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인체조각을 통한 내면적 소통에 대한 연구 : 본인작품을 중심으로

        김준기 성신여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 시대의 예술은 그 시대가 인간을 어떻게 정의하였는가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예술은 인간의 정신적 활동의 산물로써 인간의 내면세계를 반영하며 내면은 삶을 통해 형성되고 성장하기 때문이다. 또한 예술을 통한 표현 욕구는 인간의 기본적 정신활동이며 원초적 본성이다. 인간은 이러한 예술적 표현을 통해 자신의 내면과 외부와의 소통의 경계를 풀고 자신을 재조명 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되며 타자와의 공감을 형성하는 장으로 작용한다. 현대의 과학문명으로 인한 산업화는 이 시대의 가치를 물질로 규정하며 인간마저도 사회의 부속품으로 전락시켰다. 이에 사회적 존재로써 인간에게 절실히 요구되는 진실한 소통은 단절되고 고립과 소외로 인한 인간정체성의 위기에 직면하기에 이르렀다. 소통의 단절은 심리적 병리를 동반하며 현대인의 정신적 특성인 공허, 고독, 불안감을 낳았다. 본인은 이 시대를 살아가는 한 인간으로써 개인의 삶으로 다가온 현실의 문제와 심리적 갈등을 작품을 통해 직면하고자 했다. 본인에게 있어서 창작이란 소통의 창이며 내면의 상처를 극복하는 치유제 였다. 본 논문은 2003~2007년 현재까지의 작품을 토대로 작품형성의 정신적 배경과 개별 작품 간의 분석을 내용으로 하여 현재 본인의 작업을 전반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이에 서론에서는 본 연구의 방법과 목적에 대해서 언급하고 본론의 1장에서는 인간에게 있어서 소통이 갖는 의미와 현대인의 소통단절로 인한 내면의 위기감을 인체로써 표현하게 된 작품의 정신적 배경을 창작이 갖는 치유의 기능과 함께 세 단락으로 나우어 기술하였다. 2장에서는 작품의 조형적 특성을 이미지 표현과 공간연출의 두 단락으로 나누어 설명하였으며 3장에서는 작품의 내용적, 표현적 분석이 이루어진다. 결론에서는 연구를 통한 결과를 작업에 있어서 새로운 지평의 계기로 제시하였다. The arts of an age flatly show how that particular age defined human beings. This is because the arts which are the product of mental activities of human beings reflect the inner world of human beings, and the inner side forms and grows through their lives. In addition, the desire for expression through arts is a human basic mental activity and primitive original nature. A human being comes to have an opportunity to release the boundary between his or her inner side and the outside and see himself or herself in new lights through arts, which then act as a venue for fostering a consensus between himself or herself and others. The industrialization, supported by the modern scientific culture, prescribes the value of this age by material and degraded even human beings to an integral part of society. The truthful communication desperately required of human beings as a social existence has come to face the crisis of human identity due to severance, isolation and estrangement. The interruption of communications has been accompanied by psychological pathology, giving birth to the moderners' mental characteristics such as emptiness, solitude and anxiety. The writer attempted to face the issues of the reality drawing near to an individual life of a human being who lives in this age and psychological conflict through works. For the writer, creation is a window of communications and a cure for inner traumas. This thesis attempted to study my current works overall with the mental background of work formation and the analysis between individual works based on the works done between 2003 and 2007 as their substance. Thus, the preface mentioned about the method and purpose of this study and Chapter 1of the main subject described the meaning the communication has for a human being and the mental background of the works that expressed a sense of crisis in the inner side due to the interruption of the moderners' communications with human body along with the curing function in 3 paragraphs. Chapter 2 depicted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works by dividing them into 2 paragraphs; that is, image expressions and space production and in Chapter 3, a substantial, expressive analysis was made of such works. In the conclusion, the findings of a study were suggested as a momentum for a new horizon.

      • 종합사회복지관의 운영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김준기 목원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사회복지관은 지역사회의 욕구와 문제를 파악하여 지역주민들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직접적인 서비스 제공기관으로서, 지역사회 복지사업의 중심적 기관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 사회복지 서비스가 시행된 이래 지금까지 사회복지관의 수를 늘리는데 중점을 두어 정책이 시행되어 왔다, 이러한 결과로 사회복지관이 양적으로는 팽창이 되어 왔지만 질적으로는 아직도 많은 부분에서 미흡하게 운영되고 있다. 따라서 사회복지관의 운영 및 기능과 역할을 재검토하여 사회복지관의 정체성을 재정립해야 하며, 사회복지관의 양적 성장에 따른 적절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지역주민이 만족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현실에 맞는 새로운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적인 운영에 대한 실증적 검토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관의 운영현황 및 운영자금의 지원현황 그리고 복지관 종사자들의 대우 및 프로그램 운영현황 및 사회복지 네트워크 구축을 분석하여 사회복지관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을 도출하여 보았다. 첫째, 행정적인 개선방안으로는 사회복지관의 입지가 기초생활수급자나 기타 저소득층이 밀집된 지역 등 취약지구인데, 앞으로는 중산층과도 공유할 수 있는 지역에도 사회복지관을 건립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대도시 지역에 편중되어 있는 사회복지관을 중·소도시 특히 농촌지역에도 균형있게 설치하여, 전 국민이 사회복지혜택을 형평성 있게 받을 수 있도록 정책적 배려가 있어야 한다. 둘째, 사회복지관 종사자에 대한 처우 개선방안으로는 사회복지관 종사자들이 전문성을 확보하고, 복지서비스에 전념할 수 있도록 현실에 맞는 대우를 해주어야 하며, 각종 보수 교육 및 훈련을 통해 지역사회 복지서비스 제공이라는 궁극적인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사회복지관 재정지원에 관한 개선방안으로는 지방 재정자립도를 고려한 현실적이고 합리적인 재정지원 방안이 모색되어야 하며, 사회복지관의 부족한 자금을 마련할 수 있도록 지역주민의 자발적이고 자율적인 민간자원을 활용하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넷째, 자원봉사자의 육성방안으로는 자원봉사자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자원봉사 활동의 지속성 확보를 위한 프로그램이 강화되어야 하며,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자원봉사 관리방법이 개발, 지원되어야 한다. 다섯째, 사회복지관 프로그램에 대한 개선방안으로는 프로그램의 대상을 확대하고 전문성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 주며, 사회복지관 종사자들의 전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 세미나, 훈련, 연수 등의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의 제반 여건이 개선될 수 있도록 정부 차원의 지원 및 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다. 여섯째, 타 복지관 서비스와의 연계 방안으로는 장애인종합복지관, 노인종합복지관 등의 복지기관과의 역할을 서로 분담하여 서비스의 중복을 피함은 물론 상호정보 및 프로그램을 공유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타 기관과의 유기적인 관계 속에서 지역 주민들에게 양질의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사회복지관의 서비스는 지역주민의 다양한 욕구 및 급격히 변하는 시대의 요구에 맞도록 개선되어야 할 것이며, 지역주민에 대한 서비스 전달 기관에서 벗어나서 지역주민 스스로 자립할 수 있는 전문적인 복지사업을 수행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의 복지서비스에 대한 인식이 변화되어, 사회복지서비스를 정책적으로 개선될 수 있도록 하여, 사회복지관의 운영이 현실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해 주어야 한다. Social welfare centers are the central institutions in the welfare businesses of local communities, which are the immediate service providers for the residents in the community, finding out the desires and the problems of the community. However, the policies of the government have been carried out focusing on increasing the number of social welfare institutions since social welfare service was first put into practice in this country. As a result, the systems of the social welfare centers have been operated with inefficiency in terms of quality in many parts though they have been expanded in terms of quantity. So, it is necessary to take a new look at the operational system, function and the role of the social welfare centers to reestablish the identity of them, and it has been argued that there needs to be the development of new programs relating to reality and the illustrative review on the effective operation to develop the appropriate programs in accordance with the quantitative growth of welfare centers, and to provide the local residents with the service they are satisfied with. On the basis of such problems, this study has hammered out the following improvement schemes, with which to operate the social welfare centers efficiently, by analyzing the operational status, support status of operational funds, treatment for the employees of welfare centers, operational status of programs and the social welfare networking. First, according to the administrative improvement scheme, it is suggested that the social welfare centers need to be established in the areas where the middle class can also share the institutions with the low-income brackets from now on, though they have been built in the vulnerable areas so far where the basic living needs beneficiaries and other low-income brackets are densely populated. And the social welfare center establishment, which has leaned too much to the urban area, needs to be carried out especially in the rural communities as well as the middle and cities and small towns for the balance, so that all people of this country may have the social welfare benefits in terms of equality supported by the political consideration. Second, according to the treatment improving scheme for the social welfare center employees, it is necessary to secure the professionalism of them and provide them with the treatment that is in accordance with the reality of the occupational society. And the conditions, on which the ultimate goals to provide the social welfare service effectively can be achieved, must be established through the on-the-job education or training for the social welfare workers. Third, according to the improvement schemes of the financial support for the social welfare centers, it is necessary to find a solution that provides the realistic and resonable financial support scheme in consideration of the local governments' self-supporting degree. And the scheme, in which the voluntary and self-regulating private resources from the local residents can be utilized, should be explored, so that the shortage of the welfare center funds can be made up for. Fourth, according to the fostering of volunteer workers,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program in which the efficient utilization of the volunteer workers and the continuity of the volunteer works can be secured and the organized and systematic management of volunteer works should be developed and supported. Fifth, according to the improvement schemes for the social welfare center programs,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target people for the programs and provide the conditions on which they develop the specialized programs. And the government level support and the improvement of systems are required to improve all sorts of conditions in which the education, seminars, general training, and in-service training can be upgraded, so that the speciality of the social welfare workers may be elevated. Sixth, according to the service promotion through the cooperation among the welfare centers, it is necessary to share the roles of institutions, such as the general welfare center for disabled and the general welfare center for senior, with one another in order to avoid the overlapping and to form the network in which to share the information and programs, so hat they may provide the local residents with the quality services in the organic relationship. The service of the social welfare centers must be improved to catch up with the various desires of local residents and the demand of the rapid changing era and the social welfare centers should overcome the limitations as the simple service conveying institutions and carry out the specialized welfare businesses to help the local resident stand on their feet. For the sake of this, the government should provide the social welfare centers with the foundations on which the operation of the welfare centers can be carried out in accordance with the real society by changing the recognition of social welfare and having the social welfare service improved in terms of policy.

      • 암 치료 및 진단을 위한 양자점 함유 삼중 블록공중합체 미셀의 제조 및 특성평가

        김준기 충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생분해성 및 생체적합성 고분자인 poly(ε-caprolactone) (PCL) 과 poly ethylene glycol (PEG) 를 사용하여 다양한 약물의 전달체로서의 가능성을 시험하였다. 기존의 PCL-PEG-PCL 고분자는 표적지향성이 부족하여 약물전달 시스템 응용의 한계를 보여주었으나 본 시험은 peroxide 개시제를 이용하여 PEG backbone 에 카르복실기를 도입하여 주었으며 유방암 세포를 표적 할 수 있는 antibody 인 Herceptin을 컨주게이션 시켜주었다. 여기에 형광 probe인 QDs를 첨가한 후 ultrasonic을 사용하여 QDs를 PCEC Micelles에 봉입시켜주었다. PCL과 PEG, Herceptin 의 각각의 결합은 1H NMR로 확인하였고, DLS와 TEM을 사용하여 안정성 테스트 및 size를 측정하였다. 또한 PCL-PEG-PCL과 PCL-PEG-PCL에 Herceptin을 결합해준 sample 모두 유방암 세포(breast cancer line)인 MDA-MB-231 cells 을 사용하여 세포독성테스트를 통한 항암 효과를 보고자 하였다. Sample 모두 QDs를 ultrasonic을 사용하여 물리적 결합시켜 준 후 confocal을 통한 광학 이미지를 능동표적기전의 효과를 in vitro상에서 보고자 한다.

      • 탄도계수 추정을 이용한 포탄 발사지점 예측 및 분석에 관한 연구

        김준기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동역학 모델의 비선형성을 고려한 확장 칼만 필터를 이용하여 발사된 탄의 상태변수를 추정하고, 표적 추적 결과를 바탕으로 탄의 발사지점을 추적하는 알고리듬을 소개한다. 표적 추적 알고리듬은 대포병 레이더에 탑재되어 표적을 탐지, 추적한다. 표적 탐지, 추적 과정은 잡음이 존재하는 측정치를 이용하여 표적의 기동 정보(위치, 속도, 가속도 등)를 추적하는 정보처리(Data Processing) 단계라 할 수 있다.[1,2] 추적 필터는 추정이론(Estimation Theory)에 근거하여 레이터로부터 입수된 측정치 정보를 이용하여 표적 상태변수를 추정한다.[3] 표적 상태변수 추정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추적 필터의 동역학 모델과 측정치 모델을 실제 표적의 운동과 근접하도록 수학적으로 모델링 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동역학 모델 또는 측정치 모델이 비선형성을 고려하여 Taylor 급수의 1차항으로 근사화 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확장 칼만 필터(Extended Kalman Filter)를 이용하여 표적을 추적한다[4]. 표적 추적필터의 상태변수로 위치, 속도 뿐 아니라 탄도계수를 추가하여 추적하는 Constant Ballistic Coefficient (CBC)모델과 기존에 알고 있는 항력계수와 탄도 형상계수를 추정하는 Ballistic Form Factor (BFF)모델을 사용한다. 적 포탄의 기동을 분석하여 탄의 종류를 판별하는 식별뿐 아니라 이차 발포에 따른 추가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 탄의 발사지점을 예측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발사된 탄 또는 탄도탄의 위치를 파악함으로써 빠른 대응 사격 및 탄도탄의 요격을 하며 전장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다. 발사지점 추정 알고리듬으로는 추력이 중단된 발사체는 지구의 중력의 영향만을 받으면서 자유낙하 한다는 가정 하에 유도된 케플러 방정식 기법과 비선형성을 고려한 동역학 모델을 이용한 수치적분을 통하여 발사지점을 추정하는 기법을 소개하고 각 기법들의 성능 및 특징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본 논문의 마지막에서는 위에서 소개한 표적추적 알고리듬과 추정된 표적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발사지점을 추정하는 알고리듬을 결합하여 시뮬레이션을 통해 결합된 알고리듬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 Prophet 모형을 활용한 국내 중소형 컨테이너항만 물동량 예측에 관한 연구 : 인천, 평택·당진, 울산항을 중심으로

        김준기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항만은 국제무역의 관문이며, 물류 거점으로서 국가 경제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시설이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무역의존도가 59.83%로 높은 편이며, 국제화물수송량의 99.7%가 해상운송을 통해 처리되고, 10대 도시 중(인구 기준) 4개가 항만을 기반으로 발전하였기 때문에, 항만이 국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정부에서는 이러한 항만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항만시설을 지속적으로 확충하고 있으며, 시설 확충 계획을 위해서는 항만 물동량 예측이 필요하게 되었다. 그에 따라 부산항이나 우리나라 전체 항만을 대상으로 한 물동량 예측 관련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왔다. 하지만 점차 각 지역의 중소형 항만이 기능과 역할을 분담하며 성장과 발달함에 따라 중소형 항만들의 입지가 높아졌으나, 해당 항만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최근 해운항만물류 분야 연구에서 딥러닝 모형을 활용한 예측 시도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딥러닝 모형의 경우 많은 양의 연산을 수행하기 때문에, 학습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적정 수준의 사양을 가진 장비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중소형 컨테이너항만인 인천항, 평택·당진항, 울산항을 대상으로 컨테이너 물동량 예측을 진행하였다. 예측을 위해 예측 성능이 우수하고, 구현이 비교적 용이한 것으로 알려진 방법론인 Propohet 모형을 활용하였다. 이후, 선행연구에서 사용되어온 딥러닝 LSTM 모형 및 SARIMA 모형의 예측 결과와 비교하여 성능을 검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인천항과 평택·당진항과 같이 물동량 자료에 뚜렷한 계절성이 나타나는 경우 Prophet 모형과 SARIMA 모형의 예측 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구현의 용이성과 연산시간을 고려하였을 때, 데이터가 계절성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Prophet 모형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둘째, 울산항과 같이 물동량 자료에 뚜렷한 계절성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에도 Prophet 모형이 가장 우수한 결과를 도출하였지만, LSTM 모형 예측값의 변동 형태가 실제값의 변동 형태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급격한 시장변화가 예상되는 경우에는 Prophet 모형과 LSTM 모형을 함께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하였다. Ports are generally deemed as logistics hub and facilitators of international trade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national economies. In particular, South Korea has a high trade dependence at 59.83% and 99.7% of cargo is handled through sea transportation. In addition, the four of the top 10 cities in terms of population have developed their economies due to port activities. Therefore, ports have a great impact on the national economy and the Korean government ha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ports and continued to expand port facilities. For this reason, it is pivotal to forecast port throughput to correctly establish developments plans to expand facilities. Accordingly, research on the forecasting of port throughput has been actively conducted. Past research mainly focused on Busan and other large ports in South Korea. However, small and medium-sized ports in each region have gradually grown and developed specific activities and value chains. Nevertheless, research on these ports was not actively conducted. In addition, many attempts of forecasting using deep learning models have been made in recent research in the field of shipping and port logistics, but deep learning models are generally time-consuming and require equipments with appropriate specifications. In this study, the container throughput for the ports of Incheon, Pyeongtaek-Dangjin, and Ulsan Port is forecasted. Specifically, the ports considered in the study are small and medium-sized container ports in South Korea. A Prophet model is applied, which is a methodology known for its excellent forecasting performance and it is relatively easy to design. In the next step, the performance of Prophet model is verified by comparing the forecasting results of the deep learning LSTM model and the SARIMA model used in precedent researches. The results show that the forecasting performance of the Prophet model and the SARIMA model was excellent when the throughput data yields seasonality, such as Incheon and Pyeongtaek-Dangjin Port. Therefore, considering the ease of implementation and the operation time, it was confirmed that it is effective to use Prophet model when the data shows seasonality. Second, even when there was no clear seasonality in the throughput data, such as in the case of Ulsan Port, Prophet model produced the best results.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fluctuation form of the forecasting value of LSTM model was similar to the one of the actual value. Therefore, we judged that it would be effective to use the Prophet model and the LSTM model together when rapid market changes are expected.

      • 전문대학 교직원의 조직커뮤니케이션 만족과 조직성과 간의 관련성 연구 : 조직갈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준기 광운대학교 경영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전문대학 교직원들의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 만족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높이고 이직의도를 낮추며, 대학경쟁력을 지각하는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와 조직커뮤니케이션 만족의 어떠한 요인이 조직갈등의 감소를 가져오는지 그리고 조직갈등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높이고 이직의도를 낮추며, 대학경쟁력을 지각하는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를 통하여 전문대학 교직원들의 유용하 고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으로 수도권 지역(서울, 인천, 경기)의 전문대학에 근무하는 교직원을 상대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조사 자료의 분석 처리방법은 타당도 분석으로 주성분 분석을 실시하여 문항을 요인으로 묶어서 다중회귀분석과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직무만족의 직업흥미의 만족, 전반적 업무의 만족, 업무흥미의 만족은 조직커뮤니케이션 만족의 상사커뮤니케이션, 매체의 질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업무가치의 만족은 동료커뮤니케이션, 매체의 질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둘째, 조직몰입의 조직에 대한 자긍심, 조직에 대한 충성심은 조직커뮤니케이션 만족의 상사커뮤니케이션, 동료커뮤니케이션, 매체의 질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조직에 대한 애착심은 동료커뮤니케이션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셋째, 이직의도는 조직커뮤니케이션 만족의 상사커뮤니케이션, 동료커뮤니케이션, 매체의 질이 높을수록 낮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대학경쟁력의 대외경쟁력, 교육경쟁력은 조직커뮤니케이션 만족상사커뮤니케이션, 조직의 전망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또한 조직커뮤니케이션 만족의 동료커뮤니케이션이 높을수록 교육경쟁력이 높게 나타났지만 부하커뮤니케이션이 높을수록 교육경쟁력이 낮게 나타남을 볼 수 있었다. 다섯째, 조직갈등의 일반갈등, 수직갈등, 수평갈등은 조직커뮤니케이션 만족의 상사커뮤니케이션 높을수록 낮게 나타났으며, 또한 조직커뮤니케이션 만족의 매체의 질이 높을수록 일반갈등은 낮게 나타나며, 조직커뮤니케이션 만족의 조직의 전망이 높을수록 수평갈등이 낮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일반갈등, 수직갈등은 조직커뮤니케이션 만족의 커뮤니케이션 분위기가 높을수록 높게 나타나며, 수직갈등은 조직커뮤니케이 션 만족의 동료커뮤니케이션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여섯째, 직무만족의 직업흥미의 만족, 업무흥미의 만족, 업무가치의 만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전반적 업무의 만족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조직몰입의 조직에 대한 애착심, 조직에 대한 충성심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조직에 대한 자긍심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이직의도는 일반갈등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아홉째, 대학경쟁력의 대외경쟁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교육경쟁력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조직갈등은 조직커뮤니케이션 만족과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매개 작용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은 매개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직의도와 대학경쟁력에는 부분 매개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정리해보면 급변하는 환경에 대응하고 ‘생존과 경쟁’의 이중고에 처해 있는 전문대학의 현 상황에서 원활한 조직커뮤니케이션을 통해 갈등을 관리하고 조직성과를 향상시킨다면 위기를 극복하고 환경변화에 앞서가는 분위기가 조성되어 대학의 경쟁력 향상을 도모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tried to analyze how the satisfaction of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influences on raising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reducing job change intention and recognizing the college's competitiveness, and what factors in the satisfaction of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makes the organizational conflicts, and how the organizational conflict influences on raising the job satisfaction and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reducing the job change intention, and recognizing the college competitiveness. And through this analysis,this study is purposed in suggesting some useful, practical points for technical college faculty.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some faculty of technical colleges located in capital area (Seoul, Incheon, Gyeonggi). AS the analysis method for collected survey data, the validity analysis was used as the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and classified the question items into factors and then conducte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parameter regression analysis. As the result of study, the satisfaction in terms of job interest, general work, and work interest was higher as the quality of communication with boss and communication channel were better. The satisfaction on work worth was appeared to be higher as the quality of communication channel was better. Second, concerning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faculty's pride and sense of loyalty on their organization were higher as the quality of communication with boss and co-workers and the quality of communication channel were better. The attachment was higher as the co-worker communication became more active. Third, the job change intention was lower as the quality of communication with boss and co-workers and the quality of communication channel were better. Fourth,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and the educational competitiveness were higher as the satisfaction on communication with boss in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nd the organization's prospect were better. Also as the satisfaction on communication with co-workers in the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was higher, a college's educational competitiveness was higher. But as the communication with subordinates was higher, the college's educational competitiveness was lower. Fifth, concerning the organizational conflict, the general conflict, the vertical conflict, and the horizontal conflict were appeared to be lower as the satisfaction on communication with boss in the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was higher. And as the quality of communication in the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was better, the general conflict was more reduced. As the prospect of organization was brighter, the horizontal conflict level was low. And the general conflict and the vertical conflict were more reduced as the communication atmosphere in the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was more active. The vertical conflict was more reduced as the co-worker communication in the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was more active. Sixth, the satisfactions on job interest, work interest, and work worth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it was appeared that only the satisfaction on general work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eventh, concerning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faculty's attachment and the sense of loyalty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faculty's pride on their organization was appeared to be significant. Eighth, the job change intention was higher as the general conflict was more. Ninth, a college's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e educational competitiveness was appeared to be significant. Finally, the organizational conflict affected the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the organization's achievement, but didn't influenced on the faculty's work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t partly influenced on the faculty's job change intention and the college's competitiveness. Summarizing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if a technical college facing dual difficulties of 'survival and competition' in rapidly environment manages its conflicts and improves its organizational achievements, the organization will overcome its crisis and make the atmosphere leading the environmental changes, so will help in raising its competitiveness.

      • 2015 개정 교육과정과 <동아시아사> 교과서의 방향 탐색 : 15?16세기 동아시아 지역교류와 일본

        김준기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고는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역사교육과 석사과정의 학위논문이다.) 동아시아 각국의 역사 갈등의 평화적인 해결을 모색하고자 탄생한 <동아시아사> 교육과정은 현재까지 두 차례의 개편을 거쳐 2018년부터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이 학습 현장에 적용되고 있다. 2015 개정 교육과정 상의 <동아시아사>는 연대기식 주제 구성 형식을 강조하였다는 특징이 있지만, 해당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제작된 『동아시아사』교과서의 구성 중 15세기와 16세기의 동아시아 대외 교류에 대한 서술에서는 연대기적 주제 구성의 형식이 잘 드러나지 않는다. 특히 일본사를 중심으로 한 교류에 할애하는 분량이 매우 적어 15-16세기 동아시아에서의 교류 주체로서의 일본에 대해 수동적이고 피상적인 이해로 그칠 우려가 있다. 동아시아에서 15세기와 16세기는 ‘동아시아 지역 세계’가 형성되기 시작한 시대이다. 14세기 후반의 중국은 원·명의 교체로 한족 왕조가 재등장하는 변화를 맞이하였다. 한반도에서는 고려 말의 혼란을 거쳐 조선이 개국하였다. 일본에서는 무로마치 막부가 등장하였으나, 남조와 북조로 나뉘어 정권이 분열되었다. 이러한 정치 상황에서 15세기를 전후로 전기왜구가 등장하였다. 동아시아 각국은 전기왜구를 통제하기 위해 외교적으로 긴밀히 협력하였으며, 일본은 명의 조공-책봉 체제에 편입되었다. 그러나 16세기 일본에서 전국시대의 혼란상이 시작되면서 명나라의 무역 통제에 반발하여 후기왜구가 등장하였다. 후기왜구는 대규모로 주변국의 해안에 침입하여, 조선에서도 을묘왜변과 같은 사태가 벌어졌다. 마침 이 시기에 신항로 개척의 영향으로 포르투갈을 비롯한 서양 세력이 동아시아에 접근하여 영향력을 행사하기 시작하였다. 기독교와 함께 동아시아로 유입된 서양 세력은 단절된 명과 일본의 공무역을 대신하여 두 나라의 무역을 중계하는 한편 은을 매개로 한 국제무역 체제 속에 동아시아 각국을 포함시켜나갔다. 이렇듯 15-16세기가 동아시아 스스로 지역적 정체성을 강화하는 동시에 타 지역과의 접촉을 통해 국제질서 속으로 편입되기 시작하는 역사의 분수령에 해당하는 시기임에도 불구하고, 해당 시기를 다각도로 조명하고자 하는 여러 연구성과의 교육현장에 대한 적용은 대체로 미흡하였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15-16세기의 동아시아 대외 교류가 동아시아의 역사에서 갖는 의미를 파악하고 해당 시기에 대한 교과서 서술과 구성의 개선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본고에서는 <동아시아사>과목의 성격과 그 범주를 둘러싼 논의들에 대한 분석, 각국의 역사 교과서 구성의 비교, 그리고 일본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 15-16세기 동아시아 대외 교류사에 대한 선행연구 분석 등의 과정을 통해 <동아시아사> 교과서의 개선방안을 모색하고 나아가 <동아시아사> 교과 학습에 있어서 학습자들의 체계적이고 다각적인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이러한 과정을 바탕으로 본고에서는 ‘동아시아 대외 교류사를 통합 서술’, 그리고 ‘동아시아 지역세계와의 연계를 강화한 일본사 서술’을 교과서 개선 방안으로 제시하고 있다.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hich mainly covers the conflicts between East Asian countries and focuses on peaceful solutions to solve the conflicts has been reorganized for twice and now is being applied to history class in high school. Although most learning subjects in <The East Asian History> are described in chronological order, the learning topics about regional exchanges of East Asia in 15th and 16th centuries are not organized in a time sequence. In particular, some parts which are related to the regional exchanges of Japan are described without enough explanation, so learners could miss the point that Japan was one of the most active participant in terms of regional exchanges during those eras. ‘15th and 16th centuries’ are the period that the East Asian countries formed a community, in which the countries became closely connected with each other in social, political, and economical aspects. In the late 14th century, Yuan dynasty collapsed and Ming dynasty appeared, which is ruled by ethnic Han Chinese. In the Korean Peninsula, Joseon Dynasty was founded after the late Koryo dynasty which was in great disorder. In Japan, Muromachi Shogunate was established, but soon it was divided between a northern imperial court, and a southern imperial court. Around the 15th century, Early Wokou appeared in Japan. East Asian countries including Joseon maintained a close cooperation with each other to control Wokou, and therefore Japan became included in Chinese ‘tribute-investiture’ system. But after the beginning of chaotic Sengoku period, Later Wokou appeared opposing the trade ban of Ming dynasty. Later Wokou invaded the shores of its neighboring countries, and as a result, Japanese uprising of 1555 occurs in Joseon. Meanwhile, the Western powers including Portugal had an influence on East Asian countries (after they opened a new sea route). The Western powers, who also propagated Christianity, engaged in entrepot trade between Ming and Japan, which seemed like a substitution for public trade between Ming and Japan that had already been interrupted before. In the meantime, the Western countries tried to involve the Eastern countries in the international trade regime with silver as a medium. The 15th and 16th century period was a critical nodal point in which East Asia defined its regional identity as well as being integrated into a broader global context or the international order. However, the well-discussed multifaceted perspectives on the period seem to have missed the applications at the actual classrooms. This study thus illustrates the significance of the 15th and 16th century intraregional interactions in East Asia in view of its regional history, to propose possible improvements of the structure and the narrative of history education on the specific period. The article discusses various natures and purported identities of <History of East Asia>as a subject, collating narratives of each country's history textbooks, with precedent researches on the 15th and 16th century intraregional activities of East Asia, especially with Japan. The suggestions were made to further nurture structured, multifaceted understandings of learners on the history of East Asia. In conclusion, educators may enhance learners'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of East Asia by more closely integrating its narrative with intraregional exchanges. More robust narratives on Japanese history in relation to regional history also would deepen understanding of students of hist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