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제어모멘트자이로 복합 외란 특성 분석을 위한 정밀 모델링 및 검증

        김지철 韓國航空大學校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모멘텀형 구동기는 위성의 자세제어를 위해 모멘텀 변화를 이용하는 장치이다. 하지만 모멘텀을 생성하고 변화시키는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회전에 따른 외란이 발생하게 되며 이 외란은 다른 탑재 장비보다 지향 정확도를 저하시키는 가장 큰 원인 중 하나이다. 따라서 모멘텀형 구동기에서 발생하는 외란의 정밀한 분석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관련 연구는 해석적 분석과 실험적 분석으로 진행되었으며, 과거에는 RWA의 정밀 외란 모델링과 외란 측정 및 저감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최근 고기동성과 경량화가 구동기의 중요한 요구조건이 됨 에 따라 CMG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은 지금까지 연구된 상용 CMG를 이용한 연구 결과를 포함하고, CMG의 개발에 필요한 요소를 추가하여 외란 분석 연구에 대해 기술하였다. 고속 회전을 하는 MWA에서 발생하는 외란과 MWA와 GMA 조립 시 발생할 수 있는 축 정렬과 장착 오차에 대한 부분을 추가하였다. CMG에서 발생하는 복합적인 외란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외란 원인 별 분류를 하고 각 외란을 모델링 하였다. 그 모델링 식을 실제 외란 측정 장치에서 얻어지는 각 축의 힘/토크로 변환하여 각 원인 별 시뮬레이션을 통한 특성 분석을 완료하였다. CMG에서 발생하는 복합 외란의 진단을 위하여 자체 개발한 CMG를 이용하여 구조적, 전기적 특성에 대한 파라미터를 정리하고, 모델링 식에 적용하였다. 50Hz 이하의 주로 분포하는 외란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하여 150 Hz까지 선형성이 확보된 외란 측정 장치를 이용하였다. 또한 효과적인 분석을 위해 김블 각도에 따른 FFT를 분석하는 Waterfall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특성 분석 시뮬레이션 결 과와 비교하여 발생 되는 외란 정밀 모델링을 검증하였다. 본 논문의 결과는 현재 위성에 관련된 많은 기술들이 국산화 되고 있고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아직은 상대적으로 기술력이 많이 부족한 구동기 개발에 필수적인 요소이다. 더욱이 CMG의 국산화를 국가기관 주체로 개발하고 있는 시점에서 직접적으로 활용 가능성이 높다. 또한 CMG에서 발생하는 외란의 정확한 진단은 외란 저감에 활용 될 뿐 아니라 분석 방법 통해 능동형 제어기에 적용하여 제어기 성능 향상에 활용 될 수 있다.

      • 사회적 지지가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연구

        김지철 성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사회적 지지의 어떤 요인이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지 실증적인 연구를 통해 사회적 지지요인으로 인한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의 어려움과 문제를 이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문화적응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사회복지실천의 개입전략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분석한 결과 요약하면 첫째,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인구사회학적 특성으로는 본인연령대는 20대가 76명(50.7%), 남편의 연령대는 40대가 89명(59.3%)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고, 출신국가별로는 중국이 57명(38.0%), 대부분 차지하고 있고, 종교는 불교가 44명(29.3%)으로 가장 많았다. 결혼기간은 24개월 이하가 63명(42.0%)이 가장 많았고, 한국에서의 거주기간은 24개월 이하가 66명(44.0%)이 가장 많았으며, 자녀수는 1명이 62명(46.6%)으로 가장 많았으며,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최종학력은 고졸과 대졸이 51명(34.2%) 남편의 최종학력은 중졸 55명(37.9%)이 가장 많았다. 직업의 유무를 조사한 결과, 국제결혼 이주여성은 없음이 112명(76.2%)이고, 남편의 직업은 있음이 137명(91.9%)으로 나타났다. 가족평균 월소득은 101-200만원이 59명(41.0%)으로 가장 많았으며, 가족형태로는 남편과 자녀 78명(42.4%)가 가장 많았으며, 한국국적 취득유무는 없음이 122명(66.7%), 있음이 61명(33.3%)으로 나타났으며, 결혼한 이유는 ‘경제적으로 더 발전한 한국에서 살기 위해서’가 35명(23.3%)으로 가장 많았다. 둘째, 각 변인들에 대한 실태에 대한 분석결과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사회적 지지 정도를 살펴보면, 사회적 지지의 전체 평균은 3.36로 나타났고 하위영역 중 정보적 지지가 평균 3.48으로 가장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정서적 지지가 평균 3.38, 평가적 지지가 평균 3.36, 물질적 지지가 평균 3.24순으로 나타났다. 문화적응스트레스의 정도를 살펴보면, 문화적응스트레스의 전체 평균은 2.68로 나타났고 하위영역 중 향수병이 평균 2.9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 차이에서는 자녀수(.027)과 본인직업유무(.047)는 유의수준 p<.05에서 유의미하였고, 가족평균 월소득(.040)은 유의수준 p<.05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넷째, 주요 변수들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독립변수, 종속변수, 통제변수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다섯째, 사회적 지지가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설을 검증하였는데 정보적 지지는 p<.10, 물질적 지지는 p<.05수준에서 문화적응스트레스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본 연구에서 각 변인들에 대한 실태에 대한 분석결과 국제결혼 이주여성을 가장 힘들게 한 문화적응스트레스의 하위영역은 향수병이었는데, 국제결혼 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우리나라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남편과 함께 결혼이주여성의 고향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 차이에서 가족평균 월소득이 문화적응스트레스에 미치는 주요 요인 중에 하나였는데 이주 이전에 가지고 있던 능력을 한국사회에 맞게 개발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취업프로그램 등을 통해 이를 지원할 수 있는 문화적 민감성을 가진 사회복지사 전문인력을 양성해야 할 것이다. 셋째, 사회적 지지의 하위영역 중 정보적 지지가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유의미하게 나타났는데, 이들의 자조모임 결성을 위해서는 초기단계에 민간단체나 지방자치단체의 적극적인 원조체계가 필요하다. 국제결혼 이주여성이 한국에 입국시, 가족외에 같은 출신국 여성 네트워크를 활용하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사회적 지지의 하위영역 중 물질적 지지가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유의미하게 나타났고,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직업유무가 문화적응스트레스의 차이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국제결혼 이주여성들의 기술을 개발시킬 수 있는 직업재활프로그램, 문화적응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 취업정보제공, 취업박람회 등의 보다 구체적인 차별화된 프로그램들을 제공한다면 이들의 사회적 참여활동을 높이고 이를 통해 한국 사회에서의 적응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study intends to figure out the most influential factor for the stress of cultural adaptation of internationally married migrant women, and holds its meaning in providing basic data of intervention strategy of social welfare performance to reduce such stress as well as in understanding the difficulties and problems of cultural adaptation of married migrant female due to the factor of social support through practical research. Summarizing the analysis result, reviewing the result of analysis regarding general characteristics of internationally married migrant female, socio-demographic results showed as follows. 76 (50.7%) women were in their 20s, and 89 (59.3%) husbands in their 40s, and for nationality, there were 57 (38.0%) Chinese women, which showed the most, and 44 (29.3%) women were Buddhists, which showed the greatest amount. For the period of marriage, 24 months or less showed the greatest as 63 (42.0%), and for the period of residence in Korea, 24 months or less showed the greatest as 66 (44.0%), and for the number of children, 62 (46.6%) had 1 children, which showed the greatest amount. For the education level of married migrant women, high school graduates and University graduates were the greatest with 51 (34.2%) women, and for the husbands' education level, middle school graduates were 55 (37.9%) as the greatest amount.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employment status, 112 (76.2%) married migrant women were not employed, and 137 (91.9%) husbands had a job. For the average monthly income, 59 (41.0%) earned 1010-2000 thousand won, which was the greatest amount, and for the structure of family, the greatest amount showed 78 (42.4%) for husband and children, and for having Korean nationality, 122 (66.7%) had not, and 61 (33.3%) had Korean nationality, and for the reason for marrying, 35 (23.3%) answered, 'to live in Korea which has more developed economy'.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tatus for each value, reviewing social support level of married migrant women, the total average showed 3.39, and among the lower scope, informative support showed an average of 3.48, which showed the greatest value. Next, emotional support showed an average of 3.38, estimative support 3.36, material support 3.24, in order. Reviewing the degree of cultural adaptation stress, the total average was 2.68, and among the lower scope, homesickness showed the highest of 2.94. Third, regarding the difference of cultural adaptation stress of married migrant wome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number of children (0.027) and the woman's employment status (0.047) showed significance in the level of significance of p<0.05, and the average monthly income of family (0.040)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in p<0.05 level.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among independent variable, dependent variable, and control variable, it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Fifth, hypothesis regarding the affect of social support for married migrant women on cultural adaptation stress was verified, which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t affect in p<0.10 for informative support and p<0.05 level for cultural adaptation stress. Based on the result of analysis, suggestions are mad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tatus of each value in the study, the lower scope which made internationally married migrant women have the most difficulty was homesickness, so programs that can enable experiencing Korean culture as well as the women's hometown culture with her husbands should be developed. Second, regarding the difference in cultural adaptation stress of internationally married migrant wome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average monthly income of the family was one of the main factors affecting such stress, so professional social working manpower who has cultural sensitivity to support them through a program that can enable them to develop their prior ability customized to Korean society, employment program, and etc. should be trained. Third, among the lower scope of social support, informative support showed significance with cultural adaptation stress, and to organize a self-helping group, active support system of private groups or local self-governing bodies in the early stage is necessary. When internationally married migrant women enter Korea, providing them with information so that they can utilize the network of females with same nativity aside to their families should be importantly considered. Fourth, among the lower scope of social support, material support showed significance with cultural adaptation stress, and employment status of internationally married migrant women showed relation with the difference of cultural adaptation stress, so a more detailed and differentiated programs such as re-employment program which can develop the skills of the women, cultural adaptation stress management program, employment information provision, job exhibition, and etc. should be provided, which will higher their social participation, and through such measures, it will be helpful for them to adapt to Korean society.

      • 신체상에 대한 심리적 경직성이 신체변형장애 증상에 미치는 영향

        김지철 서울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심리적 경직성은 개인이 추구하는 가치나 상황적 맥락에 맞춰 행동을 효과적으로 조율하지 못하는 심리적 특성으로서, 정신 병리의 핵심기제 중 하나로 밝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신체상에 대한 심리적 경직성을 신체변형장애 발달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잠재적 취약요인으로 상정하고 관련 변인들과의 관계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 Ⅰ에서는 신체상에 대한 심리적 경직성 정도를 측정하는 신뢰롭고 타당한 평가도구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신체상과 관련된 고통스러운 내적 경험을 온전히 수용하지 못하고 이를 회피하거나 변경하려는 심리적 경직성을 측정할 수 있는 신체상 심리적 경직성 척도(Body Image Psychological Inflexibility Scale: BIPIS)를 번안하고 요인구조, 신뢰도 및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총 329명의 만 18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신뢰도는 양호한 수준이었으며 요인구조는 원척도의 단일 요인 구조를 따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른 척도들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외모 수용 척도, 신체상 대처전략 척도와 같이 기존의 유사 척도 및 관련 있는 심리적 특성들과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으며, 전반적인 심리적 경직성보다 신체변형장애 증상을 더 잘 예측하여 타당도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연구 Ⅱ에서는 부적응적 완벽주의, 외모 도구성 및 신체변형장애의 관계에서 신체상 심리적 경직성의 매개역할을 살펴보았다. 총 278명의 만 18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신체변형장애의 심리적 취약요인인 부적응적 완벽주의, 외모 도구성 신념이 신체변형장애 증상에 미치는 영향에서 신체상에 대한 심리적 경직성이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신체상 심리적 경직성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국내에서 사용 가능하도록 번안 및 타당화하고 심리측정적 특성과 역할을 탐색함으로써, 추후 관련 연구에 활용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또한 신체변형장애와 관련 변인들 사이의 관계에서 신체상에 대한 심리적 경직성의 역할을 확인함으로써 신체변형장애의 기제에 대한 이해를 넓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지니는 한계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Psychological inflexibility is characterized by the avoidance of one’s own cognitive and affective states at a cost to personal values.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CT) suggests that psychological inflexibility is a central vulnerability that can lead to psychological maladaptation.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role of psychological inflexibility regarding one’s body image in the development of body dysmorphic disorder. Study Ⅰ was conducted to develop the Korean version of the Body Image Psychological Inflexibility Scale (BIPIS: Callaghan, Sandoz, Darrow, & Feeney, 2015). Data was collected from 329 adults to conduct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results of factor analyses supported the one-factor structure of K-BIPIS. Also, the K-BIPIS displayed good reliability and had good convergent and concurrent validities. Moreover, the K-BIPIS predicted variability within body dysmorphic symptoms above and beyond that of the AAQ-Ⅱ assessing general psychological inflexibility. Study Ⅱ was designed to examine a mediation model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a sample of 278 adults. In the model, body image psychological inflexibility was expected to exert a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among maladaptive perfectionism, social instrumentality of appearance, and body dysmorphic symptom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body image psychological inflexibili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maladaptive perfectionism, social instrumentality of appearance, and body dysmorphic symptoms, which was consistent with the research hypothesis. Second, body image psychological inflexibility appeared to have mediating effects between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body dysmorphic symptoms, and between social instrumentality of appearance and body dysmorphic symptoms. Also,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social instrumentality of appearance had only indirect effects on body dysmorphic symptoms via body image psychological inflexibility.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s that the K-BIPIS is a reliable and valid tool for assessing psychological inflexibility of body image in Korean adults. Furthermore, it illustrates how psychological inflexibility regarding body image plays a key mediating role between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body dysmorphic symptoms, as well as between social instrumentality of appearance and body dysmorphic symptoms. Lastly,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 중학생의 자기결정성 동기 및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김지철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중학생의 자기결정성 동기 및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n Academic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교육학과 김 지 철 지도교수 김 종 운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학습자의 심리적 특성인 자기결정성 동기 및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결정성 동기,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자기결정성 동기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넷째, 자기결정성 동기와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이를 위해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 북구에 소재하는 M중학교에 재학 중인 1, 2,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총 470명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여 미회수된 설문지와 불성실하게 응답했거나 잘못된 방법으로 표기한 설문지를 제외하고 381부가 최종 통계분석 자료로 사용되었다. 연구를 위해 사용한 측정 도구는 자기결정성 동기 척도,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척도, 학업성취도(1학기 기말 성취도 평가의 국어, 수학, 영어의 표준점수)를 사용하였으며,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논의를 바탕으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결성성 동기,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학업성취도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다. 둘째, 자기결성성 동기의 하위요인 중 외적동기가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친다. 셋째,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하위요인 중 개방성이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친다. 넷째, 자기결정성 동기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매개로 하여 학업성취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볼 때 중학생의 자기결정성 동기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이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 수 있다. 특히 중학생들이 외재적으로 동기가 부여되더라도 개인의 자율성과 선택에 의해 스스로 학교 공부의 중요성에 대하여 자각하여 받아들여진 상태에서 학습이 진행되도록 교육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자기주도적 학습역량을 키울 수 있는 교육환경도 동시에 마련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주요어 : 자기결정성 동기,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학업성취도

      • 휠-모터 일체형 반작용 휠 시스템 설계 기법 연구

        김지철 한국항공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위성의 자세제어를 위한 구동기인 반작용휠은 대상 위성에 맞는 성능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대상 위성의 미션 분석을 통하여 휠의 요구조건 도출이 선행 되어야 한다. 그리고 요구조건을 통해 반작용휠의 휠 형상, 모터, 구동 드라이버, 제어기를 각각 설계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휠 형상과 모터를 개별적으로 설계하지 않고, 동일한 무게에서 최대의 관성 모멘트를 갖기 위한 휠의 특징을 이용한 휠-모터 일체형 반작용휠 시스템 설계 기법에 대하여 연구 하였다. 우선 반작용휠의 무게, 관성 모멘트, 고유 진동수 등을 고려하여 휠의 기본형상을 설계하고, 그 설계 변수를 기초로 하여 요구조건을 만족하는 모터의 자기 설계와, 전기 설계를 거쳐 브러시리스 모터 설계를 한다. 입력 전압과 최대 허용 전류를 고려한 구동 드라이버와 모터의 설계 파라미터를 통해 모터 모델링을 하고, 모터 특성이 요구조건에 부합하는지 시뮬레이션 한다. 제어기 설계는 비례-적분 제어기를 이용하였고, 실제 위성에 사용하는 반작용휠의 특성을 분석하여 비례 이득과 적분 이득을 결정하였다. 반작용휠 시스템 설계 기법을 검증하기 위하여 반작용휠 구동 시뮬레이션을 하였고, 명령 값에 대해 요구조건에 부합하는 응답속도를 확인 하였다. 향후 제안된 설계기법을 통해 반작용휠을 제작하고, 구동 시험을 통해 자력 손실, 형상 불균형, 부하 계수 등의 데이터를 설계 변수에 적용하면 정확한 성능을 내는 반작용휠 개발을 할 수 있다.

      • 인구구조의 변화에 따른 재생의료 자본시장의 변화양상에 대한 고찰

        김지철 고려대학교 생명환경과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재생의학은 인체의 본래 기능을 회복시키는데 목적이 있으며, 인류의 역사와 함께 하였다. 재생의학은 장애, 질환, 사고 등 다양한 요인으로 발생한 신체기능의 불편함을 개선하려는 의지에서 시작하였으며, 지금은 인체의 일부분을 재생하는 수준까지 비약적으로 성장해 왔다. 이처럼 재생의학기술은 현대의학의 눈부신 발전에 힘입어 고도화되고 그 종류도 매우 다양해져 제약산업뿐만 아니라 및 의료현장에서도 각광받고 있다. 따라서 전 세계적으로 재생의학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재생의학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유도만능줄기세포의 발견은 인류를 새로운 국면에 맞이하게 하였다. 유도만능줄기세포의 발견은 항상 윤리문제에 부딪히는 배아줄기세포의 도움 없이도 인체의 모든 장기를 재구성할 수 있는 이론적인 토대를 마련하였다. 물론, 유도만능줄기세포는 현재까지 분화과정에서 넘어야 할 여러 한계점들이 있지만 재생의학의 범위를 인체의 전영역으로 넓히는데 공헌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재생의학이 의료기기, 세포치료, 유전자치료 각 분야 에서 상용화를 이루는 과정들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재생의학분야로 자본시장을 견인하는 가장 큰 요인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아울러, 자본시장과의 상관관계를 연구하고자 재생의학 각 분야의 시장성장추이를 조사하였다. 자본시장은 주로 시장의 성장가능성에 따라 투자의사결정이 이뤄지며, 시장의 성장성은 소비자들의 내재적 수요에 영향을 받는다. 특히, 본 논문에서 열거한 의료기기, 세포치료, 유전자치료분야 각 분야 내에서 대부분의 시장점유율을 차지하는 부분이 노인성질환임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의 후반부에서는 한국의 인구통계자료를 통하여 고령화사회로 진입하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그 중에서도 보건부문 소비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두가지 통계자료를 통해 한국은 고령화사회로 진입하였고 그로 인하여 의료비에 대한 사회적 지출이 증가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통계자료의 사망 요인 중에서 폐렴 사망자가 4순위에서 3순위로 올라오게 되었는데 그 원인이 고령화로 인한 사망자 수 증가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왜냐하면 노환으로 사망하는 경우 바이러스성 세균성 폐렴 등으로 사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고령화로 인한 노인성질환자의 증가는 재생의학에 대한 기대로 이어지며, 자본시장의 관심과 함께 재생의학 투자수요를 이끌어 나갈 것이라 전망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재생의학 발전을 이끌어가는 가장 큰 요소는 시장의 잠재적수요에 있었으며, 이러한 시장수요의 중심에는 고령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대부분의 국가들이 고령화사회로 넘어가고 있는 현 시점에서 건강한 삶과 기대수명을 높이려는 의료시장의 잠재적 수요들을 조사하는데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고등학교 골프선수들의 정신력 연구

        김지철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대한 중&#10625;고 골프연맹에 등록된 고등학교 남&#10625;녀 골프선수를 모집단으로 설정 하였으며 2008년 4월 대한 중&#10625;고 골프연맹에서 주관하는 전국 빅야드-파맥스배 선수권에 출전하는 남&#10625;녀 고등학교 선수들의 성별 경력과 정신력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남&#10625;녀 고등학교 선수를 대상으로 표집 한 표본 수 350명 가운데 응답이 부실하거나 조사 후기에서 신뢰도가 낮은 표본 19명을 분석 시 제외 하였다. 자료 분석에 최종적으로 이용된 연구 대상은 남자골프선수 147명이고 여자 골프선수는 184명이며 총 331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사용한 통계적 기법은 요인 분석, 신뢰도 분석, t-검증,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등 이였다. 위와 같은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고등학생들의 골프선수들의 정신력 연구에 관한 연구가설을 검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성별 MIT 척도 하위요인들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남자 골프고등선수집단과 여자골프고등선수 집단 간에 자신감요인과 조절능력요인 그리고 태도 조절에서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여자고등학교 골프선수집단이 남자고등학교 골프선수집단보다 전체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각성조절과 동기수준 요인 그리고 긍정적 에너지에서는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는 않았다. 둘째, 경력별 MIT 척도 하위요인들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자신감은 5년 이상과 3-5년 미만에서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각성조절과 태도조절에서는 1년 미만과 1-3년 미만에서 1년 미만과 5년 이상에서 각각의 유의한차이가 나타났다. 그리고 주의조절, 시각화, 동기수준, 긍정적 에너지 으며, 태도조절에서도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는 않았다. 위의 연구의 결과를 통해 얻어낸 결론은 성별에 관계없이 자신감각성조절과 주의조절능력 그리고 시각화를 향상시킬 수 있는 훈련프로그램을 적용해야 하고 골프를 시작하는 시점부터 심리훈련을 시작하는 것이 매우중요며, 경력이 많을수록 정신력 하위 요인들의 수준이 높다는 것은 사실이나 선수들의 연령이나 경력이 낮거나 적은 시기부터 정신력을 강화시키는 심리훈련을 실시한다면 좀 더 효과적으로 경쟁에서의 각종 심리적인 변인들을 통제시켜 좋은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사료되며, 이는 조기에 심리기술훈련을 꾸준하게 할 필요성이 있다.

      • 전주도금법을 이용한 Ni/Al2O3 복합체 stencil mask의 제조 및 특성평가

        김지철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전자소자의 실장기술 중 하나인 ball grid array(BGA)공정에서 사용되는 stencil mask는 미세한 hole이 패터닝 되어있는 금속막이다. 고무나 금속재질로 되어 있는 스퀴저를 이용하여 stencil mask표면에 왕복운동을 하여 solder paste를 stencil mask의 패터닝 된 미세한 hole로 빠지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 공정 중에 지속적인 왕복운동으로 인하여 stencil mask의 표면의 마모가 발생한다. 마모현상은 stencil mask의 손상을 야기하며 수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stencil mask의 수명과 내구성은 재료의 경도 및 내마모 특성과 같은 기계적 특성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있다. 본 실험에서는 재료의 기계적 특성 향상을 위하여 평균입도 300 nm의 Al2O3 미립자를 분산시켜 전주도금막을 형성시키는 Ni/Al2O3 복합전주도금법을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또한 기계적 특성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미립자의 공석량을 제어하기 위하여 전주도금액속의 Al2O3 미립자와 계면활성제의 농도, 음극에 인가되는 전류밀도를 변수로 하여 실험을 하였다. 실험결과 전주도금액속의 Al2O3 미립자가 증가 할수록, 전류밀도가 낮을수록 공석되는 Al2O3 미립자의 양은 증가 하였다. 또한 계면활성제는 적정량(20 mℓ/ℓ)를 전주도금액에 첨가하였을 때 가장 높은 공석량을 보였다. 또한 공석량이 증가함에 따라 비례적으로 기계적 특성이 증가하였다 The Ni-Al2O3 composite stencil masks were fabricated by using an electroforming process and the effects of current density, Al2O3 content and surfactant addition on the surface,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were evaluated. The additive-type micropatterns were formed by a conventional photolithography using a dry film resist (DFR) on stainless steel (SUS304) substrates, which were subjected to Ni-Al2O3 electroforming using a Ni sulphamate baths. The current density, amount of the α-Al2O3 in electrolyte, and amount of the anionic surfactant were varied 1∼10 A/dm2, 0∼150 g/ℓ, and 0∼120 mℓ/ℓ, respectively. The surface and microstructure were observed by atomic force microscopy (AFM) and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E-SEM), respectively. The fraction of co-deposited Al2O3 particles was estimated by using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 (EDS). The microhardness and wear behavior were evaluated by Vicker's hardness and ball on disk test, respectively. the amount of Al2O3 co-deposition increased with increasing Al2O3 concentration in the electrolyte, while decreasing current density and surfactant concentration Mechanical properties improved with increasing Al2O3 content. Specifically, the 18.18 wt.% co-deposited composite exhibited a higher hardness (394 Hv) and lower volume loss (0.32 mm3) than the pure Ni stencil mask (214 Hv and 2.57 mm3). These improvements were probably the result of strengthening mechanisms, such as dispersion hardening and formation of hard contact points of Al2O3 in the Ni matrix for the counterpart during slid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