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민화(民畵)의 상징성과 조형성 연구 : 꽃을 소재로 한 민화를 중심으로

        김은화 안동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We can say that folk Paintings express a sense of beauty in the simple life of our ancestors. This sense of beauty is formed from the basis of common emotions and thoughts of Korean people. Folk paintings represent symbolism such as affection, wealth, male prolification and success, through use of natural materials such as flowers, stones, birds, and trees. Our ancestors used folk paintings as decorations, wishing for a richer and more fortunate life. The concept and origin of the term folk painting first appeared in a Japanese journal, <the Craft> February, 1937. In the journal, a critic, Yanagi Muneyosi, proposed to call paintings which were created and generally dealt with by common people as folk paintings. Folk painting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ypes of symbolism, such as paintings of flowers, paintings of birds and animals with hair, paintings of fish, paintings of letters, paintings of stationery, and paintings of the ten living things which have a long life. Paintings of flowers symbolize riches, honor, splendor, purity, eternal youth and longevity in life. Peonies, lotuses, chrysanthemums appear most frequently in folk paintings. Peonies represent wealth, lotuses represent purity, and chrysanthemums represent longevity. These materials not only have their own symbolism but also take on new meaning when they are painted with other things. There are six formative characteristics in folk paintings. 'The multi-perspective composition' sees objects from several viewpoints. 'The subjective proportional relationship' determines the size of objects according to their importance. 'The contrast of five direction colors' emphasizes the contrast of gorgeous colors based on the existence of folk religion and the doctrine of the five natural elements of the positive and the negative. 'The ichnography' ignores the solidity of objects and the concept of space between one another. 'The symmetric composition' provides stability for the whole drawing. 'The enumerative composition' arranges objects without being covered or blocked by any other objects. The subjects of my works, which are drawn from the basis of symbolism and form of folk paintings with flowers, are three: <Natural rhythm-spring comes>, <Natural rhythm-wind blows>, and <Natural rhythm-a variation>. I wanted to express my mental state through use of 'flower' materials in these three subjects. My works mainly use rhythmical and repeated shapes and strong primary color contrasts and the technique of enumerative compositio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ymbolism and formation in folk paintings which feature flowers. The task of my future studies will be to investigate the symbolism and formation of flowers in folk paintings from a more concrete point of view and to produce works which reflect the modern sense and concept of beauty.

      • 지연고정루프를 이용한 Integer-N 방식의 빠른 락킹 위상고정루프 설계

        김은화 부경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에서는 지연고정루프(Delay Locked Loop)와 주파수 체배기(Frequency Multiplier)를 사용하여 락킹 과정에서 넓은 대역폭을 가지는 Integer-N 방식의 위상고정루프를 제안한다. 본 구조는 넓고 좁은 대역폭을 가진 두 개의 루프에 기초를 두고 있으며, 주파수 체배기를 사용하여 자체적으로 높은 주파수를 생성해내어 그 주파수를 PLL의 넓은 대역폭 루프의 입력으로 사용한다. 넓은 대역폭 루프가 빠른 locking을 위하여 lock 상태를 가속화 시키는 동작을 하며, 좁은 대역폭 루프가 잡음을 많이 감소시킨 출력 주파수를 생성하는데 사용되어진다. In this thesis, a new fast locking integer-N PLL(Phase Locked-Loop) with a DLL(Delay Locked-Loop) is proposed. The proposed PLL is consisted of two PFDs and CPs, one VCO, LF and Divider, and a DLL which is used for frequency multiplication. The proposed architecture operates at higher frequency than conventional PLL architectures at locking process. The proposed PLL has been designed based on a 0.18㎛ CMOS process with a 1.8V supply voltage, and simulated by HSPICE. Simulation results show 1.2㎲ fast lock time at 2.6GHz output frequency.

      • 에어로빅스가 초등학생의 기초체력에 미치는 영향

        김은화 한국체육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체력은 사회생활에 기초가 되는 신체적 능력이며 개인이 사회에서 잘 살아갈 수 있는 능력의 기초로서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에어로빅스 운동이 초등학생의 기초 체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A시 M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으로 실험군인 6학년 1반 학생 30명과 통제군인 6학년 2반 학생 30명을 임의 표출하였다. 그리고 2006년 10월의 체력장 결과 기록과 에어로빅스 운동을 실험처치 한 후 2007년 10월의 체력장 결과 기록을 비교하였다. 주 5회, 1회 30분씩, 5개월 동안의 에어로빅댄스 프로그램에 의한 운동이 학교에서 실시하고 있는 체력장 각각의 종목에 어떤 효과를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50m달리기, 멀리뛰기, 윗몸앞으로굽히기, 윗몸일으키기를 측정하였다. 4개 종목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를 통하여 수집된 자료는 SPSS(11.0)을 이용하여 성별과 각 변인별로 평균(M)과 표준편차(SD)를 산출하였다. 또한 t검증(유의성)을 실시하였으며 가설 검증을 위한 유의수준은 0.05로 설정하였다. 5개월간의 에어로빅댄스 운동 후 민첩성, 순발력, 유연성, 근지구력은 운동을 하지 않은 집단보다 운동한 집단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남학생 경우 통제집단, 실험집단 모두 근지구력 테스트인 윗몸일으키기의 횟수가 감소하였다. 따라서 에어로빅스 운동은 민첩성, 순발력, 유연성, 근지구력의 기초체력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모든 체력항목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밝혀진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에어로빅스 운동은 초등학생의 기초체력 증진에 매우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덕 윤리에 기초한 중학교 도덕과 내용분석 및 지도방안

        김은화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Virtue education offers an opportunity to focus on a question, "What kind of person should I be?" rather than "How should I act?" in its approach. So far, moral education has always contemplated with the gap between knowing and acting maybe because moral knowledge is concentrated on the ability to make moral judgments. On the other hand, the approach of virtue education directs our attention to a "virtuous man" and induction of a moral act and accordingly claims more stability between moral knowledge and act/ First, the theoretical and ideological backgrounds of virtue education were reviewed to understand the concepts of virtue in the Oriental and Occidental aspects along with those of virtue ethics. From the beginning in the past, both the Orient and West focused on bringing up a whole person through moral education. It's no exaggeration that the ultimate purport of moral education has always been to complete a whole person out of a student except for the 1970s when they shifted their interest towards personal matters being encouraged by the greater focus on individuals than any other time periods in history. Thus the limitations of modern ethics were reviewed in addition to a need for an approach of virtue education in providing moral education. A look into the limitations of modern ethics doesn't automatically translate into a judgment that modern ethics is bad and an approach of virtue education is good. The limitations of modern ethics were examin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mutually complementary relations between virtue education and modern ethics. Then the implications of moral education as virtue ethics were investigated and applied. Both the concepts of virtue and the objectives of moral education were examined to emphasize its importance. After reviewing the lesson contents and objectives in the seventh and eighth grade, specific ideas were suggested regarding the approaches of virtue education. With the utilization of the methods of comprehensive value education by H. kerschenbaum, the values and morality of practical virtue were injected, modeled, facilitated, and developed for their functions. The methods were not different from the moral behavior, emotion, and knowledge mentioned by Aristotle. The goal was to promote the morality of the students by investigating the methods of comprehensive value education by H. kerschenbaum in details. The suggested methods, however, were difficult to predict the results since they aimed to help meet the lesson objectives as auxiliary means. It's necessary to take an approach from the perspective of virtue education in pursuing a desirable personality formation for Korean students, which is one of the goals of moral education in middle school. With the help of comprehensive value education methods. we will be able to bring up moral individuals who have a good character and a capability of making moral judgement as well. 윤리교육의 핵심 개념은 도덕적인 인간을 기르는 데 있다. 서양의 소크라테스를 시작으로 하는 인간다운 인간이란 덕 있는 사람을 말한다. 서양과 마찬가지로 동양에서도 인간의 선한 본성을 잘 발현하여 덕 있는 사람이 됨으로써 대동사회를 이룰 것을 학문의 목적으로 삼는다. 하지만 근세를 지나면서 칸트의 의무론과 공리주의로 대표되는 윤리교육은 도덕적인 인간보다 인간의 행위자체에 주목하게 된다. 하지만 도덕 교육의 근본 목적은 도덕적인 인간, 즉 덕이있는 인간을 목표로 하고 있다. 도덕적인 인간이 되기 위해서는 도덕적인 행위가 필요조건이긴 하지만 충분조건은 아니다. 도덕적인 인간은 도덕적인 사고와 도덕적인 감정 그리고 도덕적인 행위를 모두 갖추었을 때 우리는 한 인간을 도덕적인 사람이라고 한다. 때문에 이러한 교육 목표를 갖는 덕교육론의 필요성을 느낀다. 덕 윤리의 도덕 교육적 함의를 연구함에 있어서 가장 먼저 덕 윤리의 이론적 사상적 배경을 전통적인 서양의 덕 윤리와 동양의 덕 윤리의 측면에서 살펴본다. 둘째로 칸트 의무론과 공리주의로 대표되는 근대 규범윤리의 한계를 지적해보고 그 문제점을 살펴본다. 이를 토대로 근대 규범 윤리의 한계를 중심으로 도덕 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대안으로서의 덕 교육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그 내용은 덕교육의 구성 요소인 도덕적 습관, 행동, 감정을 살펴봄으로써 도덕 교육의 목표인 전인적 인간 교육의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중학교 도덕과에 적용되는 구체적인 수업방법을 커센바움의 도덕 가치 교육을 위한 100가지 방법을 활용한다. 커센바움의 도덕 가치 교육을 활용하는 이유는 근대 규범윤리의 장점을 간과하지 않으면서 덕교육의 장점을 보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했기 때문이다. 구체적인 교과 내용과 그에 적합하다고 사려 되는 방법을 수업내용과 목표에 벗어나지 않는 보조적인 방법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중학교 도덕교육에서 목표하고 있는 바람직한 한국인의 인격형성을 덕교육적 관점에서 접근해 보고자 한다. 물론 덕교육적 관점은 그 자체로 독립적인 관점이 되기는 어렵기 때문에 도덕적 판단 능력을 함양하는 관점의 보완이 필요하다. 우리의 학생들이 도덕적 갈등 상황 속에서 도덕적 판단을 할 수 있어야 하고 이를 실천하려는 마음가짐과 의지를 갖고 그것을 행동으로 옮길 때 우리는 도덕 교육에서 목표하는 도덕적인 인간을 형성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 유의미 학습 이론을 적용한 중학교 과학 수업 프로그램 개발 : 소화와 순환 단원을 중심으로

        김은화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설명식 수업이 주를 이루는 우리나라의 교육환경에서, 보다 성공적인 학습을 이끌어 내기 위해서는 Ausubel의 유의미 학습 이론의 적용이 필요하다는 인식에서 출발하였다. 따라서 중학교 2학년 과학 교과 중 ‘소화와 순환’ 단원을 중심으로 선행조직자 및 유의미 학습 이론을 적용한 교수-학습 지도안을 개발하여, 실제 교육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수업 프로그램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효과적인 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개발에 앞서 ‘소화와 순환’ 단원에서 다루는 주요 개념들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수업 차시를 구성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각 차시별 선행조직자 및 교수-학습 지도안을 개발하여 수업 프로그램을 조직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07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명시된 내용을 바탕으로 ‘소화와 순환’ 단원의 주요 개념을 분석하였다. 교육과정에는 ‘소화와 순환’ 단원의 학습 내용이 총 5가지로 명시되어 있었다. 이를 기초로 하여 교과서에서 제시하는 학습목표를 추가․정리하였고 그에 따른 주요 개념을 추출한 결과, 각 학습 내용 당 1~5가지의 주요 개념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교육과정과 주요 개념을 고려하여 ‘소화와 순환’ 단원의 수업 차시를 구성하였다. 1차적으로 교육과정에 제시된 학습 내용을 각각 한 차시의 수업으로 배정한 후, 주요 개념의 양과 연계성을 바탕으로 수업 차시를 조율하였다. 그 결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학습 내용보다 한 차시가 추가된 총 6차시의 수업으로 구성되었다. 셋째, 수업 차시별로 주요 개념과 관련된 선행조직자를 개발하였다. 선행조직자의 개발은 본 연구를 위해 개발한 제작 절차에 따라 시행하였으며 각 수업의 선행조직자들이 종류 및 형태면에서 다양하게 개발될 수 있도록 하였다. 넷째, 수업 차시별로 유의미 학습 이론을 적용한 교수-학습 지도안을 개발하였다. 교수-학습 지도안 개발은 선행조직자 수업 모형을 적용하여 전체 수업을 ‘도입-전개-정리’의 3단계로 나눈 후, 도입에 선행조직자 모형의 첫 단계인 ‘선행조직자 제시’ 과정을 포함시키고 전개에 ‘학습과제나 자료 제시’ 과정을, 전개와 정리에 걸쳐 ‘인지조직 강화하기’ 과정을 포함시켰다. 또한 각 과정을 촉진시키기 위해 수업에 따라 적절한 기술을 사용하였다. 이와 같이 개발된 과학 수업 프로그램은 설명식 수업이 주를 이루는 현 교육환경에서도 학습자에게 흥미롭고 유의미한 학습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시켜 줄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교사를 포함한 교육연구가들 또한 현 교육환경의 현실을 인식하고, 지속적으로 유의미 학습 이론을 적용한 수업 프로그램을 연구․개발하여 유의미한 수용학습의 기틀을 마련해 나갈 수 있길 기대해 본다.

      • 수학 선행학습이 수학학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은화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Prohibition on Prerequisite Learning recently has begun, because excessive Prerequisite Learning caused the burden of private education expenses and the collapse of public education. However, it is not considered that Prerequisite Learning is effective on all students, and the necessity of Prerequisite Learning differs among students. This study shows that Prerequisite Learning is partly needed rather than it is totally banned. The case study on recognition and actual condition of Prerequisite Learning is conducted targeting 91 students in J junior high school who mostly have Prerequisite Learning and 19 students in G junior high school who rarely do. The effect of Prerequisite Learning on study achievement and interest is as follows. First, it shows significant difference in mathematics recognition between J school students who mostly have Prerequisite Learning and G school students who rarely do. The recognition study of Prerequisite Learning for students who have Prerequisite Learning shows the following results; 68.3% answered ‘there is no difference’ on mathematics recognition, 79.3% responded ‘there is difference’ on grade improvement, 53.7% replied ‘there is no difference’ on mathematics interest, and 40.2% answered ‘better than before.’ It turned out that the majority of students who have Prerequisite Learning have positive view of it. Second, it shows that the higher completion level, the more Prerequisite Learning. The result of study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amount of Prerequisite Learning per completion level is as follows; the study achievement of students who have Prerequisite Learning proved higher than those who rarely do, and the students who have ‘one-chapter-earlier’ Prerequisite Learning showed outstanding grade improvement. Third, it shows that the more Prerequisite Learning, the higher mathematics interest. However, the interest of students who have ‘one chapter earlier’ Prerequisite Learning among students whose grades are at the lower end was the lowest, which means that excessive Prerequisite Learning may affect negatively to mathematics interest. Thus, proper Prerequisite Learning based on students’ level is important, and Prerequisite Learning is considered as an important learning course that affects to mathematics learning greatly. 최근 사교육비 증가와 공교육의 붕괴를 초래하는 과도한 선행학습으로 인하여 선행학습 금지법이 시행되었다. 하지만 선행학습이 모든 학생들에게 효과가 있다고 볼 수 없고 선행학습의 필요성 또한 학생들 마다 다르기 때문에 선행학습을 전면적인 금지보다는 부분적으로 필요함을 보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선행학습을 대체적으로 하고 있는 J중학교(91명)와 선행학습을 거의 하고 있지 않는 G중학교(19명)을 대상으로 선행학습의 인식·실태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선행학습이 학업성취도 및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학습을 대체적으로 하고 있는 학교와 선행학습을 거의 하고 있지 않는 학교에 대하여 수학교과에 대한 인식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지만 선행학습을 해본 학생들을 대상으로 선행학습에 대한 인식조사를 한 결과 선행학습으로 인한 수학과목에 대한 인식 변화에 대하여 68.3%가 ‘차이가 없다’로 나타났고, 선행학습이 성적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79.3%가 ‘있다’로 나타났으며, 선행학습이 수학흥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53.7%가‘차이가 없다’, 40.2%가 ‘예전보다 좋아졌다’로 나타나 선행학습을 해본 학생이라면 선행학습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둘째, 대체적으로 성취수준이 높을수록 선행 학습량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고, 성취수준별로 선행 학습량에 따른 학업성취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선행학습을 하지 않는 학생들에 비해 선행학습을 하고 있는 학생들이 학업성취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또한 ‘한 단원 앞서’ 선행학습을 하는 학생들이 성적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선행 학습량이 많을수록 수학 흥미도가 높게 나타났지만 성취수준에 따라 살펴보면 하위권 학생들 중에 ‘한 학기 앞서’ 선행학습을 한 학생들이 흥미가도 가장 낮게 나타나는 결과를 보였는데 지나친 선행학습은 수학 흥미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학습자 개개인의 수준에 맞는 적당한 선행학습이 필요하고 이것은 수학학습에 큰 영향을 미치는 학습과정이라고 여긴다.

      • 업사이클 아트를 활용한 친환경 교육 프로그램 개발

        김은화 서울교육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현대 산업사회에서는 인구의 증가와 산업의 발전, 그리고 이에 따른 소비의 증대에 따라 각종 자원의 수요가 급격히 증대하였다. 이 과정에서 막대한 양의 환경오염 물질과 쓰레기가 배출되어 인간의 생활을 위협하고 있다. 인간의 환경에 포함되는 미술에서도 이러한 변화 속에서 사회를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폐기물을 이용해 작품을 만들고 대중에게 환경 위기를 알리고 있다. 하지만 시각적 환경을 우선시하는 미술교육에서 환경교육과 연계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업사이클 아트를 활용한 친환경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물질문명에 대한 비판에서 시작된 업사이클 아트를 감상하고 작품을 제작해 봄으로써 초등학생 학습자가 미술의 사회적 역할에 대해 고찰해 볼 수 있게 하고, 자신을 둘러싼 환경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고양하고자 한다. 연구 참여자는 연구자가 담임하고 있는 5학년 학급의 학생들 중 8명의 자발적 참여자를 선정하였다. 연구는 광명 업사이클 아트센터에서 2016년 12월부터 2017년 3월까지 열린 <수상한 업사이클전>에 전시된 작품들 위주로 감상한 후 작품을 제작해보는 프로그램으로 진행되었다. 이 연구에서 확인하고자 했던 논의의 초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업사이클 아트의 감상은 사회재건주의 미술교육의 측면에서 볼 때 미술의 사회적 역할에 관한 학습자들의 인식에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둘째, 업사이클 아트를 활용은 학생들의 환경소양을 어떻게 변화시키는 지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는 에플랜드(Efland)가 제시한 사회재건주의 미술교육의 특징에 따라 일상생활에 중점, 다른 교과와 통합, 지역사회 강조로 유형화하여 분석하였다. 환경소양은 Roth가 제시한 환경소양의 발달 단계인 명목적 환경소양, 기능적 환경소양, 조작적 환경소양으로 학습자들의 특성을 분류하여 변화를 확인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학생들은 업사이클 아트의 미적 가치를 이해하고 표현 영역에서 다양한 재료가 가지는 특성을 이해하여 적용하였다. 학습자들은 자신의 주변의 사물들 중에 재료의 특성에 따라 미술 작품의 표현 재료가 될 수 있음을 인식하고 이를 일상생활에서 수집하여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둘째, 학생들은 미술을 통한 사회의 긍정적인 변화를 이해하고 이를 실천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학생들은 업사이클 아트의 감상을 통해 미술이 개인적인 감정을 드러내는 수단이 될 수도 있고, 사회에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수단이 될 수 있음을 인식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를 통해 대중의 생각을 환기시켜 사회의 재건을 위해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업사이클 조형 활동은 미술을 통해 일상생활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소중한 경험이 되었다. 셋째, 학생들은 환경 문제를 더 민감하게 받아들이고 자신의 행동의 결과를 예측하게 되었으며, 자신의 행동 변화는 물론이고 다른 사람들을 설득하는 행동을 하기 시작했다. 학생들은 평소에 환경 문제에 대해 우리가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 알고는 있었지만 진지하게 고민하거나 나의 행동이 미칠 결과를 생각해보지 않았다. 본 프로그램을 통해 환경 갈등 상황에서 어떠한 선택을 하는 것이 옳은 것인지에 대해 고민해본 후, 학습자들은 환경 문제를 더욱 민감하게 받아들이고 자신의 행동의 변화를 다짐했다. 넷째, 학생들은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려고 노력하고 문제를 해결한 후 자기 효능감을 느끼게 되었다. 조형 활동을 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은 다양한 문제들에 직면하게 되고 이를 해결해나갔다. 작품을 완성한 후 학생들은 성취감과 자기 효능감, 그리고 만족감을 느꼈다. 이 연구는 업사이클 아트를 활용한 친환경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여 교육적 의의를 밝혔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그리고 업사이클 아트의 특성을 활용하여 다양한 교육에 적용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 향상된 광전기화학적 H2 생산을 위해 밴드갭이 감소된 황 도핑된 CuBi2O4 제조 연구

        김은화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전 세계적으로 화석연료의 고갈과 지구온난화가 심각해짐에 따라 친환경적이고 지속 가능한 재생에너지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중 수소에너지는 수전해를 통해 친환경적으로 생산할 수 있으며, 생산과정에서 오염물질이 발생하지 않고 원료인 물이 풍부해 지속적으로 수소 에너지를 공급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태양 에너지를 사용하는 PEC 전지는 유망한 수전해 방법 중 하나이다. 수소 에너지에 대한 수요는 전 세계적으로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수전해 효율을 개선하여 친환경적으로 수소를 생산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지금까지 보고된 수전해 효율은 상용화하기에는 낮은 수준이다. 수소 발생 광음극의 파장 흡수 범위는 자외선 범위로 제한되었다. 예를 들어, SrTiO3(~388nm)[1], TiO2(~410nm)[1], CdS(~500nm)[2] 및 TaON(~500nm)[3]등이 사용되고 있다. 구리 비스무트 산화물(CuBi2O4)은 약 800nm의 파장 흡수 범위를 갖는다[4]. CuBi2O4는 p형 반도체로서 PEC 셀의 광음극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는 장점이 있다. 첫째, CuBi2O4는 밴드갭이 1.7eV~2.0eV로 현재까지 보고되어 왔으며 이는 가시광선 영역의 태양에너지 흡수에 적합하다. 둘째, 전도대 최솟값(CBM)은 물 환원과 관련된 열역학적 전위보다 더 음수이므로 광전극으로 수소 생산이 가능하다. 셋째, VBM(Valence Band Maximum)은 현재 가장 유망한 광음극인 Cu2O보다 양성이다.[6] 넷째, Cu2O나 CuO와 같은 구리 기반의 이원화합물보다 훨씬 안정하기 때문에 광부식에 강하다.[8] CuBi2O4는 전착을 사용하여 FTO 기판 위에 형성되었다. 전착을 이용한 CuBi2O4막의 다양한 형태의 형성을 통해 광음극으로 적합한 미세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전극간 거리, 증착 시간, 증착 전압을 조절하여 광음극에 적합한 막을 형성할 수 있다. DMSO를 용매로 사용하여 금속 이온 농도가 1M/0.5M(Bi3+/Cu2+)인 전구체를 제조하였다. Thiourea(CH4N2S)는 CuBi2O4 전구체에 대한 황 도핑 농도를 제어하는 데 사용했다. 산소 원자와 황 원자는 동등한 성질을 가지므로 산소 원자는 황 원자로 쉽게 대체될 수 있다.[7] 산소 원자가 황 원자로 대체되면 결정 대칭이 왜곡되고 전자 밴드 구조의 광학 간격이 줄어든다. 이는 황 원자(~1.84Å)가 산소 원자(~1.4Å)보다 이온 반경이 크기 때문이다. 또한, 유황의 기화를 방지하기 위해 아르곤 분위기에서 2단계 어닐링을 통한 열처리를 하였다[9]. 황 도핑을 통해 형성된 CuBi2O4-XSX 막은 1.5eV~1.8eV의 밴드갭을 가지며 더 넓은 범위의 가시광선을 흡수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PEC 셀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As global warming becomes more serious worldwide, the importance of eco-friendly and sustainable energy is increasing. Among them, hydrogen energy is receiving a lot of attention because it can be produced in an environmentally friendly manner through water splitting and has high utilization. CuBi2O4 is one of the new photoelectrochemical cathode materials showing p-type semiconductor characteristics. CuBi2O4 has a bandgap of 1.5 eV – 1.8 eV, so it is suitable for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water electrolysis by absorbing visible light. In this study, photoelectrochemical water oxidation properties of sulfur doped CuBi2O4 have been investigated. It is suitable for increasing the efficiency by absorbing a wider range of light by adjusting the bandgap through sulfur doping. Sulfur-doped CuBi2O4 was prepared through sol-gel and electrochemical synthesis. A precursor was prepared with a metal ion concentration of 1M/0.5M (Bi3+/Cu2+) and the uniform nucleation could be promoted with the suppressed formation of secondary phases using polyvinylpyrrolidone (PVP). In both cases, thiourea (CH4N2S) was used to control the sulfur doping concentration into CuBi2O4 precursors. In addition, a dense CuBi2O4 thin film was prepared through two-step annealing. Annealing was done in an argon atmosphere. Argon prevented the vaporization of sulfur and helped it to be effectively doped. As a result, sulfur-doped CuBi2O4 can be used as a promising photocathode material for hydrogen production.

      • 국내 국제영화제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김은화 경성대학교 경영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국제영화제는 1932년 이탈리아의 베니스 영화제가 최초로 시작되었고, 우리나라의 국내 국제영화제는 1996년 부산국제영화제를 시작으로 그 수를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많아졌다. 그 중 부산국제영화제와 전주국제영화제의 실태와 현황을 살펴보고, 영화제의 성과, 성공요인, 문제점, 향후전망을 도출하여 앞으로의 국내 국제영화제의 활성화 방안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히는 부산국제영화제의 활성화 방안으로는 아시아중심의 비경쟁영화제에 대한 정체성 확립이 요구되며, 안정적 재정시스템의 확보 및 시스템의 체계화, 양질의 인력확보 등을 개선하여 2011년까지 아시아영상허브구축방안을 토대로 문화(영상)도시방안이 이루어져야 하며,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및 관광산업과의 연계로 관광중심형 영화제로의 개선방안이 필요하다. 전주국제영화제의 활성화 방안으로는 디지털영화, 독립영화, 대안영화의 그 정체성의 꾸준한 유지 및 개선이 필요하며, 지금까지의 지역이벤트 개발 등을 좀 더 보완하여 전주의 고유문화자원을 이용한 전주만의 독특한 국제영화제로 나아갈 때 앞으로의 성장, 발전이 기대된다. 또한 열악한 재정과 물적, 인적 자원 및 영상산업에 대한 인프라의 구축, 일반관객과 매니아층이 함께 즐길수 있는 영화제가 되도록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국내 국제영화제의 활성화 방안은 위에서 언급한 두 영화제의 활성화 방안과 함께 산업의 주체인 기업의 육성, 열악한 영화산업과 관련한 기초인프라의 강화, 양질의 인력양성 및 인력처의 기반시설 확보, 영화 캐릭터의 정체성의 구현 및 캐릭터의 개발, 문화관광산업 연계육성, 도시브랜드 전략이 필요하다고 보며, 무엇보다도 21세기의 국가경쟁력은 국가브랜드 이미지보다 도시나 지역에 있으므로 부산국제영화제나 전주국제영화제 모두 ‘문화도시’, ‘영상도시’ 로서의 도시브랜드 전략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우리지역, 우리도시는 영상문화도시로서 지속적 성장을 해 나가겠다는 정책적 의사결정이 분명하여야 하며, 무엇보다도 영화를 사랑하고 영화에 대한 애정을 가진 지역민과 지방자치단체, 지역, 산하협력기관 및 기업들이 함께 노력할 때 가능하다고 본다. Nowdays film festivals are tending upwards these days, and there are Jeonju, Bucheon, Gwangju, Jecheon, Goyang film festivals, especially centering on P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with attracting the digital media generation. Moreover, as each film festival has its local color of the region, it plays a role to create understanding of the film industry and to produce manpower of film in each location. This paper aims to estimate the cultural and economic impact of the P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PIFF) and Jeonju International Film Festival on the local economy.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P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PIFF) on the image of Pusan as a travel destination. Compared to domestic tourists, foreign tourists had a more positive image of Pusan as a travel destination. The results also show that the Busan tourism industry associated with the PIFF generated output Therefore, this paper will probe the present position and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the film festivals in Busan and Jeonju, examining the role and function of them and the direction which the local film industry should seek after. Researching the case of PIFF and JIFF with a dream of the center of the film industry differentiated with Pusan, we would like to propose the problems and alternatives. First of all, our writers will examine the small-scale spontaneous film festivals in each region centering on Jeonju International Film Festival, scrutinizing their present conditions and the possibility of their connections. For the next step, we will seek for the direction of the local film festivals with stud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film festivals and the local film industry. As the movie industry in Korea recently grows dramatically in volume, the costs for the production and marketing are also rapidly increasing. Accordingly, it is important that we realize movies as a product in a marketing context and better understand the behaviors of movie consumers. Based on the understanding and also the previous studies, we seek to improve the cost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marketing costs in the PIFF and JIFF festival. It is found that consumers search for information for minimizing risks as they perceive movies as service-oriented experience goods. This study analyze the relation of satisfaction with festivals and revisit of visitors or publicity through word-of-mouth, which affects market demand, concerning the regional International Film Festival, as a local festival. Also, it is to activate local economy through successive operation of film festivals and development of tourist attractions by establishing management strategies to specialize satisfactory products. Overall, the result showed that PIFF and JIFF had a significant role in enhancing the tourism image of Busan and Jeonju.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