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비대면시대 성서교수법으로서의 비블리오드라마 연구

        김준이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1855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사회뿐만 아니라 신앙 안에서도 단절과 분리를 경험하는 현대인들이 어떻게 하면 성서 교육을 통해 하나님의 사랑을 경험할 수 있을지 그 답을 찾는 데 있다. 특별히 그 해답으로 비블리오드라마를 연구하게 된 것은 개방성과 상호작용, 통합의 원리로 작동하는 비블리오드라마가 성서와 사람, 사람과 사람이 만나는 장소가 될 뿐만 아니라, 하나님의 사랑을 경험하고, 이웃과 사랑을 주고받을 수 있는 통로가 될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비블리오드라마 안에서 사람들은 자발적으로 만남에 참여하여 그 안에서 환대와 존중을 경험한다. 비블리오드라마는 성서와 우리를 연결하는 훌륭한 매개체이다. 최근 급속화된 비대면시대 속에서 비블리오드라마를 대면 방식으로 진행하는 데 한계가 있지만, 온라인상에서 구현할 수 있는 방법도 매우 다양하다. 문자식 또는 화상회의 방식의 비블리오드라마는 지금도 얼마든지 구현할 수 있고, 앞으로 비블리오드라마의 온라인 플랫폼이 구축된다면, 가상현실, 메타버스, 대화형 스토리 게임, 인공지능 등을 이용해서 비블리오드라마를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 교육대학원 일반사회교육전공 교과과정에 관한 연구

        김준이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교육대학원 일반사회교육전공의 교과과정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그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것을 위해 먼저 관련 문헌을 통해 교육대학원의 설립배경 및 목적, 그리고 설치현황을 살펴보았고 서울시내 소재 몇 개 대학의 교육대학원 목적을 통해 교육대학원이 추구하는 방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리고 일반사회교육과의 개념과 성격, 일반사회교육 교과과정의 필요성과 구성을 살펴보았다. 일반사회교육을 개설하고 있는 전국 7개 교육대학원의 일반사회교육전공 교과과정을 전공과목과 교직과목, 교과교육학 과목으로 나누어 각 교육대학원 일반사회교육과의 교육목표에 의거 분석하였고 특히 전공과목은 사회학, 문화인류학, 정치학, 경제학, 법학, 행정학으로 분류하여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결론으로 교육대학원 일반사회교육과정의 문제점은 교과교육론 설치부족, 일반대학원 교과과정과 유사성, 교수요원의 부족으로 나타났고 대안으로 현장교육과의 연계성, 일반적인 이론과 더불어 활용가능한 이론 교수, 교과교육론 과목의 증설, 교수법 실습의 증가, 교수요원의 확충을 제시하였다.

      • 오스뮴 카보닐 클러스터 화합물의 반응성 연구

        김준이 명지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전자적으로 불포화되어 있는 (μ-H)_(2)Os_(3)(CO)_(10)에 soft acid인 BH_(3)와 다양한 Lewis base인 BH_(3)·L(L=O(CH_(3))_(2), O(C_(2)H_(5))_(2), THF, N(CH_(3))_(3), N(C_(2)H_(5))_(3), pyridine, S(CH_(3))_(2), p(C_(4)H_(9))_(3), PPh_(3))을 상온에서 반응1)시켰다. 그 결과, 이것은 Lewis acid와 Lewis base와의 결합력에 따라 서로 다른 반응 메카니즘을 거쳐 (μ-H)_(3)Os_(3)(CO)_(9)(μ_(3)-BCO), (μ-H)_(2)Os_(3)(CO)_(9)(μ-H)_(2)BH, 그리고 다른 osmium borane cluster가 생성됨이 밝혀졌다. 둘째, (μ-H)_(3)Os_(3)(CO)_(9)(μ_(3)-BCO)의 열분해로 인해 생성된 새로운 tri-Osmium borane Cluster (μ-H)_(2)Os_(3)(CO)_(9)(μ-H)_(2)(μ-BC_(8)H_(6))를 합성하였다. 이 cluster는 ^(1)H, ^(11)B, ^(13)C NMR spectroscopy 등으로 특성 조사하였다. 이 molecule은 세 개의 Os 원자가 하나의 B 원자를 둘러 싼 triangle 형태를 한 pseudo tetrahedral Os_(3)B unit을 가진다. 또한 아홉 개의 terminal carbonyls과 두 개의 Os-H-Os bridge hydrogens, 두 개의 B-H-Os bridge hydrogens으로 구성되어 있다.

      • LHC에서 ALICE를 이용한 f0(980)이 특징의 이해

        김준이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1855

        The f0(980) resonance had been observed years ago in ππ scattering experiments and is expected to be one of the scalar mesons. Since its first observation in the 1970s, the nature of light scalar mesons is far from the understanding, and no consensus on its internal structure has been reached, raising different suggestions regarding the structure of the f0(980), such as tetraquark, mesonic molecule, and conventional diquark structure. The extreme environment, such as high temperature and density, deconfines quarks and gluons, freeing them and forming the Quark-Gluon Plasma (QGP), which is expected to be created immediately after the Big Bang. Such an early stage of our universe can be reproduced in relativistic heavy ion collisions, providing chances to study the properties of QGP. Extensive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geometry, evolution, and particle production of QGP, and its modification, with many scientific acceptances for the existence of QGP. Surprisingly, phenomena exhibiting the existence of QGP are also observed in high-multiplicity proton–proton and proton–ion collisions, leading to further questioning QGP formation. In this respect, the f0(980) resonance is measured with the ALICE detector via the f0(980) → π+π− decay channel in relativistic nucleus–nucleus collisions. The present thesis describes the entire methodology to measure the invariant yield in different multiplicity classes at midrapidity. The particle yield ratios of the f0(980) resonance are measured to discuss the properties of the late hadronic phase throughout different collision systems and to explore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f0(980). Furthermore, the measurement of the nuclear modification factor and the elliptic flow and model predictions with different assumptions for the f0(980) strengthen the physics messages in the present thesis.

      • 듣기 전 활동에 대한 예비 영어 교사의 신념 : 듣기 전 활동 유형별 효과성 및 선호도 인식 연구

        김준이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20 국내석사

        RANK : 185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beliefs and preferences of pre-service English teachers in relation to nine types of pre-listening activities. Unlike previous studies which focused on a few specific pre-listening activities, and on identifying and comparing their effectiveness, in this study, a variety of pre-listening activities were utilized in an attempt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and preferences of Korean pre-service English teachers with regard to pre-listening activities. To this e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by 88 pre-service English teachers majoring in English education in Seoul, Korea. The Survey is composed of 47 items, as well as open-ended questions in order to collect further opinions related to their answers. The pre-listening items are based on the classification by Chang & Read(2006) and consist of: Topic preparation, Vocabulary instruction, Preview the question, and Input repetition. These four items are divided into nine items, which are: watching visual materials regarding the topic of listening activity, reading a text in students' mother tongue or in English regarding the topic of listening activity, giving information about the listening text to students, studying vocabulary which is included in listening text, studying vocabulary with its pronunciation, teacher's reading questions aloud for students, students' checking questions by themselves, and listening to a simplified version of original listening text before the actual listening activity.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SPSS 22.0 an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lthough most of the pre-service English teachers agree about the need for pre-listening activities, few have utilized them in the classroom. The most effective pre-listening activity chosen by the pre-service English teachers is watching visual materials, and teaching vocabulary with its pronunciation is the most preferable activity to utilize in class. Reading a text in Korean is chosen as the least effective and least preferable pre-listening activity. For both monologue and dialogue, the types of pre-listening activities chosen by teachers was the same, as was the preferred order in which they would be used. However, when it comes to the level of students,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types of pre-listening activities they prefer. Activities which can provide direct information about the topic or vocabulary, or involve the teacher's intervention, are selected for low-level students. Whereas reading a text in English is chosen for high-level students as it aims to improve a different language skills while also supporting the students' listening skill.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n emphasis on pre-listening tasks which can be utilized without practical limitations, is required when teaching listening in the classroom. In addition, teachers may require additional training as they often struggle to devise and design suitable pre-listening activities and therefore they hesitate to use pre-listening activities although they are well aware of the advantages of them. Also, if appropriate pre-listening activities were more easily accessible, for example, by providing them as part of a teacher's guide, it is likely that listening activities could be taught more effectively. 본 연구는 듣기 전 활동에 대한 예비 영어 교사의 신념에 대해 조사하고 각 활동에 대한 선호도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해 예비 영어 교사 88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한 후 그 결과를 통계 분석하였다. 설문을 위해 Chang과 Read(2006)가 분류한 네 가지의 듣기 전 활동(주제 준비, 어휘 지도, 문제 미리 보기, 반복 듣기 활동)을 세분화하여 아홉 가지 듣기 전 활동(듣기 전 시각 자료의 제시, 모국어인 한국어로 작성된 독해 자료 읽기, 목표어인 영어로 작성된 독해 자료 읽기, 지문에 대한 정보의 제공, 들을 지문에 포함된 단어 공부, 단어와 발음 공부, 교사가 듣기 문제와 보기를 읽어주기, 학습자가 직접 문제와 보기를 확인하기, 원본보다 쉽게 변형된 지문을 먼저 들어보기)을 제시하였으며, 설문의 응답에 대하여 의견을 기술할 수 있도록 개방형 문항을 사용하였다. 연구 문제에 대한 자료 분석을 하기 위해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대응표본 t-검정을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예비 영어 교사는 듣기 전 활동의 필요성에 대해 동의하였으나, 실제 수업에서 듣기 전 활동을 사용해본 경험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 영어 교사는 듣기 전 시각 자료를 제시하는 활동을 가장 효과적이라고 선택하였으나, 실제 교실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활동으로는 들을 내용에 포함된 단어와 발음을 학습자에게 제시하는 활동을 선택 하였다. 한국어로 작성된 독해 자료를 읽어보는 활동을 가장 비효과적이고 선호하지 않는 활동으로 선택되었다. 셋째, 듣기 텍스트의 유형은 예비 영어 교사의 듣기 전 활동에 대한 선호도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넷째,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 예비 영어 교사의 듣기 전 활동의 선호도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딥러닝 기반 프록시 모델을 이용한 유전개발계획의 순차 강건최적화

        김준이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1855

        유전의 개발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의사결정 요소들과 저류층 모델의 불확실성을 고려해야 한다. 하지만 전통적인 수치모델 기반 시뮬레이터를 이용하면 많은 시간을 요하므로 이를 대체하는 프록시 모델이 필요하다. 정적정보만을 이용한 머신러닝 기반 프록시 모델은 입력변수가 많아지면 복잡하고 비선형적인 저류층 거동을 제대로 모사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어 최적화에 적용하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성공적인 유전개발계획 최적화를 위해 딥러닝 기반 프록시 모델과 이를 활용한 순차 강건최적화 기법을 제시한다. 최적화 변수들의 민감도를 고려하여 유정배치(위치, 종류, 개수)를 결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운영조건(생산조건, 시추시점)을 정한다. 또한 저류층 모델의 불확실성을 고려하기 위해 다수의 저류층 모델을 이용한다. 유정배치 최적화를 위한 프록시 모델은 유체유동 정보를 반영하고자 유체가 유정 간 이동하는 데 걸리는 시간(time of flight)을 입력자료로 하고 convolutional neural network(CNN)로 학습한다. 이를 통해 유정배치와 저류층 모델에 따른 순현재가치 예측성능을 개선하였다. 유정운영 최적화를 위한 프록시 모델은 시계열 자료인 운영조건과 이에 따른 저류층 거동변화를 long short-term memory(LSTM)로 학습하여 운영조건과 저류층 모델에 따른 순현재가치를 효과적으로 예측하였다. 2차원 불균질저류층과 3차원 채널저류층에 적용한 결과 CNN 프록시 모델의 경우 0.955, 0.938의 결정계수값을, LSTM 프록시 모델의 경우 0.987, 0.974 이상의 결정계수값을 가져 실제 순현재가치에 대한 높은 예측성능을 보였다. 또한 프록시 모델의 성능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최적화 중간 프록시 모델을 재학습하였다. 그 결과 수치모델 기반 저류층 시뮬레이터로 소요되는 시간의 약 24%와 12%만으로 합리적인 최적해를 얻을 수 있었다. Due to various decision variables and large reservoir model uncertainties, it is challenging to get an optimal development plan for the oil field. For the cost-effective and reliable optimization of oil field development, we need proxy (or surrogate) modeling of reservoir simulation and an optimization technique with proxy models. Therefore, we propose a sequential robust optimization approach using deep learning-based proxy models: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for well placement optimization and long short-term memory (LSTM) for well operation optimization, respectively. In well placement optimization, a non-physics-based approach with deep learning algorithms suffers from emulating nonlinear reservoir responses from different well locations, types, number of wells, and reservoir models. Therefore, we propose to utilize streamline time of flight (TOF) into the train data. By doing so, the predictive accuracy of the proxy model increases significantly due to the additional dynamic information. Moreover, training TOF maps by CNN shows a desirable agreement with a full reservoir simulation model. In well operation optimization, current reservoir responses result from the combination of operating conditions. By taking the cumulative effects into account, LSTM effectively estimates field oil and water production totals and field water injection total as a function of the variation of operation settings and drilling schedules. The CNN proxy models constructed for a 2 dimensional (D) heterogeneous synthetic field and 3D channelized Egg model predict net present values (NPVs) as a function of the locations, types, and the number of multiple wells with coefficients of determination of 0.955 and 0.938, respectively. The LSTM proxy models for 2D and 3D fields calculate expected NPVs with minimum coefficients of determination of 0.987 and 0.974, respectively. By incorporating the proxy models to particle swarm optimization algorithm, we perform sequential optimizations of well placement and well operation considering geologic uncertainty. To manage the predictive accuracy of the both proxy models during the optimization, we repeat the process of retraining the proxy models with updated candidate solutions. The proposed optimization techniques outperform a simultaneous approach and yields reliable optimization results while reducing the total computation times to 23.8% and 12.1% in the 2D field and 3D channelized field, respectively.

      • 납-안티몬 합금을 이용한 304 스테인리스 강의 좌굴 하중 특성 평가 방법 개발

        김준이 아주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1855

        후쿠시마 원전 사고에서 알 수 있듯이 중대사고에서는 구조물이 고온, 고압 환경에 노출되고, 이로 인해 설계 기준을 초과하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원전에 주로 사용되는 강(steel)은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강도와 강성의 감소로 쉽게 파괴되고, 결국 심각한 사고를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설계 기준을 초과하는 환경에서 구조물의 거동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좌굴은 구조물의 붕괴와 직접적인 관계를 갖고 있어, 중요한 사고 모드(mode)로 고려된다. 특히, 온도 증가에 따른 재료의 기계적 물성 감소는 좌굴 발생을 촉진시키기 때문에 온도 변화에 따른 좌굴 특성 파악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고온 실험은 위험성, 측정의 어려움, 비용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어 상온에서 모사 재료(simulation material)를 이용한 실험으로 대신하는 연구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납-안티몬 합금(Pb-Sb alloy)을 이용하여 304 스테인리스 강의 좌굴 및 크리프 좌굴 평가 모델을 개발하고자 한다. 안티몬의 조성을 0에서 15 wt. %까지 변화시키면서 상온(25℃)에서 초고온(1200℃) 영역에서 304 스테인리스 강의 좌굴 하중 예측 모델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납-안티몬 합금의 영률을 측정하였다. 납-안티몬 합금은 안티몬의 조성이 증가함에 따라 영률이 증가하는 경향을 확인하였으며, 2.136 – 16.95 MPa의 영률 범위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미세구조 분석을 통해 미세 구조 차이(라멜라 구조 증가)가 영률을 변화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좌굴 하중은 1.65 MPa(0 wt. % Sb)에서 11.25 MPa(15 wt. % Sb)까지 변화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초기 변형을 고려한 좌굴 수치해석 모델을 개발하였으며, 실험값과의 오차는 평균 5.37 %였다. 영률과 좌굴 하중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정규화 영률의 함수로 표현되는 좌굴 하중 평가 모델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모델의 평균 오차는 4.94 %였다. 추가로, 크리프 좌굴의 평가 모델 개발을 위해 좌굴 시편의 수평 변형률을 이용한 수치해석 모델을 개발하였으며, 평균 오차 15% 이하의 높은 정확도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3 wt. %의 안티몬 조성에 대한 좌굴 및 크리프 좌굴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800 ℃ 304 스테인리스 강의 크리프 좌굴 거동과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상대 하중 기반의 크리프 좌굴 시간 예측 모델을 개발하였다. 좌굴 시간 예측 결과는 평균 49.64 %의 오차를 보였으나, 전체적인 크리프 특성을 파악하는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n the lesson learned from Fukushima nuclear power plant accident, the beyond design basis accident (BDBA) can be occurred in the severe accident under which structural components are exposed to high pressure and high temperature conditions. The steel, which is widely used in nuclear power plants, is vulnerable to temperature changes because its strength and stiffness weaken at high temperatures. Henc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behavior of the structural components under the BDBA conditions. Buckling has been considered as a significant failure mode because it is highly associated with the failure of structures. In particular,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the buckling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emperature change because the occurrence of buckling is promoted by the decrease of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at high temperatures. However, there exist danger, difficulties in measurements, and high cost in running experiments under high temperatures. For those reasons, simulation materials have great attention to substitute the high temperature experiments with those in room temperature. In this study, the buckling and creep buckling evaluation model for 304 stainless steel were developed using lead-antimony alloy (Pb-Sb alloy). In this study, the evaluation model for predicting the buckling failure load of 304 stainless steel was developed from 25 to 1200 ℃ The modulus of elasticity of the Pb-Sb alloys was experimentally measured as varying Sb composition. In results, the modulus of elasticity was increased with Sb composition from 2.136 to 16.95 MPa. In addition, the change in the micro-structure (increase of the lamella structure) was attributed to the mechanical property change. The buckling load experimentally measured in this study was varied from 1.65 to 11.25 MPa as increasing Sb composition. Moreover, the numerical model for the buckling load that incorporates the initial bending was also developed and the average error was estimated to be 5.37 % in comparison to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buckling load evaluation model was developed as a function of the normalized modulus of elasticity with the average error of 4.94 %. In addition, the numerical model for estimating creep buckling failure time was developed based on the lateral deflection rate. The average of the model was less than 15 %. Also, the creep buckling tests were performed using Pb-Sb alloys with 3 wt. % Sb composition, and then the results were compared to the creep buckling behaviors of 304 stainless steel at 800 ℃. Finally, the creep buckling evaluation model was developed as a function of relative compressive load. The average error of the model was 49.64 % that seems to be useful to understand the creep buckling behaviors of 304 stainless steel.

      • 여수 낭도 연안 낭장망에 어획된 어류의 종조성 및 계절변동

        김준 全南大學校 2007 국내석사

        RANK : 1839

        여수 낭도 연안에서 2005년 5월부터 2006년 2월까지 전라남도 여수시 낭도 연안에 설치된 낭장망에서 3개월에 1회씩, 총 4회에 걸쳐 어류의 종조성과 군집구조 변화를 연구하였다. 낭도 연안에서 월별 수질 변화를 살펴보면 수온은 2월에 5.4℃로 가장 낮은 수온 값을 나타냈고, 8월은 23.2℃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염분은 8월에 30.5‰로 가장 낮은 염분농도를 보였고, 5월은 33.65‰로 가장 높은 값을 보여 염분은 수온과는 반대 양상을 나타내었다. 2005년 5월부터 2006년 2월까지 낭장망에 의하여 채집된 어류는 총 9목 26과 37종으로, 출현한 개체수는 총 788.5/1,000㎥개체가 채집되었다. 그 중 농어목(Perciformes) 어류가 11과 16종으로 가장 많이 출현하였다. 연구기간 동안의 출현양상은 멸치가 392.1/1,000㎥개체로 가장 우점하였고, 다음으로는 보구치가 50.5/1,000㎥개체, 도화망둑이 38.5/1,000㎥개체 순이었다. 이들 어류들의 출현 개체 수는 수온이 상승하는 봄부터 가을까지는 높게 나타났고, 수온이 떨어지는 겨울철에는 낮게 나타나 수온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군집구조를 보면 계절별 종다양도지수(H')는 0.9905~3.2812로 봄에 가장 높은 값으로 나타났고, 가을에 가장 낮게 나타나 뚜렷한 계절적 경향을 보였으며 균등도지수 또한 0.3306~6.6119로 종다양도지수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우점도 지수의경우는 0.1888~0.8520로 가을에 가장 높았고, 봄에 가장 낮은 값을 보여 균등도지수와 종다양도지수와는 반대 경향을 보였다. 주요 어종의 출현빈도에서는 연중 출현한 어종은 멸치, 숭어, 볼락, 주둥치, 감성돔, 덕대이고 보구치, 도화망둑, 주둥치, 준치 등은 여수 낭도 연안에 우점하는 주거종으로 나타났다. 꼬치고기, 개서대, 노랑가오리, 꽁치, 전갱이, 도다리, 반지, 풀반지, 넙치 등은 특정시기에만 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해역의 경제성이 있는 어종은 우점종인 멸치, 보구치, 주둥치, 준치, 숭어, 붕장어, 조피볼락, 베도라치, 감성돔 등이었다. Fish samples were collected by the gape net fishery from May 2005 to February 2006 at the coastal of Nang-island, Yeosu to determine seasonal fluctuation in species composition. A total of 788.5/1,000㎥ fishes were sampled and classified into 37 species, 26 families, 9 orders. The most dominant order fish was Perciformes comprising 16 species, 11 families , followed Clupeiformes, Pleuronectiformes and both comprising 5 species, 3 familes. These 3 orders constituted 70.3% of the total collected fish. The most dominant species was Engraulis japonicus accounted for 392.1/1,000㎥ individuals of the total, followed by Argyrosomus argentatus 50.5/1,000㎥ individuals, Chaeturichthys hexanema 38.5/1,000㎥ individuals. The fish collected by the gape net fishery in coastal of Nang-do, Korea from May 2005 to February 2006, the diversity index of the fishes was 0.9905~3.2812, which was the highest in Spring and the lowest in Fall. The evenness index of them was 0.3306~6.6119, which was the same as the diversity index, and the dominance index of them was 0.1888~0.8520 which was the highest in Fall, and the lowest in Spring and it was different from the diversity index and evenness index. The economic species of this sea area are Engraulis japonicus, Argyrosomus argentatus, Leiognathus nuchalis, Ilisha elongata, Mugil cephalus, Conger myriaster, Sebastes schlegeli, Pholis nebulosa, Acanthopagrus schlegeli which are dominant species.

      • 수익성에 따른 R&D투자 손실회피 성향에 관한 연구

        김준 한양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1839

        연구개발 투자는 미래 기업수익의 증대를 위해서 필연적 이라는 견해는 널리 공감되고 있다. 하지만 연구개발 투자의 의사결정에는 단기적인 수익성과 투자에 대한 불확실성에 대한 딜레마가 존재한다. Nelson and Winter (1982)에 따르면, 기업의 연구개발 투자는 관습적 활동(Routine activities) 선상에서 이루어지지만, 수익성의 감소를 통해 외부환경으로 부터의 변화를 인지한 기업은 기존의 관습적 유전자(Geno-type)를 스스로 탈피하여, 새로운 유전자(Pheno-type)을 발현하며 관습적 투자활동에 변화가 나타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Kahneman and Tversky(1979)의 전망이론(Prospect Theory)에서 나타나는 손실회피(Loss Aversion) 경향이 기업의 연구개발 투자 의사결정에서 적용된다는 것을 실증 분석하고자 한다. 즉, 기업은 이득의 경우에는 기존의 관습적(routine) 연구개발 투자 경향을 유지하지만, 손실의 경우에 기업은 수익성 저하에 반응(response)하여 새로운 유전자(pheno-type)를 발현하며 손실회피(Loss Aversion) 경향을 나타냄을 증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07~2012년까지 연구개발 투자 및 매출액 상위 1,000대 기업 중 제조업에 해당하는 1,592개 기업의 재무제표 자료를 확보하였으며, 첫째, 수익성과 연구개발 투자에 대한 인과관계를 파악하였고, 두 번째, 수익성이 양의 값일 경우(이득, Gain)와 음의 경우(손실, Loss)를 구분하여 연구개발 투자에 대한 기업의 가치(utility)가 각각의 경우에 차이가 발생하는지를 실증분석 하였다. 셋째, 위 두 가지 실증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기간 및 산업에 따라 발생하는 손실회피 경향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개인의 의사결정(individual decision making) 경향을 조직의 집합적 의사결정(aggregate decision making)에 적용함으로서 그 의의를 가질 수 있으며, 기업의 차기 기술혁신을 위한 연구개발 투자에 있어서도 의사결정의 비합리성을 증명함으로 향후 경영자의 연구개발 투자 의사결정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位相配列 안테나의 最適化 方案 考察

        김준 경북대학교 산업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1839

        무선 시스템의 송수신 동작을 위해 사용되었던 단순형태의 다이폴 안테나는 Beam의 효과적인 조정을 위해 Linear Array 안테나를 거쳐 보다 더 정밀한 고도와 방위 분해능을 얻기 위해 Phased Array 안테나로 발전하였다. 종래의 기계식 레이더 시스템에서는 항적의 위치를 탐색하기 위해서는 Fan Beam 형태의 방사패턴에 안테나의 회전을 필요로 하였다. 또한 Pencil Beam을 얻기 위해 부채꼴 형태의 Fan Beam을 합성하기 위해서는 안테나 PARAMETER에서 설명한 Array 이론이 필요하게 되고, 전자적으로 위상을 조절하여 빔을 원하는 방향으로 조향하게 되었다. 그리고 배열안테나의 전자적인 위상 조절은 기계적인 구동 장치 없이 전파 빔을 조정함으로써 물체의 탐지와 추적이 가능한 신개념의 안테나 시스템을 가능케 하였다. 즉, 위상 배열 안테나는 안테나 빔을 조합하고 조향시키기 위하여 안테나를 움직이지 않고 배열 조합내의 각각 배열 안테나의 출력에 대한 상대적인 위상과 작동 시간의 단속을 통한 조정으로 배열 안테나의 상호 간섭을 유도함으로써, 전체 안테나시스템의 전파방사 패턴과 빔의 전파 방향을 결정하게 된다. 안테나 빔 조향기술의 발전은 하나의 위상 배열레이더 시스템이 다양한 전술적 기능을 갖도록 하였으며 특히 상이한 전술적 특성을 가진 레이더 빔을 교대로 만들거나 동일기능의 빔을 동시 다발로 생성 이용할 수 있게 하였다. 이러한 배열 안테나의 최적화를 위한 요구조건으로 높은 Scanning과 프로세서의 속도, 다중모드 운용, 신뢰도의 향상, 목표물에 대한 다량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경량화, RCS 감소, 탐지능력의 최대화를 들었다. 최신의 전자주사 레이더가 갖는 전술적인 장점이 대단히 큼에도 여전히 해결해야 할 단점들이 몇 가지 있다. 먼저, 기존의 기계식 레이더의 안테나는 공랭식 냉각장치로도 충분한 냉각능력을 갖추었으나, 전자주사 시대로 접어들어 안테나에 탑재된 주요 소자들에 대한 발열에 취약하여 공랭식 Fan만으로는 불가능하게 되었다. 이에 따른 보완으로는 주요소자들의 발열 방식 개선과 기존 Fan방식에 추가적인 Air-Condition시스템이 필요하다. 이 추가적인 Air-Condition의 도입은 지상에서나 공중에서나 일정한 환경을 제공함으로 레이더 및 안테나 시스템이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게 해 줄 것이다. 다음으로는 시스템의 가격 문제이다. 레이더 시스템이 능동형의 시스템으로 진화하고 있으므로, 다량의 송수신 소자들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송수신 소자의 가격이 전체 시스템의 가격에 영향을 주게 된다. 송수신 소자의 가격이 점차 낮아지고 있는 추세이지만 여전히 전체시스템의 높은 가격은 전자주사레이더의 단점이 되고 있다. 소자의 가격에 대한 문제는 수요의 증대와 현대 과학기술의 진보에 따라 점차 그 공백을 메워 갈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최신 전자주사 안테나는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정면에서 측면으로 갈수록 빔 폭이 커지고 이득이 줄어든다. 따라서 120°도 방위각에 위치한 목표물을 탐지할 경우 오히려 같은 안테나면적의 기계식 레이더 안테나 보다 탐지거리가 줄어들고 정확도는 떨어지는 단점이 발생한다. 안테나가 고정됨으로 인해 측면 탐지거리가 감소하는 점에 대해서는 컨포말 어레이 레이더(Conformal Array Radar)가 그 대안이 될 수 있다. 이는 항공기 형상면을 따라 안테나를 배열한 레이더를 말한다. 따라서 위상배열 안테나의 최적화에 이은 단점들에 대한 보완은 위상배열 안테나의 최적화를 가속화 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