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차별화 서비스에서 per-hop behaviors의 성능분석

        김정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에서 Quality of Service (QoS)를 제공하기 위한 방안 중에서 현재의 인터넷의 구조를 크게 변화시키지 않으면서도 확장성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별화 서비스 방식에서의 Per-Hop Behaviors(PHB)에 관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수행을 위하여 인터넷의 QoS 제공 모델을 분석하고, 기존의 QoS 제공 방식을 조사하였다. 이를 토대로 차별화 서비스 구조와 차별화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방식을 분석하여, 차별화 서비스에서 Per-Hop Behaviors를 통해 서비스의 차별화가 가능하고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네트워크 모델을 구성하고 이를 성능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성한 방식은 토큰 버킷을 사용하여 미터링과 마킹을 하고 RED와 RIO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쉐이핑과 드로핑을 수행한다. Premium marker는 토큰 버킷을 Premium 흐름의 최대 전송률로 설정하였고 Assured marker는 Assured 흐름의 목적 전송률로 설정하여 구현하였으며 best-effort marker는 단지 표시만을 하는 메커니즘이다. Premium 패킷은 토큰의 사용 여부에 따라서 전송될 것이고 토큰이 사용 가능하지 않으면 폐기된다. Assured 패킷은 토큰의 사용 여부에 따라서 사용 가능한 경우에는 In-profile로 표시되고 사용 가능하지 않을 경우에는 즉시 폐기되지는 않지만 best-effort 패킷으로 강등됨으로써 다른 best-effort 패킷들과 같이 Out-of-profile로 표시되어 쉐이핑과 드로핑을 거치게 된다. RIO(Random Early Detection(RED)[13] with In and Out) 관리 메커니즘은 In-profile 패킷 관리를 위한 RED와 Out-of-profile 패킷 관리를 위한 RED를 조합하여, 만약 패킷이 IN 패킷이라면 라우터는 단지 IN 패킷들을 위한 큐의 평균 크기(avg_(q)-IN)를 계산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모든 패킷들을 위한 큐의 평균크기(avg_(q)-OUT)를 계산함으로써 Out-of-profile 패킷은 In-profile 패킷보다 높은 확률로 폐기되며, 차별화된 폐기를 거친 패킷들은 낮은 우선순위 큐로 관리된다. 트래픽 조절을 거쳐서 Premium 패킷들은 높은 우선순위 큐에 할당되고 Assured와 best-effort 패킷은 낮은 우선순위 큐에 할당되며, 우선순위 패킷 스케줄링에 의해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Premium 패킷들은 항상 Assured와 best-effort 패킷보다 먼저 보내질 수 있다. 성능분석을 위하여 버클리 대학의 네트워크 시뮬레이터 v2.0(NS-2)를 이용하여 차별화 서비스 네트워크를 모델링하였고 사용된 방식의 성능을 분석하였다. 성능분석 결과에 따르면, 전체적으로 traffic이 증가할 때 EF traffic은 트래픽의 증가와 관계없이 할당된 대역폭만큼 전송되었다. AF traffic은 네트워크에 부하에 따라 유동적으로 네트워크 자원을 사용하지만 항상 최소 대역폭은 보장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토큰 버킷 방식의 미터링, 마킹과 RIO 알고리즘을 사용한 쉐이핑, 드로핑, 적절한 패킷 스케줄링을 통하여 서비스의 차별화와 차별화를 통한 각 PHB의 특성을 만족하는 Differentiate Service(DiffServ)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In this thesis, per-hop behaviors (PHB) in the differentiated service (DiffServ) for providing Quality of Service (QoS) in the Internet is investigated, which does not modify current Internet structure and provide scalable service. In the first place, QoS provision model in the Internet, and on-going QoS provision mechanisms have been examined. Based on that, we analyse the structure of the differentiated service and the method for implementation of differentiated service, and examine the performance analysis of the network model which is comprised for the purpose of service differentiation and enhancement of efficiency through per-hop behaviors. The comprised model meters and marks a packet with token bucket, and shapes and drops a packet with RED, RIO algorithm. A premium marker is a token bucket which is configured with the peak rate of the premium flow and an assured marker is also a token bucket which is configured with the target rate of the Assured flow. A best-effort marker, however, is only a marking mechanism without a bucket regulator. As soon as a premium packet sees a token present, it is forwarded. If no token is available, the premium packet is dropped. When an assured packet sees a token present, it is marked as In-profile. If no token is available, it is demoted to best-effort packets. And best-effort packets are marked as Out-of-profile and sent to the other mechanisms. RIO (Random Early Detection (RED) with In and Out) algorithm can be viewed as a combination of two REDs for In-profile packets and for Out-of-profile packets. If it is an IN packet, the router only calculates the average queue size for the IN packets (avg_(q)-IN). Otherwise, the algorithm calculates the average queue size taking into account all packet s(avg_(q)-OUT ), regardless of their markings. The probability of discarding an IN packet is higher than the probability of an OUT packet and differentiated packets is sent to a two-level priority queue mechanism. The premium packets are assigned to the high-priority queue, while the assured and the best-effort packets are assigned to the low-priority queue. The high-priority queue has a simple priority over the low-priority queue. The differentiated service network is examined by using Berkely network simulator v2.0(NS-2). The results show that by converting the traffic load, EP traffic is forwarded with allocated bandwidth regardless of increasing traffic load, and AT traffic dynamically uses network resources but guarantees the minimal target rate. The various strategies proved that metering and marking with token bucket , shaping and dropping with RIO mechanism and appropriate packet scheduling enable the service differentiation and differentiated service network which satisfy each PHB's traffic features.

      • 감시용 비디오 카메라 영상에서의 신경망을 사용한 그림자 제거

        김정대 대구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video surveillance and monitoring(VSAM) extracting foreground by detecting moving regions is the most fundamental step. The foreground extracted includes not only objects in motion but also their shadows causing errors in following video image processing steps. In this thesis, a technique is presented to determine the shadow pixels of moving objects in the foreground image of a VSAM camera. Compared with existing techniques where unified criteria are used to all pixels, the proposed technique determines shadow pixels using a cubic polynomial that approximates the effect of shadowing to each pixel depending on its brightness in the background image. The use of artificial neural network is also considered because, in existing techniques, determining thresholds are difficult and obtained thresholds are difficult to be claimed optimal. A neural network can provide near optimal determination by learning.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proposed techniques are found in real experiments. 비디오에 의한 감시 및 관측(VSAM;Video Surveillance And Monitoring)에서 동적 영역의 검출에 의한 전경의 추출은 가장 기본이 되는 작업이다. 그런데 추출된 전경에는 동적인 물체뿐 아니라 물체의 그림자도 포함되게 되며, 이는 후행하는 비디오 영상의 처리 작업에서 오류를 발생시키는 요인이 된다.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VSAM 카메라 영상의 전경 내 그림자 화소의 판정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은 모든 화소에 일률적인 판정 기준을 적용하는 기존의 기법과는 달리, 화소의 배경 밝기에 따라 그림자에 의한 영향이 달라지는 사실을 확인하고, 이를 3차 곡선에 의하여 근사화하여 그림자 화소 판정에 이용한다. 또 기존 기법의 경우 임계치를 선택하기 어렵다. 또한 선택된 임계치도 최적이라고 보장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므로, 인공신경망을 사용하여 최적에 근사한 판정법을 찾는다. 제안된 기법은 실제 실험에서 기존의 기법과 비교하여 장단점을 비교해 보였다.

      • 자동차용 브레이크 페달의 하중 분석과 내구 시험 조건에 관한 연구

        김정대 昌原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Automobile Pedal which is loaded by driver's input is transmitting load to throttle cable, braking device and clutch device and controlling automobile. For securing reliability of developing pedal, there are needed measuring working condition and applying equivalent damage. However, measuring working condition is requiring more investigation with various respect because of widely ranged drivers, road condition and environmental condition. Additionally, when equivalent damage is applied, there are not suitable for test condition if equivalent damage is too high level to apply or unused region. In this study, load history is measured with 95 percentile customer. Measured load history is converted to stress history of critical area of pedal by FEM. There are drawn up histogram of pedal cycles and load from stress history with Rain Flow Cycle Counting Method, calculated relative damage of extended stress history with Palmgren-Minor Rule. From the result, calculated total relative damage is applied to calculation method of test time and load. Calculation method for test condition is carried out with three methods which are enforcing with total stress by rain flow counting, representative load and blocked load. There are proposed accelerated durability test condition of pedal using with relative damage and acceleration factor.

      • 초등학교 영어교육의 실태와 효율적인 운영 방안 : 경기도 용인 지역을 중심으로

        김정대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등 영어교육과정 운영, 영어 교과 지도교사 운영 및 연수, 교재와 교구의 활용, 학생 측면에서의 학습 실태, 학부모 측면에서의 견해 등을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에서의 영어교육은 통합지도가 효과적이다. 현재의 교육과정에서는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을 위해 주로 듣기, 말하기를 중심으로 하고 있지만, 학년이 올라가면서 쓰기와 읽기를 가르치도록 언어의 4기능에 대한 교육이 분리되어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대부분의 초등학교 어린이들은 직, 간접적으로 이미 문자 등이 영어환경에 놓여 있을 뿐 아니라, 현장의 많은 교사들도 통합지도가 효과적이라는 의견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어교사의 능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연수방법의 개선을 통해 현직 연수를 최대한으로 활성화시켜야 한다. 현직교사의 연수 교육과정은 연수 수요자인 교사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세분화되어 교사가 필요할 때 언제든지 선택할 수 있는 연수과정과 체제가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현재 시행되고있는 일반 교사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의무적인 연수보다 영어 지도를 원하는 교사에게만 자율적이고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연수기회를 주어 연수와 현장지도가 실질적인 영어교육에 직접 관련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셋째, 교사는 교수-학습 활동에 있어서 보다 다양하고 주관적인 학습 방법을 활용해야 한다. 현재 초등학교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수업 방식은 모둠별 소집단 활동으로 수업활동이 학생 중심으로 달라지고 있다. 그러나 교수방법이 연령과 지역에 차이 없이 시청각 교수법과 전신 반응 교수법에 편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나, 보다 다양한 교수법의 적용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여러 교수법의 장단점과 효율성을 참작하여 학습목표에 맞는 방법을 활용하여야 한다. 넷째, 영어과 교재와 교구 제작의 선정에서 교육현장의 합리적인 의견을 수렴해야 한다. 교재는 교사와 학습자가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므로 주의 깊게 선정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영어 교재와 교수-학습 자료는 교사들에게 만족감을 주지 못하고 있으며 학습자 개인별 수준 차를 심화시키는 부정적인 견해도 나타났다. 다섯째, 영어를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개인차를 고려한 수준별 교재 구성과 지도를 통해 보다 자신감을 심어주어야 한다. 학생들은 영어 교과에 대해 재미는 있어 하나 학년이 올라 갈수록 내용에 대한 이해도가 감소하는 현상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대도시 인접 지역보다 농촌지역이,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심한 현상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이해력 감소현상은 학생들이 영어교과의 이해력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학교수업과는 별도로 보충 학습지에 의존하거나 과외 공부를 하게끔 만든다. 이처럼 사교육 의존도의 증가 현상은 초등학생 및 그 학부모에게 새로운 부담을 주게 되는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므로 교재의 수준별 내용 구성이 필요하며, 지역에 따라 교재 선택의 폭을 넓힐 필요가 있다. 여섯째, 학교에서의 영어교육의 질을 높여 학부모들의 인식을 바로 잡아야 한다, 학부모들은 영어 교육에 대해 관심도와 참여도는 높으나, 현재의 교과서 내용과 학교 영어 교육에 대해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설문조사에서 나타났다. 이로 인해 학부모들은 보충학습의 필요를 느끼고 있다. 벌써부터 대도시 인접 지역에서는 약 절반 가량의 학생들이 과외 공부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대도시 인접 지역(48.0%), 농촌 지역(12%)으로 나타나 지역에 따라 큰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이로 인하여 초등학교에서부터 개인차, 지역 차에 따른 또 하나의 교육 문제가 야기될 조짐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끝으로, 교육과정 내용의 보완, 교사의 능력 향상, 교재 및 시설 확충, 가정과 학교의 연계 교육 방법 모색 등을 통한 학교 영어 교육의 질을 높여 학부모들의 영어 지도에 대한 인식을 신뢰할 수 있게 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초등 영어교육과정 운영, 영어 교과 지도교사 운영 및 연수, 교재와 교구의 활용, 학생 측면에서의 학습 실태, 학부모 측면에서의 견해 등을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에서의 영어교육은 통합지도가 효과적이다. 현재의 교육과정에서는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을 위해 주로 듣기, 말하기를 중심으로 하고 있지만, 학년이 올라가면서 쓰기와 읽기를 가르치도록 언어의 4기능에 대한 교육이 분리되어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대부분의 초등학교 어린이들은 직, 간접적으로 이미 문자 등이 영어환경에 놓여 있을 뿐 아니라, 현장의 많은 교사들도 통합지도가 효과적이라는 의견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어교사의 능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연수방법의 개선을 통해 현직 연수를 최대한으로 활성화시켜야 한다. 현직교사의 연수 교육과정은 연수 수요자인 교사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세분화되어 교사가 필요할 때 언제든지 선택할 수 있는 연수과정과 체제가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현재 시행되고있는 일반 교사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의무적인 연수보다 영어 지도를 원하는 교사에게만 자율적이고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연수기회를 주어 연수와 현장지도가 실질적인 영어교육에 직접 관련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셋째, 교사는 교수-학습 활동에 있어서 보다 다양하고 주관적인 학습 방법을 활용해야 한다. 현재 초등학교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수업 방식은 모둠별 소집단 활동으로 수업활동이 학생 중심으로 달라지고 있다. 그러나 교수방법이 연령과 지역에 차이 없이 시청각 교수법과 전신 반응 교수법에 편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나, 보다 다양한 교수법의 적용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여러 교수법의 장단점과 효율성을 참작하여 학습목표에 맞는 방법을 활용하여야 한다. 넷째, 영어과 교재와 교구 제작의 선정에서 교육현장의 합리적인 의견을 수렴해야 한다. 교재는 교사와 학습자가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므로 주의 깊게 선정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영어 교재와 교수-학습 자료는 교사들에게 만족감을 주지 못하고 있으며 학습자 개인별 수준 차를 심화시키는 부정적인 견해도 나타났다. 다섯째, 영어를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개인차를 고려한 수준별 교재 구성과 지도를 통해 보다 자신감을 심어주어야 한다. 학생들은 영어 교과에 대해 재미는 있어 하나 학년이 올라 갈수록 내용에 대한 이해도가 감소하는 현상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대도시 인접 지역보다 농촌지역이,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심한 현상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이해력 감소현상은 학생들이 영어교과의 이해력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학교수업과는 별도로 보충 학습지에 의존하거나 과외 공부를 하게끔 만든다. 이처럼 사교육 의존도의 증가 현상은 초등학생 및 그 학부모에게 새로운 부담을 주게 되는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므로 교재의 수준별 내용 구성이 필요하며, 지역에 따라 교재 선택의 폭을 넓힐 필요가 있다. 여섯째, 학교에서의 영어교육의 질을 높여 학부모들의 인식을 바로 잡아야 한다, 학부모들은 영어 교육에 대해 관심도와 참여도는 높으나, 현재의 교과서 내용과 학교 영어 교육에 대해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설문조사에서 나타났다. 이로 인해 학부모들은 보충학습의 필요를 느끼고 있다. 벌써부터 대도시 인접 지역에서는 약 절반 가량의 학생들이 과외 공부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대도시 인접 지역(48.0%), 농촌 지역(12%)으로 나타나 지역에 따라 큰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이로 인하여 초등학교에서부터 개인차, 지역 차에 따른 또 하나의 교육 문제가 야기될 조짐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끝으로, 교육과정 내용의 보완, 교사의 능력 향상, 교재 및 시설 확충, 가정과 학교의 연계 교육 방법 모색 등을 통한 학교 영어 교육의 질을 높여 학부모들의 영어 지도에 대한 인식을 신뢰할 수 있게 하여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realities of the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and to suggest some effective teaching measures to improve its educational conditions. For this purpose,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glish teacher and parents were surveyed on such issues as elementary English curriculum, English teachers' eligibility and training, use of educational materials and tools, students' learning performance, parents' understanding of their children's English education, etc.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n integral teaching method will be effective for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Nevertheless, the current curriculum dictates that lower-grade students should learn primarily how to listen to and speak English, while higher-grade students learn how to read and write English. In other words, the four functions of a language are taught separately according to students' grades. Second, in order to help the elementary English teachers, they need to be given more opportunities to be retrained under an improved training system. In other words, the existing training programs have to be more diversified to meet teachers' varying needs, while allowing them to select a program they need at any time. Furthermore, the training system could be re-programmed to help the teachers solve their classroom problems by employing new pedagogic methods. In addition, those teachers who have completed the training course or English teachers must be given some incentives, and the current compulsory teachers' training program for all elementary teachers could be replaced by an autonomous one in which only voluntary applicants participate. Third, teachers are urged to use more diverse and individual pedagogic methods for their teaching activities. Since current teaching methods are not flexible according to age groups or regions, even though centered on small groups of students, teachers simply depend on both audio-video and physical response methods. Teachers are requested to consider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various teaching methods and thereby, establish their own effective teaching method meeting students' learning goal. Fourth, English lesson materials and tools are prepared to reflect the conditions of English class. In particular, since the educational materials are important in achieving the educational goal, it should be selected more carefully. Fifth, elementary students should be more encouraged to learn English with the aid of proper learning materials and effective guidance. Although younger students seem to be interested in learning English, they tend to lose interest in doing so as they grow older. Such a phenomenon is more peculiar in rural female students than in urban male students. All in all, the English education materials need to be re-organized depending on students' ability and regional conditions. Sixth, the quality of English education at school should be enhanced to meet parents' demand . It was found through the survey that parents are much interested in their children's English education, but that they are not satisfied in overall terms with the school English education program. Such a sentiment of parents' may be well proved by the fact that many (48.%) of elementary students in large cities attend private English programs. In contrast, only 12% of those living in rural areas take one or another private English lesson. Lastly, the quality of school English education should be improved through reinstatement of curriculum, improvement of teachers' capacity, reinforcement of materials and facilities, increased linkage between school and home education to meet parents' growing demand for their children's English education.

      • 군선교 환경 변화에 따른 군선교 전략에 관한 연구 : 대한민국 육군을 중심으로

        김정대 장로회신학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군선교 환경 변화에 따른 군선교 전략에 관한 연구 : 대한민국 육군을 중심으로 본 논문은 변화하는 군선교 환경에 어떻게 전략적으로 대응해야 할 것인지에 대하여 현대선교신학의 세 가지 주제, 곧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 '선교적 교회론', '통전적 선교'의 관점에서 연구한 것이다. 군선교 환경 변화에 따른 군선교 전략은 '하나님의 선교'의 관점에서는 '샬롬의 선교'가 되어야 하며, '선교적 교회론'의 관점에서는 '성육신적인 선교'가 되어야 하며, '통전적 선교'의 관점에서는 '전도와 섬김의 조화 있는 선교'가 되어야 한다. 주제어 군선교, 현대선교신학,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 선교적 교회론, 통전적 선교

      • BIM 사물 정보와 딥러닝 기술을 활용한 근접 촬영 사진의 실내 위치 파악

        김정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Among the various processes of apartment houses, a large amount of defect photographs are taken at construction sites, especially for the management of the finishing process where many defects occur. However, in order to extract defect information (defect location and defect type) from defect photos and convert them into a database, inspectors now have to manually analyze and organize hundreds of photos a day. hese tasks are highly inefficient and result in many input errors along the way, making them unsuitable for building large databases for defect management and post-project analysis. In particular, since most of the photos are taken at a close distance,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exact location if the inspector loses understanding of the interior space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Accordingly, a large amount of photos are not actually being used for direct database construction or post-project analysis.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method of automatically extracting indoor detailed location information from such close-up defect photos. To this end, we propose an indoor defect location identification method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surrounding object elements existing in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models. Specifically describing the method, we first learn YOLO v5s, an object recognition model, and U-net, an object segmentation model, to derive the external features of objects in the picture in detail. In addition, the angle and distance between the object and the camera were derived by comparing the similarity with the sample image of the surrounding object. In addition, candidate group images generated under the same conditions on the BIM model are generated. Finally, the camera point and the target point of the final picture were derived by comparing the similarity between the candidate groups and the original. The accuracy of the indoor positioning model was evaluated by comparing the coordinate value of the camera’s target point with the ground truth. For model training, Synthetic Dataset, created by using Dynamo, an object-oriented modeling tool of Revit was used. And seven indoor objects were trained for evaluation of the model. The object recognition model and object segmentation model each used 7000 generated images for training, and 90 close-up pictures taken within 2m of 6 rooms were used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each model. As a result of the final model evaluation, the accuracy of estimated location of the indoor room was 74% and the average accuracy of the detailed location error was 20cm.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close-up photographs that do not includ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indoor spaces, which were difficult to apply in the existing methodology, can be automatically located in detail. 공동주택의 여러 공정 중 특히 하자가 많이 발생하는 마감 공정의 관리를 위해, 건설현장에서는 많은 양의 하자 사진을 찍게 된다. 그런데, 하자사진에서 하자정보(하자위치 및 하자유형 등)를 추출하고 데이터베이스화 하려면, 현재는 점검자(inspector)가 하루 수백건의 사진을 수작업으로 일일이 분석하고 정리해야 한다. 이러한 작업은 매우 비효율적이고 그 과정에서 입력오류도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하자 관리 및 사후 프로젝트 분석을 위한 대량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에 적절하지 못하다. 특히 마감하자 사진 대부분이 근접 거리에서 촬영되기 때문에 점검자가 일정시간이 지나 내부 공간에 대한 이해가 떨어질 경우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기 어렵다. 이에 따라 실제로 많은 양의 사진들이 직접적인 데이터베이스 구축이나 사후 프로젝트 분석등으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근접촬영 하자 사진으로부터 실내 상세 위치 정보를 자동으로 추출하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딥러닝(Deep Learning)과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모델 내 존재하는 주변 사물 객체(surrounding object element)의 위치 정보를 활용한 실내 하자 위치 파악(indoor defect location identification) 방법을 제안하였다. 그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사물 인식 모델인 YOLO v5s와 객체 분할 모델인 U-net을 학습하여 사진 속 사물의 외형적 특징을 상세히 도출한다. 그리고 주변사물 샘플 이미지와의 유사도 비교를 통해 해당 사물과 카메라 간의 각도와 거리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BIM 모델 상에서 이와 동일한 조건에서 생성한 후보군 이미지(candidate images)를 생성한다. 마지막으로 후보군들과 원본의 유사도 비교를 통해 최종적인 사진의 촬영 위치(camera point)와 주시점(target point)을 도출하였다. 이 주시점의 좌표값을 정답(ground truth)과 비교하는 방식을 통해 실내 위치 파악 모델의 정확성을 평가하였다. 모델 학습에는 Revit의 객체 지향 모델링 도구인 Dynamo를 활용하여 생성한 Synthetic Dataset을 활용하였으며 7종의 실내사물을 대상으로 학습하였다. 사물 인식 모델과 객체 분할 모델은 각각 7000장의 생성 이미지를 학습에 사용하였으며, 각 프로세스 별 모델의 성능 검증을 위해 6종의 방에서 2m 이내 거리로 촬영한 근접 사진 90장을 사용하였다. 최종적인 모델 평가 결과, 실내 방 위치 파악 정확도는 74%, 상세 위치 오차는 평균 20cm의 정확도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주변 사물을 기반으로 한 위치 파악을 통해, 기존 방법론에서 적용하기 어려웠던 실내 공간의 구조적 특징을 포함하지 않는 근접 사진에 대해서 자동적으로 상세한 위치 파악이 가능한 것을 확인하였다.

      • 전력계통해석 시뮬레이션을 통한 고저압 수배전반 작업시 아크플래시 위험성 평가 및 경감대책

        김정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산업체 제조기술의 대형화, 복잡화로 인해 전자식 제어가 일상화됨에 따라 기술 분야와 관계없이 전력 사용량은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으며, 전력시설의 점검이나 유지보수 또한 일상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전기에 관한 안전 인식은 절연보강, 접근제한 등과 같이 인체의 감전 보호를 위주로 하고 있으며, 아크플래시에 대한 위험 인식은 상대적으로 미흡한 상태이다. 아크플래시란 전력 설비의 충전부가 어떠한 원인으로 인하여 단락 또는 지락이 되었을 때 방전과 함께 발생하는 전기적인 폭발 현상을 뜻한다. 아크플래시는 빛과 고온의 열에너지를 가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사고지점의 금속 물질이 용융·비산되고, 공기의 급속한 팽창이 발생하여 주변에 영향을 끼치게 된다. 이러한 빛과 열은 화재를 발생시키기 충분한 에너지를 가지고 있으나, 반면 대규모의 아크플래시가 발생할 정도의 고전압·대전류를 취급하는 장소는 일반적인 사무·주거지역보다는 전기실 또는 변전소인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장소에 설치된 시설은 전기화재에 대비하여 난연 또는 불연 처리가 되어있기 때문에 사고 구간의 전원이 정상적으로 차단된다는 전제하에 아크플래시가 실제 화재로 이어지는 경우는 많지 않다. 하지만 아크플래시로 인한 피해 대상은 고장난 설비를 제외하면 고장 발생 시점에서 해당 설비를 직접 조작하거나, 혹은 작업에 관여되어 근처에 위치한 작업자가 될 가능성이 매우 크다. 즉, 인명피해가 발생하기 쉬운 환경에서 아크플래시 또한 발생하기 쉽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본 연구는 대용량의 전기를 사용하는 사업장에서 작업자가 수배전반 작업 중 아크플래시에 노출될 수 있는 모든 상황을 정의하고, 작업상황별로 노출되는 최대 에너지를 Electrical Transient Analyzer Program (ETAP)으로 계산하여, 아크플래시 노출로 인한 피해 수준과 유효한 경감 대책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평가대상은 6,600/ 460/ 220V를 사용하는 고·저압 수배전반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대형 사업장에서의 최대 사용전류를 3,000~4,000A로 설정하고 각각 30,000/ 3,000/ 1,500kVA 규모의 모의계통을 ETAP에 구성하였다. 또한 해당 모의계통을 정상적으로 운영하는데 요구되는 작업을 점검/ 조작/ 유지보수 3개 유형, 20가지 작업으로 정의하고, 각 작업행위의 위험인자를 전기회로의 접근수준/ 전기회로의 차폐 수준/ 작업의 사고 유발 성향으로 분류하였다. 위험인자별 위험도가 높은 요인에 높은 점수를 배정함으로써 작업 중 아크플래시에 노출될 수 있는 위험을 수치화하였다. 이러한 작업행위에 대한 위험성 평가를 통해 확인된 가장 위험한 작업은 대부분 유지보수에 관한 작업으로, 작업 특성상 충전부에 대한 접근 및 노출이 불가피한 작업이었다. 그리고 이 경우 노출될 수 있는 아크 에너지의 크기는 최대 29.195cal/㎠이며, 이때 필요한 개인보호장비는 PPE Cat. 4 수준임을 ETAP으로 계산 할 수 있었다. 반면 위험도가 낮은 작업은 점검/조작 작업이었으며, 이때 노출될 수 있는 아크 에너지의 크기는 최대 12.975cal/㎠, 개인보호장비는 PPE Cat. 3으로 확인되었다. 계산결과에서 특기할 사항은 고압이 아닌 저압 계통의 사고 시 발생하는 최대 아크 에너지의 크기가 더 크다는 점이다. (6,600V 4.966cal/㎠, 440V 29.205cal/㎠, 220V 16.046cal/㎠) 이는 저압 계통에 전원을 공급하는 변압기의 정격전류가 크고 및 %Z가 낮은 결과에 기인한 것으로, 고장전류의 크기가 고압계통과 비교해 3배 수준(6,600V 21.123kA, 440V 61.775kA)으로 크게 발생하였고 이에 따라 아크 에너지도 증가된 결과이다. 경감대책의 수립을 위해 작업거리와 차단시간의 증감에 따른 차이도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확인하였다. 작업 거리를 61cm에서 91cm로 30cm 이격하는 것만으로도 노출되는 아크 에너지가 56%(29.195→12.975cal/㎠)까지 감소하였고, 요구되는 PPE Cat. 수준도 감소(4→3)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차단시간에 정비례하여 아크 에너지가 감소하는 것도 확인되었다. 이번 연구를 통해 대용량 전기시설의 작업자는 전압의 크기와 무관하게 아크플래시 재해에 노출된 것을 수치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으로는 약간의 이격이나 차단시간의 감소만으로도 아크에 대한 위험이 경감되는 것도 확인되었다. 따라서 초기 설계단계부터 무인 / 원격 시스템이나, 고속차단이 가능한 보호시스템을 도입하는 등의 아크 플래시에 대한 대책이 고려된다면 비교적 적은 노력으로도 안전한 작업환경의 구축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Recently, electric power consumption of all industry technology field continues to increase all, due to complexity of manufacturing technology and adoption of electronic control system, Power facility inspection and maintenance also occur on a daily basis. However, safety of electricity focuses on protection of electric shock in human body, such as insulation reinforcement, access restrictions. On the other hand, Safety for arc flash hazard is insufficient. The arc flash is an electrical explosion phenomenon that occurs during arc discharge. Arc discharge is occured by electric fault, such as short circuit fault or ground fault due to a certain cause. The arc flash has light and high-temperature thermal energy, which causes melting and scattering of metalic conductor and rapid expansion of air at accident point. High voltage and high current is most cause of large-scale arc flashes, this is handled in electric rooms or substations, not general office residential areas. Power distribution (Switchgear, MCCs, panels, etc.) installed in these places are flame-retardant or non-combustible for electric fire. If protection device normally work and cut off power of accident point in short time, arc flashes do not lead to fires. In other words, it is likely that the victim of arc flash is a worker who operates the facility or a worker located near the facility at the time of failure. Arc flash is likely to occur in an environment where casualties are likely to occur. This study defined all situations in which workers may be exposed to arc flash during work in large-scale electric facilities, and calculated the maximum energy exposed for each work situation using the Electrical Transient Analyzer Program (ETAP). This allows to assess damage levels and effective mitigation measures of arc flash hazard. The evaluation targets were high voltage distribution panels using 6,600/460/220V, and the maximum current was set to 3000-4000A and power capacity of simulated system was set to 30,000/3,000/1,500kVA. Work behavior of 20 types was defined to operate the evaluation targets. And each work behavior were evaluated by the access level of the electrical circuit, the shielding level of the electrical circuit, Possibility of accident. High scores were assigned to high risk work behavior, and the risk of arc flash during work was quantified by that. The evaluation results of work behavior, it was confirmed that the most high risk works were related to maintenance. Worker was exposure to the charging parts inevitably in maintenance works, and in this case, the arc energy was calculated up to 29.195cal/㎠, the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is needed the level of PPE Cat. 4 for worker. On the other hand, low-risk works such as inspection and operation, worker was less exposure to the charging parts than maintanance works. in this case, the arc energy was calculated up to 12..975cal/㎠, the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is needed the level of PPE Cat. 3 for worker. The special thing about the evaluation review results is that the arc energy of low voltage system is lager thanthan a high voltage system. (6,600V 4.966cal/㎠, 460V 29.205cal/㎠, 220V 16.046cal/㎠) This result is high rated current and low %Z of the low voltage transformer, and the fault current of low voltage system was three times larger than high voltage system (6,600V 21.123kA, 440V 61.775kA), this is the cause of increasing arc energy. In addition, calculation was performed on the influence of work distance and reduction of tripping time. for reducing arc flash. The arc energy was reduced to 56% (29.195→12.975 cal/㎠) by spacing the working distance from 61 cm to 91 cm, and PPE Cat. decreased by 4 to 3. And arc energy decreased to the tripping time in direct proportion was confirmed.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workers in large-scale electric facilities were exposed to arc flash disasters regardless of the voltage level. On the other hand,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risk of arcs was reduced just by a slight separation or reduction in tripping time. Therefore, if measures against arc flash such as introducing unmanned / remote systems or high-speed tripping protection systems are considered from the initial design stage, it would be possible to establish a safe environment with relatively little effo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