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김지수의 졸업 작품 『Dream』의 해설

        김지수 동덕여자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63

        본 소논문은 석사학위 이수 과정을 위하여 ⌜Dream⌟ 이라는 주제로 졸업공연을 한 작품들에 대한 해설이다. 누군가를 사랑하고 그리워하며 느꼈던 감정들을 바탕으로 작품들을 구성하였다. 졸업 작품의 제목은 ⌜Dream⌟이며, 설렘, 사랑, 이별, 그리움의 4가지의 테마로 나누어 구상하였다. 1) Hello, Stranger 재즈풍의 발라드 곡으로, 낯선 여인에게 느낀 아름다움을 표현하였다. Swing Rhythm을 기반으로 한 12/8박자의 곡이다. 2) Dream All Day 그녀와 함께 하면서 마치 꿈을 꾸는 것과 같은 설레고 행복한 감정을 표현하였다. 4/4박자의 가요 곡이다. 3) Dust 상처 받은 마음을 덤덤하게 표현한 곡이다. 먼지라는 물질에 나를 비유하여 마치 그녀의 인식 속에 작은 먼지가 된 것만 같다는 감정을 표현한 6/8박자의 가요 곡이다. 4) 여기는 달 그녀가 떠난 후 느끼는 감정을 온기도, 공기도, 중력도 없는 차가운 달에 비유하여 표현하였다. 4/4박자의 가요 발라드 곡이다.

      • F. Liszt의 Piano Sonata in b minor에 관한 분석 연구

        김지수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논문은 19세기 대표적인 작곡가이자 피아니스트였던 리스트(Franz Liszt 1811-86)의 유일한 피아노 소나타인 「Piano Sonata in b minor」를 분석 연구한 것으로 곡의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 곡은 악장의 구분 없이 각 부분들이 계속 연결되는 단일악장으로 되어있는데 이 단일악장은 소나타 형식을 취하고 있다; 전체 구조는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는데 제Ⅰ부는 mm.1-330이고 제Ⅱ부는 mm.331-452, 제Ⅲ부는 mm.453-760이다. 둘째, 5개의 주제적 소재 A, B, C, D, E가 나오는데 각각의 주제는 성격적으로 매우 다르나 동음반복, 7도 2도의 음정, 감7화음 그리고 동음반복 뒤에 하행하는 선율진행 등의 공통적인 요소를 가지고 있다. 셋째, 5개의 주제적 소재는 리듬의 축소와 확대, 선율 연장, 조성의 변형, 장식음, 반주부의 변화등과 같은 주제변형기법을 통해 전 곡에 걸쳐 사용되고 있다. 넷째, 조성은 관계조(Related key Relationship)를 이루며 전통적인 조성체계를 따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섯째, 폭넓은 음역, ppp에서 fff까지 이르는 다이나믹, 풍부한 화음등을 사용하여 관현악적인 색채가 풍부하다. 이와 같이 리스트의 「Piano Sonata in b minor」는 전통적인 소나타의 조성구조 안에서 독창적 양식의 소나타 형태를 시도하였으며 피아노에서의 다양한 음향을 개발하여 피아노 음악에 새로운 지표를 제시하였다.

      • 레이저 점화기용 수동형 Q-스위칭된 Yb:YAG/Cr:YAG 레이저 출력 특성에 대한 연구

        김지수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47

        We successfully constructed a passive Q-switched Yb:YAG laser ignitor pumped using a diode laser with low power and long pulse width.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study to achieve a quasi-MW output power from an optimized Q-switch Yb:YAG laser ignitor by using a pumping diode laser module emitting at under a power of 23 W. The output pulse energy of our optimized laser is 0.98 mJ enclosed in a 1.06 ns pulse width, corresponding to a peak power of 0.92 MW. To achieve this, we experimentally investigated the dependence of the laser output on cavity length, initial transmittance of Cr:YAG, pump beam size, and output coupler reflectance. On the basis of the experimental analysis, we determined the design parameter values for our laser ignitor. We found that these results approximately agree with the theoretical results. If we can coat the optical component using an ion-beam sputtering method, we can obtain an more increased output pulse energy from our Q-switched laser.

      • 내삽형 자기카메라를 이용한 습분분리재열기의 비파괴검사 및 평가

        김지수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study analyzes the nondestructive testing and evaluation of moisture separator and reheater (MSR) in the secondary system. The MSR is a heat transfer tube in a heat exchanger, which increases the quality of steam used in a high-pressure turbine to reuse it in a low-pressure turbine. As the MSR tube is made of ferromagnetic material (SS439), it shows high strength under the conditions of high temperature and pressure. Nondestructive testing applying existing eddy current inspection technology cannot be carried out on ferromagnetic tubes due to electromagnetic characteristics such as high magnetic permeability and low conductivity. Moreover, the shape of a fin installed at the external wall of this tube to increase heat transfer area leads to leakage flux or distortion of eddy currents, thereby reducing fault detection performance.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of signal processing and analysis, which detects faults in the ferromagnetic MSR fin tubes electromagnetically to remove the distribution of eddy currents distorted by external fins and extract valid fault information effectively. Magnetic flux leakage testing (MFLT), eddy current testing (ECT) and combined ECT were performed and evaluated by using a Bobbin-type magnetic camera to examine the MSR tube. The test results indicate that stripes are repeatedly shown by the external fin in MFLT and that the S/N ratio increases due to the minimized number of stripes in ECT. However, signal strength is higher in MFLT than that in ECT. The results obtained by conducting combined ECT applying both MFLT and ECT verify that the number of stripes generated by the external fin is lower than that in MFLT and that the S/N ratio increases due to stronger fault signals. For this reason, combined ECT was applied in this study. In addition, the fault detection performance of this method was validated by using a SS439 specimen in which artificial faults such as flat bottom holes, slits, tapered wear, and grooves were added.

      • 라디오방송 광고의 청각적 요소가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 : 국내 여행사 라디오 광고를 중심으로

        김지수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라디오 광고시장은 인터넷과 모바일 등의 디지털 광고 매체의 도전에 직면하면서 광고매체로서의 타당성 유지와 더불어 광고주의 광고 집행을 확보하는데 상당한 고전을 하고 있으며 최근의 동향을 바탕으로 라디오 광고가 소비자들의 여행사 브랜드를 인식하는데 어떠한 작용을 하게 되고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청각적 혹은 시각적인 요소와 같은 외적인 요소를 활용하여 차별성을 가진 광고를 자아내거나 이미지를 강조하고 있는 라디오 매체를 활용하여 국내 여행사 브랜드 인지에 어떠한 요소가 광고효과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연구에서는 광고에서 사용되고 있는 청각적 요소를 CM송, 유명인/연예인, 멘트/내레이션으로 3개의 실험 자극물을 구성하여 A, B 2개의 실험집단 피험자들에게 들려준 뒤 여행사 브랜드를 인지하는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서울· 경기 지역의 라디오 실험물을 청취 가능한 피험자를 대상으로 80명으로부터 자기기입식 설문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의 결과 라디오 광고의 청각적 요소 중 유명인/연예인 요소가 실험집단 A에서는 29 % 실험집단 B에서는 23% 로 가장 높은 광고효과로 나타났고 교차분석을 통해 실험집단 A, B 동일한 결과 값을 볼 수 있다. 반면에 청각적 요소 중 가장 높은 광고 효과를 보일 줄 알았던 CM송 요소는 실험집단 A는 21.3% 실험집단 B도 A와 마찬가지로 21.3%로 유명인/연예인 요소보다 낮은 광고효과로 볼 수 있다. 멘트/ 내레이션도 실험집단 A 13.8% 실험집단 16.3%로 가장 낮은 효과를 보인다. CM송 요소가 광고 효과에 가장 많은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했으나 예상과는 다르게 유명인/연예인 요소가 광고 효과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낸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대중매체 중 라디오가 갖는 특성을 활용하여 라디오 광고효과를 검토하고 광고효과를 실증적으로 살펴본 탐색적 시도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의 발견에 기초하여 광고 제작의 활성화 및 대안을 수립하는데 보다 심도 깊은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Faced with the challenges of digital advertising media such as the Internet and mobile, the radio advertisement market has been struggling to maintain its validity as an advertising media and to secure execution of advertisers. Based on recent trends, it is important to study how radio advertisements work and affect consumer’s recognition of travel agency brands. This study investigated what factors influence the advertising effect in brand recognition of domestic travel agencies by using radio advertisements that was made to differentiate or highlight advertisements with external elements such as auditory or visual components. The study was conducted on two experimental groups of A and B on recognition of domestic travel agencies after hearing the advertisements with the auditory components that are composed of three experimental stimuli such as CM song, celebrity/entertainer, and comments/narration. For the study,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collected from 80 subjects who can listen to radio experiment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s a result, the celebrity/entertainer factor of the auditory components in radio advertisements was shown the highest advertising effect in experimental group A at 29%, and in experimental group B at 23%, the experimental group A and B were the same results through the cross analysis. On the other hand, the CM song factor was expected to show the highest advertising effect among the auditory components. However, it showed lower advertising effect than the celebrity/entertainer factor in experimental group A at 21.3%, and in experimental group B at 21.3%. Comments/narration also showed the lowest effect in experimental group A at 13.8% and in experimental group B at 16.3%. Although it was expected that the CM song factor would have the most impact on the advertising effect, contrary to its expectations, this study found that the celebrity/entertainer factor had a more positive effect on the advertising effect. This study is an exploratory study which examined the effect of radio advertising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radio in the mass media and determined the advertising effect empirically. Based on these findings, further research should be continued in depth to establish the revitalization and alternative of advertising production.

      • J.S. 바흐의 《이탈리아 협주곡》(BWV 971) 분석 연구

        김지수 건국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47

        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 was one of the greatest composers in the Baroque period. Bach composed music in a variety of genres, and his concertos would represent a significant part of it. Of Antonio Vivaldi’s (1678-1741) concertos, the one which Bach was influenced by was the concerto grosso in ritornello form. He also composed his own concertos based on the concerto grosso. In particular, during his Leipzig period (1723-1740), Bach composed concertos for various instruments. He included from one to four harpsichords in his concertos for harpsichords (keyboard instruments). Of the concertos for keyboard instruments, this paper analyzes the Italian Concerto BWV 971. Since this piece is, unlike concertos for orchestra or solo instrument, a solo harpsichord without accompaniment, it shows a unique structure which is different from Bach’s typical concertos. Hence, this paper examines how the ritornello and alternating episodes are expressed in the concerto form through the solo instrument. Section 2 examines the musical characteristics, types of concerto, and the ritornello form in the Baroque period and briefly discusses Bach’s concertos for solo harpsichord. Section 3 explores the background of the Italian Concerto BWV 971 and analyzes how the ritornello and alternating episodes are expressed by the solo keyboard instrument. J. S. 바흐(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는 바로크시대를 대표하는 작곡가이다. 바흐는 비발디(Antonio Vivaldi, 1678-1741)의 전통을 이어 합주협주곡(concerto grosso)으로부터 영향을 받았으며 이를 토대로 자신만의 협주곡을 작곡하였다. 특히 바흐는 라이프치히 시기(1723-1740)에 여러 악기를 위한 협주곡을 작곡하였으며 그 중에서도 건반악기(하프시코드)를 위한 협주곡에서는 한 대에서 네 대까지의 편성으로 작곡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들 건반악기를 위한 협주곡 중에서 《이탈리아 협주곡》(BWV 971)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 곡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오케스트라와 독주 악기를 위한 협주곡이 아닌 무반주의 독주 건반악기 협주곡이기 때문에 바흐의 일반적인 협주곡과는 다른 독특한 편성을 보인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리토르넬로와 에피소드의 교대가 독주악기를 통하여 어떻게 협주곡의 형태로 나타나는지를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제2장에서는 바로크시대의 음악적 특징과 당시 협주곡의 종류, 그리고 리토르넬로 형식에 대해 다루었고 이어 바흐의 건반악기를 위한 독주협주곡을 간략하게 논하였다. 제3장에서는 《이탈리아 협주곡》(BWV 971)의 작품 배경에 대해 알아보고 독주 건반악기에서 어떤 방식으로 리토르넬로와 에피소드의 교대가 나타나는지 분석하였다. 바흐는 제1악장과 제3악장에서 리토르넬로와 에피소드의 교대를 통하여 협주곡에서의 음색의 대비를 표현하였으며 이 곡에서 하프시코드라는 독주악기를 통하여 리토르넬로 형식을 구축하여 음악사적으로 새로운 시도를 보여주었다.

      • L-Arginine으로 코팅된 이산화규소 나노물질의 체내 및 체외 유전독성시험

        김지수 순천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L-arginine으로 코팅된 이산화규소 나노물질(SiO220[R], SiO2100[R])의 입자 크기는 투과전자현미경(TEM)으로 확인하였다. TEM 영상으로부터 500 개의 입자를 무작위로 추출하여 평균입자크기를 측정한 결과, L-Arginine으로 코 팅하기 전과 후의 이산화규소 나노물질의 크기 변화는 약 2nm로 확인되었 다. 표면 전하(zeta potential) 분석을 통하여 평균 전하값이 서로 유사한 것 으로 확인되었기 때문에 크기에 따른 이산화규소나노물질의 유전독성을 판단 하기 위한 시험물질로 적합하다고 사료되었다. 유전자 수준에서의 돌연변이 유발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histidine 요구성 균주인 Salmonella typhimurium TA98, TA100, TA1535 및 TA1537 균주와 tryptophan 요구성 균주인 Escherichia coli WP2uvrA 균주를 이용하여 복귀돌연변이시험을 실시하였다. 복귀돌연변이시험 결과, 용매대조군에 비해 이산화규소 나노물질 처리군의 복귀돌연변이 콜로니 수의 증가는 나타 나지 않았다. 따라서 L-arginine으로 코팅된 이산화규소 나노물질(SiO220[R], SiO 100[R])은 염기쌍 치환(base pair substitution)과 해독틀 돌연변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염색체의 수적이상 및 구조적이상 유발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CHL/IU (Cricetulus griseus, hamster, Chinese)세포주를 이용하여 염색체이상시험을 수행하였다. 염색체 이상시험 결과, 염색체이상을 가진 세포의 출현빈도는 용매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지 않았다. 따라서 L-arginine으로 코팅된 이산화규소 나노물질(SiO220[R], SiO 100[R]는 염색체이상을 유발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설치류(마우스, 쥐) 골수세포에서 소핵을 갖는 다염성 적혈구(MNPCE)의 유발여부을 판단하기 위하여 소핵시험을 수행하였다. 소핵시험 결과, 이산화규소나노물질 투여군에서 다염성적혈구 중 소핵을 갖는 다염성 적혈구(MNPCE)의 출현빈도는 용매 대조군과 비교하여 볼 때 증가하는 경향을 나 타내지 않았으며 통계적인 유의성도 보이지 않았다. 또한 전체 적혈구 중 다 염성 적혈구의 비율 [PCE/(PCE+NCE)]도 음성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통계학 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L-arginine으로 코팅된 이산화규소 나노물질(SiO 20[R], SiO 100[R])은 단기간 및 장기간 생체 내 노출 시 적혈구의 분화과정에서 소핵을 유발시키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이산화규소 나노물질은 유전독성을 일으키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모든 실험과정은 GLP 시험기관 내에서 OECD test guideline에 따라 수행되었으며 이는 이산화규소 나노물질의 유 전 독성 유발 여부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시험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e field of nanotechnology has been growing rapidly in various industries over the last decade. Nanoparticles (NPs) refer to compounds or particles with ranging between 1 and 100 nanometers. Products made from NPs are already commercially used in the fields of biology, biotechnology, and medicine, including use in drug delivery, tissue engineering, tumor destruction, and biosensing. However, nanoparticles may be hazardous to human health because of their unusual physicochemical properties, eg, small size, high surface to volume ratio, chemical composition, crystallinity, electronic properties, surface structure reactivity and functional groups, inorganic or organic coatings, solubility, shape, and aggregation behavior. Several nanotoxicology reports have proposed that nanoparticle causes a dose-dependent cytotoxicity in Cell lines. However, results of some studies were shown the opposite result. Nanoparticle related studies reported that differences were generated by the size and surface charge of the specific nanoparticles. In the present study, four genotoxicity tests were conducted with well characterized L-Arginine-coated SiO2 nanoparticles 20 nm(SiO 20[R]) and 100 nm (SiO2100[R]) in size, each having a negative and positive surface charge. The genotoxicity of SiO2 was evaluated using two types of well L-Arginine-coated characterized SiO2. Four end point genotoxicity tests, ie, the bacterial mutation assay, in vitro chromosomal aberration test, micronucleus test using mouse and micronucleus test using rat (Repeated dose 90-day) were conducted following the test guidelines of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with application of Good Laboratory Practic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bacterial mutation assay, in vitro chromosomal aberration test, in vivo micronucleus test and in vivo micronucleus test using rat (Repeated dose 90-day), when tested for induction of genotoxicity in both two types of L-Arginine coated SiO2 nanoparticl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SiO2 nanoparticles coated with L-Arginine, in particular SiO220[R] and SiO2100[R], are not genotoxic in both in vitro and in vivo systems under OECD test guidelines. Further, the results were generated in accordance with OECD test guidelines, and Good Laboratory Practice application; it can be accepted as reliable information regarding SiO2-induced genotoxicity. Key words : Genotoxicity test,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test guideline, Good Laboratory Practice, SiO2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