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IMF 救濟金融 導入과 銀行産業의 競爭力提高 方案에 관한 硏究

        김자성 漢陽大學校 國際金融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1955년 8월 IMF에 가입한 우리 나라는 경상수지가 흑자로 돌아선 지난 88년 IMF 8조국에 편입되었으며 97년 11월 21일 달러환율의 급상승세와 금융시장의 혼란심화 및 외환보유고의 고갈 등으로 인하여 IMF구제금융을 요청하기에 이르렀다. 우리 나라가 IMF구제금융을 도입할 수밖에 없었던 배경으로는 97년 들어서 발생한 태국과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시아의 외환위기라는 국제적 환경이 큰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그러나 보다 근원적인 요인으로서는 취약한 재무구조로 위기에 대한 적응력을 가질 수 없었던 기업과 관치금융으로 여신관리의 전문성을 확보하지 못하여 기업부도에 따른 막대한 부실채권을 떠 안게된 한국의 금융기관 그리고 국가경제의 위기상황에서 적절하고 신속한 대응을 할 수 없었던 비효율적인 한국 정부 등 모든 경제주체에게 책임이 있다. IMF구제금융의 도입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우리 나라는 국가신용도의 하락, 기업부도 증가와 경기침체 등의 현상이 지속되고 있으며 각종 문제점들로 인하여 안정적 경제운용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IMF구제금융으로 우리 나라는 심각한 외화난을 타개해가고 있으며 보다 중요한 것은 한국경제의 부실화 원인인 재벌과 금융기관의 구조적 개혁을 단행하는 혁신적 계기를 맞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금융기관의 구조적 개혁을 위해 정부는 한국은행법개정과 통합금융감독기구설치법안의 개정을 통하여 금융당국을 개편하고 자본시장의 자유화를 전면적으로 단행하였으며 은행과 대기업간 재무구조 개선약정을 체결하게 함으로써 기업과 은행의 구조조정의 주축을 은행에 상당부분 위임함으로써 자율성에 근거한 은행의 책임경영을 유도하고 있다. 또한 BIS기준 8%라는 가이드라인을 내세워 건전성이 낮은 은행을 강제폐쇄 또는 합병하는 방안으로 혁신적 구조조정을 촉진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하에서 우리 나라 은행들이 일차적으로 자기자본비율을 제고하여 구조조정 과정에서 살아남으며 나아가서 첨단 기법과 풍부한 자본, 세계시장에서의 충분한 경험으로 인한 노하우를 지닌 외국금융기관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하기 위해서는 시대의 변화에 부응하는 경영혁신을 이루어야 한다. 특히 외국계 금융기관과의 우호적 인수합병은 금융부문의 급격한 개방을 맞이한 한국 은행들의 견지에서 가장 바람직한 경쟁력 제고방안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국내금융기관간의 인수합병은 보완적인 비교우위 분야의 결합이나 3개 은행이상의 결합을 통하여 세계적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규모의 경제를 통한 효율성을 제고하여 공존의 길을 모색하는 방안 역시 적극 추진되어야 한다. 인수합병은 정부에 의한 강제가 아니라 은행자체의 자발적 의사에 의하여 필요한 파트너를 선정하여 합병의 효과를 최대화시킬 때 그 의미가 있는 것이다. 그러나 합병을 위한 전제조건으로 은행의 금융전문성 확보는 필수적 요소이다. 이를 위하여 은행들은 우선적으로 은행의 가장 큰 문제점인 여신관리체계를 혁신화하여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신용리스크 관리체계를 마련하고 사후여신관리 비중을 강화하여 여신건전성을 제고하여야 한다. 세계적으로 금융시장의 환경변화가 급격한 현 시점에서 합병이외에도 은행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주요수단으로 필수적 요소가 되는 것은 신속하고 정확한 정보를 파악하고 첨단금융분야에서 새로운 우위를 가질 수 있는 전문인력의 확보이다. 이는 앞으로 은행의 생존을 좌우하는 만큼 인재의 채용과 육성면에서 새로운 시스템을 적용하여 효율성을 극대화하여야 한다. 아울러 금융산업의 정보화가 전세계적으로 본격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우리 나라의 전자금융의 단계를 제고하여 은행산업이 새로운 차원의 정보서비스 산업화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여 시대에 부응하는 경영으로 고객의 편의를 최대한 보장하여 업무기반을 확고히 하는 방향으로 은행경영이 이루어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세계적 금융환경의 변화에 따라 다양하게 발생하고 있는 리스크에 대한 적극적 대비전략으로 위험관리시스템의 본격적 가동을 통하여 정기적 위기상황 분석, 위험수준의 적절한 통제 및 위험에 상응한 수익의 확보를 이루고 궁극적으로 은행의 경영을 합리화하여 은행의 경쟁력을 제고하여야 한다.

      • 라이너 마리아 릴케의 후기시 연구 : 무상한 인간존재의 극복을 위한 변용을 중심으로

        김자성 檀國大學校 大學院 1998 국내박사

        RANK : 247631

        「두이노의 비가」에 흐르고 있는 가장 중요한 주가를 든다면 〈인간 존재의 문제와 그 극복〉이라 하겠다. 그러한 인간 존재의 극복은 〈변용〉을 통해서만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변용이란 가시적인 세계에서 비가시적인 세계로 옮아 가는 작업이다. 이 글에서는 천사와 인간의 대립을 통하여 인간 존재의 무상함과 그 극복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두이노의 비가」에는 〈천사〉와 〈인간〉,그리고 〈사물〉이라는 핵심적인 세 형상이 나타나고 있다. 천사는 완벽한 존재이며, 초월적 존재이다. 반면 인간과 사물은 덧없이 사라져 가는 무상한 존재이다. 「두이노의 비가」에 등장하고 있는 인간은 천사를 동경하면서 천사와 같은 초월적 존재가 되고자 한다. 그리하여 천사에게 구애를 하건만 천사의 냉담한 반응으로 해서 천사와의 대립에 빠져든다. 인간이 가장 무상하고 덧없는 존재인 것은 대립된 의식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대립된 의식 구조를 갖고 있지 않은 사물을 변용함으로써 천사와 같은 초월적 존재가 될 수 있으며,그리하여 천사와의 대립도 극복되는 것이다. 〈인간〉은 죽음에 대한 그릇된 견해를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죽음이란 문상함의 정점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릴케는 삶과 죽음이 분리되지 않은 전체의 영역 속에서 인간의 실존에 대한 최대의 인식을 이루어 나가야 한다고 한다. 〈천사〉란 과연 어떤 존재인가? 「두이노의 비가」의 천사는 가시적인 제계에서 비가시적인 세계로 변용을 이미 자기 자신 안에서 성취해 냈다고 할 수 있는 그러한 존재이다. 천사는 결코 가시적인 세계, 즉 외부 세계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오직 내면 세계에만 존재하면서 공간과 시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다. 〈사물〉도 역시 인간과 마찬가지로 사라져 가는 존재이다. 그러나 사물은 대립된 의식 구조를 지니고 있지 않다. 사물을 변용한다 함은 인간이 자신의 내면 속으로 사물의 본질을 받아들여 가시적인 세계에서 비가시적인 세계로 넘어감으로써 비로소 인간과 사물이 지속하는 존재가 되는 것을 뜻한다. 그것은 인간에게 부여된 소명이라고「두이노의 비가」는 말하고 있다. 사물의 변용을 통한 인간 존재의 극복, 사물의 변용을 통한 천사와의 대립의 극복, 이것이 바로「두이노의 비가」의 핵심적인 주제이며 이 글에서 다루고자 하는 내용의 요지이다. Diese Arbeit versucht, die Probleme menschlicher Existenz und den Gegensatz zwischen Menschen und Engel in den Duineser Elegien von Rainer Maria Rilkes herauszuarbeiten und die Mo¨glichkeit fu¨r U¨berwindung menschlicher Verga¨nglichkeit auszudru¨ken. In die Duineser Elegien sind drei hauptsa¨hliche Gestalten vorgelegt worden: Engel, Mensch und Dinge. Der Mensch hat die falsche Todesanschauung. Im allgemeinen hat den Tod als den Ho¨henpunkt der Verga¨nglichkeit angesehen. In den Elegien hat Rilke diese bisherige Todesanschauung kritisiert und ausgedriickt,daβ wir das gro¨teβe Bewβtsein unseres Daseins, welches in beiden (Leben und Tod) unabgegrenzten Bereichen zu Hause ist, zu entwickeln haben. Der Mensch stellt sich nicht nur sich selbst, sondern auch dem Engel, den Dingen und der Welt gegenu¨ber. Mit andern Wort, ist er in doppelter Weise gegenubergestellt. In Elegien steht er im Gegensatz zum Engel, weil der Engel sich kaltbliitig zu seiner Ejakulation benimmt. Was also ist der Engel? Eine endgu¨ltige Antwort lieβ sich nur von einer Synopsis aller Gestalten in den Duineser Elegien her finden. Nach Rilkes Definition ist der Engel der Elegien dasjenige Gescho¨pf, in dem die Verwandlung des Sichtbaren in Unsichtbares schon vollzogen erscheint. Der Engel ist nicht mehr Sichtbares, nicht mehr auβen. Als schlechthin Inneres ist er nicht mehr an den Raum und Zeit gebunden. Wer die Verwandlung noch zu leisten hat, kann nicht an den Ort sein, wo alles schon verwandelt ist. Die Seinsfrage des Menschen soll zur Frage der Transzendenz erhoben werden. Daβ der Mensch die Dinge, die keine gegensa¨tzliche Struktur des Bewuβtseins haben, in die unsichtbare Welt hineinnimmt, das ist die Verwandlung der Dinge. Dadurch ko¨nnen Mensch und Dinge bleibende Wesen werden. Es ist die in den Elegien dargestellte menschliche Aufgabe, die Dinge zu verwandeln. Die U¨berwindung menschlicher Existenz und menschliches Gegensatz zum Engel durch Verwandlung der Dinge, das la¨βt sich als Hauptthema der Duineser Elegien und dieser Arbeit begreifen.

      • 경험이야기와 설명담화에 나타난 학령기의 구문발달특성 : 또래갈등해결과제를 중심으로

        김자성 나사렛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말에 대한 기본적인 습득이 완성되는 만 5세경이 되면 대부분의 아동들은 여러 가지 유형의 종속절을 포함하는 복문을 산출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학령기에 접어들어서도 구문론적인 성장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더 길고 복잡한 구문을 산출하기 위해 구조들을 결합하는 능력이 발달한다(Nippold, 2007). 그러나 학령기의 구문발달과 관련한 선행연구들에서는 담화맥락과 언어양식, 주제에 따라 학령기 아동 및 청소년들의 구문능력은 동일한 대상자에게서도 다르게 나타남을 보고하고 있다. 그러므로 주제를 제한한 과제에서 담화유형과 언어양식의 범위를 확대하여 학령기의 구문발달 특성을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관점으로 본 연구에서는 학령기 아동 및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경험이야기와 설명의 담화유형과 말하기와 쓰기의 언어양식 간에 구문 척도들의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들은 서울, 경기, 충청지역에 거주하는 4학년, 6학년, 8학년 학생들이었으며, 학년별로 20명씩 총 60명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학령기 동안 가장 큰 관심사 중 하나인 ?또래갈등?으로 경험이야기와 설명담화의 주제를 통제하였다. 경험이야기와 설명담화를 추출하기 위해 인터뷰 절차로 구성된 ?또래갈등해결과제?를 사용하였으며, 두 가지 담화유형은 각각 말하기와 쓰기의 언어양식으로 산출하도록 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T-unit, 종속절, 낱말로 분석한 다음, 구문 산출성(전체 T-unit 수, 전체 낱말 수), 구문 복잡성(MLT-w, 절 밀도), 종속절 유형별 사용률(명사절, 관형사절, 부사절, 인용절)의 구문척도로 나타내었다. 학년, 담화유형 및 언어양식에 따라 각각의 구문척도는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기 위해 반복측정 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담화유형 및 언어양식에 따른 각각의 텍스트에서 학년 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고 어떠한 학년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지 사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T-unit 수와 전체 낱말 수는 학년이 올라& School-aged children use varied complex sentence to express their expanding interests, observations, and desires(Nippold, Mansifield, & Billow, 2007). But one's utterances depending on context including genre, modality and subjec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one's syntactic abilities in various contexts. The present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d the syntactic abilities of school-aged children and adolescents in narrative and expository. The participants were 60 typically developing students in grade 4, 6, 8. For the study the ̔Peer conflict resolution task ̕consisted of interview protocol was used to elicit in each spoken and written personal experience narrative and expository discourse. Collected language samples were analyzed as T-units, subordinate clauses and words and then were calculated as the syntactic measures of the productivity(total T-units, total words), the grammatical complexity(MLT-w, clausal density) and the use of four types of subordinate clauses. A repeated 3-way ANOVA was used to analyze differences in syntactic measures among grades, genres, and modalities. Also, a one-way ANOVA was used to analyze differences among the group mean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productivit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grades, genres, and modalities. As the participants' grades level went up productivity increased, and more T-units and words were produced in expository than in personal experience narrative, and in the spoken text than in the written text. As a result of the significant interaction of genre and modality, the difference according to modality of productivity was bigger in the expository than in the personal experience narrative. Second, grammatical complexit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grades, genres, and modalities. As the participants' grades level went up, the grammatical complexity increased and it was more produced in the expository than in the personal experience narrative, and in the spoken text than in the written text. As the interaction of genre and modality was significant, the difference according to modality of the grammatical complexity was bigger in the expository than in the personal experience narrative. Third, as the participants' grades went up, generally each type of subordinate clause use(nominal clause, attributive clause, adverbial clause) increased except the quoted one. In conclusion, school-age children and adolescents' syntactic abilities continue to progress even from between 4th to 8th grade, and there are more remarkable progress in written text than in spoken text. Children and adolescents can communicate more effectively using various subordinate clauses as their grades level went up. However each syntactic measures shows different aspects depending on genre and modality. These results show that various contexts according to genre and modality should be considered in evaluating school-age children and adolescents' syntactic abilities.

      • PR수행과정에 비춰본 스토리텔링 마케팅의 성공요인 분석 연구 : 국내의 스토리텔링 마케팅 성공사례를 중심으로

        김자성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PR수행과정에 비춰본 스토리텔링 마케팅의 성공요인 분석 연구 : 국내의 스토리텔링 마케팅 성공사례를 중심으로. 사회와 경제의 발전으로 소비자들의 브랜드에 대한 기대 수준은 점점 더 높아지고 있다. 과거에는 단순히 기능과 편익에 대한 만족을 원했다면 이제는 기능과 편익은 기본으로 하고 그 브랜드를 통해 상징적인 가치와 만족감까지 추구한다. 오늘날 소비자들에게 브랜드는 단순한 상표를 넘어서 자신을 대변하는 하나의 상징이며 가치이자 문화이다. 따라서 이러한 시대적 변화 속에서 다양한 소비자들의 욕구를 파악하고 창의력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컨셉을 창출하여 브랜드의 감성적 경험과 상징적인 가치를 제공함으로써 소비자와 브랜드가 함께 소통할 수 있는 무형의 가치를 창출해야 한다. 이에 기업의 마케터들은 스토리텔링 마케팅이 상품이 기능적 측면을 이야기하기 보다는 브랜드에 담긴 의미나 이야기를 단서로 하여 새로운 이야기를 창조함으로써 소비자와 브랜드의 감성적인 소통을 유도하는 통합적인 마케팅 활동으로 인지하고 그 가치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 성공적인 스토리텔링은 그 기업과 제품의 탄생과 소멸의 생애주기 동안에 쌓여지는 브랜드의 역사를 소비자가 오래도록 기억하게 하고, 브랜드에 대한 특별한 경험을 통하여 스토리 속에서 소비의 욕구를 불러일으키는 꿈과 희망의 상징으로 재연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스토리텔링 마케팅의 성공적인 실행은 통합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바탕으로 오랜 기간 일관된 캠페인과 커뮤니케이션 전략의 실행으로 소비자와 브랜드간에 특별한 관계를 형성시키고 그 관계를 지속시켜 브랜드에 대한 충성도로 이어질 수 있도록 다차원적인 전술로 접근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하겠다. 현재 국내에서는 스토리텔링 마케팅에 대한 현업에서의 활용이 이루어지고 긍정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나 학문으로써 보다 객관화되고 이론화되어 정립되어 있는 것은 아직 미비한 상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성공적인 스토리텔링 마케팅 사례로 5개의 기업을 선정하고 그들의 스토리텔링 마케팅의 실행과정을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여 살펴 봄으로써 스토리텔링 마케팅의 성공 요인이 무엇인지를 도출하여 스토리텔링 마케팅의 개념과 체계적인 접근방안을 재 정리하고자 한다. 이에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여 이 연구를 전개해 나갔다. 첫 째, 스토리텔링 마케팅의 실행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를 PR실행과정에 비추어서 그 과정을 파악해 보고 이 과정 속에서 브랜드의 핵심 메시지가 어떻게 일관되게 다양한 전술을 통하여 구현되는지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둘 째, 스토리텔링 마케팅에서 스토리 창조의 핵심 유형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그 유형들이 스토리텔링의 전재 속에서 어떻게 통합되어 실행되었는지를 알아보았다 셋 째, 스토리텔링 마케팅의 전개에 있어서 전략적 도구들을 얼마나 다양하고 통합적으로 활용되었는지 알아보았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그런 과정을 통해 실행된 스토리텔링 마케팅의 성공요인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서 앞으로의 스토리텔링 마케팅의 성공적인 방향성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A Study and Analysis of Success Factors of Storytelling Marketing with a View in PR Process Ja-Sung Kim 1Department of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Graduate School of Mass Communication, Sogang University, Seoul,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Ho Chang, Shin) An expectation toward brand experiences is getting bigger and bigger with a development of society and economy. In the past just functions and benefits were needed, but now people pursue even value and satisfaction. Today brands are not only simply a trademark but they are also a culture and a symbol of representing a customer him or herself. Therefore, in changes with a stream of times, it is necessary to realize a variety of customers’ needs and to create a new concept based on creativity. With these, an intangible value should be created by providing an emotional experience of brands and symbolic value so that customer and brands are able to communicate each other. Accordingly, it is needed for marketers in companies to recognize story-telling marketing as an integrated marketing activity, which leads an emotional communication between customer and brands by inventing a new story on the condition of a meaning and story of brands rather than telling functional aspects. A successful storytelling enables customers to remember the history of brands which is built up during the lifetime, a period from birth to death of a product and a company. Besides, it should be reenacted as a symbol of a dream and a hope to cause a customer’s needs in the story through a special experience. In terms of a successful practice of storytelling marketing, thus, it is important to approach in a multidimensional static to lead to a loyalty of the brand by lasting the relationship and forming a particular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 and brands with a performance of communication strategy and a continual campaign based on 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 strategies. At present in the country, an application of storytelling marketing in work-site is accomplished and is accepted positively. However, establishing a theory and objectifying as a study are inadequate yet. Hence, this study presents the effectiveness and directions of storytelling by understanding several success factors in depth. Five companies are selected as successful storytelling cases and a depth interview is performed. Through these processes, a concept and systematic approaching ways are established again by drawing the success factor of storytelling marketing. Following questions are set for this study and they are processed. First, this study recognizes the process how the storytelling marketing practice is really achieved in the light of PR process and finds how to realize the core message of brands consistently through various tactics. Second, this article understands what the core type of creation of the story in storytelling marketing and figures out how it is integrated and implemented in a premise of storytelling. Third, this paper investigates how diverse and integrated tactical tools are utilized in the storytelling marketing development. Lastly, this study examines what the success factor of storytelling marketing is, which has been performed through the process on the above. From this, this article indicates the successful direction of storytelling marketing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