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Although the capacity of sheet pile market is increasing annually, the existing sheet pile used mainly as structural support taking up excessive cross-sectional area. Therefore, new wide Hat-type sheet pile cross-section has been developed recently in alignment with the trend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sheet pile which is continuing to become wider. Wide Hat-type sheet pile with increased width can reduce the cost of construction by reducing the weight of sheet pile by using high-strength material in order to reduce the weight of structural steel. In this study, WEAP interpretation was conducted in order to assess the driveability of vibratory pile driving of wide Hat-type sheet pile, and performed on-site penetration test by attaching linear displacement meter, strain guage and accelerometer. The results illustrate that although the construction velocity for wide Hat-type sheet pile per unit is quicker for the existing cross-section, there are no differences in constructability with the existing U-type and Z-type sheet pile when the construction speed per width is considered. Furthermore, although the compression stress and tensile have increased in comparison to the existing cross-section due to reduction in cross-section, the results of WEAP interpretation and actual construction test illustrated that there are no problems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nal ground tolerance with generation of stress which is smaller than the permissible stress. However, when the penetration velocity obtained from on-site test and that by the WEAP program are compared, it was illustrated that the variation in the two values is large for shallow construction depth while the initial penetration velocitys became similar with increase in depth. Therefore, the differences in the outcome of WEAP analysis and on-site test such as initial penetration velocities ought to be gradually reduced through additional research in the future. 강널말뚝 시장의 규모는 매년 증가하고 있지만 기존의 강널말뚝은 구조용으로서 주로 사용되어 과다한 단면적을 갖는다. 따라서 점점 광폭화되는 강널말뚝 기술개발 추세에 맞추어 최근 새로운 광폭 Hat형 강널말뚝 단면이 개발되었다. 폭을 증가시킨 광폭 Hat형 강널말뚝은 강재중량을 줄이기 위해 고강도 소재를 사용하면서 널 말뚝 무게를 줄여 시공비를 절감시킬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광폭 Hat형 강널말뚝의 진동관입성을 파악하기 위해 WEAP 해석을 수행하였으며, 강널말뚝에 줄변위계, 변형률계 그리고 가속도계를 부착하여 현장 관입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광폭 Hat형 강널말뚝의 개당 시공속도는 기존단면이 빠르지만 단위 폭당 시공속도를 고려하면 기존 U형 및 Z형 널말뚝에 비해 시공성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단면 축소로 인해 압축응력 및 인장응력은 기존 단면에 비해 증가하였지만 WEAP 해석 및 실제 시험시공결과 허용응력보다 작은 응력이 발생하여 지내력 관점에서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현장시험으로 구한 관입속도와 WEAP 프로그램에 의한 관입속도를 비교하면 얕은 시공 깊이에 대해서는 두 값의 편차가 크지만 깊이가 깊어짐에 따라 유사한 초기 관입속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초기관입속도와 같은 WEAP 해석결과와 현장시험결과의 차이는 향후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줄여나가야할 것이다.
김재규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1997 국내석사
본 논문에서 우리는 피타고라스 정리의 지도 방안을 연구한다. 1. 피타고라스 정리의 역사적 사실이나 배경을 통하여 학습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같에하여 학습동기를 유발 시킨다. 2. 논증적 증명위주보다 사고활동을 자극하는 구체적 장면을 통하여 학습이 이루어 질수 있도록 여러 가지 증명법을 제시 하였다. 3. 조작활동 및 면적관계를 이용한 기하학적 증명방법을 설명을 통하여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4. 피타고라스의 세수와 활용을 증명과 함께 제시하였다. In this thesis, we investigate teaching methods of Pythagorean theorem. 1. To take an interest and concern in learning induces the motion of learning by knowing the Pythagorean historical fact or background. 2. I present the several ways of proof for learning with not the first primacy in the demonstrative proof but the concrete side which stimulate the ability of thinking. 3. I let you understand easily by explaining the geometrical proof to make use of the operation actions and area relation. 4. I present Pythagorean triple and application with proof.
모바일 기기를 위한 경부하용 고효율 Buck/Boost 컨버터
최근 정보화 기기의 발달로 휴대용기기가 증가하고 있으며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사용자의 요구를 반영하기 위해 초소형화 및 유비쿼터스로 급속히 발전하고 있다. 또한 과거 단일 기능에서 벗어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시스템이 복잡해지면서 배터리의 operating time이 이슈가 되고 있다. 휴대용 기기들은 각 전자부품으로 공급되어야 할 전원의 종류와 숫자가 급격히 증가하였고 특히 공급과정에서 고효율을 요구하고 있다. 이는 제한된 배터리 전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PMIC(Power Management IC)가 요구됨을 의미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휴대용기기에서 경부하에 적합한 고효율의 DC-DC Convert er를 제안하였다. 제작된 IC는 고효율을 주목적으로 하였으며 하나의 인덕터를 이용하여 Positive 출력 전압을 가진 buck/boost 두 가지 동작을 할 수 있다. 고효율을 위해 바이어스 전류를 2u[A]로 하고 PFM 동작을 통해 내부 블록에서 사용되는 전체 바이어스 전류를 최소화 시켰다. 또한 출력 전압의 ripple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입력 전압 대비 on pulse에 변화를 주었다. 45m[A]에서 96[%]이상의 최대 효율을 얻을 수 있고 최대 출력 전류는 100m[A]이며, 2.5와 5[V]의 output 전압을 만들어 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TSMC사의 0.18u[m] CMOS 공정을 이용하였고 Cadence 사의 IC design tool과 spectre simulator를 사용하여 설계 및 시뮬레이션을 하였다. 또한 제작된 IC를 테스트하여 그 성능을 검증하였다. The number of portable devices is increasing recently by advance of information-oriented machinery and they is developing rapidly to features microminiaturization, ubiquitous for reflecting a demand of user who want to receives services. That issues battery's operating time also because potable devices feature various functions beyond single function and complicated system. The number and a kind of power which portable devices must supply each electron parts is increasing, especially they is asked high efficiency on the supply. They present necessity of PMIC which is able to manage the limited battery power efficiently. This paper presented high efficiency DC-DC Converter with light load for portable devices. A primary goal of proposed IC is high efficiency. It which using a inductor is able to operate both buck and boost which have positive output voltage. It get bias current, 2u[A] and was minimized total bias current of internal blocks by operating PFM. When input voltage increase it also decrease on pulse for minimizing the ripple of output voltage. The proposed DC-DC Converter is able to drive a load of up to 100m[A]. A maximum efficiency of it is more 96%. The output voltage of it is 2.5[V]and 5[V]. The proposed IC were designed and manufactured using the 0.18u[m] CMOS technology of the TSMC and the IC design tool and spectre simulator from the Cadence Company for design and simulation. The performance of the manufactured IC has been verified by test.
콜센터 상담사의 업무과부하와 고객 스트레서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원과 코칭 리더십의 조절효과
본 연구의 목적은 콜센터 상담사의 이직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고객 스트레서와 업무과부하를 줄여줄 수 있는 사회적 지원과 코칭리더십의 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객스트레서와 업무과부하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떤 사회적 지원이 더 효과적일 것인지 알아보고, 또한 사회적 지원과 유사한 의미로 사용되는 코칭리더십이 고객스트레서와 업무과부하로 인한 이직의도에서 사회적 지원과 비교했을 때 어떤 차별적 효과를 지니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업무과부하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상사의 지원, 동료의 지원, 그리고 코칭리더십 중 유의한 조절효과를 보인 변수는 코칭 리더십이다. 상호작용이 나타난 이유는 업무과부하가 적은 상황에서는 코칭리더십이 이직의도를 줄여주지만 업무과부하가 높은 상황에서는 이직의도를 줄여주지 못하기 때문이다. 상사의 지원과 동료의 지원은 주효과만이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효과의 패턴은 코칭리더십과 거의 유사하게 나타났다. 이는 상사의 지원과 동료의 지원이 업무과부하의 정도와 상관없이 이직의도를 낮추어주는 완충효과를 나타냄을 의미한다. 업무과부하에서 상사의 지원, 동료의 지원, 그리고 코칭리더십의 효과의 설명량의 차이가 1% 이내로 미미하게 나타났다. 상호작용의 패턴과 설명력을 비교했을 때 업무과부하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상사의 지원, 동료의 지원과 코칭리더십의 개입 효과의 패턴과 정도는 거의 유사한 것으로 보인다. 둘째, 고객스트레서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상사의 지원, 동료의 지원, 그리고 코칭리더십의 조절효과는 상사의 지원과 코칭리더십에서 상호작용이 나타났다. 고객스트레서가 적은 상황에서는 상사의 지원과 코칭리더십이 이직의도를 줄여주지만 고객스트레서가 높은 상황에서는 이직의도를 줄여주지 못하기 때문인 걸로 보여진다. 고객스트레서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동료의 지원의 조절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요약하면 업무과부하와 고객스트레서가 낮은 경우에서 상사의 지원, 동료의 지원, 코칭리더십의 정도에 따라 이직의도의 차이가 나타났으나 업무과부하와 고객스트레서가 높은 상황에서는 상사의 지원, 동료의 지원, 그리고 코칭리더십에 따른 이직의도의 차이가 없는 패턴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 이유는 콜센터 상담사들의 업무과부하와 고객스트레서의 수준이 전반적으로 높기 때문에, 비록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 집단내에서 낮은 수준이라고 하더라도 5점 척도에서 중간값인 3점이상의 스트레스를 받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는 상사의 지원, 동료의 지원, 코칭리더십이 중간 수준 이상의 업무과부하와 고객스트레서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시켜 주지만, 업무과부하와 고객스트레서가 매우 높은 상황에서는 이직의도의 수준을 완화시켜주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coaching leadership that may lower the customer stressors and work overload on the turnover intent of call center employees. This study examined what kind of social support is more effective in the influence of work overload and customer stressors on turnover intent, and what differential effect the coaching leadership has compared to social support which is similar in meaning with coaching leadership.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aching leadership compared to supervisor support and coworker support showed the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 between work overload and turnover intent. The interaction effect indicated that coaching leadership lowered the turnover intent when the work overload was low, but it could not lower the turnover intent when the work overload was high. The supervisor support and coworker support showed a significant main effect only, and the patterns of the effect were similar to coaching leadership. This result implies that supervisor support and coworker support have a buffering effect in lowering turnover intent regardless of the degree of work overload. The patterns and degree of the intervention effect of supervisor support, coworker support, and coaching leadership on the relation between work overload and turnover intent were almost similar. Second, regarding the effect of customer stressors on turnover intent, the supervisor support and coaching leadership ha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The result implies that the supervisor support and coaching leadership lowered the turnover intent when customer stressors was low, but they cannot lower the turnover intent when customer stressors was high. A moderating effect of coworker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 stressors and turnover inten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sum up, in the case that work overload and customer stressors is low, the results revealed a significant differences in turnover intent depending on the supervisor support, coworker support, and coaching leadership. In contrast, in the case that work overload and customer stressors is high, there were no difference in the turnover intent depending on supervisor support, coworker support, and coaching leadership. The reason for this result might be that the work overload and customer stressors of call center employees were generally high.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supervisor support, coworker support, and coaching leadership might mitigate the effect of above intermediate level of work overload and customer stressors on turnover intent, however they might not mitigate the level of turnover intent in the case that work overload and customer stressors are very high.
본 연구는 의약품 제조산업의 하나 이상의 물류센터를 운영하는 경우 각 물류센터들의 비교와 판매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의 분석을 통하여, 물류센터의 효율성 평가의 측정과 비효율을 갖고 있는 원인을 분석하고 효율적 물류센터가 되기 위한 기준에 접근하는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분석방법으로는 다투입, 다산출이며, 투입, 산출요소를 금액화하기 힘든 현재 기업경영 환경에 적합한 DEA(Data Envelopment Analysis)를 적용하였다. 의약품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요소를 투입 및 산출요소로 이용하였고, DEA의 기본모형인 CCR모형과 BCC모형을 이용하여 효율성을 분석하였고, 생산변경에 위치하여 1의 효율성 값을 갖는 물류센터들에 대하여 식별성을 높이기 위한 다시 초효율성 분석을 진행하여 효율성을 재분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search for refrom measures in absurdity resulted form the complex distribution structure of pharmaceutics in Korea, whose char-acteristics we must observe in order to conclude upon this study. Medical goods, from factory to the consumers, should be treated by the specialists in this field in a very careful manner. Because it plays an important role in human lives and health, the flow of these marketing goods should be aimed toward maximzing consumer's satisfaction and contributing to develop the whole social welfare. The Distributiong Structure of medical goods should be different from that of the other general goods keeping in mind these factors. However, being it too a business item, many have ignored these factors and have heavily weighed more importance, as to the other general business items, in total profit. Thus, in Korea, bringing about many problems within the framework of the flow. Though the existing problems are in many ways main sections. Following the problems will be the remedies in developing a smooth flow, simplicity, and also fulfilling the ultimate goal of this market in our society. Going into depth with observation in this study, we can subdivide the problems existing in the system into the folling. When solving these problems with the given remedies, newly developed marketing concept will have been risen, consisting of improvements of production flow, promotion of a sound improvement in the distribution channels and the maintenance of it, reduction of add on cost while going though the flow, reforming the distributing structure, keeping in mind the satisfaction and welfare of the consumers as the key element in production. PROBLEMS 1) The complexity of distributing channel 2)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real price from nominal price. 3) Small scale distributing agencies(wholesale and retail) 4) Overlapping functions of Distributing Institutions REMEDIES 1) Rationalization of policy on distribution channels based upon wholesales and retails creating a common ground. 2) prevention of fierce competition through desirable quality and quantity con- trol. 3) Development and strengthening of wholesales through merging of small firms in pharmaceutics, organizing a union among the wholesalers to regulating the flow of the distribution. 4) Fixing to a high and a good standard through regulation laws such as prescription being filled not at the hospital but at a pharmacists. Summing, as a division in the function of medical field and pharmaceutics. To also perfect the existing standard retail pricing system and to put it into practice.
Rap1 GTPase regulates of superoxide and phagocytosis in raw 264.7 macrophage cells
NADPH oxidase는 효소 복합체로 적어도 6개의 구성물들로 이루어져 있다. Cytochrome b_(558)이라는 막에 존재하는 gp-91과 p22phox과 세포질에 존재하는 p47phox, p67phox, p40phox와 저분자 결합족 단백질인 Racl, Rac2, Rapl 등으로 구성된다. 게다가 이런 단백질들은 다단계 신호 전달 경로를 통해서 NADPH oxidase의 활성화를 유도한다. NADPH oxidase을 통한 활성 산소의 생성은 염증 반응이나 산화적 스트레스 등을 포함하는 면역 반응에 관계된다. 저분자 GTP결합족 단백질인 Rap1은 NADPH oxidase에 의한 활성 산소의 생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다른 Ras족 관련 GTPase들처럼 Rap1은 GTP결합 상태일 때, 활성을 가지고 반대로 GDP결합 일때는 불활성화된 상태를 가진다. Rap1의 GEf인 8-CPT-2Me-cAMP을 처리하면, 대식 세포에 Serum 또는 IgG로 코팅한 입자로 자극한 것에 의한 활성 산소의 생성을 더 촉진한다. 대식 세포에 Rap1GAP을 transfection한 것도 또한 활성 산소 생성을 자극하였다. 그러나, Nl7 Rap1과 Vl2 Rap1을 넣어준 경우에는 활성 산소의 형성을 감소시켰다. 이것은 아마도 지속적인 Rap1의 GDP-결합 형태에서 GTP-결합 상태로의 순환이 대식 세포에서 NADPH oxidase 활성을 통한 활성 산소의 생성에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Rap1이 NADPH oxidase 활성화에 관여하는 신호적인 기작은 더 연구중이다. The NADPH oxidase is a complex enzyme consisting of at least 6 components: cytochrome b558 (a heterodimer comprised of gp91-phoz and p22-phox), p47-phox, p67-phox, p40-phox, Rac 1 or Rac 2, and Rap1A. Furthermore, there are multiple signal transduction pathways leading to activation of the NADPH oxidase. Gener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ROS) through NADPH Oxidase is relevant to immune response including inflammation reaction or oxidative stress. Rap1 is a member of small molecule weight GTP binding protein, which is known to be implicated in ROS production by NADPH oxidase. Like other Ras-related GTPases, Rap1 is activated depending on GTP- binding state, whereas GDP-bound form is inactive state. When 8-CPT-2Me-cAMP, an activator of Epac (GEF for Rap1), was pretreated to macrophages and the cells were exposed to serum and IgG-opsonized zymosans, production of ROS was stimulafed. Transfection of Rap1GAP into macrophages also stimulated ROS production. However, Nl7 Rap1 dominant-negative proteins and constituvely active Vl2 Rap1 abrogated ROS formation. This suggests that continuous cycling between GDP- and GTP-bound forms of Rap1 may be required for the activation of NADPH oxidase in macrophage. The mechanism of Rap1 engagement for the NADPH oxidase activation is being studi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