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운항 정보전송 시스템 개발에 대한 연구

        김종필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Autonomous vessels are becoming a hot topic in the global shipping industry. In the EU, Autonomous ship technology is rapidly developing. Autonomous vessels are expected to become a new paradigm to change and accelerate the digitization, platform connectivity and intelligence of the shipping industry. Over the past few years, the marine industry has maintained its competitive edge by securing operating competitiveness by reducing operating costs such as vessel size and oil costs. However, as with other industries, ICBM (Industry 4.0) IOT, Cloud, Big Data, Mobile), cyber security, simulation, etc., and to create new business by maximizing the unique capabilities of the shipping industry as defined in Shipping 4.0. Until recently, autonomous vessels were named as various types such as Smart Ship, Digital Ship, Connected Ship, Remote Ship, Unmanned Ship and Autonomous Ship. They were defined as MASS (Maritime Autonomous Surface Ship) by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IMO) This is a comprehensive product and service for the unmanned ship, autonomous transportation and efficient transportation in the stepwise upgrade for safety, reliability, and efficiency in ship operation. In this paper, the research background and research scope is described in chapter 1, discussion about autonomous ship related contents are in chapter 2.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large scale ship data transmission system including method of ship communication, data protocol and messaging processing technology to transmit and display large amount of data are describe in Section 3. The configuration and results of the experimental environment are in Section 4. Then finally the conclusion and further studies are described. Chapter 2 - Autonomous vessels are that incorporate ship control systems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that enable wireless monitoring and control, including improved decision support systems and remote control and autonomous navigation capabilities. The control function for the autonomous vessels is implemented in the Shore Control Center (SCC). In order to accurately recognize the situation of the ship at the remote land control center, the existing systems such as AIS and RADAR are equipped with thermal cameras, LIDAR an advanced sensor module is added to the vessel to replace the existing sailing company's watch keeping operations with the landlord and system. The land control center simultaneously monitors the safe operation of autonomous vessels, manages the voyage plan update and autonomous navigation system, and manages the maintenance plan for autonomous vessels. Chapter 3 - In this paper, we constructed and implemented a large capacity ship data acquisition and transmission system that can collect, process, and transmit data generated from ships. The required physical configuration is largely divided into onboard and onshore, and by design, it can have n ships and n land. On the ship side, data are collected from navigation equipment and AMS (Alarm Monitoring System) such as RADAR, Speed Log, Doppler, Gyro Compass and GPS, processed and stored for use on land and onboard service applications, The land consists of a server composed of modules capable of receiving data from various ships and transmitting them to a required place after processing, and servers for service application. The user is connected to the web browser on the PC and configured to use services such as flight information monitoring. Chapter 4 - Experiments were conducted on the large scale ship data acquisition and transmission system implemented in this paper by constructing an environment in the T/V Hanbada Lab. For each unit function, the experiment proceeded while the Kongsberg simulator and the training line were at anchor, and the integrated test for the stability and function of the data was conducted during the long voyage. Chapter 5 - In this study,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in order to process the ship’s navigation data generated from various equipment for several number of vessels in terms of ship operation data and remote control center technology for this purpose. For the research on application system implementation and verify evaluation, an analysis of a data collection and process on ship and shoreside and design of data transmission has been studied. Also for this research, the basic research knowledge were achieved together with research results on ship data processing and transmission. The newly developed web based system can used to monitor ship’s data in real-time on the shoreside.

      • 한센병 환자의 족저궤양과 족저압력의 관계

        김종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47

        한센병은 나균(Mycobacterium leprae)에 의한 피부와 신경의 육아종성 질환이며, 감염에 의한 말초신경병증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나균은 슈반세포에 친화력이 있어 그 세포 내에 침범하여 증식하면서 미엘린을 파괴시킨다. 2차적인 염증반응과 신경구조가 파괴되어 말초신경병증이 발생한다. 한센병에서 말초신경병증과 그에 의해 발생하는 합병증으로 불구와 장애가 발생하며, 장애로 인하여 사회적 편견을 받게 되어 아직도 공중보건학적 문제로 남아 있다. 감염 초기에 답손, 크로파지민, 리팜피신을 이용한 복합화학요법으로 장애발생을 줄일 수는 있지만, 조기 진단을 하지 못하거나, 신경손상을 유발하는 나반응이 발생할 수 있어, 불구나 장애를 일으키는 신경병증이 아직도 흔히 발생한다. 족저궤양은 신경병증에 의한 흔한 합병증이다. 족저압력은 족저궤양 발생에 중요한 요인이다. 족저압력은 한센병 환자의 족저궤양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보고가 없었다. 이에 저자는 한센병 환자에서의 족저압력의 특성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조사하였다. 연구를 위해 최근 5년 내에 족저궤양 병력이 있는 환자 50명과 없는 병력이 없는 환자 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한센병의 말초신경병증에 의해 감각소실이 소실되고 정상적인 구조가 파괴된 발에서 지속적인 손상의 중요한 요인인 족저압력의 여러 인자들에 대해 조사하고 족부 기형과 궤양 병력 유무의 차이와 이에 미치는 요인들을 phenolic glycolipid I(이하 PGL-I)항체값과 감각 유무에 따른 상관관계를 보아 분석하였다 갈고리발에서는 주로 전족부 중족골 두부에서, 중족골 손상에서는 주로 중족부에서, 족하수에서는 전족부, 중족부 외측, 후족부 등에서 궤양 발생과 연관이 있는 요인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또 PGL-I 항체값과 족저 궤양 발생과 연관이 있는 요인들과의 상관관계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가 향후 세계적으로 공중보건사업으로 수행되고 있는 한센사업 중 장애예방사업의 계획 수립과 수행을 위한 기초 자료로 이용되어 효율적인 한센사업 수행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The relations of the plantar pressure and plantar ulcer in patients with leprosy Kim Jong Pill Department of Medicine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Thesis Advisor: Kang Yoon Kyou OBJECTS Leprosy is a chronic infection principally affecting the skin and peripheral nerves caused by the obligate intracellular organism Mycobacterium leprae. Complications secondary to the neuropathy can result in deformity and disability. Leprosy remains a stigmatizing disease, so it continues to be a significant public health problem. Multidrug therapy (MDT) cures the infection. MDT, which cures the infection, has led to the understanding that leprosy can be effectively treated before disability develops, but leprae reactions may occur and neuropathy may lead to disability and deformity. The plantar ulcer is a common complication in leprosy. And the plantar pressure is important factors developing plantar ulcer. Though the characteristics of planter pressure are very important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plantar ulcer, there is any report for them. So the author is studied about characteristics of planter pressure in patients with leprosy. SUBJECTS AND METHOD Subjects included 100 leprosy patients, divided two groups according to the plantar ulcer history. The author analyzed the significant factors of the characteristics of planter force and pressure participating of the provoking of plantar ulcer. And analyzed the relations between that significant factors and various factors(PGL-I titer, sensory level). RESULTS Most of significant factors were found in fore-foot on claw foot, mid-foot on mid?]foot injury, and all parts of foot, especially later side, on foot drop. And the interrelation between the PGL-I antibody titer and the above factors, above mentioned, were found. CONCLUSION The author ascertained that the plantar pressure were the important factors participating of the provoking of plantar ulcer and PGL-I antibody titer would be the possible tool for estimating the plantar ulcer of the Hansen disease program, especially the prevention of disability, in more ways than one. key word: leprosy, planter pressure, plantar ulcer, deformity

      • Bio-Health 소재를 이용한 버섯 청국장에 관한 연구

        김종필 충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stepwise fermentation conditions of medicinal mushroom mycelium, Bacillus sp. and lactic acid bacteria with soybean as a substrate and to investigate the biological activity of the material produced from the optimum fermentation condition established. 1. To establish the stepwise fermentation process, soybean was used as a substrate and solid fermentation method was applied to see the growth conditions of mycelium and intensity of mycelium. From the results we selected Phellinus linteus, Cordyceps militaris, and Ganodrema lucidum for this study. 2. The separation of Bacillus sp. was done from the Chungkukjang manufactured by traditional method and 4 strains including FEN 1, 2, 3, and 4 were separated. Three of them had a good fermentation ability except for FEN 2 strain. When the enzyme activity was compared with the strain obtained from the gene bank, FEN 3 was the best strain for our objective. 3. To investigate the optimum growth conditions for medicinal mushroom mycelium different amount of ground soybean solution was add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it was best condition for growth performance when the ground soybean solution was added at 15% for Phellinus linteus, 30% for Cordyceps militaris, and 10% for Ganodrema lucidum. 4.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of the fermented material after the 1st step fermentation were 990 ㎍/mL for Phellinus linteus, 1,374 ㎍/mL for Cordyceps militaris, and 603 ㎍/mL for Ganodrema lucidum. Those of the fermented material after the 2nd step fermentation, 1,328, 1,185, and 2,168 ㎍/mL for Phellinus linteus, Cordyceps militaris, and Ganodrema lucidum, respectively. The amount of total phenol contents showed an increasing trend compared to the 1st fermentation. However, after the 3rd fermentation, the total phenol content was the highest in Ganodrema lucidum and those of Phellinus linteus and Cordyceps militaris were reduced to less than that of Lactobacillus bulgaricus fermentation. 5.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fermented material after stepwise fermentation.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fermented material after the 1st step fermentation resulted in 45.53, 57.05 and 13.22,% in Phellinus linteus, Cordyceps militaris, and Ganodrema lucidum, respectively. After the 2nd step fermentation, the activity increased to 57.27, 65.47 and 16.72%, respectively. After the 3rd step fermentation, th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showed 42.00, 53.36 and 28.03% in Phellinus linteus, Cordyceps militaris, and Ganodrema lucidum, respectively. In this case, the activity of Phellinus linteus and Cordyceps militaris decreased but that of Ganodrema lucidum increased. 6. The superoxide dismutase (SOD) activity of the fermented material after the 1st step fermentation were 57.67, 56.57 and 47.62% for Phellinus linteus, Cordyceps militaris and Ganodrema lucidum, respectively, which showed that Phellinus linteus and Cordyceps militaris were superior to Ganodrema lucidum. However, after the 2nd step fermentation, the activity of Ganodrema lucidum increased to 55.6% and was comparable to Phellinus linteus and Cordyceps militaris. After the 3rd fermentation, the SOD activity of fermentation materials of 3 samples showed no difference statistically. 7. The melting activity of blood clot was measured after 3 step fermentation including 1) grew the mushroom mycelium of Phellinus linteus, Cordyceps militaris and Ganodrema lucidum in ground soybean solution, 2) fermented by Bacillus subtilis using fermented material after the 1st fermentation, and 3) fermented by lactic acid bacteria using the fermented material after the 2nd fermentation. The blood clot melting activity of Phellinus linteus was the highest (89.4%) than those of Cordyceps militaris and Ganodrema lucidum after the 2nd step fermentation. However, after the 3rd step fermentation, the activity increased dramatically to 75.2, 75.2 and 82.6% for Phellinus linteus, Cordyceps militaris and Ganodrema lucidum, respectively.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blood clot melting activity of the medicinal mushroom mycelium grown in ground soybean can be increased after stepwise further fermentation using Bacillus subtilis and lactic acid bacteria. 본 연구는 대두를 기질로 하여 약용버섯 균사체, 바실러스균, 유산균 등의 단계적 최적 발효조건으로 발효시킨 배양물의 생리활성을 검토하였다. 1. 단계적 발효에 의한 생육조건을 확립하기 위하여 대두를 기질로 하고 고체 배양을 통하여 균사체 생육조건 및 균사체 조밀도 등을 관찰하여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 밀리타리스 동충하초(Cordyceps militaris), 영지버섯(Ganodrema lucidum) 등을 선정하였다. 2. 바실러스균의 분리는 전통적인 방법으로 제조된 청국장으로부터 FEN 1, FEN 2, FEN 3 및 FEN 4 등 4개의 균주를 분리 하였으며, FEN 2를 제외한 세 균주는 발효능력이 우수하였으며, 유전자은행으로부터 분양받은 균주와 비교하였을 때 효소활성도는 FEN 3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3. 약용버섯 균사체가 생육하기에 적합한 조건을 검토하기 위하여 마쇄 대두액 첨가량을 달리하여 생육조건을 측정한 결과, 상황버섯의 경우 15%, 동충하초는 30%, 영지버섯은 10%의 마쇄한 대두를 첨가한 천연배지에서 균사체량이 가장 우수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4. 단계적 발효에 의한 발효물의 생리활성 물질 중 총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은 약용버섯 균사체를 배양한 1 단계 발효물의 경우, 상황버섯 990 ㎍/mL, 동충하초 1,374 ㎍/mL, 영지버섯 603 ㎍/mL으로 동충하초, 상황버섯, 영지버섯의 순으로 함량이 높게 측정되었다. 2 단계 발효물의 경우에는 상황버섯, 동충하초, 영지버섯이 각각 1,328, 1,185, 2,168 ㎍/mL으로 1단계 발효물과 같았으며 그 함량은 1 단계보다 증가한 경향이었다. 그러나 3 단계 발효물에서는 영지버섯의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이 1,483 ㎍/mL로 가장 높았으며, 상황버섯과 동충하초는 2 단계 발효물보다 오히려 감소하여 876, 1,184 ㎍/mL로 측정되었다. 5. 단계적 발효에 의한 발효물의 DPPH free radical 전자공여능을 이용한 항산화성을 측정한 결과, 약용버섯 균사체를 발효시킨 1 단계 발효물 상황버섯, 동충하초, 영지버섯은 각각 45.53, 57.05, 13.22%로 동충하초, 상황버섯, 영지버섯 순으로 전자공여능이 우수하였다. 2 단계 발효물에서도 상황버섯, 동충하초, 영지버섯은 각각 57.27, 65.47, 16.72%로 1 단계 발효물보다 전자공여능이 상승하였다. 3 단계 발효물의 경우에는 상황버섯, 동충하초, 영지버섯의 전자공여능이 각각 42.00, 53.36, 28.03%로 영지버섯의 전자공여능은 소량 상승하였으나 상황버섯, 동충하초는 약간 감소하였다. 6. 단계적 발효에 의한 발효물의 superoxide dismutase(SOD) 유사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약용버섯 균사체를 발효시킨 1 단계 발효물 상황버섯, 동충하초, 영지버섯은 각각 57.67, 56.57, 47.62%로 영지버섯보다 상황버섯, 동충하초의 SOD 유사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2단계 발효물에서는 영지버섯의 활성도가 증가하여 55.6%를 나타내어 상황버섯 57.67, 동충하초 56.57%와 유사한 활성도를 나타내었다. 3단계 발효물에서는 상황버섯, 동충하초, 영지버섯의 SOD 유사활성이 각각 50.84, 54.11, 51.52%로 세 실험군 모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7. 마쇄대두에 영지버섯, 상황버섯 및 동충하초 균사체를 배양한 1 단계 발효물에 바실러스균을 발효(2 단계 발효물)시키고 여기에 유산균을 발효시킨 3 단계 발효물에 대한 혈전용해능을 측정한 결과, 2 단계 발효물에 대한 혈전용해 활성이 각각 상황버섯 89.4%, 동충하초 47.8%, 영지버섯 2.0%로 상황버섯의 혈전용해 활성이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3 단계 발효물에 대한 혈전용해능을 측정한 결과, 상황버섯 75.2%, 동충하초 75.2%, 영지버섯 82.6%로 동충하초와 영지버섯은 2 단계 발효물보다 혈전용해능이 월등히 상승하였으며, 상황버섯은 2 단계 발효물보다 약간 낮아졌으나 큰 차이는 없었다. 이러한 실험 결과는 마쇄대두에 배양한 약용버섯 균사체에 바실러스균 발효와 유산균 발효의 2 단계 및 3 단계 발효과정을 거치면서 혈전용해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엑스선 시스템의 냉음극용 탄소 나노튜브 기반 미세팁 전계방출기 구현

        김종필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탄소 나노튜브(carbon nanotubes, CNTs)는 1차원 구조를 갖는 나노 물질로서 저차원계가 갖는 우수한 특성의 전기적, 화학적, 구조적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나노 기반 신소재, 소자, 부품 재료로서 광범위한 응용이 기대되고 있다. CNT의 다양한 물성 중 나노미터(nm) 크기의 작은 직경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매우 큰 길이를 갖는 뛰어난 종횡비(aspect ratio)와 우수한 전계방출 특성 및 열적, 화학적 안정성 등의 이유로 전계방출 소자의 이상적인 물질로서 매우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CNT를 각종 암의 조기진단 및 근접치료(brachytherapy)를 위한 x-ray 장치의 전자원(electron source) 발생용 냉음극(cold cathode) 소자로 이용함으로써, 기존의 텅스텐 필라멘트와 같은 열음극(hot cathode)을 사용시에 나타나는 시간해상도의 제한, 고전력 요구 및 고가의 운영비용, 소형화의 구조적 한계 등의 문제점들을 효과적으로 극복하고자 하는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고해상도의 x-ray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CNT 냉음극으로부터 방출된 전자빔(electron beam)이 x-ray 발생용 타겟(target)에 충돌 시 입사 면적의 직경이 수십 µm 이내가 되어야 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수 µm 혹은 그 이하의 직경을 갖는 매우 날카로운 팁(tip) 형태의 기판 위에 CNT를 직접 성장시켜 CNT 이미터(emitter)로 활용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tip-type CNT 이미터의 경우, CNT가 미세 구조의 기판 위에 성장되기 때문에 기판과의 접착력이 비교적 약하며, 전자방출이 시작됨에 따라 강한 전계(electric field)가 집중되면서 이온 충돌 및 열 발생에 의해 CNT 이미터의 끝 부분에 손상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고해상도의 x-ray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아직까지 해결해야 할 기술적 어려움들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방출전류(emission current)가 크고, 이와 동시에 안정된 전계방출(field emission) 특성을 가지는 CNT 이미터를 제작하여 고선명, 고휘도의 x-ray 영상을 얻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미세 크기의 원추형(conical type) 기판 위에 다양한 종류의 완충 박막(buffer layer)과 촉매 금속(catalyst layer)에 따른 CNT의 구조적 물성 및 전계방출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기판과 CNT사이의 접착력을 강화하고 접촉 저항을 최소화하여 전계방출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촉매 금속으로 사용되는 코발트(Co) 팁 위에 CNT를 직접 성장시킨 CNT 이미터를 제작하여 전계방출 특성 및 장시간 안정성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CNT의 전계방출 특성 및 장시간 안정성의 향상을 위해 성장된 CNT 위에 낮은 일함수, 전기적 전도도(electrical conductivity)가 높고, 열적으로 안정(thermally stable)되어 있으며, 산화에 대한 저항력(oxidation resistant)이 큰 물성을 가지고 있는 BN 그리고 Ga-doped zinc oxide (GZO) 박막을 증착하여 이종접합 구조(hetero-structured)의 CNT 이미터를 제작하였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작된 BN 그리고 GZO 박막이 코팅된 CNT 이미터는 코팅된 박막의 두께에 따라 특성이 변화하였으며, 실험을 통해 최적의 코팅 두께를 도출하여 코팅되지 않은(non-coated) CNT 이미터에 비해 우수한 전계방출 특성과 장시간 안정성 특성을 갖는 CNT 이미터를 제작하였다. 마지막으로, 상기에서 제작된 가장 우수한 전계방출 특성을 갖는 GZO 박막이 코팅된 CNT 이미터를 x-ray 발생장치의 전자원으로 사용하여 방출 전류량에 따른 x-ray 영상을 획득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암의 조기진단과 근접치료를 위해 초소형, 고해상도 x-ray 발생장치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것이다. X-ray radiography has been used today in a wide range of applications, such as medical diagnosis and nondestructive inspection of industrial products. The conventional x-ray radiography is composed of a tungsten filament (cathode), which emits the electrons when resistively heated to over 1000 °C and a metal target (anode), which generates x-rays when bombarded by accelerated electrons. This kind of thermionic (or hot) cathode has several limitations in application of x-ray radiography, such as limitation in time resolution, high power requirement, high operation cost, and structural limitation for miniaturization. Recentl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overcome the problems of hot cathode and replace it eventually. Carbon nanotubes (CNTs) have been used as electron-source for cold cathode of x-ray radiography for the early diagnosis and possibly brachytherapy of cancers. CNTs are excellent electron emitters for x-ray radiography application because of their high aspect ratio, high electric and thermal conductivity, chemical inertness, small radius of curvature, and one-dimensional shape with a nanometric tip. In order to use CNT-based emitters as cold cathodes in x-ray radiography, they must have a large current capacity and ensure a stable prolonged-operation of electron emission at the same time. Especially, the fine focusing of the electron beam emitted from CNTs has been suggested as essential to obtain high-resolution x-ray images. For this purpose, direct growth of CNTs on very sharp tip-type substrates was proposed to reduce the electron emission area for the application of high-resolution x-ray radiography. Furthermore, the x-ray images obtained using CNT-based emitters may strongly depend on the emission performance of the CNT-based electron sources. In this tip-type CNT emitter, however,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CNTs and the substrate is relatively low because the CNTs are developed on a microstructure substrate, and the end of the CNT emitter can be damaged by ion collision and heat when a strong electric field is concentrated on it at the commencement of electron emission. In this study, we present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that was conducted on the field emission properties and the long-term stability of the various CNT-based field emitters with a CNT/catalyst/buffer/tip configuration. The structural properties of CNTs and their field emission characteristics including the long-term stability were examined in terms of the buffer and catalyst materials used. We also suggest for the first time a novel method for direct growth of CNTs on cobalt (Co), which itself is a good conductor as well as a suitable catalyst for CNTs growth, and the characterization of the electron emission properties of CNTs on Co-tip are presented. In addition, we performed x-ray imaging experiment to obtain highly-contrast x-ray images to check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wly developed CNT emitter. For this purpose, the CNT emitters were fabricated by depositing a boron nitride (BN) and gallium-doped zinc oxide (GZO) thin film, which is highly electrically conductive and thermally stable, on a conical-type micro-substrate. The electric-field emission characteristics of the BN- and GZO-coated CNT emitters and of the non-coated CNT emitter were compared, and the GZO-coated CNT emitter with the best electric-field emission characteristics was installed in the x-ray system as the x-ray source. The x-ray images obtained employing the non-coated CNT emitter and GZO-coated CNT emitter as cold cathodes were compared in terms of contrast and brightness, and correlated with the emission properties of those emitters used.

      • 성장-변형률법에 의한 유동시스템 형상의 최적 설계

        김종필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유동시스템 형상의 최적 설계는 공학분야에서 요구되어지는 효과를 얻기 위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대표적으로 실험을 바탕으로 하는 경험적인 방법과 수학적으로 목적함수를 설정, 수치해석을 하는 방법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후자의 수치해석적인 방법으로 Azegami가 제안한 성장-변형률법을 유동시스템에 적합하도록 수정하여 여러가지 유동시스템에 적용을 하였다. 또한 이를 Azegami의 기법에 의한 최적 형상과 비교하여, 비점성 유동인 포텐셜 관로유동에서는 성장비의 조절이 필요하지 않고, 점성 유동인 2차원 확대관에서는 분포매개변수가 보다 안정적이고, 빠르게 수렴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다른 수치해석 기법인 Adjoint 방법과 비교하였을 때는 층류 평판 확대관의 경우, 각각의 Renolds 수에 대한 압력회복계수 와 최적 형상이 근사적으로 일치하며, 유동시스템 형상의 최적화에 효율적이며, 실용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Shape optimization of a flow system is done to obtain the required effects, in the engineering fields. Most of these designs are accomplished by empirical or numerical analysis. In empirical analysis, it is difficult to obtain an optimal shape in the feasible design region. And, in numerical method, it usually needs much calculation expenses for shape optimization, because of design sensitivity analysis. In this study, we used the growth-strain method having only one distributed parameter such as a design variable. It optimizes a shape by making a distributed parameter such as dissipation energy uniform in a flow system, and then applied to two-flow systems. In order to overcome the stability occurred in numerical analysis performed by Azegami, the equation of volumic strain has been modified. Also, the shapes were compared with the known optimal shapes for the flow systems. Consequently, we confirm that the modified growth-strain method is very efficient and practical in shape optimization of the flow systems.

      • 제왕절개술을 위한 전신마취시 적절한 Sevoflurane 흡입농도에 대한 고찰

        金鐘泌 全南大學校 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연구배경: 제왕절제술에 대한 흡입마취시 수술 후 회상의 높은 위험이 존재하며 Bispectral Index (BIS Index)는 마취깊이를 측정하는 방법에서 유용하다. 본 연구는 전신마취 하에 제왕절제술을 받은 산모에서 적정 흡입 sevoflurane 농도와 BIS index를 결정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제왕절제술을 받는 30명의 환자를 세군으로 10명씩 나누어 이중맹검방식에 의해 산소흡입농도 50%하에 아산화질소를 사용하여 전신마취를 시행했으며 Sevoflurane 흡입농도를 제 1군에서는 1.0 vol%,제 2군에서는 1.5 vol%,제 3군에서는 2.0 vol%로 사용하였다. 각 환자에서 BIS index, 혈압, 심박수, 호기말 가스농도를 각각 마취유도전, 피부절개직후, 자궁절개시, 태아만출직후, 태아만출후 각 1분, 2분, 3분, 5분, 10분에 측정하였다. 마취유도 직전에 거치한 압박대를 통해 Tunstall의 isolated forearm technique (IFT)를 사용하여 음성명령에 대한 반응을 측정하였다. 신생아에 대한 효과는 Apgar score 1분과 5분을 측정하였다. 결과: BIS index는 분만시점(태아만출직후)부터 제 3군에서 유의하게 낮아지기 시작하였고(p<0.05), 분만 1분후에는 제 2군에서도 제 1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p<0.05). 반면 혈압, 심박수, Apgar score는 각 군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수술 후 회상은 모든 대상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Sevoflurane 흡입농도 2.0 vol%의 사용이 태아에 대한 억제도 없었으며 자궁의 수축력 감소없이 산모의 수술 후 회상을 예방하는데 바람직하였다. Background: In case of inhalation anesthesia for cesarean section, there is a high risk of recall. So the bispectral index (BIS) is useful for measuring the depth of anesthesia.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optimal inspiratory sevoflurane concentration and BIS index values during the cesarean section. Methods: we randomized 30 patients scheduled for elective cesarean section to receive inspiratory sevoflurane 1.0 vol% (group 1, n = 10), inspiratory sevoflurane 1.5 vol% (group 2, n = 10), inspiratory sevoflurane 2.0 vol% (group 3, n = 10) in a 50% nitrous oxide oxygen mixture. Each group was asessed for BIS, blood pressure, heart rate, and end tidal sevoflurane concentration at the point of preinduction, skin incision, uterine incision, delivery and at 1, 2, 3, 5 and 10 minutes after delivery. Responsiveness to verval commands using the Tunstall isolated forearm technique was detected throughout the study period.neonatal effect was assessed by Apgar score at 1 and 5 minutes. Results: The BIS index of group 3 was lower than that of group 1 from the point of delivery (p<0.05) and the BIS index of group 2 was lower than that of group 1 from the point of 1 minutes after delivery (p<0.05). While blood pressure, heart rate, Apgar scor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groups. No awareness was observed in the all subjects. Conclusions: We found that the use of inspiratory sevoflurane 2.0 vol% (endtidal 1.2 vol%) may maintain the BIS index under 60. It was desirable to prevent recall by parturients, in the absence of fetal depression and a decline in uterine contractility.

      • 혐기성 폐수처리 공정 중 인 성분 첨가에 의한 메탄가스 발생 효율 향상에 대한 연구

        김종필 호서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국제사회는 기후변화와 같은 환경문제에 변화로 전광석처럼 일어나고 있다. 환경규제의 강화에 따라 온실가스의 하나인 메탄을 대기로 배출하면 지구온난화를 가속화될 수 있으며 온실가스를 저감 하기 위해 에너지원으로 활용하는 연구가 진행되면서 국내에서는 바이오 시설의 효율 향상에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본 연구의 목표는 혐기성 폐수처리 공정에서 인 성분에 대하여 소화 기술 및 운영 조건을 도출하여 상용화 가능성을 판단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회분식 BMP-test 연속운전으로 유기물 부하가 증가할수록 알칼리도는 환원반응에 의해 증가로 SCOD 제거율과 VFAs의 농도는 고부하조건에서 매우 높은 메탄 생성량으로 혐기성 소화 효율을 나타내었다. 인의 농도에 따라 미생물의 활성도 및 폐수의 생분해 COD(CODBD) 농도와 산화 정도를 근거로 평가하여 그중에 산화 정도 세포 생산율에 미치는 영향에 따라 가스 발생량에 변화가 일어났다. 미생물의 활성도를 극대화함으로써 가수분해 단계에서 생성된 NH4+-N 농도는 400mg/L~465mg/L 범위에서 나타나며 유기물 안정화와 함께 미생물의 형태인 Org-N(C5H7O2N)으로 증식시켜 고효율의 바이오가스 생산 및 저농도 유출수 상징액이 배출되는 고효율 혐기성 소화가 형성되었다. 이 결과로 혐기성 소화 향상 연구에 활용으로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바이오가스 진공 온수보일러를 설치하여 급수탱크의 충수 온도 약 34℃를 가온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이때 바이오가스 열량은 7,328kcal/㎡로 나타난다. 혐기성 소화 공정에서 바이오 메탄을 재이용하여 연간 LNG 사용량 저감으로 온실가스 CO2 배출량 감소 연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 된다. With the tightening of environmental regulations, methane, one of the greenhouse gases, can be released into the atmosphere to accelerate global warming, and research is attracting attention to use it as an energy source to reduce greenhouse gases. Accordingly, research is being conducted on improving the efficiency of biogasification facilities in Korea, and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commercialization by deriving the characteristics and optimal conditions of fire extinguishing technology for phosphorus components in the anaerobic wastewater treatment process. The study showed anaerobic digestion efficiency with very high methane production under high load conditions, as the organic load increased with continuous operation of the batch BMP-test, alkalinity increased by reduction reaction.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phosphorus, the activity of microorganisms and the biodegradable COD(CODBD) concentration and oxidation of wastewater were evaluated based on the degree of oxidation, and among them, the amount of gas generation changed according to the effect of oxidation degree on cell production rate. By maximizing the activity of microorganisms, the NH4+-N concentration generated in the hydrolysis step appears in the range of 400 mg / L ∼ 465 mg / L and it is proliferated into the microorganism form Org-N (C 5H 7 O 2 N) with the stabilization of organic matter, high-efficiency biogas production and high-efficiency anaerobic digestion in which low-concentration effluent symbol liquid is discharge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a biogas vacuum hot water boiler was installed to reduce greenhouse gases by using anaerobic digestion improvement research to warm the filling temperature of the feed tank about 34°C. At this time, the caloric content of biogas appears to be 7,328 kcal/㎡. It is believed that biomethane can be reused in anaerobic digestion processes to reduce annual LNG usage and be used for research on reducing greenhouse gas CO2 emissions.

      • 제품특성에 따른 소비자의 사전지식, 광고유형이 제품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종필 韓國外國語大學校 經營情報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 사회에서 우리들은 수많은 광고를 접하게 된다. 제품의 성공 여부는 제품 그 자체가 얼마나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켜 주느냐 하는 것 외에도 그것이 얼마나 신속히 소비자들에 의해 수용내지 시장 전체에 확산되느냐에 따라 결정된다고 할 수 있는데, 이 때 제품을 소비자에게 알리는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광고라고 할 수 있다. 광고는 기본적으로 설득을 목적으로 한 설득커뮤니케이션으로, 두 가지 시각에서 정의될 수 있다. 첫째는 마케팅적인 관점에서 광고를 정의하는 것으로, 이 때에는 상품, 서비스 등의 촉진 또는 판매를 강조한다는 특성을 지닌다. 반면, 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는 광고를 기업과 소비자 사이의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보고, 정보전달과 설득의 기능을 강조한다. 결국, 광고의 중요한 목표는 제품에 대한 정보를 소비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여 제품에 대한 인지도를 높여 제품 판매에 기여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일상생활에서 소비자들이 접할 수 있는 대중매체의 광고는 광고물의 시각적 표현이나 중심적인 광고 메시지에 따라 크게 두 가지 유형 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는, 광고가 소비자에게 제품에 대한 독특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전달형 광고와 둘째는, 제품에 대한 정보 제공 보다는 느낌이나 분위기에 비중을 두는 이미지 광고이다(김완석 1991). 광고 연구자들은 이러한 두 가지 형태의 광고에 소비자가 노출되면 소비자는 상이한 반응을 보인다고 주장해 왔다(김용준, 배장원 1993, 조봉진, 정경애 1998). 소비자가 광고에 노출되어 어느 정도 주의를 기울 이고 나름대로 광고의 내용을 지각하게 되면, 광고에서 제시된 내용을 처리하는 과정을 통해 광고에 대한 태도가 형성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구체적 정보를 제시하는 광고는 소비자의 인지적 반응을 유도하여 제품에 대한 호의적 태도를 형성시키고자 하는 반면 감성적 분위기를 연출하는 광고는 정서적 반응을 유도하여 제품에 대한 호의적 태도를 형성시키는 것으로 밝혀져 왔다. 광고 실무차원에서 이러한 소비자의 상이한 반응을 적절히 유도하기 위해서 인지적 반응이나 정서적 반응을 차별적으로 유도하려는 광고가 많이 제작되고 있다. 그동안 연구자들은 기업의 입장에서 과연 어떠한 형태의 광고 유형을 제작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인 광고물이 될 수 있는 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해 왔다. 그러나 아직까지 광고제작시 이용할 수 있는 절대적인 광고 유형 선택 모델은 없는 것 같다(김용준, 배장원 1993). 대부분의 광고대행사에서는 광고주 혹은 광고제작자들의 사전경험에 의해 광고유형을 결정하거나, 또는 경쟁업체 광고와의 대조효과를 얻기 위해 경쟁사와 반대의 광고유형을 선택하기도 한다. 하나의 광고메시지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이 소비자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광고제작자는 광고메시지 제작 시 여러 상황들을 고려해야 한다. 광고효과분야의 기존 연구들을 살펴보면, 광고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변인 중에서 소비자의 특성이 중요한 요인으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광고의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광고의 주 대상 소비자가 누구인지, 그리고 그러한 소비자의 성향은 무엇 인지를 파악하고 그러한 소비자의 성향에 맞는 광고 메시지를 전달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선행연구들이 진행해 왔던 제품속성에 따른 메시지 유형간의 관계 연구들을 근간으로 제품특성에 따른 소비자의 사전지식 수준과 제품특성에 따른 광고의 메시지 유형에 관한 효과를 파악함으로써 소비자의 사전지식과 광고 메시지 유형이 단순히 제품에 대한 태도를 미친다는 가설의 입증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마케팅 전략으로서 기업의 마케팅 관리자에게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