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김지원의 졸업 작품 「COSMOS」의 해설

        김지원 동덕여자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63

        「COSMOS」라는 주제로 칼 세이건이 우주에 대한 연구를 통해 우리 인류에게 전하고자 하는 바를 이 논문을 통하여 다시금 고찰하며 각 주제를 기반으로 작곡하여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하였다.

      • 시추코어를 이용한 암반분류법간의 상관관계 연구

        김지원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암반의 상태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현장에서 암반에 대한 세밀한 관찰과 현장시험을 실시하여 여러 가지 요소를 복합적으로 판단해야 한다. 하지만 설계 단계에서 굴착구간의 암반을 세밀하게 관찰할 수 없는 조건에서는 부득이하게 시추코어를 이용하여 암반을 평가할 수밖에 없는 어려움이 존재한다. 또한 암반분류법들마다 암반평가의 기준이 상이하고 정량화가 되어 있지 않아 두 방법을 같이 적용하거나, 상호간의 상관관계를 유추하여 서로 변환하여 이용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화강암 시추코어를 이용하여 암반평가가 이루어진 자료들을 대상으로 암반분류법간의 상관관계에 대해 연구하였다. RQD, RMR, Q-system, GSI 각각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하여 암반분류법간의 상관관계식을 도출하고, 선행연구결과와 비교하여 상호관계를 분석하였다. 선행연구자들의 상관관계들을 비교하였을 때, 제안자에 따른 암반분류방법, 암종, 현장관찰 또는 시추코어자료 적용여부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며, 이들 항목이 고려된 체계적인 분류에 의한 비교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시추코어만으로 정량화 된 GSI값을 결정할 수 있으며, 상관관계 및 강도정수와 관계된 추가적인 연구에 의해 지속적으로 자료의 축적이 이루어 질 때, 그 신뢰도와 적용성은 커질 것으로 판단된다. In order to assess the condition of the rock mass, we must determine by a combination of several factor as the detailed observation and field test data on rock mass. However, the conditions of rock excavation can not be observed carefully at the design stage. Therefore we have no choice but to use borehole core. Also, due to different evaluation criteria and unquantitative guideline, sometimes we use combined two way, or infer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other. This study provides the correlation with rock mass classification methods using the borehole core of granite and derived correlation equations through analyzed correlation with RQD, RMR, Q-system, GSI and analyzed the correlation by compared to the previous studies.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correlation of the previous studies showed some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rock mass class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oponents, rock type, the borehole core data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o apply. Future more comparative studies are needed according to these items based on a systematic classification. The evaluation method of quantified GSI system used in this study can be determined GSI value by borehole core data only. It is necessary to accumulate data about correlation and strength parameters of rock mass in order to increase its reliability and applicability.

      • Dietary factors related to hypertension in middle-aged and older Korean adults

        김지원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Association between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and risk of hypertension in middle-aged and older Korean adults Abstract Background: High fruit and vegetable (F/V) intake may be beneficial for hypertension prevention. However, a prospective association has not been investigated in a Korean population, and differences exist between typical diets in Korea and those of Western populations. Objective: The aim of this prospectiv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F/V intake and risk of incident hypertension in middle-aged and older Korean adults using the data from the Korean Genome and Epidemiology Study (KoGES). Design: The KoGES is a large community-based cohort study of Korean adults aged 40 to 69 years, which began in May 2001. Questionnaires on demographic information and lifestyle factors were completed at baseline. Anthropometrics and biochemical measurements were conducted biennially.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was assessed with a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Hypertension was defined as a systolic blood pressure ≥ 140 mmHg or diastolic blood pressure ≥ 90 mmHg. Participants and setting: A total of 4,257 participants (2,085 men and 2,172 women) without hypertension at baseline were evaluated. Main outcome measures: The primary outcome was incident hypertension. Statistical analysis performed: Multivariate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s were used to examine hazard ratios (HRs) and 95% CIs for incident hypertension according to F/V consumption. Results: During the 8-year follow-up, 1,158 participants (606 men and 552 women) developed hypertension. Among men, frequent fruit consumers (≥ 4 servings/day) had a 56% lower risk of incident hypertension than did infrequent consumers (< 1 serving/day) (HR=0.44, 95% CI=0.32 to 0.60, P for trend <0.0001). Among women, frequent fruit consumers had a 67% lower risk of incident hypertension than did infrequent consumers (HR=0.33, 95% CI=0.24 to 0.45, P for trend <0.0001), after adjustment for potential confounders. However, there was no association between vegetable consumption and risk of incident hypertension in either men or women. Conclusions: A higher intake of fruit was prospectively associated with a lower risk of incident hypertension in middle-aged and older Korean adults, regardless of sex. Gender differences in the association between dietary pattern and the incidence of hypertension in middle-aged and older adults Abstract We examined gender differences in the association between dietary patterns and the risk of hypertension, using the Korean Genome and Epidemiology Study data. A total of 5,090 participants (2,457 men and 2,633 women) aged 40–69 years without hypertension at baseline were selected. Dietary patterns were obtained using factor analysis based on 26 food groups, evaluated by a validated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at baseline. Hypertension was defined as systolic blood pressure ≥140 mmHg or diastolic blood pressure ≥90 mmHg, or the use of antihypertensive medication using the biennial measurements. Multivariate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s were used to examine the associations between dietary patterns and hypertension. Four dietary patterns were extracted: Coffee, fat, and sweets; prudent; whole grains and legumes; and traditional (men)/Western (women). Women in the highest tertile of whole grains and legumes pattern scores showed a lower risk of incident hypertension compared with those in the lowest tertile (hazard ratio = 0.77, 95% confidence interval = 0.59–1.00, P-trend = 0.0480). Other dietary patterns were not associated with hypertension in either men or women. A diet rich in whole grains and legumes is inversely associated with the risk of hypertension in Korean women, suggesting a gender difference in the association between diet and hypertension. 고혈압은 전세계적으로 주요 공중 보건 문제 중 하나로 뇌졸중, 심근 경색, 울혈성 심부전, 신장질환, 말초혈관질환과 같은 심뇌혈관질환의 주요 위험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고혈압의 발병률이 증가 하고 있으며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의하면 30세 이상 성인의 고혈압 유병율 이 2007년 남자 26.5%, 여자 23.8% 에서 2015년 남자 35.1%, 여자 29.1%로 증가하였으며, 단일 질환으로는 가장 높은 유병율을 보였다. 고 혈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가족력, 비만, 흡연, 음주, 운동부족, 식 습관 등 다양한 요인들이 있다. 이러한 많은 요인들 중 식품군이나 식이 패턴을 포함하는 식이 요인들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이 여러 논문을 통해 밝혀지면서 서구를 중심으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 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 성인에서 식이 요인과 식사 패턴을 포함하여 고혈 압과의 관련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전향성 추적 연구로, 질병관리본부에서 제공하는 한국인 유 전체 역학 조사 사업(KoGES)의 안성•안산 코호트 자료를 기본으로 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는 건강조사, 검진조사, 영양조사 등에 모두 참여한 중 년 성인(40-69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식사 섭취 평가는 KoGES 자료의 103개 식품항목으로 구성된 식품섭취빈도조사를 활용하였다. 식품섭취빈 도조사에는 총 9개 항목의 1년간 평균 섭취 빈도 (거의 안 먹음, 월 1회, 월 2-3회, 주 1-2회, 주 3-4회, 주 5-6회, 일 1회, 일 2회, 일 3회)로 구 성되어 있으며, 평균 1회 섭취 분량 (더 적음, 기준량, 더 많음)으로 구성 되어 있다. 과일, 채소 섭취 및 다른 식품군의 섭취는 빈도와 양을 곱한 값을 사용하였으며, 분석을 위해 과일과 채소 섭취의 카테고리는 “거의 안 먹음”, “1 - <2회/일”, “2 -<4회/일”, “≥4회/일” 로 나누었다. 두 번째 연구 에서는 패턴 분석을 위하여 총 103개의 식품항목들을 26개의 식품군으로 분류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요인 분석을 실시하여 고유값(eigenvalue)이 1.3 이상이 되는 요인을 추출하였고, varimax rotation 방법을 이용하여 요 인 적재량(factor loading)이 0.3 이상인 요인들을 추출하여 총 4개의 패턴 으로 추출하였다. 한국 성인에서 식이 요인 및 식이 패턴과 고혈압 위험의 관련성을 제시하기 위하여 시간-종속 Cox 비례 위험 회귀 모델(time- dependent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s)을 통해 위험률(hazard ratios, HRs)과 95% 신뢰구간을 산출하였고, 성별을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모든 통계학적 분석은 SAS version 9.4 (SAS Institute, Cary, NC)를 이용하였다. 첫 번째 연구에서, 조사에 참여한 대상자 중 과일의 섭취가 많은 그룹 이 거의 먹지 않는 그룹에 비하여 고혈압의 위험이 낮아지는 것으로 밝혀 졌다. 그러나 채소 섭취와 고혈압의 관련성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남성 에서는 과일을 하루에 4번 이상 섭취한 그룹이 거의 먹지 않은 그룹에 비 하여 고혈압의 발병률이 56% (HR = 0.44, 95% CI = 0.32-0.60, P for trend <0.0001)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여성에서는 과일을 하루에 4번 이상 섭취한 그룹이 거의 먹지 않은 그룹에 비하여 고혈압의 발병률이 67% (HR = 0.33, 95% CI = 0.24-0.45, P for trend <0.0001)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남녀 모두에서 채소 섭취와 고혈압의 관련성은 밝혀지지 않았다. 또한, 여성에서 과일 채소를 모두 하루에 4번 이상 섭취한 그룹이 거의 먹지 않은 그룹에 비하여 고혈압의 발병률이 38% (HR = 0.62, 95% CI = 0.41-0.91, P for trend 0.0916) 낮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남 성에서는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두 번째 연구에서, 식사 패턴 추출을 위하여 26개의 식품 그룹으로 분류하였으며, 요인 분석을 통하여 한국 성인이 섭취하고 있는 대표적인 네 가지의 식사 패턴을 확인하였다. 추출된 네 가지 식사 패턴은 다음과 같다. 1)커피, 지방, 설탕 패턴 2)건강 패턴 3)잡곡, 콩 패턴 4)전통 식사 패턴(남성) / 서구 식사 패턴(여성). 본 연구에서는, 여성에게서만 잡곡류와 콩류를 포함하는 식사 패턴에서 고혈압과의 밀접한 관련성을 보였다. 잡곡 류•콩류 식사 패턴의 섭취가 높을수록 여성에서는 고혈압 발병률이 25% (HR = 0.75, 95% CI = 0.58-0.97, P for trend = 0.029) 낮아지는 경향을 보 였다. 그러나 남녀 모두에서 잡곡, 콩류 패턴 외 세 가지의 식사 패턴과 고혈압의 관련성은 밝혀지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한국 중년 성인에서 식이 요인과 고혈압과의 관련 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과일, 잡곡, 콩류 섭취와 고혈압의 관련성이 유의적인 역의 관련성을 가졌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과일 섭취와 잡 곡, 콩류의 섭취가 강조되며, 고혈압의 효과적인 예방 및 관리를 위하여 식사 전략 및 가이드라인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추후 연구에서 다양한 무작위 대조군 중재 연구 및 메타 분석의 기반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주요 단어: 고혈압, 채소, 과일, 식이 패턴, 한국 중년 성인

      • 가상현실 기반 체간 중심 안정화 운동이 뇌졸중환자의 상지기능, 자세조절 및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김지원 삼육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가상현실 기반 체간 중심 안정화 운동이 뇌졸중환자의 상지기능, 자세조절 및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성인 뇌졸중 환자 24명이며 대상자를 두 그룹으로 나누어 가상현실 기반 체간 중심 안정화 운동 실험군 12명, 대조군 12명으로 진행하였다. 가상현실 기반 체간 중심 안정화 실험군은 30분씩 가상현실 환경에서 체간 중심 안정화 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대조군은 동일한 체간 중심 안정화 운동을 실시하였다. 훈련은 주 3회 총 4주간 진행되었다. 훈련 전과 후에 상지 기능의 평가를 위해 MFT, BBT 검사를 실시하였고, 자세 조절 평가를 위해 BBS, PASS, K-TIS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우울감 평가를 위해 K-GDS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상지기능에서 MFT와 BBT 항목은 가상현실 기반 체간 중심 안정화 운동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향상이 있었으며(p<0.05), 자세조절에서는 BBS, PASS 항목에서 두 그룹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그러나 K-TIS, K-GDS 검사에서는 두 그룹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본 연구를 통해 가상현실 기반 체간 중심 안정화 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자세조절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가상현실 기반 체간 중심 안정화운동이 뇌졸중 환자에게 효과적인 운동 방법이며 적합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이고, 임상에서 전통적 물리치료에 더해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지르코니아 코어의 글라스 용융침투 후 적합도 평가

        김지원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의 목적은 글라스 양과 글라스 처리면에 따른 글라스 용융침투가 지르코니아 코어의 적합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다. 지르코니아 코어의 적합도 평가를 위해 상악 우측 중절치 커스텀 어버트먼트 (Customized abutment; Dentium, Seoul, Korea)를 지대치로 사용하였다. 커스텀 어버트먼트는 6°의 경사와 1㎜ deep chamfer margin이 되도록 밀링(Cincom, Citizen, Tokyo, Japan)하고, 복제용 실리콘 인상재 (Elite Double 22; Zhermack SpA, Badio Polesine, Italy)를 사용하여 음형 몰드로 제작하였다. 제작된 음형 몰드에 치과용 초경석고 (Implant/scanning die stone, Talladium, Valencia, USA)를 주입하여 총 56개의 석고모형을 제작하고, CAD/CAM 시스템(3Shape's CAD Design software, 3Shape, Copenhagen K, Denmark)을 통하여 지르코니아 코어를 밀링(Zenotec select hybrid, Wieland Dental, Pforzheim, Germany)하였다. 대조군(Control)은 글라스를 용융침투 처리하지 않은 지르코니아 코어이며 실험군은 글라스와 증류수를 1:300, 1:100의 비율로 제조한 현탁액에 침지한 지르코니아 코어이다. 글라스 양에 따른 각 군은 글라스 용융침투 처리면에 따라 외면 처리, 내면 처리, 양면 처리 군으로 나누었다. 글라스 용융침투 후 최종 소결한 지르코니아 코어는 제작된 석고 모형에 합착 후 절단하여 협측과 설측의 변연 오차(absolute marginal discrepancy)와 내면 간격(internal gap)을 각각 측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협측 변연 오차는 1:300 비율의 글라스 용융침투 군이 1:100 비율의 글라스 용융침투 군보다 유의하게 낮은 값을 보였다 (p < 0.05). 협측 변연 오차는 글라스 처리면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p > 0.05). 2. 설측 변연 오차는 글라스 용융침투 양과 글라스 처리면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p > 0.05). 3. 협측 내면 간격은 글라스 용융침투 양과 글라스 처리면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p > 0.05). 4. 설측 내면 간격은 글라스를 외면에 처리한 경우와 내면에 처리한 경우, 1:300 비율의 글라스 용융침투 군이 1:100 비율의 글라스 용융침투 군보다 유의하게 낮은 값을 보였다 (p < 0.05). 설측 내면 간격은 글라스 처리면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p > 0.05). 이상의 실험 결과, 본 연구의 한계 내에서 글라스를 용융침투한 지르코니아 코어는 평균적으로 120㎛ 이내의 적합도를 보였으며, 이는 임상적 허용 범위를 만족한다.

      • 부모의 자율성 지지와 청소년의 학업적 실패내성간의 관계 :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김지원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utonomy support, adolescents' academic failure tolerance and ego resilience, and whether ego resilience mediates the effect of parental autonomy support on adolescents' academic failure tolerance.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questionnaire method from 342 second and third year students (230 male students, 112 female students) attending one middle school in Seoul. For parental autonomy support, the Perceived Parental Autonomy Support Scale [P-PASS] developed and validated by Mageau, Ranger, Joussemet, Koestner, Moreau, and Forest (2015) was used. The original scale consists of parental autonomy support and psychological control, but in this study, only parental autonomy support was used. Corrected, supplemented, and measured. Ego-resilience was measured using the Ego-Resilience Scale developed by Block and Kremen (1996), which was adapted by Yoo Seong-kyung (2002). Lastly, academic failure tolerance was measured using the 'Korean Academic Failure Tolerance Scale' standardized by Ayoung Kim (1994) into the Korean version of the scale developed by Clifford and Kim (1988). As a preliminary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correlations between variabl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was established for this analysis to examine the paths between variables. To test the significance of the indirect effect, the bootstrap method was us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relation to the direct effect of mother's and father's support for autonomy on academic failure tolerance, only the influence of mother's support for autonomy was significant. That is, the more middle school children perceived their mother's support for autonomy, the higher their academic failure tolerance was. Second, the autonomy support of mothers and father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elf-resilie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Third, in relation to the effect of ego resilience on academic failure tolerance, the higher the ego resilience, the higher the academic failure tolera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indicates a correlation. Lastl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indirect effect of support for parental autonomy on academic failure tolerance through ego resilience, it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both fathers and mothers. This study confirmed the pathways in which the support of mother and father autonomy, which is an environmental factor, affects academic failure tolerance, which is a form of positive learning attitude, through the self-resilience of adolescents, which is an individual internal factor. In particula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s tha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possibility of forming a resilient and positive learning attitude by exploring the causes of academic failure tolerance, which is a major factor influencing the learning of adolescents. In addition, it has been demonstrated that support for autonomy of not only mothers but also fathers is important to increase academic failure tolerance. It provided the implication that learning can be done with a positive attitude without experiencing setback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educational programs for parents and learning programs for adolescents to improve adolescents' academic failure tolerance.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자율성 지지, 청소년의 학업적 실패내성 및 자아탄력성 간의 관계와, 부모의 자율성 지지가 청소년의 학업적 실패내성에 미치는 영향을 자아탄력성이 매개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에 소재한 1곳의 중학교에 재학중인 2, 3학년생 342명(남학생 230명, 여학생 112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부모의 자율성 지지는 Mageau, Ranger, Joussemet, Koestner, Moreau와 Forest(2015)가 개발하고 타당화한 부모의 자율성 지지 척도(Perceived Parental Autonomy Support Scale [P-PASS])를 사용하였다. 원 척도는 부모의 자율성 지지와 심리적 통제로 구성되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자율성 지지만을 사용하였으며, 자율성 지지에 대한 12문항을 서혜윤(2017)이 번안한 것을 토대로 중학교 2, 3학년 학생들에게 적절하게 수정, 보완하여 측정하였다. 자아탄력성은 Block과 Kremen(1996)이 개발한 자아탄력성 척도(Ego-Resilience Scale)를 유성경(2002)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업적 실패내성은 Clifford와 Kim(1988)이 개발한 척도를 김아영(1994)이 한국판으로 표준화한‘한국형 학업적 실패내성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예비분석으로 독립표본 t 검정과 변인들 간 상관관계를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본 분석으로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을 설정하여 변인들 간의 경로를 살펴보았다. 간접효과의 유의성 검증은 부트스트랩(bootstrap)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와 아버지의 자율성 지지가 학업적 실패내성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과 관련하여, 어머니의 자율성 지지의 영향만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중학생 자녀가 어머니의 자율성 지지를 더 지각할수록 더 높은 수준의 학업적 실패내성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어머니와 아버지의 자율성 지지는 중학생의 자아탄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부모의 자율성을 더 높게 지각할수록 중학생은 높은 수준의 자아탄력성을 보였다. 셋째, 자아탄력성이 학업적 실패내성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하여,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중학생은 더 높은 수준의 학업적 실패내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중학생 청소년의 부모의 자율성 지지가 자아탄력성을 통해 학업적 실패내성에 미치는 간접적 영향을 살펴본 결과, 아버지와 어머니 모두에게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환경적 요인인 어머니와 아버지의 자율성 지지가 개인 내적 요인인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을 통해 긍정적인 학습태도의 한 형태인 학업적 실패내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확인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청소년의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이라 할 수 있는 학업적 실패내성의 선행요인을 탐색함으로써 탄력적이고 긍정적인 학습태도 형성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는 점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학업적 실패내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어머니뿐만 아니라 아버지의 자율성 지지 또한 중요하다는 사실을 입증하였으며, 부모의 자율성 지지를 통해 개인 내적 요인인 자아탄력성이 향상되어, 궁극적으로는 청소년이 학업적 실패상황에서 좌절을 겪지 않고 긍정적인 태도로 학습에 임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의 학업적 실패내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부모대상 교육프로그램과 청소년 대상 학습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사서교사의 자율성 지지가 중학생의 학교도서관 만족도와 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지원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Education is undergoing drastic changes due to rapid change in our society. Education in the 21st century is no longer using traditional teacher-centered instruction involving a lecture format but is instead helping every student learn how to learn and develop skills for lifelong learning through studentcentered activities. The school library is part of this revolution. As school libraries are utilized for collaborative and student-driven learning, and the function it needs to support is becoming more significant than ever. For collaborative and selfdirected learning to work effectively in the school library setting, it should be based on students’ autonomous use of school libraries. Despite the seemingly strong appeal of the role of the school library and students’ autonomous motivation at this point in time, there has been surprisingly little research concerning school libraries that has focused on students’ autonomous motivation to use. Thus, based on self-determination theory, this study posits that school librarians’ autonomy support, which is a social-environmental factor, positively influences students’ perceived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basic psychological needs), which are psychological factors that promote students’ autonomous motivation to use the school library. Consequently, it was hypothesized that students’ perceived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represent three important mediators of the teacher-librarians’ support for autonomy and school library users’ satisfaction relation. This study used a mixed-method approach to ensure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which involves collecting, analyzing and integrating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The study gathered data from 331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Face-to-face in-depth interviews with 8 middle school students were conducted to provide stronger evidence and corroborate findings through triangulation. The results of analysis for all variables used in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sults show strong evidence that teacher-librarians’ autonomy support was a direct and indirect critical determinant of middle school students’ satisfaction with school libraries. Second, teacher-librarians’ autonomy support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tudents’ perceived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and both autonomy and competence were expected to be important predictors of school library users’ satisfaction. In other words, autonomy and competenc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librarians’ support for autonomy and school library users’ satisfaction. Third, the influence of school library users’ satisfaction on the intention of continued use of the school library was significant. These findings may be used as guidelines on the growth of teacherlibrarians’ educational capabilities and future development of school library programs that enhance autonomous motivation to use school libraries. Furthermore,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t role that the teacherlibrarian may play in influencing students’ autonomous motivation to use school libraries. It also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for improving school library services focusing on the psychological factors of students. 급격한 사회변동과 함께 교육은 패러다임의 전환을 맞이하고 있다. 미래 교 육은 기존의 강의식 수업을 통해 일방적 지식을 전달하는 교사 중심적 방식에 서 벗어나 학생들에게 학습하는 방법을 알게 하고 학생 중심의 활동을 통해 평생학습 능력을 배양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이에 따라 학교도서관 역시 변화가 요구된다. 자기주도적학습 및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한 협력 학습이 이 루어지는 미래 교육 현장에서 학교도서관은 다양한 정보자원을 바탕으로 학생 주도적이고 협력적인 학습을 지원하는 교수·학습 센터로서 그 역할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학교도서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자기주도적 학습 및 협력 학습이 효과적으 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자율적인 학교도서관 이용이 밑받침되어야 한다. 이렇듯 자율적 동기와 학교도서관의 역할이 더욱 강조되고 있는 현시점 에서 학교도서관 서비스의 대상인 학생들의 자율적인 학교도서관 이용동기에 초점을 둔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자기결정성이론에 근거하여 학생들의 자율적 동기를 촉진하는 사회·환경적 요인인 사서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심리적인 요인인 중학생의 기본심리욕구의 충족이 학교도서관 이용자 만족도와 지속의도에 미치 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사서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학교도서관 만족도와의 관계 에서 중학생의 기본심리욕구인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의 매개 역할을 가정하 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서울시의 중학생 33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 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8명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분석에 이용함으로써 결과의 타당성 및 신뢰성 을 강화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사서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중학생의 기본심리 욕구, 학교도서관 만족도와 지속의도의 영향 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서교사의 자율성 지지는 직·간접적으로 중학생의 학교도서관 만족 도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중학생의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은 사서교사의 자율성 지지에 긍정 적인 영향을 받으며 자율성과 유능성은 학교도서관 이용자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다. 즉, 사서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중학생의 학교도서관 만족도 요인 사이에서 자율성과 유능성은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학생의 학교도서관 만족도는 지속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중학생들의 자율적인 학교도서관 이용동기를 촉진할 수 있는 사서교사의 교육적 역량 및 학교도서관 프로그램의 개발에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자율적인 학교도서관 이용동기에 영향을 미 치는 사서교사의 역할에 대한 중요성을 밝히고 학생들의 심리적 요인에 초점 을 둔 학교도서관 활성화를 위한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안한 것에 의의가 있다.

      • Age and sex dependent analysis of behavioral and molecular phenotypes in 5XFAD mice, a model for Alzheimer's disease

        김지원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e study of Alzheimer’s disease, how well the model mice re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Alzheimer’s disease is an essential factor. Among various AD models, 5XFAD mice with five mutations found in familial AD have been reported as a useful AD model displaying distinct AD-related phenotype. However, 5XFAD mice on a C57BL/6J background were recently created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weaknesses of the existing model, and their phenotypes are not fully understood. We investigated 5XFAD mice compared to wild-type (WT) mice depending on age and sex to verify that 5XFAD mice of a new strain are helpful as an AD model. 5XFAD showed hyperactivity at 6-month-old and it increased with age. Memory loss was observed in males from 9-month-old and females from 6-month-old. Impairment of motor activity was also observed at 9-month-old, but more distinct in females. It was confirmed that levels of amyloid-β (Aβ) and GFAP, which are typical pathological features of AD, increased with aging, which was observed earlier in females. Neuronal cell death was observed significantly only in 12-month-old 5XFAD femal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5XFAD in C57BL/6J background can be usefully used as an AD model. The phenotypes of 5XFAD we have established provide a reference for determining the age of 5XFAD to treat different stages of Alzheimer’s disease. In addition, we suggest that 5XFAD is a suitable model for use in sex-specific treatment studies that consider faster progression in women, a characteristic of AD.

      • 직장인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특성불안과 소진의 이중매개효과

        김지원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직장인의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특성불안과 소진의 이중매개효과 검증을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300명의 직장인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사회부과 완벽주의, 주관적 안녕감, 특성불안, 소진을 측정하였고, 변인들의 영향 관계와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SPSS PROCESS Macro를 사용하였으며, Bootstrapping 방법을 활용하여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부과 완벽주의는 특성불안, 소진과 유의한 정적상관을, 주관적 안녕감과는 부적 상관을 나타났고, 특성불안은 소진과 정적 상관을, 주관적 안녕감과는 부적 상관을 나타냈으며, 소진은 주관적 안녕감과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주관적 안녕감 간에 특성 불안과 소진이 각각 완전매개를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특성 불안과 소진의 순차적 이중매개 효과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직장인의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기제를 밝힘으로써,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높은 직장인의 주관적 안녕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완벽주의 그 자체를 다루기보다 과정 변인으로서 특성불안과 소진을 다루는 것이 더욱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ttempts to verify the double mediating effects of trait anxiety and burnou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ubjective well-being of employees. For this study, 300 office workers were surveyed to measure the trait anxiety, the burnout, the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ubjective well-being.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PROCESS Macroin an bootstrapping method.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had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trait anxiety and burnout.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had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with subjective well-being. Also trait anxiety had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burnout and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with subjective well-being. In addition, burnout had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with subjective well-being. Second, trait anxiety and burnout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ubjective well-being. Third, there was a dual mediation effect on trait anxiety and burnou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ubjective well-being. In conclusion, it suggests that in order to elevate subjective well-being of employees with a high level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it would be more effective to deal with trait anxiety and burnout which are proved to make them happy than to deal with perfectionism itself.

      • 메이지[明治]시대 석판화 연구

        김지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전통적으로 목판화에 뿌리를 두었던 일본의 시각 이미지는 메이지 시대의 근대개혁이 추진됨으로써 동판과 석판으로 계승되었다. 동판이 양화의 효과적 재현을 위해 발명되고 연구되었다면, 석판은 복제의 기능을 가진 보다 진보적인 인쇄기술로서 근대 시각이미지의 보편화 과정에 없어서는 안 될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하였다. 물과 기름의 원리를 이용한 석판은 이전의 목판, 동판과는 다르게 복제가 가능한 매체로서, 대량생산체제의 일차원적인 매체가 되었다. 동일한 이미지를 대량으로 생산해 낸다고 하는 것은 특수한 일부의 소유물이 불특정 다수의 소유물로 전환되어간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우리사회가 수많은 광고매체와 인터넷 등에 노출되어 전국적으로 같은 사상을 공유하고 소통하는 것과 같이, 근대기 석판은 대량생산을 통해 대중과 사회 간의 소통을 자유롭게 하여 전국적으로 사회의 보편사상을 일반화시켰다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까지 '석판'이라고 하면 판화의 한 종류로서 그 기법적인 측면만이 우선시 되어 인식되는 경향이 있다. 그 마저도 판화의 역사가 그다지 길게 뿌리 내리지 못한 우리나라에서 '석판'이라고 하는 외국으로부터 전승된 미술기법은 그 어디에서도 주목받지 못했으며, 과거 인쇄기술의 하나로서 접근, 연구하려했던 시도는 진전된 연구가 따르지 않아 한계에 그쳤다. 이에 비해 일본에서는 전통적으로 판화에 대한 관심과 연구의 성과가 지속되어 온 까닭에 석판인쇄기술에 대한 1차 연구 및 사료들이 확보, 보존되어 왔으며, 이를 토대로 진전된 연구를 시도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다. 이에 필자는 근대일본 석판기술의 초기 발달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석판이 갖는 시대적 매체로서의 의의에 주목하고자 하였다. 석판은 국가의 신제도 개편에 따라 도입되었는데, 실용인쇄를 위해 국가 인쇄 기관인 대장성 인쇄국에 근무 했던 마쓰다 록산[松田緑山]과 우메무라 스이잔[梅村翠山]에 의해 그 발달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마쓰다 록산은 자체적인 연구를 통해 양화의 복제를 성취하였으며, 우메무라 스이잔은 우표와 지폐 등 보다 실용적인 석판인쇄에 초점을 두었다. 석판인쇄는 국가의 필요에 의해 도입되고, 연구되었지만, 결과적으로 양화와 실용인쇄의 확산이라는 두 가지 서로 다른 경향으로 발전되었다. 전자는 미술의 근대화에 공헌하였으며, 후자는 사회적 제반변화와 더불어 발생한 다채로운 공공 인쇄물의 확산에 기여하였다. 그러나 석판은 기본적으로 이미지의 '복제성'과 대량생산에 따른 '공공성'을 내재한 매체였기 때문에 점차 위의 두 흐름은 혼재되어 상업적 인쇄물로서 전개되는 양상을 보였다. 근대라는 사회에서 대중들의 의식성장과 소비증가가 그 생산과 밀접하게 연관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필자는 석판의 특징을 크게 '복제성'과 '공공성'으로 보고, 전자는 명화의 재현에, 후자는 공공인쇄물의 생산과 유통에 주안점을 두어 근대사회와 대중문화의 성장과정 속에서 전개된 석판의 의의를 다루고자 했다. 석판은 '근대'라는 시대적 변혁기에서 태동한 근대적 산물일 뿐 아니라 그 시대적 분위기 속에서 대중, 사회 간의 소통에 단초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이와 동시에 미술이미지와 상업 인쇄물의 보편화를 가져와, 결과적으로 지면위의 새로운 경험들을 사회적으로 확산시키는 데 기여하였다. 이는 도시화와 상업적 규모의 확대, 대중문화의 발달 등 근대 산업사회로의 변화와 동반되어 나타난 것으로 철저히 시대성을 전제로 한 것이라 볼 수 있다. 따라서 석판은 다른 여느 매체의 연구와는 달리 '근대'라는 시대적 이해의 맥락 속에서 연구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본고는 미술기법이나 인쇄 기술적 측면보다는 시대적 맥락 속에서 석판의 존재를 표면화시켰다는데 의의가 있다. 석판에 대한 새로운 접근은 비쥬얼 아트의 측면에서도 중요할 뿐 아니라, 특히 미술적 공백이 큰 우리개화기 미술의 이해에도 중요한 실마리를 던질 수 있을 것이다. 석판의 연구는 근대 미술과 사회발달의 측면에서 근세와 근대, 현대에 이르는 그 과도기적 단계성을 밝히는 데 유용한 자료로서 활용될 것임을 확신한다. 木版画に根を置いた日本の視覚イメージは明治時代の近代改革により、銅版と石版に発展された。銅版は洋画の持つ効果的な再現のため発明し、研究されたとしたら、石版は複製の機能があるより進歩的な印刷技術として、近代視覚イメージの普遍化過程に決定的な役割を行った。明治期の石版は大量生産を通じて大衆と社会の間のコミュニケーションを自由にし、全国的に近代の普遍思想を一般化させたと言える。 明治石版は前半期には洋画家の作品を石版画化させる芸術的な行為として、そして公共のための刷り物として活用され、後半期になると商業美術として大量生産される傾向が強まった。ヨーロッパの石版が実用性を基に芸術の領域で活用された反面、日本はその「複製」、「公共」の機能をより具体化させ、集約的な発展を見せている点が特徴である。 つまり、筆者は石版の刷り物を「複製性」と「公共性」の機能で分けて分析した。石版印刷は基本的に複製性と公共性を一緒に内在し、独立的に分けられないが、二つの機能が各々、時代の近代化転換に寄与したと判断されるからである。前者は伝統的に洋画を完璧に再現しようとした西洋的のイメージ化の発現し、後者は急進的な近代化のため国家が行った最善の教化政策の手段になった。ヨーロッパの石版が一種の印刷技術として競争的に発展され、画家から受け入れられたことに対し、日本は徹底的に国家主導で施行され、西欧に対する劣等意識の克服という意味から活性化された側面がある。 本論文は石版が今まで美術ジャンルとして研究された観点から脱し、「近代」のメディアとして分析した点から意義を持つ。石版は美術的、社会的に多様な概念を派生して時代的の変化に乗じ、一方では大衆の文化形成に大きく貢献したと判断される。 In development of the modern reformation during the Meiji period, Japanese visual images that were traditionally based upon woodcut printings were later produced in copperplate printings and on to lithographs. It could be said that the copperplate printings were invented and developed to effectively represent the western paintings. On contrary, lithographs, which is an advanced printing technique using the principle of water and oil, were the reproductions of the modern visual images to a one-dimensional medium. To replicate images means to converse one’s special possession into an anonymous one. Thus, lithographs during the modern period brought an era of open communication between the mass and the society through manufacture, bringing modernism close to the general public. Moreover, it had generalized artistic imageries and had commercialized printings-resulting a social spread of new experiment on paper. This change was based upon a reflection of an era in the modernized industrial society of urbanization, increase in commercialization, in development of the mass media, and so on. Hence, the study of lithograph is to understand the period of modernization, as a meaningful part in the historical context. The earlier Japanese lithographs were used as a mean of an artistic expression through mass printing of the western art work. Toward the later period, it served more clear purpose in mass replication, in collusion with commercial art. Compared to the European lithograph, which of its artistic purpose was more focused on the practical usage of printing, such as printing musical scores and documents, the Japanese lithograph illustrated its characteristics of ‘replication’ and ‘mass’, and constantly showing its integrated development. Thus, looking into the two distinctive functions of lithograph ‘replication’ and ‘mass’ is a meaningful study to take in hand. Especially due to the fact that all lithograph printings contain both features of replication and mass, and that one cannot be separated from another. However, both of the two functions had their own distinctive affect to the modernization. The former traditionally replicated the western paintings in contribution to impeccably illustrate the western images. Latter, was used as means of the Nation’s cultural policy to promote rapid modernization. Compared with the European lithograph, which was developed due to the competitiveness of lithography techniques that was passed onto artists, the development of Japanese lithograph was thoroughly led by the government, in a way to overcome the sense of the western inferiority that the Japanese have had for a long time. This writing holds its meaning in analyzing lithograph, which has been formally studied as just one of the many genres in art, as a social media and in representation of forming the modernization in Japan. Lithograph contributed in the modernization period through spreading many concepts in artistic and social areas, and also making a ground work for the cultural development of the mass. In reference to Walter Benjamin, "…for the first time in world history, mechanical reproduction emancipates the work of art from its parasitical dependence on ritual. To an ever greater degree the work of art reproduced becomes the work of art designed for reproducibility." the modernization of lithograph is the main idea that is conveyed in this writing. Lithograph, as a media which reflected modernism, is meaningful itself but also holds its value in relation to the visual culture, mass, social, and understanding the one dimensional art work of modern Japan Meiji peri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