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체험 활동 중심의 프로그램을 통한 중학생의 국제이해교육 실천

        김종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9

        In this study, we applied the CCAP program to the social studies class in the middle school. We also organized a student group having diverse cultural experiences through several foreign cultural center visiting programs. These activities have a common purpose which promotes the international understanding and attitude for our students.To accomplish this purpose, we applied the CCAP program to 9th grade students belonging to one middle school which is located at Goyang City in the April, 10th 2005.And then we analyzed with a comparison study ( two Before and After treatments) that our students' international understanding is improved through the CCAPIn addition, to implement our experimental results of CCAP program, we actively involved in the CCAP program and listened to students's opinion of CCAP program.We also provided an international understanding student group from a middle school located at Goyang City, Gyeonggi Province the opportunity to visit foreign cultural centers and then tried to observe the change of students's international understanding after the visit.The results from our study are as follows:First, we found that the students' attitude of understanding the culture of other country was changed to be positive after having the experience of foreign cultural center visiting program based on the CCAP program.Second, after having the experience of Foreign cultural center visiting program based on the CCAP program, students showed not only the positive attitude of understanding the culture of other country but also a pride of our cultureBased on the results of our study, we can propose our suggestions to improve the education of international understanding as follows:First, we need to provide more chances to have the international understanding program such as CCAP to our students. Currently, it is difficult for many students to get the program as CCAP. To overcome this limitation, the only international education program sponsored by UNESCO until now should be extended to diverse international programs sponsored by Province or City public Education centers. Furthermore, if we spend more time to find foreign instructors for the program around our city, it may be not difficult to find foreign instructors for the international education program.Second, we need to make more places to provide the international education program. Because of the restrictions of location of the international education program center (especially located at Seoul ) and the number of foreign cultural centers, many students do not have a chance to have the international education program. We need to think about these restrictions and propose new ideas for the solutions of these problems.Third, we need to develop diverse international education programs for our students to improve the cultural understanding of other countries. To help our students to understand the culture of foreign countries, we need to ask the staffs from the foreign cultural center to provide various programs of their culture to our students. 본 연구는 유네스코의 CCAP 프로그램을 중학교 사회과 수업 시간에 활용하는 방법과, 국제 이해반 동아리를 조직하여 ‘외국문화원 방문’을 통한 문화 체험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방법의 두 가지 체험 중심 국제이해교육 프로그램을 구안ㆍ 실시하여 ‘세계 시민으로서의 자질 함양과, 서로 다른 문화를 가진 사람들과 더불어 살아가는 방법과 지혜의 체득’ 이라는 국제이해교육의 효과를 검증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위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CCAP 프로그램을 고양시의 ○○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2005년 4월부터 10월까지 실시하였다. 그리고 CCAP 실시 전과 후에 설문조사를 통하여 학생들의 국제이해의식과 태도 변화를 조사ㆍ분석하였다. 또한 CCAP 프로그램에 연구자가 직접 참여 관찰한 내용과 학생들의 소감문과 인터뷰를 통하여 설문 조사의 결과를 보충하였다. 또한 고양시의 △△ 중학교의 국제이해반 학생들에게 외국문화원 방문을 통한 국제이해교육을 실시하여 학생들의 소감문을 통하여 국제이해의식과 태도의 변화를 관찰ㆍ분석하였다.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CCAP와 국제이해반의 ‘외국문화원 방문 프로그램’과 같은 체험 중심의 국제이해교육을 실시한 결과 다른 나라 문화를 이해하는 학생들의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화하였음을 알게 되었다.둘째, CCAP와 외국문화원 방문 프로그램과 같은 체험 중심 국제이해교육은 학생들에게 우리 문화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심어주고, 우리 문화의 우수성을 알리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외국인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태도 변화는 설문조사결과와 소감문 분석에서 분명하게 나타났다.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토대로 이후 체험 중심의 국제이해교육을 위해 몇 가지 문제를 제언하고자 한다.첫째, CCAP과 같은 프로그램을 확대시킬 필요가 있다.많은 수요에 비해 CCAP에 참여하기는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제한점을 극복하고 보다 발전적인 방향이 되기 위해서는 현재의 유네스코 주관인 이 사업을 각 시ㆍ도 교육청 단위로 넘겨서 좀 더 확대할 필요가 있다. 외국인 인적 자원을 찾아보면 활용 가능한 자원들이 많이 있을 것이다.둘째, 체험 중심의 국제이해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장소의 개발이 모색되어야 한다. 외국문화원 방문 프로그램의 경우 방문할 수 있는 기관이 한정되어 있고, 대부분 서울에 위치해 있어 지방 학교에까지 일반화하여 확대하기가 매우 어렵다. 따라서 체험 중심의 국제이해 프로그램은 외국문화원 뿐 아니라, 외국인 거주 지역이나 외국인을 돕는 단체 등으로 확대시킬 필요가 있다.셋째, 외국문화원과 같은 시설을 국제이해교육의 장으로 이용하기 위한 구체적인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외국문화원이 우리나라 학생들의 국제이해교육의 장으로 적극 활용되기 위해서는 방문하는 학생의 특성에 맞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미리 준비되어 있어야 하겠다.

      • 정신간호사의 인권감수성, 도덕적 민감성 및 공감능력이 옹호간호에 미치는 영향

        김종심 동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39

        정신간호사의 인권감수성, 도덕적 민감성 및 공감능력이 옹호간호에 미치는 영향 김 종 심 동신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지도교수 김희영)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간호사의 인권감수성, 도덕적 민감성 및 공감능 력과 옹호간호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옹호간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자는 G광역시와 J도의 정신의료기관의 정신과 병동에서 근무 하고 있는 정신과 경력 6개월 이상의 간호사 178명이었다. 자료수집은 2023년 8월 21일부터 9월 18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일반적 특성, 인권감수성, 도 덕적 민감성, 공감능력, 옹호간호를 측정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5.0 통계프로그 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인권감수성 정도는 전체 총합 75점 만점에 34.94±19.25점, 도덕적 민 감성은 평균 7점 만점에 4.90±0.51점, 공감능력은 4점 만점에 평균 2.31±0.38 점, 옹호간호는 5점 만점에 3.59±0.39점이었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권감수성은 성별(t=3.48, p=.001), 최종학력 (F=6.05, p=.003), 자격사항(F=-2.61, p=.010)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도덕적 민감성은 연령(F=4.04, p=.008), 결혼상 태(t=2.82, p=.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공감능력은 총 임상경력(F=3.34, p=.011), 정신 과 경력(F=2.55, p=.041), 인권교육 횟수(F=2.78, p=.043)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 였다.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옹호간호는 연령(F=4.71, p=.003), 결혼상태 (t=2.24, p=.027), 최종학력(F=3.67, p=.027), 인권교육 경험(t=2.30, p=.023), 인권 교육 횟수(t=3.44, p=.018)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6. 대상자의 옹호간호는 인권감수성(r=.22, p=.003), 도덕적 민감성(r=.63, p<.001) 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반면, 옹호간호와 공감능력은 통계 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r=.08, p=.272)를 보이지 않았다. 7. 대상자의 옹호간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1단 계 모형에서 연령, 최종학력 석사과정 이상, 인권교육 횟수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F=4.21, p<.001), 설명력은 14.0%로 나타났다. 2단 계 모형에서 인권감수성을 추가하였을 때 연령, 인권교육 횟수, 인권감수성 이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F=4.40, p<.001), 모형의 설명력은 16.1%로 1단계에 비해 2.1% 증가하였다. 3단계 모형은 도덕적 민감성을 추 가하였을 때 연령, 인권교육 횟수, 인권감수성, 도덕적 민감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F=14.97, p<.001), 모형의 설명력은 46.5%로 2단계에 비해 30.4%가 증가하였다. 결론 및 제언: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도덕적 민감성과 인권감수성이 옹호간호 에 영향을 미치는 주된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정신간호사의 옹호간 호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도덕적 민감성과 인권감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차별화 된 교육과 옹호간호 실천을 유도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요구된다. 주요어: 정신간호사, 인권감수성, 도덕적 민감성, 공감능력, 옹호간호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