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요양병원간호사의 도덕적고뇌와 도덕적 민감성

        김지아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study was a descriptive study to examine the factors that influence moral distress, to explore the experience of moral distress and to identify correlation moral distress and moral sensitivity among nurses in long term care hospitals. Data collection was performed from March 21 to April 8, 2016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he subjects were 180 nurses at a long term care hospitals in G. provinces. Moral Distress measurement tool(21 item checklist)was used on the basis of (Moral Distress Scale for Psychiatric Nurses:MDS-P, Ohnishi et al., 2010)was translated and adapted by Noh, Dabok et al., was developed by this researcher and was verified the contents validity by experts. Measurement tools of moral sensitivity was used as the Moral Sensitivity Questionnaire(Lutzen, 1997) which translated into Korean and modified by Han et al.(2010) for measuring the nurses’s moral sensitiv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WIN 23.0 program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of moral distress in nurses in long term care hospitals was 3.57 out of 6 point scale, and ‘When a patient care by neglecting the patient's condition worsening’ showed the highest scores(4.03),‘When the hospital staff suspected to be tolerated but the patient abuse’(4.01). 2. The mean score of moral sensitivity in nurses in long term care hospitals was 4.82 out of 7 point scale, and the sub-domain of professional responsibility had the highest score(5.53). 3. Moral distress was significantly higher among the woman nurses more than man nurses, charge nurses above more than staff nurses, if there is an educational experience for the moral/ethical issues and with experienced ethical dilemmas when nursing practices. 4. Moral sensitivity was significantly higher with experienced ethical dilemmas more than with unexperienced ethical dilemmas when nursing practice. 5.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oral distress and moral sensitivity(r=.494, p<.001), there was positive correlated on the area of patient-centered care, professional responsibility, conflict and moral meaning within sub-domain of moral sensitivity. 6. On regression analysis, the factors are significantly influenced moral distress were moral sensitivity and were or not the experienced ethical dilemmas when nursing practices. 7. Situation that nurses experienced moral distress; conditions was related to inappropriate care behavior was not guaranteed the quality of nursing care, conditions related to unethical the human rights, conditions related to the lack of nursing staff and conditions related to the lack of support of organizational and national level. In conclusion, on personal side, needs principles-based care and enhancement of empathy ability in order to reduce moral distress, on hospital organizational side, needs promotion of ethical environment in order to protect patient rights and such as ethical educations to be activated for all employees.

      • 대학생의 성인애착, 사회적지지, 자기통제력, 스마트폰 과다사용 간의 구조적 관계

        김지아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vestigating the structual relationship among adult attachment, social support, self-control and smartphone overuse of university students, and verifying that social support and self-control mediate the relations between university student’s adult attachment and smartphone overuse. Participant in this study are 527 students (201 male, 326 female) of university in the cities of Daegu and the provinces of the Gyeongbuk. The scales used for this study are ECRS(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 Scale), Social Support Scale, SCS(Self-Control Scale) and Korean Mobile phone Addiction Scal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18.0 and AMOS 18.0 programs for structural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 university students’ adult attachment, social support, self-control and smartphone overuse. It showed that a university students’ adult attachment directly affected social support, self-control and smartphone overuse. In addition, social support and self-control appeared to be directly related to smartphone overuse. Second, social support and self-control worked as significant mediators in the relations between the university students’ adult attachment and smartphone overuse. In other words, the university students’ adult attachment affected not only directly smartphone overuse but also indirectly via social support and self-control. This result found that there is a necessary for increasing social support and self-control by improving adult attachment to reduce their smartphone overuse. To reduce smartphone overuse, in conclusion, we should consider the adult attachment, and also intervene multidimensionally for increasing social support and self-control at the same time.

      • 패밀리레스토랑 고객이 지각한 메뉴품질이 전환의도에 미치는 영향 : 금전적가치의 매개효과

        김지아 세종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내에 상륙한 서양식 패밀리레스토랑이 지난 1990년대 중반까지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내세우며 자리를 잡으면서 이후 토종 브랜드까지 가세하며 2000년대 중반까지는 그야말로 패밀리레스토랑의 전성기가 펼쳐졌다. 하지만 경쟁 점포들이 증가하며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하는 업체들이 나타나기 시작하였고 장기화된 경기침체와 인구구조가 급속히 변화하면서 내리막길을 걷기 시작하였다. 여기에 생활수준 향상과 외식산업의 발달로 대체식품 등을 구매함으로써 패밀리레스토랑을 찾는 회수는 급격이 줄어들고 있다. 수준 높은 음식과 서비스를 제공받기를 원하는 소비자들은 메뉴에 대한 기대감과 욕구가 높아지고 있어 고객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메뉴선택속성으로 고객들의 전환의도를 감소시킬 것이라는 전제하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는 패밀리레스토랑 고객이 지각한 메뉴품질이 전환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금전적가치를 매개효과로 투입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 조사 대상은 서울과 경기권에 패밀리레스토랑을 이용해본 고객들을 대상으로 설문지 배포 및 작성을 이용한 자기기입법을 통해 360부를 조사하였고, 이중에서 응답이 불성실한 16부를 제외하여 총 344부를 최종 유효 표본으로 활용하였다.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선택속성들을 추가하여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이를 분석하기 위해 빈도분석,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한 방법으로 가설들을 검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패밀리레스토랑 고객이 지각한 메뉴품질은 첫 번째 요인으로 맛과 청결성 위생적인 메뉴, 두 번째 요인으로는 다양하고 건강한 메뉴로 금전적가치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다양하고 건강한 메뉴보다 맛있고 청결하고 위생적인 메뉴가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패밀리레스토랑 고객이 지각한 메뉴품질은 전환의도에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메뉴품질 첫 번째 요인인 맛있고 청결하고 위생적인 메뉴는 전환의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두 번째 요인인 다양하고 건강한 메뉴는 비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패밀리레스토랑 고객이 지각한 메뉴품질은 전환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금전적가치는 매개효과 검증결과 부분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해당 패밀리레스토랑 산업뿐만 아니라 다양한 호텔 및 외식, 기타서비스 분야에도 영향을 미칠 것을 기대한다.

      •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암 환자의 말초신경병증 증상, 수면의 질 및 스트레스 반응 간의 관계

        김지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Chemotherapy-Induced Peripheral Neuropathy(CIPN) is a common reported symptom by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which can negatively impact their quality of life. This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was aimed to explore the CIPN, sleep quality, and stress response in cancer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among them. Convenience sampling was conducted to recruit 140 adult cancer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at a tertiary general hospital in Seoul between June 10 and November 18, 2020. CIPN, sleep quality, and stress response were measured using the Chemotherapy Induced Peripheral Neuropathy Assessment Tool (CIPNAT),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 and the Stress Response Inventory (SRI), respectivel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s, analysis of variance (ANOVA) tests,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using SPSS version 26.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Most patients experienced CIPN (n = 136, 97.1%). Among CIPN symptoms, nerve pain was reported as the most severe and distressing symptom, and numbness in the hands and feet was the most frequently reported symptom. The sleep quality of the patients was generally poor (mean = 6.49, SD = 3.08). More than 50% of patients (n = 79, 56.4%) were categorized as the low sleep quality group. Almost all patients experienced stress response (n = 138, 98.6%). Fatigue was the most common type of stress response (95.0%), followed by frustration (93.6%), tension (85.7%), depression (81.4%), and somatization (70.7%). Patients who received 11 or more chemotherapy cycles reported more severe CINP symptoms (t = -9.022, p<.001), lower sleep quality (t = -2.908, p = .004), and higher stress response (t = -3.299, p = .002) than those with less than 11 chemotherapy cycles. This study identified that more severe CINP was associated with lower sleep quality and higher stress response in cancer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CINP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both sleep quality (r = .290, p = .001) and stress response (r = .356, p<.001). Sleep quality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tress response (r = .479, p<.001). This study identified that more severe CINP was associated with lower sleep quality and higher stress response in cancer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The number of chemotherapy cycles received by patients was also associated with CINP, sleep quality, and stress response. Therefore, regular assessment and appropriate management of CINP could improve the sleep quality and stress response in cancer patients treated with chemotherapy, particularly those who are undergoing long-term chemotherapy, contributing to their quality of life. 본 연구는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암 환자를 대상으로 말초신경병증 증상, 수면의 질 및 스트레스 반응을 파악하고, 상관관계를 규명하여 간호 중재개발을 위한 근거를 마련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상관관계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2020년 6월 10일부터 2020년 11월 18일까지 서울 소재의 상급종합병원에서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성인 암 환자 140명을 편의표집하였다. 말초신경병증 증상은 말초신경병증평가도구(Chemotherapy Induced Peripheral Neuropathy Assessment Tool [CIPNAT])를 한국어로 번역하여 검증받은 후 사용하였고, 수면의 질은 PSQI(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를 한국어로 번역하고 검증한 도구를 이용, 스트레스 반응은 스트레스 반응척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말초신경병증 증상은 대상자의 97.1%가 경험하였으며, 증상 중에서는 발의 둔한 느낌이 69.3%, 발의 저린감이 68.6%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수면의 질은 평균 6.49±3.08점으로 수면의 질이 낮은 군에 해당하는 대상자는 56.4%(79명)로 나타났다. 스트레스 반응은 대상자의 98.6%가 경험하였으며, 하위영역에서 피로가 95.0%, 좌절이 93.6%로 많이 나타났다. 2. 말초신경병증 증상은 말초신경병증을 경험한 기간(F=13.113, p<.001), 항암 종류(t=2.235, p=.027), 누적용량(F=43.438, p<.001), 항암 차수(t=-9.022, p<.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말초신경병증을 6개월 이상 경험한 집단이 6개월 미만인 집단보다 말초신경병증 증상이 심했다. 또한, 파클리탁셀을 투약한 집단이 납-파클리탁셀을 투약한 집단보다 말초신경병증 증상이 심했으며, 누적용량 1,000mg 미만 집단, 1,000~2,000mg 미만 집단, 2,000mg 이상 투약받은 집단 순으로 말초신경병증 증상이 심했다. 그리고 항암 차수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말초신경병증 증상이 심했다. 수면의 질은 항암 차수(t=-2.908, p=.004)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항암 차수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수면의 질이 낮았다. 스트레스 반응은 진단명(F=2.899, p=.024), 말초신경병증을 경험한 기간(F=5.686, p<.001), 항암 종류(t=3.050, p=.003), 누적용량(F=4.665, p=.011), 항암 차수(t=-3.299, p=.002), 항암 주기(F=3.184, p=.044), 신경 독성항암제 수(F=6.305, p=.002)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말초신경병증을 경험한 기간 중 1년 6개월 이상 집단이 6개월 미만 집단보다 스트레스 반응이 높았다. 파클리탁셀을 투약한 집단이 납-파클리탁셀을 투약한 집단보다 스트레스 반응이 높았고, 누적용량 2,000mg 이상인 집단이 1,000mg 미만 집단보다 스트레스 반응이 높았다. 항암 차수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스트레스 반응이 높았으며, 신경독성 항암제 수는 파클리탁셀을 단독 투여한 집단이 다른 1개의 신경독성 항암제를 추가하여 투약한 집단보다 스트레스 반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암 환자의 말초신경병증 증상 정도는 수면의 질(r=.290, p<.01), 스트레스 반응(r=.356,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상관관계를 보였다. 수면의 질의 경우 스트레스 반응(r=.479,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암 환자의 말초신경병증 증상이 심할수록 수면의 질은 낮고, 스트레스 반응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암 환자의 말초신경병증 증상, 수면의 질, 스트레스 반응은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항암 차수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말초신경병증 증상이 심했고, 수면의 질은 낮고, 스트레스 반응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항암치료가 길어지는 환자에게 주기적으로 말초신경병증 증상과 수면의 질, 스트레스 반응을 사정하고, 평가하여 관리한다면 환자의 삶의 질 향상에도 도움일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성장 마인드셋 수학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마인드셋과 수학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김지아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성장 마인드셋 수학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마인드셋과 수학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5학년 1학기 수학 6단원 ‘다각형의 둘레와 넓이’를 성장 마인드셋 수학 수업으로 구성하여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에게 적용하였다. 성장 마인드셋 수학 수업을 통해 학생들의 마인드셋과 수학적 자기효능감의 변화가 있었는지,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검사를 위한 측정도구로 마인드셋은 Dweck(2000)이 개발하고 김보미(2016)가 수정보완한 마인드셋 척도를 활용하였으며, 고정 마인드셋과 성장 마인드셋 두 가지 하위요소로 구분하였다. 수학적 자기효능감은 김아영과 박인영(2001)이 제작한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를 활용하여 수정보완한 김경아(2010)의 질문지를 최승용(2012)이 수정보완한 수학적 자기효능감 척도를 활용하였으며, 수학 과제 난이도 선호, 수학 자기조절 효능감, 수학 자신감의 세 가지 하위요소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의 마인드셋과 수학적 자기효능감의 사전 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을 위하여 ‘마인드셋’(Dweck, 2017), ‘스탠퍼드 수학공부법’(Boaler, 2017)과 ‘언락’(Boaler, 2020)을 참고하여 초등학생들의 특성 및 이해 수준에 맞는 성장 마인드셋 수학 수업을 구성하였다. 이후 실험 집단은 성장 마인드셋 수학 수업을 적용하였고, 통제 집단은 아무런 적용을 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실험 집단의 마인드셋과 수학적 자기효능감을 사후에 다시 측정하여 변화의 정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위 과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이 연구에서는 성장 마인드셋 수학 수업의 핵심 요소로 ‘풍부한 수학 과제 경험하기’, ‘실수와 실패의 가치 탐색하기’, ‘성취의욕과 도전 의식 기르기’, ‘창의성 기르기’, ‘끈기와 노력 기르기’, ‘칭찬 주고 받기’ 등 6가지를 추출하였다. 또한 이 6가지 핵심 요소들로 이루어진 수학 수업을 구성하여 초등학교 5학년 한 학급에 적용한 결과, 이 요소들이 충분히 초등학교 수업에서 구현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 요소들이 독립적으로 기능할 때 보다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통합적으로 기능할 때 수업 효과가 극대화됨을 확인하였다. 둘째, 이 연구에서 구성한 성장 마인드셋 수학 수업은 초등학생들의 마인드셋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성장 마인드셋을 지닌 학습자를 더욱 견고한 성장 마인드셋을 지닌 학습자로 변화시켰다. 또한 자신의 능력은 노력으로 변하지 않는다는 믿음인 고정 마인드셋을 지닌 학습자 역시 자신의 능력은 노력을 통하여 변할 수 있다는 믿음인 성장 마인드셋을 지닌 학습자로 변화시켰다. 셋째, 이 연구에서 구성한 성장 마인드셋 수학 수업은 초등학생들의 수학적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학적 자기효능감의 하위 요소인 수학 과제 난이도 선호, 수학 자기조절 효능감, 수학 자신감이 모두 유의미하게 차이를 나타내며 상승하는 효과를 보였다.

      • 포스트페미니즘 시대의 여성주의 다큐멘터리 : 한국 여성주의 다큐멘터리 생산자의 인식을 바탕으로

        김지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포스트페미니즘 시대를 IMF 구제금융 사태가 발생한 1990년대 후반 이후로 상정하고, 여성이라는 범주가 파편화되고 여성주의의 유효성이 의심받는 포스트페미니즘적 상황 하에 만들어지는 한국 여성주의 다큐멘터리의 지형과 의의를 생산자의 의식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포스트페미니즘 시대의 여성주의 다큐멘터리가 탈식민페미니즘에서 중시하는 여성 스스로 이야기하기와 연관하여 사회적 발화로서 기획, 제작, 배급에 거쳐 어떠한 양상으로 구현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여성주의 다큐멘터리 텍스트를 살펴볼 뿐 아니라 서울여성국제영화제에서 주최하는 여성주의 다큐멘터리 감독들의 마스터클래스 참여와 해당 감독들을 대상으로 한 심층인터뷰를 통해 연구자료를 모으고 여성주의 다큐멘터리 생산자들이 가지고 있는 인식과 영상제작 작업이 가지는 의미에 대한 분석을 시도했다. 연구과정을 통해 오늘날의 한국 여성주의 다큐멘터리들이 포스트페미니즘 시대 이전보다 다양한 여성의 삶을 담아내고 있었을 뿐 아니라 여성이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은 이야기를 다룸으로써 주제와 대상을 확장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성을 본격적으로 다루는 여성주의 다큐멘터리의 경우에는 개인화되어 단절된 여성들이 서로를 이해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하여 연대의 계기를 제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었다. 이를 통해 여성주의 다큐멘터리는 여성주의 폐기론이 확산된 사회에 여성문제에 대한 담론을 지속적으로 제기함으로써 여성 차별에 관여하는 권력이 은밀하게 작용하는 것을 견제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한편 여성이 아닌 다른 주제와 대상을 이야기하는 다큐멘터리들은 두 가지 측면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첫 번째는 여성주의 다큐멘터리 생산자들이 가지는 여성주의적 시각이 탈권력적 속성을 가지고 권력에 의해 발생하는 모든 종류의 배제와 소외를 밝혀낼 수 있다는 데 있다. 여성주의 다큐멘터리는 여성주의적 시각으로 여성 뿐 아니라 여타 재현대상 집단이 가지는 다양한 삶의 모습을 보여주면서도 인간은 누구나 가변적이라는 점에서 동일함을 조명하여 다름과 같음을 병치시킨다. 두 번째는 포스트페미니즘적 현상인 여성의 개인화와 신자유주의의 확산에 따른 현대사회 개인의 파편화이다. 개인화된 여성들이 하나의 범주로 묶이기 어려워짐으로써 여성범주의 경계는 흐려진다. 이는 오히려 고정적이고 본질적인 구획을 해체함으로써 여성주의 다큐멘터리에 있어 여성이 아닌 타자들에게까지 여성서술의 범주를 확장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포스트페미니즘 시대의 문제로 지적되는 여성들의 분화는 여성주의 다큐멘터리에 있어 여성문제를 계속 담론화하고 연대의 고리를 제공해야 하는 과제를 제시하면서도, 역설적으로 여성주의 다큐멘터리가 대상의 확장을 모색할 수 있는 배경이 되었으며 탈경계를 통해 연대의 범주를 넓힐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는 다층적인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topography and significance of Korean feminist documentaries produced in the postfeminist era, era during which the categorization of women is fragmented and the effectiveness of feminism is suspected, based on the perceptions of directors. Also, the study investigates how feminist documentaries of postfeminism era is embodied as a social utterance through planning, production and distribution in relation to the self-narrative of women stressed by postcolonial feminism. In order to do this, not only the researcher examine feminist documentary texts, but the researcher also collects data through participation in master class hosted by International Women's Film Festival in Seoul and in-depth interviews of feminist documentary directors, and analyzes the perceptions of significance of film production of these feminist documentary directors. Korean feminist documentaries that a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not only observe the lives of diverse women compared to time before post-feminist era, but also expand on themes and subjects by handling stories in which women are not directly related. Feminist documentaries that earnestly started to deal with women have become individualized to open an sphere for the alienated women to understand each other, which posed a possibility of providing an opportunity for solidarity. Also, it serves the role of keeping the powers involved in discrimination of women from secretly asserting its influence by constantly bringing up the discussion about feminist issues as the abolition of feminism spreads in the society. On the other hand, documentaries that deal with other themes and subjects other than women may be interpreted to rise from two aspects. Firstly, the feminist views held by the feminist documentary producers carry power dissolution aspects and may shine light on all types of exclusion and alienation rising from power. Feminist documentaries show diverse lives of not only women but also other groups that could be reproduced in feminist point of view. By juxtaposing the likeness and differences of humans by casting light on the fact that all humans are identical in that they are variable. Secondly, it is the individualization of women, a postfeminism phenomenon, and fragmentation of individuals in the modern society due to spread of neoliberalism. The boundaries of women becomes vague as individualized women become harder to group under one category. Contrarily, this dissolves the fixed, fundamental divisions which makes it possible for the expansion of female narrative to others beyond women in feminist documentaries. Division of women, which is pointed out as a problem in postfeminism era, demonstrates multi-layered aspects by paradoxically serving as a background to expand the subjects of feminist documentaries and providing a chance to widen the range of solidarity by breaking away from the boundaries.

      • 입원환자가 인식한 환자중심간호가 환자경험에 미치는 영향

        김지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상급종합병원에 입원한 환자가 인식하는 환자중심간호와 환자경험정도를 파악하고 환자중심간호가 환자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환자중심간호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소재 A병원에 입원하고 있는 환자 147명이며, 자료 수집은 2021년 10월 12일부터 10월 24일까지 실시되었다. 연구 도구로 사용된 환자중심간호는 Suhonen (2000)이 환자를 대상으로 개발한 도구를 양인숙(2008)이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도영경 등(2015)이 개발하고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귀속된 환자경험평가 문항을 도구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é test, Welch’s F, Dunnett’s T3,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linear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자의 환자중심간호는 5점 만점에 평균 3.78±0.60점이었고, 환자중심간호의 하위요인 중 환자중심간호 제공에 대한 인식은 3.68±0.69점, 환자중심간호 반영에 대한 인식은 3.89±0.59점이었다. 연구대상자의 환자경험은 100점 만점에 평균 84.46±13.83점이었으며, 환자경험의 하위요인은 간호사 영역 89.81±15.03점, 병원 환경 86.14±18.46점, 투약 및 치료과정 83.71±17.12점, 전반적 평가 83.44±11.73점, 의사 영역 82.60±19.19점, 환자권리보장 81.56±19.06점 순이었다. 2.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질병 관련 특성에 따른 환자경험은 대상자의 최종학력에 따라 환자경험 총점(F=4.728, p=.004), 간호사 영역(F=5.298, p=0.003), 의사 영역(F=4.431, p=.009), 환자권리보장(F=4.297, p=.010)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병원환경은 최종학력(F=4.398, p=.009), 진료과(F=3.435, p<.001), 재원기간(F=5.161, p=.008),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재원 여부(t=5.979,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3. 환자중심간호와 환자경험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r=.662, p<.001), 환자중심간호와 환자경험의 하위 영역인 간호사 영역(r=.527, p<.001), 의사 영역(r=.430, p<.001), 투약 및 치료 과정(r=.693, p<.001), 병원환경(r=.318, p<.001), 환자권리보장(r=.535, p<.001), 전반적 평가(r=.675, p<.001) 간에도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4. 환자중심간호에 따른 환자경험의 회귀모형을 검증한 결과, F=56.868(p<.001)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43.4%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본 연구의 결과 환자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환자중심간호이었으므로 환자경험 증진을 위해 환자중심간호에 대한 간호사 대상 교육과 직접간호시간 증진 및 간호전달체계 보완과 같은 처우개선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Recently, the patient satisfaction questionnaire has been replaced by the patient experiences questionnaire as the latter makes it possible to measure actual patient-centeredness in medical service. Furthermore, it has been proved that patient-centered care had an impact on patient satisfac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atients’ perception of patient-centered care, their experience in hospital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Data were collected from 147 inpatients from a general hospital in Seoul, South Korea through written questionnaires between October 12 – 24, 2021.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6.0 was used to analyze the respondents’ general characteristics, disease-related characteristics, as well as their perception of patient-centered care, and their experien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é test, Welch’s ANOVA, Dunnett’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a multiple linear regres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s were 3.788±0.60 for the patient-centered care, 3.68±0.69 for the specific nursing interventions(Individualized Care Scale-A, ICS-A), and 3.89±0.59 for how they perceive individuality in their own scale(Individualized Care Scale-B, ICS-B), out of 5. The mean scores were 84.46±13.83 for patients’ experience, 89.81±15.03 for the nurses’ area, 86.14±18.46 for the hospital environment, 83.71±17.12 for the medication and treatment process, 83.44±11.73 for the overall estimation, 82.60±19.19 for the doctoral area, and 81.56±19.06 for the patient’s rights, out of 100. 2. Among the patients’ general and disease-related characteristics, education level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on patient’s experience (F=4.728, p=.004), nurses’ area (F=5.298, p=0.003), doctoral area (F=4.431, p=.009), and patients’ rights (F=4.297, p=.010). Education level (F=4.398, p=.009), unit (F=3.435, p<.001), length of stay (F=5.161, p=.008), and whether it was an integrated nursing care service (t=5.979, p<.001) had significant differences on hospital environment. 3. Patient-centered car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atients’ experience (r=.662, p<.001), nurses’ area (r=.527, p<.001), doctoral area (r=.430 =, p<.001), medication & treatment process (r=.693, p<.001), hospital environment (r=.318, p<.001), patients’ right (r=.535, p<.001), and overall evaluation (r=.675, p<.001). 4. The factor which had a significant impact on patients’ positive experience was patient-centered care. The level of power was 43.4% and the regression mode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56.868, p<.001). This finding shows that patients’ experience is preceded by patient-centered care. Therefore, to promote patient’s experience, spotlighted as a medical institute evaluation tool, our results suggest that efforts should be made to raise nurses’ awareness of patient-centered care and organizational support for nursing work environment. Therefore, improvement in supplementing the patient-centered delivery system, nurse education for patient-centered care, and sufficient time between nurse and patient is necessary.

      • 부모-자녀 보고의 차이에 따른 소아청소년의 비만 양상 : 소아청소년 비만군을 중심으로

        김지아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국내 과체중 및 비만 소아청소년을 대상으로, 자녀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에 대하여 부모와 자녀 간의 보고 불일치 여부 및 유형과 자녀의 비만 심각도와의 관계를 탐색한 연구이다. 지역 사회 기반 고도비만 소아청소년 중재연구의 기저선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총 120명의 소아청소년(평균 연령 = 11.4세, SD=1.5)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에 대한 부모-자녀 간의 보고 불일치를 측정하기 위해, 부모가 자녀의 정서 및 행동 문제를 보고하는 CBCL(Child Behavior Checklist, 아동 및 청소년 행동평가척도 부모용)과 자녀가 스스로의 문제에 대해 보고하는 YSR(Youth Self Report, 청소년 행동평가척도 자기보고용)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보고 일치 및 불일치 집단을 다음과 정의하였다: (1) 부모-자녀 간의 보고가 일치하는 집단 (CBCL=YSR); (2) 자녀만 스스로의 문제에 대해 심각하게 보고한 집단 (CBCL<YSR); (3) 부모만 자녀의 문제를 심각하게 보고한 집단 (CBCL>YSR). 본 연구에서 자녀의 비만 심각도는 BMI를 성별 및 연령을 기준으로 산출한 BMI-Z점수를 활용하여 측정되었다. 또한 부모-자녀 간의 보고 불일치 유형과 자녀의 비만 심각도와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공변인을 통제하기 위해, 연구 대상자의 성별, 나이, 사회경제적수준, 자아존중감, 어머니의 체지량지수 및 우울정도를 공변인으로 설정하여 통제하였다. CBCL을 활용하여 가족의 경제적 수준, 부모의 학력을 수집하였고, 어머니의 체질량지수와 같은 부모의 생리적 지표와 어머니의 우울 심각도, 자녀의 자아존중감을 포함한 심리적인 요인들도 함께 분석하였다. 보고 일치 및 불일치 여부에 따른 자녀의 비만 심각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내재화 문제에 대한 보고 불일치 여부와 자녀의 비만 심각도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외현화 문제에 대한 보고 불일치 집단이 보고 일치하는 집단에 비해 자녀의 비만이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t=-2.352, p<0.05). 또한, 보고 불일치 유형과 자녀의 비만 심각도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내재화 문제에 대한 보고 불일치 유형과 자녀의 비만 심각도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외현화 문제에 대하여 자녀만 스스로의 문제에 대해 심각하게 보고한 집단이 공변인들을 통제한 후에도 보고 일치하는 집단에 비해 자녀의 비만이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t=2.343, p<0.05). 즉, 자녀의 외현화 문제에 대한 보고 불일치는 자녀의 비만 심각도와 관련이 있었으며, 특히 자녀만 스스로의 외현화 문제에 대해 심각하다고 보고한 집단이 보고 일치하는 집단에 비해 체중 문제가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내 과체중 및 비만인 소아청소년을 대상으로 부모-자녀 간의 보고 불일치와 자녀의 비만 심각도와의 관련성을 검증하였다. 이는 전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소아청소년 대상 선별도구인 CBCL과 YSR를 활용하여 부모-자녀 간의 보고 불일치와 자녀의 비만 심각도와의 관계를 탐색한 국내외 최초의 연구라는 의의가 있다. 또한 자녀만 스스로의 문제에 대해 심각하게 보고한 경우, 가지고 있는 체중 문제들이 심각할 수 있기 때문에, 임상 현장에서 이들 집단에 대한 각별한 주의를 환기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