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와인 대중화를 위한 안동와인축제 프로그램 개발

        김종례 안동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와인을 찾고 즐기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국산와인에 대한 관심이 높다. 안동에서 전해지는 고조리서 『수운잡방』, 『음식디미방』, 『온주법』에 320여 가지의 음식 가운데 술빚는 방법이 165종류로 절반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수운잡방』과 『온주법』에서는 우리나라 최초로 포도주 만드는 법이 기록으로 남아 있다. 이 사실은 조선시대에 이미 안동지역에서 현대와 조금 다른 포도주를 담그고 즐겼음을 의미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과거와 현재를 이어 와인 생산지인 안동지역을 대상으로 와인축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와인축제를 개최함으로써 와인의 대중화와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범위는 와인축제의 현황분석을 통해 안동와인축제를 실현하기 위한 중요 요소인 장소와 주제, 시기와 기간, 운영과 홍보, 프로그램(전시, 경연, 세미나, 공연, 체험) 개발을 중심으로 설정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기존의 문헌연구를 참고해 연구배경과 이론을 정립하고, 와인 업계 전문가와 안동 설월당 김도은종부를 인터뷰하여 와인축제가 와인 대중화에 미치는 영향과 ‘264청포도와인’과 종가음식 페어링에 대한 자문을 구하였다. 또한 ‘264청포도와인’ 산지를 직접 방문해 와인에 대한 실질적인 자료를 수집하였다. 와인축제를 안동에서 개최해야 하는지의 당위성과 안동이라는 장소의 특수성을 바탕으로 축제의 주제를 ‘만남’으로 정하고 만남은 다시 ‘와인과 고택의 만남’, ‘와인과 문학의 만남’, ‘와인과 음악의 만남’, ‘와인과 음식의 만남’의 4가지 형태로 차별화하였다. 4가지 만남의 주제에 맞게 안동와인축제의 프로그램을 구체화, 세분화, 다양화하고, 연계 자원을 이용한 체류형 축제로 이어질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였다. 축제의 프로그램은 크게 ‘전시, 경연, 와인/문학세미나, 공연, 체험과 연계프로그램’으로 크게 나누었다. 와인의 대중화를 위한 와인축제라는 목적에 부합하며, 가족 단위의 관광객 포함, 전 세대가 함께 즐길 수 있는 세부적인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였다. 전시는 와인과 음식, 문학 세 분야로 나누어 와인과 와인용품, 전통종가음식 전시와 시화전등을 하위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였다. 경연은 ‘『수운잡방』과 『온주법』으로 만나는 포도주’, ‘청포도와인어워드’, ‘청포도와인소믈리에대회’, ‘청포도백일장’으로 총 4개 부분으로 구성하였다. 세미나는 와인과 문학 두 분야로 일반인과 전문가를 대상으로 하위 프로그램을 선정하였다. 공연은 총 8개의 꼭지로 음악, 문학, 마술, 무용, 향음주례시연 등 다양한 분야의 공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체험은 와인축제에서 관객을 끌어들이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만큼 상시와 예약프로그램으로 구성해 관람객의 다양한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계 프로그램은 ‘숙박형패키지’와 ‘와이너리체험’, ‘기존축제와 연계’ 세 가지로 분류하였다. 전통과 문화의 보고인 안동 지역의 특성을 고려하고, 지역 정체성을 드러내는 안동와인축제를 통해 와인 대중화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구상하였지만 보다 많은 지역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아니다 보니 연구의 한계가 있다. 향후 보다 넓은 범위에서 와인 대중화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축제가 개최될 수 있도록 후속 연구가 진행되어 더욱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로 이어지길 기대한다.

      • Dietary royal jelly on the skin hydration and anti-oxidation in middle aged adults subjects

        김종례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8639

        Abstract Topical application of royal jelly (RJ), a yellowish material secreted from the hypopharyngeal and mandibular glands of worker honeybees, has been reported to have beneficial effects on dry skin protection (decreased epidermal hydration). To determine whether dietary supplementation of RJ improves epidermal hydration level and total ceramide (Cer), a major lipid maintaining the epidermal barrier, for dry skin protection, 47 middle-aged subjects (mean age, 41.3 ± 6.2 years) with dry skin were randomly assigned into 3 groups: the RJ1 (n=17) and RJ2 (n=16) groups received capsules containing 520 mg/day of either freeze-dried RJ (RJ1) or RJ that was pretreated with proteolytic enzymes, thereby removing allergy-inducing protein (RJ2), for 10 weeks. The control group (placebo, n=14) only received maltodextrin-containing capsules for 10 weeks. In contrast to no alteration between 0 and 10 weeks in the placebo group (p=0.521), epidermal hydration in the RJ1 (p=0.021), and RJ2 groups (p=0.000),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10 weeks; greater improvement was found in the RJ2 group than in the RJ1 group. Epidermal level of Cer in the RJ1 group (p=0.000),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10 weeks; however, there was no alteration in the placebo(p=0.521), and RJ2 groups (p=0.489). Levels of other lipids in the epidermal barrier, such as free fatty acid and cholesterol, were not altered among all groups. Dietary supplementation of RJ1 improves epidermal hydration, with increased levels of Cer in the epidermis of the middle-aged subjects. Key words: royal jelly(RJ), ceramide, hydration, proteolytic enzymes, epidermis   Abstract Royal jelly (RJ) is a substance secreted by honeybees used as a nutrient for larvae. It is rich in functional substances that are beneficial to the human body and has been reported to show excellent antioxidant and anti-aging effect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RJ ingested as a dietary supplement on the skin, including antioxidant activity, 47 middle-aged subjects (mean age: 41.3 ± 6.2 year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RJ1 (n = 17), RJ2 (n = 16), and placebo (n = 14) groups. The RJ1 group was administered 520 mg/day of freeze-dried RJ; the RJ2 group was administered the same amount of enzyme-treated, freeze-dried RJ from which allergenic proteins were removed; and the placebo group was administered the same number of maltodextrin-containing capsules. The duration of oral administration was 10 weeks for all groups. After 10 weeks, plasma vitamin C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RJ2 group (p=0.022) compared with that in the other groups (p=0.009). Conversely,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in the levels of plasma vitamin E, plasma antioxidant-related superoxide dismutase (SOD), catalase, glutathione peroxidase (GSH-Px) enzymes, and lipid peroxide (malondialdehyde: MDA) and antioxidant activity on the skin, as measured by an autofluorescence (AF) device (Ecoskin Fluorescence Video Dermascope). Intake of enzyme-treated, freeze-dried RJ with allergenic proteins removed (RJ2) for 10 weeks increased the plasma vitamin C concentration, which is expect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skin. Key words: Royal jelly (RJ), enzyme-treated, antioxidant, anti-aging, vitamin C  

      • 중학교 1학년 영어 교과서 분석

        김종례 광운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valuate the First Year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through an analysis of task-oriented listening and speaking activities. Some main features of this thesis are as follows. First, my study investigated listening and speaking tasks based on Brown(2001)'s assertion which lays greater emphasis on fluency than on accuracy. Second, this thesis analyzed listening and speaking tasks according to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theory which regards language functions, learners' interactions and social circumstances as important ingredients. Third, this study attempts to perform a thorough investigation of the First Year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by analyzing the listening and speaking tasks presented in the textbook and by evaluating them based o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Guideline. This research is organized as follows. Chapter 1 presents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study and states how this thesis will proceed and what its limitations are. Chapter 2 reviews some theoretical backgrounds relevant to this study, focusing on task-based approaches, especially task-based listening activities and speaking task activities. Chapter 3 presented how the First Year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will be analyzed within the task-based learning theories. In Chapter 4, I provided statistical figures and their consequences regarding the internal composition of the textbooks and . Besides, this study analyzed the textbooks according to Peterson(1991)'s listening task, Paulston & Bruder(1976) and Nunan(1989), Prbhu(1987)'s speaking tasks, and the results are evaluated based on the Dubin and Olshtain(1986)'s communicative evaluation's measure. What follows are some of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First, in listening activity task, bottom-up processing and top-down processing occupy a balanced portion in the text. Second, there were few listening tasks for perception, and most listening activities were for comprehension. Third, in the area of speaking tasks, there were more activities of practical use than those of drill. Fourth, among the language functions, exchange of factual information was dominant part of the text. Fifth, according to the Dubin and Olshtain(1986)'s communicative evaluation's measure, response to information occupied the greatest portion. Sixth, a statistical analysi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of the English textbooks among students showed that the most students are interested in listening of English song and that they have interests in social activities and emotional expressio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tasks to build tasks in those areas to provide motivation to students. Furthermore, most students showed strong interest in realistic and practical matters such as future jobs, food and diet, including celebrities such as entertainers, sports stars. Besides, post-elementary school students are more concerned about English marks at school than English itself. Their interest in English scores, however, should be directed toward a authentic language by denouncing grammatical correctness and any formalism, and, instead, by introducing teaching materials that will provide motivation to students in an interesting and diverse way that will facilitate interactional listening and speaking tasks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and among peer learners. 본 연구는 중학교 1학년 영어교과서 듣기·말하기 중심의 과업 분석을 통해서 의사소통중심의 교과서 분석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졌는지 알아보고 새롭게 듣기·말하기 과업 중심의 교과서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본 논문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Brown(2001)이 유창성과 정확성을 의사소통적 기법에 깔려있는 상호보완적인 것으로 보고 유창성을 정확성보다 더 중요하게 여기는 것에 기초하였다. 둘째, 언어의 기능을 중시하고, 사회적 상황, 맥락을 강조하며 영어학습자들의 상호작용을 중시하는 의사소통언어교수법에 기초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셋째, 듣기과업과 말하기과업의 특성 및 종류, 제7차 교육과정의 특징의 제시를 통해 제7차 교육과정에 있는 중학교 영어교과서 과업에 대한 이해와 정리, 앞으로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제시하고 연구의 구성과 제한점에 대해서 언급한다. 2장에서는 의사소통능력, 제7차 중등 영어과 교육과정의 특징, 과업 중심 접근법, 과업 중심 청취 활동, 말하기 과업 활동에 대해서 이론적 배경을 제시하였다. 3장에서는 중학교 1학년 영어교과서 분석설정 및 분석방법에 대해서 제시하였다. 또한 4장에서 교과서의 구성순서와 단원 수를 알아보고, Peterson(1991)의 듣기활동 과업 분류 분석, Ur(1984)과 Richards(1983)의 듣기 과업 분류에 기초한 교과서 분석, Paulston & Bruder(1976)와 Nunan(1989), Prbhu(1987)의 말하기 과업 분류에 기초한 교과서 분석, 의사 소통 기능을 토대로 말하기 부분 화제를 분석, Dubin과 Olshtain(1986)의 의사소통 평가 척도에 따른 교과서 분석을 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서는 듣기·말하기 과업에 기초한 과업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도와 영어공부형태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듣기 활동 과업에서 상향식과정과 하향식 과정이 균형있는 비율로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둘째, 지각청취는 거의 존재하지 않고 대부분의 청취과업은 이해청취였다. 셋째, 말하기 과업 중 활용활동이 연습활동보다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넷째, 말하기 부분 기능 중 중 사실적 정보 교환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다섯째, Dubin과 Olshtain(1986)의 의사소통 평가 척도에 따른 교과서 분석 결과 정보에 대한 반응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여섯째, 설문조사 결과 학생들의 과업활동에서 학생들은 영어노래 듣기에서 가장 높은 흥미도를 보였고 영어말하기 화제 중 친교활동과 감정표현하기에서 가장 많은 흥미를 보였다. 따라서 듣기·말하기 화제부분에 있어서 학생들의 흥미를 고려한 화제를 더하는 것이 필요하며, 각 과마다 다른 형식의 상호작용과 관련된 의사소통 중심의 과업들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학생들은 연예인 또는 운동선수등 유명인, 장래 직업들에 대한 소개, 음식과 다이어트 관련소재, 중학생들의 고민거리 등 학생들의 실제적인 관심분야들의 내용들을 학생들이 영어교과서의 소재로 많이 선호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설문조사 결과 초등학교 이후 학생들은 영어 자체에 대한 흥미보다도 성적에 관심이 커졌다. 학생들의 성적에 대한 관심이 영어 자체에 대한 흥미로 발전해갈 수 있도록 영어표현의 정확성에 대한 집착이나 형식주의를 버리고, 학생들의 동기 유발 및 흥미도를 높이는 다양한 소재나 상황의 도입을 통하여 교사-학생간, 학생-학생간 상호작용을 자연스럽게 유발할 수 있는 듣기·말하기 과업들의 제시가 필요하다.

      • 南北韓 人間敎育의 比較 硏究 : 初等 敎育을 中心으로

        김종례 檀國大學校 1993 국내석사

        RANK : 248639

        이상과 같이 본 硏究는 南北韓의 초등 교육에 있어서 각각 어떠한 인간을 追求하고 있으며 그 추구하고 있는 인간을 기르기 위해서 학교 교육에서 어떻게 노력하고 있는지 敎育 理念과 目的, 人間觀, 인간교육의 실태등을 비교 분석하여 보았다. 한국의 敎育目的은 학습과 일상 생활에 필요한 기본 능력을 기르고 바른 생활 태도를 형성하여, 전인적인 성장을 위한 밑바탕을 기르는데 있다. 그 細部的인 目標는 (1) 保健과 安全에 대한 기초 지식과 기능을 습득시키고, 건강한 신체를 가지게 한다. (2) 아름다움을 느끼고 가꿀 줄 알며, 이를 창의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기본 능력을 가지게 한다. (3) 일상 생활에 필요한 기본적인 言語 能力과 數理的 思考力을 기른다. (4) 자연과 사회의 이해를 위한 初步的인 知識을 갖게 하고, 지적으로 탐구할 수 있는 기본 능력을 가지게 한다. (5) 기초적인 생활 기능과 勤儉 節約하는 태도를 길러. 자립에 필요한 기본적인 자질을 가지게 한다. (6) 일상 생활에 필요한 기본적인 禮節과 秩序를 지키고, 이웃과 나라를 사랑하는 마음씨를 갖는 인간을 기르는데 비해 北韓은 共産政權 수립이래 혁명 수단으로서의 교육, 정치 목적을 위한 도구로서 「후대들을 堅決한 혁명가로 知 . 德 . 體를 갖춘 공산주의적 새 인간」을 형성하려는데 있고 그 基本方向은 공산주의 이념 아래 전인민의 「共産主義化」, 「革命化」, 「勞動 階膽化」를 교육의 목표로 하고 김일성 유일사상에 입각한 사상교육 강화, 勞勳과 敎育의 結合, 철저한 조직속에서의 교육 투쟁적인 방법에 의한 革命性 强調 등으로 공산주의적 새 인간을 형성하려는 것이다. 그들이 바라는 이상적인 「공산주의적 새 인간」 이란 唯物史觀에 입각해서「하나는 全體를 위하여, 全體는 하나를 위하여」라는 口號 밑에 당과 수령을 위해서는 자기자신을 버리고 당의 지시에 따라 盲目的으로 행동하는 사람을 기르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이 북한의 학교교육은 철저한 思想敎育으로 공산주의적 새 인간으로 형성하고 공산당을 盲信케 하며 특히 김일성에 대한 絶對 服從을 강요하여 충성심을 심어 주는데 목적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우리 한국의 교육은 인간이 지니는 圖有의 發展 可龍性을 개발하고 스스로 만족스러운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며 能力을 培養하여 각자의 고유한 방법에 따라 국가와 사회, 나아가 세계 평화와 繁榮에 貢獻할 수 있는 인간의 육성을 이상으로 하는 인간 중심적, 민주주의적, 미래지향적인 인간관에 基礎를 두고 학교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즉 학교 교육은 人格陶治의 修練場으로 공동체로서의 응집력을 키워 더욱 행복하게 사는 방법을 배우게 하며 일상생활에서 여러가지 문제를 自力으로 해결함으로서 건전하게 성장 발달하도록 돕고 있다. 그리고, 모든 학교행사에 자발적이고 협동적인 참여아래 자기 표현의 기회를 경험시키어 민주 시민으로서의 자질과 능력을 기르도록 한다. 學級의 현장에서 급우들과 상호작용에 의해 학습하고 성장해가도록 하고 있는데 비해 北韓의 학교 교육은 개인을 희생하여 국가와 사회를 위해 일하는 인간으로 만들고 있다. 그리고, 자발적인 참가에 의한 활동이 아니라, 강제적으로 참여하여 공산주의 사회가 필요로 하는 공산주의적 인간으로 鑄造한다. 공산주의 혁명가로서 계급의식을 고취시켜 자본주의를 증오하고 당과 김일성에 무조건 충성하는 인간을 조형하는데 결정적 역할을 하도록 하고 있다. 또 날조된 김일성의 동상등 여러가지 施設物을 해놓고 偶像崇拜를 강요하고 있다. 한국의 인간교육은 친해, 전통과 민주주의의 인간교육의 조화를 실현시키기 위하여 民主的인 人閭像을 추구하고 있다. 둘째, 계성을 존중하는 인간중심적인 교육이다. 셋째, 극도로 변화해 가는 미래 사회에 능동적으로 대처해 나갈 자율적 생활능력이 있는 未來志向的인 敎育이다. 이에 비해 북한의 인간교육은 첫째, 전통을 말살하고 공산주의 정치이념을 실현하기 위한 공산주의적 인간상을 추구하고 있다. 둘째, 노동을 사랑하고 이에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個人主義, 낡은 사상. 자본주의 사상을 철저히 뿌리뽑아 김일성 唯一思想으로 무장된 사람, 자기 개인의 이익을 돌보지 않고 오직 사회전체를 위해서만 일하는 사람, 공산주의의 승리를 확신하고 어떤 역경 속에서도 혁명적 樂觀主義틀 갖는 공산주의적 새 인간의 육성에 있다. 셋째, 정치 目的 達咸을 위한 수단과 도구로서의 인간교육이다. 넷째, 金日咸體制 확립을 위한 政治敎育 政策으로 일관하고 있다. 이상에서 보는 바와 같이 南北韓 인간교육은 근본적으로 다르다. 그러나 우리의 현실은 다소의 결점에도 불구하고 수정과 경험을 동하여 매우 인도적인 民主市民으로 기르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는데 그 특징과 정신이 있다고 하겠다.

      • 미혼 여성노인의 독신 경험연구

        김종례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1940-1950년대 출생한 미혼 여성노인의 독신경험을 통해 한평생 어떠한 삶을 살아오고 있으며, 노년의 삶에 어떠한 의미를 부여하고 있는가를 연구하여 결혼하지 않은 여성노인들의 삶을 이해하고 그들에게 필요한 사회복지서비스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60-70세의 미혼 독신여성노인 중에서 결혼경험과, 자녀 출산의 경험이 없는 7명을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2년 5월부터 10월까지 약 6개월에 걸쳐 심층면접으로 진행되었으며, 1회 면담시간은 약 2시간정도 소요되었다. 자료 분석 방법은 지오르기의 분석방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 참여자들이 미혼으로 살게 된 이유는 결혼이 자신의 꿈을 이루어 가는데 방해가 되고,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여성상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가 결혼에 대한 무관심을 가져왔고, 어려웠던 시대적 환경적 문제가 가족을 돌보는 가장의 역할이 삶으로 이어지면서 혼인할 시기와 좋은 배필을 만나는 환경으로부터 멀어졌다. 이러한 미혼 요인들은 자발적/비자발적으로 구분하기보다는 삶의 과정에서 오는 현상으로 볼 수밖에 없다. 특히 자발성이 강한 그들은 가정보다는 자신의 삶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결혼은 ‘필수’가 아닌 ‘선택’이었다. 그뿐만 아니라 여성들이 이루고 싶은 꿈을 실현하는데 출산과 양육이 장애가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혼여성들의 꿈을 실현하는데 디딤돌이 될 수 있는 정책이 세워져야 할 필요가 있다. 둘째, 미혼 여성의 독신경험은 “부모 모시고 살기”, “미혼 여성에 대한 편견”, “미혼 여성이 받은 불이익”, “불편한 독신”, “결혼에 대한 인식”으로, 미혼 여성노인의 삶의 경험은 “혈혈단신”, “지난 삶에 대한 후회와 미래에 대한 불안”, “관계로부터 자유와 유지”, “경력과 미혼에 대한 자부심”, “짐으로 돌아온 노부모”, “죽음 준비하기”로 나타났다. 이러한 삶의 경험은 미혼 여성노인들의 긍정적인 생각이 지속적으로 이어지기 보다는 부정적인 생각과 외로움을 염려하는 그들의 문제를 해결해 주어 홀로 맞이하는 노년의 삶의 질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사회복지 실천적 접근이 필요하다. 셋째, 미혼 여성노인이 생각하는 미혼에 대한 의미는 “책임감 없는 자유로움”, “선택이 아닌 결과”, “하나가 둘처럼”, “삶의 형식 중 하나”로 나타났다. 이는 미혼 여성으로서 당당히 인정받고 싶은 마음을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이에 노년기 미혼 여성들에게 전문적인 경험과 지식이 지속적으로 사회에 활용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야 한다. 넷째, 미혼 여성노인으로 입양하지 못한 것을 후회하면서 미혼을 결심한 여성들에게 입양을 권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양육할 수 있는 조건을 갖춘 미혼자도 입양할 수 있도록 입양법이 완화되어 국내입양을 높이고, 독거노인들의 사회문제와 저출산 정책 그리고 입양에 대한 새로운 방안을 제시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는 임의적으로 선택한 소수의 미혼독신여성들이 도시에 집중되고, 고학력과 전문 직업을 가지고 있어서 모든 미혼독신여성에게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