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김지윤의 작품 연구 : 현악 사중주를 위한 『라멘터(Lamenter)』(2017), 피아노 삼중주를 위한 『마른 꽃』(2018), 플루트 독주를 위한 『오랜 친구』(2018), 금관 오중주와 피아노를 위한 『애너그램(ANAGRAM)』(2017)

        김지윤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743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thesis is to demonstrate Jiyoun Kim’s works following two conceptual factors in a composition: intuition and logic. Her works introduced in this paper are: Lamenter for string quartet (2017), Dried Flowers for piano trio (2018), Old Pal for solo flute (2018), and Anagram for brass quintet and piano (2017). Through looking at these compositions, one can see the composer’s use of intuition and logic in how they function as crucial elements to form works analyzing each accordingly. Kim’s works include a mélange of intuition and logic, playing a critical role for the context of composition. For instance, Lamenter and Dried Flowers, which primarily use intuition rather than logic, aim to express the personal feelings and the innermost self of the composer. Meanwhile, Anagram and Old Pal, which are designed to highlight the logical and systematic way of writing, strive to enhance the musical language. Therefore, this paper will explore how meticulously intuition and logic are utilized to fulfill the composer’s intention, and how they function throughout, according to the purpose of each work. Lamenter is a lamentation for the Korean women who were sexually assaulted under Japanese Military Force in 1910, and reflects the composer’s personal thoughts regarding this history. Both the usage of extreme upper registers in the string parts, and the outpouring of four intertwined voices also portray the turmoil of Kim, as an instinctual response to learning about this disturbing incident. Furthermore, the string players embark upon a provocative melody, juxtaposing contrasting sections of silence and tumult in A-B-C–A’ form, which symbolize the underlying affliction and distress in the subconscious minds of the victims. Dried Flowers reflects on the composer’s personal view, watching dried flowers, and describes the varying sides of the phenomenon in three movements. In the first movement, the appearance of the dried flowers itself is illustrated by placing the notes closely to each other. In the second movement, the composer approaches the introspective aspect of herself examining the object: three arpeggiated harmonies, which are incongruously dissonant (forming a smooth transition between chords via slow bitonal elision,) efficaciously underline the contradicting act of drying flowers. In the third movement, the exuberant utilization of strongly colliding seconds and sevenths, which are intended to be almost jarring, intensifies the sense of unease and emphasizes the tension which is present throughout the whole piece. Old Pal for solo flute contemplates human nature and music itself. Several techniques applied in the piece reinforce the interrelation between these abstract motives and the work. The ambiguous tone quality of the air sound implies human breaths, and the indeterminate tonguing and multiphonics encourage the players to take liberty, giving them freedom; consequently, it enables the piece to have a sense of improvisation. The opaque and rough tone colors, caused by the contemporary playing techniques, represent human nature and an alienation effect--produced by such unfamiliar tone colors--questioning perceptions of music itself, refocusing our attention sonically. These contemporary flute techniques are a means of expressing the subject matter and is the utmost goal of the music. The composer endeavors to exert the logical process, rather than intuition, as a means to create Anagram. In this work, the composer transforms the literary technique of wordplay into that of compositional process. Anagrams are a type of wordplay where one creates a different word or a phrase by rearranging the order of the letters of the initial word or phrase. This piece, however, is built around rhythms, instead of the letters, in order to play anagrams. This is achieved by regrouping and rearranging the eighth notes in groups of two and three. In conclusion, it is reasonable to interpret a work from both the points of view of intuition and logic. Notable, is that these two constituents have substantial impact on the compositional process as a profound expression in music. Likewise, a work can be approached and evaluated differently depending on which point of view the composer initially intends. Therefore, this thesis establishes how Kim develops her ideas through various boundaries and capabilities of musical composition. 본 논문은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음악학부 김지윤이 작곡한 현악 사중주를 위한 『라멘터(Lamenter)』(2017), 피아노 삼중주를 위한 『마른 꽃』(2018), 플루트 독주를 위한 『오랜 친구』(2018), 금관 오중주와 피아노를 위한 『애너그램(ANAGRAM)』(2017)에 관한 연구이다. 네 곡은 모두 2018년 11월 1일 이화여자대학교 음악대학 리사이틀홀에서 석사 학위 이수를 위한 졸업 작품으로 초연되었다. 작곡가는 각 작품의 창작배경에 따라 자신의 의도를 직관적이고 논리적인 방법으로 표현한다. 작품 구성에 있어 직관이란 내면의 소리이다. 체계화된 음악 어법이 계산적으로 쓰인 논리와 달리 내적인 필연에 의해 쓰인 것이 직관이다. 본 논문에서 다룬 현악 사중주를 위한 『라멘터(Lamenter)』에서 슬픔과 분노의 감정을 리듬의 대조를 통해 적막과 소요로 표현한 것은 작곡가의 직관이다. 반면 금관 오중주와 피아노를 위한 『애너그램(ANAGRAM)』에서 8분음표가 2개나 3개로 군을 이루며 끊임없이 변형되는 것은 이론을 바탕으로 한 계산적 논리이다. 직관과 논리는 상반되는 개념이 아니므로 하나의 작품 안에서 복합적으로 나타난다. 내면적 감정을 나타내기 위해서도 결국 외적인 것을 선택해야만 하고 그것은 논리와 맞닿기 때문이다. 피아노 삼중주를 위한 『마른 꽃』에서 사물에 대한 작곡가의 개인적 심상을 표현하기 위해 8음음계(octatonic scale)라는 논리적 체계를 사용한 것이 그러하다. 반면 플루트 독주를 위한 『오랜 친구』는 플루트의 다양한 기법을 표현하기 위해 인간의 본질이라는 추상적 개념을 가져온 점에서 논리가 직관으로 설명된다. 현악 사중주를 위한 『라멘터(Lamenter)』는 일제 강점기 시대의 위안부를 위한 애도가로 작곡가의 주관적 감정이 다소 개입되어 있다. 식민지 역사를 가진 나라의 여성으로서 마주하는 슬픔, 분노, 고통을 ‘애도하는 사람’이 되어 표현한다. 현악기의 찢어질 듯한 고음과 복잡하게 얽힌 4개의 성부는 이러한 감정을 나타내고 있다. 구성 또한 작곡가의 직관을 따른다. 도입부–A-B-C–A’부분의 구조를 적막과 소요의 대조로 나타낸 것은 무의식에 잠입 되어 있던 아픔이 불현듯 스쳐 가는 모습을 표현한 것이다. 피아노 삼중주를 위한 『마른 꽃』은 말려놓은 꽃을 본 작곡가의 개인적 감상을 담은 곡이다. 3악장에 걸쳐 현상을 단계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1악장은 꽃잎이 바싹 말라붙은 형상 자체를 표현한 것으로, 음과 음 사이 간격이 아주 좁게 형성되어 있다. 2악장은 사물의 형상을 관찰한 작곡가의 내면이 드러난다. 세 성부가 아르페지오(arpeggio)의 형태로 불협화를 이루는 것은 꽃을 말리는 행위의 모순을 암시하는 것이다. 3악장은 2도와 7도를 중심으로 불협화를 극대화하고 있으며, 각 성부가 글리산도(glissando), 트레몰로(tremolo), 트릴(trill) 등의 기법을 빠르게 주고받으면서 긴장감을 고조시키고 있다. 플루트 독주를 위한 『오랜 친구』는 플루트의 현대 주법을 사용하여 인간과 음악의 본질을 고찰한다. 이 곡은 에어사운드(air sound)와 멀티포닉스(multi-phonics)가 연주자의 임의대로 연주되어 즉흥적인 성격을 가지며, 다양한 현대 주법으로 인해 불투명하고 거친 음색이 나타난다. 이러한 특성은 인간의 본질을 나타내고, 새로운 음색의 낯선 효과로 감상자에게는 음악의 본질을 생각하게 한다. 이처럼 플루트의 현대 주법은 주제를 표현하기 위한 수단이자 그 자체로 목적이 된다. 금관 오중주와 피아노를 위한 『애너그램(ANAGRAM)』는 언어유희에서 온 문학적 기법을 작곡 기법으로 사용하였다. 애너그램(anagram)은 단어나 문장을 구성하고 있는 문자의 순서를 바꾸어 다른 단어나 문장을 만드는 놀이로 고대 그리스 로마 시대부터 기원한다. 이 곡은 애너그램을 문자 대신 리듬으로 표현한다. 8분음표를 2개 또는 3개로 묶은 후, 그 배치를 다르게 하여 끊임없이 새로운 리듬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이는 직관보다는 논리에 의해 작곡된 곡으로 금관 악기를 통해 타악기적인 리듬감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작곡가의 의도와 목적에 따라 작품의 구성 방식이 달라짐을 알 수 있다. 작품을 전적으로 직관이나 논리 중 하나의 관점으로만 보는 것은 불가하다. 다만, 본 논문은 작곡가가 각각의 작품에서 직관과 논리 중 어떤 것을 중점으로 두며 작곡했는지 알아보고, 그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 주얼리 제품 속성이 지각된 가치와소비자 태도 및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 Laboratory-grown Diamond를 중심으로=

        김지윤 경기대학교 서비스경영전문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647

        랩 그로운 다이아몬드는 천연 다이아몬드와 동일한 화학적, 결정 구조적, 광학적, 물리적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2010년 중반 이후 기술 발전으로 고품질 대량 생산이 가능해지며 상용화되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는 랩 그로운 다이아몬드 구매 잠재력을 가진 소비자를 대상으로 랩 그로운 주얼리 제품의 속성이 소비자의 지각된 가치, 태도, 그리고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이에 301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가설을 수립하고 검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랩 그로운 다이아몬드 주얼리 제품 속성 중 가격, 품질, 신뢰성, 환경성은 기능적 가치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이타적 가치나 사회적 가치에 대해 가격이나 품질은 유의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신뢰성이나 환경성은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랩 그로운 다이아몬드 주얼리 제품 속성인 가격, 품질, 신뢰성, 환경성은 소비자 태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랩 그로운 다이아몬드의 지각된 가치는 소비자 태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지각된 가치인 기능적 가치, 이타적 가치, 사회적 가치는 구매 의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소비자 태도는 구매 의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기능적 가치는 랩 그로운 다이아몬드 주얼리 제품의 가격, 품질, 신뢰성, 환경성과 소비자 태도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이타적 가치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사회적 가치의 경우 랩 그로운 다이아몬드의 가격이나 품질이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는 매개하지 않았으나, 신뢰성과 환경성이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는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랩 그로운 다이아몬드 주얼리 제품에 대한 기능적, 이타적, 사회적 가치가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소비자 태도가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주얼리 산업에서 랩 그로운 다이아몬드와 이를 이용한 주얼리 제품의 시장이 향후 확대되고 활성화될 것이라는 전망을 뒷받침하며, 소비자들에게 보다 랩 그로운 다이아몬드 주얼리 제품이 매력적으로 접근하기 위해 어떠한 요인을 고려해야 할지 시사한다. 랩 그로운 다이아몬드 주얼리 분야의 마케팅 전략과 브랜드 가치 제고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길 바라며, 향후 주얼리 산업에서 더 주목받을 랩 그로운 다이아몬드에 대한 이해와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 개발에 기여하고자 한다. Laboratory-grown diamonds — which began to be commercialized after mid-2010 owing to high-quality mass production with technological advancement—possess the same chemical, structural, optical, and physical properties as natural diamonds.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the attributes of laboratory-grown jewelry products on the perceived value,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of potential consumers. A survey was conducted on 301 potential consumers, and hypotheses were established and verified based on extant literature. Therefore,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properties of laboratory-grown diamond jewelry products, price, quality, reliability, and environment positively affected functional value. Contrarily, for altruistic value or social value, price or quality did not show a significant effect, while reliability and environmen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Second, price, quality, reliability, and environment consciousness had a positive effect on consumer attitude. Third, the perceived value of laboratory-grown diamonds positively affected consumer attitude. Fourth, perceived values — such as functional value, altruistic value, and social value - positively affected purchase intention. Fifth, consumer attitude had a positive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Sixth, functional valu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ice, quality, reliability, environment, and consumer attitude toward laboratory-grown diamond jewelry products. In contrast, the mediating effect of altruistic value ha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Social value did not have a mediating effect between price and quality and consumer attitude but did have a mediating effect between reliability and environment and consumer attitude. Finally, consumer attitude had a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functional, altruistic, and social values of laboratory-grown diamond jewelry products and purchase intention. Such findings support the prospect that the market for laboratory-grown diamonds and jewelry products using these diamonds will expand in the jewelry industry and imply the factors that must be considered to attract consumers with these products. This study provides foundational data for enhancing marketing strategies and brand value in the laboratory-grown diamond jewelry market and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and developing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helping it gain traction in the jewelry industry.

      • Discovery of disease-modifying therapeutics and blood-based diagnostics for alzheimer’s disease

        김지윤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Alzheimer’s disease (AD) is the most common neurodegenerative disease accompanied with pathological hallmarks including senile plaques, tau abnormalities, neural cell damage and cognitive impairments. Although many people are suffering from AD, there is no drug that can treat AD fundamentally. Moreover, because currently available diagnostic methods, such as analysis using cerebrospinal fluid or MRI/PET techniques are rather invasive and highly priced to perform, it is increasingly important to find the simple diagnostic tools such as blood-based diagnostics that is easily accessible and relatively inexpensive. Discovery of additional biomarkers can elevate the quality of Aβ-based diagnosis via blood for indication of the AD progression. To answer the aforementioned matters, we suggest three promising drug candidates (Chapter 2); Necrostatin-1 (Nec-1), a necroptotic inhibitor (Chapter 2- I), YSKD17, Aβ targeting peptide (Chapter 2-II), taurine, one of the most abundant amino acids in mammalian CNS (Chapter 2-III) by investigating the cytotoxicity and apoptotic signaling in vitro and by showing the behavioral recovery using AD mice models in vivo. Finally, we found the novel biomarker that can support blood-based diagnostics (Chapter 2-IV).

      • '생태환경 소리조형' 수업 연구 : 청각과 시각미술 융합을 중심으로

        김지윤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사회에 적응하는 역량을 기르기 위하여 새로운 교육이 실시되고 학생과 학부모들은 이에 필요한 능력을 기르기 위하여 또다시 학원을 찾게 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교육내용은 ‘보다 근본적인 힘과 동기’를 부여하지 않은 채 계속해서 학생들을 경쟁의 다른 일면으로 밀어 넣고 있다. 이러한 현재 교육 상황과 사회적 분위기를 바탕으로, 미술교육만의 특성을 살려 교육의 소재와 구성을 변화된 형태로 제공하는 것은 학생들의 기본적인 삶의 방향을 돕고 조화로운 인격을 형성하도록 하는데 필수적인 도움이 된다. 인격적 측면에서 교육은 담당 교사만의 특유의 스타일과 미성숙한 학생의 만남을 통하여 예측할 수 없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예술적인 대화와 언어, 비언어적인 인격교류를 통하여 교육의 전 과정 중에 형성된다. 효율적인 인격교육을 위하여서는 교사가 학생의 인격에 대한 구체적인 안목을 가지고 전반적인 수업 중에서 잠재적 교육과정을 제외한 가시적 교육과정을 구성할 수 있어야 한다. 직접적으로 제외하고 가르쳐야 할 내용을 선정하는 과정 또한 필요하다. 본 논문은 중,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생태환경 청각수업과 생태환경 시각적 수업의 융합을 통하여 생태환경 소리조형 수업을 개발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나아가 융합적인 수업을 통하여 현행 교육과정에 적합한 수업을 제공하고 학생들의 학습 효율성과 효과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1장에서는 현행 교육과정에 대하여 문제를 제기하고, 연구의 목적과, 연구의 내용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2장에서는 미술문화를 생태환경미술과 청각미술, 생태환경 소리조형으로 나누어서 이론적 배경을 설명하였다. 또한 교과과정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3장에서는 포스트모더니즘 교육이론에 대하여 설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일련의 수업을 구성하였다. 선행연구를 토대로 청각미술, 시각미술을 융합하여 생태환경 소리조형이라는 새로운 단원을 만들고 각각 2회의 수업을 계획하였다. 4장에서는 전반적인 논문의 취지에 대하여 설명하고, 실제 수업을 계획하기 위한 사전설문조사자료를 제시하였다.

      • 간호사의 빅데이터에 대한 인식이 환자 중심 간호에 미치는 영향

        김지윤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빅데이터 인식과 환자 중심 간호 인식을 파악하고, 환자 중심 간호 인식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2019년 1월 7일부터 1월 20일까지 서울의 종합병원인 E병원에 근무하면서 6개월 이상 전자의무기록과 하나 이상의 사회 연결망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를 이용하는 간호사 145명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연구 도구로는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사용하였는데, 빅데이터 인식은 이영주와 양현철(2017)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환자 중심 간호 인식은 Suhonen 등(2008)에 의해 임상 간호사를 대상으로 개발된 간호사용 Individualizes Care Scale(ICS-Nurse)을 이재은(2015)이 번안한 한국형 ICS-Nurse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을 이용하여 각 변수의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및 최솟값과 최댓값을 기술통계로 분석하였으며,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빅데이터 인식, 환자 중심 간호 인식 정도의 차이를 independent t-test와 one-way ANOVA로 분석하였고, 유의한 것으로 나타난 경우 사후검정을 위하여 Scheffé test를 시행하였다. 대상자의 빅데이터 인식과 환자 중심 간호 인식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Pearson’s correlation을 시행하였고, 환자 중심 간호 인식 정도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Multiple linear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SNS 관련 특성 연구 대상자 145명의 평균 연령은 28.89±5.39세였고, 여성이 137명(94.5%)이었다. 최종학력은 학사가 117명(80.7%)로 가장 많았다. 대상자의 근무부서는 일반 병동이 84명(57.9%)으로 가장 많았다. 또한 대상자의 총 임상 경력은 평균 5.78±5.33년이었고, 현재 부서에서의 근무 경력은 평균 4.02±3.98년이었다. 대상자의 SNS 사용 빈도는 평균 5.33±2.42회였고, 사용하는 SNS의 종류로는 인스타그램이 113명(77.9%)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2. 빅데이터 인식과 환자 중심 간호 인식 간의 상관관계 환자 중심 간호 인식과 빅데이터 인식의 사용용이성(r=.171, p=.040), 이용의도(r=.272, p<.001)가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3. 환자 중심 간호 인식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환자 중심 간호 인식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빅데이터의 이용의도(β=.259, p=.028)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종합해볼 때, 빅데이터 이용의도가 환자 중심 간호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환자 중심 간호 인식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조직적 및 개인적 노력을 통해 빅데이터의 이용의도를 제고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국가적으로 독립된 기관을 통해 빅데이터를 안정되고 성숙한 환경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제도 및 사회적 기반을 마련하여야 하고, 간호사의 개인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빅데이터에 대한 단계적인 교육과 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역량 강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Purpose: This study uses descriptive research to identify perceptions of big data and patient-centered care. Further,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factors influencing perceptions of patient-centered care for nurses using electronic medical records and one or more social-network services, working at a general hospital in Korea. Methods: Measurements accrued using the Korean Measure of Big Data Perceptions and Korean Measure of Patient-Centered Care. Results: The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for the intention to use big data(β = .259, p = .028) influencing perceptions of patient-centered care.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improve nurses’ perceptions of patient-centered care at a general hospital. Organizations and individual efforts should increase the intention to use big data. At an organizational level, social systems and foundations for systematic management of big data through national independent institutions are needed to provide a stable and mature environment. In addition, phased education of big data and an empowerment program to use big data are required that consider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nurses.

      • 에곤 쉴레(Egon Schiele) 누드화에 내재된 내면세계 분석 연구

        김지윤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inner world implied in the artist’s nude paintings through themes and forms, analyzing and investigating Egon Schiele’s nude paintings and shed new light on the meaning and value of his nude paintings. Egon Schiele is a painter active in the early-20th century, who created his style in terms of theme and form, resisting academic art at the time. Thus, this study divided objects according to the inner world implied based on the nude paintings of his works to analyze their thematic intentions and formativeness. For this purpose, Chapter 2 understood Egon Schiele’s growth environment and the background of Vienna in the 19th century and divided the backgrounds of the formation of works more concretely and the characteristics of his view of art. The concrete factors of formation include: First, the impacts of existentialism and Vienna Secession, and second, the impact of Japonism. Along with this, his view of arts is expressed as nude paintings through accepting Freud’s psychoanalysis and the idealized images that claim to support grotesque aesthetics and eroticism, and this study classified them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s. Chapter 3 divided Egon Schiele’s nude paintings by research subjects, themes, and form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inner world appearing in his nude paintings. Schiele expressed death and self with himself as a model as well as a woman or lover for nude paintings with the distortion of the human body, unique compositions, and colors. Chapter 4 drew the following three aesthetic significances from Egon Schiele’s nude paintings based on Chapter 3. First, he refused the idea of beauty and sought the aesthetic possibility of ugliness. Second, he expressed the human instinct and inner world through shapes. Schiele refused the aesthetic idea of beauty through his unstable inner world. Instead, he expressed nude paintings showing unique shapes, expressing his inner emotions, boldly and frankly. Lastly, this chapter discussed the impact of Schiele’s nude paintings on modern art after existentialism and expressionism. Egon Schiele expressed human’s most sincere appearance through ‘sex.’ He freely made expressions without hiding his instinct, revealing what is prohibited through a woman or lover as well as himself. This is not just eroticism but makes us think about the root of a human being, which is much more complicated. Thus, Egon Schiele’s nude paintings can be a new method of talking more, finding various meanings. In addition, Egon Schiele’s nude paintings are the foundation for the liberation of sexual expressions in contemporary art and the criticism and challenge to the traditional way of thinking, which have a value by which the contemporary artists and the generation of the present age can make expressions through inner studies. Egon Schiele is an artist who dug into the aspect of instinct for the explora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inner world, who established his original area of painting. 본 논문은 에곤 쉴레 누드화를 분석 연구함으로써, 작가의 누드화에 내재한 내면세계를 주제와 조형을 통해 탐색하고 그의 누드화가 가진 의미와 가치를 새롭게 조명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에곤 쉴레는 20세기 초에 활동한 화가로 당시에 아카데믹한 미술에 저항하며 주제와 형식에 있어 독자적인 스타일을 만들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그의 작품 중 누드화를 바탕으로 내재 된 내면세계를 대상을 구분하여 주제 의도와 조형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에곤 쉴레의 성장 환경과 19세기 빈의 배경에 대해 이해하고 더욱 구체적인 작품형성 배경 및 그의 예술관의 특징을 구분하였다. 구체적인 형성 요인으로는 첫째, 실존주의와 빈 분리파의 영향, 둘째, 자포니즘의 영향이 있다. 더불어 그의 예술관은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 수용, 그로테스크적 미학과 에로티시즘을 표방한 이상화된 이미지를 통해 누드화로 발현되며 이를 구분하여 작품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에곤 쉴레의 누드화를 연구 대상, 주제면, 조형 면으로 구분하여 그의 누드화에 나타난 내면세계를 연구, 분석하였다. 쉴레는 누드화의 대상을 여성, 연인뿐만 아니라 본인을 모델로 죽음과 자아를 인체 왜곡과 독특한 구도, 색채로 표현했다. 4장에서는 3장을 토대로 에곤 쉴레의 누드화에서 다음과 같은 세 가지의 미학적 의의를 도출했다. 첫째, 미 관념의 거부 및 추의 미 가능성을 모색했다. 둘째, 형을 통한 인간의 본능과 내면세계를 표현했다. 쉴레는 자신의 불안정한 내면세계를 아름다움이라는 미적인 관념을 거부했다. 대신 그는 내적 감정을 과감하고 적나라하게 표현하며 독특한 형태를 나타내는 누드화를 표현했다. 마지막은 쉴레의 누드화가 실존주의와 표현주의 후의 현대미술에 끼친 영향이다. 에곤 쉴레는 ‘성’을 통해서 인간의 가장 진실한 모습을 표현했다. 그는 본인뿐만 아니라 여성, 연인을 통해 금기시하는 것을 드러내서 본능을 감추지 않고 자유롭게 표현했다. 이는 단지 에로티시즘이 아닌 훨씬 복잡한 인간 근본에 대해 생각하게 한다. 따라서 에곤 쉴레의 누드화를 통해 다양한 의미를 찾아 더 많은 이야기를 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될 수 있다. 더불어 에곤 쉴레 누드화는 현대미술에 성표현의 해방과 전통적 사고방식에 비판하고 도전할 수 있는 밑거름이 되어서 현대미술 및 현시대의 세대에게도 내적인 연구를 통해 표현할 수 있다는 가치를 지닌다. 에곤 쉴레는 내면세계의 탐구와 이해를 본능적 측면으로 파고든 화가로서 자신만의 독창적인 회화영역을 구축했다.

      • 진지한 여가활동으로서의 성인발레 참여와 소비문화의 특성

        김지윤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장 보드리야르(Jean Baudrillard, 2015)의 소비문화적 관점에서 발레 매니아층의 여가 생산 방식과 소비문화로서의 특성을 ‘진지한 여가’활동으로서 탐색해보는 것에 있었다. 이를 위해 총 7명의 연구 참여자를 유목적 표집방법을 통해 선정하였다. 자료수집은 2022년 12월부터 2023년 5월까지 약 6개월간 진행하였고 참여자 7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 성찰일지, 비참여관찰일지, 포토 보이스 방법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연구 참여자의 문화적 특성과 경향을 파악하기 위해 문화기술지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서 다음과 같이 다섯 가지의 상위 범주와 그에 따른 열다섯 개의 하위 범주로 연구참여자들의 성인발레 참여경험이 분류 및 의미화되었다. 첫째, 진지한 여가활동의 추구에 따른 하위범주는 1) 세대에 따라 달라진 여가문화, 2) 동적명상, 3) 타인과 여가취향의 차이로 제시되었다. 둘째, 소비대상으로서의 신체에 따른 하위범주는 1) 물신숭배적 신체, 2) 상표화된 신체, 3) 소외의 대상으로 제시되었다. 셋째, 기능적 에로티시즘에 따른 하위범주는 1) 발레 기술에 대한 미적욕구, 2) 신체표현을 통한 해방감, 3) 자기억압에서 오는 나르시즘으로 제시되었다. 넷째, 대중문화로서의 성인발레에 따른 하위범주는 1) 작품의 이해, 2) 공연관람을 통한 예술적 감각 향상으로 제시되었다. 다섯째, 신체성의 재발견에 따른 하위범주는 1) 기술적 이해, 2) 신체균형과 유연성, 3) 신체컨디션의 차별성, 4) 시행착오를 통한 신체성 향상으로 제시되었다. 결론적으로 진지한 여가활동으로서 성인발레 참여자들이 경험하고 이해한 것을 바탕으로 형성된 범주의 의미들은 그들의 여가활동 참여 동기부여와 발전을 위한 진지한 원동력이 될 수 있었다. 향후 진지한 여가활동으로서 성인발레가 수반하고 있는 신체성과 함께 소비문화적 파급효과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현상과 이에 대한 실증적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oduct trend of leisure activity and its characteristics of the serious ballet performance of adult ballet mania group from the view point of Jean Baudrillard’s concept of consumption culture. In doing this, 7 research participants were selected by the purposive sampling method based on their interest and commitment. Data collection was performed by the in-depth interview, reflective journal non-participation observation, and photo voice method.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y the ethnography, for understanding participant’s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trend, as one of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e following things, five main categories and 15 sub-categories, were articulated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of all, on the main category of pursuing serious leisure activity, 1) generation differences, 2) moving meditation, 3) differences of leisure preference with others were proposed as sub-categories. Second, on the main category of body itself as the object of consumption, 1) body fetishism, 2) to brand body, 3) object of isolation were proposed as sub-categories. Third, on the main category of the functional eroticism, 1) the aesthetic demands of ballet skills, 2) sense of freedom through representing body, 3) narcism by self-repression were proposed as sub-categories. Fourth, on the main category of adult ballet as the popular culture, 1) understanding of ballet works, 2) advancement of the artistic sense through watching ballet works were proposed as sub-categories. Finally, on th main category of rediscover physicality, 10 understanding of ballet skills, 2) flexibility and balance of body, 3) difference of body condition, 4) improving physicality through trial and error were proposed as sub-categories. In conclusion, it would be presumed that the above categorical meanings and characteristics experiencing and understanding by research participants would be the driving forces of their serious leisure activities. This will be the challengeable task for investigating why the growing people participate in the ballet performance seriously as the serious leisure activity.

      • 아동학대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연구

        김지윤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hild care teacher's awareness on child abuse which is defined by physical, emotional and sexual abuse and neglect and reporting it. To meet this purpose 284 child care teachers in Seoul were surveyed with the questionnaires on the child abuse syndrome(Jensen & Chevalier, 1990) and the child abuse report(Karir, 1999). The Statistical Analysis(SAS)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from the research in terms of means, standard deviations, percentage, ANOVA, Duncan, t-test and χ2tes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child care teachers' awareness on all child abuse patterns turned out to be low. Especially, the child care teachers' awareness was lower on behavioral change than on physical change due to child abuse. There was difference in the result of the teachers' awareness on both physical and emotional abuse depending on the teacher's major and position. The teachers at high positions such as directors or assistant directors showed higher awareness than head teachers and also the teachers who majored in the study of children showed higher awareness than the ones who major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e case of sexual abuse, directors, assistant directors and teachers showed higher awareness than head teachers. Also when there were 20 or less children aged 3 and up in a class, teachers showed the higher awareness. The results showed that 56 out of 284 teachers had an experience to become aware of an abused child for past one year. According to the result of teachers' awareness of reporting, 97.1% of the teachers said that they see a need of reporting center and reporting system. Finally 50% of the teachers were previously educated properly to recognize a child abuse, but still 96.8% teachers agreed that they need to be educated to increase their awareness of a child abuse.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didn't affect this result and 94.8% of the teachers said that they were willing to get educated. 본 연구는 아동을 도울 수 있는 위치에 있는 어린이집 보육교사 의 아동학대와 신고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보육교사의 아동학대에 대한 인식, 학대받는 아 동을 발견한 경험, 아동학대신고에 대한 인식, 아동학대에 대한 교 육경험과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서울특별시에 위치한 어린이집 보육교사 284명이었다. 측정도구는 아동학대증상(Jensen & Chvalier, 1990)과 아동학대신고 (Karir, 1999)에 대한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에 는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ANOVA와 Duncan사후검증, t 검증, χ2검증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보육교사는 모든 아동학대유형에서 인식을 잘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보육교사는 아동학대의 결과 신체적으로 나 타나는 증상에 비해 행동특성으로 나타나는 증상에서 인식이 더 낮 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신체적 학대에서는 아동이 활동 에서 호기심과 탐구심이 없을 때(8.8%), 방임에서는 아동이 또래간 에 소외되어 있을 때(33.1%), 정서적 학대에서는 신체발달이 다른 아동들에 비해 늦을 때(17.0%), 성적 학대에서는 아동이 때때로 신 체활동에 참여하지 않으려 하는 행동(6.3%)에서 보육교사들의 인식 이 낮게 나타났다. 배경변인에 따라 하위영역별 차이를 보면, 신체 적 학대에 대한 인식에서는 보육교사의 직위와 전공에서 차이가 나 타났다. 즉 원감, 원장이 주임교사에 비해 인식이 높고, 아동학을 전 공한 보육교사가 유아교육을 전공한 보육교사보다 인식이 높았다. 방임의 경우는 배경변인에서 차이가 없었다. 정서적 학대에 대한 인 식은 원감, 원장이 주임교사보다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성적 학대 의 경우, 주임교사보다 교사, 원감, 원장이 더 인식이 높고, 만3세이 상반에서 아동의 수가 20명이하일 때 보육교사가 인식을 더 잘하였 다. 다음으로, 지난 1년간 학대받는 아동을 발견한 경험은 전체 284명 중 56명으로, 보육교사의 연령과 직위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즉, 보 육교사의 연령이 30-39세에 있는 교사와 원감, 원장의 경우에 학대 받는 아동을 발견한 경험이 더 많았다. 보육교사의 신고에 대한 인식에서는 대부분의 보육교사가 아동학 대신고센터 및 신고제도가 필요하다(97.1%)고 하였다. 또, 배경변인 에 따른 아동학대신고의무에 대한 차이를 살펴보았을 때는 보육교 사의 연령이 40세이상인 경우, 보육경력이 10년이상인 경우, 보육교 사가 기혼인 경우가 아동학대를 신고하지 않겠다는 비율이 높았다. 다음으로 배경변인에 따른 신고의무제에 대한 인식에서는 주임교사 나 원감, 원장보다 교사인 경우, 보육교사가 미혼인 경우, 보육교사 의 학력에서 2년제 대학을 졸업한 경우가 신고의무제에 대해 가장 인식을 잘 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아동학대에 대한 교육을 받은 경험에 대한 인식에서 는 보육교사 50%정도가 이제까지 아동학대에 대한 교육을 적절히 받았다고 하였으며, 직위면에서는 원감, 원장의 경우, 만3세반에서 아동수가 20명이하의 아동을 맡고 있는 교사의 경우, 보육교사가 대 학원을 졸업한 경우에 가장 아동학대에 대한 교육이 적절히 되었다 고 인식하고 있었다. 대부분의 보육교사가 아동학대를 인식하는데 교육이 필요하다(96.8%)고 하였으며, 이것은 배경변인에서 차이가 없었다. 또, 대부분의 교사가 앞으로 교육의 기회가 있다면 교육에 참석하겠다(94.8%)고 하였으며, 이것도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는 없 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