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시군지역의 학습부진요인 비교연구

        김종순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academic leve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rural areas has dropped these days. One of the basic causes is people moving from the country into the cities. When the students enter fifth or sixth grade, the parents want to move to the city or let their children change to a school in the city. Thus, the number of the students in rural area elementary schools has decreased rapidly and so has the level of academics. We need to find a way to stop the situation.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main factors for decreasing scholastic ability, draft possible solutions or programs and apply these solutions. In the study, specific research problems were chosen to find a way of improving such low academic levels in rural area elementary schools. 1. What are the main factors contributing to the problem? We need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in both rural and city areas. 2. What is the condition of free study facilities in rural areas? 3. Do the local community representatives have a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situation? 4. What is a sensible solution to this problem? The study includes students, parents, teachers, local community representatives and free study facility officials. Some of them belong to three elementary schools which were chosen for a sampling. The others operate in the outskirts of the nearby cities. Both questionnaires and personal interviews were used in the study. SPSS Win 12.0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techniques of analysis such as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used to recognize patterns in the data. Moreover Chi-square, Fisher's Exact Test and T-tests were carried out. The study concludes the following: First, the cause of lower academic levels lies with the students themselves who exhibit unsystematic study habits, a lack of reading, low interest in class, lack of achievement motivation and lack of a study plan. The problem of lower scholastic ability is also related to the home environment. There are more one-parent or grandparents-grandchildren families in the country than in the cities. Students who have such backgrounds have less interests in studying, lack motivation, have few chances to talk about problems at school and resent the atmosphere at home. Parents in the country hardly participate in school events or talk with teachers. The frequency of praise for the students is very low and they have few chances to talk with children and check their studying conditions. There is also the factor of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s. Teaching strategies, which can help the students to set studying goals, are insufficient. The teachers don't sufficiently emphasize the importance of preparing for class in advance and reading. Teachers barely have enough time to teach the lower level students in school and they can't consult with the parents. Furthermore teachers also have a prejudice against the lower level students. They think that the percentage of improving their ability is at most 50%. Even representatives in the rural communities think that students have a lower academic ability compared with the cities students. More than 60% of them said that environment doesn't encourage the students to study harder. It is said that the most important task to improve academic ability lies in rural economy revitalization. Second, since familial problems influence academic ability, parents must reinforce school training at home. The problem lies not in the students themselves but in the parents and home environment, so, parents should do their best in the role of studying helper. According to the family atmosphere, students can have positive self-respect and be successful, or they can experience continuous learning failure Furthermore, teachers must develop their teaching-learning strategy in stages. They must provide teaching methods that are appropriate for students in order to solve problems such as lack of regular studying habits, lack of interest in the lessons, shortage of reading materials, lack of effective study plans. When students study using a method which they can do easily, the possibility of succeeding in study and their confidence increases. Teachers should have confidence to help all kinds of students, increase the teaching time, find the appropriate methods and teach them professionally. The local environment also should be changed to encourage the will to study. More free learning facilities must be built and financial support must be increased. Study rooms which can give the students comfort like a second home must be enlarged. The government and local autonomous entities should provide support. Through these kinds of efforts, the family economy will be stabilized and students will have less psychological and economical inferiority complexes. As a result, students will study successfully. 농어촌 소규모 초등학교들의 학력저하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특히 초등학교 5,6학년이 되면 학부모들은 인근 도시로 거주지를 옮기거나 학생들만 전학시키는 일들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그러다 보니 농어촌의 소규모 학교의 학생수가 점점 줄어들고 결국은 학력 저하 문제로 이어지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지금도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이농 현상이 일어나는 여러가지 요인중에서 특히 자녀의 교육문제를 이유로 인근 도시로 거주지를 옮기거나 전학시키는 일들이 발생하지 않도록 대책을 세워야 한다. 그에 대한 출발점을 학습 부진 요인을 정확히 분석하고 부진요인에 따른 교육적 해결 방안이나 처치 프로그램을 수립, 실천해 내는 일에서부터 삼아야 하며 특히, 초등학교에서부터 그 일이 시작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연구자가 근무하는 G군을 중심으로 한 농어촌 지역 소규모 초등학교 학생들의 학습부진 요인을 여러 가지 변인으로 나누어 분석해보고 그에 따른 해결방안을 모색해보고자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농어촌 지역과 인근 시의 변두리 지역 초등학교 학생, 교사. 학부모들의 실태 조사를 통한 농어촌 지역 학생들의 학습 부진 요인은 무엇인가? 2) 농어촌 지역 초등학생들을 위한 무료 학습시설 실태는 어떠한가? 3) 농어촌 지역사회 인사들의 학력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4) 농어촌 지역의 초등학교 학생들의 학습 부진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강원도에 위치한 소규모 학교 중 목적표집(purposeful sampling)에 따라 선정된 농어촌 지역 3개 학교와 인근 도시 변두리 지역 3개 학교의 학생, 학부모, 교사와 농어촌 지역의 지역사회 인사 및 무료 학습시설 관계자를 그 대상으로 한다. 조사의 주된 방법으로는 질문지법을 사용하되, 보다 심도 있는 내용을 파악하기 위해서 개인 면접법을 병행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기법으로는 응답 내용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또한 문항에 따른 변인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χ²(Chi-square) 검증 및 피셔의 정확확률 검정법(Fisher‘s Exact Test)를 실시하였다. 또한 문항에 따른 변인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χ²(Chi-square) 검증 및 피셔의 정확확률 검정법(Fisher‘s Exact Test), 그리고 독립 변수 내의 두 집단간의 평균을 비교하기 위해 t-test를 사용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농어촌 학생들의 학습 부진 요인은 학습자 변인으로 예습이나 복습과 같은 규칙적인 학습 습관의 부족, 독서량 부족, 수업에 대한 흥미도 저하, 학습에 대한 성취동기 부족, 공부계획에 대한 실천력 부족 등으로 나타나고 있다. 가정 환경 변인으로는 한부모 및 조손 가정의 학생들이 많은 농어촌의 경우 정상 가정의 학생들보다 수업에 대한 흥미도가 낮고 학생 스스로 공부를 못하는 것 같다고 느끼고 있으며 집에 가서 학교에서 있었던 일들을 잘 말하지 않거나 가정의 분위기가 더 냉랭하다고 느끼고 있는 것으로도 나타났다. 농어촌 학부모의 학교 행사 참여도가 시 지역에 비해 낮으며 자녀의 학습 문제에 대하여 담임교사와 1년에 1회이하로 상담할 만큼 거의 상담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에 대한 칭찬 회수도 주2~3회 정도로 낮게 나타났으며 자녀와 대화를 나누거나 학습 상황을 점검하는 횟수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 환경 변인으로는 교사들이 학생개개인의 자신의 학습 목표를 잘 설정하도록 돕는 전략이 부족하며 예습 및 독서 활동을 적게 시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은 학습 부진 학생을 지도할 시간이 부족하다고 느끼고 있으며 학습 부진 학생 지도시 가정과의 연계지도가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 부진 학생에 대한 좋지 않은 선입견을 가지고 있고 학습 부진 학생을 구제할 확률을 50%이하로 낮게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사회 변인으로는 지역사회 인사들조차도 인근 시지역에 비해 학력이 낮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지역내의 무료 학습 시설이 매우 부족하고, 지역 사회의 환경이 학습을 북돋울 수 있는 환경이 아니다 라는 응답이 60% 넘게 나타나고 있다. 지역사회의 학교나 교사에 대한 신뢰도가 60.5%로 매우 낮게 나타났으며 학력을 높이기 위한 지역사회의 우선 과제가 ‘지역경제의 활성화’로 나타났다. 둘째, 농어촌 학생들의 학습 부진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은 우선 학부모와 교사가 협력적 생산적 관계를 유지해야 한다. 많은 학부모들이 자녀가 다니는 학교에 관여하거나 학교 회의에 참석하기 싫어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습 부진 학생의 교육이나 치료를 위해서는 학부모와 좋은 관계를 형성해야 한다. 학부모와의 긍정적인 의사 소통을 위해서 평소에 학부모와 학생의 간략한 정보에 대한 긍정적인 전화를 하는 습관이 형성되는 것이 좋으며 필요하면 가정 방문을 하거나 별도의 만남의 시간을 갖는 것도 좋다. 이럴 때 학부모가 편한 시간에 모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녁시간이나 이른 아침 시간 등 학부모의 요구에 맞추는 것이 참석률을 높이는 데 좋다고 본다. 특히 농어촌 학생들의 경우 한부모 가정, 조손 가정이 많기 때문에 교사가 특별히 지도하고 배려하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 가정적인 문제로 오히려 학교나 교사에 대하여 적대적이거나 지나친 걱정과 불안을 보일 수도 있다. 따라서 자녀의 학습 문제에 대하여 편하게 의논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학습 부진을 해결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학부모 연수를 강화해야 한다. 농어촌 학생들의 학습 부진 요인에서 나타난 것처럼 가정 환경의 문제는 학습 부진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학부모 연수를 통해 자녀 지도에 대한 훈련이나 도움을 받아야 한다. 학습 부진의 문제는 학생 자신의 문제가 아니라 부모와 환경적인 문제가 크다는 것을 알고 학습 보조자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가정에서의 분위기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서 긍정적인 자존감과 성취를 증진시킬 수도 있는 반면 때로는 지속적인 학습 실패나 아동의 기대 수준을 낮추게도 한다 교사의 교수-학습 전략을 체계적으로 개선해야 한다. 농어촌 학생들의 경우 예습 복습과 같은 규칙적인 학습 습관이 부족, 수업에 대한 흥미도 저하, 독서량 부족, 공부계획을 세워 실천하는 능력 부족 등을 해결하기 위해서 학습자의 강한 특성을 찾아 그것을 기초로 학습자에게 적합한 수업 방법을 찾아 제공하는 것이다. 학습자 자신이 잘할 수 있는 수업방법으로 학습할 때 학습에서 성공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이를 통해 점차 학습에 자신감을 갖게 될 것이다. 이런 과정이 지속된다면 학습 부진 학생들의 자기 효능감이 높아지고 그들이 특정 과제를 잘 수행할 수 있는 기반이 조성될 것이다. 교사 자신부터 학습 부진 학생을 구제할 수 있다는 확신을 가지고 학습 부진 학생 지도 시간을 늘리고 적합한 학습 방법을 찾아내어 적절한 수업 처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지역 사회의 환경을 학습을 북돋울 수 있는 환경으로 변화시켜야 한다. 지역 사회내의 무료 학습 시설을 늘리고 재정 지원을 적극적으로 할 필요가 있다. 저소득층 자녀가 많은 농어촌과 시지역의 변두리 학교들을 위한 쉼터 역할을 할 수 있는 공부방과 같은 시설을 확대시켜서 제2의 가정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지역 경제 활성화를 통하여 학생들의 가정 경제를 안정시키고 학생들의 심리적 경제적 열등감을 감소시켜 궁극적으로는 학업 성취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정책적인 지원이 있어야 한다.

      • 정보통신윤리 협동학습을 위한 Wiki기반 코스웨어의 개발 및 적용

        김종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정보통신윤리 교육은 학습자로 하여금 정보사회에서의 올바른 삶에 필요한 도덕 원리와 가치 규범을 알고 합리적으로 판단하며 이를 생활 속에서 바르게 실천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존중, 책임, 절제, 규범 인식 등의 윤리적 문제를 효과적으로 학습하기 위해 협동학습이 강조되고 있다. Web 2.0은 정보의 개방성, 이동성, 연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켜 주며 이 중에서도 Wiki는 협동학습에 최적의 틀로 각광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통신윤리지수의 향상과 학습태도의 유의미한 변화를 이끌어내고자 하였으며 교육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통신윤리지수 산출을 위한 검사지 분석 및 검증 결과 정보통신 윤리 협동학습을 위한 Wiki기반 코스웨어는 정보통신윤리지수를 향상시켰다. 둘째, 정보통신윤리 협동학습을 위한 Wiki기반 코스웨어를 적용한 후 학습자의 학습태도에 긍정적인 태도변화가 나타났다. Wiki를 이용한 학습 사례가 부족한바, 본 연구를 통하여 다양한 교과에서 Wiki기반 코스웨어가 개발되기를 기대한다.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Ethic Education(ICEE) makes learners know ethic principals, value criteria to need a desirable life in the information society and to think rationally. ICEE aims for practicing those in a daily life properly. ICEE emphasizes cooperative learning for learning ethical topics such as respect, responsibility, moderation, criteria perception with effect. Web 2.0 improves the openness, transference, and link of information sensationally. Among those, the Wiki is back in the spotlight as the optimal tool in cooperative learning. This study is designed for meaningful change of learning attitude and improvemen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Ethic Index(ICEI). Here are the educational results: According to the analysis and verification for producing ICEI, cooperative courseware based on the Wiki raised the ICEI. After cooperative courseware based on the Wiki was adapted to learners, the positive change of learners' learning attitude was shown. Owing to the lack of case studies for cooperative learning using the Wiki, developing the courseware based on the Wiki will be expected in the various subjects through this study.

      • 體育活動이 初等學生의 精神健康에 미치는 影響

        金鍾淳 建陽大學校 敎育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체육활동이 초등학생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충청남도 교육청 산하 10개 초등학교 4, 5, 6학년 재학생 200명을 표집하여 설문지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SPSS/pc+windows version 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의 목적에 맞게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첫째, 초등학생의 인구통계학적 변인별 정신건강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연령이 120개월 이하인 아동들은 121개월 이상인 아동들에 비해 공포와 적대감 정신건강 영역이 좋지않다고 자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생의 스포츠활동 참여 여부에 따른 정신건강 차이를 분석한 결과, 스포츠활동에 정기적으로 참가한 아동들은 참가하지 않은 아동들에 비해 정신건강의 우울증, 대인예민, 정신증, 신체화 영역에서 상대적으로 양호한 상태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생들의 스포츠활동 참가정도별 정신건강 차이를 분석한 결과, 주당 2-3일 이상 정기적으로 스포츠활동에 참여하는 아동일수록, 스포츠활동에의 참가 기간이 13개월 이상 오래될수록, 운동지속 시간이 1시간 이상 지속될수록 정신건강이 상대적으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사설문지에 포함되어 있는 전체 요인들이 초등학생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특별히 스포츠활동에 참여하는 빈도가 정신증이라는 정신건강 영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physical activities and their mental health. To achieve the purpose, the researcher selected 200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were in 4th, 5th, and 6th grades in 2003.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1.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tudents under 120 months in age were negatively influenced at the phobic and hostility mental health areas. 2.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port activities' participation.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sport activities regularly were in better mental health condition than the other students. 3. The students' participation level of sport activities (frequency, duration, and intensity) affected their mental health partially and positively. 4. The students' participation frequency at sport activities contributed to the mental health positively.

      • CAI를 이용한 물리교과 학습의 효과에 관한 고찰

        김종순 명지대학교 정보산업기술대학원 1993 국내석사

        RANK : 247631

        Computer have been enthusiastically used for a long time since they were introduced in school. Although the usefulness of the computer is well recognized to both students and teachers in developing their works, studies on the effect of CAI system for the invisible experiments and the time consuming units have not been active. In addition,there has been a continuous rise in need for using CAI SYSTEM effectively in physics cla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to evaluate how the making use of computer in physics class at high school has been affected the achievments of the students in relevant study. In the study, I divided students in two groups, one group of using computer in "lens" unit and another of non-using computer in the unit.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Using CAI SYSTEM in physics class increased the accomplishments of the study. 2. Higher rate of accomplishments were achived in inferiority group than in superiority group by using computer. 3. Using CAI SYSTEM in physics class enhanced students' interests during the experiments.

      • Ⅰ. α, β - 불포화 케톤의 β - 히드록시 일릴화 반응 Ⅱ. 시클로프로필 케톤의 고리 열림 반응

        김종순 강원대학교 대학원 1994 국내석사

        RANK : 247631

        Ring opening reaction of cyclopropyl ketone has been found that TBSOTf assisted homoconjugate addition of triphenylphosphine to the fused bicyclic cyclopropyl ketone occurred regioselectively to provide 1,5-addition product in which ketone group is protect as silyl enol ether. This result suggested that geometry-dependant orbital interaction (stereoelectronic effect) appears to control the direction of the cyclopropane ring opening and the bond that cleaves is the one which has the greater overlap with the carbonyl π-system. The ylide derived from phosphonium salt of silyl enol ether cleanly react with aldehydes to give ketone containing alkenyl group at β-position in one-pot procedure from cyclopropyl ketone without any isolation of the intermediate.

      • 비정규 근로자의 효율적 활용과 정책과제에 관한 연구

        김종순 단국대학교 1994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韓國産業社會의 근로인력의 부족현상은 비록 한국 산업사회만의 현상이라고는 할 수 없으나 經濟成長과 더불어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다양화하여 보다 더 쾌락한 생활을 추구하려는 인간본능의 욕구를 힘들고 더럽고 어려운 일을 기피하고 부가가치가 많은 직업을 택하려는 가치관의 변화를 가져왔다. 이는 60년대 초의 국가의 工業化 政策과 더불어 성장위주의 경제에 치중해온 분위기에서 80년대부터 社會 經濟 産業 부문의 많은 변동으로 인해 근로자의 복지와 3차산업으로의 급속한 이동이라는 상황이 전개되었다. 따라서 生産職 근로자는 부족한 형편이지만 서비스직 근로자는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에 놓이게 되고 부족한 생산직 勤勞者의 勞動力 수급정책을 마련하지 않으면 안되는 것이 勞動政策의 중요한 과제로 되었다. 최근 韓國은 産業社會의 高度成長과 더불어 격심한 人力難을 격고 있다 그래서 인력부족을 우려하고 있는 관심있는 인사는 이 문제를 타결하기 위하여 外國에서 低賃의 人力을 수입하여 이를 해결해야 한다고도 한다. 그러나 당장 低良質에 良質의 노동력을 확보해 올 수 가 있다고 할 지라도 그 이후의 有休 勞動力을 활보해 올 수 있는 길을 막음으로써 失業問題등의 후유증은 감당하기 어려운 社會問題가 될 것이다. 經濟 企劃院의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有休人力은 240만명에 이르고 있으며 그 중 時間制 勤勞를 원하고 있는 희망자수는 무려 110만명에 이르고 있다고 한다. 한국과 같이 時間制 勤勞의 자원이 풍부함에도 불구하고 실제 雇傭比率은 낮으며, 한편으로 인력이부족한 현상은 무엇인가. 먼저 使用者의 입장에서 생각해 본다면 非正規 雇傭勤勞者는 부정기적 시간을 근무하는 것이기 때문에 勤勞基準法을 비롯한 근로자 보호법이 적용되지 않도록 한다면 매우 환영할 일이지만 勤勞基準法은 근로자란 「職業의 種類를 불문 하고 事業 또는 事業場에서 賃金을 目的으로 勤勞를 제공하는 자」 (勤基法 14조) 라고 定義하고 있으므로 非正規 雇傭勤勞者에게도 動勞基準法과 기타 보호법이 적용되어야 하는 것은 당연한 논리이다. 勤勞基準法만을 예로 한다해도 「 使用者는 근로자에 대하여 1주일에 평균 1회 이상의 有給休暇를 주어야 한다」 (勤基法 45조) 고 규정되어 있고 그 유급휴가라 함은 「소정의 근로일수」 를 개근한 자에게 주는 유급휴일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勤基法 시행령 29조). 이러한 규정은 월차휴가 (勤基法 27조), 연차휴가 (勤基法 48조), 생리휴가 (勤基法 59조), 산전후 휴가 (根基法60조), 육아시간 (勤基法 61조) 등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되어야 마땅하다. 非正規 勤勞者와 正規時間근무하는 상용근무자와 똑같은 대우를 해줘야 한다면 균등처우의 원칙이라는 법의 원리는 차지하고 오히려 인건비의 가중현상을 감내하기 어려울 것이다. 뿐만 아니라 통상근로자의 臨時的 雇傭派遺職 雇傭, 時間制 雇傭으로의 전환을 유도하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다. 따라서 유휴 노동력이 있어도 활용할 수 없다는 제약요인으로 작용하였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근로자의 입장에서는 우선 근로하기를 희망한다 할 지라도 非正規 勤勞制度가 확립되지 못한 현재의 상황에서는 고용이 된다고 할지라도 어떠한 대우를 받을 것인가가 불안하다. 뿐만 아니라 법이 보호해 주는 정도의 최소한도의 대우도 받지 못하고는 일을 하겠다는 의욕이 생겨나지 않는다. 한국의 勤勞基準法은 1953년 제정되어 그 후 産業發展과 더불어 1989년에 이르기 까지 8차례의 개정을 하였다. 그러나 산업형태의 변화에 따라 노동력 공급의 시스템이 변화하고 이에 따라 근로 형태가 변화하고 있음에도 불구 하고 1950년대초, 법 제정당시에 예상했던 근무유형의 패턴의 변화를 전혀 예측하지 못하고 1일 8시간 1주 6일 근로의 모형을 기준으로 하는 勤勞者 保護制度에 머물러 있었기 때문에 勞動力 收給政策을 수립하는데 있어서 제도적 허점을 드러내는 결과가 되었다. 그러나 勞使關係의 類型이나 산업발전의 모형이 유사한 隔卓의 경우에 있어서는 이미 1980년대초 부터 婦女勤勞者와 高齡動勞者의 有休勞動力의 活用을 위하여 「파트타이머」 (Part-timer) 노동에 관한 行政的, 立法的 해결을 시도 하였으며 婦女勤勞者와 高齡者의 雇傭期會 安定化에 노력하였다. 이제 韓國에 있어서도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부녀근로자나 고령근로자의 고용 문제의 과제로서뿐만 아니라 人力不足에 대한 人力收給對策의 긴급한 政策的 課題펄서 해결되어야 할 문제이며 經濟政策과도 連繫하여 戰略的인 對策이 세워져야 할 문제이다. 지금까지 非正規 雇傭勤勞者에 관한 硏究資料는 단편적인 것일 뿐더러 그나마 정규노동에 관한 자료 속에 여기 저기 산재해 있을 뿐이며, 또 많은 부분은 감추어진 사실로써 존재하고 있는 현상이다. 그래서 本 硏究는 우선 지금까지 이 분야에서 이루어진 各種. 資料들을 정 리하여 취어 놓은 데에 역점을 두었다. 앞으로 未來社會의 雇傭形態가 점차 새로운 모습으로 대두될 것에 대비하여 현재까지 나타난 非正規 고용형雇傭形態를 고찰해 보고자 한다. Recent shortage trend of working man power in Korea industry can not be a phenomenon present only in Korea industry society and it results from the desire to avoid difficult, dirty and dangerous work in pursuit for more comfortable living following diversification of life in keeping up with growth of economy and improvement of living standard, thereby causing a great change in the sense of value prone to select added value job. This has developed an atmosphere having putting most of efforts on economy growth together with national industrialization polity in the beginning of 1960s to a rapid transfer of the welfare for workers and the 3rd industry due to many variations in the field of society and economy from 1980s. Accordingly, Production workers are deficient but service ones are likely to be increased year by year, which finally has made us prepare supply & demand policy of man power urgently as an important pending subject of labor policy in our country. Recently, Korea has sustained a serious difficulty in supply of man power following higher growth of industry society. So some of professionalists say that we must solve the problem by importing low quality man power from the foreign countries. We can procure low wage and quality man power immediately but it will be a critical social problem for us to undertake such aftereffect as unemployment problem and etc since idle man power can not be utilized efficiently thereupon. According to the survey of the Ministry of Economy and Planning our idel man power amounts to 2.4 mill, among which the persons wanting to work on hourly basis amount to as many as 1.1 mill. In one hand. despite with sufficient man power of hourly work, and in the other hand what is the phenomenon of man power shortage with actual low rate of employment rate? At first, thinking in the stand point of employer it is very agreeable that worker protection law including the work criteria law dosen't apply since irregular laborer works during irregular time but according to the work criteria law the worker is defined as one of offer labor regadless of his job for the purpose of gaining wage at working site(Work Criteria Law Art. No. 14) so that irregular employed worker also shall be applied to the work criteria law and other worker protection laws without any question. Taking this work criteria law only as an example "the employer shall provide paid vacation to worker morc than one time a week(Work Criteria Law Art. No. 45) and the paid vacation is defined as the paid haliday to be given to the worker without any absence to working site in "fixed working days"(Work Criteria Law Enforcement Art. No. 29). These regulations shall be applied to monthly vacation(Work Criteria Law Art. No. 27), yearly vacation(Work Criteria Law Art, No. 48), monthly physiologic 1eave(Work Criteria Law An. No. 48), leave before or after childbirth(Work Criteria Law Art. Nu. 60), and child bringing hour(Work Criteria Law Art. No. 61) in the same manner fairly. If the same compensation is given to irregular worker and regular worker laboring during fixed hour, not speaking of the equal treatment principle in the principle of law and all the more it will cause the employer not to sustain the additional cost push of labor wage. And also it will lead to the result that regular worker will transfer to temporary employment, despatch employment and hourly employment. Accordingly, there is also a limitation condition even though idle man power can not be utilized efficiently. But in stand point of worker, the treatment to be given will be unstable under insufficient irregular worker system at present even with employment for a worker wishing to work first of all. Furthermore the irregular worker comes to think that a minimum compensation to the extent of law propection will not be given, thus having not created any desire to work diligently. Korea work criteria law enacted in 1953 has been revised 8 times up to 1989 in keeping up with industrial development during the time. But despite with change of labor supply system depending upon industry formation and working type the worker protection system based on working patte구 of 8 hrs a day and 6 days a week prevailing in the time of the law enactment in the beginning of 1950s has remained until now, causing a trouble-some problem in establishing man power supply & demand policy scientifically and efficiently. But in the similar mode like Japan with the same employer-employee relationship or industry development they have already tired 'Part Timer to utilize idle man power of house wife or old worker from the beginning of 1980s to slove the labor problem administratively and legislatively and they succeeded in stabilizing employment of such workers completely. Now, in Korea we must treat the idle man power as the national strategic policy through connecting with national economy policy in addition to the primary employment of house wives and older people to cope with labor supply & demand problem likely to become more serious day by day. Study and research data available on irregular worker until now is very fragmental and moreover it is dispersed into the data on regular labor. And most of the data have been existing as the fact hidden in other data. Therefore, first of all this study is to put much emphasis on classification and synthesization of various data that have been examined in this field until now. I would like to examine irregular employment formation appeared until now in an effort to prepare for the future forth-coming employment from likely to be modernized gradually.

      • 皮膚眞菌症의 臨床 및 菌學的 觀察 (1888-1990)

        김종순 전남대학교 대학원 1992 국내석사

        RANK : 247631

        皮膚眞菌症은 全世界的으로 分布되어 있는 感染性疾患이며 地域과 時代에 따라서 그 菌腫의 變化가 있음은 널리 알려진 事實이며, 本 敎室에서는 이미 1976年 l月부터 1987年 12月까지 皮膚眞菌症의 臨床 및 菌學的 硏究를 한 바 있어, 그 以後의 變動推移를 알아보기 위하여 本 硏究를 施行하였다. 本 硏究는 1988年 1月부터 1990年 12月까지 全南大學校病院 皮膚科에 來院하였거나 依賴된 患者中 臨床所見, KOH 塗抹檢査, 우드燈(Wood's lamp)檢査, 眞菌 培養檢査, 皮膚 組織檢査 等에 의해서 皮膚眞菌症으로 診斷된 1,715名(男:1013, 女:702) 患者를 對象으로 臨床및 菌學的 觀察을 하여 다음과 같은 結果를 얻었다. 1. 皮膚 眞菌症 患者는 總 新患者의 13.3%를 차지하였다. 2. 年齡別로는 20代가 22.6%, 30代가 19.9%로 전체의 42.5%를 차지하였다. 3. 男·女別 發生頻度는 1.4:1로 男子에서 好發하였다. 4. 季節別 分布는 高溫多濕한 여름철(39.0%)에 好發하였다. 5. 疾患別로는 足部白癬(29.7%), 어루레기(19.8%), 頑癬(11. 8%), 칸디다症(8.6%), 體部白癬(8.3%), 爪甲白癬(7.8%), 手部白癬(7.0%), 頭部白癬(3.6%), 顔面白癬(3.1%), 스포로트리쿰症(0.4%)의 順 이었다. 6. 重複感染은 438(25.5%)名에서 觀察할 수 있으며 이중 手部白癬과 足部白癬의 重複減染이 가장 많았다. 7. 皮膚絲狀菌症에서 KOH 塗抹檢査 陽性率은 52.4%였고, 菌株 培養率은 41.4%였다. 8. 皮膚絲狀菌症에서 菌株의 培養頻度는 T. rubrum(45.9%), C. albicans(23.2%), T. mentagrophytes(17.1%) M. canis(8.9%), E. floccosum(2.5%), T. ferrugineum(1.2%), M. gypseum(0.6%), T. violaceum(0.4%)의 順이었다. Clinical and mycological studies were performed on 1.715 cases of dermatomycosis in Chonnam University Hospital for 3 years from January, 1988 to December, 1990. The resuts were summerized as follows: 1. The total 1,715 of dermatomycosis patients occupied 13.3% of total 12,915 out-patients. 2. Among the age groups, the incidence rate was highest in the third decades(22.6%). 3. Male to female ratio was 1.4:1(1,013:702). 4. The seasonal incidence of dermatomycosis was highest in summer. 5. The incidences of dermatomycosis in the order of frequency were Tinea pedis(29.7%), Tinea versicolor(19.8%), Tinea cruris(11.8%), Candidiasis(8.6%), Tinea corporis(8.3%), Onychomycosis(7.8%), Tinea manus(7.0%), Tinea capitis(3.6%), Tinea faciei(3.1%) and Sporotrichosis(0.4%). 6. Concurrent manifestations of dermatophytosis were found in 438 patients(25.5%), and the case of Tinea manus with Tinea pedis was the most common. 7. In dermatophytosis, the positive rate of KOH mount examination was 52.4% and the positive rate of culture on ordinary Saboraud's dextrose agar media was 4l.4%. 8. Of causative organisms of dermatophytosis, the commonest was Trichophyton rubrum(45.9%), and the others were Candida albicans(23.2%), Trichophyton mentagrophytes(17.1%), Microsporum canis(8.9%), Epidermophyton floccosum(2.5%), Trichophyton ferrugineum(1.2%), Microsporum gypseum(0.6%), Trichophyton violaceum(0.4%).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