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마음챙김 명상이 여고생의 안녕감과 자기자비에 미치는 효과

        김지우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In this research, an attempt was made to verify that K-MBSR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enhancing well-being and self-compassion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 as an alternative to and a practice method of character education in the era of character education. For verification of this thesis, we have followed the following research procedure. The 8-week K-MBSR Program employed in this research was reconstructed in such a way that it was made more suitable to adolescents. Target students who wanted to participate in this K-MBSR Program were recruited from female high school students attending XX High School. Of these students, a total of 26 students were selected and divided into two groups,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13 students being allocated to each group on the basis of random allocation. Implementation period of this program was from March 12 to April 30, 2015, having a session of experiment per week for 90 minutes, resulting in a total of 8 sessions. The control group did not have any treatment during the same period, but a pre-test and a post-test were carried out at the same time with the experimental group that underwent the K-MBSR Program. And for verification of the effect of this research, such measuring tools as Well-being Scale (SWBS) and Self-Compassion Scale (K-SCS) were used. As a result of research, the experimental group that underwent the K-MBSR Program revealed a significant rise in well-being and self-compassion in comparison to the control group in all variables. Therefore, we could confirm that the level of mindfulness for the experimental group was enhanced due to the K-MBSR Program as it had a positive effect on well-being and self-compassion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lies in that it implemented this kind of research with female high school students who are suffering from diverse and sensitive psychological problems as target, when considering the fact that K-MBSR Program was seldom applied to a research that has been carried out with the adolescents as target into consideration. At this point in time when the Character Education Improvement Law was passed, it is our belief that the K-MBSR Program can well hold the prominent position as the most suitable character education program for nurturing moral human beings as well as a practical method of and an alternative to genuine character education that can ameliorate the confusion in current education.

      • 온달 설화를 활용한 한국어 문화교육 방안 연구

        김지우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및 한국 문화 이해 능력 향상을 위해 설화 문학을 활용하여 효과적인 문화교육의 내용과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한국어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는 한국어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있으며, 진정한 의사소통 능력은 한국어에 대한 지식뿐만 아니라,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으로 충족될 때 가능하다. 이를 위해 언어교육과 문화교육의 통합적 교육이 필요하며, 유용한 제재로서 설화 문학이 활용될 수 있다. 설화 문학은 사랑, 지혜, 용기, 신의, 권선징악과 같은 인류 보편적인 주제를 담고 있는 이야기로, 많은 사람들에게 이미 널리 알려져 있고 누구나 쉽게 접할 수 있으며 이해가 용이하고 흥미로운 내용으로 되어 있어 학습 동기 부여 측면에서 효과적이다. 또한 세계 보편적인 주제와 함께 그 나라 사람들만의 고유한 정서와 가치관 및 세계관을 반영하기도 하므로 비교 문화적 측면에서 매우 유용한 학습 제재이다. 한국어 학습자는 한국인에게 널리 알려진 설화를 통해 한국어 능력 향상과 더불어 작품 속에 녹아 있는 한국인의 생활 방식과 정서를 이해함으로써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 능력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설화 문학 중에서 온달 설화를 선정하여 온달 설화의 선정 배경과 교육적 의의를 밝히고, 온달 설화 속에 나타난 문화교육적 요소를 추출하여, 이를 바탕으로 실제 한국어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교육 방안과 수업 지도안을 제안하였다. Ⅱ장에서는 설화의 개념과 특징, 갈래 등 설화 문학에 대한 이해를 위한 전반적인 관련 내용을 살펴보고, 한국어교육에서 왜 설화를 활용해야 하는지 그 의의와 필요성을 확인한 다음, 설화가 전통적으로 어떻게 활용되어 왔는지 근대 교재와 현대 교재에 수록된 작품을 통해 설화의 활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또한 설화 작품을 선정할 때 어떤 기준으로 작품을 선정해야 하는지 그 기준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중점적으로 다룰 온달 설화를 선정하였다. Ⅲ장에서는 선정된 온달 설화에서 문화교육의 내용을 추출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문헌 자료와 구비 자료에 나타난 온달 설화의 내용을 살펴보았다. 온달 설화가 수록된 자료 중에서 가장 안정적인 내용 전개와 구조를 보이고 있는 『삼국사기』 본을 기준으로 온달 설화의 구조와 의미를 분석하고, 분석된 내용과 구조 및 의미를 토대로 온달 설화에 나타난 문화적 요소 중 충효열의 관념문화와 한국의 역사문화 및 다른 나라 설화와의 비교를 통한 비교 문화적 측면을 중심으로 문화교육적 요소를 제시하였다. Ⅳ장에서는 Ⅲ장에서 제시한 온달 설화의 문화교육적 요소를 실제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초급, 중급 및 고급 학습 단계별로 구체적인 교육 방안을 마련하고 수업 지도안을 설계하였다. 교육 방안은 문화교육이라는 큰 틀에서 이루어지므로 각 학습단계별 문화교육의 목표와 교육 내용을 검토해 보고, 현재 한국어 교재에 수록된 온달 설화는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살펴본 후 이에 대한 개선점을 논의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교육 방안의 제시를 위해 각 학습 단계별 온달 설화 텍스트와 교육 내용을 선정하여 실제 수업 지도안을 설계하였다. Ⅴ장에서는 본 연구의 내용을 다시 한번 정리하고, 연구의 성과와 시사점 및 앞으로의 전망에 대해 논하면서 마무리하였다. This study suggested the contents and methods of Korean culture education using Ondal folktale aiming to improve the students' ability of understanding Korean language and culture. The ultimate go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to improve communication competence of students, and true meaning of communication competence is not only to acquire the knowledge of Korean language but also Korean culture. To achieve this goal, the integrated education of language and culture is needed, and in this context, folktales can be useful as teaching materials. Folktales are stories of universal themes such as love, wisdom, courage, faithfulness and morality which are already known and readily available to many people, and the stories are interesting and easy to understand which is very effective in terms of motivating students. Besides universal themes, folktales reflect the unique emotions, values and worldviews of the people in the country, so it's very useful material in cross-cultural education. Students can improve their Korean language skills by leaning the texts of Korean folktales widely known to Korean people, as well as their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by knowing the lifestyle and emotions of Korean people embodied in the stories. In this study, among folktales, Ondal story is selected and the backgrounds of the selection and its educational effectiveness are verified. and the culture education components appeared in Ondal story are extracted. Based on those components extracted, specific education measures and lesson plans that can be utilized in the actual Korean education are proposed. In Chapter Ⅱ, the overall look of the folktale such as its concept, features and categories were reviewed for the understanding of folktale, and verified its significance and necessity on why it should be used in Korean education, and then the use of folktales was examined through the works of traditional and current Korean textbooks on how it's been used as Korean education material. In addition, the criteria on the selection of folktales was sought and Ondal story was selected accordingly which will be analyzed in this study. The contents of culture education presented in Ondal folktale were extracted in Chapter Ⅲ. To this end, the contents of Ondal shown in the bibliographic and oral data were examined. The structure and meaning of Ondal folktale were analyzed based on the content of 『Samguksagi』 which contains the most reliable story development and plot among the data. With the analyzed contents, structures and meanings, the cultural elements appeared in Ondal story, moral culture consisted of loyalty, filial piety and woman's virtue, historical culture of Korea, and the cross-cultural features by comparing with the folktales of other countries were presented. With the culture education elements of Ondal presented in Chapter Ⅲ, Chapter Ⅳ suggested the specific education methods for beginner,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which can be applied in actual teaching and detailed lesson plans were offered. As education methods are designed within the scope of culture education, the goals and contents of culture education of each learning steps were reviewed, and examination on how Ondal folktale is being used in current Korean textbooks followed to discuss its issues and improvements. Based on this discussion, Ondal folktale texts and education contents were selected and the actual lesson plans were offered for each learning steps. Chapter Ⅴ provided the brief summary and achievement of this study and discussed the outlook of related study in the future.

      • 역사적 사건을 기념하는 메모리얼 공간의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김지우 경희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memorial space in modern days seek to remember the tragedy in history and those with risk to be forgotten in the past. Not only memorial space exists intellectually for remembrance but it also tributes to peoples’ emotions such as mourns, sorrow, commemoration, retrospect, healing, and empathy. Its ultimate role is not to permanent the memories itself but to reinforce and inspire today’s values through individual’s communication and commemoration. The self-confirmed memorials built previously to mark national authoritarianism had declined while globalization in the 20th century emerged. It led the follow-up designs of memorial spaces to focus on variety of experiences of individual visitors such as emotional experiences, to consider placeness certain memorial space contains, and implemented commemorations in the process of planning. It enhanced the quality of visitors’ experience by proposing defiant designs of memorial space. In other words, injecting patriotism into traumatic scars is no longer an prominent task, but letting the viewer interpret the memory and inquire meanings by themselves expanded the depth of remembrance. This study examines the domestic memorial spaces built after 1980 which commemorates historical events of Korea.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eek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memorial spaces constructed in Korea based on implications derived from literature reviews, previous studies, case analysis. It states possibilities of development which needs to be pursued. In order to analyze 10 selected sites of memorial spaces, the research contents ar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s; layouts of the space, visitors’ experiences, monuments, etc.. The results derived from the study indicates several characteristics of sites examined. To begin with, the construction methods applied in such memorial spaces were no different from methods applied in former days, in which the main purpose of making memorial space was to uplift patriotic spirit. As diverse compositions of memorial landscapes lacked, conventional forms of memorial spaces were repeatedly constructed, creating mundane landscapes nationwide. Furthermore, it was analyzed that visitors’ experience were focused narrowly on educational experiences, therefore emotional and daily urban experiences were limited. Moreover, commemorative monuments were displayed commonly along with their scales and formations settled in Modernistic expressions in usual. Although it was first established in the 1960s, the fact that there is no clear aspect of transition in the domestic memorial space even though time has passed by is not a proper response to the changed attitude of the visitors nowadays as well as to the dark tourism. It is also ironical that the way of remembering history of freedom such as independence movements has not escaped the authoritative layouts. Based on the historical testimony of what to remember and commemorate, considering for building sensual and rich memorial space is essentially recommended. It is undeniable that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the what memorial spaces imply in society has changed gradually. Unfortunately numerous memorial spaces yet remains unchanged, still adopting traditional shapes morphologically. Memorial spaces will continue to develop and grow. Necessity of more sophisticated designs of memorial spaces are required nowadays. This study expects to affect changes in planning and designing memorial spaces commemorating historical events in domestic fields, hoping for sensuous and sophisticated designs to occur. 현대 메모리얼 공간은 역사의 어두운 면과 잊혀지는 사람들을 기억하고자 한다. 추모, 애도, 회고와 치유, 공감과 교감을 위한 공간으로서 지적인 동시에 감성적인 느낌을 가질 수 있는 공간이다. 현재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과거를 기억하는 매개체가 되는 메모리얼 공간은 기억을 고착화하는 것이 아니라 관람자 개개인이 기념과 소통을 통해 오늘의 가치관과 감흥을 확인하게 하는 것을 궁극적인 목표로 둔다. 과거 중앙집권 하에 권위주의를 표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자기 완결적이고 단호했던 기념방식은 20세기 국가주의의 쇠퇴와 세계화에 부응해 주관적이고 감성적인 개개인의 기억과 체험에 중점을 두게 되었다. 장소 자체가 지닌 가능성을 고려하여 설계단계에서부터 기념성을 가미한 메모리얼 공간은 도전적인 디자인을 통하여 기념의 방법에 자극을 주는 등 체험의 질을 높였다. 다시 말해, 애국심을 주입하며 상흔 자체를 위압적으로 보여주는 것은 더 이상 메모리얼 공간의 중요한 과제로 큰 영향이 없으며, 관람자가 스스로 기억의 주체가 되어 그 의미를 찾아가는 방식이 기념성의 깊이와 범위를 넓히고 극대화 시킨 것이다. 본 연구는 1980년 이후 조성된 국내의 역사적 사건을 기념하는 메모리얼 공간을 대상으로 한다. 이론적 고찰과 동시대 대표적인 해외 메모리얼 공간 분석으로 도출한 특성과 시사점을 토대로 국내 연구 대상지의 특성을 고찰하고 나아갈 방향성과 발전가능성을 제시한다. 연구 대상지가 되는 10곳의 현황분석의 내용은 공간 구성방식, 도입요소, 관람자 체험유형 등으로 분류되며, 현 시점에서 국내 메모리얼 공간이 지니는 구성상의 특성과 관람자 체험의 특성, 도입요소의 특성을 도출할 수 있었다. 분석된 본 연구대상지의 특성으로는 첫째, 애국정신 고양의 목적으로 숭고성이 돋보이는 공간 구성의 방식 도입이 일반적이었다는 것이다. 기념성을 외부공간에 녹이는 표현방법에서 전통적 공간 구성방식을 채택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며, 전국을 대상지로 하였음에도 획일적이고 틀에 박힌 형태로 조성되는 등 다양성에 있어서 다소 한계를 내포하고 있었다. 둘째, 관람자 체험은 교육적 체험을 강조하고 있었다. 메모리얼 공간이 여타 공간과 차별화되는 주요 요점인 감성적 체험은 전통적인 공간 구성이 일반적인 연구 대상지의 영향이 반영되어 극히 한정적이었으며, 일상적 도시체험 역시 연구 대상지의 조성 지역과 공간 레이아웃의 특성에 따라 체험의 질에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본 연구 대상지에서 기념성을 가지는 도입요소는 모뉴먼트가 가장 일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규모와 형태는 근대주의적 표현에 머물고 있었다. 196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조성되어 상당한 시간이 흘렀음에도 국내 기념비적 공간에서 취하는 기념의 내용과 형식에 변화가 없는 점은 현대인의 다크투어리즘과 개별적 체험에 대한 적절한 응답이 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더구나 독립운동, 항일운동, 그리고 민주주의 등 저항을 통하여 역사를 지킨 사람들과 과거의 기억을 기리는 방식이 권위적인 형식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은 역설적인 부분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에도 무엇을 기억하고 기념할 것인지에 대한 역사 고증을 밑바탕으로, 설계단계에서부터 심층적인 고민을 통한 감각적이고 풍부한 메모리얼 공간을 표현해낼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의 메모리얼 공간은 형태적 특성과 기념의 의미가 조금씩 변화하고 있는 과도기를 지나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안타깝게도 연구 대상지 중 다수의 공간에서 분석과 같이 구태의연한 형식을 취하고 있다. 메모리얼 공간은 이전과 다름없이 계속하여 증가하고 발전할 것이다. 본 연구가 국내 역사적 사건을 기념하는 메모리얼 공간 설계에 있어 감각적인 설계 구현에 대한 단서가 되기를 기대한다.

      • 방송 언어에 나타난 오용 사례와 개선 방안

        김지우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인은 좋든 싫든 어디에서나 방송을 접하게 되고, 사람마다 차이는 있지만 방송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 현대인에게 방송이 미치는 영향이 큰 만큼 방송 언어에 대한 우리의 관심도 자연스런 것이고, 방송의 사회적 비중에 따른 책임도 당연한 것이다. 그러나 이런 영향력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방송 현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언어는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순화되지 못한 말들이 방송 매체를 타고 우리 사회에 확산되면서 국민 정서는 물론, 청소년들의 언어생활에도 악영향을 끼치고 있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런 문제점에 착안하여 방송 언어의 오용 실태를 조사하여 학교 교육을 통한 개선 방안을 찾고, 언어 순화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방송 언어의 오용 실태는 음운, 어휘, 문장 · 문법, 표기의 범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첫째, 모음의 음가 혼란으로 '바람'을 '바램'으로 발음하고, '놀라다'를 '놀래다' 등으로 잘못 발음하고 있다. 또한 /ㅗ/가 /ㅜ/로 발음되는 것이 많았는데 특히 드라마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었다. 자음의 변동에서 두드러진 오용은 된소리화로 음운이 점차 거칠어져 가는 면을 볼 수 있었다. 둘째, 어휘는 어려운 한자어, 일본식 한자어 등 많은 한자어들이 사용되었고, 국어로 충분히 의사 전달이 가능한 것까지도 외래어와 외국어를 남용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또한 유행어, 비속어 등과 같은 금기어가 연예, 오락 프로그램에서 빈번히 쓰이고 있었다. 부정확한 어휘를 사용하여 언어 내용을 이해하기 어렵게 만들었다. 셋째, 문법 법주에서는 조사, 어미를 잘못 사용하고, 시제에 맞지 않은 어휘를 사용하였으며, 지나친 사동법 피동법과 경어법을 사용하였다. 넷째, 자막 표기에서 한글 맞춤법, 표준어 규정에 어긋난 표기, 외래어 표기법에 어긋난 표기가 오용되고 있었다. 이렇게 잘못 사용된 방송 언어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학교 교육을 통해 살펴보았다. 본인의 조사에 의하면 학생들이 생각하는 방송 언어 오용 사례의 개선 방안으로 학교에서의 연어 교육이 언어 지식 교육이 아닌 언어 사용 교육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 늘 입시 체제의 변화가 필요함을 언급하였다. 방송에서 나오는 오용 언어는 어린이, 학생들을 비롯한 대중의 어법에 영향을 주기에 방송의 책임이 크다. 방송은 학교 언어 교육의 보조자가 아니라 일정한 곳에서 제한된 시간에 가르치는 학교 교육 보다 앞서서 언제나 광범위하게 무차별로 언어 교육을 하고 있다는 점을 자각해야 한다. 국어 교사의 언어보다 사회자나 아나운서나 희극인의 언어가 더 언어 교본으로 영향을 끼친다는 점에서 전파 교사로서의 자각이 있어야 한다. 방송인은 올바른 방송 언어를 사용하여 언어 사용에 모범이 되어야 한다. 방송에서 올바른 언어를 사용해, 국민의 언어 생활에 도움이 되며, 나아가 우리의 방송을 통해 한국어를 배우는 세 계 여러 나라 사람들에게 방송이 표준어 교본이 되길 바란다. Modern people have come in like or dislike with the broadcast in media in everywhere, and no one has been able to free from that media in different degree. Our concerns about the brodcasting language are natural as much as the brodcasts have an influence on modem people, and the brodcasts ought to have responsibilities by their social weights. Though these influences, brodcasting words being actually used in the field have contained many problems. Impure words have been spread over our society, and they have had bad influnce on teenager's words and daily lives as well as the national emotions. This study examined into the realities on misusage of broadcasting term to seek for the improvement plans for the purification of the words, having an eye on these problems. The following is the results of this study that divide and analyze the realities by categories-phoneme, vocabulary, grammar and mark. First, there are words that /Baram/-meaning of "wish" and /Nolada/-meaning of "be surprised" are mispronounced as /Baraem/ and /Nolaeda/ -meaning of "surprise", respectively, by the disorder of phonetic value for a vowel sound. And, there are many cases that /O/ is pronounced incorrectly as /U/, which is particularly used to drama. Also, it shows that a phoneme is gradually turning into a fortis. Second, it shows that many vocabularies are used as word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difficult Chinese words and Chinese words of Japanese style, and that though only Korean words can sufficiently communicate one's mind, the Korean words are misused as the foreign words. Also, there are taboo words-a word in fashion and a expletive-using for entertainment programs. Therefore, it became difficult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words by using the incorrect vocabularies. Third, in grammar, it shows that it misused an auxiliary word, an ending of a word, and a vocabulary that not go with the tense, and that it used an excessive causative mood, passive mood and honorific expression. Fourth, there are many marks that go wrong with the rules like Korean spelling, standard language and foreign language. Also, this study took examination of plans that can improve the misused broadcasting terms. The result is as following. Many students show that schooling of words must be realized for not knowledge of it but usage of it. Accordingly, the entrance examination system is necessary to change. Broadcasting companies take a high responsibility for this, as the broadcasted misusage words have a bad influence on the words usage of masses including children and students. They are indiscriminately educating broader words than school spot regardless of the times, not as an assistant for schooling of words. A chairman, announcer and comedian for the broadcasting rather than a teacher of Korean must be aware of having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ducation of standard words, and they have to serve as a pattern for the usage of words by using a good language. Accordingly, this study want not only to serve for a national language life but also to become a standard textbook to all foreigners, which learn the Korean language from our broadcasting, by the usage of correct words.

      • 이광수의 『무정』 연구 : ‘반개(半開)’ 이념의 식민지적 형상을 중심으로

        김지우 서강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thesis drew the concept of 'semi-civilization' from modernity embodied by Lee Kwang-su's Mujeong(Heartlessness), and critically discussed colonial modernity of the novel. In addition, in order to explain cracks in the Enlightenment and ‘semi-civilization’ of Mujeong, this thesis focused on the fact that the emotion of ‘heartlessness’ appears when ‘Hyeong-sik’ pursues modernity, unlike in Lee Kwang-su’s essays on the Enlightenment. The purpose of this analysis is to find problematic colonial modernity and its cracks in Mujeong’s narrative structure. Chapter Ⅰ discussed about ‘semi-civilization’ to examine colonial modernity in Mujeong. The term ‘semi-civilization’ refers to the intermediate stage between ‘barbarism’ and ‘civilization.’ This concept provided a theoretical basis to ‘civilization and modernization’ movement in Japan and Chosun while it also justified colonialism. It's because ‘semi-civilization’ is an identity that relies on pursuit of Western ‘civilization’ and otherization of East ‘barbarism.’ The concept of ‘semi-civilization’ not only justifies self-colonization by positioning itself as a state less than ‘civilization’, but also promotes otherization of ‘barbarism’ to separate itself from it. Chapter Ⅱ examined the narrative of ‘semi-civilization’ by analyzing the composition of the characters in Mujeong. The characters are classified into ‘Person of the Past,’ ‘Person of the Present,’ and ‘Person of the Future,’ depending on the degree of adaptation to the modernization of Chosun. This stratification is based on strong binary oppositions such as the past and the future, premodernity and modernity. Furthermore, it shows a clear orientation towards modernity by contrasting the fate each group faces. The word ‘heartlessness’ is used to indicate that people who belong to the premodern world are inevitably sacrificed in the transitional state of Chosun. Above all, ‘Hyeong-sik’ makes choice of deserting ‘Yeong-chae’ who symbolize premodernity and getting engaged to ‘Seon-hyeong’ who represent modernity so that he could become a modern individual. Similarly, ‘semi-civilization’ relies on the exclusion of ‘barbarism’ and the orientation towards ‘civilization.’ Therefore, modernity embodied in Mujeong includes the colonial unconsciousness and the colonial consciousness. Chapter Ⅲ explained the process of revealing the falsehood of ‘semi-civilization’ through cracks in the story. The emotion of ‘heartlessness’ ‘Hyeong-sik’ shows to ‘Yeong-chae’ is both rationalized as the expression of modern ‘emotion’ and criticized as immoral ‘heartlessness.’ The self-justification and guilty conscience of ‘Hyeong-sik’ come from the entanglement of premodern values and modern values. Even after the love triangle of ‘Hyeong-sik’, ‘Yeong-chae’ and ‘Seon-hyeong’ was solved, the entanglement of premodernity and modernity occurs because of the contradictory character the figuration of ‘semi-civilization’ has. In Chosun at the transitional state, the choice to break away from premodernity as ‘barbarism’ in pursuit of ‘civilization’ actually relies on the authority of the Confucian patriarchal system, including the sacrifice of ‘Yeong-chae’ and obedience of ‘Seon-hyeong.’ At this point, the logic of ‘semi-civilization’ to reject the past as ‘barbarism’ and cultivate the future as ‘civilization’ is revealed as falsehood. The ‘heartlessness’ of ‘Hyeong-sik’ cannot be only justified as modern ‘emotion’, also the premodern world cannot be completely removed. Accordingly, the guilty consciousness of ‘Hyeong-sik’ and the return of ‘Yeong-chae’ reveal the falsehood of ‘semi-civilization’ and instability of colonial modernity. Chapter Ⅳ analyzed the second half of the work in which the ‘heartlessness’ is deflected and the contradiction of ‘semi-civilization’ is concealed. ‘Byeong-uk’, as an alternative character to ‘Hyeong-sik’, seeks harmony between premodernity and modernity and prevent ‘heartlessness’ instead of taking the logic of ‘semi-civilization.’ However, this concord is jeopardized when ‘Yeong-chae’ group and ‘Hyeong-sik’ group reunite in the train. In Samrangjin, ‘Hyeong-sik’ otherizes flood victims as ‘barbarism’ in order to emphasize the necessity of the modern Enlightenment movement and strengthens the binary confrontation of premodernity and modernity. As a result, the division among the enlightened subjects including ‘Hyeong-sik’, ‘Yeong-chae’, ‘Seon-hyeong’, ‘Byeong-uk’ is eliminated and the logic of ‘semi-civilization’ is rationalized. Nonetheless, the lack of probability and ‘unnaturalness’ are the traces of concealing the contradiction of ‘semi-civilization’ and thus become another symptom for its fabrication. Although Mujeong is regarded as the first modern novel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discussions on its modernity have continued to this day. It’s because Mujeong contains disparate elements that cannot be included in modernity and the Enlightenment. Rather than explaining these cracks in the work as the writer's lack of capacity or the limitation of modernity achievement, this thesis tried to explain them with contradictions inherent in the modernity itself drawn by Mujeong. Mujeong embodies colonial modernity through its character composition and narrative structure, but it exposes the instability of colonial modernity with its cracks. Therefor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e fact that it tried to find complexity in Mujeong, which neither completely explained by the Enlightenment nor colonial modernity. 본 논문은 이광수의 『무정』이 형상화하는 근대성으로부터 ‘반개(半開)’ 개념을 도출하여, 『무정』의 식민지 근대성을 비판적으로 논의하였다. 또한, 이광수의 계몽 담론에서와는 달리, ‘형식’이 근대성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무정(無情)’의 감정이 출현한다는 점에 주목하여, 『무정』의 계몽성과 ‘반개’에 내재한 균열을 해명하였다. 이를 통해 『무정』의 서사구조로부터 식민지 근대성의 문제성과 균열을 모두 찾아내고자 했다. Ⅰ장에서는 『무정』의 식민지 근대성을 구체적으로 논의할 수 있는 개념으로 ‘반개’를 소개하였다. ‘반개’는 ‘야만’과 ‘문명’의 중간 단계를 지칭하는 용어로, 일본과 조선의 ‘문명개화’ 운동에 이론적 근거를 제공한다. 한편 ‘반개’는 식민주의를 정당화하는 역할도 담당하는데, 이는 ‘반개’가 서양 ‘문명’에 대한 모방과 동양 ‘야만’에 대한 타자화로 유지될 수 있는 정체성이기 때문이다. ‘반개’는 ‘문명’에 도달하지 못한 상태로 자신을 위치시킴으로써 자기 식민지화를 정당화할 뿐 아니라, ‘야만’과 자신을 분리하기 위하여 ‘야만’에 대한 타자화를 조장한다. Ⅱ장에서는 『무정』의 인물 구성을 분석함으로써 ‘반개’ 개념의 서사화를 살펴보았다. 작중인물들은 조선의 근대화에 적응한 정도에 따라 ‘과거의 인물’, ‘현재의 인물’, ‘미래의 인물’로 구분된다. 이러한 인물의 계층화는 과거와 미래, 전근대와 근대라는 강력한 이항대립을 바탕으로 하며, 근대화 과정에서 각 인물군이 맞는 운명을 대비시켜 뚜렷한 근대지향성을 보인다. 이처럼 과도기적 조선 사회에서 전근대적 세계에 속한 인물들이 필연적으로 희생되는 현상을 나타낼 때 ‘무정’이라는 어휘가 사용된다. 대표적으로 ‘형식’은 전근대를 상징하는 ‘영채’를 외면하고, 근대를 상징하는 ‘선형’과 약혼하는 ‘무정’한 선택을 통해 근대적 개인으로 거듭난다. 그런데 이는 ‘반개’가 ‘야만’의 배제와 ‘문명’에의 지향에 의존하는 것과 유사하다. 즉 『무정』으로 형상화되는 근대지향성은 식민지적 무의식과 식민주의적 의식을 내포하고 있다. Ⅲ장에서는 스토리상의 균열을 통해 ‘반개’의 허위성이 드러나는 과정을 설명하였다. ‘형식’이 ‘영채’에게 보이는 ‘무정’은 근대적 ‘정’의 발현으로 합리화되기도 하고, 비도덕적인 ‘무정’으로 비판되기도 한다. 이러한 ‘형식’의 자기합리화와 죄의식은 전근대적 가치관과 근대적 가치관의 착종으로부터 비롯된다. ‘형식’, ‘영채’, ‘선형’ 사이의 삼각관계가 해결된 이후에도, 전근대와 근대의 착종이 나타나는 것은 ‘반개’의 형상화가 모순된 것이기 때문이다. 과도기에 처해 있는 조선에서 ‘문명’화를 추구하기 위해 ‘야만’으로서의 전근대와 결별하는 선택은 사실 ‘영채’의 희생과 ‘선형’의 순종 등 유교적 가부장제의 권위에 의존하고 있다. 이때 ‘야만’으로서의 과거를 배척하고 ‘문명’으로서의 미래를 일군다는 ‘반개’의 논리는 허위가 된다. ‘형식’이 보이는 ‘무정’은 근대적 ‘정’으로 합리화될 수만은 없으며, 전근대적 세계 또한 완전히 청산될 수 없다. 그러므로 ‘형식’의 죄의식과 ‘영채’의 귀환은 ‘반개’의 허위성과 식민지 근대성의 불안정성을 나타내는 요소라고 할 수 있다. Ⅳ장에서는 작품의 후반부에서 ‘무정’의 감정이 무마되고 ‘반개’의 모순이 은폐되는 양상을 분석하였다. ‘병욱’은 ‘형식’의 대안적 인물로서, ‘반개’의 논리를 취하는 대신 전근대와 근대의 조화를 꾀하고 ‘무정’한 감정을 방지한다. 그러나 전근대와 근대의 화합은 기차 안에서 ‘영채’ 일행과 ‘형식’ 일행이 재회하면서 위태로워지게 된다. 삼랑진에서 ‘형식’은 수재민을 ‘야만’으로 타자화하여, 근대 계몽 운동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전근대와 근대의 이항대립을 강화한다. 이를 통해 ‘형식’, ‘영채’, ‘선형’, ‘병욱’ 등 계몽 주체 사이의 분열은 사라지고 ‘반개’의 논리는 정당화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무정』의 결말에 드러나는 개연성 부족과 ‘부자연스러움’은 ‘반개’의 모순을 은폐한 흔적으로서, ‘반개’의 허위성에 대한 또 다른 징후가 된다. 『무정』은 한국 문학사에서 최초의 근대소설이라는 평가를 받지만, 그 근대성에 대한 논의는 현재까지 끊이지 않고 계속되어 왔다. 이는 『무정』이 근대성 혹은 계몽성에 환원되지 않는 이질적인 요소들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작품상의 균열을 작가의 역량 부족이나 근대성 성취의 한계라고 설명하기보다는, 『무정』이 그려내는 근대성 자체에 내재한 모순으로 해명하고자 했다. 『무정』은 인물 구성과 서사구조 모두 식민지 근대성을 형상화하고 있지만, 그 안의 균열을 통해 식민지 근대성의 불안정성 또한 폭로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의 의의는 『무정』으로부터 계몽성에도 식민지 근대성에도 환원되지 않는 복잡성을 찾았다는 점에 있다.

      • TCIWAE: 조건부 IWAE를 활용한 재현 데이터 생성 방법론에 대한 연구 : 표 형태 데이터의 재현을 중심으로

        김지우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정보통신기술의 발전과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의 도입으로 수많은 데이터가 빅데이터의 이름으로 수집 및 저장된다. 이러한 빅데이터는 다양한 가치 창출을 위해서 사회 전반에 공유된다. 그러나, 데이터 공유가 활발히 일어날수록 그로 인해 개인의 민감한 정보가 노출되는 프라이버시 침해에 관한 우려도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프라이버시 노출의 가능성이 있는 원본 데이터 대신 재현 데이터(synthetic data)를 생성하여 배포하는 것이 데이터 공유와 프라이버시 침해 간의 상충관계를 완화하는 대안으로 등장하였다. 재현 데이터는 원본 데이터와 통계적으로 유사한 특성을 가지면서도 임의로 생성된 데이터이기 때문에 기존의 개인정보 비식별 조치보다 프라이버시 침해로부터 안전하다. 따라서, 재현 데이터 생성방법은 프라이버시를 보장하면서 데이터를 적극적으로 공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지금까지의 연구를 살펴보면, 심층 생성 모형을 활용한 재현 데이터 생성은 대부분 GAN(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 방법론에 기반을 두고 있다. GAN은 적대적 학습법(adversarial learning)을 사용하여 내재적으로 불안정하다는 구조적 한계에도 불구하고 재현 데이터 생성 방법론에 활발히 이용되고 있다. 특히, 표 데이터(table type data)의 성공적인 재현을 위해 고안된 대표적인 방법론인 Table-GAN, CTGAN(Conditional Tabular GAN)은 모두 표 데이터의 고유한 특성을 고려하여 GAN의 변형을 시도하였다. CTGAN 논문에서는 GAN과 함께 대표적인 심층 생성 모형 중 하나인 VAE(Variational AutoEncoder)를 이용한 표 데이터 재현 방법론인 TVAE(Tabular VAE)도 소개되었다. VAE는 우도 함수(likelihood function) 기반의 안정적인 학습이 가능하다는 장점에도 표 데이터 재현 방법론에 많이 이용되지 않았다. 특히, CTGAN 논문에서는 CTGAN과 TVAE의 재현 성능을 비교한 실험의 결과를 제공하는데 TVAE는 CTGAN에 비해 복잡하지 않은 신경망 구조를 가짐에도 더 높은 재현 성능을 보여주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TVAE를 발전시켜 우도 함수 기반의 표 데이터 재현 방법론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론은 TVAE를 3가지 측면에서 발전시켰다. 첫째, 제안 방법은 TVAE에서 사용하는 VAE의 목적함수보다 원본 데이터 분포의 로그 우도 함수(log likelihood)에 대한 더 정밀한 하한 값을 제공하는 IWAE(Importance Weighted AutoEncoders)의 목적함수를 사용하여 학습을 진행하였다는 것이다. 둘째, 제안 방법은 TVAE와 달리 범주형 변수의 범주 불균형 문제를 다루고자 조건부 분포를 고려한 CIWAE(Conditional IWAE)를 개발하여 IWAE를 발전시켰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CIWAE에 TVAE가 사용하는 전처리 기법 외에 표 데이터 재현 방법론에서 사용하는 다른 전 처리 기법을 추가하여 TCIWAE(Tabular CIWAE)를 고안하였다. 제안 방법인 TCIWAE와 기존의 표 데이터 재현 방법론인 CTGAN, TVAE를 비교하기 위해서 2가지 표 데이터를 가지고 재현 데이터 생성 실험을 진행하였다. 결과적으로, 제안 방법론인 TCIWAE가 생성한 재현 표 데이터는 비교 방법론인 CTGAN, TVAE로부터 얻은 그것과 프라이버시 노출 위험 정도는 비슷하면서 여러 가지 유용성 측면에서 더 유사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As data sharing has received much attention, there is a growing concern about the risk of privacy exposure. To overcome the trade-off between data sharing and privacy risk, generating and distributing synthetic data, instead of the original data, is considered as a good alternative. Synthetic data refer to simulated data of the original ones, but still containing meaningful information. Well-generated synthetic data can encourage active data sharing while protecting the privacy of the original data. Most of the existing studies of the tabular data synthesis employing deep generative models consider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GAN). However GAN often gives unstable results since the goal of its objective function is to find a saddle point with a min-max learning procedure. Thus, it is hard to apply to various real-world domains. On the other hand, there is another learning framework which is based on the log-likelihood-based learning method. It is known to be more stable and powerful than GAN, but fewer researches have been done. In this study, we devise a new log-likelihood-based learning framework to generate synthetic tabular data successfully. We focus on the Variational AutoEncoder(VAE), one of the most widely used log-likelihood methods, and improve it in three ways. First, instead of using the Evidence Lower Bound(ELBO), we adapt the objective function of Importance Weighted AutoEncoders(IWAE) that gives a tighter lower bound of the log-likelihood. Second, to handle imbalanced categorical variables more efficiently, we apply IWAE to a conditional generative model, developing Conditional IWAE(CIWAE). Lastly, by combining an existing pre-processing method specializing in tabular data to CIWAE, we devise a new synthesizer called Tabular CIWAE(TCIWAE). To demonstrate the superiority of our method, we conduct various experiments of tabular data synthesis using two benchmark data sets. We show that our method generates more realistic tabular data with similar leakage of privacy information compared to other baseline methods.

      • 대학병원 간호사의 교대 근무 형태에 따른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김지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hift work of irregular university hospital nurses on social psychological stress. Methods: A self administered questionnaire including personal characteristics, shift work for the last 4 weeks, and social psychological stress was conducted on 843 nurses working at shifts in S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social psychological stress was assessed using the PWI-SF questionnaire. PWI-SF was used as a dependent variable and the number of shifts, the number of consecutive times, and the number of changes according to personal characteristics, types of shifts according to the current 4-week shifts as independent variable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Results: As a result of the number of shifts, the odds ratio was 2.60 when the number of nights worked increased and the social psychological stress was 5 times or more when it was 0 time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afternoon and morning shifts. As a result of continuous shift work, odds ratio was 2.43 and 2.91, respectively, when the number of consecutive nights worked more than 2 times and 3 times or more, respectively. The effect of continuous morning and afternoon work on social psychological stress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s a result of the number of shifts in shift work, the social psychological stress increased as the number of shifts increased. The odds ratio was 1.53 and 1.71, respectively, when it was 14-15 times and 16 times or more, respectively. Conclusion: The number of nights worked more than 3 times, psychological stress increases. Morning and afternoon work did not significantly different on social psychological stress. The number of consecutive times affects social psychological stress at nigh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wo or more times, and the number of consecutive times increased sharply. Morning and afternoon work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increasing number of consecutive times. 목적: 불규칙적인 대학병원 간호사의 교대 근무가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서울의 S 대학병원에 종사하는 간호사 중 교대 근무를 하는 자 843명을 대상으로 개인적 특성, 최근 4주간 교대 근무,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에 관한 내용을 포함한 자가기입형 설문지를 진행하였다. 사회심리적 스트레스는 PWI-SF 질문을 사용하였다. PWI-SF를 종속변수로 하였고 개인적 특성, 최근 4주간 교대 근무 현황에 따른 종류별 교대 근무 횟수, 연속 횟수, 변화 횟수를 독립변수로 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교대 근무 횟수에 따른 결과로 밤 근무 횟수는 증가할수록 사회심리적 스트레스는 0회를 기준으로 할 때 5회 이상인 경우 오즈비가 2.60이었다. 오후 근무 및 오전 근무는 횟수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연속적인 교대 근무 횟수에 따른 결과로 연속적인 밤 근무 횟수가 2회, 3회 이상일 때 각각 오즈비가 2.43, 2.91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고, 연속적인 오전 및 오후 근무는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위험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교대 근무 변화 횟수에 따른 결과로 변화 횟수가 많을수록 사회심리적 스트레스는 증가하였다. 11회 이하를 기준으로 했을 때 14-15회, 16회 이상일 때 오즈비가 각각 1.53, 1.71이었다. 결론: 밤 근무 횟수는 3회 이상부터 사회심리적 스트레스가 높아진다. 오전 및 오후 근무는 사회심리적 스트레스를 유의하게 증가시키지 않았다. 연속 횟수는 밤 근무의 경우가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쳤다. 2회 이상부터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연속 횟수가 많아질수록 급격한 증가를 보였다. 오전 및 오후 근무는 연속 횟수 증가에 따른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교대 근무 변화 횟수의 경우 11회 이하를 기준으로 할 때 15회 이상부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14-15회, 16회 이상일 때 오즈비는 각각 1.53, 1.71이었다.

      •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방안 연구 : 중학교 미술을 중심으로

        김지우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미술교육에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의미와 필요성을 구명하고 그 구체적인 실천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Ⅲ장에서는 현행 중학교 미술교육을 중심으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실태와 문제점이 무엇인지 조사·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Ⅳ장에서는 디지털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구체적인 미술과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였다. 4차 산업혁명에 대한 논의 이후 사회는 디지털 연결과 인공지능을 중심으로 기술의 발전 및 융합이 이루어지면서 빠르게 발전했으며 로봇과 비교했을 때 인간만이 해낼 수 있는 고유한 영역은 무엇인지에 대한 고민을 던졌고 인간이 해오던 영역을 로봇이 대체하면서 실존을 위협하였다. 이에 코로나 팬데믹이 낳은 뉴노멀은 삶의 공간, 이동, 건강 등 전 영역에서 생존을 위한 새로운 기준이 마련되어야 함을 요구하며 디지털 기술이 정착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였다. 이 밖에도 코로나 팬데믹은 대면으로 이루어졌던 교육 환경이 원격 수업으로 대체되는 결과를 낳았으며 교육 환경의 디지털화는 디지털 리터러시가 미래 교육에 필요한 기본 역량이 되었음을 알고 교육적 방안 마련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미래 사회의 변화와 이에 대응하기 위한 교육 방향을 제시한 ‘OECD 교육 2030’과 2022 개정 교육과정은 2030년대를 살아갈 성인이 될 학생들이 직면하게 될 예측 불가능한 미래 사회에 대한 전망을 토대로 학생들이 갖춰야 할 역량과 기초 소양을 설정하였다. 전망한 미래 사회에 대한 변화에는 인공지능의 혁신과 관련된 부분이 포함되었으며 이에 학생들이 갖춰야 할 기초 기능으로 디지털 리터러시의 필요성을 제시했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사회적·교육적 환경 변화에서 대두된 디지털 리터러시의 중요성을 파악하고 미술교육의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미술교육과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유사성을 도출하여 그 의미와 필요성을 발견하고자 하였다. 미술교육은 비판적 사고와 창의·융합 능력, 시각 문화 미술교육에서 디지털 리터러시의 교육적 근거를 마련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리터러시의 시각적 결과물인 디지털 콘텐츠 창작 과정과 시각 문화에서의 미술 창작 과정의 구조 속에서도 근거를 파악할 수 있었다. 그 구조는 비판적 사고력과 창의·융합 능력을 바탕으로 하는 사고 능력, 작품 제작을 위한 기능을 활용하고 이를 통한 타인과 의사소통 및 문제 해결을 위한 협업에 활용된다는 점에서 미술 창작과 디지털 콘텐츠 창작 과정이 유사함이 드러났다. 그 밖에도 디지털 리터러시의 구성 요소와 대응되는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핵심 역량의 비교를 통해 주로 ‘시각적 소통 능력’과 ‘창의·융합 능력’과 대응됨을 알 수 있었으며 미술교육을 통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중학교 미술교육을 중심으로 현장의 미술교육을 통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2015 중학교 미술 교육과정과 미술 교과서 5종을 분석하였다. 교육과정 분석에서는 OECD 2030 미래 역량이 반영 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교육과정 내용 맵핑(CCM)연구와 미술과 목표, 내용 체계, 교수·학습 및 방향과 평가의 영역에서 발견할 수 있는 디지털 리터러시 내용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로는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발견할 수 없었으며 포괄적으로 제시하거나 디지털 매체의 다양성을 반영하는 부분이 다소 간접적으로 제시된 것으로 나타났다. 교과서는 중학교 미술 교과서 중 단원에 디지털 요소를 직접적으로 설정하여 대표성을 띄는 5종을 선택하여 디지털 리터러시가 차지하는 양적인 비중과 내용의 제시 형태, 대단원별(체험, 표현, 감상) 구현되는 양상, 디지털 미디어 자료의 종류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 디지털 리터러시 구성 요소의 지식·이해, 과정·기능, 가치·태도 중 가치·태도의 영역과 대단원 중에서도 감상 영역의 양적 비중이 현저하게 낮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문, 자료, 활동 중 본문에서의 내용 제시가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어 전체적으로 일부 분야로 내용 비중이 몰려 있어 이에 대한 개선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또한 대단원별 구현 양상의 분석에서는 제시되는 활동이 하나의 기능으로만 이루어져 있어 좀 더 다양한 디지털 매체 기능 활용의 시도가 요구된다. 디지털 관련 도판 제시 형태 분석에서는 최신 경향을 다룬 디지털 매체나 이를 활용한 현대 미술 작품이 드러나야함을 개선점으로 꼽았다. 좀 더 세부적인 분석으로, 디지털 관련 도판이 주로 전통적 미디어 매체로 여겨지는 인쇄물이나 영상의 단방향 매체가 전체 180개의 자료 중 152개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디지털’ 매체의 특성에 적합한 쌍방향 매체의 제시가 필요함을 시사점으로 제시했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미술교육을 통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수업 형태로는 디지털 기술과 학습을 연결시킨 블렌디드 러닝, 교과 간 지식을 연결한 융합수업, 최근 이슈로 떠오르는 메타버스를 교육적 효과와 미술교육에서의 활용 가능성과 방안을 위주로 제안하였다. 또한 미술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디지털 미술 매체의 활용을 위해 표현과 감상 측면으로 나누어 학교에서의 활용이 용이하고 교육적 가능성이 있는 어플리케이션(APP)과 수업 활용 방안을 제시했다. 마지막으로 교육 실태 분석에서 파악한 시사점을 바탕으로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구체적인 수업 방안을 제시하였다. 학습자의 창의·융합 능력을 이끌어내도록 디자인 싱킹 과정을 수업의 전개 단계에 포함시키고 감상 단원에서 디지털 리터러시의 가치·태도 영역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쌍방향 소통의 디지털 기술과 가상 현실 시스템의 다양한 디지털 매체와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수업을 구성하였다. 이상 본 연구는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미술교육의 의미와 필요성을 제공하여 미술교육이 미래 교육으로서 정당성을 확보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적용이 앞으로 다가온 현 시점에서 미술교육이 나가야 할 방향과 미술 교과서 개발에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제대로 구현하는데 필요한 구체적 방안으로 작용하기를 기대한다. 더 나아가 본 연구에서 이루어진 디지털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미술과 교수⋅학습 방안이 토대가 되어 미술교육 현장에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미술교육이 발전적으로 성장하기를 기대한다.

      • 설명 가능한 딥러닝을 적용한 사용자 행동인식에 관한 연구

        김지우 광운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행동인식(Human Activity Recognition)은 가속도, 자이로스코프 등의 센서 데이터나 카메라 영상을 기반으로 사람의 특정 행동을 인식하는 연 구 분야로 안전 시스템, 건강관리 및 비상상황 감시를 위한 감시 시스템 및 스마트 홈에서 AAL(Active Assistied Living) 서비스의 기반 기술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행동인식 연구 방법으로는 전통적인 AdaBoost, SVM, 랜덤 포레스트 등을 이용한 방법과 딥러닝(Deep Learning) 기반의 행동인식 방법으로 분류 할 수 있다[1]. 최근에는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과 그 장점으로 CNN, RNN 등 딥러닝 알고리즘이 행동인식 연구에 적용되 고 있다. 이 결과 성능 또한 기존의 방법보다 우수하며 정확도가 높은 것 으로 발표되고 있다. 그러나 딥러닝 모델은 결과에 대한 정확도는 높지만, 결과가 나오게 된 근거에 대한 설명이 부족하여 신뢰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2].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행동인식 모델에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XAI, Explainable AI)의 개념을 적용한 설명 가능 한 딥러닝 접근법을 제시한다. 설명 가능한 딥러닝은 행동인식 모델이 내 놓은 결과에 대한 근거를 보여 설명을 할 수 있었으며, 기존의 행동인식 모델의 높은 학습 성과를 유지하면서 각 행동의 판단에 근거가 되는 특징 들을 보여주어 결과에 대한 이해를 높였다. 오류가 발생한 부분을 시각적 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근거로 모델의 개선을 위해 보완할 점을 찾는데 용이함으로 모델 개선에 있어 어려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보 여주었다. Human Activity Recognition is a research that recognizes a person's specific activity based on sensor data such as acceleration, gyroscope, or camera images. Activity Recognition has a variety case of application such as checking safety in real time in the public places or responding quickly through health care and emergency detection in the healthcare. Activity Recognition research can be divided into traditional Activity Recognition method and deep learning based Activity Recognition method. Previous Activity Recognition methods include AdaBoost, SVM, and Random Forest. Recently, Activity Recognition algorithms based on deep learning algorithms like CNN and RNN have been mainly studied. Although Deep learning models have high accuracy on results, they are difficult to trust because of lack of explanation on the basis of the results. This paper presents an explainable deep learning approach that applies the concept of Explainable AI(XAI) to Activity Recognition model. Descriptive deep learning can be explained by showing the evidence for the results of the Activity Recognition model. While maintaining the high learning accuracy of the previous Activity Recognition model, the model which is presented by this paper shows the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judgment of each activity and enhances understanding of the results. The problem of the error occurred can be visually confirmed and solved the difficult problem of finding a complement to improve the model

      • 최근 6년간 인천 지역 2차 대학병원에서의 비결핵항산균 분포 및 미생물학적 특성 연구

        김지우 가톨릭관동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배경: 최근 non-tuberculous mycobacteria(NTM) 감염은 원인균에 따라 치료제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임상에서 균종을 파악하는 것은 치료방향을 설정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천지역에 위치한 2차 대학병원 진단검사의학과에 의뢰된 TB/NTM Real-time PCR 검사가 의뢰된 환자를 대상으로 6년간의 NTM 분포 및 미생물학적 특성을 파악하여 실질적인 진료 방향을 설정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방법: 2015년 1월부터 2020년 10월까지 6년 동안 인천광역시 소재 2차 대학병원 진단검사의학과에 TB/NTM Real-time PCR 검사가 의뢰된 7,978 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연도별 양성률을 조사하고 양성 환자 중에서 NTM 양성인 환자 291명의 의무기록을 통해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연도별 추이를 파악하였을 때, NTM 양성 환자 수는 2015년 30(2.5%) 명에서 2020년 61(4.2%) 명으로 증가한 Mycobacterium tuberculosis(MTB) 의 양성 환자 수는 동일기간 99(8.2%) 명에서 58(4.0%) 명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남성 환자 (2.9%, 131/4,469)보다 여성 환자 (4.6%, 160/3,509)에서 더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연령대는 60대 이상이 75.9% (221/291)로 고령에서 높은 비율을 보였다. 분자 동정 검사 결과 NTM 으로 확인된 291 명 중, 55.3% 환자(161/291)는 M. avium complex(MAC) 에 속하는 균종으로 확인되었고, 그 중 55.3% (89/161)은 M. intracellulare, 44.7% (72/161)는 M. avium 이었다. 결핵배양검사가 의뢰된 205명 중 액체배지 양성률은 73.2% (150/205)였고, 고체배지 양성률은 64.3% (132/205)이었다. 액체배지 및 고체배지에서 NTM 의 평균검출시간은 각각 1.5주, 4.5주였다. 12종의 항결핵제 내성 결과를 보면 균종별로 M. abscessus 가 12종 모두에 내성을 나타내어 NTM 중의 11.0% 내성률을 보였고, M. avium 은 10종에서 NTM 중의 16.5%, M. intracellulare 는 11종에서 내성을 보여 NTM 중에서 57.0%의 약재내성률을 보였다. 동반세균성 감염결과에서는 절반 이상 (82/145, 56.6%)이 세균감염이 동반되지 않았다. 나머지 63명은 NTM과 동시에 동반세균이 확인되었으며, 가장 많은 균종은 63 명 중 15 명(23.8%)이 동정 된 Klebsiella pneumonia 가 차지하였고, 그 다음으로 Candida albicans (12/63, 19.0%), Psuedomonas aeruginosa (10/63, 15.9%), Candida not albicans (7/63, 11.1%), Staphylococc- us haemolyticus (4/63, 6.3%)의 순서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인천지역의 2차 대학병원 진단검사의학과로 의뢰된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단일기관에 국한되고, 수집된 검체의 수가 적음에 한계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를 통하여 인천지역에서 최근의 NTM 의 경향을 확인하였고, 단일 기관에서 6년간 NTM 의 성별, 연령별 분리 빈도 및 미생물학적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NTM 의 비율이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는 부분은 이에 따른 질환 발생이 증가할 수 있음을 시사하여 중요성이 더 높아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NTM 은 결핵과 달리 사람과 사람 사이의 전파가 되지 않아 격리가 필요없지만 집단발병 등의 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므로, 철저한 감염관리가 필요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