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 예방 행동 분석 : 사회적 변인들을 중심으로

        김인애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factors that influence COVID-19 preventive behavior. Health belief model is used to predict COVID-19 preventive behavior. Additionally, optimistic bias, public stigma, social influence,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and subjective norm are added in research model. Analyzing the survey responses of 300 people who live in Korea, I found that perceived barrier and optimistic bias a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preventive behavior and subjective norm, perceived benefits,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are positively correlated. 본 연구는 20~60대 대한민국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코로나 바이러스 관련 사회적 변인들이 사회적 거리두기 행동 실천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건강 믿음 모형(Health Belief Model)을 이론적 틀로 하고 낙관적 편견을 추가하였으며,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사회적 낙인과 사회적 거리두기 관련 인지된 사회적 참여 정도. 주관적 규범과 정보추구 행동을 모델에 추가하였다. 분석결과 지각된 효과, 주관적 규범, 정보 추구 행동이 증가할 수록 예방 행동을 수행할 가능성이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각된 장애요인, 낙관적 편견이 적을수록 사회적 거리두기를 실천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코로나 바이러스 예방행동에 사회적 요인들이 영향력을 가진다는 것을 밝혀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질 수 있다.

      • 전통주 체험마케팅에서 체험요소가 구매의도 및 재경험의도에 미치는 영향 : 경험적 가치와 호혜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인애 대전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체험경제이론을 적용함으로써 전통주 체험프로그램 활동에 참여한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지각하는 체험요소의 측정차원을 파악하고, 전통주 구매 및 체험프로그램 활동의 지속적 태도형성과 재경험의도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더불어 체험요소와 구매의도 및 재경험의도 간의 관계에서 경험적 가치와 호혜성이 어떠한 조절역할을 하는지 확인함으로써 전통주 이미지 제고와 관련 체험프로그램의 활성화를 위한 마케팅 전략수립의 기초자료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주 체험마케팅의 체험요소와 구매의도 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 오락적 체험, 심미적 체험, 일탈적 체험, 교육적 체험 순으로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체험마케팅의 체험요소와 재경험의도 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 교육적 체험, 오락적 체험, 심미적 체험요소 순으로 재경험의도에 영향력을 높게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체험요소의 일탈적 체험요소는 재경험의도에 유의한 영향관계가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체험마케팅의 체험요소와 구매의도 및 재경험의도 간의 관계에서 경험적 가치의 조절역할을 분석한 결과, 먼저, 일탈적 체험과 구매의도 간의 관계에서 경험적 가치는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교육적 체험, 오락적 체험, 심미적 체험요소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경험적 가치는 조절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오락적 체험이 재경험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경험적 가치는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교육적 체험, 심미적 체험에서는 경험적 가치가 조절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체험마케팅의 체험요소와 구매의도 및 재경험의도 간의 영향관계에서 호혜성의 조절역할을 규명한 결과, 체험요소에서 심미적 체험요소를 제외한 나머지 하위차원(교육적 체험, 일탈적 체험, 오락적 체험)은 구매의도 간의 관계에서 호혜성은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체험요소의 모든 하위차원(교육적 체험, 오락적 체험, 심미적 체험)은 재경험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호혜성이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일과 삶의 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근무 특성 및 건강 행태 요인 분석

        김인애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융합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근무 특성과 건강 행태가 다른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근무 특성과 건강 행태에 따라 일과 삶의 균형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근로자들의 일과 삶의 균형을 높여 업무 성과 및 조직의 생산성을 향상 시킬 뿐만 아니라 근로자의 건강 행태를 개선하여 건강 수준을 높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전국 의료기관, 기업체, 공공기관 등 사업장에 근무하는 근로자 15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중 129부를 분석하였다. 연구 도구는 인구 사회학적 특성, 건강 행태, 근무 특성, 일과 삶의 균형 총 4개 영역의 36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근무 특성의 직군, 직위, 연봉, 근무 형태, 고용 형태, 업무량, 휴일 수, 출퇴근 소요 시간, 근무 연수 총 9개의 독립변인으로, 건강 행태를 1개의 독립변인으로 구분하여 총 10개의 독립변인을 두었으며 종속변인은 일과 삶의 균형으로 두었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와 백분율, 산술평균 및 표준편차, 최대값, 최소값,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 Scheffe test, Dunnett T3, Pearson’s correlation 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의 통계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연구대상자의 일과 삶의 균형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영향을 미친 순서대로 식습관, 연봉, 업무량, 결혼 상태가 있었으며, 일과 삶의 균형은 식습관이 좋은 집단이 나쁜 집단보다, 연봉은 3천만 원 미만인 집단과 비교 했을 때, 6천만 원 이상인 그룹보다 3천~6천만 원 미만인 집단이 높았고, 업무량이 적은 집단이 보통인 집단 보다, 기혼인 집단이 미혼인 집단에 비해 일과 삶의 균형이 높았다. 거주 형태에 따른 일과 삶의 균형의 영향이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선행 연구에 따르면 거주 형태에 따른 건강 행태와 삶의 질이 높았고 본 연구에서 모집단이 한정적이었기 때문에 결혼 형태와 거주 형태 따른 일과 삶의 균형에 관한 구체적인 요인을 분석할 것을 제언하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다양한 근로자의 일과 삶의 균형에 미치는 요인을 근로자의 건강 행태와 근무 특성에서 오는 요인과 연관 지어 분석 한 점에 의의가 있다. 근로자의 일과 삶 양쪽의 성과를 높임으로써 근로자의 건강 상태를 개선하고, 조직의 생산성 또한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work and life balance for workers with different work characteristics and health behaviors, improve work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productivity by balancing work and life, and improve workers' health behaviors. Those surveyed conducted a survey of 153 workers working at workplaces, including medical institutions, businesses and public institutions nationwide, and 129 of them were analyzed. The research tool consists of 36 questions in a total of four areas: demographic, health behavior, work-life balance, job title, salary, working form, employment, workload, holiday count, commuting time, and working year, with a total of 10 independent variabl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tatistical methods of frequency and percentage, arithmetic mean and standard deviation, maximum value, minimum value, t-test, Scope test, Dunnett T3, Pearson's correction efficienc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study found that the factors influencing the work-life balance of the study included eating habits, salaries, workload, and marital status in the order in which they influenced the work-life balance, and that the work-life balance was higher than that of the group with a salary of less than 60 million won. Although work-life balance was not affected by the form of residence, a prior study suggested that specific factors on work-life balance should be analyzed according to the form of marriage and residence, as the quality of life was high and the population was limited. As such,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s factors that affect the work-life balance of various workers in relation to factors that come from workers' health behaviors and work characteristics. It will be the basic data to improve workers' health conditions by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both their work and life, and to develop measures to increase the productivity of the organization.

      • 1인 가구의 편의점(CVS) 식품 정보전달 향상을 위한 모바일 서비스 디자인 사용성 연구

        김인애 한양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급변하고 있는 사회의 영향으로 1인 가구증가와 편의점(CVS) 식품의 간편식, 즉석식품 등의 소비 급증으로 나타난 영양불균형을 바탕으로 영양정보에 대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편의점(CVS) 식품 정보전달 향상을 위한 모바일 서비스 디자인 사용성 연구이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는 사회적 변화에 따른 1인 가구증가와 편의점(CVS) 모바일 서비스의 문헌들을 고찰하고 선행연구를 통해 식품 정보에 대한 소비자 인식과 문제점을 검토한다. 이후 편의점(CVS) 출점 현황을 바탕으로 상위 브랜드 3사를 선정하여 모바일 서비스 특성의 3가지 요소를 기준으로 편의점(CVS) 모바일 서비스 디자인 형태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 로 사용자를 보다 면밀히 파악하기 위해 2가지의 유형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설문은 편의점(CVS)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1인 가구 사용자를 대상으로 약 175명을 진행하였다. 분석을 바탕으로 프로토타입을 진행한 후 3사 사례의 사용성 평가항목을 가지고 프로토타입 평가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결과 기존의 편의점(CVS)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서 제공되는 상품에 대한 설명, 정보, 피드백이 사용자로 하여금 부정적인 영향이 나타났다. 영양정보 표시 등의 사용자에게 전달되어야 하는 정보들은 문어적 표현이 아닌 영양소의 성분 데이터를 조직화하고 정량적 정보를 시각화함으로서 정보 상의 사용자 중심의 새로운 접근방법이 호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식품에 첨가된 Kcal의 수치정보로 양을 측정하기 어려워 시각적 계량화를 통해 식품 정보에 사전지식이 낮더라도 언어정보와 시각요소로 비교가 가능하도록 식품 정보전달력을 높일 필요성이 있다. 또한 일반적인 식품 정보전달이 아니라 섭취 이후의 소비자의 상황에 따라 섭취가능한 정보도 함께 나타낼 수 있어야 한다. 연구를 통해 편의점(CVS) 식품 정보향상으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기에 편리한 환경이 제공되길 희망하며 연구결과과 모바일 애플리케이션뿐만 아니라 식품의 정보전달 과정에 기초자료에 사용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paper reviews increasing problems surrounding nutritional imbalance in the rapid consumption of instant foods in one person households and convenience foods CVS. In order to improve such information delivery, usability research was applied to devise the mobile service design. Research methods were based on a review of the literature on the increase of one person household growth in accordance with societal change and the convenience store CVS mobile services. Consumer awareness and problems on food information is also reviewed through advanced research. Afterward, the top three brands were selected based on the opening dates and current status of the convenience store CVS, then their design forms of CVS mobile service were analyzed based on the three factors unique to mobile services. Consequent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wo types of surveys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consumers more closely.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75 consumers of one person households using a convenience store CVS mobile applications. Lastly, I devised prototype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analysis, followed by the evaluation of the prototype with usability assessment criteria utilized in three companies. This study shows that the description, information, and feedback on the products provided by the existing convenience stores CVS mobile application had a negative impact on the consumers. Information that must be communicated to the user, such as nutritional information, has organized data of nutrients and visualized quantitative information rather than verbal expressions. This new and user-friendly approach has shown to be favorable for consumers. 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measure the quantity with Kcal added to food by numerical inform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nhance food information and provide visual aid through visual quantification even if the consumer’s pre-existingknowledge of food is inadequate so that the consumers can compare the product with language and visual information. Furthermore, information about consumption depending on the consumer’s situation after ingestion should be available alongside the general food information. I hope that this research will provide a convenient environment for using mobile applications to improve convenience stores CVS with enhanced food information. I also anticipate this study will be utilized not only for mobile applications but also used for basic data on the food information delivery process.

      • 다문화 역사교육과 중학교 역사 교과서 서술

        김인애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고는 학생들이 공식적으로 역사를 접하는 통로인 중학교 역사 교과서에서 주류 문화 위주의 일방적 흡수・융합을 넘어서 문화적 공존을 향한 다문화적 인식과 가치관을 함양시킬 수 있는 교과서 서술의 경험과 가능성을 검토하고 바람직한 개선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다문화 역사교육의 요구가 갈수록 증대되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인의 정체성을 재발견하고 확대된 인식을 담은 새로운 역사 교육과정과 교과서 서술이 필요하다. 2009・2015 개정 역사과 교육과정과 이를 반영하여 집필된 중학교 역사 교과서의 한국사 영역에서 귀화인이나 이주민들의 공존 사례에 관한 서술을 살펴보고, 바람직한 서술 방안을 다문화적 관점에서 비교・검토하였다. 이러한 작업을 통하여 문화 다양성을 토대로 한 공존과 상생의 가치를 제고시켜 나아가는 작업의 중요성을 환기하고자 한다. 다문화 역사교육은 역사적 경험을 바탕으로 하여 다문화 환경이 심화되고 있는 현 사회에 걸맞은 인식과 태도 함양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특히 본고는 역사교육과 다문화 교육은 목표와 내용 측면에서도 추구하는 바가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어, 올바른 역사 이해를 기반으로 하여 정체성을 함양하고 다양성에 대한 존중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다문화 역사교육이 실행된다면 매우 유의미한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라는 사실을 체계적으로 검토하는 데 주력하였다. 그리고 작업을 통하여 2009・2015 개정 역사과 교육과정의 성격과 목표 진술에 대한 비교・검토에서 2015 개정 역사과 교육과정이 맥락상으로 2009 개정 역사과 교육과정의 기조를 유지하면서도, 다문화적 관점이 진전된 부분을 확인하였다. 또한 내용 체계와 성취기준 진술에서도 다문화적 관점의 맥락을 유지하고 있으면서, 각 교육과정이 강조하는 측면에서 차이가 존재하므로 삭제되거나 새롭게 추가된 진술을 확인하였다. 본문에서 가장 중점을 둔 부분은 2009・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역사 교과서의 한국사 영역을 대상으로 귀화인・이주민에 대한 서술 내용에 대한 분석이다. 교육과정을 반영한 역사 교과서가 학습량 축소와 다문화 교육을 어떻게 구현시켰는지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다문화적 관점에서 관련 서술을 검토하는 것이 중요하다. 비교・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야인의 경우 조선 건국에 기여한 활동상을 다루지 않았고, 귀화에 관한 서술이 소략하여 조선의 개방성이 부각되지 않았다. 왜인의 경우 침략 행위에 관한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어 대외 교류의 다양성이 드러나지 않았다. 양인의 경우 조선 후기의 문화 변동에 영향을 끼친 사례로 박연과 하멜을 서술하였으나, 이 둘의 삶을 조명하여 귀화에 대한 인식을 심화시키는 서술이 미흡하였다. 둘째, 화교의 경우 외부자로서 조선 상권을 침탈한 청 상인은 강조한 반면에, 이들이 정착한 계기나 과정이 제대로 다루어지지 않음으로써 다문화적 요소가 추가된 측면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일본인의 경우 한국 사회에 들어온 일본인이 여러 층위를 형성했음에도 불구하고, 제국주의의 일본인으로 간주함으로써 이분법적이고 대립적인 구도만을 서술하였다. 서양인의 경우 2009 개정 교육과정 교과서와 2015 개정 교육과정 교과서의 서술이 차이가 컸는데, 2009 개정 교육과정 교과서가 서양인의 이름과 업적만을 나열하는 수준이지만 다루는 인물을 비중있게 취급한 데 비해서, 2015 개정 교육과정 교과서는 관련 내용을 다루지 않아 서술이 대폭 축소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국제 결혼자와 외국인 노동자의 경우 이들을 다문화 사회를 구성하는 주체로 다룸으로써 현대 사회의 다양성을 드러내고 있었다. 북한 이탈 주민의 경우 평화 통일을 위한 중요한 존재로 부각하기보다는 탈북 원인을 통해 북한의 실상을 이해하는 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으며, 2015 개정 교육과정 교과서에서 근・현대사의 대단원을 통폐합함에 따라 관련 내용이 대폭 줄어들었음을 확인하였다. 2009・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역사 교과서의 한국사 영역에서 귀화인・이주민에 관한 서술을 분석한 결과, 한국 사회의 다문화적 양상이 오래전부터 존재했으며 다양한 요소들이 새롭게 추가되기도 하고 발전해 왔다는 사실을 제시하는 데 한계가 있다고 사료된다. 그리고 교육과정에서 다문화적 관점을 지향하고 있지만, 이를 반영한 역사 교과서는 다문화와 관련된 내용을 본문에서 다루기보다는 보충 자료나 탐구 활동 수준으로 제시하고 있어 다문화적인 내용을 부수적으로 처리하였으므로 서술이 부족하였다. 더욱이 2015 개정 교육과정 교과서가 2009 개정 교육과정 교과서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보완하여 다문화에 대한 요구가 갈수록 증대되고 있는 시대적 흐름을 반영하기보다는, 서술에 있어 소극적인 부분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귀화인・이주민에 대한 다문화적 관점의 바람직한 역사 교과서 서술과 관련하여 몇 가지 유의할 측면이 있다. 첫째, 다양한 입장을 반영하는 자료들을 제시하여 관점의 다양성과 해석의 가능성을 접하게 해야 한다. 둘째, 귀화인을 역사 교과서의 서술 소재로 삼아야 하며 이와 관련된 다양한 학습 자료와 탐구 문제를 개발하여야 한다. 셋째, 우리 사회가 다문화 사회로 나아가는 데 큰 영향을 미친 지역 또는 국가에 대한 다문화적 이해를 함양할 수 있도록 다양한 주체와 관련된 학습 내용을 늘려야 한다. 마지막으로, 다문화 사회에 필요한 역량을 기르기 위해서는 범교과인 다문화 교육이 필수교과로 자리잡을 필요가 있다.

      • 라이딩 스포츠용 팬츠의 소비자 수요특성 연구 : 여성용 승마바지를 중심으로

        김인애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착용감 및 안정성이 개선된 승마바지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기 위하여 20세 이상의 국내 여성 승마인을 대상으로 승마바지에 대한 구매 실태와 착용 실태, 디자인 선호도를 설문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승마 활동 특성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승마 활동 특성은 승마 참여 빈도, 승마 경력, 주로 구사하는 승마 보법으로 구체화하여 조사하였다. 구체적인 조사 내용은 승마바지 보유현황과 승마바지 구매 시 고려사항, 착용 불편 요소였다. 또한 승마 참여 빈도와 승마 경력, 구사하는 보법에 따라 승마바지의 디자인 선호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 승마인들은 승마를 자주 할수록 많은 수의 승마바지를 보유하였다. 또한 승마 경력이 높고 주로 구사하는 말의 보법의 속도가 빠를수록 승마바지 보유 수량이 증가하였다. 이는 여성 승마인의 승마 활동 특성이 승마바지 구매에 영향을 미쳤음을 시사하였다. 둘째, 여성 승마인은 전반적으로 승마바지를 구매할 때 승마바지의 편리성, 신축성, 맞음새를 주로 고려하고, 가격이나 촉감, 색상은 상대적으로 덜 고려하였다. 이는 여성 승마인이 승마바지를 구매할 때 편리성과 맞음새를 중요시하고 있음을 시사하였다. 셋째, 여성 승마인은 승마바지를 착용할 때 경험하였던 불편사항을 조사한 결과, 소재의 신축성과 바지 주머니의 개수 및 위치, 착탈의성에 대하여 주로 불편함을 경험하였다고 하였다. 불편함에 대한 경험은 응답자가 주로 구사하는 보법에 따라 차이를 나타냈다. 평보를 주로 구사하는 집단은 승마바지의 허벅지, 무릎, 종아리 부위 맞음새가 타이트하고 바지가 말려올라가는 점을 불편하게 평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여성용 승마바지를 설계할 시에는 신축성 있는 소재를 사용하고, 주머니의 개수와 위치, 착탈의성을 개선하여야 하며, 특히 주로 평보를 구사하는 승마인을 위한 승마바지는 맞음새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넷째, 승마바지의 디자인 선호도 분석결과, 여성 승마인의 승마 활동 특성 중 주로 구사하는 말의 보법에 따른 차이가 뚜렷이 나타났다. 반면 승마 참여 빈도 및 승마 경력에 따른 차이는 뚜렷이 드러나지 않았다. 따라서 여성용 승마바지 설계 시 주로 구사하는 말의 보법에 의한 기승자의 운동특성을 반영하여 설계되어야 함을 시사하였다. 다섯째, 본 연구의 결과는 국내 여성 승마인들을 위한 승마바지 설계 시 다음과 같은 점을 주의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승마바지의 허리밴드 높이 및 형태는 주로 구사하는 보법에 상관없이 모든 집단이 미드 라이즈 높이의 앞지퍼 여밈과 벨트루프가 달린 신축성 허리밴드를 가장 선호하였다. 이는 허리와 골반이 반복적으로 움직이는 승마 운동 특성 상 셔츠의 뒷자락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활동성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승마바지 패치의 크기 및 소재는 전반적으로 풀그립의 실리콘 패치를 가장 선호하였으나, 주로 평보를 구사하는 집단은 3/4그립의 스웨이드 패치를, 주로 속보와 구보를 구사하는 집단은 풀그립의 실리콘 패치를 가장 선호하였다. 패치는 기승자가 안장 위에서 안정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여 낙마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승마바지만의 기능적 설계 요소이므로 승마바지를 설계할 시 승마바지의 활동성과 안전성을 모두 고려하여 기승자의 승마 수준에 따라 적절한 패치의 크기와 소재를 적용하여야 함을 시사하였다. 승마바지의 밑단 형태는 주로 구사하는 말의 보법과 무관하게 모든 집단에서 별도의 신축성 소재를 삽입한 스타일을 가장 선호하여 승마바지의 착탈의성을 개선할 수 있는 설계요소를 필요로 하고 있음을 시사하였다. 앞주머니의 형태는 평보를 주로 구사하는 집단이 웰트 포켓을 가장 선호하였으며, 속보와 구보를 주로 구사하는 집단이 슬랜트 포켓을 가장 선호하였다. 또한 뒷주머니의 형태는 평보를 주로 구사하는 집단이 웰트 포켓을 가장 선호하였고, 속보와 구보를 주로 구사하는 집단은 뒷주머니가 없는 것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교적 기승자의 운동 리듬이 작은 평보를 주로 구사하는 집단에서는 심미성을 고려한 디자인을 선호하는 것으로 사료되며, 운동 리듬이 큰 속보와 구보를 주로 구사하는 승마인은 실용성을 고려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휴대폰 전용 포켓의 유무는 선호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여섯째, 승마바지 디자인 선호도 분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여성 승마인을 위한 승마바지 디자인으로 다음과 같은 점을 제안하였다. 먼저 승마바지 디자인 선호도에서 평보를 주로 구사하는 집단과 속보 및 구보를 주로 구사하는 집단 사이에 뚜렷한 디자인 선호도 차이가 나타났으므로 평보를 주로 구사하는 승마인을 대상으로 입문용 승마바지를, 속보와 구보를 주로 구사하는 승마인을 대상으로 전문용 승마바지를 제안하였다. 입문용 승마바지와 전문용 승마바지에 공통적으로 적용하는 디자인 요소는 미드 라이즈 높이와 앞지퍼와 벨트루프가 있는 신축성 허리밴드, 별도의 신축성 소재를 삽입한 밑단의 사용 등이었다. 입문용 승마바지와 전문용 승마바지의 구체적인 디자인 제안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입문용 승마바지에는 앞주머니, 뒷주머니에 각각 웰트 포켓을 제안하였고, 3/4그립의 스웨이드 패치를 사용을 제안하였다. 전문용 승마바지는 앞주머니를 슬랜트 포켓으로 제안하하고, 뒷주머니는 제안하지 않았다. 패치의 크기는 풀그립을 제안하였으며 소재는 실리콘 패치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여성용 승마바지 설계 시, 여성 승마인의 승마 활동 특성에 따라 승마바지의 수요특성에 차이가 있었으므로 이러한 경향을 반영하여 승마바지를 다양하게 개발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To present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equestrian pants with improved fit and stability, this study surveyed the characteristics of purchasing and wearing, and design preferences targeting domestic female equestrians over 20 years old. Data collected by the questionnaire was analyzed by the characteristics of equestrian activity, and the characteristics of equestrian activity were investigated by specifying the participation frequency, riding career, and horse’s gait mainly used. The details of the questionnaire were the status of holding equestrian pants, purchasing value of equestrian pants, and discomfort while wearing equestrian pants. In addition, the difference in design preference for equestrian pants was analyzed by the frequency of riding participation, riding career, and horse’s gait mainly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emale equestrians possessed more equestrian pants the more frequent the equestrian activity. In addition, the higher riding career and the faster horse’s gait speed, the more equestrian pants possessed. This suggest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female equestrians' riding activity influenced the purchase of equestrian pants. Second, female equestrians generally considered usability, flexibility, and fit when purchasing equestrian pants, and relatively less considered price, touch, and color. This suggests that female equestrians place importance on usability and fit when purchasing equestrian pants.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scomfort experienced by female equestrians when wearing equestrian pants, they mainly experienced discomfort with respect to flexibility of the material, number and location of pockets, and dressing or undressing. The experience of discomfort differed according to the horse’s gait mainly used by the subjects. The group that mainly using the walk evaluated that the equestrian pants had a tight fit on the thighs, knees, and calves, and the pants rolled up inconveniently. Therefore, when designing women's equestrian pants, flexible materials should be used, the number and location of pockets, and dressing or undressing should be improved. In particular, it suggested that the equestrian pants for riders who mainly used the walk should be designed to improve the fit.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esign preference for equestrian pants, it showed clear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horse’s gait mainly used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riding activity of female equestrians. On the contrary, there was no clear difference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riding and riding career. Therefore, it suggested that the equestrian pants should be designed to reflect the rider's kinetic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horse's gait. Fifth,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concentrate to the following points when designing equestrian pants for domestic female equestrians. Regardless of the horse’s gait mainly used by riders, as for the height and shape of the waistband of the equestrian pants, all groups preferred the mid-rise high elastic waistband with front zip and belt loops. This can be interpreted as a way to keep the back hem of a shirt tucked in and to increase activity due to the characteristic of motion in horseback riding in which the waist and pelvis repeatedly move. As for the size and material of patch for the equestrian pants, the full-grip silicone patch was the most preferred overall, however, the group that mainly uses the walk mostly preferred the 3/4 grip suede patch, and the group that mainly uses the trot and canter preferred the full grip silicone patch the most. The patch is a functional design element only for equestrian pants to prevent falling from a horse by allowing the rider to move stably on the saddle, therefore, it was suggested that the size and material of patch should be applied according to the riding level of the rider in consideration of both the activity and safety of the equestrian pants when designing the equestrian pants. As the shape of the hem of equestrian pants is the most preferred style with a separate stretch knit in all groups regardless of the horse’s gait mainly used by riders, it was suggested that design elements to improve the wearability of the equestrian pants were needed. As for the shape of the front pockets, the welt pockets were most preferred by the group using the walk, and the slant pockets were most preferred by the group using the trot and the canter. Also, as for the shape of the back pockets, it was found that the group using the walk most preferred welt pockets, and the group using the trot and the canter most preferred the one without back pocket. It is signified that the group that mainly uses the walk with a relatively small motion rhythm of the rider prefers the design considering aesthetics, while the group that mainly uses the trot and canter with a large motion rhythm tends to consider practicality. There was no difference in preference for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mobile phone pocket. Sixth, based on the analysis of design preference for equestrian pants, this study proposed the following points as the design of equestrian pants for domestic female equestrians. First of all, in terms of design preference for equestrian pants, there were clear differences in design preference between the group that mainly uses the walk and the group that mainly uses the trot and canter. Entry level equestrian pants were proposed for equestrians who mainly use the walk, and professional equestrian pants were proposed for equestrians who mainly use the trot and canter. The design elements commonly applied to entry level equestrian pants and professional equestrian pants were mid-rise height, an elastic waistband with a front zip and belt loop, and a hem with a separate stretch knit insert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specific design proposals for entry level equestrian pants and professional equestrian pants is as follows. Welt pockets were suggested in the front and back pockets for entry level equestrian pants, respectively, and 3/4 grip suede patches were suggested. For professional equestrian pants, the front pockets were suggested as slant pockets, and the back pockets were not suggested. And a full grip was suggested for the size of the patch, and a silicone patch was proposed for the material. As there was a difference in demand characteristics for equestrian pants according to riding activity characteristics of female equestrians, this study indicated that equestrian pants should be developed variously by reflecting those factors.

      • 간호사의 간호근무 환경과 간호서비스 질의 관계에서 빠뜨린 간호의 매개 효과

        김인애 강릉원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여러 국가에서 간호 인력 비율과 간호근무 환경이 빠뜨린 간호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는 연구들이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빠뜨린 간호에 대한 연구는 초기 상태이다. 본 연구는 빠뜨린 간호의 빈도와 유형을 설명하고 간호근무 환경이 간호서비스 질의 관계에서 빠뜨린 간호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자료 수집은 2022년 5월 26일부터 2022년 5월 31일까지 W 지역의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6개월 이상 근무경력이 있는 간호사 11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다. 설문지는 일반적 특성과 간호근무 환경, 빠뜨린 간호, 간호서비스 질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항목들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를 이용하여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근무 환경, 빠뜨린 간호, 간호서비스 질의 차이를 분석하였고 빠뜨린 간호의 매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간호근무 환경의 평균 점수는 2.55±0.37이며 간호근무 환경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성별(t=-3.95, p<.001), 연봉(F=3.33, p=0.039), 근무부서(t=2.04, p= 0.043)로 나타났다. 2. 빠뜨린 간호에 대한 평균 점수는 2.39±0.72였고 빠뜨린 간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t=-2.03, p=0.045)과 교육 수준(t=2.46, p=0.015)으로 나타났다. 빠뜨린 간호의 빈도는 '다학제 모임 참여', '구강관리', '목욕·피부관리'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3. 빠뜨린 간호의 원인에 대한 하위 영역의 평균 점수는 '물질적 자원'과 '의사소통'보다 '인적 자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적 자원' 항목 중에서는 ' 예상치 못한 환자 수 및/또는 중증도 증가'와 '간호 인력 부족'의 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4. 간호서비스 질에 대한 평균 점수는 3.79±0.35으로 간호서비스 질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교육 수준(t=2.13, p=0.035)으로 나타났다. 5.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간호근무 환경이 간호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간호서비스 질에 미치는 빠뜨린 간호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간호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병원관리자는 간호근무 환경의 개선을 위한 적극적 조치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빠뜨린 간호를 줄이기 위해서는 인적 자원에 대한 지원을 강화해야 하며, 그 중에서도 예상치 못한 간호업무량의 감소 및 적정 간호 인력의 확보가 필수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빠뜨린 간호의 유형과 빈도를 정확히 조사하기 위해서는 추후 연구는 한국간호사의 사회문화적 요인, 근무부서와 빠뜨린 간호의 측정방법 차이로 기인하는 잠재적 편향을 주의 깊게 검토할 필요가 있겠다. There are only a few studies in South Korea about missed nursing care, de- spite there being a growing body of knowledge in different countries proving that staffing ratio and work environment affects missed nursing. This cross-sectional study aimed to describe the frequency and type of missed nursing care and to explore the mediating effect of missed nursing care servi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rk environment and service quality in nursing.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26, 2022 to May 31, 2022 through a self-reporting questionnaire from 115 staff nurses working at a tertiary hospital who each had more than six months of clinical experience.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items related to nursing work environment, missed nursing care, nursing service quality, and general characteristics. We used an independent t-test and one-way ANOVA to test the differences among the nursing work environment, missed nursing care, and nursing service quality by general characteristics. We employed a hierarchical linear regression to explore the mediating effect of missed nursing care and the effect that the nursing work environment has on nursing service quality.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for nursing work environment was 2.55±0.37. The factors that affected the nursing work environment were gender (t=-3.95, p<.001), annual salary (F=3.33, p=.039), and working unit (t=2.04, p=.043). 2. The mean score for missed nursing care was 2.39±0.72. The factors that affected the missed nursing care were gender (t=-2.03, p=.045) and educational level (t=2.46, p=.015). Activities in missed nursing care were found to be more frequent in “participation in multidisciplinary meetings,” “oral care,” and “bathing and skin care.” 3. When comparing the mean scores of subscales for the reasons of missing nursing care, “labor resources” was found to be higher than “material re- sources” and “communication.” Among the items on “labor resources,” the mean score of “unexpected rise in patient volume and/or acuity on the unit” and “inadequate number of staff” were the highest. 4. The mean score for nursing service quality was 3.79±0.35. The factor that affected the nursing service quality was education level (t=2.13, p= .035) 5. As a result of hierarchical linear regression, the nursing work environment’s influence on the nursing service quality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e mediating effect of missed nursing care on the nursing service quality was not significant. To improve the quality of nursing services, hospital managers should take active measures to enhance the work environment. To reduce the missed nursing care, support for human resources must be strengthened, particularly when unexpected rise in workloads occur and when securing appropriate nursing personnel are essential. To accurately investigate the type and frequency of missed nursing, future research should carefully consider potential bias resulting from the socio-cultural factors of Korean nurses, different working units, and methods to measure missed nursing care.

      • 노인의 심리 정서적 및 환경적 요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김인애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Introduction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sycho-emotional factors (depression, despair, loneliness) and socio-environmental factors (discriminations against the elderly, loss of roles) to identify the key factors that influence the tendency of considering suicide with a view to develop proper nursing intervention and preventive measures for suicides. Method : The collection of data for this study started from Sep. 10, 2013 following the approval from Institutional Review Board and continued until Sep. 30 of the same year. Nursery homes, managers of elderly centers were visited and briefed of the purposed of the study and asked for cooperation. Under the permissions by the managers of those facilities, the researchers contacted the elderly users of the facilities on the research and its purpose. After the briefing, the elderly were given with the choice to participate in the survey voluntarily. A total of 140 answers were collected, of which 18 were not used in the final analysis due to lack of integrity in the answers, leaving 122 answered to be included in the analysis. The analysis of the data was performed by using SPSS Window 20.0 software, which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with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verage, standard deviations, ANCOVA, t-test, Pearson’s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method, etc. Result : Firstly, the final result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tendency of the senior citizens to consider suicide showed that the feeling of loneliness (5.800***) and the experience of being discriminated for being an elderly (1.803*)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s, while the financial status (-3.857***) and the method to earn the living expenditures (2.298*) in the demographic factors did the same. The overall power of the model was 38.2%, which was rather high, and the significance of the model was also 18.053*** (p<.000) demonstrating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model. Secondly, the result of comparison of the tendency to consider suicide by the demographic variables of the participants showed that males had higher tendency of thinking of suicide than the female subjects did. (t=2.020, p<.05) Lastly, the health of the interviewee also turned out to have influence on the tendency of thinking of suicide. That is, the participants who were in relatively worse physical condition tended to think of taking their own life more than those who were in better physical conditions. (F = 2.844, p<.05) Conclusion : 1) The result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onducte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influences the tendency of considering suicide among the samples showed that the feeling of loneliness in terms of psycho-emotional factors, and discrimination of the elderly in terms of environmental factors, and the financial status and the method of earning the living expenditure among demographic variables were identified as to be capable of inducing the consideration of taking one’s own life. 2) Based on the demographic factors, the tendency of considering suicide were different between the male and the female, between those who were married and lived with their family and those who did not, and the financial status (quality of life, mode of residence, income level, and the mode of securing living expenditures) of the participants.

      • 꾸지뽕나무(Cudrania tricuspidata) 잎의 추출물이 대장암세포주에 미치는 영향

        김인애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과거의 약이란 것은 자연 상태에 존재하는 생물이나 광물 등을 소재로 민간에 구전되거나, 한의학적으로 통용되는 처방전을 기초로 만들어진 것으로, 이를 현대적인 관점으로 본다면 넓은 의미의 천연물 신약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2000년대에 들어오면서 천연물질을 기반으로 한 시장이 급격히 성장하고 있고 천연물질에 대한 인식변화가 엄청난 잠재력을 지닌 세계시장으로 이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고부가가치 천연물인 꾸지뽕나무의 자원화 및 이용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서, 최근 여러 문헌에 착안하여 HT-29 대장암세포주를 이용하여 꾸지뽕나무 잎 추출물의 항암, 항염증, 항산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HT-29 대장암세포주에 꾸지뽕나무 열매, 잎, 수피 추출물을 처리하여 세포 자멸사를 통한 세포성장억제능을 알아보았고,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 (PMA)로 염증반응을 유발시킨 후 cyclooxygenase-2 (COX-2)와 prostaglandin E₂ (PGE₂)를 측정하여 항염증 효과를 관찰하였으며, 활성산소기 (ROS, Reactive Oxygen Species)를 측정하여 항산화 효과를 관찰하였다. 실험결과에서 꾸지뽕나무 열매, 잎, 수피 추출물 중 꾸지뽕나무 잎 추출물을 처리했을 때 HT-29 대장암세포주 성장 억제 효과가 현저하였으며, 세포 생존율 감소가 세포자멸사와 관련 있다는 것을 확인 하였다. 꾸지뽕나무 잎 추출물은 COX-2와 PGE₂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항염증 효과를 보였으며, 염증시 발생되는 활성산소가 크게 감소하여 항산화 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천연물인 꾸지뽕나무 잎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의약자원으로 개발할 가능성이 높다고 사료되었다. The phytochemicals of many plants suggest their potential use as dietary supplements in cancer chemoprevention and chemotherapy. In the present study, anti-inflammatory, anti-oxidant or antitumor activity of Cudrania tricuspidata, a plant native to East Asia, in the HT-29 cells was investigated. For the cell viability of methanol extract of Cudrania tricuspidata, MTT colorimetric assay was performed. For the apoptotic analysis, DNA fragmentation assay was used. PGE₂ release and COX-2 expression level was measured by enzyme immunoassay and real time RT-PCR respectively, because PGE₂ is a key protumorigenic prostanoid in many human cancers. For the ROS scavenging activity, ROS level was detected by laser scanning confocal microscope. It was found that methanol extract of leaves significantly decreased cell viability by inducing apoptosis as evidenced by DNA fragmentation. The extract decrease the synthesis of PGE₂ and COX-2 expression. And the extract exhibited pronounced ROS scavenging activity. These results shows that Cudrania tricuspidata inhibit cell growth through apoptosis and exerts anti-oxidation by ROS scavenging on HT-29 cells.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Cudrania tricuspidata may have anti-tumor proper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