 식재료 구매에 있어 전품목 입찰방식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응답한 이유는 ‘청렴도 이행 및 투명성 제고를 위해’가 53.3%, 전품목 수의계약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응답한 이유는 ‘품질이 우수한 식재료 선정이 쉬워서’가 58.3%, 병행운영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응답한 이유는 ‘식재료의 특성상 유사한 제품은 입찰구매, 특정제품을 수의계약을 통한 직거래가 필요해서’가 46%로 가장 높게 나왔으며, 식 재료 구매에 있어 생산자 단체등과의 직거래의 추진정도는 ‘일부품목정도 사용’이 49.8%, 직거래를 시행하지 않는 이유는 ‘예산부족과 안전성에 대한 확신이 없어서’가 31.6%, 지역에서 생산되는 농수축산물 및 가공품을 학교급식에 사용하는 것에 대한 생각은 ‘품질이 우수하거나 안전성을 인정받은 제품이라면 적극 사용해야한다고 생각 한다’가 59.5%로 가장 높았고 식품군별 최적의 구매방법에 대한 응답으로는 친환경 식 재료는 공동수의계약이 35.7%, 일반농산물은 입찰이 50.5%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식재료 구매에 있어 생산자 단체 등과의 직거래 추진정도’는 급식인원수가 많을수록 직거래 추진을 잘 하지 않고 ‘친환경 식 재료’는 급식인원수가 많을수록 입찰 비율이 높고, 급식인원수가 적을수록 공동수의계약 비율이 높으며 '일반농산물‘은 급식인원수가 많을수록 입찰의 비율이 높아지고, 급식인원수가 적을 수록 수의계약 비율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4. 표준식단제와 학교급식지원센터에 관한 사항 중 ‘표준식단 확대운영과 지자체에서 급식지원센터를 가동시켰을 경우 참여여부’는 ‘표준식단과 급식지원센터 모두 참여’가 76.7%로 가장 높았고, ‘학교급식 우수 식 재료 사용을 확대하기 위해 가장 시급하게 개선되어야할 점’은 ‘우수농수산물 공급을 위한 유통구조가 개선되어야한다’가 40.5%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급식소위원회의 역할수행에 대한 가장 바람직한 방향’은 ‘지역교육청별 구성된 학교급식점검단에 역할부여’가 37.1%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보면 업체 선정 및 계약 등 급식을 운영함에 있어서 각 학교 행정실장들은 많은 애로사항을 가지고 있다. 각 일선학교에서 개별적으로 시행하기 어려운 지역우수농수산물 공급업체와의 직거래나 소규모 학교의 공동구매 등의 업무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먼저 표준화된 공급업체의 선정기준과 지침서를 개발하고 인지도를 높일 수 있는 전문적이고 실질적이며 지속적인 교육이 뒷받침되어야 하며 학교급식에 사용되는 식 재료의 투명성과 학교급식 신뢰도 확보를 위해 급식소위원회와 같은 학부모 참여를 법정화하고 지역농산물 사용 확대를 위해 지방자치단체의 급식지원센터설치와 표준 식단 제를 체계적으로 정비하여 제도적으로 정착시켜야 나가야 할 것이다.

      • n형 열전 버키페이퍼의 제조 및 이를 이용한 열전발전소자 제작

        김진미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최근 세계적으로 에너지자원의 고갈과 다양한 에너지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새로운 에너지 자원의 확보 방안으로 각종 산업폐열을 이용한 열전발전기술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열전발전의 상용화는 소재의 변환효율 향상, 열전 모듈의 가격저감 등으로 시도되고 있고, 또한 열전 시스템의 성능은 열전 소재의 특성이 좌우하기 때문에 저비용, 고효율의 열전소재를 개발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열전발전 재료로서 graphite nanoplatelet(GNP)과 single walled carbon nanotubes(SWNT)를 사용하여 나노카본기반의 열전 버키페이퍼를 제조하여 열전특성을 측정하였다. n형 나노카본 열전 버키페이퍼를 제조하기 위해 카본 충전제와 polyethyleneimine(PEI)의 여과공정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카본 충전제 사이의 공극에 PEI가 메워지게 되어 n도핑 효과를 낼 수 있도록 진행하였다. GNP와 SWCNT의 함량에 따른 전기전도도, 제벡계수를 측정하여 열전성능을 확인한 결과 높은 전기전도도를 가진 n형의 열전소재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카본 분산 과정에서의 sodium dodecyl benzene sulfonate(SDBS)의 추가를 통하여 향상된 전기전도도를 갖는 카본 버키페이퍼를 제조할 수 있었다. 제조된 n형 나노카본 열전 버키페이퍼와 p형의 유기열전 하이브리드 필름과 폴리이미드 기판을 사용하여 유연한 p-n 접합 열전소자를 제작하여 파워 값을 측정한 결과 p-n 접합 11쌍으로 T=10K에서 14.9 nW의 출력을 나타내었다. Recently, an interest in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technology using various industrial waste heat has been increasing as a measure to secure new energy resources due to depletion of energy resources and increase of various energy demands worldwide. Commercialization of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has been attempted in such a manner as improving the conversion efficiency of the material and reducing the pric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In addition, the performance of the thermoelectric system depend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ermoelectric material, and therefore, the focus is on developing a thermoelectric material having a low cost and high efficiency. In this study, a thermoelectric bucky paper based on nano-carbon was fabricated by using graphite nanoplatelete(GNP) and single walled carbon nanotube(SWNT) as thermoelectric materials. In order to fabricate n-type nano-carbon thermoelectric bucky paper, the filtering process of carbon filler and polyethyleneimine(PEI) was carried out so that the PEI was filled in the gap between the carbon fillers and the n-doping effect was achieved. The electrical conductivity and the Seebeck coefficient were measured according to the content of GNP and SWCNT to confirm the thermoelectric performance. As a result, n-type thermoelectric material having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was obtained. The addition of sodium dodecyl benzene sulfonate(SDBS) in the carbon dispersion process resulted in the production of carbon bucky paper with improved electrical conductivity. We fabricated a flexible p-n junction thermoelectric device using n-type nano-carbon thermoelectric bucky paper, p-type organic thermoelectric hybrid film and polyimide substrate, and measured the power value. As a result, the power of 11 pairs of p-n junctions was 14.9 nW at T=10K.* A thesis submitted to committee of the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a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 for the degree of Master of Science conferred in February 2017.

      • 필리핀 결혼이주여성의 인형치료 과정에 나타난 가정생활 내러티브 탐구

        김진미 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이 연구의 목적은 필리핀 결혼이주여성이 인형치료를 받는 과정에서 표현된 가정생활에 대해 그 경험을 탐색하여 어떤 의미를 부여하는지 살펴보고 결혼이주여성을 심층적으로 이해할 뿐만 아니라 심리치료 등 지원현장에서 어려움을 겪는 상담자들과 결혼이주여성들의 삶을 지원하기 위한 유용한 자료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질적 연구방법 중 내러티브 탐구를 사용하였다. 내러티브 탐구는 필리핀 결혼이주여성의 가정생활 경험에 대해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분석할 수 있는 적절한 방법이다. 연구의 참여자(영화)는 필리핀 결혼이주여성, 영화(가명)로 만 18세에 한국으로 이주하여 12년간 가정을 이루어 살고 있다. 자료수집 방법은 면접상담, 인형치료과정에 나타난 인형사진, 관찰노트로 이루어졌다. 연구자는 2020년 10월부터 시작하여 2021년 1월까지 3개월 동안, 총 6회기 면접상담을 진행하였으며 총 4회기 동안 인형치료 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자는 현장텍스트를 반복하여 듣고 읽으면서 그 의미를 분석하고 인형치료사진과 연구노트를 교차하며 분석하면서 지도교수와의 확인 과정을 통해 주제를 선정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이야기를 통해 도출된 가정생활의 의미는 ‘가족안에서의 나’, ‘가족 밖에서의 나’, ‘가족을 이끌어가는 나’이다. 첫째, 필리핀 결혼이주여성이 경험한 가정생활의 의미는 ‘가족 안에서의 나’이다. 연구 참여자는 원가족에서 사이에 낀 아이로 태어나고 자랐으며 시어머니와의 갈등을 겪기도 하였고 극적으로 화해하기도 하였다. 남편과의 관계에서는 남편을 의지하였다. 둘째, ‘가족 밖에서의 나’이다. 연구 참여자는 자신 인생의 개척자로서 만 16세에 경제적으로 부모로부터 독립하여 직장생활을 하였고 더 나은 삶을 위해 국제결혼을 선택하였다. 그뿐 아니라 한국에 와서도 공부를 멈추지 않고 억척스럽게 일을 하면서 미래에 결혼 이주민들을 위한 지도자로 일할 수 있기를 꿈꾸며 노력하고 있었다. 셋째, ‘가족을 이끌어가는 나’이다. 연구 참여자는 가정을 이끌어가는 책임자로 역할을 하고 있었다. 친정아빠의 죽음으로 친정가족을 이끌어가고 있으며 시어머니와의 관계에서도 능동적인 자세로 자신의 편으로 만들고 있었다. 남편과의 관계에서도 적극적인 자세를 취하며 상호작용하고 있었다. 남편 또한 연구 참여자를 믿고 모든 경제와 자녀 돌봄 등 제반사항을 다 맡기도 있었다. 또한 아이들에게도 미래에 책임감이 강하고 자립할 수 있기를 바라며 적극적인 지지로 이끌어 주고 있었다. 이 연구는 연구 참여자의 전생애적 가정생활에 초점을 두고 한 사람으로 접근하고자 시도하였는데 의의가 있다. 무엇보다도 선행연구들 중에 인형치료를 매개로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연구한 논문이 없다는 점과 인형치료를 통해 내러티브 탐구 방법으로 접근한 점이 이 연구가 유일하였다. 본 연구는 필리핀에서 결혼 이주한 한 여성의 내러티브를 기초로 연구하였기 때문에 남편 입장에서의 가정생활 내러티브가 없으며 부부 상호작용에 대한 경험을 다루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in depth a Filipino marriage migrant woman on figure therapy and find out what the meanings are in family life, and utilize for migrant woman's life and counselors in various supports including psychological counseling. For this purpose, the method of study is the narrative inquiry as one of the qualitative research. The narrative inquiry is the way to understand in depth and analyze family life on the experience of a Filipino marriage migrant woman. This study participant, Younghwa, is a Filipino woman who has married and migrated at the age of 18 and been living for 12 years in S. Korea.The collection of data are from face to face counseling, figure's photos in the process of Figure Therapy and observation notes. I have done face to face counseling 6 times including 4 times of using the figures for 3 months between October in 2020 and January in 2021.I have repeatedly listened and read the field texts, and cross-checked the data of photos of Figure Therapy and study notes. I have analyzed the meanings of it on those process, and selected the themes and checked with my thesis adviser. The meanings of family life to a Filipino marriage migrant woman are 'I in my family', 'I outside my family' and 'I leading my family'. First of all, the meaning of family life to a Filipino marriage migrant woman was 'I in my family'. Younghwa was born and grown up as a sandwiched child in the big family, and conflicted with mother-in-law and reconciled afterward. She has relied on her husband. Secondly, it was 'I outside my family'. Younghwa was a pioneer in her own life. She moved out and started to work as financially independent at the age of 16. She has chosen the international marriage for the better life. Also, she didn't stop to study and worked harder in S. Korea. She was dreaming of the life to work as a leader for marriage migrant women in the future. Thirdly, it was 'I leading my family'. Younghwa was the person in charge in her family.After her father died, she was active and leading her family of origin.She had her mother-in-law to her side. She was active and interacted in the relationship with her husband. Her husband also relied on her and let her manage all kinds of family events including a domestic economy and children's lives. Also, she was leading and supporting their children who would grow as responsible and strong in their future.These results are meaningful in that it tried to approach as one participant's whole life focused on her family life. Especially, there was no other study like this one, such as Figure Therapy was applied on a marriage migrant woman and used the way of narrative inquiry.Because this study was about a Filipino marriage migrant woman's family life experiences, there was no narratives of her husband's family life and interactive experiences as a married coup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