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꿈을 이루는 행복한 동행

        김인정 호남대학교 사회융합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63

        ○제 목: 꿈을 이루는 행복한 동행(A happy companion to achieving dreams) ○제 작: 김인정 ○제작연도: 2023년 10월 ○런닝타임: 00:07:59 ○장 르: 세미다큐 ○기획의도: 마을 안에서 이루어지는 미디어 활동을 바탕으로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경계를 넘어 마을을 살아가는 주민으로서의 이야기를 담아낸다. 미디어로 소통하는 마을의 소소한 이야기가 마을을 변화시키고 긍정적인 영향을 가져오기도 한다. 마을 안에 위치하고 있는 행복드림복지관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마을 미디어 활동을 다큐형식의 영상으로 담아내고자 하였다. ○스텝구성 연출: 김인정 / 촬영: 조재도 / 나레이션: 장원나 ○촬영장소 행복드림종합사회복지관, 배한성님 자택, 하남동 일대 등

      • 다문화학교에서 영어 가르치기 : 세 명의 초등학교 교사들의 영어 교수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김인정 한국항공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47

        ABSTRACT Teaching English in Multicultural School: A Narrative Inquiry into Three Teachers’ Experiences of Teaching English in an Elementary School Kim, In Jeong Dept of English Graduate School of Korea Aerospace University (Advisor: Prof. Lee, Seung Ryul, Ph.D.) This study is a narratives inquiry with three Teachers who have experience in teaching English at multicultural schools as participants. Narrative inquiry is a method of finding through individualized human experience, not through generalized research results and rules, and this study also focused on experiences from researchers herself and participants themselves teaching English at multicultural schools, not on exploring variables for the efficiency of English learning. This study began with interest of personal and practical knowledge formed from the researcher’s experience during teaching English in general schools and multicultural elementary schools. Each of the participants told their own life-history of teaching English from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in their conversations, and the researchers looked into their stories and found three meanings in the participants' stories through a point of view called a virtual three-dimensional narratives inquiry space which is formed by three axes of time, place, and interaction. First, the Teacher's experience as an English learner was in some way affecting her behavior after becoming a Teacher. All three Teachers have learned English since middle school, and their respective 'memory of having an inferiority in English', 'memory of success in learning English' and 'memory of being an honor student in all subjects' have influenced the thoughts and behaviors they took as Teachers in the future, especially in their English classes. In the stories of these participants, Dewey (1938)'s theory of experience, which explains continuity of time leading to the present future and personal and social interaction attributes, was emerging. Second, Teachers who taught English at multicultural schools built up different personal practical knowledge. Each had a different knowledge because the experienc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was different. Even though Teachers teach English based on the same national curriculum but due to the nature of each individual feeling, accepting, thinking and acting differently, they have made different curricula, taught differently, and had different relationships. Third, the participants' stories contained the process of changes in their identity as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Their identities seemed to have the an uneasy borderline due to the multiplicity of homeroom Teachers and non-professional English Teachers, and the government's policy also imposed arduous overwork or restrictions in their English-language teaching methods. In particular, in the professional knowledge landscape of multicultural schools that teach English to students from various language groups, they become more sensitive about English authority than ordinary schools and act in opposition to it. However, while teaching English at multicultural schools, they were gaining the identity of 'an expert who is good at English classes even though I am not good at English.‘ This study seems to have dealt with extremely personal stories of researcher and three Teachers, but it can be an anyone’s story about the life of a Teacher that anyone who wants to be a Korean elementary school Teacher or a Teacher may experience, and welcoming story for discussing the changes in Korean society. Multiculturalism in Korean society is already inevitable. This is because the concept of 'multicultural phenomenon' should be developed not only as a physical change in population distribution, but also as a concept of the sensitivity of our society, which sees the personal culture of each member of society differently. Exploring the story of researchers and thre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taught English at a multicultural school in Gyeonggi Province amid these changes, the study is believed to have small but clear justification, not only for individual researchers but also for the actuality of school sites and for the meaning of social discourse. Key words Narrative Inquiry, Teaching English, English teacher, Teacher’s identity, Multicultural, Multicultural school. 요 약 다문화학교에서 영어 가르치기: 세 명의 초등학교 교사들의 영어 교수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Teaching English in Multicultural Schools: A Narrative Inquiry into Three Teachers’ Experiences of Teaching English in an Elementary School 김인정 한국항공대학교 대학원 영어학과 영어교육 전공 지도교수 이승열 본 연구는 다문화학교에서 영어를 가르친 경험을 가진 세 명의 교사들을 참여자로 한 내러티브 탐구(Narrative Inquiry)이다. Clandinin과 Connelly (2000)에 의해 질적 연구의 방법으로 발전한 ‘내러티브 탐구’는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고 법칙을 발견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개별화된 인간의 경험을 통해 의미를 찾는 연구방법이며, 본 연구 또한 영어학습의 효율에 대한 변인을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 아닌, 연구자 자신과 참여자들이 다문화학교에서 영어를 가르친 경험 자체에 초점을 두고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연구자의 경험에서 형성된 개인적 실제적 지식에 의한 관심에서 출발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은 각각 연구자와의 대화에서 영어학습자에서 초등교사가 되어 영어를 가르친 자신의 생애사적 이야기를 들려주었고, 연구자는 이들의 이야기를 시간, 장소, 상호작용의 세 가지 축으로 형성되는 가상의 3차원적 내러티브 탐구 공간이라는 렌즈를 통해 들여다보면서 연구참여자들의 이야기 속에서 다음과 같은 세 가지의 의미를 찾았다. 첫째, 교사의 영어학습자 시절의 경험은 교사가 된 이후의 행동에 어떤 식으로든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는 점이었다. 세 명의 교사는 모두 중학생 때부터 영어를 배웠는데 이 시기부터 쌓여 온 저마다의 ‘영어열등감을 가졌던 기억’, ‘영어학습 성공의 기억’, 그리고 ‘전 교과 우등생이었던 기억’ 등은 훗날 교사가 되어 취했던 생각과 행동에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자신의 영어 수업에 전반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과거 현재 미래로 이어지는 시간의 계속성과 개인적이고 사회적인 상호작용 속성을 가진 Dewey (1938)의 경험이론이 연구참여자들의 이야기 속에서도 발견되었다. 둘째. 다문화학교에서 영어를 가르친 교사들은 각자 서로 다른 개인적 실제적 지식(personal practical knowledge)을 쌓아가게 된다. 각자의 서로 다른 지식은 이들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이 주는 경험이 저마다 달랐기 때문이었다. 교사들은 원칙적으로 똑같은 우리나라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영어를 가르친다. 하지만 개별 인간은 무엇이든지 다르게 느끼고 받아들이고 생각하고 행동하는 속성을 가졌기 때문에 교사들은 교육과정을 다르게 만들고 다르게 가르치며 학생들과 다르게 관계를 맺고 있었다. 셋째, 연구참여자들의 경험 이야기 속에는 초등교사로서 삶을 살아가는 정체성의 변화과정이 담겨있었다. 이들의 정체성은 담임교사와 영어교사라는 다중성과 비전공자, 비전문가라는 경계인의 모습을 가지고 있었으며 정부의 정책에 의해 다른 교사보다 과중한 업무를 감당하고 자신의 영어 수업 방식에 제한을 받기도 하는 등의 고단함도 담겨있었다. 특히 다양한 언어집단의 학생들에게 영어를 가르치는 다문화학교라는 전문적 지식 환경(professional knowledge landscape)에서는 일반 학교에서보다 좀 더 영어 권력에 민감해지고 이에 맞서는 행동을 하게 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들은 다문화학교에서 영어를 가르치면서 일반 학교와 다르게 오히려 ‘나는 영어는 못해도 영어 수업은 잘하는 전문가’라는 정체성을 획득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연구자 및 세 명의 교사의 개인적인 이야기를 다룬 것 같지만 한국의 초등교사 혹은 교사 지망생이라면 누구든지 자신이 겪을 수도 있는 교사의 삶에 관한 구체적인 이야기이며 한국사회의 변화양상에 따른 학교 현장의 모습을 생각해 보고 이를 논의할 수 있는 마중물이 될 만한 이야기이다. 한국사회의 다문화 현상은 이미 피할 수 없이 더욱 본격화될 전망이다. ‘다문화 현상’이라는 개념은 앞으로 비단 외국인의 유입이라는 인구분포 상의 물리적 변화뿐만이 아니라 각각의 사회 구성원이 가지고 있는 개인의 문화(personal cultural heritage)를 다르게 보는 우리 사회의 감수성에 대한 개념으로 발전되어야 할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경기도의 한 다문화학교에서 영어를 가르친 연구자와 세 명의 초등교사들의 이야기를 탐구한 본 연구는 연구자 개인뿐만 아니라 학교 현장의 실제에서, 그리고 사회적인 담론의 의미에서도 정당성을 가지고 있다고 여겨진다. 주제어: 내러티브 탐구, 영어, 영어 교수, 다문화, 다문화학교, 영어교사, 교사 정체성

      • 교복 속에 내재된 권력의 푸코적 해석

        김인정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at inquiring into how students internalize power through its strategy, technology and change process by introducing the theory of power mentioned in Michel Foucault's book, 「The Discipline and the Punishment: The History of Prison」, to understand forms of power inherent in the school uniform. This study made an analysis of power inherent school uniform in Fouacult's viewpoint as follows: First, the power was inherent in a school uniform whether it is national power or educational power up to the recommendation of Education Ministry and various restraints on wearing it these days through Japanese imperialism era and military dictatorship era that had forced to wear the unified school uniform for the attainment of order- and obedience-centered educational goal. Second, various disciplinary punishments and clubbing given to students of bad uniform in the past, and control of them by close regulations of school uniform were similar to open torture era and confinement era, respectively. People was said to ease punishment and extend human rights, but it would seem that this reduces physical exhaustion and maximize systematic effect from Fouacult's viewpoint. In the result, students began to wear a school uniform by themselves by recent its fashion show and appearance of it made by our hands, which would only give notice of the appearance of another power, media power. Third, speaking the device of power used by the disciplined power in wearing a school uniform as Fouacult's hierarchy watch, normalized restraint and inspection, the hierarchy watches could give the controlled structure that teacher stands in the front center and students face the front in the classroom, and the front picture of school gate attending school in the morning. The normalized restraint regulated the provisions of permission and prohibition for wearing a school uniform could punish them when violation of this. And the inspection could grade human beings by giving black marks to students of bad uniform to record in the black mark card. Fourth, the regulation is recently lightened by students' strong demand on liberalization, which human rights were extended, but this means that new power is needed. In other words, students regulated by new great power device of media prefer to expensive school uniforms enough to give rise to luxury goods of school uniform. They are also making their body at media and society's request by wearing their school uniform of great and lean height, long legs, and slender waist. This study focused on new understanding and analysis of school uniform than preparation for alternative on purpose. Therefore, this study is a must for follow-up studies. It is necessary to begin operations that train the existence as the autonomous subject, and that create the true personality, not personality controlled and operated through the earnest debates of clothes, particularly school uniforms between students.

      • 교사와 학생의 대화적 관계의 의미와 실제 : 부버의 대화철학에 기초한 탐색

        김인정 광주교육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Meanings of the Dialogical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Student Based on Martin Buber's Philosophy of Dialogue Kim, In Jeong Graduate Program in Educational Method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Gwa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Gwangju, Korea (Advisor: Yang, Eun-Joo, Ph. D) This study began with the recognition that the educational and human relations of teachers and students are needed to solve the problem of human alienation and dehumanization in social life. For this purpose, I explore the philosophy and educational theory of Martin Buber by using I and thou, which is a representative book of Buber, who emphasized the dialogical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student. First, after finding the meaning of the root word, relationship, and conversation, he grasped the characteristics and existence aspect of 'I-You' and 'I-It' relationship. Next, we focused on the practical area of ​​conversational relationship and the role of teachers in education. The root word is 'I-You' or 'I-It'. Human beings exist on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 of 'I-you' and 'I' of 'I-it'. According to the attitude of 'I', the object to meet with 'I' can be 'you' or 'it'. The relationship between 'I-you' is a direct and subjectiv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 and subject. The relation of 'I-i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 and objec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 and use. The relationship between 'I–You' and 'I-It' is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that is necessary for all of our lives.  The world of relationship with ‘You’ can be established in three domains: nature, man, and spirit. The transformational pattern in which the relationship is mature can be divided into the stages of the origin of the relationship (the process of conception) - the grace period (finding the underlying relationship) - the encounter with you - the recognition of me (through my separation). I see myself through the repetition of 'you' changing to 'it' and 'it' changing to 'you'. The specific implications of conversational education for education can be found in three areas (nature, person, mental existence) that establish the relationship of 'I – You' and changes in the relationship First, the relationship ability of 'You' world is a clue to solving social problems, especially human problems. If we build up educational experiences that lead to respect for each other, mutual understanding, and consensus, conflicts due to selfishness and collective action will be reduced. Second, the desirabl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student is to form a personal relationship. Teachers should constantly strive to create intimate and special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t is also necessary to create an environment in which a personal relationship can be established between students and students, and to continue various activities. Finally, we should avoid the curriculum that is centered around the entrance examination to experience various' you '' world appropriate to age. It should deepen nature ecology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ommunity education in elementary and junior high school, culture and art education. 국문초록 교육은 인간이 삶에 필요한 모든 것을 가르치고 배우는 것으로 정신적, 신체적 성장과 지적, 사회적, 정서적 성숙을 돕는 과정이다. 물질만능주의의 확산, 기술 문명의 발달은 효율성과 실용성, 결과만을 중시하는 사회를 만들었고 교육에 있어서도 인간 중심의 교육 본래의 목적은 무시하고 점수에 따른 줄 세우기 입시 위주의 교육을 요구하고 있다. 어린 시절부터 교육을 통해 형성되어야 할 인간 존엄성 중심 가치관의 부재로 인해 발생하는 학교와 사회의 여러 문제들은 점점 심각해지고 있다. 학교와 사회에서 발생되는 많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장 우선시 되어야 할 것은 교육의 가장 핵심적 요소인 교사와 학생의 교육적이고 인간적인 관계 형성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으로부터 현대사회의 비인간화 현상을 극복하기 위해 교사와 학생의 참된 관계형성을 중시하는 부버의 대화철학과 교육론에 주목하였다. 이 연구는 부버의 대표적인 저서인 『나와 너』를 주요 텍스트로 삼아 부버가 말한 근원어, 관계, 대화의 의미와 ‘나-너’, ‘나-그것’ 관계의 존재 양상과 특성을 파악한 후, 교육에 있어서 대화적 관계의 실천적 영역들과 교사의 역할이 무엇인지 중점적으로 탐구한다. Ⅱ장에서는 부버 대화철학의 형성배경과 핵심개념인 근원어에 대해 살펴보고 현대의 삶과 교육 문제해결을 위해 왜 부버의 철학에 집중해야하는지 탐구한다. 부버가 독특하게 제안하는 근원어는 ‘나-너’와 ‘나-그것’이다. 인간존재는 다른 사람과 사물의 세계 속에 연결되어있다. 홀로 떨어진 ‘나’는 없으며 오직 ‘관계’ 속에 있는 근원어 ‘나-너’의 ‘나’와 근원어 ‘나-그것’의 ‘나’만 존재한다. 근원어의 ‘나’는 ‘그것’과 만날 때와 ‘너’와 만날 때 다른 모습으로 만나기 때문에 이중성을 갖는다. 대화적 관계는 서로 다름을 인정하고 존중함을 통해 맺어지는 관계로 직접적인 현재의 ‘만남’을 통해 가능한 것이다. Ⅲ장에서는 부버가 제시하는 대화적 관계의 의미를 파악하고 인간의 성장과정에서 관계의 변화 양상을 살펴본다. 내가 대상에게 갖는 태도에 따라 ‘나’와 만나는 대상이 ‘너’가 될 수도 있고 ‘그것’이 될 수도 있다. 대화적 관계인 ‘나-너’의 관계에서 ‘너’는 본질적인 존재이며 전체성을 가진 인격적인 존재로 ‘대화’를 통해 만날 수 있다. 부버는 자연, 사람, 정신적 존재 세 영역에서 ‘너’와의 관계의 세계를 세울 수 있다고 본다. 그중 사람은 언어를 통한 소통이 가능한 인격적 대상이기 때문에 참된 의미 있는 만남이 가능하다. ‘나-그것’의 세계는 사물의 표면의 것만 경험하는 영역이다. ‘나’는 ‘그것’(대상)을 이용하는 주체가 되고 나 이외의 모든 것은 내가 이용하거나 의도를 가지고 사용할 수 있는 객체가 된다. 관계가 성숙되는 변화 양상을 구분해보면 잉태의 과정이 상징하는 관계의 근원성, 근원적 관계맺음을 찾는 유예기, ‘너’와의 만남, ‘나’의 분리를 통한 ‘나’의 인식의 단계로 나눌 수 있다. ‘너’가 ‘그것’이 되고 ‘그것’이 ‘너’가 되는 과정의 반복을 통해 변하지 않는 ‘나’의 본질, 본 모습을 알게 됨으로써 나는 나의 주인이 되고 주체적인 자아 개념을 형성하게 된다. Ⅳ장에서는 ‘그것’의 세계와 ‘너’의 세계가 가진 특징을 바탕으로 교육에 있어서 대화적 관계의 실천이 가능한 영역을 알아본다. 특히 ‘나-너’의 대화적 관계를 맺기 위해 우리의 교육 현장에서 구체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부분을 집중적으로 살펴본다. ‘나-그것’의 세계는 확실성과 객관성의 세계로 공통의 기준이 되는 것, 공정성이 필요한 영역과 관련된다. ‘나-너’의 만남의 체험은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 영역과 관련된다. 근본적으로 교사와 학생간의 관계에서는 ‘나-너’ 중심의 밀접하고 특별한 관계가 형성되어야 한다. 교사는 대화를 통한 상담자, 교사-학생 간의 ‘나-너’ 관계맺음의 포용적 주체자, 관계맺음의 본을 보여주는 책임감 있는 역할모델, 관계맺음의 환경을 조성해주는 적극적 조력자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대화적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데 있어서 교사의 준비와 실천의지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부버의 대화철학이 우리의 교육에 주는 구체적인 시사점은 ‘나-너’의 관계를 세우는 세 영역과 관계의 변화 양상을 통해 찾을 수 있다. ‘너’의 세계를 세우는 자연, 사람, 정신적 존재의 의미는 유아교육, 초등교육, 중등교육으로 이어지는 각 단계별 교육의 특징적 성격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첫째, 유치원에서는 자연의 한 부분으로 자연적 대상들과 만남의 관계를 맺고 함께 살아가는 생태적 삶의 교육을 체험하는 것에서 시작해야 한다. 둘째, 초등학교에서는 공동체 생활을 통해 사람들과 만나고 함께 살아가는 인간적 삶에 대한 배움의 과정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 셋째, 중등교육부터는 정신적 존재(예술적 산물)와의 만남을 위해 예술적 감성 도야와 창작 체험이 가능한 실천적인 문화예술 교육과정의 운영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이상의 내용에서 얻을 수 있는 결론은 세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나-너’와 ‘나-그것’의 관계는 상호보완적으로 우리의 삶에 모두 필요한 것이며 특히 ‘나-너’의 관계 능력은 많은 사회문제 특히 인간 사이의 문제를 해결하는 실마리가 된다. 누구나 관계 안에서 함께 살아간다. 서로에 대한 존중을 바탕으로 발전적인 대화를 통한 상호 이해와 합의에 이르는 교육적 경험을 쌓아간다면 이기주의나 집단행동에 따른 갈등 상황은 점점 줄어들 것이다. 둘째, 교사와 학생의 바람직한 관계는 인격적 대화의 관계이다. 교사는 교사와 학생 사이에 친밀하고 특별한 관계를 형성하도록 꾸준히 노력해야 하며 학생과 학생 사이에 인격적 관계 형성이 가능한 환경을 조성하고 다양한 활동을 계속해 나가야 한다. 셋째, 발달단계에 따라 다양한 ‘너’의 세계를 체험하도록 입시위주의 수단화된 주지주의 교육을 지양하고 자연생태교육, 공동체 관계교육, 문화예술 감성교육을 심화해야 한다.

      • 음악교육의 교수, 학습에 관한 실태 연구 : 예술고등학교를 중심으로

        김인정 한양대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예술을 통한 교육(Education through Art)인가? 예술을 위한 교육(Education for Art)인가? 이 두 가지 예술교육에 관한 의문은 적어도 그 방법론적인 것에서 매우 큰 차이를 갖게 된다. 예술을 통한 교육은 전인교육을 달성하기 위한 도구적․방법적 기능으로서 예술이 존재한다는 의미이며, 예술을 위한 교육은 예술 그 자체의 전문성을 습득하기 위한 목적적 기능으로서의 예술이 존재함을 말한다. 따라서 예술학교에서의 음악교육은 전문성을 위한 목적기능의 교육으로, 보다 높은 성취의 단계를 필요로 함은 물론, 각 전공별의 특수성이 충분히 수용되는 매우 강력한 역동의 힘을 갖추어야만 한다. 특히 예술의 다양한 분야 중에서도 조기교육이 가장 강조되는 예술고등학교의 음악교육은 더욱 세심한 교육적 배려를 요구하게 되는데, 이는 학생들의 예술적 감성, 실기의 기량, 신체적 발달이 최고의 성장 토대를 구축하는 시기에 놓여 있기 때문이다. 한국인으로 세계적인 명성을 떨치는 많은 음악가들을 놓고 볼 때, 그들이 어린 시절, 어디서 어떤 음악교육을 받고 성장하였을까 를 특별히 궁금해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왜냐하면 그것은 그들이 한국인임에도 불구하고 그 교육적 성취를 모두 다른 나라의 교육에 힘입어 이루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어째서 많은 한국 음악도들은 조기 유학을 위해 미련 없이 다른 나라를 선택하는 것일까? 최근에는 과거의 도피성유학에 비해 상위권 학생들이 앞 다투어 유학을 떠난다고 한다. 그것은 우리나라의 예술 교육이 그들의 예술적 감성을 성장시키고, 역동의 힘을 불러일으키며, 나아가 더 높은 경지에 이르게 하는 교육적 역할에 미흡한 면이 있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위와 같은 상황을 인식하고 예술고등학교의 재학생 및 졸업생, 그리고 직접 교육현장에서 음악을 가르치는 강사 등 총 400명을 대상으로 하여 현재 우리가 처한 여러 문제점들을 다양한 각도에서 진단 분석하였다. 설문의 결과로 예술교육을 목표로 한 특수목적 학교에서 전문교과보다 일반학과의 비중이 훨씬 높게 배정되어 전문성이 떨어지는 것은 물론이요, 내신 및 대학입시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는 학생들은 일반과목, 전공과목, 전공실기라는 과중한 학과목에 지쳐 그들의 감수성을 잃어 가고있는 현장실태를 파악하였다. 또한 국제적 동향을 살펴보기 위해 청소년 오케스트라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고 있는 미국의 Idyllwild Arts Academy의 교육과정 담당자와 인터뷰하여 그곳의 음악과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였다. 미국의 Idyllwild Arts Academy 음악과의 경우 성공적인 전문 음악인을 양성한다는 목표아래, 개인 실기의 능력을 교육 최대의 목표로 강조하고 있었으며, 우리나라의 교육과정과 비교할 때 가장 특이할 만한 것은 각 학년의 최종 이수과정으로 30분의 half 독주와 졸업을 앞둔 경우에는 45분 full 독주를 해야 통과할 수 있는 학과 제도이다. 또한 이 연주를 위해 Movement for Musicians (음악가를 위한 태도) 라는 과목을 이수해야 하는데, 이 과목에는 음악전공자들이 몸 안에 억제된 긴장과 억압을 버리고 자연스럽게 음악에 반응하는 신체자각연습을 하는 과정이 있다는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미국의 The Juilliard School 교육시스템을 도입한 일본의 桐朋 音樂園 교육과정을 조사하였는데, 이 학교 또한 모든 과목을 전 학년에 걸쳐 수준별로 실시하고 있었고, 대학까지 일관된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었다. 이상의 설문조사 및 선진 예술교육의 예를 살펴본 바 우리나라의 예술교육이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몇 가지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는 예술고등학교의 교육과정에 대한 철저한 재검토 작업이 필요하다. 일반과목의 비중을 줄여야함은 물론 학생들이 선택할 수 있는 자율권을 최대한 부여하고, 일반과목 또한 전문과목과의 연관성을 고려하여 운영되어야 한다. 둘째는, 대학입시 제도의 개선이다. 예술고등학교의 음악과는 음악대학과의 교육과정과 밀접한 연계성을 가지고 운영되어야 하며, 이것은 곧 대학입학의 허락으로 보장되어야 한다. 음악에 관한 철저한 테스트가 아닌 내신이나 수능 점수를 가지고 대학입학의 당락을 결정짓는다면, 특수목적 예술고등학교 본래의 취지를 상실하기 때문이다. 셋째는, 사회적 인식의 변화를 가져와야 한다. ‘예술은 곧 돈이다’ 라는 사고방식과 함께, 부모의 권유나 명문대를 가기 위한 수단으로 예술을 선택하였기 때문에 우리나라에서는 ‘타고난 음악인이 아닌 만들어진 음악인이 많다’ 라는 결과를 가져왔다. 물론 교육부에서도 이와 같은 문제점을 인식하고 예술교육의 전반적인 개선을 검토 중에 있으며, 자율학교 운영 등 진일보한 움직임을 보여왔다. 그러나 자율학교 운영보고서를 놓고 분석할 때 예술고등학교가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기에는 아직 역부족인 듯 싶다. 이제 우리의 예술교육 현장은 더 이상 어린 예술가에게 척박한 땅으로 존재해서는 안되며, 많은 인재들을 다른 나라의 교육에 의존시키는 예술교육의 형태에서 벗어나야 한다. 왜냐하면 우리에게는 다른 나라와는 비교할 수 없는 높은 교육열이 있고, 많은 어린 영재들이 있으며, 무엇보다 그들이 이상적인 교육환경에서 세계와 어깨를 견줄 수 있는 훌륭한 예술가가 되기를 바라는 강한 열망이 있기 때문이다.

      • 초등영어 교과서 문화 내용 분석 : 초등 5·6학년 중심으로

        김인정 광주여자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초등영어 교과서 문화 내용분석 초등영어교육에서 의사소통 능력의 필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2009 개정 교육 과정에서는 영어로 노래하기, 챈트, 영어 게임 등을 영어 교과서에서 다루도록 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말하기 듣기 수업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하였다(교육과학기술부, 2009). 의사소통능력이란 문법적 담화 능력뿐 아니라 사회문화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특정한 사회와 상황에 따라 적절한 언어를 사용할 수 있는 사회언어학적 능력과 전략적 능력을 포함하여 사용 할 수 있는 언어 능력을 말한다. 학습자 목표 언어의 사회와 상황에 맞는 언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목표 언어의 문화 학습은 반드시 함께 병행되어야 하고 문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문화 요소들과 언어기능이 서로 관계되어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문화 학습과 연계되어 이루어지는 영어학습을 통해 초등학생들이 영어에 대한 흥미와 동기를 갖고 일상생활에서 영어로 기본적인 의사소통을 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5·6학년 영어 교과서의 문화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현재 영어 교과서를 가장 많이 출판하고 있는 출판사 3곳 중 3종의 교과서를 임의로 선정한 후 2009년 개정 교육 과정에 따른 교과 과정의 문화를 문화 내용의 소재와 문화 유형, 문화적 배경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 소재를 분석한 내용을 보면 다양한 문화권에 속한 사람들의 일상생활에 관한 내용을 주로 다루고 있었으며, 그다음으로는 우리나라와 다른 나라의 언어와 문화적 차이에 관한 내용이 많이 다루어지고 있었다. 둘째, 문화 유형의 경우 교과서에서는 물질문화, 행동문화, 정신문화 등 세 가지의 문화 유형을 가장 많이 다루고 있었으며 그중에서도 행동 문화가 가장 많이 다루어지고 있었다. 셋째, 문화적 배경을 분석한 결과 비영어권문화의 내용을 다루고 있기는 하나 우리나라 문화와 영어권 문화의 내용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위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초등교과서에서 다루어지는 문화 교육은 다양하고 폭넓은 문화 소재를 제시하고 교사들은 제시된 문화 내용을 확장하고 다양한 유형의 활동들을 학습자들에게 제공해 주도록 해야 하며 학습자들은 이를 활용하여보다 폭넓고 다양한 문화에 대해 알고 접해 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러므로서 학습자들은 문화의 다양성과 특징을 이해하고 궁극적 목표인 의사소통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교육 과정에서 문화 교육 분야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배란이 구취에 미치는 영향

        김인정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구취의 발생 원인 및 치료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구취 클리닉을 내원하는 환자 중 많은 수를 차지하는 여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제한적으로 진행되어 왔다. 따라서 월경주기 동안 구취의 양, 타액의 분비율, 타액의 점조도를 측정하여 여성만의 특징인 배란이 구취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 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최근에 항생제나 경구 피임약을 복용하지 않았으며 어떠한 명백한 감염성 질환 및 전신 질환이 없고 치수 노출을 동반한 치아 우식 병소와 치주 병변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치열이 비교적 고른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여학생 19명(평균 25.4±4.04세)이었으며 각 대상자의 월경주기를 타액으로 배란 시기를 확인하는 배란 테스트기인 Lady-Q^(□)((주)한화., 서울, 한국) 및 문진과 기초 체온 측정을 통하여 조사한 후 각 주기 내에서 여포기 1일, 배란시기 3일, 황체기 1일 동안 휘발성 황 화합물의 양, 타액의 분비율, 타액의 점조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휘발성 황 화합물의 양은 유의차는 없었으나 여포기에서 배란일로 진행됨에 따라 평균값이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배란일에서 황체기로 진행됨에 따라 평균값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2. 비자극성 타액 분비율은 유의성은 없었으나 여포기와 황체기에 비하여 배란시기에 평균값이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3. 자극성 타액 분비율은 월경주기 동안 여포기, 배란시기, 황체기의 평균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4. 타액의 점조도는 황체기보다 배란시기에 유의성 있게(p=0.0125) 감소되는 변화를 보였으나 여포기와 배란시기의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월경주기 동안 타액의 점조도는 황체기에 비하여 배란시기에 감소되는 주기적인 변화를 나타내며 구취의 양 및 비자극성 타액 분비율은 유의성은 없으나 배란시기에 증가되는 경향을 보이나 자극성 타액 분비율은 배란과 관련된 주기적인 변화를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Currently many researches have been carried out in order to find the cause and treatment methods of halitosis. A great percentage of the patients who visit the halitosis clinic is women but studies composed of this women are limit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effect of ovulation on halitosis by measuring the amount of halitosis, secretion rate and viscosity of saliva during the menstrual cycle. The study was constructed of 19 Yonsei University Dental College female students (mean age of 25.4±4.04yr) who were not currently taking any antibiotics nor oral contraceptives, had no clear signs of infection and systemic disease, dental caries involving the pulp, nor any periodontal diseases and had good alignment of the teeth. Each subject used Lady-Q^(□) (Hanwha Inc., Seoul, Korea), an ovulation tester, to find the ovulatory phase of the menstrual cycle using saliva. Their history was taken and their basal body temperature was measured. On the basis of these data, the amount of volatile sulphur compounds, secretion rate and viscosity of saliva were measured during 1 day of the follicular phase, 3 days of ovulatory phase and 1 day of the luteal phase within the mensural cycl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amount of volatile sulphur compound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as the phase changed from the follicular phase to ovulation, the average value slightly increased and as the phase changed from ovulatory the luteal, the value decreased slightly. 2. The secretion rate of non-stimulated saliva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during the ovulatory phase, the average value increased slightly compared to the follicular and luteal phase. 3. The secretion rate of stimulated saliva showed no difference of average value among follicular, ovulatory and luteal phase and the chang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4. During the ovulatory phase, the viscosity of saliva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p=0.0125) compared to the luteal phase, but during follicular and ovulatory phase,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ed. In conclusion, the viscosity of saliva during the menstrual cycle showed periodic decrease during the ovulatory phase than the luteal phase. The amount of halitosis and the secretion rate of non-stimulatory saliva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during the ovulatory phase, the value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The secretion rate of stimulated saliva is thought to show no periodic change in relation to the ovulatory phase.

      • PAC와 alum을 이용한 하수 인 제거 응집공정의 최적화를 위한 반응표면분석법의 적용

        김인정 부경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goal of this paper sets up the experimental design through the reaction analysis method and executes an experiment and tries to find the coagulant dose according to the Al:P mol ratio of the optimum coagulant Polyaluminum chlorid(PAC) and alum a condition in order to minimize the phosphoric concentration which is suitable for the effluent standard. Th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using jar test and response surface methodology(RSM) a systematic experimental design which was applied to optimize the coagulation process. A central composite design(CCD), which is the standard design of RSM, was used to build a response surface model and evaluate the effects and interactions of the two factor(PAC,alum), such as coagulant dose(Al:P mol ratio), phosphorus concentration. As a compromise between the two responses, the minimum amount of 0.2mg/L P. The optimum condition s which yielded by using 2.0 PAC(Al:P mol ratio) and 2.5 alum(Al:P mol ratio) in case of the bioreactor effluent. Therefore, 2.8 PAC(Al:P mol ratio) and 1.97 alum(Al:P mol ratio) in bioreactor effluent. TP used mainly in the field and the to set the DRP value at a variable and minimize the phosphoric concentration 0.1mg / L were optimized with a goal in order to grasp the phosphorus concentration by using the response optimizer tool. This demonstrates the benefits of the approach beasd on thr RSM in achieving maximum amount of inform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