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공학적 도구를 기반으로 한 함수의 극한 교수·학습 자료 설계 사례 연구

        김자원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a case study on designing teaching materials for limit units of functions. The 2009 revised curriculum and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extbook were analyzed, and the class was designed using engineering tools and mathematical histo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designed lesson by analyzing the questionnaire results and conducting a class evaluation questionnaire on the materials composed for mathematics teachers. The use of engineering tools has been emphasized since the 2007 revised curriculum. 'Information processing'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refers to the ability to collect, organize, analyze, and utilize various data and information, and to select and use appropriate engineering tools and diaries to effectively process data and information. Computers, educational software, and computers are used as engineering tools. The use of engineering tools is described in more detail in the teaching methods and notes, as well as in the evaluation methods and note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 this sense, the importance of the use of engineering tools is emphasized, so the study tried to apply engineering tools to the design of limit unit classes of functions. The curriculum emphasizes the use of mathematics in addition to engineering tools. Most textbooks use mathematical history to develop the content. The use of mathematical history in class can increase students' enjoyment of mathematics and thus, students can have a positive perception of mathematics. In the course design, ADDIE model was selected as teaching design model and the form of class was composed of block class. The ADDIE model consists of analysis, design, enlighten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stages and the teaching material was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each stage. In order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the designed class, the teachers wer asked the to evaluate the data. To investigate the applicability of the class and the evaluation of the teachers about the results, and to construct better teaching materials, the use of the engineering tools in the limit units of the function and the applicability of applying the designed class and teaching design method based on the history of mathematics were selected as research questions. In order to solve the research questions, contents and objectives of the limit unit of the function, teaching materials and notes or evaluation method were examin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revious research, 2009 revision and 2015 revision curriculum, and the 2015 revision curriculum of the current mathematics Ⅱ textbook. In the analysis of revised textbooks in 2015, most textbooks consisted of 9 sections of the limit function, and 4 blocks in total were designed because the teaching materials were designed as a block class. In each block, the instruction objectives were established and the instructional contents and the learning elements were set to meet the instructional goals. Based on this, the study developed teaching materials using engineering tools and mathematical history. The questionnaire as evaluation tool to verify teaching materials was designed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And it was conducted on 15 high school teachers including 5 in high school A, 3 in high school B, 2 in high school C, 1 in high school D, 1 in high school F, 1 in high school G, and 1 in high school H. It gave questionnaires and teaching material visiting each school and aftera certain period of time, it aimed to identify more in-depth whether there are some problems or good points. Taking the comments into account, the previous teaching material was revised. Each school visited, and gave teaching materials and questionnaires.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y returned the questionnaires and wanted to know more about what if there were any problems with the teaching materials that were designed. And to modify the designed teaching materials. The data developed by researcher was revised by a number of teachers and its applicability was also evaluated,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help teachers who teach the subject of limit of function with the designed teaching material in the near future. 본 연구는 함수의 극한 단원을 대상으로 한 교수‧학습자료 설계 사례 연구이다. 2009 개정 교육과정과 2015 개정 교육과정 및 교과서를 분석, 공학적 도구와 수학사를 활용하여 수업을 설계하였다. 수학교사들을 대상으로 구성한 자료에 대해 수업 평가 설문지를 실시하고 설문지 결과를 분석함으로서 설계한 수업의 실제 적용 가능성이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한다. 공학적 도구의 사용은 2007개정 교육과정부터 계속 강조를 해 오고 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경우 수학교과 역량으로 ‘문제 해결’, ‘추론’, ‘창의‧융합’, ‘의사소통’, ‘정보처리’, ‘태도 및 실천’을 강조하고 있는데, 이 중‘정보처리’능력이란 다양한 자료와 정보를 수집, 정리, 분석, 활용하고 적절한 공학적 도구나 교구를 선택하고 이용하여 자료와 정보를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능력이다. 공학적 도구로 계산기, 교육용 소프트웨어, 컴퓨터 등이 사용되고 있다. 2015 개정 교육과정 내 교수‧학습 방법 및 유의사항이나 평가 방법 및 유의사항에서 공학적 도구의 활용이 점점 자세히 서술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공학적 도구 활용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음이 보여 공학적 도구를 함수의 극한 단원 수업 설계 시 적용해보고자 하였다. 수업 설계 시 ADDIE 모형을 교수 설계 모형으로 택하였고 수업의 형태를 블록수업으로 구성하였다. ADDIE 모형은 분석, 설계, 계발, 실행, 평가 단계로 이루어져 있으며 단계에 따라 교수‧학습 자료를 구성하였다. 교수‧학습 자료 평가를 위한 수업 평가 설문지를 구성하였으며, 설계한 수업에 대한 적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수학교사들에게 자료에 대한 평가를 부탁하였다. 수업 적용 가능성과 결과물에 대한 교사의 평가를 알아보고 더 좋은 교수‧학습 자료를 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계하였다. 연구문제 Ⅰ. 함수의 극한 단원에서 공학적 도구 활용과 수학사를 바탕으로 한 수업은 어떻게 설계할 수 있는가? 연구문제 Ⅱ. 함수의 극한 단원에서 공학적 도구 활용과 수학사를 바탕으로 교수학습자료를 어떻게 제작할 수 있는가? 연구문제 Ⅲ. 함수의 극한 단원에서 공학적 도구 활용과 수학사를 바탕으로 설계된 수업의 적용 가능성은 어떠한가? 연구문제Ⅰ을 해결하기 위해 선행연구와 2009 개정과 2015 개정 교육과정, 시중에 나온 2015 개정 교육과정 〈수학Ⅱ〉 교과서 분석을 통해 함수의 극한단원에 대한 내용 요소와 목표, 교수‧학습 방법 및 유의사항이나 평가 방법 및 유의사항이 무엇인지 파악하였다. 2015 개정 교과서 분석 시 대부분의 교과서가 함수의 극한 단원을 9차시로 구성하였으며, 교수‧학습 자료 설계 시 블록수업으로 수업 설계를 하였기에 총 블록4개를 설계하였다. 각 블록마다 수업 목표 설계를 하였으며 수업 목표에 맞도록 수업내용과 학습요소를 설정하여 수업을 구체화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공학적 도구와 수학사를 활용하여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였다. 교수‧학습 자료를 평가받기 위한 검사도구인 설문지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설계하였으며 이를 서울시에 소재한 8개교 15명의 교사에게 실시하였다. 각 학교마다 사전 연락 후 방문을 하여 교수‧학습 자료와 설문지를 주고 일정한 시간이 지난 후 설문지를 돌려받고 설계한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문제점이 있다면 무엇인지 좋은 점이 있다면 무엇인지 더 자세히 알고자 하였으며 기존 설계한 교수‧학습 자료를 수정하고자 하였다. 연구자가 개발한 자료를 많은 교사들에게 검토를 받아 수정하였고 적용 가능성을 평가 받았기에, 설계한 교수‧학습 자료가 후에 함수의 극한 단원을 수업하는 교사들에게 도움이 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 중등학교 고경력 영어교사의 교사 정체성 변화과정 사례연구

        김자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고경력 영어교사들의 자기인식을 바탕으로 각 참여교사들이 학교 현장에서 어떠한 교사 정체성의 위기와 갈등을 마주하며 이를 각각 어떻게 극복하고 대응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그 과정에서 드러나는 고경력 영어교사 정체성의 특징을 설명함으로써 기존의 교사 정체성 논의를 확장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영어교사가 주요 교과 교사임에도 불구하고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고경력이 되어감에 따라 주변화된다는 특성에 주목하여 그들의 교과 교사 정체성을 이해할 필요가 있음에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고경력 영어교사들의 교사 정체성의 위기와 갈등, 극복과정을 구체적인 사례를 바탕으로 살펴봄으로써 이들의 정체성 변화과정과 그 특징을 파악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중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직 경력 25년 이상의 영어교사들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했으며, 수집된 자료를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목할 만한 특징은 연구에 참여한 연구참여자의 위치와 성격이 각기 다르다는 것이며, 영어과 수석교사와 일반 고경력 영어교사, 과거에는 영어교사였지만 현재는 진로진학교사인 세 교사들의 사례를 교차 분석함으로써 이들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중심으로 연구결과를 분석하고자 했다. 다음은 연구자가 제기했던 세 가지 연구문제이다. 첫째, 중등학교 고경력 영어교사의 교사로서 자신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둘째, 중등학교 고경력 영어교사는 교육상황에서 어떤 문제와 위기를 경험하는가? 셋째, 중등학교 고경력 영어교사는 여러 문제 및 위기상황에 각각 어떻게 대응하거나 극복하며, 이를 통해 드러난 중등학교 고경력 영어교사의 정체성 형성과정의 특징은 무엇인가? 첫 번째 연구결과에서 연구자는 참여교사들의 자기인식을 들여다봄으로써 각 연구 참여자들이 어떠한 배경에서 영어교사가 되기를 희망하였으며, 교직에 입문한 이후 현재의 위치에 오기까지 어떤 교육적 경험들을 겪었는가에 주목하였다. 연구자는 참여교사들이 각각 영어과 수석교사가 되기까지, 일반적인 엄마로서 고경력 영어교사로 삶을 살기까지, 진로진학으로 교과를 전과하기까지 어떠한 삶을 살았는지에 대한 삶의 궤적을 담고자 했다. 세 명의 참여교사들은 모두 영어교사로서 큰 자부심과 자신감을 갖고 있었으며, 스스로를 고경력 교사이면서도 ‘영어를 좋아하고 잘 가르치는 교사’라는 자기인식이 확고히 자리하고 있었다. 이러한 자기인식의 배경에는 참여교사들의 자발적인 자기계발의 노력이 있었으며, 구체적으로는 ‘전문적학습공동체’, ‘영어원서모임’, ‘영어회화공부’ 등이 참여교사들의 교과 교사로서의 자부심에 기여하고 있었다. 두 번째 연구결과에서는 참여교사들이 많은 부분에서 공통적인 정체성의 위기와 갈등,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참여교사들의 정체성 위기에는 크게 ‘고경력 교사로서의 어려움’과 ‘영어교사로서의 어려움’이라는 두 축이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먼저 고경력 교사로서의 어려움에는 참여교사들이 영어교사가 아님에도 고경력 교사이기 때문에, 즉 나이가 많기 때문에 겪을 수 있는 위기 요인들이 연구 결과 드러났다. 참여교사들은 모두 50대 교사들로, 학생들과의 소통이 어려워진 현실에 대해 토로했다. 학생들과의 세대차이 및 50대 교사에 대한 학생들의 낮은 선호도는 고경력 교사로 하여금 스스로의 교사 정체성을 부정하는 것으로 여겨지게끔 만들었다. 더 나아가 이러한 소통 거부의 문제가 수업에도 영향을 미치며 영어 수업에 대한 반감, 거부로 이어지는 것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또한 참여교사들은 나이가 들어가며 기본적인 체력이 떨어지는 것과 새로운 지식이 예전처럼 잘 습득되지 않는 체력적 ‧ 지적 한계에 대한 어려움을 내비쳤다. 마지막으로는 변화된 수업방식에 새로이 적응하는 것과 미디어를 활용하고 다루는 능력이 어려울 때 스스로의 교사 정체성이 위협받는다고 느끼고 있었다. 영어교사로서 겪는 어려움으로는 영어 교과가 트렌드를 따라야 하는 교과 특성이 있다는 점과 외적으로 드러나는 발음에 따라 교사들의 실력을 판가름 하고자 하는 학생과 학부모의 인식, 학교영어에 대한 불신 및 반감, 학습격차 등이 교사 정체성을 위협하는 요인으로 드러났다. 그 결과 참여교사들은 수업에 대한 자신감이 떨어지는 것 같다고 밝혔다. 더 나아가, 영어교과의 특성상 평가 스트레스가 크고 평가 및 수업에 대한 민원이 많으며, 영어과 업무와 관련된 행정업무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별도의 행정업무로 분류하지 않아 이중으로 부과되는 행정업무 체계에 대해서도 참여교사들은 힘들다고 토로했다. 세 번째 연구문제와 관련해서는 참여교사들이 교사 정체성의 위기와 어려움에 대해 각기 어떻게 대응하고 극복하는지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했다. 그 결과 교사들은 각기 다른 위기 극복 전략을 사용하고 있었으며 몇몇 교사는 수석교사가 되거나 진로진학으로 교과를 전과함으로써 위기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또 일부 교사는 스스로 교과 특성을 재이해하고 고경력 영어교사만의 강점을 찾음으로써 현재의 위치에서 최선을 다하고자 노력하기도 했다. 이러한 과정에서 드러난 고경력 영어교사의 정체성 형성과정을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특징은 고경력 교사의 교사정체성은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발전한다는 것이며, 두 번째 특징은 고경력 영어교사의 정체성 형성과정에는 독특한 특징이 있다는 것이다. 연구에 참여한 고경력 영어교사들의 교사 정체성은 교직 경험이 쌓이고 교사들이 마주하는 여러 상황에 따라 변화하는 특성을 보였다. 교직에 입문하기 이전부터 초임교사 시절, 그리고 지금의 경력교사가 되기까지 교사들의 정체성은 고정된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었으며, 과거의 교직경험이 현재의 교사 정체성에 영향을 미치고, 또 현재의 교사 정체성이 교사들의 교육실천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대부분이 교사발달의 과정에 속해 있었는데, 앞서 이론적 배경에서 살펴봤던 TCCM 교사발달 사이클 모델과 비교하였을 때 참여교사들의 사례 역시 몇 가지 주목할 만한 교사발달 단계의 특징을 보이고 있었다. 참여교사들은 대부분 TCCM 교사발달 사이클 중 5단계인 ‘직업적 좌절’ 단계와 6단계인 ‘안정 및 침체’ 단계에 해당하고 있었다. 각 참여교사들은 교사발달의 단계 내에서 나름의 위기와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고, 이러한 정체성 위기에 대응하고 극복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고 있었다. 고경력 영어교사의 정체성 형성과정의 두 번째 특징은 교사들이 각기 다른 전략을 사용하여 위기와 문제에 대응하고 있다는 점이다. 참여교사들은 수석교사나 진로진학교사와 같이 새로운 위치 또는 새로운 교과 교사로 거듭나거나, 또는 기존의 영어 교과 교사의 정체성을 강화하는 방식으로 위기를 극복하고 있었다. 이를 종합해보면, 교사들은 정체성의 위기와 갈등을 마주했을 때 문제 상황에 주저하고 좌절하는 것이 아니라, 이를 극복하기 위해 여러 가지의 전략을 사용하고 있었으며 이를 성공적으로 극복해내기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즉, 참여교사들은 위기를 딛고 새로운 교사로서의 성장을 도모하기 위해 나름의 노력을 수행하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주요 교과 교사이지만 고경력이라는 특징이 더해짐에 따라 교사 정체성의 위기를 겪는 중등학교 고경력 영어교사들의 정체성 형성 및 변화과정을 들여다봄으로써 교과 교사 정체성 논의를 더욱 확장시켰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더 나아가 많은 수의 현직 영어교사들이 스스로의 교사 정체성에 대해 미리 고민하고 여러 위기와 문제 상황들에 대해 대비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연구 의의를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elf-awareness of highly experienced English teachers and how each participating teacher faces the crisis and conflict of teacher identity in the school field and to figure out how they overcome and respond to it. In addition, by expla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identity of a high-experienced English teacher revealed in the process, I intend to expand the existing discussion on teacher identity. The necessity of this study was raised becaus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identities of teachers, paying attention to the characteristics that English teachers are marginalized as they get aged and become more experienced despite being the main subject teachers. For this, the researcher tried to understand the identity change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high-experienced English teachers by examining the crisis, conflict, and overcoming process of teacher identity based on specific cases. For this purpos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nglish teachers with more than 25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in secondary school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ased on the research questions. A noteworthy feature of this study is that the pos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are different. The study results were analyzed focusing on their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by cross-analyzing the cases of the chief English teacher, general high-experienced English teacher, and the teacher who used to be an English teacher but is now a career teacher. The researcher raised the following three research questions: First, how do you perceive yourself as a high-experienced English teacher in secondary schools? Second, what kind of crises and problems experience high-experienced secondary school English teachers in educational circumstances? Third, how do high-experienced English teachers in secondary schools respond to or overcome various problems and crisis, and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cess of forming the identity of high-experienced English teachers in secondary schools? In the first study result, the researcher looked into the self-awareness of participating teachers, and paid attention to what kind of background each study participant hoped to become an English teacher, and what educational experiences they had from entering the teaching profession to reaching the present position. The researcher tried to capture the life trajectory of each participating teacher; One teacher became the chief English teacher, the other teacher was living as a general high-experienced English teacher as a mother of two sons, and the last teacher was living by transferring subjects to career courses. All three participating teachers had great pride and confidence as English teachers, and although they were high-experienced teachers, their self-awareness was firmly established as a ‘teacher who loves and teaches English well'. In the background of this self-awareness, the participating teachers made voluntary self-development efforts, and specifically,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English book reading study', 'English conversation study' etc. contributed to the self-esteem of participating teachers as English subject teachers. In the second study result, participating teachers were experiencing similar identity crises, conflicts, and difficulties in many areas. The identity crisis of participating teachers was largely influenced by two axes: 'difficulty as a highly experienced teacher' and 'difficulty as an English teacher'. First, as for the difficulties as highly experienced teachers, the study revealed the risk factors that the participating teachers may face because they are highly experienced teachers, that is, they are old, regardless of whether they are English teachers or not. All of the participating teachers were in their 50s, and they spoke about the reality that communication with students has become more difficult. The generation gap with students and the students' low preference for old teachers in their 50s made high-experienced teachers to be considered as denying their own teacher identity. Also, one participating teacher pointed out that the problem of students' refusal to communicate with teachers can also affect the class and therefore it causes antipathy and rejection of English classes. In addition, the participating teachers had difficulties with the decrease in basic physical strength as they get older, and difficulties with physical and intellectual limitations in which new knowledge is not acquired as well as in the past. Lastly, they felt that their teacher identity was threatened when it was difficult to adapt to the changed teaching method and to use and deal with the media correctly.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as an English teacher include the fact that English subjects have peculiar subject characteristics that must follow trends, the perceptions of students and parents who try to judge teachers’ abilities based on external English pronunciations, and distrust and antipathy toward school English. These were found to be a severe threat to the teacher identity. As a result, the participating teachers revealed that they tend to have lower confidence in their classes. Furthermore, the teachers appealed that it was difficult because the evaluation stress was so high due to the nature of the English subject. There were many complaints about evaluation and classes, and there were many administrative tasks related to the English department, but it was not classified as a separate administrative task. Regarding the third research question, I tried to examine how each teacher is overcoming these difficulties. As a result, teachers used different strategies; Some teachers overcame the crisis by becoming chief English teachers or transferring a subject to career course, while others tried to re-understand the subject characteristics of English and to find the strengths of high-experienced English teachers. By doing so, all three participating teachers tried to do their best in their current posi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identity formation process of high-experienced English teacher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first characteristic is that the teacher identity of high-experienced English teachers is constantly changing and developing, and the second characteristic is that there are unique characteristics in the identity formation process of high-experienced English teachers. The teacher identity of the high-experienced English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showed a characteristic that changed according to the various situations the teachers faced as they accumulated teaching experiences. From before they entered the teaching profession, when they were beginning teachers, and until they became experienced teachers, the teacher identities were not fixed but constantly changing. Plus, past teaching experiences influence the present teacher identity, and the present teacher identity influences teachers' educational practice. In addition, most of them belonged to the process of teacher development. Compared with the TCCM teacher development cycle model examined in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e cases of participating teachers also showed some notable characteristics of the teacher development stage. Most of the participating teachers were in the 5th and 6th stage of the TCCM teacher development cycle, the ‘occupational frustration’ stage, and the ‘stabilization and stagnation’ stage. Each participating teacher was experiencing their own crises and difficulties within the stage of the teacher development, and they were working diligently to cope with and overcome this identity crisis. The second characteristic of the identity formation process of high-experienced English teachers is that teachers use different strategies to respond to crises and problematic situations. Participating teachers were overcoming the crisis by rediscovering themselves into new positions or as new subject teachers, such as chief English teachers or career teachers, or by reinforcing the identity of existing English teachers. In short, when faced with identity crises and conflicts, teachers did their best to overcome them successfully by using various strategies without any hesitation or frustration with the problematic situations. In other words, it can be said that participating teachers were making their own efforts to overcome the crisis and promote growth as a teacher with the new teacher identit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further expanded the discussion of teacher identity by looking into the identity formation and change process of high-experienced English teachers in secondary schools who are experiencing a crisis of teacher identity. Furthermore, the study has significant research implication in that it allows a large number of English teachers to think about their teacher identity in advance and prepare for various crises and problematic situations in the spot of education.

      • 고강도 레이저 치료를 병행한 경피 신경 전기 자극과 초음파 치료가 손목 터널 증후군 환자의 통증, 악력 및 손 기능에 미치는 영향

        김자원 삼육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손목 터널 증후군 수술 환자에게 고강도 레이저와 경피 신경 전기 자극 및 초음파 치료를 적용하여 손목 터널 증후군 수술 환자의 통증, 악력 및 손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연구의 대상자는 연구 조건을 충족하는 손목 터널 증후군 수술 환자 30명 중에 고강도 레이저를 병행한 경피 신경 전기 자극 치료군 10명, 고강도 레이저를 병행한 초음파 치료군 10명, 대조군 10명을 제비뽑기로 무작위 배치하여 각 그룹을 배정 하였다. 손목 터널 증후군 수술 환자에게 고강도 레이저를 병행한 경피 신경 전기 자극 치료 및 초음파 치료를 수술 부위 주변부에 적용하였으며 치료에 따른 전 후 변화를 평가하였다. 통증을 평가하기 위해 정량형 통증 순위 척도(NPRS)를 사용하였다. 손 증상을 평가하기 위해 6항목 손목 터널 증후군 증상 척도(CTS-6)와 보스턴 손목 터널 증후군-증상 심각도 척도(BCTQ-SSS)를 사용하였다. 악력은 전자 악력계로 평가하였고, 손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보스턴 손목 터널 증후군-기능 상태 척도(BCTQ-FSS)를 사용하여 평가를 진행하였다. 고강도 레이저를 병행한 경피 신경 전기 자극 치료군, 고강도 레이저를 병행한 초음파 치료군, 대조군 모두 2주간 총 7회 치료를 하였다. 그 결과 모든 대상자는 치료 전 보다 치료 후에 통증 및 증상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05) 악력 및 손 기능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p<0.05). 고강도 레이저를 병행한 경피 신경 전기 자극 치료군과 고강도 레이저를 병행한 초음파 치료군이 대조군 보다 통증은 유의하게 감소 하였고(p<0.05) 악력은 유의하게 증가되었다(p<0.05). 고강도 레이저를 병행한 경피 신경 전기 자극 치료군이 대조군 보다 손 증상은 유의하게 감소 하였으며(p<0.05) 손 기능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따라서 고강도 레이저를 병행한 경피 신경 전기 자극 치료가 고강도 레이저를 병행한 초음파 치료보다 손목 터널 증후군 수술 환자의 통증, 증상을 줄이고 악력과 손 기능을 높이는 데 기여했음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임상에서 더욱 긍정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주요어 : 경피신경전기자극, 레이저치료, 손목터널증후군, 초음파치료

      • 내부자에 의한 기술유출 징후 평가기술 개발 연구

        김자원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내부자 위협은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으며, 조직의 큰 피해를 입히고 있다. IBM(2016)의 조사에 따르면, 조직에서 발생한 기술유출 사고의 60%가 내부자에 의한 기술유출사고로 조사되었으며, 내부자에 의해 발생한 기술유출 사고 중 75%는 악의적인 내부자에 의해 기술유출이 발생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내부자는 주요 기술의 위치 및 접근 방법을 상세히 알고 있고, 조직 내부에서 행하는 행위가 기술유출을 위한 행위인지 업무수행을 위한 행위인지 구분하기 어려운 특성이 있어 조직에서의 보안관리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내부자에 의한 기술유출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내부자 유출방지를 목표로 하는 보안 솔루션들이 등장하고 있지만, 상용되고 있는 보안 솔루션은 룰 기반의 정책설정을 통한 유출행위 탐지 방법을 사용하여 오탐, 과탐, 미탐 등 효율적인 기술유출 방지에 어려움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직원들 중 누구를 먼저 관리대상으로 우선 선정해야하는지, 보안 이벤트 중 어떤 이벤트를 먼저 처리해야 하는지 상대적 우선순위 설정이 가능한 경제적 효과성을 확보한 내부자 관리 방식을 제안한다. 더 나아가, 유출행위 기반의 위험도 산정을 수행하고, 위험도 기반의 군집분석을 수행하여, 내부자에 의한 정보유출 위험 수준을 도출한다. 더 나아가 기존 조직에서 내부자에 의한 기술유출 방지를 위해 사용하고 있는 보안 솔루션은 보안관리자에 의한 상향 접근 방식의 룰 기반 정책설정을 통한 유출행위 탐지를 진행하여 한계가 발생하고, 효과적인 기술유출 방지에 어려움이 존재하는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유출행위 유형화 작업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물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연구의 기여는 선행연구에 비해 더 많은 기술유출행위를 식별하고 그 위험도를 구했다는 것에 있으며, 추가적으로 보안 데이터 분석을 통해 군집화 분석을 수행하여 도출한 위험도를 기반으로 유출자 군집의 적합성을 검증하였다는 점에 있다. 더불어, 유출위험 행위들을 전자적 탐지 방법을 통한 식별 여부를 조사하여 향후 디지털 포렌식 기반의 유출행위 탐지 연구의 기반을 마련하였다는 점이 본 연구가 갖는 기여라고 말할 수 있다. 더불어, 확인적 요인분석 방법을 통해 기술유출 행위 유형화를 수행하여 타당성을 갖는 유출 시나리오 조합을 가능케 하였다는 점 또한 선행연구와 다른 본 연구의 차별점 및 기여이다. 본 연구가 갖는 한계는 분석을 수행한 보안 데이터가 합성 데이터라는 점이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일부 실 데이터를 적용하였으나, 전체 데이터를 확보하지 못한 점이 한계점으로 말할 수 있으며, 향후 연구로 실제 업무수행 환경에서 발생되는 보안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적용해보는 것에 있다. 또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를 토대로 하향 접근 방식의 기술유출 시나리오 생성 및 실데이터 수집 및 분석을 통한 유출징후에 대한 타당성 검증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sider threats are constantly occurring and are causing great damage to organizations. According to a survey, IBM (2016), 60% of technology leakage incidents that occurred by insiders. Among the technology leakage incidents by insider threats, 75% of incidents caused by malicious insiders. The insiders know the location and access method of main technology files. So, the insiders have difficulties in security management in organizations. Because, they have characteristics that make it difficult to distinguish whether the behaviors performed by the insider are for technology leakage or for business. In order to minimize the risk of technology leakage by insiders, security solutions for preventing insider leakage are emerging, but existed security solutions use a leakage behavior detection method through rule-based policy set up, that is to be analyzed is limited. As the number of security alert increases, false positives increase, security tasks is also increase, because of excessive detections such as unprocessed security events and alarms. Therefore, in this study, I propose an insider threats management method considering economic effectiveness. The proposed methodology can identify which members of the organization should be prioritized for management and which of the security events should be handled first. Through risk analysis based on security data cluster, the proposed methodology can calculate the risk level of each users. The existed security solution to prevent technology leakage by insiders has limitations such as detecting leakage behavior. Because, they use the method top-down rule based policy by security managers. The method is too heuristics for systematic management.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this study categorize the user behavior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identified more thechnology leakage behaviors compared to previous studies. And also this study calculated the risk of each behaviors. Through security data anlaysis, the security level was properly derived at test dataset and real data. In addition, this study confirmed leakage behavior detection method through digital forensic technology. The method will be able to foundation for future research. Moreover, the difference of this study is that it enabled a combination of leakage behaviors scenarios with secured feasibility through performed categorization wit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method.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e analyzed dataset was synthetic data. So, this study overcome this limitation applied real data. In future work, I should have collect the real user behavior data and then, apply again the real data with proposed method in future. Also, based o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sults, future work can be use bottom-up way to make a technology leakage scenario.

      • 기업 사옥의 외관디자인이 기업 호감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신입사원 지원자를 중심으로

        김자원 홍익대학교산업미술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Industrial advancement in modern society and the development of marketing strategies have lessened the disparities in quality between corporate products and services. Now, consumers are more responsive to the visual and emotional aspects in purchasing commodities. Considering that human beings obtain 83% of all outer information through the eyes, it seems natural that design, as part of immaterial corporate resources, performs determining role in building corporate image. Corporate image is to be constructed not by a single factor but by a variety of complicated elements. Out of the numerous elements, this study focuses on exterior design of the building of a company and its influence on corporate image. The office building of a company is one of the most effective media for corporate publicity. Nowadays, companies try to express their unique corporate identities by applying various changes to their company buildings. A unique building style evokes curiosity about the company in the minds of passengers, residents living nearby the building, and even potential customers: the curiosity is likely to develop into interest in the company. Moreover, the unique style of the building makes the employees have the sense of corporate pride, which, in turn, facilitates the development of the company.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value of the company building design as an instrument of corporate publicity. To do this, it investigates the degree to which exterior design of a company building generates favorable impression among the applicants of the company, and the ways in which the favorable impression influences on the applicants' attitudes when applying for the company and on the association and symbolism that customers have from the exterior building design. This study consists of two parts. The preliminary research is literature review. The second research is based on the results of questionnaire asked to new graduates of professional schools, colleges, and universities. SPSS ver 13.0 is used to analyze the answers to the questionnaire, while frequency analysis that calculates frequency and percentage is used to analyze the demographic statistical factors and the applicants' perception of and desire to work for a particular company. To test the validity of measuring tools and measuring variables, Cronbach's Alpha value, which enables us to examine the inner consistency for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verification, is applied. In addition, to analyze the distribution of each variable,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is utilized, whereas t-verification and distribution analysis are enacted to illuminate the demographic statistical factors and the differences in the empirical variables such as the times that an applicant sought information regarding the location and environment of a company building. Finally, regression analysis is used to test the original premise.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those who had interest in company building and investigated its location, working environment, and facilities accounted for 48.8% of all of the applicants who are about to graduate from school. On the other hand, those who did not conduct such research comprised 51.2% of all respondents. Therefore, the interest in company building turned out to be relatively strong. Second, the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exterior design of company building on the impression of the company shows that favorable impression of a company increases in proportion to the degree of favorable impression of the exterior design of the company building. Third, the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exterior design of a company building on the association and symbolism related to the company shows that the favorable impression of the building design makes direct impact on the company's symbolic aspects such as corporate culture, corporate character, and corporate vision. Fourth, the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favorable impression of the exterior design of company building on the applicant's decision to apply for the company shows that the answer "moderately agree" accounts for 35.3% and the answer "agree" occupies 31.3; therefore, the above-average number of the applicants takes into consideration the exterior design of a company building. Outstanding exterior designs invite more applicants and influence on their decision to apply for the companies that have attractive office buildings. Furthermore, when a company building is prominently and characteristically designed, the employee are likely to think their company as culturally superior, which makes them feel proud. This study proves that the exterior design of a company building is the instrument by which to make favorable impression and far-reaching symbolism of the company, and that the building design enhances the immaterial value of the company. However, the scope of this study is limited to the company applicants. Further studies about the social impact of company building design are to be conducted in relation to customers, local residents, and employees. 현대 사회의 산업발전과 마케팅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기업들 간의 품질 및 서비스의 차이가 좁아졌다. 이로 인하여 소비자들은 제품의 선택에 있어 시각적이고 감성적인 측면에 더 비중을 두고 있다. 인간이 모든 정보의 약 83% 정도를 눈을 통해 받아들이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 보면 디자인이 기업 이미지 성패를 좌우하는 무형자산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기업의 이미지란 어떤 한 가지 요인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이 아니고 여러 가지 복합적인 요소에 의하여 형성 되는 것이며 여러 요소 중에서 본 연구자가 관심 있어 하는 부문이 바로 사옥을 기업 홍보 수단의 한 부분으로서 외관 디자인이 기업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것이다. 기업 사옥은 최상의 기업 홍보 매체로서 매우 효과적인 수단이 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현대의 기업들은 사옥의 외관디자인에 많은 변화시도와 자신들 만의 아이덴티티를 표현하고 있다. 이것은 주변을 통행하는 통행인이나 사옥 인근 주민은 물론 소비자들에게 까지도 호기심을 불러일으키게 되며 이것은 기업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지게 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사옥은 내부적으로는 구성원들에게 자긍심을 부여함으로써 기업 발전의 원동력이 될 수도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사옥이 기업 홍보의 수단으로서의 가치를 확인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신입사원 지원자를 중심으로 입사를 희망하는 기업의 사옥 외관디자인이 기업 호감도에 영향을 미치는지와 이렇게 형성된 호감도가 입사 지원 시 태도에 영향을 끼치는지 또한 사옥 외관디자인의 호감도가 기업의 연상, 상징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과 자료조사 등 1차 조사를 하였으며 졸업을 앞둔 전문대학, 대학교, 대학원 졸업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한 2차 조사 등 실증 조사를 병행하였으며, 자료의 분석방법으로는 SPSS ver 13.0을 사용하였으며, 표본의 인구 통계적 요인과 기업 입사의사 및 인식에 대해서는 빈도수와 백분율을 산출하는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측정도구 및 측정변수의 타당성 검증을 위하여 요인분석,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내적일관성을 분석할 수 있는 Cronbach's Alpha값을 사용하였다. 또한 각 변수의 분포를 분석하기 위하여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인구통계적 요인과 입사하고 싶은 기업의 사옥에 대해 알아본 경험별 변수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t검증과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가설의 검증을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졸업을 앞둔 신입사원 지원자는 입사를 원하는 기업의 사옥에 대해 관심을 갖고 사옥의 위치나, 근무환경, 시설 등에 대해 알아본 적 있다가 48.8%로 나타났으며 알아 본 적 없다가 51.2% 나타나 사옥에 대한 관심이 비교적 높은 것으로 확인 되었다. 둘째, 기업 사옥의 외관디자인에 대한 호감도가 기업 호감 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 본 결과 기업 사옥의 외관디자인에 대한 호감도가 높을수록 기업에 대한 호감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업 사옥의 호감도가 기업의 연상, 상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사옥 외관디자인에 대한 호감도가 높을수록 기업의 문화와 기업 성격, 기업 비젼 등 기업의 상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기업 사옥의 외관디자인에 대한 호감도가 입사지원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다소 그렇다가 35.1%, 보통이다가 31.3%로 보통 이상으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옥의 외관디자인이 우수 할수록 기업에 대한 호감도가 높아져 입사지원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 되었다. 또한 기업 사옥의 외관디자인이 우수하거나 차별화된 디자인일수록 기업에 대해 문화적으로 우수하다고 느껴지며, 자긍심이 생기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 확인 되었듯이 기업 사옥의 외관디자인은 사람들의 기억 속에 기업을 연상시키고 호감을 주는 기업의 상징이 될 수 있는 도구이며 기업의 가치를 높일 수 있는 수단으로써 소비자의 기업 인식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 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입사 지원자들을 대상으로 한 협소한 연구에 국한 했으며 앞으로 소비자 대상이나 주변 지역 주민대상, 또는 사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지속되기를 기대해 본다.

      • 제 2형 당뇨병환자에서 대사증후군의 진단기준에 따른 유병률의 비교와 미세단백뇨의 연관성

        김자원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1988년부터 세계적으로 일치된 대사증후군을 정의하고자 하는 노력이 계속되었으나, 아직도 진단기준마다 구성요소 각각의 기준과 이를 조합하는 방법에 차이가 있다. 최근 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IDF)에서는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Adult Treatment Panel III(ATP III)의 진단기준을 기본적으로 따르지만, 인슐린 저항성을 반영하는 복부비만을 필수조건으로 강조하였고, 인종적 차이를 반영한 기준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국내외 연구에서 새로운 IDF 기준에 대한 유용성과 임상적 의의에 대한 논란이 있다. 최근 미세단백뇨는 현성단백뇨의 전단계일 뿐 아니라 심혈관계 질환과 사망의 독립적 예측인자로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전부터 심혈관 질환의 지표로 알려진 대사증후군과 그 구성요소와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가 있어 왔으나, 미세단백뇨의 유병율이 높은 제2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의 국내보고는 없다. 본 연구에서는 단면적 연구방법으로 250명의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IDF와 ATP III를 적용하여 대사증후군과 그 구성요소의 유병율을 조사하였다. 또한 대사증후군 환자에서 미세단백뇨의 유병율과 대사증후군의 구성요소와 미세단백뇨와의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IDF에 의한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은 58.4%, ATP III에 의한 경우 72.4%로 나타났다. 복부비만이 없어 ATP III 기준으로 대사증후군으로 진단되었으나 IDF 진단기준을 만족하지 못한 환자는 14%로 조사되었다. IDF와 ATP III에 의해 대사증후군으로 진단된 환자에서 미세단백뇨의 유병률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미세단백뇨의 위험도(odds ratio)는 각각 1.905(p=0.030), 2.335(p=0.014)로 증가하였다. 대사증후군의 구성요소에서는 고혈압만이 미세단백뇨의 위험도가 1.891(p=0.022)로 독립적인 위험인자였고, 구성요소의 수가 3개이상 증가할수록, 보정된 미세단백뇨의 위험도는 각각 2.427(p=0.043), 3.618(p=0.028), 4.394(p=0.015)로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복부비만의 유병률이 낮은 한국인에서 IDF 기준보다 ATP III 기준이 미세단백뇨의 발생을 예측하는데 더 적합하다고 생각한다. 또한,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미세단백뇨 관리에 있어 고혈압뿐만 아니라, 대사증후군의 조기진단 및 그 구성요소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novel block copolymer; Poly(L-lactic acid-block-γ-amino butyric acid)

        김자원 부산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효과적인 약물방출을 위한 약물전달시스템에서 고분자 전달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대표적인 전달체로 사용되는 고분자로는 생분해성 고분자로서 생체 내에서 젖산으로 분해되는 poly(L-lactic acid) (PLA)가 있다. Poly(γ-amino butyric acid) (PGABA) 는 γ-amino butyric acid (GABA)를 단량체 단위로 하는 polyamide 계열의 고분자이다. PGABA의 단위 구조인 GABA는 자연계에 분포하는 비단백질성 아미노산으로 포유동물의 중추신경계에 작용하는 억제성 신경전달 물질이며, 의약품으로는 갱년기 장애, 치매, 우울증 등의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이 논문은 신경 전달 물질인 GABA 또는 GABA 유도체가 체내에서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약리작용이 가능한 새로운 약물전달체를 위하여, GABA를 단량체로 하여 L-lactic acid의 중합체에 자가개시 (self initiation) 방법에 의해 Poly(L-lactic acid-block-γ-amino butyric acid) 블록공중합체를 합성하였다. 합성방법은 stannous octoate를 촉매로 한 L-lactic acid의 개환중합을 통하여 poly(L-lactic acid)를 합성한 후, 그 말단에 탈수소화 된 2-pyrrolidone을 연결하여 2-pyrrolidone 개환 중합에 의한 공중합이 가능한 자가개시의 전구체를 준비하였고, 여기에 Na+에 의해 활성화된 2-pyrrolidone을 부과하여 개환중합반응에 따른 poly(L-lactic acid-block-γ-amino butyric acid) 블록 공중합체를 합성하였다. 합성한 블록공중합체의 분자구조는 FT-IR 과 1H-NMR을 통하여 확인하였으며, X선 회절법에 의해 블록공중합체의 결정성을 조사하였다. 이 블록공중합체는 두 종류의 블록이 각각의 고유결정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블록 공중합체의 표면에너지는 친수성인 PGABA 블록의 길이가 감소할수록 증가하였다. 라이소자임에 의한 블록공중합체의 생분해성은 PGABA 블록의 상대적 비율에 따른 영향이 컸으며, PGABA의 블록의 길이가 길수록 분해성은 느려졌다. 약물로서 함유된 GABA의 방출 실험에서는 PGABA 블록의 길이가 길수록 감소하였다. 그 결과, 새롭게 합성된 Poly(L-lactic acid-block-γ-amino butyric acid)는 GABA의 약물전달체 뿐만이 아니라 기능성 생체재료로서의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 지방자치단체의 항만관리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 부산신항만을 중심으로

        김자원 동아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예로부터 물자가 가는 곳에 사람이 가고, 사람가는 곳에 돈이 모인다고 하는데, 부산은 해양과 대륙의 경계지점으로서 태평양과 유라시아 대륙의 물류의 핵심 결절점이 되는데 손색이 없다. 최근 들어 부산은 동북아경제중심국가를 지향하고 있는 참여정부의 출범으로 인해 과거 그 어느 때보다도 물류중심지로 부상하기 위하여 노력을 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으로 현재 세계 3위의 부산항은 여태껏 쌓아온 노하우로 미루어볼 때 앞으로도 경쟁력을 유지할 것이라는 것이 보편적인 생각이다. 그러나 세계 각국 특히 부산과 인근한 중국 상해항, 일본의 고베항 등의 동북아항만의 항만건설 계획으로 볼 때 지금의 현실에 안주하기보다는 보다 나은 항만환경과 항만건설, 항만운영으로 세계를 선도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요청에 따라 세계적 브랜드 부산항이 지속적인 우위를 점하기 위해서 부산광역시 강서구 송정동에서 경상남도 진해시 용원동 일원에 1995년부터 부산신항만을 건설하고 있으며, 부산항만공사 출범을 목표로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여 왔으며 이제 그 결과가 가시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항만공사는 알다시피 항만의 운영관리를 중앙정부 통제방식에서 벗어나 지방자치단체가 참여하는 기업형 항만관리체제를 갖춤으로써 항만의 효율을 극대화 하는 방식으로 세계적인 항만이 모두 이용하는 방식이다. 부산신항만이 2006년부터 개장하게 된다면 빠르면 올해 연말에 출범할 부산항만공사는 세계적인 부산항을 만드는데 일조 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이러한 기대감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우려사항이 발생될 조짐이 있다. 그것은 과거와 달리 지방자치단체가 항만의 운영에 관여할 수 없었던 상황에서 이제는 지방자치단체가 참여함으로써 "황금알을 낳는 거위"로 불려지는 컨테이너항만의 관리에 관심을 가질 수밖에 없는데, 우려의 소지는 부산신항만의 행정구역 분쟁으로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왜냐하면 부산신항 중 북컨테너부두(89만평)와 북컨항만관련단지(93만평)로 구성된 북항 182만평은 항만의 가치를 인식한 양 지방자치단체가 부산신항 건설 후 서로 많은 면적을 차지하기 위하여 각기 유리하도록 도시계획을 설정하였기 때문이다. 즉, 동일한 구역에 도시계획구역을 변경한 내용을 포함한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 진해시의 도시계획구역변경을 건설교통부가 1996년 12월에 각각 승인하였기 때문이다. 결국 건설교통부 장관의 승인으로 고시한 도시기본계획이 배후부지 93만평중 19만평과 컨테이너터미널 82만평중 26만평이 중복승인되어 지방자치단체간에 갈등이 유발되고 있다. 행정구역뿐 만 아니라 항만운영에 관해서도 양 지방자치단체가 첨예하게 이해관계 대립하고 있는데, 양 지방자치단체는 부산신항의 관리권을 각각 주장하고 있다. 부산광역시의 경우는 부산신항의 모든 구역을 항만공사의 관리범위로 하는 안을 제안하고 있고, 경상남도의 경우 진해시 행정구역은 별도의 항만공사를 제안하고 있다. 이럴 경우 극한상황으로 치달으면 부산신항은 행정구역에 따라 동일한 컨테이너항만에 2개의 항만공사가 관리하는 최악의 항만운영이 예상된다. 따라서 지방화 시대에 맞는 새로운 항만관리제도인 항만공사가 제대로 출범도 하기 전에 지방자치단체의 첨예한 이해관계 대립으로 부작용을 불러일으킬 소지가 있어, 이해상충 되는 부산신항의 관리운영 방안이 시급히 검토되어야 할 시점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다계층 의사결정방법의 일종인 AHP 방법을 이용하여 부산신항만의 바람직한 관리방안을 모색하였다. 5인의 전문가에 의해 선정된 최적의 방안은 공동 PA 즉, 부산시 및 경상남도가 공동으로 참여하는 단일한 항만공사를 설치하는 것이 선정되었다. 이것은 항만자치의 원칙에 충실하고 복수의 행정구역이 존재하는 부산신항의 관리방안으로 전문가들이 가장 선호하는 형태로 나타났다. 그러나 AHP 방법론 이외에도 많은 의사결정방법론이 있고, 평가요인이 달라진다면 다른 결과를 예측할 수 도 있기 때문에 보다 많은 검토가 이루어져서 부산항의 국제경쟁력을 높여야 할 것이다. From old times, it has been said that people may go if there are supplies, and money may be saved in the place where people go. Busan, a borderland between the seas and continents, is in no way inferior to other ports to be the key node of logistics in the Pacific Ocean and Eurasia continent. Recently, Busan makes more efforts than ever before to leap into the center of logistics due to the launch of "Participatory Government", which is intending to be the central country in Northeast Asian economy. Judging from the fact that Busan, the world no. 3 port, has the know-how accumulated with those efforts, it is generally thought that it keep up its competitive power in the future. Yet, considering the construction plans of ports in each country, especially Northeast Asia such as Sanghai in China--which is near Busan--and Kobe in Japan, it may be necessary to endeavor to lead the world in a better port environment, port construction and port operation rather than to be simply content with the status quo. Along this demand, Busan port, one of the world's leading brands, is trying to gain continuous ascendency, constructing a new port all over the places from Songjeong-dong Gangseo-gu Busan Metropolitan City to Yongwon-dong Jinhae-si Kyongsangnam-do from 1995. In addition, diversified efforts have been made to set the goal at launching the construction of Busan harbor, and now it reaps tangible results. As people know, the way of constructing port is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port by having enterprise-type port management system in which local governments participate, which is a way used by the whole world famous ports, getting out of the control system conducted by the central government. If the new port opens in 2006, it is expected that the construction of Busan port, scheduled to be started in the end of the year if it is possible, may be a help to make Busan port world-famous. Notwithstanding the expectation, however, there are some bad signs. Indeed, there are much possibilities that disputes relating to the administrative districts in Busan new port may occur, because the situation has been changed so that local governments participate in and are naturally concerned about the management of container port, so-called "golden goose", contrary to the past when the local government could not take part in the operation of port. For that reason, both the local governments, which acknowledged the value of the new port, set up the urban planning in order that the situation can turn to their own advantage to try to occupy more size of northern port(18.2 million pyong) consisting of north container wharf(8.9 million pyong) and north container port complex(9.3 million pyong) each other after finishing the construction of Busan new port. That is, the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respectively approved the alteration of district of the development plan for cities of both Busan metropolitan city and Jinhae-si Kyongsangnam-do in the same district in December 1996. After all, with the result that 1.9 million pyong out of 9.3 million pyong in the rear site of and 2.6 million pyong out of 8.2 million in container terminal were approved duplicately in the basic urban planning notified through the approval of the minister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trouble is arising between the governments. Even in the operation of port as well as the administrative district, both the local governments are in a state of sharp confrontation with each other, insisting on the right of management of Busan new port. Busan metropolitan city suggests the plan that all the districts in Busan new port be included into the sphere of management of the harbor construction, while Kyongsangnam-do suggests a special port construction plan of the administrative district of Jinhae-si. In this case, it is expected, when worst, that two port constructions may manage Busan new port in the same container port according to the administrative district. Thus it is time to examine measures for the management and operation of the new port in Busan--where there is contradiction--as soon as possible, for the harbor construction of the new port management system suitable to the localization age can arouse serious antagonism between the local governments even before getting off the ground. Accordingly, this study tried to find advisable management measures for Busan new port using the AHP method which is a kind of multi-layer decision making methods. As the optimum measures selected by 5 professionals, joint PA, that is, establishing single harbor construction in which Busan-si and Kyongsangnam-do take part in conjunction, was selected. This is a management measure for Busan new port--this is the type that experts favor more than anything else--which is substantial to the principle of self-administration of port and where there are plural administrative districts. However,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Busan harbor by conducting a further investigation, because there are many decision making methodologies in addition to the AHP methodology and other results can be expected in case evaluation factors change.

      • 중소형 의료기관을 위한 보안관리 평가모형 설계 연구

        김자원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4차 산업혁명의 도래로 인해 융합서비스 환경으로 변화함에 따라 융·복합적인 새로운 보안위협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중소형 의료기관 또한 비즈니스 환경을 고려한 특화된 보안을 필요로 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급 종합병원의 경우, ISMS 인증 의무화를 시작으로 보안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실제 수행에 옮기고 있으나, 중소형 의료기관은 인적 경제적 부담으로 보안에 대한 중요성은 인식하나 수행에 옮기지 못하고 있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의료기관 보안 특성을 도출하고 중소형 의료기관의 현장조사를 통해 중소형 의료기관 보안 특성과 현황을 조사하였다. 이러한 중소형 의료기관 보안 특성을 기반으로 중소형 의료기관을 위한 보안관리 평가모형을 설계하고 검증하였다. 설계를 위해 현존하는 의료기관 관련 보안관리체계, 평가 인증 체계 비교분석을 수행하였고 본 논문에서 제안한 보안관리 평가 모형과 공유정도 또한 확인하였다. 또한 제안하는 중소형 의료기관을 위한 보안관리 평가모형의 통계적 검증을 위해 적합·타당성 검증을 수행하였고, AHP 분석을 통한 상대적 우선순위 분석을 수행하여 항목별 가중치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중소형 의료기관이 실제 수행 가능한 보안관리 평가모형의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ue to the recent developm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convergence service environment has created new complex security threats. Therefore, small and medium sized healthcare institutions also require specialized security considering their own business environment. In the case of advanced general healthcare institutions, ISMS certification is mandatory, but small and medium sized healthcare institution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security due to their personal and economic burden, but they have limitations that they can not carry out. Therefore, in this paper, the security characteristics of medical institutions were derived through analysis of previous research, and the characteristics and status of small and medium sized healthcare institutions were surveyed through field surveys of small and medium - sized medical institutions. The security management evaluation model for small and medium sized medical institutions was designed and verified based on the security characteristics of small and medium medical institutions. For the design, we compared and analyzed existing security management system and evaluation certification system of medical institutions. We also confirmed the proposed security management evaluation model and the degree of sharing.In addition, we conducted validation for the statistical verification of the proposed security management evaluation model for small and medium sized healthcare institutions, and we performed the relative priority analysis through AHP analysis to derive the weight for each item.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a standard of security management evaluation model that can be practiced in small and medium sized healthcare institu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