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심층 신경망에 대한 최적화 구조연구

        김재혁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심층 신경망에서 구조 최적화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최적화된 구조를 찾기 위해 모델 경량화 기법인 Lottery Ticket pruning 알고리즘을 사용하였다. 모두 연결된 심층 신경망 네트워크를 구성해 학습이 진행됨에 따라 크기가 작은 가중치를 반복적으로 제거하여 신경망 네트워크를 점점 희소화시켰다. 희소화된 네트워크에서 모두 연결된 네트워크의 성능과 근접하거나 더 좋은 성능을 보이는 구조가 존재함을 발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 구조를 중심으로 연결선 수 분포와 상호 정보량을 확인하여 효율적인 구조의 특징에 대해 논의한다. Pruning 과정의 연결선 수 분포 변화는 다수의 peak를 가진 종모양 분포에서 시작하여 굵은 꼬리 분포를 거쳐 점점 꼬리가 쇠퇴하는 과정을 보였다. 학습 성능에 따라 최적화된 구조는 굵은 꼬리 분포로 변화가 일어나는 지점임을 확인하였으며 네트워크를 희소화시키는 과정에서 허브가 각 계층별로 생성됨을 발견하였다. 또한 네트워크 구조의 연결선 수 분포가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최적화된 구조의 토폴로지로부터 네트워크를 재구성하여 학습을 진행하였다. 재구성된 네트워크를 동일 데이터셋에 적용하여 학습하였을 때 은닉층의 깊이가 너무 깊은 경우를 제외하고 모두 연결된 심층 신경망과 비슷한 성능을 가질 수 있음을 보였다. 이로부터 모두 연결된 심층 신경망 구조는 과파라미터화 되어있는 비효율적인 구조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특정 데이터 (MNIST)에 최적화된 구조를 이용하여 다른 데이터(FashionMNIST)를 학습시키는 경우 모두 연결된 심층 신경망 구조와 비슷한 성능을 가짐을 보였다. 이 결과로부터 토폴로지를 통한 효율적 신경망 구조설계 가능성에 대하여 논의한다.

      • 건설공사 손실 제어 결정을 위한 확률적 위험성평가모형 개발

        김재혁 서울산업대학교 산업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일반적인 건설공사에 있어서 사고발생 빈도 및 심도에 대한 위험성평가 모델링을 적용한 체계적인 퍼지위험도 평가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평가법은 전문가의 경험과 주관적인 판단을 이용해서 건설공사 관련 위험사건들의 확률을 결정함으로써 건설공사의 위험도분석을 보다 실제적이고 객관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현재까지의 건설공사 위험도 평가 연구가 건설프로젝트의 범위가 다양하고, 건설공사 지리적 위치 및 공사목적물의 특성 등에 따라 그 위험도가 적용에 어려움이 있었으나, 본 연구를 통해 보다 객관적으로 건설공사 위험도를 평가하고 Risk Control 할 수 있는 평가 방법을 제시하였다. 국내 건설공사 프로젝트는 사고 발생 빈도 및 심도 등 위험도 분석을 위한 객관적인 자료가 부족하였다. 이로 인해 건설공사 위험도 평가는 불가피하게 전문가의 경험 및 주관적인 자료에 의존하여 정성적으로 평가되었으나, 본 연구를 통해 국내의 건설공사의 위험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위험성평가 모델링 절차는 정량적인 위험도 분석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위험 관리를 위해서도 매우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In this thesis, an attempt is made to apply the concept of risk assessment analysis for loss control of general construction project. The risk assessment is adopted risk evaluation modeling including loss frequency and consequence of construction risk. The risk evaluation method is capable to adopt more practically and objectively for risk analysis of construction using specialist’s experience, and decision of probability of loss event. So far, risk assessment of construction is difficult for geographical 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construct matter but this study is supposed more objectively method of risk assessment and risk control. The risk assessment for construction project is used qualitative method dependence on specialist’s experience and subjective data because domestic data for construction risk is objectively poor. This analysis model of risk assessment is an appropriate method using quantitative analysis model for various construction works.

      • 도덕교육의 덕 윤리학적 접근에 관한 연구

        김재혁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re are two major approaches towards moral education, and they are autonomy and virtue ethics. Moral education has focused on the former that emphasizes only the improvement of moral thinking abilities. However, humans are intrinsically social and relational beings, which means that the original goal of moral education should be to bring up moral individuals that can lead a human life in the community. Thu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reflect on the autonomy approach in moral education so far and deal with the approach of virtue ethics, which had surfaced as a new alternative. For those purposes, the reasons and characteristics behind the revival of virtue ethics were examined. In particular, Aristotle's Theory of Virtue, which i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ethics of virtues, was reviewed along with virtue ethics of MacIntyre, who inherited his theory of virtue in modern times. After identifying the problems for which the virtue ethics approach was criticized in contemporary moral education, the investigator tried to overcome those criticisms from the comprehensive perspective of virtue ethics. Thus I set out to search for the right directions in virtue education of moral education in the study. Moral education has so far placed a focus on increasing individuals' rational autonomy based on their reasons and their abilities to judge and decide moral principles and rules to act in a moral manner in a situation of moral conflicts. The major theories of the autonomy approach include Kohlberg's cognitive development and Raths' value clarification. The autonomy approach, of course, was a huge turning point in the approaches of moral education in that it criticized the traditional moral education view that's inclined towards socialization and enlightenment and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such moral education as would emphasize the autonomy of the students by allowing individuals to make rational and reasonable moral judgments. Such an autonomy approach, however, emphasized those moral rules and individual autonomy separated from everyday life by excluding the meaning of the community where individuals belonged, which ultimately resulted in the neglect of meanings of humans in the community. It's also faced with a criticism that it drove the community that's the practical foundation of morality towards destruction by failing to recognize the community ego. In addition, in moral education, an atmosphere was created in which the rational discussion of moral issues or the improvement of the students' judgment was regarded as everything to moral education. As a result, moral education was trapped within the cognitive dimension, which led to the neglect of the importance of emotions, customs, and actions. Recognizing those problems, they revived virtue education based on the perspective of virtue ethics that emphasized the personality and character of moral agents. The virtue ethics approach in moral education is to increase individual morality and thus meaningful virtue and emphasizes that moral education should focus on cultivating virtue as an attribute of personality. Virtues here refer to community value virtues traditionally inherited in a valuable and meaningful manner, and the ultimate goal of moral education is to bring up moral individuals by teaching them virtues. Aristotle provided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for the virtue ethics approach. In his Nicomachean Ethics, he discusses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best life and virtue. It was MacIntyre that revived his virtue ethics in modern days. He paid attention to "the issues of personality and action" instead of "technique of moral reasoning" in moral education. However, such virtue education was faced with a criticism that injecting virtues into the students' heads in a blind way and having them blindly accept virtues without moral contemplation or critical thinking were nothing but enlightenment. But it should be noted that virtue education doesn't mean blind habituation and practice. According to Aristotle's Theory of Virtue, virtue is connected to three aspects based on reason including the right choices, emotions, and actions. The true meaning of virtue can be realized when individuals form the right personality through the right contemplation and selection process, practice them in everyday life as a habit, and thus become moral. Unlike the autonomy approach that emphasizes only the cognitive aspects of morality, the virtue ethics approach pursues the harmonious development of the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aspect of morality. Then there rises a question of "What conditions should virtue education meet to be applied to school as a comprehensive approach?" First, the educational contents need to be organized in a way that virtue and autonomy can be promoted in harmony. And then the roles of moral of moral teachers in charge of professional virtue education should be reinforced along with the heightened status of the moral subject. In terms of the methods in moral education, they must consider the objectives, contents, and student characteristics and apply a combination of various teaching methods rather than depending on a couple of methods. Good examples of lectures in such comprehensive moral education include moral stories, voluntary activities learning, and cooperative learning. 도덕교육에는 크게 자율론적 접근법과 덕 윤리적 접근법 두 가지가 있는데, 지금까지의 도덕교육은 학생들의 도덕적 사고능력의 향상만을 강조하는 자율론적 도덕교육에 치중하였다. 하지만 인간은 본질적으로 사회적 존재이고, 관계적 존재이기에 공동체 속에서의 사람다운 삶을 살아갈 수 있는 도덕적 인간을 기르는 것이 도덕교육의 본래적 목표이다. 이에 본 논문의 목적은 지금까지 진행되었던 도덕교육의 자율론적 접근법을 반성하고 새로운 대안으로 부활하고 있는 도덕교육의 덕 윤리적 접근법을 다루고자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덕 윤리학이 다시 부활하게 된 이유와 특징에 대해서 알아보고 특히 덕 윤리학의 이론적 배경이 되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덕론과 이를 현대적으로 계승시킨 매킨타이어의 덕 윤리학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그리고 현재 도덕교육의 덕 윤리적 접근이 비판받는 문제점은 어떠한 것이 있는지 살펴보고 이에 대한 비판을 덕 윤리학의 통합적 관점에서 극복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도덕교육에서 바람직한 덕교육의 방향이 무엇인지를 모색하는 데 본 논문의 목적이 있다. 지금까지의 도덕교육은 개인의 이성을 바탕으로 합리적 자율성을 길러주고 도덕적 갈등 상황에서 도덕적으로 행위할 수 있는 도덕원리나 규칙을 판단하고 결정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는 데 중점을 두었다. 자율론적 접근의 대표적 이론으로는 콜버그의 인지발달론과 래스 등을 중심으로 한 가치명료화 이론이 있다. 물론 이와 같은 자율론적 접근법은 개인으로 하여금 합리적이고 이성적인 도덕 판단을 내리도록 함으로써, 사회화나 교화에 치중되어 있던 당시 전통적 도덕교육관을 비판하고 학생들의 자율성을 강조하는 도덕교육의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도덕교육 접근 방식의 일대 전환이라 볼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자율론적 접근법은 개인이 속해 있는 공동체의 의미를 배제하면서 일상적인 삶과 분리된 도덕규칙과 개인의 자율성을 강조하였으며 이는 공동체 속에서의 인간의 의미를 도외시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또한 공동체적 자아를 인식하지 못함으로써 도덕성의 실질적인 기반이 되는 공동체를 파괴하게 했다는 비판에 직면하게 되었다. 또한 도덕교육에서는 도덕적 문제에 대한 합리적 논의나 학생들의 판단력 신장이 마치 도덕교육의 전부인 것처럼 인식되는 분위기가 조성되었으며, 그 결과 도덕교육을 단순히 인지적 차원에 국한시킴으로써 정서와 관습 그리고 행동의 중요성을 간과하는 잘못을 범했던 것이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에 기초하여 최근 도덕교육에서는 도덕적 행위자의 인격과 성품을 강조하는 덕 윤리학적 관점에 입각한 덕교육이 다시 부활하고 있다. 이와 같은 도덕교육의 덕 윤리학적 접근법은 개인의 도덕성 함양은 결국 유의미한 덕을 기르는 것이며 이에 도덕교육은 인격의 속성으로서의 덕을 계발하는 일에 주력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덕은 전통적으로 가치있고 의미있게 전달되어온 공동체적 가치 덕목들을 말하며 결국 덕을 가르쳐서 도덕적인 사람으로 형성시키는 것이 도덕교육의 목적으로 보는 것이다. 이와 같은 덕 윤리학적 접근의 철학적 기초를 제공한 대표적 학자로는 아리스토텔레스가 있으며 그는 『니코마코스 윤리학』 전반에서 최선의 삶과 덕의 관계에 대해서 논의하고 있다. 이후 아리스토텔레스의 덕 윤리학을 현대에 부활시킨 학자는 매킨타이어인데, 그는 도덕교육에서 ‘도덕적인 추론의 기술’이 아니라, ‘인격과 행위의 문제’에 관심을 기울였다. 하지만 이와 같은 덕교육은 교사가 맹목적으로 덕목을 주입하고 이를 학생들이 도덕적 숙고나 비판적 사고없이 맹목적으로 받아들이는 교화일 뿐이라는 비판에 직면하게 된다. 그러나 덕교육이 단순히 맹목적인 습관화와 실천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덕론을 살펴보면 덕은 이성을 바탕으로 한 올바른 선택과 정념 그리고 행동의 세 가지 측면과 관련되어 있다. 올바른 숙고와 선택의 과정을 통해서 올바른 성품을 형성하고 이를 생활 속에서 습관적으로 실천할 때 비로소 도덕적인 사람이 되며 이것이 진정한 덕의 의미라는 것이다. 즉 덕 윤리적 접근에서는 자율론적 접근이 도덕성의 인지적 측면만을 강조했던 것과는 달리, 도덕성의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측면의 조화로운 발달을 지향하는 통합적 접근이 추구된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와 같은 통합적 접근으로서의 덕교육이 일선 학교 현장에서 적용되기 위해서는 어떤 조건을 갖추어야 하는가? 먼저 덕성과 자율성이 조화롭게 함양될 수 있는 교육내용이 구성되어야 한다. 두 번째로 덕교육을 전문적으로 담당할 도덕교사의 역할 강화와 도덕과에 대한 위상 제고가 필요하다. 도덕교육의 방법에 있어서도 어떤 한두 가지의 방법에 의존하기보다는 도달하고자 하는 목표와 다루는 내용, 학생들의 특성 등을 고려하면서 여러 가지 수업 방법들이 통합적으로 적용되도록 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통합적 도덕교육으로서의 대표적인 수업 방법으로는 도덕적 이야기를 활용한 방법, 봉사활동학습 방법, 협동학습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 자율주행 로봇 트랙션용 스페리컬 전동기의 간접 벡터 제어에 대한 연구

        김재혁 계명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기존 로봇 산업에 자율주행, 인공지능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이 적용됨에 따라 전문 서비스 로봇 시장이 성장하고 있으며 그 중 물류 로봇의 수요량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존 물류 로봇에 사용되는 1 자유도를 가지는 트랙션용 전동기의 구동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다자유도를 가지는 스페리컬 전동기를 사용하고자 한다. 이러한 스페리컬 전동기는 조향을 위한 추가적인 전동기와 같은 부품이 필요 없고 단일 전동기로 주행과 조향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며 트랙션용 스페리컬 전동기의 경우 국내외로 유도형, 영구자석형 타입으로 연구가 되었다. 기존의 연구된 트랙션용 스페리컬 전동기의 경우 구조적으로 회전축이 고정된 단방향 회전에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자율주행 전문 서비스 로봇의 트랙션용 전동기로 틸팅 보조용 영구자석이 사용된 유도형 스페리컬 전동기를 사용하기 위해 회전자 자속 기준 간접 벡터 제어 방식의 적합성을 판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Matlab Simulink를 사용하여 모델링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검증한다. As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such as autonomous driv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is applied to the existing robot industry, the professional service robot market is growing, and the demand for logistics robots is rapidly increasing among them. Accordingly, in order to improve the driving characteristics of a traction motor having one degree of freedom used in an existing logistics robot, a spherical motor having multiple degrees of freedom is intended to be used. These spherical motors do not require additional motors and parts for steering and have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drive and steer with a single motor. In the case of spherical motors for traction, both induction and permanent magnet types have been studied at home and abroad. The previously studied spherical motors for traction are structurally determined to have difficulties in unidirectional rotation with a fixed rotation axis. Therefore, in this paper, the suitability of the indirect rotor field orientation vector control method is determined to use an induction spherical motor using a permanent magnet for tilting assistance as a traction motor for an autonomous driving professional service robot. For this purpose, it is modeled using Matlab Simulink and verified by simulation.

      • 주유소에서 배출되는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김재혁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주유소에서 배출되는 VOCs는 2010년 국내 총 VOCs 배출량 866.4 kt의 2.9%(25.1 kt) 밖에 해당되는 않지만 국내 대부분의 주유소가 도심지 주거지역과 근접하여 위치하고 있어 도시민들에게 미치는 오염 체감도가 비교적 큰 VOCs 배출원으로 평가받고 있다. 실제로 소규모 VOCs 배출원중 가장 강력한 규제를 적용받고 있는데, 2008년부터 대기보전특별대책지역과 대기환경규제지역 내에 위치하고 연간 휘발유 판매량이 300 ㎥이상인 주유소는 Stage Ⅱ VRS를 의무적으로 설치하여야 하며, 나아가 관리지역 외의 주유소에 대해서도 VOCs 회수설비를 설치하도록 하는 확대 법안을 준비 중에 있다. 확대 법안이 시행될 경우 2030년 까지 총 2,200억원의 초기 투자비용과 관리비용이 추가로 소요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현행 주유소 VOCs 관리정책에 따른 VOCs 저감효과를 평가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VOCs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는 주유소를 대상으로 Stage Ⅱ VRS 저감효율 평가, 대기 중 오염물질 농도 저감효과 분석, PV/V와 숨구멍밸브의 VOCs 재배출 평가 등의 다양한 현장 평가를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주유소 VOCs 관리현황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국외 주유소 VOCs 관리기술 및 관리사례 고찰을 통하여 현행 관리제도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주유소 VOCs 관리제도 확대가 시급한 시도별 우선순위를 평가하고, 확대 시행시 가장 합리적이고 효과적인 VOCs 관리정책 시나리오를 제시하고자 한다. 주유소 VOCs 관리제도의 실효성 분석을 위한 현장 실험결과로 첫째, Stage Ⅱ VRS 정상 가동시 자동차에 휘발유을 주유하는 과정에서 배출되는 VOCs의 평균 회수효율는 81%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둘째, Stage Ⅱ VRS 정상 가동에 따라 사무실 내부와 주유기 주변지점 및 도로와 인접한 부지경계에서의 대기 중 THC 농도는 평균 49.5%, 74.2%, 81.8%, 48.7% 감소하였으며, BTEX 농도는 사무실에서 12-66%, 주유소 내부지점에서는 78-89%, 부지경계에서 9-72% 감소하였다. 셋째로, 통기관 PV/V의 압력모니터링을 통해 PV/V의 비정상작동에 따라 회수된 VOCs가 대기 중으로 배출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숨구멍밸브의 임의개방시 저장탱크의 회수된 VOCs가 대기 중으로 순식간에 재배출됨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Stage Ⅱ VRS를 가동하였을 경우 숨구멍밸브를 개방한 상태에서의 VOCs 배출량은 216-2,322(1,270) ㎎/min(THC로써)인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benzene을 포함한 다양한 VOCs가 배출되었다. 현장 실증 평가를 통해 도출된 현행 주유소 VOCs 관리제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첫째, StageⅠ, Ⅱ VRS의 실효성을 담보하기 위하여 숨구멍밸브를 개방하지 않고도 실시간으로 유류 저장량을 확인할 수 있는 밀폐식 탱크레벨게이지(TLG) 설치를 장려하고 통기관 압력진공벤트밸브(PV/V) 인증 및 관리제도를 조속히 마련하여야 한다. 둘째, 주유소 근무자들이 Stage Ⅱ 회수설비를 적절하게 유지관리 할 수 있도록 유지관리 매뉴얼을 제작·배포하고, 주기적인 운영관리 교육 세미나 등을 개최하여 근무자들의 관리의식 및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Stage Ⅱ 관리기술이 부족한 주유소에 대해서 유증기 누출여부 점검 및 Stage Ⅱ 관리방법을 전수하여 운영효율 개선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정부차원의 기술지원 제도를 마련하는 등, 정부차원의 종합관리 대책을 마련하여야 한다. 셋째, Stage Ⅱ 회수효율을 담보할 수 있는 자가진단 시스템 도입이 요구되며 이를 위하여 한국형 자가진단 시스템 설치·인증기준 마련 및 국산화를 통한 설치비용을 낮추는 노력이 요구된다. 또한 업계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연간 판매량에 따라 적용 시기를 달리하되 조건별 경제성 평가를 실시하여 최적 적용 시나리오를 도출하고, 충분한 시범운영을 통하여 문제점을 사전에 보완한 후에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향후 주유소 VOCs 관리지역 확대가 필요한 도시를 평가한 결과, 인구 50만 이상 대도시(용인시, 대전시, 광주시, 천안시, 청주시, 전주시, 화성시, 울산시, 창원시, 포항시)를 우선적으로 관리하여야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확대 예상 지역 내의 주유소는 약 2,288개소이며, 이중 휘발유 판매량이 연간 300 ㎥ 이상인 1,833개소의 주유소에 Stage I, Ⅱ VRS를 설치하여야 한다고 가정하면, 2030년까지 약 2,200억원의 초기투자 및 관리비용이 소요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2008년 Stage Ⅱ VRS 제도가 시행된 이후 7년이 지난 2014년 까지의 경제성 분석을 수행한 결과, B/C 비율은 1.77으로 평가되었으며, 연평균 편익의 현재가치에서 연평균 비용의 현재가치를 뺀 순현재가치는 712억원으로 평가되어, Stage Ⅱ VRS 제도는 경제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2030년까지의 중장기 주유소 VOCs 최적 관리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4가지 시나리오를 가정하여 VOCs 저감효과 및 경제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4가지의 시나리오는 현행 관리 방식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인구 50만 이상 대도시에 StageⅠ, Stage Ⅱ VRS를 확대하는 방안(시나리오 A), 현행 관리 방식에서 실효성을 담보할 수 있는 ISD를 포함시켜 확대 추진하는 방안(시나리오 B), 확대계획을 폐지하고, 현행 StageⅠ, Stage Ⅱ VRS 제도를 유지하되 ORVR 제도를 단계적으로 도입하는 방안(시나리오 C), 시나리오 A 방안에 추가적으로 ORVR을 단계적으로 도입하는 방안(시나리오 D)이다. 가장 이상적인 주유소 VOCs 관리정책은 현행 관리 방식을 그대로 유지하며 50만 이상 대도시의 주유소에 Stage I, II VRS를 확대하는 시나리오 A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시나리오 A의 경우 B/C 비율이 2.39로 가장 높았으며, VOCs 톤당 저감 소요 비용도 109만원으로 가장 낮게 평가되었기 때문이다. 다만 경제성 분석을 위하여 고려된 다양한 조건변수들은 향후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수정된 조건변수들을 적용하여 재평가되어야 한다. 또한 VOCs 환경피해비용이 좀 더 현실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주유소에서 배출되는 VOCs를 저감하기 위해 시행중인 국내 환경정책의 실효성을 평가한 것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VOCs 관리현황 평가 및 관리방안 도출을 위한 절차와 결과들이 향후 VOCs 관리방안, 특히 주유소의 VOCs 관리정책을 계획하고 시행하는데 있어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전압형 HVDC용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의 오프셋 전압 제어에 따른 성능 비교 분석

        김재혁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Recently, as the proportion of renewable power generations has increased and the power grid has become more complicated, it faces a difficulty for large capacity power transmission. In the past, high voltage alternating current (HVAC) system through additional construction of high voltage transmission line was mainly used for power transmission. However, high voltage direct current (HVDC) system has recently been attracting attention due to the problem of loss, stability, and limit of transmission capacity in long distance power transmission by HVAC. Therefore, this paper deals with the study of offset voltage control of modular multi-level converter (MMC) as part of research to increase transmission capacity, loss reduction and facility capacity of MMC HVDC system. Offset voltage control is a general-purpose control technique applicable for inverter-based power converters. When applied for an MMC HVDC system, the output voltage and reactive power control range of the MMC can be expanded. In particular, the increase in the output voltage magnitude leads to the reduction of the conduction loss due to the decrease in the arm current magnitude. The reduction of the arm current mitigates the internal energy fluctuation of the MMC, which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capacity of the passive components and decreasing the internal circulation current of the MMC. Thus, offset voltage control has many advantages in the operational aspects of the MMC HVDC system. However, due to the structural feature that MMC consists of many submodules, the offset voltage applied during the conventional offset voltage control reduces the output voltage level of the MMC, which adversely affects the output characteristics. And it generates the energy pulsation of 4th order harmonic components inside the circuit. In addition, a zero-sequence voltage is generated at the Neutral-to-Grounding Resistor (NGR) and the DC terminal of HVDC system. This zero-sequence voltage generates the corresponding grounding current, and acts as a loss factor. Therefore, in this paper, 'variable offset voltage control' method, which can improve the output characteristics of MMC and minimize the problem caused by offset voltage, has been proposed. The proposed method has an algorithm that varies the magnitude of the offset voltage according to the modulation index (MI). This algorithm controls the output voltage of the MMC to always have the maximum level, and the closer the MI is to 1.0, the closer the offset voltage is to zero voltage. In order to verify the feasibility of the proposed method, this paper analyzed the effect of the conventional offset voltage control method on the MMC HVDC system, and performed simulations and experiments with 10kVA MMC scaled model. Also, the operational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proposed and existing method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rough theoretical approach. In addition, the operation of the proposed offset voltage control was analyzed under the grid voltage imbalance condition.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improve the total harmonic distortion (THD) of the output voltage and minimize the problem caused by the offset voltage in the specific operation region of the MMC. And the operating flexibility of the proposed method is verified under the grid voltage imbalance condition.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variable offset voltage control' proposed in this paper can be applied to various applications where multi-level converters are applied. 최근 신재생 발전의 비중이 높아지고, 전력망이 점차 복잡해짐에 따라 대용량 전력 전송에 대한 문제를 직면하고 있다. 기존에는 전력 전송을 위해 고압 송전선로의 추가적 건설을 통한 고압 교류 송전(High Voltage Alternating Current; HVAC) 시스템이 주로 사용되었다. 하지만 HVAC에 의한 장거리 전력 전송 시, 손실과 안정도, 그리고 전송용량의 한계에 따른 문제로 인해 최근에는 고압 직류 송전(High Voltage Direct Current; HVDC) 시스템이 각광받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MMC HVDC 시스템의 전송용량 증대와 손실 저감, 그리고 설비용량을 최소화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Modular Multilevel Converter; MMC)의 오프셋 전압 제어에 대한 연구 내용을 다룬다. 오프셋 전압 제어는 인버터 기반의 전력변환 장치에 적용 가능한 범용 제어 기법으로 MMC HVDC 시스템에 적용되는 경우, MMC의 출력전압 및 무효전력 제어 영역의 확장을 가능하게 하는데, 특히 출력전압 크기의 증대는 암 전류 크기 감소에 따른 도통 손실 저감 효과를 불러일으킨다. 그리고 암 전류 크기 감소는 MMC 내부 에너지 변동량을 감소시키는데, 이는 MMC를 구성하는 수동소자의 용량 저감 및 내부 순환 전류의 크기 감소 효과가 있다. 따라서 오프셋 전압 제어는 MMC HVDC 시스템의 운영 측면에 있어 많은 이점을 제공 한다. 하지만 MMC는 다수의 서브모듈로 구성되는 구조적 특징으로 인해, 기존 오프셋 전압 제어 시, 인가되는 오프셋 전압은 MMC의 출력전압 레벨을 감소시켜 출력특성에 악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회로 내부에 4고조파 성분의 에너지 맥동을 일으키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이 외에도 중성점 접지 저항(Neutral Grounding Resistor; NGR)과 HVDC 시스템의 직류단에 영상분 전압을 야기하는데, 이러한 영상분 전압은 해당 접지 전류를 발생시켜 사고 및 고장 판단의 혼선, 그리고 손실을 일으키는 요소로 작용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MMC의 출력특성 개선이 가능하고, 오프셋 전압이 인가됨에 따른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가변 오프셋 전압 제어’ 방식을 제안하였다. 제안하는 방식은 전압 변조 지수(Modulation Index; MI)에 따라 인가하는 오프셋 전압의 크기를 가변 하는 알고리즘을 갖는다. 이 알고리즘은 MMC의 출력전압이 항상 최대 레벨을 갖도록 하고, MI가 1.0에 가까울수록 인가되는 오프셋 전압은 영 전압에 가깝도록 제어한다. 제안하는 방식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기존 오프셋 전압 제어 방식이 MMC HVDC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시뮬레이션과 10kVA 급 MMC 하드웨어 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제안하는 방식과 기존 방식의 동작 특성과 영향을 이론적 접근을 통해 비교 분석 하였고, 추가적으로 연계 그리드 전압이 불평형 상태일 때 제안하는 오프셋 전압제어의 동작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제안하는 방식은 출력전압의 전고조파 왜곡률(Total Harmonic Distortion; THD) 개선이 가능하고, MMC의 특정 동작 영역에서 오프셋 전압에 의한 문제를 기존 방식보다 최소화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계통 전압 불평형 조건에서 제안하는 방식의 동작 유연성을 검증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가변 오프셋 전압 제어’는 멀티레벨 컨버터가 적용되는 다양한 응용분야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피어투피어 기반 IPTV 시스템 구조 연구

        김재혁 숭실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IPTV는 단순한 케이블 TV 대체를 넘어서서 다양한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하게 되는 서비스이다. 질적으로나 양적으로 증가된 서비스를 위해 IPTV 시스템은 하나의 서버가 모든 일을 처리하는 구조에서 점차 분산된 구조로 가야한다. 미디어 전달 방식을 중앙 집중 서버에서 분산된 릴레이와 피어를 사용하는 구조로 변경되어야 하며 IPTV 네트워크 제어 방식도 분산된 구조로 변경하여야 한다. 분산 IPTV에서의 가장 핵심 기술인 P2P(Peer To Peer) 기술은 현재 인터넷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기존의 클라이언트-서버 형태로 서비스가 이루어지지 않고 각 노드들이 협업하여 서비스를 만들어내는 구조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P2P 기술을 기반으로 한 실시간 IPTV 시스템 구조에 대한 논문으로 RELOAD를 이용하여 채널 검색을 하는 분산 채널 관리 계층과 트리 구조로 미디어 전송을 하는 분산 미디어 전송 계층으로 구성된 순수 P2P기반 IPTV 구조에 대해 설계한다. 또한 실제 시스템 구현을 통해 P2P IPTV 구조의 성능을 검증한다. The IPTV Service provides various interactive services beyond the level of being able to substitute cable TV. The IPTV system is to be decentralized gradually in which one server conducts all tasks. Primarily, deliberation of media needs to be changed into a system in which relayer and peer from the central server is utilized. Secondarily, the way of controling IPTV network need to be decentralized. Unlike the current client-server system, P2P(Peer To Peer), the main technology of decentralized IPTV is able to provide a service by cooperation of each node. Dealing with live streaming IPTV system which is based on the P2P protocol, this paper design the pure P2P IPTV structure and does verify the performance of P2P IPTV structure by realizing real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