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플라즈마 촉매 흡착 복합공정에 의한 악취물질의 제거

        김종범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71

        플라즈마 촉매 흡착 복합공정에 의한 악취물질의 제거 Removal of odor by plasma hybrid process 환경공학과 김 종 범 지 도 교 수 최 금 찬 현대사회는 사람들의 생활환경과 의식 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악취에 대한 관심도 또한 높아지고 있다. 악취는 감각오염의 한 형태로 발생물질의 종류와 배출원이 다양하고 여러 물질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또한, 생활환경과 사람들의 심리 상태에 따라서 오염도에 대한 인식이 달라지는 특성이 있어 다른 대기오염물질과 달리 효과적으로 발생원을 관리하고 저감대책을 수립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기존의 악취물질 처리는 효율이 낮고, 불용성인 경우에 그 처리가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플라즈마 공정을 이용한 복합기술은 저비용과 높은 처리효율을 가진 장점이 있으며 유해가스 및 악취 등에 대한 우수한 처리방법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플라즈마 공정만을 이용한 처리는 2차 오염물질의 유발 등 단점으로 인해 사용상 제한이 있으며, 이를 보안하기 위해서는 촉매 등을 이용하는 복합 처리방식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플라즈마와 촉매에 의한 악취물질 처리를 목적으로 플라즈마 단독 공정과 플라즈마 촉매 복합공정에 의한 ammonia, formaldehyde, dimethyl sulfide의 처리 가능성에 대한 고찰을 시도하였으며, 플라즈마 공정에서 2차 부산물의 처리와 처리 효율 향상을 위한 촉매 흡착공정의 적용가능성 및 악취물질 제어를 위한 플라즈마 단독 및 복합공정의 적용가능성을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플라즈마 단독공정에 의한 ammonia 처리 실험에서 최종 77%의 처리 효율을 보였고, 플라즈마 촉매 복합공정에 의한 처리 실험에서 ammonia 처리 실험에서 최종 93%의 처리 효율을 보인다. 플라즈마 단독공정일 때 보다 플라즈마 촉매 복합공정에서 처리효율이 높게 나타난 이유는 플라즈마 단독공정에서 미 분해된 ammonia가 규조토에 흡착되어 처리 효율이 높아 진 것으로 파악된다. Formaldehyde의 처리 실험에서 플라즈마 단독공정의 경우 20분 경과 후 100%의 처리효율을 확인할 수 있었고, 플라즈마 촉매 복합공정의 경우 10분 경과 후 100%의 처리 효율을 보인다. 플라즈마 단독 공정일 때 보다 촉매 복합공정일 때 처리 시간이 짧아진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Dimethylsulfide의 처리 실험에서 플라즈마 단독공정의 경우 최종 99.5%의 처리 효율을 보이고, 플라즈마 촉매 복합공정에서의 처리 효율은 최종 99.9%의 처리 효율을 나타낸다. 플라즈마 단독공정일 때 보다 플라즈마 촉매 복합공정에서 처리효율이 높고, 처리 시간이 짧아진 이유는 플라즈마 단독공정으로 악취물질이 분해되고 미 분해된 악취물질이 규조토에 흡착되어 처리 효율이 높고, 처리시간이 짧아 진 것으로 파악된다. 주요어: 플라즈마, 촉매, 규조토, 암모니아, 포름알데히드, 디메틸설파이드

      • 아파트 브랜드의 포지셔닝에 대한 소비자 인식에 관한 연구

        김종범 성균관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55

        This study is to provide effective positioning strategics of apartment brands in the apartment market, whether the brand communication strategics are accepted considerably or quite differently to customers. I surveyed with the fallowing subjects to accomplish purpose of study, First, to measure cognitions of consumers of each halo-effect and company image, I measured the preception of customers of each company. Second, I measured cognition of consumers through 12 kinds of adjectives which shows each company's image of apartment brands. Third, I measured preference of consumers about brand.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urvey are First, There appeared to be meaningful differences in result of recognition of consumers Unlike our primary factor in selecting brands, the companies are ranked in this order; SAMSUNG, LG, DAELIM, DAEWOO because LG shows good images to 20's to 30's. Second, the meaning difference occurred between the brand strategics of company and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in customers cognition,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brand image, and establishing exact brand positioning. Third, to establish apartment brand about identification and preference of customers, brands and companies, we have to make coherent and be unified brand strategics with communication. Fourth, This result about analysis of apartment brand base on image positioning may use to set up marketing communication strategy to make specific brand image. The demand of apartment will increase because over half of the people live in apartment in the domestic apartment market. According to this point, we need to continue study of apartment brand systematically.

      • Brevundimonas vesicularis가 생산하는 Carotenoids에 관한 연구

        김종범 전주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8655

        The carotenoids, known as the most important pro-vitamin A, play important roles as singlet oxygen quencher against photosensitization and skin tumors. Furthermore carotenoids are used in animal feed to restore the bird's color and to improve the fertility of livestock like dairy cow. In order to produce carotenoids for industrial and medical use a microorganism producing carotenoids was isolated from the soil and identified as Brevundimonas vesicularis. The yield of carotenoids production was 111.1 ㎎/ℓ when the bacterium was cultured at 30℃ for 24hr in the medium composed of 0.1% of MgS0_4, 1.0% tryptone, O.1% arabinose and 1.0μM biotin(pH 6), shaked 200rpm on the 1:IO volume ratio of medium to flask. The carotenoids produced by Brevundimonas vesicularis showed 5 different bands on thin layer chromatogram. The main components were identified as β-carotene and zeaxanthin.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60.5% at 200 ㎍/㎖) and the antioxidative activity(48.6% at 500㎍/㎖) of the carotenoids were both high. The carotenoids, when added in media, lowered the death rate of E. coli by UV and H_20_2. The carotenoids showed no cytotoxic effect to spleen cell of BALB/C mouse. So the carotenoids produced by Brevundimonas vesicularis were found to be effective as singlet oxygen quencher and suitable for industrial production.

      • 건설 하도급의 불공정 대금 지급 현황 분석 및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김종범 한양대학교 산업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639

        건설 산업이 국내총생산(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0%에 해당될 만큼 국민경제에의 기여도가 높은 산업임에도 불구하고 IMF외환 위기의 여파로 산업구조 조정 및 공사물량 감소 등의 열악한 환경에 처해 있는 상황에서 아직까지도 불투명한 하도급자선정, 이중 계약, 저가 하도급 행위, 부당한 하도급 대금 지급행위 등 현장에서 다양한 형태의 하도급 부패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는 건설 하도급 불공정 사례중에 대금적 불공정실태를 현실적으로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여 공정하고 합리적인 원․하도급거래 관계를 형성하고자 그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건설공사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원․하도급간의 불공정 실태 및 개선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대한전문건설협회의 1998년, 1999년의 설문조사자료를 참고하였고, 2000년도 자료는 하도급대금 지급 중심으로 70개업체의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이를 대한전문건설협회에서 시행한 과거의 결과와 비교 분석하여 하도급대금 지급의 개선방안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하도급 거래과정의 투명성을 확보하여, 하도급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공정 대금 거래 행위를 근절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는데 이에대한 구체적인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원․하도급간의 건전한 계약문화를 정착하기 위해서는 원도급자의 의식개혁이 우선적으로 수반되어야 하고 원․하도급 거래에 있어서 불공정행위가 발생하지 않도록 기업윤리가 존중되는 건설시장의 도급 풍토가 조성되어야 한다. 둘째, 건설 기업금융을 원활하게 하는 제도개선이 있어야 한다. 셋째, 하도급 대금직불제도가 활성화되어야 한다. 넷째, 하도급 대금지급 보증 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다. 다섯째, 어음발행기업의 연간한도제 도입이 필요하고 금융기관은 어음발행기업의 연간한도제에 따른 발행규모를 관리하면서 발행당시 일정한 수수료를 부과하여 어음의 공동관리자 역할을 하여야 한다. 여섯째, 모든 공공공사의 계약에 있어서의 이행보증시 연대보증인 제도를 단계적으로 폐지하고 ① 2001년에는 연대보증 70%미만, 이행보증 30%이상 ② 2002년 연대보증50%미만, 이행보증 50%이상 ③ 2003년에는 연대보증 30%미만, 이행보증 70%이상 등의 이행보증을 확대해 나가야 한다. 더불어 원․하도급간의 불공정 행위를 척결하기 위해서는 전체적으로 법․제도적인 정비와 병행하여 발주자 및 원․하도급간에 실질 계약서 작성, 공사이행 대금지급에 대한 올바른 의식개혁이 수반되어야 한다.

      • 사무소건축의 색채코드화에 관한 연구

        김종범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639

        근대의 다색건축과 데스틸에 의해 부각된 건축색채는 재료의 경량화, 공간의 장식, 채색적 기능을 맡게 되었다. 이후 현대건축에서는 포스트모더니즘의 슈퍼그래픽과 색채지리학, 환경색채등의 개념을 통해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건축색채는 컴퓨터의 사용이 증가하면서 건물의 입면을 렌더링하여 평가, 예측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이미지 장치와 모니터 사이등의 상이한 조건간의 색 재현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그러나 국내의 산업 각분야에서 Munsell체계를 사용하고 있고 건축자재의 색상 기준이 되는 한국공업규격에서도 이 체계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CIE체계를 사용하는 영상장치에서의 색채현에 어려움이 따른다. 사무소 건물의 경우 도장에 의한 채색방법이 아닌, 생산재의 색상에 의해 건물전체의 색채가 결정된다. 이러한 생산재, 즉 외장재의 경우, 다양한 업체에서 다수의 제품을 생산하고 있어서 표준화가 이루어지지 않았고 Munsell 체계를 적용하고 있기 때문에 컴퓨터를 이용한 건축색채계획에 적합하지 못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무소 건물의 외장재료를 대상으로 다양한 색체계의 사무소건축외장재료 색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본 논문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해외의 다양한 색체계와 색채과학이론을 고찰해 본 결과 컴퓨터를 이용한 건축색채계획에 적합한 색채코드는 CIExyY, CIEXYZ, CLELab등으로 조사되었다. (2) 연구문헌과 웹기반 건축자재시장을 통해 사무소건물의 외장재료 조사대상을 선정한 결과 수지도장강판, 법랑, 세라믹소재의 타일 혹은 패널 등을 선정하게 되었다. 90년대 이후 사용되어지는 재료의 경향은 다변화되고 있으며 위의 재료 이외에도 석재, 유리등의 재료가 많이 사용됨을 알 수 있었으나 이 두가지 재료의 경우 비균질성과 반사율등으로 인해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이에 따라 수지도장강판 237색, 법랑패널 38색, 세라믹타일(패널) 107색, 총 382색의 외장재료색채를 조사하였다. (3) 조사한 재료의 색채표기의 경우 20%에만이 한국공업규격에서 지정한 Munsell코드를 부여하였고 나머지의 경우 각업체에서 고유로 이름과 코드를 지정하고 있었다. 색상분포를 살펴보면 GY(연두), G(녹색), YR(노랑)계열이 높은 분포를 나타내고 있었으며 P(보라), RP(자주)계열이 낮은 분포를 나타내고 있었다. (4) 한국공업규격, 3속성에의한 색표계의 기준과 색좌표변환식을 이용하여 382색의 외장재료색채데이타베이스를 구축한 후, 데이터베이스의 Munsell코드와 Lab코드를 바탕으로 높은 분포를 보이는 색채를 조사한 결과, 자세한 색분포를 알 수 있었고 이는 다음과 같다. ■ Munsell H - Y : L +60∼+90, a -10∼+10, b +10∼+30 ■ Munsell H - GY : L +75∼+90, a -10∼+5, b 0∼+20 ■ Munsell H - Y : L +60∼+90, a -20∼+10, b -5∼+10 Architectural Color Planning occupied an important position in lightness of materials, decorating of space and coloring of buildings which was influenced by De still movement and Polychrome Architecture. In modern Architecture, it's importances were emphasized by the super graphic in post modern, the Geography of color and environmental color. Recently, the color planning and the color revaluations with computer was on the increase. So it needed cross-media color reproductions, CIE system is more profitable than Munsell system which many industries and Korean Standards have used. So color of materials determined that of office buildings, Standardization of the material's color was neede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make an office building material's color database with several color system. It will help architectural color planning with computer. So, We can summarize this study's results as follows; (1) CIExyY, CIEXYZ, CIELab system are more profitable for computer color planning than Munsell system. (2) Many literatures and homepages tell us that our target could be a metal panel, enamel and seramic panel, stone, glass. but we reject stone and glass for uninformity and reflectance. Consequently, we survey metal panel-237 colors, enamel-38 colors and ceramic panel-107 colors. (3) Mere 20% of total objects have a Munsell code, the other have informal color name or code. On the basis of Munsell Hue, many of them are GY, G, YR, littel of them are P, RP. (4) We make 382 color database with Korean Standards and numerical formula and analysis them. Some materials are concentrated at three extents as follow. ■ Munsell H - Y : L +60∼+90, a -10∼+10, b +10∼+30 ■ Munsell H - GY : L +75∼+90, a -10∼+5, b 0∼+20 ■ Munsell H - G : L +60∼+90, a -20∼+10, b -5∼+10

      • 황산욕 전기아연도금강판에서 표면결함억제에 미치는 공정변수의 영향

        김종범 동아대학교 2002 국내박사

        RANK : 248639

        전기아연도금강판의 표면외관 불량중의 하나인 V-mark는 원자재표면의 미세한 결함이 발생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최종제품으로 생산되기 전까지는 이전의 공정에서 판별 및 관찰이 거의 불가능하므로 제조업체에서는 상당히 심각한 표면불량으로 나타나고 있다. 전기아연도금층의 외관은 Zn 도금결정의 형태, 크기 및 배향성에 의존한다는 것이 보고되어 있고 V-mark는 육안으로 관찰하는 방향(빛의 반사각도)에 따라서 관찰 가능여부 및 색감이 결정된다는 것에 착안을 하여 V-mark가 나타나는 이유는 소지철판의 미세결함이 도금결정에 영향을 미쳐 빛이 조사되었을 때에 반사되는 확산반사와 정반사의 강도비가 정상부와 차이가 나기 때문에 발생된다고 가정을 하였다. 본 연구는 연속도금공정라인에서 V-mark를 억제시키는 방법을 찾기 위해서 도금결정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산세 및 도금처리 공정에서 미량의 억제제를 첨가하여 V-mark 발생에 대한 억제유무를 조사하였다. 연속도금공정에서 V-mark가 발생한 제품과 발생하지 않은 정상적인 제품을 입측에서 각각 샘플링하여 알카리 탈지를 한 후, 두 시편에 대해 산세액에 억제제를 2.0 g/ℓ를 첨가한 것과 첨가하지 않은 조건으로 처리한 후에 Zn 도금을 실시해서 V-mark에 미치는 억제제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와 함께 별도로 냉간압연한 시편에 대해 억제제에 따른 도금결정의 형태, 크기 및 배향성을 조사하고자 산세액내의 억제제 첨가량을 0~2.0 g/ℓ까지 변화시켜 실험을 하였다. 그리고 전해액내에 첨가하는 억제제의 양을 0~2.0 g/ℓ로 변화시켜 검토하였고 이때 산세액내에는 억제제를 첨가하지 않았다. 한편 전해액은 산세액과는 달리 미량의 첨가제에 의해서도 도금시 직접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고 도금공정에서 산세처리 후 수세처리시 완전히 제거되지 않은 억제제성분이 전해액내에 유입되어 도금표면에 영향을 끼칠 수 있기 때문에 0.002~0.2g/ℓ의 극미량 첨가에 대해서도 실험을 하였다. 재현성 실험에서는 신뢰성을 가지기 위하여 V-mark가 발생된 제품을 시편으로 사용하여 산세 및 도금조건을 여러 가지로 변화시키며 V-mark 발생유무를 관찰하였고 도금결정에 미치는 영향도 조사하였다. 한편 Zn-0.5%Ni 합금 아노드 및 순수 Zn 아노드를 사용하여 첨가제로써 전해액내 억제제대신에 NiSO4을 선택하여 함량을 다르게 하면서 전기도금을 한 후 V-mark 발생유무와 도금층에 나타나는 현상들을 관찰하였다. Zn 도금표면층의 형상과 우선 배향성은 SEM과 XRD로 관찰하였고 Zn 도금표면의 백색도와 광택도는 각각 색차기 및 광택기로 측정하였으며 미세조도는 SEM과 AFM으로 관찰해서 평가되었다. 또한, Zn 도금표면에서 부식의 영향은 동전위분극과 정전류전해법에 의해 전기화학적으로 조사하였다. 연구의 결과, 산세액과 전해액내에 억제제인 유기아민을 첨가하여 처리하고 도금하였을 때 두 가지 모두에서 V-mark 발생억제 효과를 보였으나 산세액내에 첨가하는 것이 표면외관성에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재현성 실험에서는 억제제를 첨가한 것에서 V-mark의 발생이 관찰되지 않았지만 (101)의 수직면과 (102), (103)의 피라미드면이 과산세에 따라 약간 발달하였기 때문에 광택도가 낮아졌고 Zn 도금결정은 매우 좁은 간격을 갖는 적층조직이고 미세하여 백색도가 낮아졌다. Zn-0.5%Ni 합금 아노드 및 Ni의 첨가로 V-mark 억제효과는 뚜렷하지 않았지만 순수 Zn으로 도금한 시편보다 전체적으로 광택도와 백색도가 높았고 도금층 표면이 미려하였다. V-mark deteriorating surface appearance of electrogalvanized steel sheet is not easy to be detected by naked eye's examination and to be removed in the processing line because of a kind of surface detect originated in the raw materials. The occurrence of V-mark may be due to the difference of the crystalline sizes and the preferred orientation between normal region and defective site on the plated surface, which was resulted from micro-defect existed in cold rolled raw materials, because of the morphology of the defect to be depended on the angle of observation in the macroscopic examination. This study was focused on the effect of addition of inhibitor on the control of V-mark in pickling and electroplating line with major stage of Zn crystallization, in order to understand how to suppress the formation of V-mark in the continuous electroplating process for the electrogalvanized steel sheet. Effects of the additive of inhibitor on the morphology and the preferred orientation of the Zn plated surface layer were investigated in pickling and electrolytic solutions. The used inhibitor was poly-amine classified as the first organic-amine system. The pickling and electroplating treatments were conducted at hydrochloric acid solution and sulfate bath, respectively. And effects of surface appearance and crystal orientation on the Zn plated layer were investigated as functions of Ni additive's content and over-pickling condition. Also reproducibility test was conducted as functions of pickling and electroplating condition by using the V-mark formed steel sheet. The morphology and the preferred orientation of the plated layer were observed by using SEM and XRD. The lightness and the gloss on the plated surface were evaluated by the conventional technique. The microscopic roughness test was conducted by using SEM and AFM. Also the corrosion behaviors of Zn plated layer were investigated by using potentiodynamic polarization and galvanostatic dissolution methods. The formation of V-mark could be suppressed by controlling the morphology, the crystalline size, and the preferred orientation of the Zn electrodeposited surface layer with the addition of a small quantity of organic-amine in pickling and electrolytic solutions. The addition of inhibitor changed the morphology, crystal orientation, and microscopic roughness of Zn plated surface, which was resulted in the change of the lightness and the gloss, compared with the case of the process without the addition of inhibitor. The development of (002) basal plane on the plated surface due to the addition of inhibitor increased the lightness and the gloss in the pickling solution. On the other hand, in electrolytic solution the addition of inhibitor decreased the lightness and the gloss somewhat, though the basal plane was developed. But those were increased with the trace NiSO₄ additives under Zn-0.5wt%Ni anode in electrolytic bath. In the reproducibility test, the formation of V-mark was not observed in case of the addition of inhibitor, but the gloss and the lightness were decreased due to the poor development of (101), (102) and (103) planes after over-pickling treatment, and the narrow stacking structure of the deposited crystal, respectively.

      • 얼굴 인식을 위한 포즈 추정 기반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패턴 분류기 설계

        김종범 수원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In this thesis, the design method of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pattern classifier based on pose estimation is proposed for two dimensional face recognition. In two dimensional face recognition, the variation of pose as well as illumination could lead to the performance degradation of face recognition systems. In order to solve such problem, the design procedure of the proposed model is given as follows. In the preprocessing step,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is used as a dimensional reduction operation. Also, Learning Vector Quantization and K-Nearest Neighbor approach are considered as the pose estimation method of face image. Each face recognition model selected by the corresponding pose estimation is carried out for face recognitio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model is used for face recognition. The proposed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with pose estimation i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Radial Basis Function Neural Networks with pose estimation from the performance viewpoint. In the experiments, Fuzzy C-Means clustering is used as the premise part, In the consequent part of Radial Basis Function Neural Networks the coefficients of linear polynomial function are given as the connection weights of networks. In addition, the coefficients of linear polynomial function are calculated by least square estimation. The features of face image are extracted through the convolution and the pooling layers of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Finally, the extracted features are used as input data to classification layer. In the experiments, K-fold Cross Validation is used to validate the recognition performance of the classifier and its average performance means the final recognition performance. Cambridge Head Pose Image database as well as CMU PIE database is considered in order to evaluate the performance for pose estimation and face recognition. Also, Yale Face Database B is used in order to validate the performance of the face recognition model.

      • 백제 꺾음 지붕과 천두식 구조의 해석과 재현

        김종범 韓國傳統文化大學校 大學院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revealed the timeliness to create the prototype for restoration of architectural form of Baekje and the necessity of study to support this. In addition, with the purpose of specifying the architectural form, it interpreted the correlationship between ‘Separate Planes’ and ‘​Chuan-Dou Framing System’ with regard to the archaeological characteristics of Baekje which could be summarized as ‘Wall with Inner Column’ and ‘Archaeological Site of Building with Inner Wall’. On the basis of this, it suggested the prototype of Baekje Architecture. As the background of driv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sectionⅠ indicated the issues in the laws and systems relating to historical cultural environment and the designation of World Cultural heritage. Furthermore, the need of the continuous research on the architectural forms of Baekje was insisted in the historic·cultural·economical aspects. Regarding this, it showed the foundations to underpin the critical mind which was depicted in the part of the aim of this study and described the methodology to organize the materials. The hypothetical proposition, ‘Separate Planes’ and ‘​Chuan-Dou Framing System’, was formulated and each thesis was proposed and approved to examine the adjustment of this hypothesis. In section Ⅱ, it revealed the needs of the times in interpreting and representing the architectural form of Baekje in order to create it as a symbol. This study put the critical focus in figuring out the correlationship between ‘Separate Planes’ and ‘​Chuan-Dou Framing System’ among Baekje architectural forms which had not remained. It is to find a methodology returning the subject outside existential context to the present through the architectural tool, which could have limits in adjusting the current domestic historical cultural environment. However, there is continuous demands of the times in enlarging the range of meaning of historical cultural environment. It was a trend which could be discovered in the issues of the designation of Baekje Historic Areas(Unesco Wold Cultural Heritage Sites) and ancient-city districts of Baekje era. Especially, the announcement of the standard of Hanok was understanded as a initiative for the acception of traditional architecture which had been defined as Hanok or architectural form of Hanok in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and the significance of operating the standard was explained. In this purpose, this section expressed the timeliness to interpret and create the Baekje architectural form in respects of studying history as well as responding to the practical demands. In section Ⅲ, it judged the theoretical matching between ‘Separate Planes’ and ‘​Chuan-Dou Framing System’. As to ‘Separate Planes’, it reviewed preceding studies which had been conducted in the name of ‘Separate Hipped-and-Gable Roof’ or ‘Shilorobuki’, ‘Ban-Woo’around East Asian regions. However, these studies had been carried out mainly with the achievement of archaeological excavations, so that there was lack of approach to the building technology of the time. Thus, in order to complement the limit, the hypothetical proposition, deliberately linking ‘Separate Planes’ to ‘​Chuan-Dou Framing System’, was established and then figured out the extent of matching of these features. In this process, Baekje Landscape Design Tile(Mountain-Water Scenery Sculptural Tile)·Tamamushi no zushi·the changes of Japanese architectural technology from Nara to Kamakura era·​Chuan-Dou framing system and earth and timber structure framing system·Wall with inner column and method of plan composition in archaeological sites of building with inner wall were analyzed. The result of section Ⅲ was summarized to five conclusions as below. First, it is needed to expand the use of term, ‘Separate Hipped-and-Gable Roof’, to ‘Separate Planes’. Second, there is no reason for ‘Separate Planes’ to ‘​Chuan-Dou Framing System’ to inevitably coexist, but it was presumed that multi-rooms in one house structure has affinity with ‘​Chuan-Dou Framing System’. Third, it was indicated that as a form of Baekje architecture there existed dual-structure plan that adjunct structure is separated from main structure. Forth, there is a possibility that ‘Separate Planes’ did not contain earthen supplement and the finishing material of roof was not certainly ceramic tile. Fifth, the type of ‘Separate Planes’could be subdivided depending on the size and use of architecture. According to these results, ‘Separate planes’ showed the relevance to ‘​Chuan-Dou Framing System’, but it needs to be occasionally understanded as a form with expandability of roof structure and shape. In section Ⅳ, prototypes were suggested on the basis of analysis in section Ⅲ. In this proposition, the part of ‘Separate Planes’ on which each roof surface is splitted or connected was named as ‘Line of Separated Planes’. The prototypes were classified in the focus of relevance between the element of roof in ‘Separate Planes’ and inner structure. There are two type classifications according to ‘Line of Separated Planes’. First, in the case where ‘Line of Separated Planes’ is placed on the upper part of exterior column, the structure needs to be stabilized through Tai Liang structure or extra structural member. The second type is the case where ‘Line of Separated Planes’ is functioned in relation to other structural member inside architecture rather than exterior column. In this occasion, it was identified that inner structure is not associated with the form of roof. Such types indicated that dual-plan structure, which is identified as a distinct feature of ‘Archaeological Site of Building with Inner Wall’, are interrelated with upper structure. It maintained the necessity of embracing the concept of architectural structure, that main structure and adjunct structure are separated, as Baekje architectural form, and suggested the prototype on composition method and proper materials. Section Ⅴis the conclusion part, organiz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detailed conclusion was described in the section Ⅲ and Ⅳ, so that in this section the general result, derived through hypothetical-deductive method of architectural history study(proposed in section Ⅱ), was depicted. The result implies that deducive history reasoning is needed so as to continuously complement alternate models of Baekje architectural form suggested in this study. The prototype drawn in this process was represented by design method, confirming that the interpreted result of correlationship between ‘Separate Planes’ and ‘​Chuan-Dou Framing System’ is accepted as a historical context and it is able to be used for the ground to infer Baekje architectural form. 본 연구는 백제 건축 형식과 관련하여, 건축 형식을 복원할 것을 전제로 하는 기본 모델의 시의성과 이를 지지하는 연구의 필요성을 밝혔다. 또한 이를 구체화할 목적으로 백제 건축 형식 요소로 추정되는 꺾음 지붕과 천두식 구조의 상관성을 벽주식 건물지와 내벽 건물지로 요약되는 백제의 고고학적 특징을 관계하여 해석하고, 이를 통하여 기본 모델 방식으로 재현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였다. Ⅰ.에서는 연구의 목적을 추동하는 배경으로써, 역사문화환경 관련 법률 및 제도, 세계유산 등재의 화두를 제시하였다. 또한 이런 현재의 상황에서 백제 건축 형식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마련되어야 할 필요성을 역사적·문화적·경제적 측면에서 주장하였다. 이에 이어서, 연구의 목적에서 밝히는 문제의식과 이에 대한 주장을 뒷받침할 근거를 마련하고 자료를 정리하는 방법론을 기술하였다. 이는 ‘꺾음 지붕과 천두식 지붕은 상관성이 있다’라는 가설 명제를 수립하고, 이 가설의 정합성 검토를 위한 각각의 판단 명제를 제안·증명하였다. 서론에서 밝히는 연구의 시의성 및 백제 건축 형식에 대한 건축사적 접근은 분리된 것이 아니며, 가설 연역 방법에 따라 하나의 인과관계를 성립하였다. 이는 공리적(귀납론적)으로 추론되는 백제 건축의 양상을 연역적 추리를 통하여 증명하였다. 다만, 연역적 역사 연구가 갖는 한계는 백제 건축의 표상을 발굴해야하는 한시적 가치에 따라 정당성을 부여하였다. Ⅱ.에서는 백제 건축 형식을 표상으로 만들기 위하여 그것을 해석하고 재현해야하는 시대적 당위성에 대하여 밝혔다. 본 연구는 그 연구의 핵심 대상을 백제 건축 형식 중 실체로 남아있지 않은 꺾음 지붕과 천두식 구조의 상관성을 살피는 것으로 삼고 있다. 이는 실존적인 맥락 밖에 있는 대상을 건축이라는 도구를 통하여 현재에 회귀시키는 방법론을 모색하는 것인데, 이 방법론은 현재 국내의 역사문화환경에 적용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그러나 역사문화환경이 의미적 범위를 넓혀가고 있으며 이에 대한 지속적인 시대적 요구가 있다. 이는 백제권역을 중심으로 하는 백제역사유적지구 등재 및 고도지구 지정 등의 화두에서도 발견할 수 있는 시류였다. 특히 「한옥 건축 기준」의 고시는 중앙 정부 및 지자체 단위에서 한옥 및 한옥건축양식으로 정의되는 전통 건축 맥락 수용의 기제로써 이해하였고, 이를 작동시키는 의의를 설명하였다. 이런 목적성을 바탕으로 백제 건축 형식을 건축사적 연구 차원과 현실 요구에 부응하는 차원에서 모두 해석과 재현을 진행할 시의성을 피력하였다. Ⅲ.에서는 백제 건축 형식 중 꺾음 지붕과 천두식 구조에 대한 이론적 정합성을 판단하였다. 꺾음 지붕에 대해서는 선행 연구에서 ‘꺾음 팔작 지붕’ 또는 ‘철즙’, ‘반우’ 등의 이름으로 동아시아 권역에서 연구가 이미 진행된 사항을 이해하였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 성과는 고고학적 발굴 성과를 중심으로 이루어졌고, 당시의 축조술에 대한 접근이 부족하였던 점을 인지하였다. 따라서 이를 보완할 목적으로 천두식 구조에 꺾음 지붕을 인위적으로 접합하는 가설 명제를 수립하고, 이에 대한 정합성의 정도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 과정에서 백제 산수문전·옥충주자·일본 나라시대에서 가마쿠라시대까지의 건축술 변화상·천두식 구조 및 토목혼합식구조·청동기에서 삼국시대까지의 벽주식 건물지와 내벽 건물지 평면 구성법 등을 관계 지어 분석하였다. 그 분석의 결과로써 Ⅲ.의 결론은 크게 다섯 가지로 요약되었다. 첫째는 기존에 국내에서 사용하던 ‘꺾음 팔작 지붕’이라는 용어를 확장하여 ‘꺾음 지붕’으로 쓸 필요가 있다. 둘째는 꺾음 지붕과 천두식 구조는 필연적으로 공존해야할 이유는 없지만, 백제시기 관련 유구에서 공통적으로 보이는 1호 내 다실구조와 천두식 구조는 친연성이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는 점이다. 셋째, 백제 건축의 한 형식으로서, 주구조와 부속구조가 분리된 이중구조의 평면이 존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넷째는 꺾음 지붕은 지붕의 보토가 없었을 가능성이 크며 지붕의 마감이 반드시 기와가 아닐 수도 있다는 점이었다. 다섯째는 꺾음 지붕은 건축의 규모와 용도에 따라서 꺾음 지붕 유형은 세분화될 여지를 갖는다. 이와 같은 결론에 따라서 꺾음 지붕은 천두식 구조와 상관성을 보이지만, 경우에 따라서 지붕 구조와 형태의 확장성을 갖는 형식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Ⅳ.에서는 Ⅲ.의 내용을 정리하여 기본 모델로 제안하였다. 이 제안에서는 꺾음 지붕에서 지붕과 지붕의 면이 갈라지거나 또는 연결되는 부분을 철선이라고 명명하였다. 꺾음 지붕의 지붕요소와 내부 구조체의 관계성을 중심으로 기본 모델을 유형화하였다. 철선에 따른 유형분류는 두 가지이다. 첫째, 철선이 외진주 상부에 위치할 경우는 대량식 구조 또는 별도의 부재를 통하여 구조를 안정화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둘째 유형은 철선이 외진주보다 건축 내부에서 타 부재와 관계할 경우이며, 이 경우 내부 구조는 지붕 형식과 크게 관련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다만, 이와 같은 유형은 내벽 건물지의 특징으로 파악한 이중 평면 구조가 상부 구조와 상호 관계할 것으로 파악하였다. 이에 대한 한 형식으로서 주구조와 부속구조가 분리되는 건축 구조의 개념을 백제 건축 형식으로 수용할 필요성을 피력하였다. 그리고 이에 따른 구성 방식과 적합 재료에 대하여 기본 모델을 제안하였다. Ⅴ.는 결론으로, 앞선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였다. 연구의 구체적인 결론은 앞선 Ⅲ. 및 Ⅳ.에서 서술하였으므로, Ⅴ.는 Ⅱ.에서 제안한 건축사 연구의 가설 연역 방법의 과정을 통한 일반적 결과를 기술하였다. 그 내용은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백제 건축 형식의 대안 모델을 지속적으로 보완하는 연역적 역사 추론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또한 이 과정에서 도출된 기본 모델은 설계적 방법을 통하여 재현하고, 꺾음 지붕 및 천두식 구조의 상관성 해석 결과를 역사적 맥락으로 수용하여 형태를 유추하는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음을 밝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