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Prevention of Rocuronium-Induced Withdrawal Movement in Children : a Comparison of Remifentanil with Alfentanil : 김종엽

        김종엽 관동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47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the efficacy of remifentanil and alfentanil without the venous occlusion technique in preventing the withdrawal response associated with rocuronium injection in children.Rocuronium-Induced Materials and Methods: One hundred twenty children aged between 3 and 10 years were randomly allocated into 1 of 4 groups to receive either i.v. remifentanil 0.5 μg·kg^(-1) (remi 0.5 group), remifentanil 1 μg·kg^(-1) (remi 1.0 group), alfentanil 15 μg·kg^(-1) (alfentanil group) or saline 5 ml (saline group). Anesthesia was induced with 2.5% thiopental sodium 5 mg·kg^(-1) and the test drug was injected over 30 sec. One minute after, 1% rocuronium 0.6 mg·kg^(-1) was injected over 5 sec and the response was recorded. Mean arterial pressure and heart rate were recorded on arrival in the operating room, before and 1 min after the tracheal intubation. Results: The incidence of withdrawal movement in the saline group (93%)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the remi 0.5, remi 1.0, and alfentanil groups (53%, 17%, and 20%, respectively) (P < 0.05). The incidence in the remi 1.0 and alfentanil groups was significantly less than that in the remi 0.5 group (P < 0.05). After intubation, mean arterial pressure and heart rat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aline group than that in remi 1.0 and alfentanil groups. Conclusions: Both remifentanil 1 μg·kg^(-1) and alfentanil 15 μg·kg^(-1) can be used to prevent rocuronium associated withdrawal movement in children because they are equally effective and attenuate the increase in MAP and HR after intubation.

      • 미니피그 두개골 결손 모델에서 자가치아 뼈이식재의 골치유능력

        김종엽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47

        동종골과 이종골은 가격이 비싸고 감염전파 등과 같은 단점을 지니고 있어 임상의 및 환자들이 사용을 간혹 기피하는 경향을 보이기도 한다. 합성골은 가격이 저렴하고 질병 전염의 위험성은 전혀 없지만 골형성과 골유도 능력이 전혀 없어 생활력 있는 골조직 형성을 목적으로 할 경우엔 사용에 제한을 받고 있다. 따라서 자가골에 부합되는 골재생 능력을 가지면서 동종골, 이종골, 합성골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대체 재료로 자가치아 뼈이식재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미니피그 두개골 결손 모델에 자가치아 뼈이식재를 이식하여 그 골치유능력을 조직학적 방법 및 osteonectin RT-PCR 정량분석으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미니피그의 두개골에 골결손부를 만든 후 대조군은 어떤 처치도 시행하지 않았으며, 실험군은 미니피그의 발거된 치아를 이용하여 만든 자가치아 뼈이식재를 이식하여 4주, 8주, 12주에 각각 희생하여 그 골치유능력을 조직학적으로 관찰하고 osteonectin 유전자 발현양상을 RT-PCR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조직학적 검사; 4주 후 대조군에서는 골결손부 내부가 섬유화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혀 골형성 흔적을 볼 수 없었다. 반면 골결손부 내에 자가치아 뼈이식재를 채운 실험군에서는 4주부터 이식재 입자 주위로 골형성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골형성은 뼈이식재의 양에 따라 이식재가 많은 경우에서 적은 경우보다 더 많은 골형성이 관찰 되었다. 2. Osteonectin 유전자 발현; 대조군에서는 osteonectin의 발현이 거의 없는 반면, 실험군에서는 4주부터 12주까지 osteonectin의 많은 발현이 관찰 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볼 때 골결손부에 자가치아 뼈이식재를 이식한 경우, 더 활발한 골치유 능력을 나타낸다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실제 임상 적용 시에도 이와 같은 이식재 사용이 더 좋은 결과를 나타내리라 생각된다.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and patients do not seem to choose allogeneic and /or xenogeneic bone grafts materials due to the possibilities of viral disease transmission and somewhat high prices. As for synthetic materials, even with their affordability and no risk of disease transmission, limited osteoinduction capacity and subsequent less bone formation ability are the major disadvantages of using these materials at load bearing areas that need continuous remodeling. There have been studies on using autogenous tooth bone graft materials (DDM: Demineralized Dentin Matrix) that can be a proper substitute for autogenous bone grafts and can cope with all shortcomings of allogenic, xenogenic and synthetic materials. This experimental research has aimed to evaluate the “Bone healing capacity of DDM materials in the Mini-pig cranium defect” by histologic and quantitative osteonectin gene RT-PCR analysis. The cranial defect in the control group was filled with only blood clots and that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filled with DDM materials. Mini-pigs were sacrificed at week 4, 8 and 12 after the surgery and evaluated by histologic and quantitative OTN RT-PCR analysis. Experimental results were as follows: 1. Histologic review: In the control group at week 4, there was intensive fibrosis without any bone forma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at week 4, we could find massive bone formation around DDM particles. The amount of bone formation increased as the number of DDM particles increased. 2. Gene marker of osteonectin(OTN): There were no expressions in the control group whereas remarkable expressions were found in the experimental group at week 4, 8 and 12. With above results, we could conclude that using DDM particles in bone defect might be a reasonable substitute for autogenous bone grafts because of its bone regeneration capacity. Also we could expand this result to clinical applications after continuing further studies.

      • 의료용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허가제도 도입방안

        김종엽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Medical BCI industry is growing fast. countries are investing in brain projects. however, South korea lacks legal systems related to medical BCI. this paper put forward the introduction plan of medical BCI. specifically, the medical device licensing procedures of each country is identified. we looked into the current status of related technologies and the reasons why we should introduce the medical BCI in our country. in conclusion, the proposed introduction to solve these problems is as follows. first, regulatory agencies and law of evidence must be prepared. second, check the validity of ripple effects and implications. third, we need to secure high-quality human resources through the post-marketing management and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training project. fourth, the safety and risk of equipment, which are ethical considerations, prior consent to treatment, privacy and autonomy, personal privacy and security should be fully reviewed. 국문요약 의료용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허가제도 도입방안 의료용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술(BCI)의 발전으로 의료기기 산업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주요선진국에서는 지속적으로 뇌 프로젝트에 투자 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빠른 기술 변화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는 의료용 BCI 관련 규제기관 및 근거법률 등이 부족한 실정이다. 본 논문은 BCI와 관련된 권위적인 약 80개의 문헌을 검토하여 의료용 BCI 도입방안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저자는 본 고에서 각 국의 의료기기 허가절차를 파악하여 관련 기술현황에 대하여 알아보고 우리나라 의료용 BCI 도입방안을 해야 하는 이유를 알아보았다. 첫째, 규제기관 및 근거법률을 명확히 해야 한다는 점이다. 둘째, 이에 따른 파급효과 및 정책적 시사점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이다. 셋째, 시판 후 관리 및 전문가 인력양성에 힘을 써야 한다는 점이다. 넷째, 의료용 BCI와 관련된 연구가 활발하게 연구가 되기 위한 연구 환경이 조성되어 있지 않다는 점이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하는 도입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규제기관 및 근거법률을 마련해야한다. 둘째, 파급효과 및 정책시사점을 두어 타당성을 확인한다. 셋째, 시판 후 관리 및 전문가인력 양성 사업으로 고급인력을 확보해야한다. 넷째, 윤리적인 고려사항인 안전성과 위해성, 치료에 대한 사전 동의, 프라이버시 및 자율성, 개인 개인정보보호 및 보안 등을 충분하게 검토해야한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핵심 되는 말 : 뇌-기계 인터페이스, BCI, 허가제도, 도입방안

      • 고등학교 레슬링선수의 운동경험과 운동성취 과정

        김종엽 울산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레슬링선수들이 겪는 운동경험과 운동성취과정을 경기성적과 관련된 훈련측면 뿐만 아니라 생활측면을 동시에 탐구함으로써 고등학교 레슬링선수들의 운동경험과 운동성취과정을 종합적으로 이해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질적 연구방법인 문화기술지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레슬링선수들의 운동경험은 선수들은 자기 자신과의 싸움을 하면서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운동능력 향상과 레슬링에 대한 매력에 깊게 빠져들게 되고 레슬링을 통하여 긍정적인 자신감을 갖게 된다. 둘째, 고등학교 레슬링선수의 운동성취는 조금씩 향상되어 가는 경기력은 선수들로 하여금 만족감과 성취의식을 증가시키며 레슬링선수로서의 자부심과 긍지를 가지도록 해준다. 따라서 고등학교 레슬링선수들의 운동경험과 운동성취과정은 자기 계발이나 성장의 기회로, 공동의 목표를 향해 함께 운동하는 기회로, 공동체 생활에 필요한 사회적 기술을 형성 할 수 있는 기회로 생각하며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있었다. 나아가 이들이 운동이 아닌 다른 진로를 선택할 때 어려움 없이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적, 제도적 장치의 보완이 필요할 것이다.

      • 고혈압, 당뇨병 환자의 약물복용 행태와 관련요인

        김종엽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dentify the compliance with respect to patients diagnosed with hypertension and diabetes, and to analyze association between patients' characteristics, health behavior and compliance and it's related factors. The seven pharmacies located in Cheongdo-eup and Gyeongsan-si, Gyeongsangbuk-do were sampled and the data were collected by creating survey subjected to 473 patients(306 patients with hypertension and 167 patients with diabetes) who visited the pharmacies with prescriptions for hypertension or diabetes. The survey was performed from July 2009 to September 2009 in a questionnaire of self-administered or consultation with a pharmacist. The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by utilizing SPSS 17.0. The proportion in which the prescribed pharmaceutical identity was acknowledged in the case of hypertension was 22.8% of males, 14.0% of females, and that of diabetes was 26.2% of males and 22.6% of females. It was found that the gender and the awareness of medicin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p<0.05). The current drinker amongst those with hypertension were 78.5% of males, 45.2% of females, and those with diabetes were 82.1% in males and 50.6% in females. Moreover, the current smokers amongst those with hypertension included 46.3% in males, 17.2% in females and those with diabetes were 63.1% in males and 10.8% females. It was shown that drinking and smoking rate were high in chronic disease patients amongst males. The compliance of a regular exercise to manage hypertension or diabetes was very low, showing 16.7% in those with hypertension and 17.5% in those with diabetes. Greater than 80% amongst 87.9% of males and 90.4% of females with hypertension have regularly administered medication for hypertension and 84.6% of males and 92.7% of females responded that they have regularly taken medication for diabetes. Such factors as, the age, marital status and presence of other chronic diseases in patients with hypertension were found to be associated with the regular intake of medication(p<0.05), and with respect to those with diabetes, the marital status and regular intake of medication were shown to be associated with each other (p<0.05). Such health behaviors as the drinking, smoking and exercise were exhibited to b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regular intake of medicine in both hypertension and diabetes(p<0.05), as well as with a knowledge about a disease(p<0.05). Furthermore, it was also found to be significantly related to acknowledgement on the medication name, regular intake of medicine and subjective regulation rate(p<0.05). Amongst the subjects, 18.3% of hypertension patients and 24.6% of diabetes patients were informed about the identity of medication they have administered. The reasons for not taking medication on regular basis included ‘because they forgot the time to take medication’, ‘because their health status got improved’ and ‘because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severity of symptoms regardless of medication intake'. As a result of the multi-logistic regression analysis upon the medication compliance in patients with hypertension, a gender(p<0.01), the age(those in 50s)(p<0.05), marital status(p<0.01), presence of other chronic diseases(p<0.01), current smoking(p<0.01), diagnosed period of hypertension (2-4 years)(p<0.01) were shown to exert significant effects on the medication compliance. Moreover, a gender(older than 60)(p<0.05), the marital status(p<0.05) and current smoking(p<0.01) were identified to have significant effects in the case of diabetes. In order to improve the compliance, there needs to be a more efficient education on compliance in patients with the age group of 40s and 50s or not married, or who drink and smoke or those diagnosed within 1 year. It can also be said that a sufficient education on compliance that is enough to allow patients to be informed about the identity of medication taken is one method to improve the compliance. In addition, a proper health education must be maintained constantly about a disease remedy and medic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compliance by patients. 이 연구는 고혈압과 당뇨병으로 진단 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투약순응률과 규칙적 복용의 장애요인을 파악하고, 환자의 특성, 건강행위와 투약순응도와의 관련성을 분석하고, 투약순응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수행하였다. 경상북도 경산시와 청도읍에 위치한 7개의 약국을 임의로 선정하고, 의료기관에서 고혈압이나 당뇨병 치료를 위한 처방전을 받아 약국을 방문하는 환자 473명(고혈압 환자 306명, 당뇨병 환자 167명)을 대상으로 2009년 7월부터 9월까지 자기기입식이나 약사가 면담하여 설문을 작성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17.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t-test, 다중회귀분석를 시행하였다. 처방받은 약물명을 인지하고 있는 비율은 고혈압의 경우는 남자가 22.8%, 여자가 14.0%였고, 당뇨병의 경우는 남자가 26.2%, 여자가 22.6%로 성별과 약물명 인지율이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p<0.05). 고혈압 환자 중 현재 음주자는 남자가 78.5%, 여자가 45.2%였고, 당뇨병 환자의 경우는 남자가 82.1%, 여자가 50.6%였다, 고혈압 환자 중 현재 흡연자는 남자가 46.3%, 여자가 17.2%였고, 당뇨병 환자의 경우 남자 63.1%, 여자 10.8%로 남자에서 만성질환 이환자의 음주와 흡연율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고혈압이나 당뇨병 관리를 위한 규칙적 운동 실천율은 고혈압 환자가 16.7%, 당뇨병환자는 17.5%에 불과하여 매우 낮게 나타났다. 고혈압 환자 중 남자 87.9%, 여자 90.4%가 고혈압 약을 80% 이상 규칙적으로 복용하고 있었고, 남자 84.6%, 여자 92.7%가 당뇨병 약을 규칙적으로 복용한다고 응답하였으며, 고혈압 환자의 경우는 연령대, 배우자 유무, 다른 만성질환 보유여부와 규칙적 복용률이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p<0.05), 당뇨병의 경우는 배우자 유무와 규칙적 복용률이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고혈압과 당뇨병 모두에서 음주, 흡연, 운동 등의 건강행태와 규칙적 약복용률이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으며(p<0.05), 질병에 대한 올바른 지식과도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p<0.05). 또한 약물명 인지와 규칙적 복용률, 주관적 조절률도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p<0.05). 대상자 중 고혈압 환자의 18.3%, 당뇨병 환자의 24.6%가 복용하는 약 이름을 알고 있었다. 약을 규칙적으로 복용하지 못하는 이유로는 ‘약 먹을 시간을 잊어 버려서’ ‘질병의 상태가 좋아졌기 때문이다’ ‘약을 먹으나 안 먹으나 증상의 차이가 없다’ 등으로 응답하였다. 고혈압 환자에서 규칙적 약복용을 종속변수로 한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성별(p<0.01), 연령(50대)(p<0.05), 배우자 유무(p<0.01), 다른 만성질환 보유(p<0.01), 현재 흡연(p<0.01), 고혈압 진단기간(2-4년)(p<0.01) 등이 규칙적 복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당뇨병의 경우는 연령(60세 이상)(p<0.05), 배우자 유무(P<0.05), 현재 흡연(P<0.01)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복약순응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40대, 50대 연령군, 배우자가 없는 환자, 음주나 흡연을 하는 환자, 진단 후 1년 이내의 환자 등에 대하여 더욱 충실한 복약지도가 필요하다. 또한 복용하고 있는 약의 이름까지 숙지할 정도로 충분한 복약 지도를 하는 것이 복약순응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겠다. 또한 환자로 하여금 규칙적 복용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환자들에게 질병치료와 약물에 대한 보건교육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흰쥐의 족삼리 취혈 위치 표준화를 위한 연구

        김종엽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연구배경 : 침구관련 기전 연구를 위해 동물실험은 가장 많이 사용되는 연구 방법 중에 하나로 특히 흰쥐의 족삼리를 이용한 연구가 높은 빈도를 차지하고 있다. 인체와 해부학적 구조에 있어 다소 차이가 있는 흰쥐의 취혈 위치는 연구자들 간에 편차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로 인하여 실험 연구의 재현성이나 객관성이 낮아지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연구목적 : 흰쥐 족삼리를 이용한 연구 중 취혈 위치의 차이 유무를 확인한 후, 빈도가 높은 상위 3종의 취혈 위치들 간의 효능 차이를 평가하고 이를 종합하여 흰쥐의 족삼리 혈위 표준화 방안을 제안한다. 연구방법 : 기존 문헌에서 연구자들 간의 취혈 위치가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된 다빈도 3종의 족삼리 혈위에 대하여 200-250g male SD 흰쥐 hind limb의 실측을 통해 취혈 위치를 정하였다. Hind limb의 실측은 취혈 위치의 기준점을 슬관절로 통일하고자 슬관절과 경골조면 사이의 길이를 측정하여 이루어졌다. 이를 근거로 3종의 족삼리 실제 취혈 위치를 슬관절을 기준점으로 한 표현으로 나타낸 후 비교하였다. 족삼리 취혈 위치 차이에 의한 치료 효과의 차이를 관찰하고자 아세트산으로 유도된 복통모델을 이용하여 전침 자극 후 writhing reflex 횟수를 측정하여 각 족삼리 혈위들 간의 진통 작용을 평가하였다. 전침 자극을 위한 족삼리 취혈은 흰쥐의 슬관절에서 발목관절까지의 길이를 측정하여 골도분촌법에 의하여 인체와 상응하는 위치를 취혈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아세트산으로 복통이 유도된 흰쥐를 전침 자극 후 캠코더로 촬영하여 blind 된 두 명의 평가자가 writhing reflex를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 흰쥐 hind limb 실측 결과 연구자들 간의 족삼리 취혈 위치의 차이를 확인하였으며, 100Hz의 전침으로 자극한 아세트산 복통 모델 writhing reflex test를 통한 진통효과는 control군에 비해서 3종의 족삼리 전침군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P<0.05), 다빈도 3종의 족삼리 혈위들 간의 유의한 효능 차이는 없었다(P>0.05). 결론 : 본 연구에서 진통효과 차이에 근거한 SD 흰쥐의 족삼리 취혈 위치 표준화안을 제안하기 어려우나, 2008년 공식적으로 공표된 WHO침구경혈위치와 상응하고 기존 실험논문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 “무릎관절 하방 6.5mm, 전경골근상”인 지점을 족삼리 취혈 위치 표준화안으로 제안하며, 다양한 자극 조건에 따른 다빈도 3종의 족삼리 혈위들 간의 효능 차이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BACKGROUND : The animal experiment is one of the most commonly used methodology in studying mechanism elated to acupuncture & meridian, especially, the ones using the ST36 of rat have been most prevalent. The acupoint location of rat, which may differ from that of human body due to anatomical structure, may be varied among researchers, which may cause the problem of low repeatability and objectivity.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 way to standardize the ST36 acupoint of rat.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presence of differences among the location of acupoints from the studies on the ST36 of rat were determined, and the three acupoints most referred were selected and their efficacies were evaluated and synthesized. DESIGN : The most frequently referred three acupoints were selected from the ones confirmed that there has been differences in the location among researchers, and the location of acupoints were determined by measuring hind limb of male SD rat of 200-250g. The measurement of hind limb were consist of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knee joint and tibia tubercle in order to the set the knee joint as common criteria, and based on it, the three mostly referred location of ST36 were represented with the knee joint as a datum point and compared. The electro-acupuncture stimulation were administrated using the acetic acid- induced abdominal pain and the analgesic activity of each ST36 acupoints were evaluated by measuring the number of writhing reflex, in order to observe the differences of treatment effect in accordance with the location of ST36 acupoints. The location of ST36 acupoint for electro-acupuncture stimulation was determined by the proportional method in which the distance between knee joint and ankle joint was divided to find the corresponding point to body. The writhing reflex from the acetic acid-induced abdominal pain was recorded with a camcorder after electro-acupuncture stimulation and the two raters who were not informed of the purpose of this study assessed them. RESULTS : The result of measurement of hind limb of rat confirmed the differences in the acupoiont location of ST36 among researchers. The writhing reflex test using the acetic acid-induced abdominal pain stimulated with electro-acupuncture of 100Hz show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nalgesic effect between control group and three ST36 groups (P<0.05), however that there were no differences among three mostly referred location of ST36 acupoints (P>0.05). CONCLUSIONS : Although this study have some limitations in proposing a way to standardize the ST36 acupoint location of SD rat based on the difference in analgesic effect, we are to recommend "the point located 6.5 mm below the knee joint at the anterior tibial muscle" as a standard ST36 acupoint location which is qualified by the WHO Standard Acupuncture Point Locations in 2008 as well as the mostly referred one, and expect the studies on the difference in efficacies among three mostly referred ST36 acupoint with various conditions to be performed actively in future.

      • 수도권 도시 내 조성녹지의 군락식재 모델 개발 연구

        김종엽 서울시립대학교 2007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수도권 도시 내 조성녹지의 생태적ㆍ경관적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대안으로 생태적 배식 이론을 기초로 자연식생군락을 선정하여 군락식재 모델을 개발하고 그 체계를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단계는 크게 연구대상지 선정, 조성녹지와 자연식생군락 간 식생구조 비교평가, 식생경관 평가 틀 작성 및 대상지간 비교평가, 식생경관 향상을 위한 군락식재모델 개발로 구분된다. 연구대상지는 내륙지역과 해안지역으로 구분하여 선정하였는데, 조성녹지는 신도시에 위치한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경부고속도로변 완충녹지(폭 40∼60m, 높이 9m, 길이 4㎞)와 공업단지에 위치한 경기도 시흥시 중앙완충녹지(폭 180m, 높이 10m, 길이 3.5㎞)이었다. 군락식재모델은 온대중부지방 천이계열 중간단계에 우점하는 참나무류를 목표로 조성녹지와 가능한 최단거리에 위치하고 자연환경보전 상태가 양호한 산림에서 선정하였다. 내륙지역에서는 경기도 광주시 발이봉과 남양주시 천마산(군립공원)에 분포하는 상수리나무군락, 신갈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갈참나무군락, 갈참나무-산벚나무군락, 해안지역에서는 인천광역시 마니산과 무의도에 분포하는 졸참나무군락, 신갈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과 해안지역의 대표적인 자생군락인 곰솔군락과 소사나무군락을 선정하였다. 내륙지역 식생구조 비교평가 결과,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경부고속도로변 완충녹지는 외래종식재지 분포면적비율이 64.2%, 주요 식재수종은 스트로브잣나무, 식재형태는 등간격의 일렬식재 형태, 평균 녹피율은 교목층 40.6%, 관목층 4.0%로 전체층위 44.6%, 평균 녹지용적계수는 교목층 1.41㎥/㎡, 관목층 0.06㎥/㎡로 전체층위 1.47㎥/㎡, 조사구별 종수는 2∼6종, Shannon의 종다양도(H')는 0.1264∼0.6620이었다. 자연식생군락은 400㎡당 평균 녹피율은 교목층 74.7∼122.4%, 아교목층 31.8∼66.2%, 관목층 6.8∼25.6%, 전체층위 118.9∼147.3%, 평균 녹지용적계수는 교목층 2.64∼6.24㎥/㎡, 아교목층 0.59∼1.36㎥/㎡, 관목층 0.04∼0.17㎥/㎡로 전체층위 3.39∼7.71㎥/㎡, 조사구별 종수 17∼33종, Shannon의 종다양도(H')는 1.0493∼1.3612이었다. 해안지역 식생구조 비교평가 결과, 경기도 시흥시 중앙완충녹지는 자생종식재지 분포면적비율 55.0%, 외래종식재지 36.6%로 분석된 것은 마운딩 완충녹지는 곰솔식재지, 평지형 완충녹지는 리기다소나무 등 외래종 위주로 조성되었기 때문이다. 평균 녹피율은 교목층 33.5%, 관목층 5.6%로 전체층위 39.1%, 평균 녹지용적계수는 교목층 0.66㎥/㎡, 관목층 0.05㎥/㎡로 전체층위 0.71㎥/㎡, 조사구별 종수는 2∼24종, Shannon의 종다양도(H')는 0.2899∼1.1463이었다. 자연식생군락은 400㎡당 평균 녹피율은 교목층 64.3∼112.5%, 아교목층 20.9∼59.8%, 관목층 6.4∼19.1%, 전체층위 119.5∼162.6%, 곰솔군락을 제외한 평균 녹지용적계수는 교목층 1.83∼2.50㎥/㎡, 아교목층 0.29∼1.24㎥/㎡, 관목층 0.04∼0.24㎥/㎡로 전체층위 2.18∼3.72㎥/㎡, 조사구별 종수 10∼31종, Shannon의 종다양도(H')는 0.7133(소사나무군락)∼1.2366(졸참나무군락)이었다. 식생경관을 평가하고자 형식적 요소는 형태, 색채, 질감, 미적 구성원리로 통일성에는 조화, 균형ㆍ대칭, 반복, 강조, 다양성에는 변화, 리듬, 대비로 설정하여 식생경관 평가 틀을 작성하였다. 식생경관 평가 결과, 평균점수는 가을철 마니산의 졸참나무군락(4.1) > 가을철 무의도 신갈나무군락(3.2) > 봄철 철쭉류가 개화한 분당구 경부고속도로변 완충녹지 중 스트로브잣나무, 산수유, 철쭉류식재지(3.2) > 봄철 광주시 발이봉 갈참나무-산벚나무군락(3.0) > 가을철 무의도 북사면 곰솔군락(2.6) > 겨울철 시흥시 중앙완충녹지 메타세콰이어 정형식재지(2.4) > 겨울철 시흥시 중앙완충녹지 소사나무 정형수식재지(2.3), 무의도 가을철 소사나무군락(2.3) > 봄철 분당구 경부고속도로변 완충녹지 양버즘나무, 스트로브잣나무, 돌배나무식재지(2.2) 순으로 높았다. 식생경관평가 결과에 대해 집단 간 유의성 검증 결과 색채 통일성의 반복과 색채 다양성의 리듬은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으며 그 외 항목은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식생경관 향상을 위한 대안으로 군락식재모델을 개발하였는데, 먼저 목표식생군락 선정기준은 식생기후대 고려, 천이계열 중간단계 우점군락 선정, 적용대상지로부터 최단인접거리 위치, 자연성 및 양호한 보존상태 등이었다. 식생경관 특성 서술 및 평가결과를 바탕으로 식생경관 향상을 위한 고려사항을 제시하였으며 군락식재 식생구조기준은 자생종 이용, 천이계열 초기단계 및 극상단계 수종 제외, 수종간 상관관계 고려, 덩굴성 식물 제외, 최소 3개 층위 이상의 다층구조 형성이었다. 내륙지역과 해안지역별로 군락식재모델을 제시하였는데 상대우점치, 흉고직경급별 분포, 수종간 상관관계, 시장구매성, 식생경관 향상을 고려하여 수종을 선정하였으며, 목표종은 참나무류, 동반종은 꽃과 단풍으로 계절경관 변화를 유도하면서 층위구조를 강화할 수 있는 산벚나무, 팥배나무 외 내륙지역에서는 물푸레나무, 쪽동백나무, 당단풍, 생강나무, 해안지역에서는 굴피나무, 소사나무 등이 선정되었다. 단위면적 400㎡를 기준으로 군락식재모델을 살펴보면, 내륙지역 교목층은 평균흉고직경 17∼25㎝, 평균 주수 21∼31주, 평균식재거리 3.6∼4.6m, 아교목층은 평균흉고직경 6∼7㎝, 평균 주수 40∼53주, 평균식재거리 2.9∼3.3m이었다. 해안지역 교목층은 평균흉고직경 9∼17㎝, 평균 주수 29∼71주, 평균식재거리 2.5∼3.8m이었다. 아교목층은 평균흉고직경 6㎝, 평균 주수 52∼77주, 평균식재거리 2.4∼2.9m이었다. 조성녹지의 공간기능을 개선하기 위해 입지특성, 지형구조를 고려하여 공간구분 및 공간기능을 부여하여 식재개념을 설정한 후 내륙지역 및 해안지역에서 도입가능한 군락식재 모델을 선정하고 식생경관 향상을 위한 조치사항 등을 제시하였다. 식생경관 향상을 위한 군락식재 모델 개발 체계를 살펴보면, 목표설정 단계에서는 군락식재모델 적용대상지가 선정되면 적용대상지 여건을 분석하여 군락식재 목표를 설정한다. 군락식재 모델군락 선정 단계에서는 환경요인 및 식생구조 조사, 식물군집구조 분석, 식생군락 분류 및 천이계열 추정 후 대상지 여건과 목표를 반영하여 군락식재 모델군락을 선정한다. 군락식재 모델 개발 단계에서는 목표종 및 식재가능종을 선정하고 수목규격, 식재밀도, 식재거리 등 모델구조를 개발하고 목표달성을 위한 군락식재 모델 개발을 완성한다. 군락식재 모델 적용단계에서는 대상지 여건 및 목표를 반영하여 적용대상지의 공간구상을 실시하고, 대상지 여건과 모델적용 여부를 검토하여 공간별 적정 모델군락을 배치하며, 최종적으로 전체 식재설계도를 작성한다. This study presents the community planting models and process based on the theory of ecological planting to improve the ecological function and esthetic function of the urban green space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Middle Temperate Zones, Korea. This study divided into stage of study site selection, stage of comparative assessment of vegetation structure, stage of creation of assessment of vegetation landscape characteristics, stage of comparative assessment of vegetation landscape characteristics between urban green space and natural vegetation, and stage of development of community planting model and process to improve and esthetic function of the urban green space. Study sites of the urban green space were buffer green space -width of that is from 40 to 60m, height of that is 9m, length of that is 4㎞- in Gyeongbu Expressway, Bundang-gu, Seongnam city, Gyeonggi-do and Central buffer green space -width of that is 180m, height of that is 10m, length of that is 3.5㎞- in Siheung city, Gyeonggi-do. Study sites of vegetation community as target community planting model were selected by considering the ecological succession in the middle temperate zones, the nearest distance from urban green space, and preservation state of natural environment. Study sites of community planting model that could be apply to inland area were Quercus acutissima community, Q. mongolica community, Q. variabilis community, Q. aliena community, and Q. aliena-Prunus sargentii community. Study sites of community planting model that could be apply to coastal area were Q. serrata community, Q. mongolica community, Q. variabilis community, Pinus thunbergii community, and Carpinus coreana community. As results of comparative assessment of the vegetation structure in case of inland study sites, the result of vegetation structure in case of urban green space site is as the following: Ratio of planted area with alien species is 64.2% and woody plants was planted with same distance in a row. Average plant coverage is 40.6% in canopy layer and 4.0% in shrub layer. Average plant crown volume is 1.41㎥/㎡ in canopy layer, 0.06㎥/㎡ in shrub layer, and 1.47㎥/㎡ in whole layer. Number of species is from 2 to 6 and index of Shannon's diversity is from 0.1264 to 0.6620. The result of vegetation structure in case of natural plant community is as the following: Average plant coverage is from 74.7% to 122.4% in canopy layer, from 31.8% to 66.2% in understory layer, and from 6.8% to 25.6% in shrub layer. Average plant crown volume is from 2.64㎥/㎡ to 6.24㎥/㎡ in canopy layer, from 0.59㎥/㎡ to 1.36㎥/㎡ in understory layer, from 0.04㎥/㎡ to 0.17㎥/㎡ in shrub layer, and from 3.39㎥/㎡ to 7.71㎥/㎡ in whole layer. Number of species is from 17 to 33 and index of Shannon's diversity is from 1.0493 to 1.3612. As results of comparative assessment of the vegetation structure in case of coastal study sites, the result of vegetation structure in case of urban green space site is as the following: Ratio of planted area with alien species is 36.6% and ratio of planted area with native species is 55.0%. Average plant coverage is 33.5% in canopy layer and 5.6% in shrub layer. Average plant crown volume is 0.66㎥/㎡ in canopy layer, 0.05㎥/㎡ in shrub layer, and 0.71㎥/㎡ in whole layer. Number of species is from 2 to 24 and index of Shannon's diversity is from 0.2899 to 1.1463. The result of vegetation structure in case of natural plant community is as the following: Average plant coverage is from 64.3% to 112.5% in canopy layer, from 20.9% to 59.8% in understory layer, and from 6.4% to 19.1% in shrub layer. Average plant crown volume that except Pinus thunbergii community is from 1.83㎥/㎡ to 2.50㎥/㎡ in canopy layer, from 0.29㎥/㎡ to 1.24㎥/㎡ in understory layer, from 0.04㎥/㎡ to 0.24㎥/㎡ in shrub layer, and from 2.18㎥/㎡ to 2.50㎥/㎡ in whole layer. Number of species is from 10 to 31 and index of Shannon's diversity is from 0.7133(Carpinus coreana community) to 1.2366(Q. serrata community). To evaluate vegetation landscape, we made up vegetation landscape estimation frame established by formal elements comprised of form, color, texture and aesthetic composition principle comprised of unity by organizing harmony, balance, symmetry, repeat, emphasis and variety by organizing change, rhythm, contrast. As results of assessment of vegetation landscape, landscape of the Q. serrata community distributed Manisan in autumn get the highest marks by 4.1 point, on the other hand landscape of the Platanus occidentalis-Pinus strobus-Pyrus pyrifolia planted area to buffer green space in Gyeongbu expressway, Seongnam city in spring get the lowest marks by 2.2 point. As results of the test of significance to assessment results of vegetation landscape, significance of repeatability of color unity and rhythm of color variety was not recognized and significance of the other elements of landscape assessment was recognized. Criteria for selecting of target vegetation community is as the following: Considering vegetation climatic zone, plant community comes along the middle stage of ecological succession in the middle temperate zones, the nearest distance from study site that urban green space, and preservation state of natural environment. We suggest consideration item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description of vegetation landscape and result of assessment to improve the vegetation landscape of urban green space. Vegetation structure criteria for community planting model as the following: Using native species, exception of species appeared to beginning stage or climax stage on ecological succession, ecological niche, exception of vines, multi-layered structure formations more than minimum 3 stratigraphy. We developed the community planting models per 400㎡ unit area and the community planting technique of inland area is as the following: Average diameter of breast height is from 17㎝ to 25㎝, average individuals is from 21 to 31, and average planting distance is from 3.6m to 4.6m in canopy layer. Average diameter of breast height is from 6㎝ to 7㎝, average individuals is from 40 to 53, and average planting distance is from 2.9m to 3.3m in understory layer. The community planting technique of coastal area is as the following: Average diameter of breast height is from 9㎝ to 17㎝, average individuals is from 29 to 71, and average planting distance is from 2.5m to 3.8m in canopy layer. Average diameter of breast height is 6㎝, average individuals is from 52 to 77, and average planting distance is from 2.4m to 2.9m in understory layer. We suggested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the community planting models as the following: At the establishment of target step, we should analyze the site condition such as structure of landform, climatic characteristics, characteristics of soil, around vegetation conditon and so on. At the selection of the natural vegetation community by usage community planting model, we should classify the vegetation communities by analysing of the plant community structure and consider the ecological succession. At the development of community planting model step, we should select the target woody species by screening species based on importance percentage, ecological niche, exception of alien species, ecological succession, and enhancement of the vegetation landscape and could community planting technique such as size of plants, planting density, and planting distance. At the application of the community planting models step, we should visualize the plan for each space by considering the condition of site and planning target, arrange the optimal community planting model each space by considering the condition of site and examination of community planting model application and finally make out the whole planting plans.

      • 심장폐우회로 없이 시행하는 관상동맥우회술에서 milrinone의 혈역학적 안정화 효과 : 심장지수가 낮은 환자와 정상인 환자의 비교

        김종엽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hemodynamic instability associated with positioning and stabilizing the heart as well as the interruption of the coronary artery flow is an important factor limiting the performance of off-pump coronary artery bypass surgery(OPCAB).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effect of milrinone on hemodynamics during OPCAB in two groups of patients with low and normal pre-graft cardiac index(CI). Eighty-two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ased on their pre-graft CI. Each group was randomly subdivided into two groups to receive either milrinone or normal saline. After the internal mammary artery was harvested, milrinone or normal saline was infused in 0.5 μgkgmin until the end of the anastomosis. The hemodynamic variables were measured: just before the start of milrinone or normal saline after pericardiotomy; 10 min after the tissue stabilizer had been applied for the anastomosis of left anterior descending artery, left circumflex artery and right coronary artery; and after the sternal closure. The following variables were measured: cardiac output, heart rate, mean systemic arterial pressure, pulmonary artery pressure, central venous pressure, pulmonary capillary wedge pressure, and mixed venous oxygen saturation(SvO2). Using these variables, CI, systemic and pulmonary vascular resistance index and stroke volume index(SVI) were calculated. Milrinone reduced the extent of the decrease in CI and SVI in both low and normal pre-graft CI groups without significant systemic hypotension. Pre-graft CI affected significantly the changes in CI and SvO2 in mixed model analysis.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effect of milrinone on hemodynamics between low and normal pre-graft CI groups. Preemptive infusion of milrinone without an initial bolus can safely be used in patients with low pre-graft CI to prevent decrease in the CI and SVI below critical level during distal anastomoses in OPCAB. 심장폐우회로 없이 시행하는 관상동맥우회술(off-pump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OPCAB)은 체외순환과 관련된 합병증을 감소시킬 수 있으나, 심장의 위치를 이동시키고 수술 부위의 심장박동과 관상동맥의 혈류를 제한시키므로 혈역학적 불안정성과 심근 기능의 저하를 초래할 수 있어 이를 최소화하기 위한 마취 관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OPCAB을 시행 받는 환자를 수술 전 심장지수가 낮은 군과 정상인 군으로 나누어 milrinone을 부하용량 없이 지속 주입하여 혈역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총 82명의 환자를 심장지수가 낮은 군과 정상인 군으로 나눈 후에 두 군에 각각 milrinone과 생리식염수를 주입하였다. 내유동맥 수집 후 milrinone 또는 생리식염수의 주입을 시작하여 문합이 끝날 때까지 유지하였다. 혈역학적 변수 측정은 milrinone 또는 생리식염수를 주입하기 전(기저치)과 좌전관상동맥, 좌측회선동맥, 우측관상동맥 문합을 위해 각각 심장고정기를 부착하고 10분 후, 마지막으로 흉골 봉합 후에 측정하였다. 심장지수가 낮은 군과 정상인 군 모두에서 milrinone은 문합 중 심장지수와 일회심박출지수의 감소를 둔화시켰다. 문합 중 milrinone의 주입에 관계없이 심장지수와 혼합정맥혈산소포화도의 감소는 심장지수가 낮은 군보다 정상인 군에서 더 심하였다. 심장지수가 낮은 군과 정상인 군 사이에 milrinone의 혈역학적 효과는 차이가 없었다. OPCAB을 시행 받는 환자에서 milrinone의 선행적 지속주입은 혈역학을 개선시키며, 특히 심장지수가 낮은 환자에서 심장지수와 일회심박출지수가 위험수치 이하로 감소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하여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