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미쓰비시 전기자동차 특허기술 분석

        김종윤 아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에서는 미쓰비시 전기자동차의 특허기술을 분석하였다. 2009년 7월 양산형으로는 세계 최초로 출시된 미쓰비시 전기자동차에 대한 특허기술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전기자동차의 시장진출 전략 방향을 고찰해 보았다. 선행 연구 자료에서는 전기자동차 특허평가 국제특허분류(IPC)를 바탕으로 기술 분포 비중을 살펴 본 결과, B60L(전기적 추진차량의 전기장치 또는 추진장치, 차량용 자기적 현가 또는 부양 장치, 차량용 전기적 제동방식 일반)분야의 점유율이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최근 10년간 미쓰비시자동차에서 한국, 미국, 일본에 출원한 특허정보를 검색 데이터베이스인 윕스(WIPS)를 이용하여 100% 전기자동차에 대한 사항만 추출한 결과, 일본(62건), 미국(15건), 한국(6건) 순으로 자료가 취득 되었고, ‘06~’08년 사이에 최근 10년간 전체 특허의 67%가 출원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로써 ‘09년 7월 전기자동차 시판에 앞서 3년간에 가장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는 사실이 확인 되었고, 일본에서 출원된 기술 분야별 주요내용은 첫 번째 ’차체구조분야‘. 두 번째 ’충전장치‘ 세 번째 ’배터리케이스‘ 네 번째 ’배터리탑재‘ 다섯 번째 ’기타 운행 장치‘ 등으로써, 선행연구 자료의 기술분야별 점유율 조사내용과 유사한 결과를 보였으나, 핵심부품 및 충전 인프라 관련 특허기술은 출원된 것이 없었다. 전기자동차 시장수요는 전기차충전소 등 인프라가 확보된 곳에서 발생 한다. 미쓰비시 전기자동차 시장전략은 이와 같은 구비요건이 잘 갖추어진 일본에 중점적으로 특허출원이 추진된 이유로 보인다. 전기자동차는 하이브리드자동차 기술에 종속된 것으로 인식했었기 때문에, 하이브리드자동차 기술을 가진 굴지의 자동차 완성업체들을 제치고, 세계 최초의 양산형 전기자동차를 출시한 미쓰비시자동차 사례는 향후 자동차 공급시장에 큰 반향을 일으킬 것이다. 특히 전기자동차 시장창출의 요건은 인프라 확보에 절대적인 영향을 받는다. 현재와 같이 한정된 충전 인프라 환경에서는, 전기모터를 주동력으로 하되 배터리 방전 방지를 위해 기존의 가솔린 인프라를 동시에 활용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 제품방식(例 : GM 시보레 볼트)이 소비자의 접근성을 높일 것으로 전망된다. 미쓰비시 전기자동차 특허기술 분석결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전기자동차 시장 확대는 완성차업체만의 노력으로는 한계가 있다. 충전 인프라 확충을 위해 제도적인 표준특허, 배터리 등 연관산업 분야별 핵심특허기술 기반과 장․단기적인 전기자동차 수요시장 전망 측면에서 소비자의 선택권을 유도할 수 있는 현실적인 시장분석과 단계적인 기술전략에 대한 심도 있고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Improved soil acclimatization by transplanting of thickened taproots of somatic embryo-derived plantlets of Panax ginseng

        김종윤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인삼(Panax ginseng) 체세포배 유래 유식물체의 뿌리 비대를 통한 토양순화 김종윤 강원대학교 대학원 산림환경시스템학과 기내에서 배양된 인삼 유식물체의 미세번식이 힘든 이유는 토양순화 성공률이 낮기 때문이라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내 배양을 통해 인삼의 체세포 배에서 유래 된 줄기와 뿌리가 있는 유식물체를 가지고 뿌리의 비대를 유도하는 실험을 실시했다. 뿌리의 비대를 위하여 당의 농도를 달리하여 배지에 배양을 한 결과 당의 농도가 높을 수록 배축과 주근에서 뿌리의 비대가 잘되었다. 인삼 유식물체를 계대배양하지 않고 계속 배양하면 줄기와 잎의 노화가 진행되어 비대 된 뿌리만 남게 되었다. 이와 같은 비대 된 뿌리를 새로운 배지에 계대배양하여도 새로운 줄기가 유도되지 않았기 때문에 휴면한다고 생각 되었다. 휴면중인 비대된 뿌리를 토양에 옮긴 다음 GA3를 처리해주면 싹이 유도되었는데 이러한 식으로 휴면중인 비대 된 주근을 가진 인삼을 GA3호르몬을 처리하거나 2oC혹은 10oC에서 몇 달간 저온 처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2oC에서 4개월간 배양을 진행한 유식물체에서 새로운 싹이 89%의 확률로 움트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100 mg/l GA3호르몬을 처리해도 87%의 확률로 새로운 싹이 생장하였다. 결과적으로 휴면중인 비대 된 인삼 주근을 토양에 순화 시키는 것은 몇 가지 이점이 있다. 휴면중인 인삼은 토양에서 오랜 기간 보존이 가능하고 별도의 순화 과정이 생략이 되기 때문에 높은 빈도로 인삼의 생존율을 얻는데 유리했다. □핵심주제어 Somatic embryogenesis, Micropropagation, Plant regeneration, Panax ginseng Improved soil acclimatization by transplanting of thickened taproots of somatic embryo-derived plantlets of Panax ginseng Jong-Youn Kim Department of forestry and environmental systems Graduate School, Kangwon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Low soil survival of in vitro regenerated plantlets of Panax ginseng is main obstacle for successful micropropagation and breeding. In most cases of micropropagation of ginseng plants, young plantlets with shoots and roots converted from somatic embryos were transferred to soil. Here, we attempted the soil transfer of thickened taproots which are obtained from prolong culture of somatic embryo-derived plantlets of P. ginseng. After elongation of shoots and roots of plantlets germinated from somatic embryos, root thickening occurred near hypocotyl and primary roots. Root thickening was enhanced by the elevated concentration of sucrose in medium. Senescence of shoots (leaves) occurred by prolong culture of plantlets. Once the plantlets had senescent leaves, new sprouting on the shoot buds did not occur except for the plantlets were treated with GA3 indicating dormancy of buds. These thickened taproots with dormant buds were transferred to soil and then exposed to GA3 or cold temperature at 2oC or 10oC for several months. Cold treatment of roots at 2oC for 4 months resulted in 89% sprouting of buds. Spraying of 100 mg/l GA3 also induced sprouting of buds at 87% of roots. Conclusively, soil transfer of the dormant taproots in P. ginseng have some advantages because these roots can preserve long time because of dormancy, and does not require the acclimatization procedure for photoautotrophic growth and high frequency soil survival was obtained.

      • 武藝圖譜通志의 拳法 硏究

        김종윤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무예도보통지의 권법 연구이다. 이 연구를 통해 『무예도보통지』 권법의 기원과 발전과정, 현대적 의의를 알아보고자 한다. 역사적으로 무예도보통지의 권법은 명나라 때 장수 척계광이 1560년에 저술한 책인 『기효신서』에 의거하고 있다. 조선이 1610년에 발행한 『무예제보번역속집』에 권법이 실리고, 이 권법은 『무예신보』를 거쳐 마지막에 『무예도보통지』에 「권법보」라는 이름으로 실린다. 『기효신서』, 『무예제보번역속집』, 『무예도보통지』의 권법은 각각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기효신서』는 모든 동작이 세(勢)로 이루어져서 있다. 이 세(勢)를 바탕으로 몇 가지 동작을 연속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기술하였다. 『무예제보번역속집』의 권법은 한사람이 처음부터 끝까지 모든 동작을 연결하여 연습하는 방법을 기술하였다. 『기효신서』와 『무예제보번역속집』의 동작은 크게 다르지 않다. 척계광은 『기효신서』의 권법을 만들 때 당시의 많은 무술을 참고하였고 그중에서 언급되는 무술이나 동작은 현재까지도 중국에서 전해져 온다. 그러므로 현대 중국무술과 비교는 그 당시의 동작과 문장에서 나오는 용어도 쉽게 이해 할 수 있다. 『무예도보통지』의 권법은 전체적으로는 가장 훌륭한 체계를 가지고 있다. 『기효신서』나 『무예제보번역속집』보다 다양하고 많은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무예도보통지』의 전반부에 권법이 본질을 잃어버려 세를 추가했다고 하지만, 『기효신서』에서도 언급했듯이 원래 그 당시 군대에서의 권법의 목적은 권법으로 적군과 전투를 하는 것이 아니라, 무기를 익히기 전에 몸을 영활하고 사지를 움직여서 단련하는 것이라 되어 있다. 그러므로 세가 빠진 것이 권법의 자체의 본질을 잃어버렸다고는 할 수 있지만, 전체적인 군대의 훈련의 입장에서 보면 꼭 그런 것이라고 할 수 없다. 그 당시에는 무기훈련에 비해 소홀할 수밖에 없었을 권법은 현대사회에는 무기보다 그 가치와 효용성이 크다 하겠다. 맨손으로 권법을 하는 것은 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고 어디서라도 할 수 있으며, 몸을 단련하고 어떤 위험으로부터 스스로를 지키는 좋은 방법이 될 수도 있다. 현재 한국의 많은 전통무예 연구가들은 무예도보통지의 권법을 복원하고 수련하고 있으나, 단순히 동작을 따라할 뿐 구체적인 수련방법은 보이지 않는다. 체계가 없다는 것은 계속 전승되기 어렵다는 것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가 많은 『무예도보통지』 권법 수련생 및 연구자들에게 그에 대한 기틀을 마련해 주고, 또한 한국에서도 중국의 진식태극권처럼 훌륭한 문파가 생기고, 대대로 전승되어 새로운 한국무술로 정착하기를 기대해본다.

      • 손상도곡선을 이용한 면진장치의 면진성능 비교

        김종윤 대구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Nowadays, the occurrence of earthquakes has increased and accordingly the damage caused by earthquake has also increased around the world. Because it is difficult for earthquakes to be predicted in advance and earthquakes often occur concurrently, the needs for the study of the seismic isolation is increasing. The uncertainties in engineering are not unusual as they have been recognized for a long time by scientists. Probability theory based on the accumulated data during a long period enables engineers to deal with the uncertainties of structure behavior and to estimate the stability of structure reasonably. The exist method considers uncertainties by applying safety factors, but the method cannot consider the safety of structures quantitatively. Due to many uncertainties a structure behavior, a method is needed for assessing of different structure damages levels. This study aims not only to present the way for finding a fragility curve of structures by using an universal structural analysis program and a general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but also to compare the performance of the seismic isolation of is RFPB with respect to LRB and FPB. For the fragility curve, the logarithmic normal distribution with 2 variables is used and PGA(Peak Ground Acceleration) is used for the characteristics of earthquake. 전 세계적으로 대형 지진의 발생횟수가 증가하고 그로 인한 인적, 물적 피해가 증가하고 있으며, 한반도 또한 지진관측결과 지진발생 빈도가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로 지진으로부터 안전하지 않다. 지진은 사전에 예측이 불가능할 뿐 아니라, 광범위한 지역에 동시 다발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므로 지진피해 규모를 사전에 예측하기 위한 연구와 노력이 필요하다. 그와 동시에 지진에 대한 구조물의 안정성 이론정립이나 해석방법 등의 논의가 필요하게 되었다. 공학에 있어서 존재하는 불확실량은 오래 전부터 인식되어 오던 것이었으나, 경험이 축적 되면서 확률이론을 사용하여 구조물의 불확실량을 정량적으로 취급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축적 된 데이터를 이용한 확률이론이 구조물의 안정성을 보다 합리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기존에는 포괄적 개념의 여유량인 안전계수를 적용하여 불확실량을 고려하고 있으나, 이는 구조물 전체에 대한 안전성에 대해서는 실용적이라 할 수 없다. 구조물의 여러 손상 단계에 따른 평가가 필요하기 때문에, 다수의 불확실성이 존재하는 경우 그 취약성 혹은 손상도를 평가하는 방법이 절실히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범용 구조해석 프로그램과 일반적인 확률밀도함수인 2변수를 갖는 대수정규 분포를 사용하고, 지진의 특성 중 PGA(Peak Ground Accelera -tion)을 사용하여 구조물의 손상도곡선을 구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RFPB받침과 LRB받침을 적용한 교량의 면진성능과 RFPB받침과 FPB받침을 적용한 교량의 면진성능을 비교분석하여 RFPB받침의 면진성능을 LRB, FPB 받침과 비교평가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 피골세포 분화와 염증성 골 소실에 미치는 Risedronate의 영향

        김종윤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질소를 포함한 비스포스포네이트 제재인 Risedronate는 임상적으로 골다공 증의 치료에 널리 쓰여 지고 있다. 골다공증 치료에 있어서 이 약물의 주된 약리 기전은 흡수되는 뼈 조직에서 hydroxyapatite와 결합하여 파골세포의 활 성을 저해하고 파골세포의 세포 사멸을 촉진 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이 연구 는 Risedronate가 파골 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생체 내에서 염증에 의한 골 소실을 막아주는지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골수에서 분리한 대식세포를 골아 세포와 같이 배양 시키면서 risedronate를 처리하여 파골세포 의 분화 정도를 관찰하였고, 골수 대식세포에 RANKL과 M-CSF로 자극하여 파골세포 분화를 유도할 때 risedronate를 같이 처리하여 분화에 대한 영향을 관찰하였고 파골세포 분화에 필수적인 c-fos, NFATc의 발현을 RT-PCR과 western boltting으로 확인하였다. LPS로 유도된 골 소실 모델을 가지고 risedronate가 염증성 골 소실에 미치는 영향을 micro-CT를 통해 관찰하였다. 골아 세포와 같이 배양한 골수 대식세포에서 risedronate를 처리한 경우 TRAP 양성 세포의 형성이 저해됨을 관찰하였고 RANKL과 M-CSF로 자극 한 골수 대식 세포에서도 risedronate를 처리한 경우에서 TRAP양성 파골세포 의 형성이 현저하게 저해되었다. 파골 세포 분화 과정에 필수적인 c-fos와 NFATc의 mRNA, 단백 발현도 risedronate처리에 의해 감소하였다. LPS로 염 증을 유도한 쥐의 생체내 실험에서 risedronate를 투여하지 않은 군에서는 micro-CT상에서 골 소실이 관찰되었으나 경구로 risedronate를 투여한 군의 쥐에서는 LPS로 염증을 유발하지 않은 정상 군 에서와 비슷한 골 형태가 유 지되는 소견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 같은 결과를 통해 저자들은 그동안 잘 알려진 골다공증 치료제인 risedronate가 파골 세포의 분화를 직접적, 간접적 으로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특히 골다공증 환자에서 염증성 상황이 나 감염 같은 상황이 동반될 경우 risedronate가 골 보호 효과가 뛰어나 치료 에 도움이 되리라고 판단하였다. Risedronate, nitrogen containing bisphosphonate, is widely used in the clinical field for the treatment of osteoporosis. The major mechanism of action of risedronate has been known to exert its effect through binding to hydroxyapatite in bone tissue, inhibit osteoclastic activity, and also known to induce apoptosis of osteoclast.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risedronate on osteoclast differentiation in vitro and on inflammatory bone loss model in vivo. Bone marrow cells (BMCs) and osteoblasts were cocultured for 5 days with 1α, 25-dihydroxyvutamin D₃ (VtD₃, 10^(-8) M) and prostaglandin E₂ (PGE₂, 10^(-6) M) in the presence of risedronate. Macrophages were cultured for 5 days with M-CSF (20 ng/ml) and RANKL (100 ng/ml)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risedronate. The expression of c-fos and NFATc1 mRNA in osteoclast precursor were assessed by RT-PCR. The levels of c-fos and NFATc1 protein were assessed by western blot. To examine the effect of risedronate on bone loss in vivo, I used a mouse model of LPS-mediated bone loss. Risedronate inhibited osteoclast differentiation in coculture of BMCs with osteoblasts and suppressed RANKL-mediated osteoclast differentiation from macrophages in a dose-dependent manner. Risedronate significantly inhibited the expression of c-Fos and NFATc1 induced by RANKL. micro-CT analysis of the femurs showed that LPS treatment caused bone erosion, but bone erosion was significantly attenuated in mice administered with risedronate. I concluded that risedronate exerts beneficial effect on osteoporosis by inhibition of osteoclast differentiation. Especially in inflammatory condition, bone preserving effect of risedronate was excellent and risedronate could be a treatment option for osteoporosis combined with inflammatory or infectious condition

      • 대규모 복합용도시설의 기능복합 특성에 관한 연구 : 수도권 사례를 중심으로

        김종윤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소득의 증가에 따라 다양한 문화적 욕구가 확대되면서 대도시권 내 복합용도시설의 개발에 대한 욕구가 증대하고 있다. 국내의 각 지역에서도 지역경제의 활성화나 도시의 랜드마크(Landmark) 조성을 위하여 경쟁적으로 대규모 개발사업의 형태로 복합용도시설의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복합용도시설의 기능이 복잡화되고, 규모가 커짐에 따라 유치 기능과 그에 따른 개발환경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또한, 현재 국내에서 활발하게 진행 중인 도심재개발사업 및 신도시 PF사업에서 대규모 복합용도시설이 진행되고 있으나 체계적인 기능 도입에 대한 고려가 미흡하고 획일적인 유형으로 계획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 대규모 복합용도시설의 실태를 분석하고, 개발환경에 따라 복합용도시설의 기능이 체계적이고 다양하게 도입될 방향 제시와 복합용도시설의 개발에서 지향해야 할 방향 제시를 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 대규모 복합용도시설을 대상으로 복합기능의 점유율에 따라 4개의 유형으로 구분하고, 4개의 유형이 개발 환경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복합의 정도가 어떠한 개발환경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 살펴보았다. 실증분석에 앞서 복합용도시설의 기능복합 특성에 대한 유형 분류를 위해 군집분석(cluster analysis)을 실시하여 유형을 구분하여 일원분산분석(ANOVA)과 빈도에 의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후 복합의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오차분산(error variance)을 줄이고 종속변수에 대한 보다 충실한 설명이나 예견이 가능한 다중회귀모형(Multiple Regression Model)을 사용하였다. 대규모 복합용도시설의 사례를 선정하기 위해 복합용도시설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를 통해 복합용도시설의 정의를 내리고, 이를 바탕으로 국내에 본격적으로 복합용도시설이 선보이게 된 1980년대 초부터 2009년 9월까지 개발 유무와 상관없이 현재 계획 중인 사례도 함께 선정하였다. 선정 기준은 세 가지 이상의 상이한 기능요소들을 갖춘 시설이며, 개발대상지의 연면적이 약 100,000㎡ 이상인 사업이고, 사업의 대상지가 단일 사업지에 있는 사업을 기준으로 하였으며, 이를 통해 수집한 총 34개 사례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복합용도시설을 기능의 점유율에 따라 ‘주거중심복합형’, ‘교통중심복합형’, ‘업무중심복합형’, ‘상업중심복합형’으로 4개의 군집으로 구분하였는데, 각 군집과 개발환경 특성과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주거중심복합형’은 상업지역에 주상복합의 형태로 개발되어 높은 층수를 나타냈으며 주변 종사자수가 적고, 가구수가 많은 지역에 입지하여 개발되고 있음을 나타냈다.‘교통중심복합형’은 노후 철도역, 지하철역, 버스터미널 등을 재개발한 것으로 다른 군집에 비해 낮은 층수로 개발되었으며, 대중교통과 연계한 개발이 이루어 졌다. ‘업무중심복합형’은 오피스 특성 상 랜드마크(Land Mark)가 강조되기 때문에 높은 층수를 보였으며, 광로에 접하고 주변 종사자수가 높은 기존 업무중심지역에 개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업중심복합형’은 고객 집객을 위하여 대중교통수단이 잘 이루어진 역세권 주변에 개발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통중심복합형’과 같이 대중교통과 연계한 역세권에 개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복합용도시설의 기능복합의 다양성을 나타내는 복합의 정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연면적이 클수록 다양한 기능이 복합되며, 종사자수가 적을수록 기존 주거, 업무, 상업기능 외에 문화 및 여가 등 다양한 컨텐츠들을 개발하여 고객을 유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민간에서 개발할 경우 다양한 기능을 복합화 보다는 수익성이 있는 특정기능들만이 복합되어 개발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수행하면서의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아직 개발 사례가 적은 대규모의 복합용도시설의 범주에서만 다루었기 때문에 기능군집별과 개발특성 사이에 관계와 복합의 정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의한 결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아직 국내 복합용도시설이 확실하게 자리 잡지 못하였으며, 향후 도심재개발과 관련하여 많은 복합용도시설이 개발될 예정이기 때문에 현재에서 유의한 결과를 분석하는 것이 시기 상 이르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현재 국내에서 개발되었거나 계획 중인 사례를 통해 분석함으로써 앞으로 발전해야 할 국내 복합용도시설 과정에서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며, 향후 대규모의 복합용도시설을 개발할 시 체계적인 기능 도입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방향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research aimed at large-scale mixed-use facilities. It divided the mixed functions of the large-scale mixed-use facilities into 4 types according to the occupancy and analyzed how 4 types have changed according to an environment. In addition, it examined the mix is influenced by what element of development environment. The division of types was made by conducting the cluster analysis for the classification of types toward the functional mixed-use characteristics of the mixed-use facility prior to the empirical analysis. For the analysis, one-way ANOVA were conducted. In addition,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 on the degree of the mix,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 was used in which the error mean square (error variance) was reduced and the more substantial description about the dependent variable or prediction is available. Mixed-use facility was defined through theoretical investigation about the mixed-use facility and preceding researches in order to select the cases of the mixed-use facility. Based on the definition of the mixed-use facility, cases were selected from the early of 1980s, which was the time when the mixed-use facility got down to be exhibited in a nation on a full scale, to September of 2009, which is inclusive of being currently planned, regardless of the development and non development. The standard of selection was the facility that has more than 3 different functional elements and the total area of the development subject area is about over 100,000㎡. The subject site puts business at the single business site, and total 34 cases were analyzed. In this research, the mixed-use facility was classified into 4 clusters; 'Residence centered cluster-type', 'Transportation centered cluster-type', 'Task centered cluster-type', and 'Marketplace cluster-type' according to the occupancy of function. The analysis result between each cluster and development environment characteristics are as follows: Most mixed-use facilities are being developed in the sub-center of a metropolis and newly built urban community. In case of residence centered type, mixed-use facilities are relatively more distributed in the outskirts of the city like the newly built urban community than in the existing center of a city. In case of the center of a city, the business promotion seems to be difficult due to the compensation expense of the land and the high compensation of the business profit. It is judged that the method for the activation of city regeneration is require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business subject, mixed-use facility which is developed in the public sector appeared to be exceedingly rare. Thus, it is considered that the contribution to the activation of the center of a city is needed by promoting the mixed-use facility, which is led by the public sector. Since 'Residence centered cluster-type' was developed as a form of residential and commercial complex in the commercial area so that it is displayed with the high stories and it is located and developed in the region where there is a small number of commercial population and a large number of households. 'Transportation centered cluster-type' was to redevelop the superannuated station, the subway station, the bus terminal, and etc. It was developed as the low stories compared to other cluster, in which the development is connected to the 'public transportation,'. ‘Since the Land mark is emphasized in the 'Task centered cluster-typ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office, high stories are shown. It is in contact with the wide road and is seen to be developed in the existing business central region where the neighboring commercial population is high. 'Marketplace cluster-type' appeared to be developed around the railway station sphere in which the public transport is well established for the gathering of clients. It appeared to be developed in the railway station sphere which is connected with public transportation like 'Transportation centered cluster-type'. The change of the environment according to clusters were analyzed between the functional mixed-use cluster and development environment characteristics, while the characteristics of development environment were analyzed by using the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in order to elucidate the characteristics of development environment, which has an effect on the extent of the mix after grasping the degree of the mix by marking the function, which is applied to each case as quantity. The factors affecting the degree are as follows: as the total area is large, various functions are mixed. As the commercial population is small, various contents such as culture, leisure, and etc besides the existing residence, a task, and the commercial function are developed in order to allure customers. In addition, in case of being developed by the private sector, it is revealed that specific functions which hold the profitability rather than various functions were mixed and developed. The limit in performing this research is as follows: Since the development cases are confined to the category of the small number of large-scale mixed-use facility in this research, the access to the significant result is insufficient in the aspect of the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unction clusters and development characteristics, and the degree of the mix. It indicates that the research of the mixed-use facility should be settled in a nation. Many mixed-use facilities in connection with the urban redevelopment are scheduled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However, it is expected that the analysis of cases which are currently developed and planned will be conducive to in future study of the mixed-use facility. It is considered that it will suggest the direction for the introduction of the systematic function in case of developing the large-scale mixed- use facility.

      • 電氣泳動技術을 活用한 埋立地 土木纖維 次數幕의 漏出 遮斷 硏究

        김종윤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사용중 또는 사용종료된 도시고형 폐기물 매립지내 손상된 지오멤브레인 차수막의 누출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전기영동기법의 개발에 관한 내용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실제 매립지의 현장조건중 다양한 화학종이 존재하는 침출수 환경조건을 중점적으로 고려하였으며, 이를 통해 실제 현장 매립지의 누출복원을 위한 전기영동기법의 실험적인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실제 침출수 조건에 대해 1차원 예비 전기영동 실험을 수행한 결과, 전기장 적용시 침출수의 다양한 화학적 성분으로 인해 점토 입자들의 응집이 빠르게 촉진되었다. 또한 점토의 전기영동적 이동보다 응집 침강효과가 우세하게 나타났다. 이는 응집침강이 매립지에 대한 전기영동기법의 적용에 한계로 작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점토 입자의 응집에 큰 영향을 미치는 침출수의 화학종과 그 농도 범위를 파악하고, 화학종에 따른 응집 메카니즘을 분석하기 위해 1차원 실내실험을 수행하였다. 각각의 화학종과 농도범위에 따른 침강속도와 제타포텐셜, 전기영동적 유동성 및 전기영동적 이동속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침출수의 다양한 화학종중 1가 양이온과 2가 양이온이 점토 입자의 응집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양이온의 원자가 증가에 따라 점토 입자의 확산이중층 감소와 입자간 인력증대로 인해 점토 입자의 응집 촉진효과는 더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침출수 화학종에 의한 점토 입자의 응집을 방지하고, 전기영동력에 의한 점토 입자의 개별적 이동을 유발시키기 위해 특정 분산제를 첨가하는 1차원 향상기법 적용하였다. 문헌검토를 통해 적정 분산제로서 헥사메타인산나트륨((NaPO3)6)와 폴리아크릴산(PAA) 등을 선정하였으며, 일정 농도의 분산제를 첨가한 후 전기영동 및 중력침강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PAA는 (NaPO3)6보다 점토 입자의 분산효율을 증대시켰으므로 최적의 분산제로서 PAA를 선정하였다. 3차원 매립지 누출구를 모사한 실내실험에서는 기존 1차원 실내실험을 통해 선정된 최적 인자(점토 슬러리 현탁액의 농도, 전기경사, 분산제의 종류 및 농도 등)들의 적절성을 평가하고, 1차원 실험에서 도출되지 못한 전극의 배치형태와 간격, 누출구의 크기 등에 대한 영향성을 검토하였다. 실험 결과, 모든 조건에서 누출구를 중심으로 일정 크기의 점토 케이크가 형성되었다. 또한 형성된 점토 케이크에 대해 간접적으로 차수성을 평가한 결과,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형성된 점토 케이크의 파괴나 이를 통한 유체의 이동현상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므로 누출에 대한 차수효과가 확실히 발생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점토의 전기영동적 이동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유한차분법을 이용하여 1차원 전기영동 해석 프로그램(Electrophoresis Liner Protector Program; ELPP)을 개발하였다. 위 프로그램은 점토의 이동특성을 모델링하기 위해 물리적 영향요소(전기영동력, 중력)와 화학적 이동요소(유체의 전기분해 반응에 의한 영향성, 전해질 화학종과 농도에 따른 영향성)를 모두 고려하고 있다. ELPP 해석결과와 실내실험 결과를 상호 비교하면, 점토 입자의 침강거동은 서로 유사하게 나타났지만, 초기 침강특성과 형성된 점토 케이크의 두께는 미소하게 차이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차이는 전기장 적용시 열적흐름에 기인한 점토 입자의 이동 특성 변화와 같은 물리적 요인과 현탁액의 pH, 현탁액의 전기전도도, 현탁액의 유전율, 사용된 점토 입자의 표면전하특성 및 침출수내 다양한 화학종의 존재 등 화학적 요인에 기인한 결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다양한 실내실험과 ELPP의 해석 등의 최종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해 볼 때, 실제 매립지에 대한 전기영동기법의 완벽한 적용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매립지의 더욱 다양한 현장조건 특히, 주변 지반조건, 침출수 변화조건, 폐기물의 특성, 수두차 등을 추가적으로 고려한 세부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매립지 누출의 전기영동 복구에 관한 연구는 초보단계에 있으므로 본 논문이 향후 실제적인 전기영동 복구기술 개발에 대한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手票의 僞造

        김종윤 全南大學校 1987 국내석사

        RANK : 247631

        手票僞造問題를 위요한 法律關係를 解決하기 위해 本 論文을 다음과 같이 構成해 보았다. 第1章에서는 手票僞造의 槪念과 本質을, 無權代理行爲와 關聯하여, 어떠한 見解에 立脚하여 보는가에 따라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가를 考察해 보았다. 그리고 手票僞造를 沿革的으로 어떻게 보아 왔으며, 그 法律關係를 어떻게 解決하여 왔는가를 考察해 보았다. 第2章에서는 手票僞造의 法律的 性質을, 事實行爲와 無權代理行爲를 手段으로 하는 不法行爲와 比較하면서, 把握할려고 고심해 보았다. 그리고 手票僞造를 단순히 物的抗辯이라고 본 從來의 見解를 歸責可能性에 관한 抗辯으로 分類한 見解로 다시 考察해 보았고, 外觀理論으로 手票僞造를 規律할 수 있는가를 考察해 보았다. 第3章에서는 手票僞造에 관한 두가지의 見解의 歸結로서의 手票僞造의 法律的 效果를 肯定·否定의 論據에 따라 詳細히 考察해 보았다. 第4章에서는 僞造手票를 支給銀行이 支給한 경우, 利害關係 當事者間의 損害配分關係를 美國制度와 더불어 詳細히 考察해 보았다. 第5章에서는 全內容을 두가지의 큰 見解의 흐름에 따라서 整理해 보았고 立法論을 간략히 살펴 보았다. The is the study to analyse and examine theories and Court cases to the check forgeries. The writer dares to formulate this treatise as below to solve the legal problems of the check forgery. In the introducing part of this treatise the writer ventures to clarify the concept and the true nature of the check forgery in the aspects of two theories and in the aspect of court decisions historically. In the second part the writer seeks to understand the legal quality of the Check forgery in relation to an illegal act by means of the representation without authority and the actual illegal behaviour, and then probes into the possibility of introducing the theory of estopell by representation to formulate a valid and visible theory, concerning the check forgery. In the third part, the writer clarifies the legal effects of the check forgery, based on the two theories in detail. In the forth part, he comments on the allocation of losses from check forgeries under the Uniform Commercial Code as well as under the Korean Check act. In the last part, the writer summerise the all intents of this treatise, based on two theories, and he dares to explain the legislative direction of the Check forge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