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다자녀를 양육하는 중년 여성의 심리적 경험 연구

        김은숙 한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63

        본 연구는 다자녀를 양육하는 중년 여성의 심리적 경험에 관한 의미와 본질을 심층적으로 탐색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문제는 첫째, 다자녀를 양육하는 중년 여성은 무엇을 경험하는가? 둘째, 다자녀를 양육하는 중년 여성의 심리적 경험의 본질적 의미는 무엇인가?이다.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표본자료의 분석을 토대로 개별 심층 면담을 실시한 후, 자료 분석은 Giorgi(2003)의 현상학적 4단계에 따라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참여자는 11명으로 이들의 나이는 40세 후반에서 50세 초반에 해당한다. 참여자 자녀의 나이는 8세에서 27세로 유아기 집중 돌봄 시기를 지난 초등학교 이후에서 청년기로 제한하였고, 참여자별 자녀수는 3명이 4가구, 4자녀를 둔 여성이 4가구, 5명의 자녀를 둔 여성이 2가구, 6명의 자녀를 둔 여성이 1가구로 구성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21년 1월부터 2022년 3월까지이고, 개인별 심층 인터뷰와 전화 통화, 카톡, 문자, 메일, ZOOM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러한 분석 과정에서 648개의 의미 단위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다자녀를 양육하는 중년 여성의 심리적 경험의 본질적 구조를 25개의 하위 구성요소와 8개의 핵심 구성요소로 나누었다. ‘계획 없는 임신을 순리로 받아들이기로 함’, ‘주변의 다자녀 출산 걱정으로 더욱 속상함’, ‘다자녀에 대한 따가운 시선 때문에 외부와 단절하게 됨’, ‘최선을 다해 아이들을 돌봤지만 부족함을 느낌’, ‘계속된 양육으로 잊고 있던 중년의 나이를 실감함’, ‘중년의 과업은 아이들 양육으로 인해 밀려남’, ‘오랜 육아 기간은 나를 이해하게 됨’, ‘다자녀 양육 경험은 나를 변화시켜 왔음’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다자녀를 양육하는 중년 여성의 심리적 경험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의미 있게 구조화하기 위해 4범주로 구분하였다. 첫 번째, 과정은 ‘다자녀를 운명으로 받아들임’, 두 번째 과정은 ‘다자녀 양육에 고군분투함’, 세 번째 과정은 ‘중년에도 여전히 양육 중인 나를 다독임’, 마지막 과정은 ‘가족 안에서 삶의 의미를 찾음’이다. 본 연구는 다자녀를 양육하는 중년 여성의 심리적 경험을 제시한 것으로서, 기존 연구와는 달리 중년기에도 여전히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여성의 심리적 경험을 보여주고 있기에 부모 상담과 중년 여성의 자녀 양육의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언어발달지체유아의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김은숙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study would like to know about what influences Enhanced Milieu Teaching applied in natural environment including child subject have on the expressive language abilities of young child with language developmental delay. For this research, targeting a child with language developmental delay, Enhanced Milieu Teaching was implemented during free-choice activity time, art class, and lunch time among daily schedules of kindergarden. The expressive language abilities were analyzed by recording the frequency of speaking goal language spontaneously. The experiment is that base assessment was implemented during four to nine sessions in each situation to know the expressive language abilities before arbitration, arbitrations of eleven to fourteen sessions were experimented, and three maintain assessments were performed one week after terminating arbitration. The consequences of the study are the followings. First, as a result of implementing Enhanced Milieu Teaching on young child with language developmental delay, since the study shows that the spontaneity frequency of child increases, as arbitration is performed, we can say that Enhanced Milieu Teaching increases the expressive language abilities of child subject. Second, even after terminating the arbitration, the expressive language abilities of child subject was maintained. The consequence of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arbitration was implemented among kindergarden's daily schedules including young child, and the expressive language abilities was improved as a result of performing on young child with language developmental delay plentiful in actual places. In addition, this will be a real help to kindergarden teachers.

      • 윤리적 리더십이 구성원의 태도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상사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은숙 상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In modern society, the importance and awareness of ethical management increase, and all organizations including corporations and public organizations act voluntarily with ethical consciousness in politics, economy, environment, society and culture.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n ethical leader who encourages ethical behavior of members. This is an empirical analysis study that verifies between the effect of ethical leadership on leader trust, attitude and behavior of members and mediating role of ethical leadership and trust in supervisor. In this study, I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n leaders and organizational members of Kangwon–do companies by theoretical model and hypothesis test. A total of 25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of which 235 were collected and 194 were used for actual analysis. As a result of the questionnaire survey, the leadership of ethical leader showed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supervisor trus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is result shows that leader trust positive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ethical leadership,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results also suggest that leader trust is needed to strengthen the attitudes and behaviors of employees based on ethical leadership. 현대사회는 윤리적 경영의 중요성과 인식의 증대로 인해 기업 및 공공기관을 비롯한 모든 조직은 정치, 경제, 환경, 사회,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윤리의식을 가지고 자발적으로 행동하고, 구성원들의 윤리적인 행동을 장려하는 윤리적 리더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윤리적 리더십이 상사신뢰, 구성원의 태도와 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 사이에 있어서 윤리적 리더십과 상사신뢰의 매개역할을 검증하는데 초점을 둔 실증분석 연구이다. 이론적 모형 및 가설검증을 통해 본 연구는 강원권 기업의 리더와 조직구성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250부를 배포하여 235부의 설문지가 회수되었으며, 실제분석에 사용한 총 194부의 구성원과 상사의 설문분석결과, 상사의 윤리적 리더십은 구성원의 상사신뢰,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사신뢰가 윤리적 리더십과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매개함을 규명하였다. 또한 연구 결과를 통해 윤리적 리더십을 바탕으로 조직구성원들의 태도와 행동을 강화시키기 위해서는 상사신뢰가 필요함을 시사해주고 있다.

      • 임플란트 지대주 종류가 동적하중 전후 임플란트 풀림토크에 미치는 영향

        김은숙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지대주 나사풀림은 임플란트 수복에서 가장 흔히 발생하는 합병증이다. 한편, 임플란트 보철물은 기성 지대주와 맞춤 지대주를 이용하여 제작하는데, 최근 CAD/CAM을 이용한 맞춤 지대주 사용이 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작 방법이 다른 세 종류의 임플란트 지대주에 동적하중을 가하기 전후의 풀림토크를 측정하여, 지대주의 종류와 동적하중이 임플란트 보철물의 나사풀림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하고자 하였다. 제작 방법이 다른 세 가지 지대주를 이용하여 동일한 형태로 시편을 제작하였다. 기성 지대주는 Transfer Abutment (Osstem Co., Seoul, Korea), 금주조 지대주는 GoldCast Abutment (Osstem Co., Seoul, Korea), CAD/CAM 맞춤 지대주는 MYPLANTTM (Raphabio, Seoul, Korea)를 이용하였다. 치과용 임플란트의 피로시험에 관한 ISO 규정 14801에 의거하여 장축 방향에서 30°로 하중을 받을 수 있도록 맞춤 지그를 제작하였다. 임플란트 고정체를 지그에 고정하고 전자토크조절기를 이용하여 30 Ncm의 조임회전력으로 지대주를 연결한 후, 디지털토크게이지를 이용하여 초기 풀림회전력을 측정하였다. 피로하중시험기로 25 ~ 250 N, 14 ㎐, sine형 동적하중을 105 회 적용한 후 풀림회전력을 측정하였다. 초기 풀림회전력 상실률, 하중후 풀림회전력 상실률, 동적하중에 의한 풀림회전력 상실률을 계산하였다. SPSS를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지대주 종류에 따른 나사풀림 정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Kruskal-Wallis test를 이용하였고, 하중 전후 나사풀림 정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Wilcoxon Signed-Rank test를 이용하였다. 지대주 종류에 따른 하중전, 하중후 풀림회전력을 비교한 결과 기성 지대주, 금주조 지대주, CAD/CAM 맞춤 지대주 순으로 높았으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중 전후에 따른 풀림회전력을 비교한 결과 기성 지대주와 금주조 지대주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CAD/CAM 맞춤 지대주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5). 초기 풀림회전력 상실률, 하중후 풀림회전력 상실률, 하중에 의한 풀림회전력 상실률 모두 기성 지대주, 금주조 지대주, CAD/CAM 맞춤 지대주 순으로 낮았으며, 지대주 종류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지대주 종류는 단기간의 나사풀림에 영향을 주지 않았고, 105회 동적하중은 기성 지대주, 금주조 지대주의 나사풀림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나 CAD/CAM 맞춤 지대주의 나사풀림에는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CAD/CAM 맞춤 지대주의 나사풀림과 관련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Statement of problem Abutment screw loosening is the most common complication of an implant restoration. Meanwhile, an implant prostheses is made using a stock abutment and a custom abutment. Recently, the selection of a custom abutment using CAD/CAM has increased.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he abutment types and dynamic loading on the stability of implant prostheses with three types of implant abutments prepared using different fabrication methods by measuring removal torque both before and after dynamic loading. Materials and methods Three groups of abutments were produced using different types of fabrication methods. Transfer Abutment (Osstem Co., Seoul, Korea) was used as stock abutment, GoldCast Abutment (Osstem Co., Seoul, Korea) was used as gold cast abutment, and MYPLANTTM (Raphabio, Seoul, Korea) was used as CAD/CAM custom abutment. According to the ISO standard 14801 for dentistry, which is the fatigue test for endosseous dental implants, a customized jig was produced to apply the load at 30° to the long axis. The implant fixtures were fixed to the jig, and connected to the abutments with a 30 Ncm tightening torque using an electronic torque controller. Removal torque before loading was evaluated using a digital torque gauge. A sine curved dynamic load was applied for 105 cycles between 25 and 250 N at 14 ㎐ using a dynamic loading fatigue tester. Removal torque after loading was evaluated. Loss ratio of removal torque before loading, removal torque after loading, and removal torque between before and after loading were calculated. The SPSS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of the results. A Kruskal-Wallis test was performed to compare screw loosening between abutment systems. A Wilcoxon Signed-Rank test was performed to compare screw loosening between before and after loading in each group. Results Removal torque value before loading and after loading was the highest in stock abutment, which was then followed by gold cast abutment and CAD/CAM custom abutment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Stock abutment and gold cast abutment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removal torque value before loading and that after loading but CAD/CAM custom abutmen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0.05). All loss ratios of removal torque before loading, removal torque after loading, and removal torque between before and after loading were the lowest in stock abutment and followed in order by gold cast abutment and CAD/CAM custom abutment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Conclusion From these results, the abutment types did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short term screw loosening. On the other hand, after 105 cycles dynamic loading, CAD/CAM custom abutment affected the initial screw loosening, but stock abutment and gold cast abutment did not. Further studies related to CAD/CAM custom abutment will be necessary.

      • 시스플라틴 처리된 청각세포의 ER에 대한 KCNE1의 역할과 만성중이염에서 분리된 MRSA의 내독소 유전자

        김은숙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47

        KCNE1 유전자는 voltage-gated K+ channel 인 소단위의 막전위 단백질이다. 이 유전자는 내이, 심장, 콩팥을 포함한 여러장기에 존재하고 있으며, 내이조직에서는 outer hair cell 과 stria vascularis 에서 발현한다. KCNE1 유전자는 다른 K+ 채널의 활성을 조절하는 기능이 있으며, 내이에서는 정상적인 청력을 위하여 여러 이온농도적 균형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세포내 K+ 농도는 세포자멸과 연관되어 있다. 시스플라틴은 세포네 K+ 농도를 감소시키지만 소포체 손상의 연관성은 아직 밝혀진 바가 없다. 이 실험에서 시스플라틴는 청각세포 K+ 감소를 초래하고, KCNE1유전자 과발현은 청각세포내 K+의 농도를 정상적으로 유지하여 소포체 손상을 예방하여 시스플라틴에 의한 세포독성으로 부터 청각세포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KCNE1 과발현 청각세포는 세포내 K+ 농도가 증가 되어 있었다. 시스플라틴 처리시 세포내 K+ 농도는 감소후 빠르게 정상수준으로 복귀하였으며, Ca2+ 농도는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또한 시스프라틴은 소포체 손상을 유도하는 GRP94 발현을 증가시켰으며, 그로 인해서 ATF6와 GADD153 단백질 발현이 증가하였다. 소포체 손상을 유도하는 thapsigargin을 처리한 세포내 Ca2+ 농도는 KCNE1 과발현 청각세포에서 현저하게 감소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시스플라틴이 소포체 손상에 의한 세포내 Ca2+를 증가와 세포내 K+ 감소를 유도하였으나, KCNE1 과발현은 세포내 Ca2+ 증가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었다. 배경 :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은 만성중이염의 병원균으로 잘 알려져 있다. 국내에서 분리되는 MRSA는 대부분이 toxic shock syndrome toxin (tsst) 와 staphylococcal enterotoxin C (sec)의 분리율이 높게 나왔다. Pulsed-filed gel electrophoresis (PFGE) 유형도 연관성이 있다. 만성중이염은 청력손실을 유발하기도 하여서 본 실험은 청력이 야기된 만성중이염환자로부터 분리된 MRSA로 부터 청력과 분자생물학적 연관성을 알아보고져 하였다. 방법 : 2007년 9월 부터 2008년 1월까지 원광대학교병원을 내원한 이루를 형성한 중이염환자 80명으로 부터 분리된 MRSA균주에서 청력자료가 있는 23균주를 가지고 내독소 유형과 PFGE 계통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 23균주중에 20균주는 내독소를 가지고 있었으며, 70% (14/20)의 청력손실이 야기되었다. 대부분이 tsst, sec를 가지고 있었으며 PFGE 계통분석는 10개의 집단으로 분석 되었다. 3개 (13.6%)의 tsst 집단은 100%의 유사성을 보였다. 결론 : 중이염환자로부터 분리된 MRSA는 tsst 와 sec 유전자가 분리 되었으며, 70%의 청력손실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부터, 청력손실과 MRSA 내독소와의 연관성을 추측 할 수 있다.

      • 교사가 지각한 유아의 기질과 자기조절력

        김은숙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교사가 지각한 유아의 기질에 따라 집단 간에 그리고 집단 내에서 기질과 성차의 특성이 자기조절력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교사가 지각한 유아의 기질에 따라 자기조절력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1-1. 교사가 지각한 유아 기질의 집단 간에 자기조절력은 성별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나는가? 1-2. 교사가 지각한 유아 기질의 집단 내에 자기조절력은 성별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나는가? 연구 대상은 전라남도 순천시에 소재하고 있는 11개 공립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5세 유아 277명에게 교사용 유아 기질 평가를 실시한 후 결과에 따라 순한 기질의 유아 47명(남아: 14명, 여아: 33명), 까다로운 기질의 유아 36명(남아: 28명, 여아: 8명), 총 83명(남아: 42명, 여아: 41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 유아의 연령 분포는 5년 4개월에서 6년 1개월로 평균 연령은 5년 10개월(남아: 5년 10개월, 여아: 5년 10개월) 이었다. 연구 도구는 유아의 기질을 평가하기 위하여 Thomas, Chess와 Korn(1977)이 개발한 만 3-7세 유아를 위한 「유아 기질 평가」의 내용 중 Gordon(1981)이 5가지 하위요소를 선정하여 사용한 것을 강민정(1997)이 번안하여 교사가 평정하기에 적합한 접근-회피성, 적응성, 기분상태, 반응성의 4가지 하위요소로 수정?보완한 평가지를 그대로 사용하였다. 유아의 자기조절력에 대한 평정은 양옥승(2006)이 교사용으로 제작한 자기조절력 평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 처리는 첫째, 교사가 지각한 유아 기질의 집단 간 자기조절력이 성별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유아의 기질 점수와 자기조절력 점수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각각 산출하고, 성별에 따라 순한 기질의 유아와 까다로운 기질의 유아 간에 나타나는 자기조절력 점수의 차이를 t검증 하였다. 둘째, 교사가 지각한 유아 기질의 집단 내 자기조절력이 성별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순한 기질의 유아와 까다로운 기질의 유아 집단 내에서 유아의 성별에 따른 자기조절력 점수의 차이를 t검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순한 기질의 남아와 까다로운 기질의 남아가 보이는 기질 집단 간 자기조절력은 기질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 .001, 자기조절력의 구성요인인 인지조절, 정서조절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 .001. 자기조절력은 구성요인 중 인지조절의 하위요소인 계획하기, 점검 및 평가, 정서조절의 하위요소인 정서인식, 정서억제, 대처하기 모두에서 기질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 .001. 둘째, 순한 기질의 여아와 까다로운 기질의 여아가 보이는 기질 집단 간 자기조절력은 기질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 .001, 자기조절력의 구성요인인 인지조절, 정서조절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 .001. 자기조절력은 구성요인 중 인지조절의 하위요소인 계획하기, 점검 및 평가, 정서조절의 하위요소인 정서인식, 정서억제, 대처하기 모두에서 기질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 .001. 셋째, 순한 기질의 남아와 여아가 보이는 기질 집단 내 자기조절력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 .05. 자기조절력 구성요인인 인지조절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서조절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 .05. 자기조절력은 구성요인 중 인지조절의 하위요소인 계획하기, 점검 및 평가에서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조절의 하위요소인 정서인식, 대처하기에서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서억제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 .01. 넷째, 까다로운 기질의 남아와 여아가 보이는 기질 집단 내 자기조절력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조절력의 구성요인인 인지조절과 정서조절에서 모두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조절력은 구성요인 중 인지조절의 하위요소인 계획하기, 점검 및 평가, 정서조절의 하위요소인 정서인식, 정서억제, 대처하기 모두에서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d how young children's characteristics of temperament and gender according to their temperament between and within groups perceived by teachers would be reflected in their self-regulation. For the purpos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1. How does young children's self regulation emerge according to their temperament perceived by teachers? 1-1. Is there any difference of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between temperament groups perceived by teachers according to gender? 1-2. Is there any difference of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within temperament groups perceived by teachers according to gender? Subjects were 47 easy children (14 boys and 33 girls) and 36 difficult children (28 boys and 8 girls) who were selected after the Young Children's Temperament Test for Teachers administered to 277 five-year-old children attending 11 public kindergartens in Sooncheon, Jeonnam. Selected subjects' age ranged from five years and four months to six years and one month and their age average was five years and ten months (five years and ten months for both boys and girls). To measure young children's temperament, Kang's (1997) scale for teachers consists of four subscales, that is, approach or withdrawal, adaptability, quality of mood, and intensity of reaction. This scale was revised version of Gordon's (1981) scale which used five subscales from the Instrument for Young Children's Temperament (Thomas, Chess, & Korn, 1977). As a measure of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the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Scale for Teachers (Yang, 2006) was used. The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of young children's temperament and self-regulation were first computed from collected data. t-tests were then conducted to investigate any difference of self-regulation between easy and difficult children groups perceived by teachers according to gender. Secondly, t-tests were also conducted to investigate any difference of self-regulation within easy and difficult children groups perceived by teachers according to gende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elf-regulation scores between easy and difficult boy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cognitive and emotional regulations (p< .001). Specifically, boys' children's self-regul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emperament in cognitive regulation factors such as planning and monitoring/evaluation and emotional regulation factors such as emotional recognition, emotional control, and emotional management (p< .001). Second, self-regulation scores between easy and difficult girl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cognitive and emotional regulations (p< .001). Specifically, girls' self-regul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emperament in cognitive regulation factors such as planning and monitoring/evaluation and emotional regulation factors such as emotional recognition, emotional control, and emotional management (p< .001). Third,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within easy temperament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in emotional regulation (p< .05). Cognitive regulation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Specifically,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in cognitive regulation factors such as planning and monitoring/evaluation and emotional regulation factors such as emotional recognition and emotional management. Conversely, emotional control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p< .01). Fourth,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within difficult temperament group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In other words, cognitive and emotional regulation according to gender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Specifically,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in cognitive regulation factors such as planning and monitoring/evaluation and emotional regulation factors such as emotional recognition, emotional control, and emotional management.

      • 웰빙추구성향에 따른 대학식당 메뉴인식이 메뉴선호와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은숙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웰빙추구성향에 따라 대학식당 메뉴인식이 메뉴선호와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조사하고 대학식당의 활성화 및 개선 방안을 알아보고자 서울시 소재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총 300부의 설문지 배포 후 295부(98.3%)의 유효 설문지를 수거하여 분석에 사용하였고, 연구기간은 2016년 5월 1일부터 6월 17일까지 직접 방문 조사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웰빙추구성향에서는 건강 웰빙추구형, 미식 웰빙추구형, 안전성 웰빙 추구형의 3가지 요인으로 분류하고 대학식당 메뉴인식은 환경적 인식과 정서적 인식으로 구분하였다. 건강 웰빙추구 유형은 식당메뉴의 환경적 인식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미식 웰빙추구 유형은 식당 메뉴의 정서적 인식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식당 메뉴의 환경적, 정서적 인식은 메뉴선호와 재방문 의도에 모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식당 이용 시 식당 환경 고려 사항으로는 중요도는 높으나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낮아 개선 노력을 집중해야 하는 사항으로는‘음식의 위생’, ‘대기시간 단축’, ‘제공되는 음식의 청결도’, ‘식당의 청결’, ‘배식대 청결’ 이 포함되어 향후 식당 환경 개선 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고려해야 할 음식 선택 시 고려 사항에서는 중요도는 높으나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낮아 개선 노력을 집중해야 하는 사항으로는‘음식의 맛’, ‘다양한 메뉴의 구성’, ‘계절 음식 제공’이 포함되어 향후 식당 음식 구성 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하는 사항이라고 생각된다. 이와 같이 본 연구를 토대로 개인의 체질 및 기호도에 맞는 차별화된 맞춤식 메뉴 개발과 다양한 마케팅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임부의 태교 실천 영향 요인

        김은숙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임부의 태교 실천 및 그와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고 태교 실천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여 총체적인 임부 관리 프로그램 중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본 연구 대상자는 서울시 소재 이 개 종합병원과 경기도 소재 일 개 종합병원에서 산전관리를 받고 있는 임신 27주에서 41주의 임부로서 임신합병증이 없으며 기혼여성이고 연구 참여에 동의한 234명을 편의추출 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00년 4월 24일부터 6월 7일까지였다. 자료수집방법은 산전관리를 위해 내원한 임부에게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가보고하게 하였고, 설문지 응답에 소요된 시간은 평균 20분 정도이었다. 연구 도구는 임부의 태교 실천 측정 도구, 태교효과에 대한 신념, 임신 의도, 임신의 수용, 임부의 피로, 사회적 지지, 자아 존중감과 스트레스 정도 및 대중 매체의 영향 정도로 구성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도구의 Cronbach's α값의 범위는 .66-.97이었다. 자료분석은 SPSS/PC를 이용하였다. 임부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부 태교 실천 정도의 차이는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으로, 태교 실천과 제 요인간의 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임부의 태교 실천과 상관관계가 있는 제 요인들의 설명력은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임부의 태교 실천정도는 가능점수 37-185점 범위 중에서 평균 139.1점이었고 권장행위 실천은 평균 67.2점, 금기행위 실천은 평균 71.9점으로 나타났다. 2. 태교효과에 대한 신념은 가능점수 3-15점 범위 중에 평균 10.0점이었다. 임신 의도는 가능점수 5-20점 범위에서 평균 16.3점이었고, 임신 수용은 가능점수 10-40점 범위에서 평균 34.1점이었으며, 임부 피로는 가능점수 6-24점 범위에서 12.7점이었다. 사회적 지지는 가능점수 22-132점 범위 중에서 배우자 지지가 54.6점이었고, 가족이나 친지의 지지가 52.6점으로 총 사회적 지지점수는 평균 107.2점이었다. 임부의 스트레스는 가능점수 11-44점 범위에서 평균 16.5점이었고, 임부의 자아존중감은 가능점수 11-44점 범위에서 평균 31.5점이었다. 대중 매체의 영향 정도는 가능점수 0-20점 범위에서 평균 10.3점이었다. 3. 임부의 일반적 특성 중에서 결혼만족 정도로 나눈 세 군의 태교 실천 정도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F=5.22, p<.01). 그 외의 임부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태교 실천 정도는 유의하지 않았다. 4. 임부의 태교 실천은 태교 효과에 대한 신념(r=0.38, p<.01), 임신 의도(r=0.22, p<.01), 임신 수용(r=0.23, p<.01), 사회적 지지(r=0.30, p<.01), 임부의 스트레스(r=-0.23, p<.01), 대중매체의 영향(r=0.29, p<.01), 출산회수(r=-0.17, p<.01) 및 자녀수(r=-0.17, p<.01)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태교효과에 대한 신념이 높을수록, 임신 의도가 강할수록, 임신을 수용할수록, 사회적 지지가 클수록, 임부의 스트레스가 적을수록, 대중매체의 영향 정도가 클수록, 출산회수가 적을수록 그리고 자녀의 수가 적을수록 태교 실천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 태교효과에 대한 신념(13.9%), 사회적 지지(8.0%), 대중매체의 영향(2.7%) 및 임부의 스트레스(1.6%)를 고려한 변인들은 태교 실천에 대해 26.2%의 설명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태교효과에 대한 신념, 사회적 지지, 대중매체의 영향 등이 임부의 태교 실천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설명력이 있는 요인들로 작용되는 것이 확인되었으므로 이 요인들 중에 태교효과에 대한 신념과 사회적 지지가 임부의 태교 실천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라는 결론을 지을 수 있다. 그러므로 임부의 태교 실천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태교 효과에 관한 과학적, 실증적 연구가 요구되며, 배우자와 가족이 임부를 임신기간 동안 지지할 수 있는 간호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이 중재방안으로 모색되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level of Taekyo practiced by pregnant women and factors influencing the practice of Taekyo, and to offer actual basic data for nursing prenatal intervention strategies for pregnant women.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234 pregnant women from IUP 27 weeks to IUP 41 weeks who were married and receiving prenatal care.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24 to June 7, 2000 in two general hospitals in Seoul and one general hospital in Kyonggi Province. As a measuring tool for Taekyo, the Taekyo Scale developed by Choi and Kim (1995) was revised and shortened by the investigator. For factors influencing Taekyo, the following data were collected: belief in the effects Taekyo, intention of pregnancy, acceptance of pregnancy, fatigue, social support of spouse and relatives or neighbors, self esteem, stress, and mass media factor. The Cronbach's alpha scores ranged from .66 to .97. Data analysis was done using SPSS Win Program to obtain summary statistics for the descriptive and statistical analysi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mean score for Taekyo was 139.1±16.49 points. 2.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aekyo according marital satisfaction (F=5.22, p<.01).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 found in Taekyo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3. The correlations were: Taekyo in pregnant wome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belief in the effects Taekyo (r=0.38, p<.01), intention of pregnancy (r=0.22, p<.01), acceptance of pregnancy (r=0.23, p<.01), social support of spouse and relatives or neighbors (r=0.30, p<.01), stress (r=-0.23, p<.01), mass media factor (r=0.29, p<.0l) and number of child (r=-0.17, p<.01). 4. Multiple regression showed that the factors influencing Taekyo were belief in the effects Taekyo (13.9%), social support of spouse and relatives or neighbors (8.0%), mass media factor (2.7%) and stress (1.6%). The four variables explained 26.2% of the variance in Taekyo. In conclusion, belief in the effects Taekyo, social support of spouse and relatives or neighbors, mass media factor, and stress influenced Taekyo in pregnant women. It is suggested that there is a need for further repeated research to scientifically identify the effects of Taekyo and there is a need to build social support from spouse and relatives or neighbors into nursing prenatal program as they are developed.

      • 『인현왕후전(仁顯王后傳)』과 『사씨남정기(謝氏南征記)』에 나타난 여성 인물의 현실 대응 양상 연구

        김은숙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현 왕후(仁顯王后, 1667∼1701년)는 조선 숙종(肅宗, 1661∼1720년)의 계비(繼妃)로 살아 있는 동안 폐위(廢位)와 복위(復位)를 반복한 유일한 왕후로 역사에 기록된 인물이다. 이러한 인현 왕후의 파란만장한 삶을 문학적으로 승화시킨 작품이 「인현왕후전(仁顯王后傳)」이다. 「사씨남정기(謝氏南征記)」는 당대 최고의 문인이었던 김만중(金萬重, 1637∼1692년)의 고소설로 사건 구조나 인물의 갈등 상황이 인현 왕후 폐출 사건과 유사한 점이 많다. 두 작품은 실존(實存) 인물들과 연관이 깊어 창작 배경과 연대를 비교적 정확히 추정(推定)할 수 있는데, 이들이 살았던 조선 후기 가부장제(家父長制) 사회의 현실은 작품 속에도 잘 반영되어 있다. 두 작품의 역사적 배경은 정치적 사건을 중심으로 살펴볼 수 있는데, 조선 숙종대는 당쟁이 치열했던 시기였다. 정국(政局)이 일시에 바뀌는 몇 차례의 환국으로 남인(南人)과 서인(西人)의 집권 여부뿐만 아니라 인현 왕후와 장희빈의 운명도 엇갈렸다. 숙종 6년(1680년)의 경신환국(庚申換局)에서는 인현 왕후의 정치 기반인 서인이 정권을 잡았으나, 숙종 15년(1689년)의 기사환국(己巳換局) 때는 남인이 집권하며 인현 왕후는 폐비가 되었다. 그리고 숙종 20년(1694년)의 갑술환국(甲戌換局)에서는 서인이 재집권하고 인현 왕후는 복위되었다. 한편, 두 작품의 사회·문화적 배경은 조선 후기 약 250년(17세기 후반∼19세기 말) 동안의 남성 중심적 가부장제 유교 사회를 들 수 있다. 이 시기는 칠거지악(七去之惡)이나 삼종지의(三從之義) 등에 나타난 것처럼 여성에 대한 억압과 제약이 최고조에 이르렀던 때였다. 작품의 사건 구조를 보면, 두 작품 모두 유교적 이상형에 가까운 요조숙녀(窈窕淑女)가 군자(君子)와 혼인해 화목한 가정을 이루다가 후사(後嗣)를 얻기 위해 첩을 들이면서 갈등과 대립이 생기기 시작한다. 처는 첩의 모함으로 가문(家門)에서 쫓겨나 고난의 세월을 보내다가 가장(家長)이 잘못을 깨닫게 되어 다시 옛 지위를 회복하고, 첩은 그 죄가 밝혀져 죽음을 맞는 것으로 끝을 맺는다. 물론 「인현왕후전」의 경우는 작품의 특성상 일반적인 가문의 형태와 다르지만, 왕가(王家)도 결국 가문의 한 유형이다. 이 연구에서는 두 작품에 나타난 인물 중에서, 「인현왕후전」의 인현 왕후(仁顯王后)와 장희빈(張禧嬪), 「사씨남정기」의 사정옥(謝貞玉)과 교채란(喬彩鸞)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들은 서로 엇갈린 운명의 인물로 작품 속에서 가장 뚜렷한 대립과 갈등을 일으키며 각자의 개성을 잘 드러내고 있다. 인현 왕후와 사정옥은 모두 가문의 정처(正妻)로 기득권(旣得權)을 확보한 상태의 인물이고, 장희빈과 교채란은 첩(妾)으로 들어와 처의 권위에 도전하는 인물이다. 네 인물은 수동적이거나 부정적인 경향이 강하다고 보았던 기존의 논의들과 달리, 주체적인 가치 판단에 따른 선택으로 각자가 처한 현실에 대응해 나갔다. 인현 왕후와 사정옥은 기득권자의 위치에서 체제를 유지시켜 나가기 위해 현실을 적극적으로 수용(受容)해 나간 인물이다. 반면에 장희빈과 교채란은 자신이 처한 상황에 만족하지 않고 더 나은 삶을 모색하며 현실에 도전(挑戰)한 인물이다. 작품의 결말에서 인현 왕후와 사정옥은 그들의 노력을 인정받고, 장희빈과 교채란은 비극적 종말을 맞는다. 인현 왕후와 사정옥이 지위를 회복한 것에 비해 장희빈과 교채란이 파멸을 맞는 것은, 그들의 비윤리적(非倫理的) 행동 때문이기도 하지만 시대적 상황의 한계에서 비롯된 것이기도 하다. 인현 왕후와 사정옥은 현실을 인정하고 그 바탕 위에서 선택의 범위를 결정해 나갔기 때문에 기존 체제와 별 마찰을 일으키지 않았다. 비록 안일한 대응으로 잠시 시련이 있기는 했지만, 가문 관리와 가부장제 질서 유지를 위한 그들의 노력은 결국 인정과 보상을 받았다. 이에 반해 장희빈과 교채란은 불합리한 현실을 부정하고, 명분보다 부귀 획득과 실리 추구를 우선하며 살았다. 그들은 목적을 이루기 위해 극단적인 방법까지 서슴지 않았기 때문에 죽음을 맞았지만, 그것은 또한 그만큼 치열하게 삶을 살았다는 것을 반증(反證)하기도 한다. 네 인물의 현실 인식과 삶의 과정을 보고, 어느 누구의 옳고 그름을 따진다는 것은 무의미한 일이다. 그들은 다만 각자의 가치 판단에 따라 나름대로의 삶을 영위(營爲)했을 뿐이기 때문이다. 이 연구에서는 주로 네 여성 인물의 시각에 초점을 맞춰 현실 대응 양상을 알아보았다. 앞으로는 전체 인물의 다양한 분석을 통해, 여러 유형의 삶의 모습을 찾아볼 기회가 필요하다. Queen Inhyun(1667∼1701) is the stepwife of king Sookjong(1661∼1720) in Chosun kingdom and she is historically famous for the only queen who suffer both the dethronement and the restoration in her life. The variety life of queen Inhyun is literally represented by a classical novel, 「INHYUNWANGHUJEON」. 「SACINAMJUNGKI」 is a classical novel written by Kim Manjoong(1637∼1692), the most famous writer in his lifetime. It is similar to the dethronement of queen Inhyun viewed in the structure of plot and the situation of trouble between characters. These novels are closely related to real people. Thus the foundation and the dates of writing can be presumed rather precisely. The picture of patriarchism in the latter Chosun society when they lived are well depicted in these novels. The historical foundation of two novels can be investigated by concentrating on political changes because political struggles were very severe in the dates of king Sookjong. The political situation had been totally reformed by several political changes. Owing to this, not only the power is transferred between Namin and Seoin but also the fate is exchanged between queen Inhyun and concubine Jangheebin. The power had been seized by Seoin, the political bases of queen Inhyun through the political change, so called Kyungshinhwanguk in the 6th year of king Sookjong(1680). But Kisahwanguk took place in the 15th year of king Sookjong(1689) and queen Inhyun was dethroned by the political party, Namin. Finally, Seoin restore their power through Kapsulhwanguk in the 20th year of king Sookjong(1694) and queen Inhyun restores her position. The cultural foundation of two novels is Confucian society based on patriarchism in the latter Chosun society during 250 years (from the latter 17th century to the end 19th century). The repression and the restriction against woman, so called Chilgujiak(seven vices of woman) and Samjongjiui(three obediences of woman) are peaked during these days. The structure of plot in two novels is as follow. The peaceful family formed through the marriage between ideal lady and gentleman in a view of Confucianism are being broken by struggle and antagonism caused by concubine who is married for the succession. The lady were sent away by the entrapment of concubine and suffered difficulties. At last, she is restored when patriarch realize his mistake and concubine is punished to death due to her vice. Though the family in 「INHYUNWANGHUJEON」 is different from other families, a royal family is also a kind of families. In this work, queen Inhyun and concubine Jangheebin are concentrated in 「INHYUNWANGHUJEON」 and Sa Jungok and Gyo Chaeran are focused on in 「SACINAMJUNGKI」 among dramatis personnae of two novels. Through novels, their characteristics are distinctly revealed by struggle and antagonism in their crossing fates. Queen Inhyun and Sa Jungok have been both legal wives and they have seized vested rights. On the other hand, Jangheebin and Gyo Chaeran come as concubine and challenge the prestige of legal wives. These four people have been considered that they have passive and negative personalities. In fact, they act by the decision of their own selection and cope with the situation. Queen Inhyun and Sa Jungok had accepted the situation positively for the preservation of the system in a view of vested rights. In opposite position, concubine Jangheebin and Gyo Chaeran had not been satisfied in the given situation. Thus they dared the situation to acquire the better life. In the end of novel, endeavors of queen Inhyun and Sa Jungok are rewarded but concubine Jangheebin and Gyo Chaeran die tragically. In contrast to the restorations of queen Inhyun and Gyo Chaeran, the tragic ends of them are responsible not only for their immoral vices but also for the limits of the given situation. Queen Inhyun and Sa Jungok do not make any trouble with the established system because they accept the given situation and control their reactions on the base of it. Though they temporarily suffered difficulties due to idle responses, it is finally rewarded the effort of them for the preservation of the order of patriarchism and the administration of family. On the other hand, concubine Jangheebin and Gyo Chaeran denied the irrational situation and pursued wealth and profit rather than justification. They are punished to death because they do not mind the extreme way for these purposes. But it also means that they severly live their lives. It is meaningless to distinguish between right and wrong through the recognition of situation and the history of life among these four people because they just live their lives on their own choices. In this work, the aspect of the response against a given situation is reviewed with focusing on four female dramatis personnae. It is further required to research variety types of lives through the analysis of entire dramatis personna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