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 기악합주를 위한 현악기 워밍업 자료 개발

        김율희 서울교육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 기악 합주에서 기초를 다지는 워밍업 자료를 통해 개개인의 음악적 격차 해소 및 적극적인 태도 함양에 있다. 합주를 통하여 학습자 개개인은 반복적인 연습을 통해 연주 능력을 계발하는 것 뿐만 아니라 합주의 기본 이론, 음정의 조화, 소리의 밸런스 등 다양한 음악적 요소를 이해하여 활용할 수 있게 되며 음악적으로 넓고 조화로운 안목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이에 연구자는 합주의 시작에 있어 연주자들이 함께 기초적인 음계, 리듬, 셈여림 등의 음악적 요소를 연습할 수 있는 현악기 워밍업 자료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합주에 관한 선행 연구를 통해 각 악기의 기본적인 운지 및 합주의 기초 이론에 대해 분석한다. 둘째, 음계, 셈여림, 리듬, 활쓰기 등의 기초적인 음악적 요소 연습 방법에 대해 연구하며 다양한 연습곡을 어떻게 워밍업 자료에 적용할지 연구한다. 셋째, 분석 및 연구 내용을 바탕으로 워밍업 자료를 개발하고 시험 연구(pilot study)를 실시한다. 워밍업 자료는 ‘음계, 셈여림, 리듬, 활쓰기, 연습곡 재구성’을 순차적으로 연습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넷째, 시험 연구 실시 후 심층 인터뷰를 통해 워밍업 자료에 대한 효용성과 보완해야 할 점에 대한 피드백을 바탕으로 워밍업 자료를 수정 및 보완한다. 워밍업 자료 개발 및 시험 연구 실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기악 합주를 위한 워밍업 자료가 합주단의 실력 격차 해소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단순하지만 기본적인 음악 요소를 연습하면서 점점 악보를 읽는 것이 쉬워진다는 학생의 인터뷰를 통해 연주자 간 실력 격차가 차츰 해소될 가능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워밍업 자료가 합주단의 흥미를 불러일으켜 적극적인 태도를 함양하게 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심층 인터뷰 내용을 통해 드러나며 워밍업 자료를 통해 자신감이 생기고 이에 따라 연습에 대해 학생들이 적극적인 태도를 가지게 됨을 알 수 있었다. 시험 연구의 결과를 통해, 이 연구에서 개발한 워밍업 자료가 합주 단원 간 실력 격차 해소 및 적극적인 태도 함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워밍업 자료의 적용에 중점을 둔 다양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음을 기대할 수 있다.

      • 간세포암 환자의 간이식 후 재발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인자 분석

        김율희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간경변이 동반된 간세포암 환자의 간이식은 저하된 간기능을 회복하고 종양을 완전히 절제할 수 있다는 이점에서 그 빈도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식 후 간세포암이 재발하는 경우 암의 진행속도가 빠르고 다발성인 경향을 보여 환자의 장기생존을 크게 위협한다. 따라서 이식 전 후로 재발을 막기 위한 적극적인 연구와 적절한 사후관리가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5년 1월부터 2009년 9월까지 서울대학병원에서 간이식을 시행한 20세 이상 성인 환자 중 tacrolimus를 일차 면역억제제로 사용한 108명의 의무기록을 분석하여 이식 후 1년간 간세포암의 재발현황과 재발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인자를 분석하였다. 수술 전 다른 악성종양으로 치료를 받은 기왕력이 있는 환자 3명, 다른 장기에 전이가 있었던 환자 4명, 이식 후 1년 이내에 일차 면역억제제를 tacrolimus에서 다른 약물로 변경한 8명을 제외한 93명의 환자를 최종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이식 전 후 환자의 임상상태는 비약물학적 위험인자에 대한 변수로, 이식 후 면역억제요법의 차이는 약물학적 위험인자에 대한 변수로 설정하였다. 면역억제요법은 tacrolimus를 기본으로 steroid와의 이중요법이나 항증식제인 mycophenolate mofetil(MMF)을 추가한 삼중요법이 시행되었으며 Interleukin-2 receptor monoclonal antibody인 basiliximab 유도요법이 선택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tacrolimus의 혈중농도 차이에 따른 암의 재발빈도를 분석하기 위해 이식 후 7일, 14일, 30일, 3개월, 6개월, 12개월의 평균 약물 혈중농도를 측정하였다. 각각의 변수가 간세포암의 재발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univariate Cox regression model이 사용되었다. 위의 결과 재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에 대해서 stepwise multivariate Cox regression model을 시행하여 각 변수들의 독립성을 확인하였다. 1년 무병생존율을 측정하기 위해 Kaplan-Meir method를 사용하였으며 각 subgroup은 Log-Rank test로 비교하여 p-value를 측정하였다. 두 subgroup의 비교는 연속형 자료의 경우 Student's t-test를 이용하였고 범주형 자료는 Pearson's chai-square test나 Fisher's exact test를 사용하였다. p-value 0.05미만의 경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93명에 대해 이식 후 간세포암의 재발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인자를 단변량 분석한 결과 α-fetoprotein(AFP) level 400 ng/mL 초과(p=0.000), 종양의 크기 3cm 초과(p=0.000), 분화도 G3-G4(p=0.021), microvascular invasion (p=0.000), serosal invasion(p=0.026), TNM stage pT2-pT3(p=0.016), Milan criteria unfulfilled(p=0.005), tacrolimus 1년 평균 혈중농도의 차이(p=0.038), basiliximab 사용(p=0.043)에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이를 바탕으로 다변량 분석한 결과 혈중 AFP level 400 ng/mL 초과(p=0.000), microvascular invasion (p=0.009), Milan criteria unfulfilled(p=0.034), basiliximab 사용(p=0.008)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재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나타났다. ROC analysis를 통해 tacrolimus cut-off value를 7.81 ng/mL로 설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tacrolimus 고농도군과 저농도군으로 나누어 1년 생존율을 비교한 결과 tacrolimus 고농도군에서 생존율이 유의하게 낮았다(p=0.001). 또한 tacrolimus 고농도군이 다변량 분석에서 유의한 결과를 보인 위험인자들을 동반하는 경우 암의 재발률을 유의하게 높였다(p=0.023). Steroid의 누적용량, mycophenolate mofetil의 사용유무 및 누적용량은 재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간이식 수술 중 간세포암 환자가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증가함에 따라 간세포암 재발방지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식 전 환자상태와 더불어 이식 후 사용되는 면역억제요법과 약물 혈중농도에 따른 재발률의 차이가 여러 연구 결과에서 보고된 만큼 한국인의 간세포암 재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위험인자를 분석하고 적절한 면역억제제의 혈중농도를 제시하는 것은 이식 후 환자관리에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앞으로 국내 환자들을 대상으로 면역억제요법과 간세포암 재발과의 상관관계에 대해 다각적인 연구가 진행되어 이식 거부반응을 억제하는 동시에 암의 재발을 최소화하는 적절한 치료지침이 정립되기를 기대한다. Liver transplantation is regarded as an effective treatment for early hepatocellular carcinoma(HCC) and it has become standard therapy in Korea. However tumor recurrence after transplantation still remains the main cause of death for HCC patients. After recurrence, the progression of tumor is rapid and aggressive, so mortality rate is up to 80%.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isk factors including pharmacological factors affecting HCC recurrence after liver transplantation. A retrospective review of patient's medical record was done. A total of 93 HCC patients who underwent a cadaveric or a living donor liver transplantation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etween January 2005 and September 2009 were included. All patients received tacrolimus as a main immunosuppressant. Non-pharmacological risk factors such as demographics and pathologies of patients were analyzed. Pharmacological risk factor such as immunosuppressive regimen and drug exposure were also analyzed. The one year tumor free survival rate was 87.10%, which was considerably high compared with previous studies. To evaluate the correlation between risk factors and tumor recurrence, univariate and multivariate Cox regression was performed. In univariate Cox regression of non-pharmacological risk factors, pre-transplant AFP blood level over 400 ng/ml(p=0.000), Tumor size over 3cm(p=0.000), Tumor differentiation G3-G4(p=0.021), microvascular invasion(p=0.000), serosal invasion(p=0.026), TNM stage pT2-pT3(p=0.016), Milan criteria unfulfilled(p=0.005) affected HCC recurrence. In pharmacological risk factors, 1 year average tacrolimus exposure(p=0.038) and basiliximab induction(p=0.043) affected HCC recurrence. After multivariate Cox regression, AFP blood level(p=0.000), microvascular invasion(p=0.009), Milan criteria unfulfilled(p=0.034), basiliximab induction(p=0.008) were independently and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CC recurrence.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ROC) analysis was carried out and 7.81 ng/ml was confirmed as a cut-off value of one year tacrolimus exposure. Patients who received tacrolimus above 7.81 ng/ml classified as a high drug exposure group. Kaplan-Meir analysis revealed that this high drug exposure group's one year survival rate is significantly lower than low drug exposure group(p=0.001). When high drug exposure group has other prognostic risk factors, it increased the incidence of HCC recurrence significantly higher than low drug exposure group. In conclusion, high tacrolimus exposure and basiliximab induction therapy as well as pathologic pre-transplant tumor status are associated with HCC recurrence. Therefore, careful selection of immunosuppressant regimen and adjustment of immunosuppressant after liver transplantation in HCC patients should be implemented. In addition, large scale randomized prospective study is necessary to confirm the effect of tacrolimus exposure and basiliximab induction on HCC recurrence after liver transplantation.

      • 조선 세종조 궁중정재 창사에 나타나는 예악사상(禮樂思想) 연구

        김율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조선 세종조에 이루어진 무악정책(舞樂政策)과 궁중정재 창사에 나타나는 예악사상(禮樂思想)에 관하여 고찰한 연구이다. 연구방법으로는 정재와 관련된 1차적 자료라 할 수 있는 『세종실록(世宗實錄)』,『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악학궤범(樂學軌範)』 등 원전을 참고로 기존의 연구와 종합하였으며, 예악사상이 대표적으로 설명되어 있는『예기(禮記)』를 중심으로 예악사상에 대한 이론적 설명을 기술하였다. 유교정치내에서의 예악사상은 도덕적, 문화적 교화수단으로, 조선 전기의 시대적 상황을 고려할 때 그 중요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조선은 고려를 멸하고, 숭유억불 정책을 기초로 성리학적 이상사회를 표방한 유교국가이다. 조선전기는 이러한 유교정치사상의 정립을 위하여 예와 악을 통해 질서와 조화의 개념에 중점을 둔 예악사상을 표출하고자 노력한 시기이다. 이 시기의 예악사상은 악가무가 하나로 일체된 궁중정재를 통해 표출되었는데, 유교정치사상이 정재라는 수단을 통해 표출됨을 알 수 있다. 조선건국의 정당성과 그 공덕을 춤과 노래로서 밝히고자 한 이러한 노력은 세종조에 이르러 정점에 도달하게 된다. 따라서 세종조 창제된 정재의 창사 내용을 분석하면, 정재를 통하여 예악사상을 표출하고자 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 시기에 창제된 「하황은」(荷皇恩), 「봉래의」(鳳來儀), 「보태평」(保太平), 「정대업」(定大業) 정재의 창제 배경과 창사 내용을 살펴본 결과 첫째, 「하황은」은 사대사상이 깊이 내포되어 있는 정재로, 창사 곳곳에서 군신관계로서의 사대의 예를 표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하황은사에서 조선 임금과 백성들은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예의 몸가짐으로 명과 명 황제의 덕을 노래와 춤으로 칭송하고 있다라는 사대사상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예사상의 분(分)의 원리에 기초한 천자국과 제후국 사이의 군신의 예를 정재 창사를 통하여 극진히 표현한 것이다. 둘째, 「봉래의」는 용비어천가를 내용으로 하는 정재로, 용비어천가의 여러 악장을 춤과 춤 사이에 계속해서 부르는 것이 특징이다. 「봉래의」창사에서 나타나는 내용은 조선건국의 터를 잡은 성군들의 공덕이 영원히 이어질 것이라는 칭송을 담고 있다. 여기에서 나타나는 예악사상은 정치와 음악은 서로 상통한다는 것으로, 좋은 음악과 춤으로 국가의 질서와 조화를 표현하고 있다. 이로써 나라가 태평하며, 온 백성 또한 평안하다는 것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다. 셋째, 「보태평」과 「정대업」은 태조와 태종의 문덕과 무공을 칭송하는 정재로 조선건국의 여러 선왕들의 공덕을 모두 어우르는 건국 찬양가를 위한 세종의 의지로 창제되었다. 그러므로 이 정재는 태조와 태종의 조선건국의 정당성과 그 어려움을 형용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건국의 찬양을 좋은 노래와 춤으로서 받치고자 했던 당대의 노력 즉, 창제과정과 창사의 내용에서 예악사상을 살펴 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조선 세종조는 예악의 제도화를 통해 ‘정재’라는 무악의 한 형식을 빌려 이상사회건설을 위한 예악사상을 표출하고자 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정재 창사를 통하여 조선건국의 정당성을 입증하고 선왕들의 공덕을 칭송하고자 했던 세종조의 노력과 업적은 어느 시대보다 문화적으로 높은 가치를 평가내릴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무용사 연구에 있어 큰 발전을 이룩한 세종조의 무용을 유교정치사상중 예악사상을 기초로 고찰함으로서 정재의 개념과 창사의 의미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이루어졌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dissertation i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music-dance policy during the King Sejong, Chosun Dynasty, and the Li-Ak thought that is shown in the court music-dance. For the method of study original texts such as the "Sejong-sillok", "Kukcho-oreyei", "Li-Gi", "Akhak-Kwebom" etc were used as reference and synthesized with existing studies. Considering the situation of the early Chosun period, the Li-Ak thought in the Confucian politics is important because it was used as an educational means of piety and culture. The Li-Ak thought during this period was expressed through the court music-dance, and it is clear that the means for Li-Ak thought was court music-dance. The effort to manifest the legitimacy of Chosun's founding and piety through dance and music reaches its height during King Sejong's time. Therefore, when analyzing the court songs of the court music-dance created during the Sejong period, it is clear that court music-dance was used as a means to express the Li-Ak thought. The following are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e researches made on the creations' origin and the content of the court songs of the court music-dance Hawangeun, Bongraeui, Botaipyung, Jongdaeup created during this period. First, Hawangeun is a court music-dance in which toadyism is deeply rooted, therefore the virtue of submi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 sovereign and the subject relationship is described in several parts of the court song. Especially in the Hawangeun-Sa, the Chosun King and people praise through the music and dance in manners revealing their heartfelt respect(禮) for the Ming Kingdom of China and its emperor's piety. Second, Bongraeui is a court music-dance that has Youngbieachan-ga based as its content, and it is characterized by the several chapters of the Youngbieachan-ga repeatedly sung in between the dances. The contents in the court song of Bongrae are the pieties of the good and wise kings that set the foundation for Chosun Dynasty's founding, and the praise that they will go on forever. The Li-Ak thought shown here is based on the thought that music created during peaceful times has a harmonious tone and that the legitimacy of the Chosun foundation and reign of peace can be expressed through such good music. Third, Botaipyung and Jongdaeup are court music-dances praising King Taejo and Taejong's distinguished literary skills and courage. This court music-dance was created by Sejong who indicated that there were no chapters that praised the pieties of the wise kings that founded Chosun, and sought to create an chapter that combined these praises. This court music-dance describes the legitimacy of Taejo and Taejong‘s founding of Chosun and the difficulties that they went through in the process of founding. The Li-Ak thought is clearly shown in the efforts of that time that sought to support its praises through good music and dancing, or in other words, the process of creation and content of court music. As the above, the Sejong period during the Chosun Dynasty, through the institutionalization of Li-Ak, sought to express the thought for the establishment of an ideal society of "Li-Ak" through the court music-dance. In particular, the effort and achievement of the Sejong period that sought to prove the legitimacy of Chosuns' foundation and praise the wise kings' pieties, can be evaluated highly in the context of cultural history.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d the dance during the Sejong period, which made great advancements in the Korean dance history, from an ideological perspective, and that an in depth examination of the concept and meaning of court music-dance was carried out.

      • 톰 스토파드의 극작기법 연구 -주요 장막극을 중심으로

        김율희 고려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thesis is to examine Tom Stoppard''s playwriting through his main works and make clear his uniqueness and ability as a playwriter. Stoppard is one of the leading dramatists in modern English drama and starts writing a kind of intellectual farce, and

      • 한국어 교재 대화문에 나타난 공손표현 연구

        김율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공손표현은 언어생활에서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다양한 언어적 기능으로 제시되기 때문에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반드시 교육되어야 할 부분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공손표현이 어떻게 제시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요청 화행을 중심으로 교재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의 대상으로는 한국어 교육의 기관에서 출판되어 사용되고 있는 교재 가운데 경희대학교, 서강대학교, 연세대학교의 초급부터 고급까지를 분석의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분석 기준은 Browns&Levinson(1978,1987)의 전략 중 한국어에 적합한 전략을 선별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요청 화행에 나타난 공손표현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적 요인인 사회적 거리, 사회적 지위, 사회적 거리와 지위에 따라 분석하는 기준을 설정하였다. 한국어 교재를 분석한 결과 전체 423개의 요청 화행 중, 초급 단계에서 공손 전략이 가장 많이 제시되어있었다. 초급 교재에서는 총 225개의 공손 전략이 사용된 요청 화행이 나타났으며 중급 교재에서는 153개, 고급 교재에서는 45개가 제시되어 있었다. 분석한 세 기관의 교재 모두 고급 과정에서는 주로 주제를 통한 말하기나 쓰기, 읽기, 듣기 연습을 위주로 구성되어 있어 전체적인 화행이 빈도가 감소하여 나타났다. 전체 교재에 사용된 전략 별 빈도는 소극적 공손표현이 52%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직접적 명시의 전략이 26%, 적극적 공손 전략이 22%로 나타났다. 이 외에 감사나 겸손의 기타 표현이 2번 제시되었으며 암시적 표현은 교재 전체에서 제시되지 않았다. 숙달도별 사회적 거리에 따른 빈도를 살펴본 결과, 교재 전체에 제시된 사회적 거리 유형은 사회적 거리가 가까운 유형이 53%, 사회적 거리가 먼 유형이 47%로 나타났다. 거리가 가깝지는 않지만 안면은 있는 경우는 총 2번 나타나 비율로 산정하기에는 무리가 있었다. 숙달도별 사회적 지위에 따른 빈도를 살펴본 결과, 교재 전체에 제시된 사회적 지위 유형은 청자가 화자보다 사회적 지위가 높은 유형이 23%, 청자와 화자의 사회적 지위가 동등한 유형이 71%, 청자의 사회적 지위가 화자보다 낮은 경우가 6%로 나타났다. 숙달도에 따른 사회적 거리와 지위의 공손표현 전략 사용은 초급, 중급, 고급에서 사회적 지위가 동등한 유형이 71%로 집중되어 나타났다. 사회적 거리가 동등한 경우를 제외하면 다른 부분의 경우는 그 비율이 매우 적게 나타났다. 공손표현 전략은 소극적 공손표현 전략이 전체에 걸쳐 분포해 있는 반면 적극적 공손표현의 전략이 가장 적게 분포되고 있다. 사회적 지위가 동등하고 사회적 거리는 가까운 유형은 주로 적극적 공손의 전략을 사용하고 있었으며, 사회적 지위가 동등하고 거리가 먼 유형은 주로 소극적 공손표현 전략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위가 높고 거리가 먼 유형은 주로 소극적 공손 표현 전략을 사용하고 있었으며 그 외의 유형의 빈도수가 매우 낮게 나타났다. 교재 분석 결과, 현행 한국어 교재에서는 공손표현이 주로 초급과 중급에서 제시되어 있었으며 고급으로 갈수록 대화문 수의 감소와 함께 공손표현의 제시도 감소하였다. 또한 사회적 거리나 지위에 따른 관계 유형은 매우 한정되게 제시되었다. 그러나 공손표현은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 초급에서 고급까지 다양하게 제시되어야 하며, 다양한 사회적 유형을 교육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손표현 교육의 주안점에 따라 공손표현의 전략 별 내용을 구성하였으며, 적극적 공손표현, 소극적 공손표현, 암시적 공손표현을 예로 들어 교육 방안 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교육에서 공손표현이 교육되어야 할 필요성을 제시하였으며 공손표현 교육을 위해 공손표현 전략을 정리하고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분석을 바탕으로 앞으로 한국어 교재에서 다양한 사회적 관계와 공손표현 전략을 제시하기 바라며, 실제 담화 상황을 고려한 교재를 구성하는데 있어서도 일조하기 바란다. Politeness expressions are important factors to teach Korean because these are used frequently in our life and suggested as various linguistic functions. In this study, textbook analysis is performed based on the requests to check out how politeness expressions are proposed in a Korean education as a foreign study. The textbook for analysis that is from beginning to advanced level are published by institute for Korean education, especially Kyung Hee University, So Gang University, and Yon Sei University. Criteria for analysis is selected as a suitable for Korean from the strategies of Browns & Levinson(1978, 1987). Add to this, it is set up according to the social factors such as social distance, social status, and social distance-status based on the result of analysis of politeness expressions appeared Requests. Korean teaching textbooks are analyzed and outcome is as in the following. Of all Requests, 423 frequencies, politeness strategy is used the most in the beginning level. More specifically, the frequency of use for Request that is used for expressing politeness are followings: 225 frequencies of use in a beginning teaching textbooks, 153 frequencies of use in a intermediate ones, and 45 frequencies of use in advanced level ones. All textbooks that are employed for analysis show that the frequency of Request are decreased in a advanced level and are formed mainly with the practice activities of speaking, writing, reading, and listening through some topics. The frequency of use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strategies; negative politeness expression accounts for 52%, direct expression strategy accounts for 26%, and positive politeness strategy accounts for 22%. Above this, the expressions for gratitude and modesty are proposed two times and there are non off record in all textbooks.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social distance in proficiency, the type that has close social distance accounts for 53% and far one accounts for 47%. The case of having an acquaintance with somebody, even though social distance is not close is checked just two times, so converting into a percentage is meaningless.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social status in proficiency, the type that listener has higher status than speaker accounts for 23%, the type that listener’s and speaker’s social status are equal accounts for 71%, and the type that listener’s social status is lower than speaker accounts for 6%. The use of politeness expressions strategy of social distance and status according to the proficiency accounts for 71% that is the equal type of social status in beginning,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 Except for the equal case of social distance, the percentage of other case is very low. Negative politeness expression strategy are distributed widely, however, positive politeness expression strategy shows the least distribution. The type of having equal social status and close social distance mainly uses positive politeness strategy and the type of having equal social status and far distance mainly employs negative politeness strategy. The type of having high social status and far distance mainly use negative politeness strategy and the frequency of the other types are very low.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sis of textbooks, politeness expressions are mainly suggested in a beginning and intermediate level and in a advanced level, the frequency of dialogue and politeness expressions are decreased. Furthermore, the type according to the social distance or status is presented as limited ways. However, politeness expressions must be suggested variously from beginning level to advanced level in order to foster active communication and there is a need to teach various social types to learner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content of politeness expressions according to the strategy is constructed and the examples of positive politeness, negative politeness, and off record are proposed to suggest educational models. In this study, the need of suggesting politeness expressions in Korean education is presented and politeness expressions strategy and the educational guidelines are proposed for the education of politeness expression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for further studying that is related to the various social relationships, politeness expression strategy, and the construction of materials considered actual discourse.

      • 장애학생의 국악교육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김율희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domestic research trends by analyzing domestic studies related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over the past 20 years. Through this, the purpose is to grasp the actual conditions and general trends related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to date. The conclusions related to the research problem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ocusing on the research topic, most research on instructional plans on the rhythm and musical instrument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the overall education method. Next, there were many studies on the effectiveness of music programs using Korean traditional music to influence various variables, indicating that the research topic was biased.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ypes of research focusing on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students with disabilities, it was found that research is being conducted in a variety of ways rather than the aforementioned research topics.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research trends according to school level and type of disability, more than half of all studies were targeted 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llowed by the ages of all children and infants at other special schools. There has been a lot of research. On the other hand, studies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 period appeared to be insufficient, indicating that it was necessary to allow students with disabilities of various ages to experience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Fourth, as a result of yearly research status analysis, 45 papers were published for about 20 years in degree thesis and academic papers, and 2-4 on average. There are not many or fewer specific years, and the standard deviation is not large, but overall studies related to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students with disabilities are not active. Therefore, various Korean traditional music studi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should be conducted with the attention of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in Korea. Fifth,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status of each area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ctivity, expression was the most, followed by appreciation and other areas. In addition to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s the whole music education program has the most active area of expression, studies on various fields such as appreciation and creativity development should also be conducted so that students with disabilities can learn and learn. The suggestions of this study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nd disability students' research topics, research subjects, research types,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activities were limited in Korea. In particular, since there are many infants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type and target of research, many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programs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hould be developed to enhance sociality and foster friendship.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are very few studies related to communication in the type of disability. Since it is possible to communicate emotions through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exchange and communicate various emotions through music, research on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related to communication should be conducted. Third, research papers related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in thesis and academic dissertations have only started compared to other studies. From 2000 to 2020, only 45 articles were studied. Therefore, it was found that in the actual educational field, more researches on various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programs, treatment effects, and experiments should be conducted. Fourth, it was suggested that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for not only physical expression but also appreciation and creativity development in music activities is necessary. 본 연구에서는 최근 20년간 장애학생과 국악교육에 관련한 국내 연구들을 분석하여 국내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현재까지 장애학생과 국악교육에 관련된 실태 및 일반적 동향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와 관련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주제를 중심으로 한 분석결과 국악 장단 및 악기, 전체 교육방법 등에 관한 지도방안 연구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국악을 활용한 음악프로그램이 다양한 변인에 미치는 효과성에 관한 연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나 연구주제가 편향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국악과 장애학생을 중심으로 한 연구 유형 분석결과 앞서 연구주제보다는 다양한 방법으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 급별과 장애 유형에 따른 연구 동향을 분석결과 초등학생이 절반 이상이며, 다음으로 기타인 특수학교를 대상으로 한 전체 아동의 연령, 그리고 유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중고등학교 시기의 연구는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 다양한 연령의 장애학생에게 국악교육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도별 연구 현황 분석결과 학위논문과 학술논문에서 약 20년간 45편의 논문이 발행되었으며, 평균적으로 2-4편 정도가 발행되었다. 특정 년도가 많거나 혹은 적거나 하지 않고 편차가 크지 않으나 전반적으로 국악과 장애학생에 관련된 연구가 활발하지 않으므로 국내에서 이에 대한 교사와 예비교사들의 관심어린 시선을 가지고 장애학생을 위한 다양한 국악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다섯째, 국악활동 영역별 연구 현황 분석결과 표현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감상, 그 외 영역으로 이루어졌다. 국악교육 뿐만 아니라, 전체 음악교육 프로그램에서도 표현 영역이 가장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감상과 창의성 계발 등의 영역 또한 장애학생들이 배우고 습득할 수 있도록 다양한 분야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상기 연구결과를 통한 본 연구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에서 국악교육과 장애학생의 연구주제, 연구대상, 연구유형, 국악음악활동이 제한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연구유형 및 대상에서 유아와 초등학생이 많아 사회성을 높이고 교우관계를 기를 수 있도록 중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한 국악교육 프로그램이 많이 개발되어야 한다. 둘째, 장애 유형에서 의사소통과 관련된 연구가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악을 통해 정서를 교감하고 음악을 통해 다양한 감정을 교류하며 소통할 수 있으므로, 의사소통과 관련한 국악교육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학위논문과 학술논문에서 장애학생과 국악과 관련된 연구 논문이 타 연구에 비해 시작된지 얼마 되지 않았고, 2000년부터 2020년까지 45편 정도만이 연구된 바, 실제 교육현장에서 다양한 국악교육프로그램 및 치료효과와 실험 연구가 더욱 많이 진행되어야 할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음악활동에서 신체표현 뿐만 아니라 감상과 창의성 계발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생활 중심 읽기 교재 개발 방안

        김율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말하기와 듣기에는 능숙하지만 읽기는 부족한 여성결혼이민자들이 자신의 보충 영역을 보완할 수 있도록 읽기 교재를 개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논문에서 개발하고자 하는 읽기 교재는 학부모이자 가정주부인 여성결혼이민자들이 생활 속에서 자주 접하거나 또는 역할을 위해 꼭 읽어야 하는 텍스트를 읽기 자료로 한 생활 중심의 생활 중심의 읽기 교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먼저 1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에 대해 밝혔다. 아울러 그 동안 의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과 관련된 선행 연구들을 ‘교육 과정개발 및 프로그램 개발’, ‘한국어 교육’, ‘한국어 교재 개발’ 이렇게 3부분으로 나누어 알아보았다. 그리고 본 논문의 연구 방법을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생활 중심 읽기 교재의 읽기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가정통신문과 제품 사용 설명서 그리고 광고 텍스트를 선택하였다. 여성결혼이민자가 자녀를 아이에 보내는 또는 앞으로 보내야 하는 학부모임을 고려하여 학교와 가정이 의사소통 시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는 가정통신문을 읽기 자료로 선택하여 가정통신문이 어떤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읽기 자료로 활용할 경우 어떤 유형의 학습과 읽기 과제를 제시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가정주부인 여성결혼이민자들이 가정 내에서 다양한 가전제품과 세탁 세제를 사용하는 점을 고려하여 가전제품과 세탁 세제의 사용설명서를 읽기 자료로 선택하여 각각의 텍스트가 어떤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교육 자료로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광고 텍스트를 읽기 자료로 선정하여 광고 텍스트에 사용되는 이미지와 광고 문장들이 어떤 의미를 형성하는지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2장에서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생활 중심의 읽기 교재 개발 방안을 마련하고 실례를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 개발하고자 하는 읽기 교재는 학습자인 여성결혼이민자들이 실생활에서 자주 접하거나 꼭 읽어야 하는 글을 읽기 자료로 선정하여 교재를 구성하고자 하였다. 또한 현재 여성결혼이민자들이 한국어 교육을 받는 데 있어 자유롭지 못한 상황을 고려하여 교재를 구성하고자 하였다. 4장에서는 지금까지의 연구 내용을 요약하고 본 논문의 한계점과 0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성에 대해 의견을 제시하였다.

      • 인간중심 작업기반 국방로봇 개념 설계디자인 방법론 연구 : 지뢰탐지 및 제거 국방로봇을 중심으로

        김율희 광운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4차 산업혁명의 새로운 패러다임은 기술보다는 인간이 중심이 되며, 로봇은 이를 구현하는 주체가 될 것이다. 또한 우리나라는 로봇기술 수준은 물론 기술구현 수준, 제도·인력·설비의 인프라 수준 등에서 순위를 다투는 로봇선진국이다. 반면 국방 분야의 로봇은 획득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로봇기술 개발만을 위해 매진한 결과로, 국방로봇을 획득하기 위한 각종 인프라 구축에 소홀히 했기 때문이다. 이는 기술 중심의 과거 패러다임을 기반으로 한 현 제도에 미래의 개념을 구현할 기술을 담기 위한 시도를 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국방로봇은 인간과 협업해야 하는 새로운 개념의 체계로 수단으로써의 무기체계와는 차별성을 가진다. 무기체계는 인간을 지키거나 적을 공격하는 수단이 될 수 있지만, 로봇처럼 인간을 대신하여 죽을 수도 부상을 당할 수도 없다. 국방로봇의 궁극적인 목적이 전장에서 인간을 대신하는 것이라면, 로봇과 인간은 어떻게 함께 싸울 것 인가, 즉 함께 임무작업을 어떻게 수행해 나갈 것인가에 대한 개념은 국방로봇을 획득하는 데 있어 가장 기본적인 단계가 된다. 인간과 로봇의 협업에 따른 작업의 개념이 명확하지 않게 되면, 개념에 따른 기능의 도출도 모호해지며, 모호한 기능에 따른 불필요한 성능은 이를 구현하기 위해 시간과 비용을 낭비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방로봇의 첫 단계인 개념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함으로써 국방로봇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인간을 중심으로 한 작업기반의 국방로봇의 개념 설계디자인 방법론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문제제기를 통해 국방로봇의 제도적 사회적 문제점과 개선방향에 대해 도출하였다. 국방로봇의 획득이 원활하지 못한 이유, 현 제도 하에 국방로봇의 획득가능성, 국방로봇의 획득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3가지 문제를 제기하였고, 이에 대해 역사적 사실과 사회현상을 기반으로 문제의 원인과 개선방향을 도출하였다. 둘째, 이론적 고찰을 통해 본 연구의 기반사항을 도출하였다. 로봇의 인문학적 측면에서의 로봇생태계와 로봇화의 이론적 고찰을 제시하였고, 디자인의 측면에서 서비스 디자인, 공학 설계, 시나리오 디자인 방법론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제시하고, 본 연구의 인용과 적용사항을 정리하였다. 셋째, 국방로봇에 적용 가능한 인간중심 작업기반 국방로봇 개념 설계디자인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본 방법론은 프레임워크, 참여대상, 프로세스의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프레임워크에서는 인간을 중심으로 한 통섭과 작업 기반 로봇화 디자인을 통한 접근방식과 국방문제와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도구로써, 인간의 4D 작업에서 벗어나도록 지원하는 체계로써, 상용기술을 위주로 하는 개발을 접근방법으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프레임워크 기반에서 로봇디자이너를 중심으로 민간을 포함한 참여대상을 제시하고, 총 9단계의 국방로봇 설계디자인 프로세스를 제시하였다. 넷째, 방법론의 적용을 제시하여 방법론에 대한 이해를 도왔다. 방법론의 이해와 활용을 위해 지뢰탐지 및 제거 국방로봇을 본 방법론을 적용하여 설계디자인 과정을 수행하였다.

      •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유튜브 콘텐츠 제작 교육 방안 연구

        김율희 부경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학교교육의 목표로는 학습자가 빠른 변화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으로, 학습자 스스로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학습의 기회를 제공해 주어야 하며,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하도록 창의적이고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제공하여야 한다. 이를 만족하는 수업 방식으로 문제중심학습이 제기되었다. 문제중심학습은 구성주의에 기초한 모형으로 실생활에서 일어나는 문제상황을 중심으로 문제점을 찾아 조사하고 탐구하는 과정으로, 협동학습을 통해 토의와 토론을 하며 이를 풀어가는 과정을 통해 사고력과 협동심, 문제 해결 능력과 창의력 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학습모형이다. 유튜브는 사용자들이 원하는 점을 공략하여 빠르게 성장한 동영상 사이트이다. 유튜브의 영향력은 특히 10대들에게서 그 영향력과 위상이 높아지고 있고 유튜브와 관련된 분야들이 선호하는 직업군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러한 사회 흐름에 따라 학교에서도 디자인, 동영상 제작 등의 수업이 도입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문헌조사와 실태조사를 위한 설문조사 등을 통해 최근 학생들에게서 관심을 받고 있는 유튜브 콘텐츠가 무엇인지 조사해보고 현재 진행되고 있는 동영상 수업이 학생들의 유튜브와 관련된 희망 진로에 적합한지 분석해본 후,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유튜브 콘텐츠 제작 수업 모형을 개발하였다. The goal of school education is to help learners adapt to rapid changes, providing opportunities for learning so that learners can develop their own ability to solve problems, and providing creative and systematic curriculum to arouse learners' interest. Problem-oriented learning was raised as a way of satisfying this. Problem-oriented learning is a model based on constructivism that finds, investigates, and explores problems centered on the problem situations that occur in real life. It is a learning model that improves thinking skills, cooperation, problem-solving skills, and creativity through discussions and debates in cooperative learning. YouTube is a fast-growing video site that targets what users want. YouTube's influence is increasing, especially among teenagers, and YouTube-related fields are emerging as a preferred professional group. According to this social trend, classes such as design and video production are being introduced in schools. In response, this study investigated what YouTube contents were that were recently receiving attention from students through a survey for literature research and status survey, analyzed whether the current video classes were suitable for students' desired career related to YouTube, and developed a YouTube content production class model that applied problem-oriented learning. Subject Language : Problem-Based Learning, YouTube Content, Video Editing Training, Creativity, Cooperative Learning, Effective Teaching Model

      • 「강태홍류 산조춤」의 전승과정 및 작품 연구

        김율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thesis is about a study analyzing the unique transmission process of ⌜Kang, Tae Hong style Gayaguem Sanjo Dance⌟ and its characteristics. Sanjo dance is a kind of Korean traditional solo dance and it goes along with the Sanjo music played by Gayaguem. ⌜Kang, Tae Hong style Gayaguem Sanjo Dance⌟ was choreographed by Kang, Tae Hong himself in 1949 and the first official stage was performed by Kim, On Kyung, in 1950.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historic and artistic value in ⌜Kang, Tae Hong Style Gayaguem Sanjo Dance⌟ by examining its unique birth and transmission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it. Also this research is for the need of restoring the diversity of Korean traditional dance by examining undesignate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is thesis is based on the analysis of oral history and literature review as research methodology. The transmission process of ⌜Kang, Tae Hong style Gayaguem Sanjo Dance⌟ that has been lasting for about 75 years can be divided into five phases - a period of formation, development, loss, restoration, and settlement - according to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the relationship of Kang, Tae Hong, Kim, Dong Min and Kim, On Kyung.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Kang, Tae Hong style Gayaguem Sanjo Dance⌟ are as follows. First, ‘Visualization of Music’; his Sanjo music shows the perfect match with the dance. It’s because the composer of the Sanjo music is the same person as a choreographer of the dance, which means Kang, Tae Hong himself created the dance. Second, ‘Uniqueness of Origin’; compared to the other traditional folk dances, his Sanjo dance has a clear background of birth, which means there were a client, a choreographer and a transmitter of the dance - Kim, Dong Min, Kang, Tae Hong and Kim, On Kyung respectively. Third, ‘Portrayal of Movement’: its movements, steps and styles portray everyday routines of women as well as describe nature and objects. For example, there are movements related with women’s rolling up sleeves, spinning thread and imitating the motion of butterfly or crane. Fourth, ‘Concise but Elegant Beauty’: not only his world of music but his Sanjo dance itself represent the very refined beauty of moderation. Fifth, ‘Harmony of Live Show’; All performers - a dancer, a Gayageum player and a Janggu drummer – interact each other to create harmony from live accompaniment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Kang, Tae Hong style Gayaguem Sanjo Dance⌟ is the first Sanjo work as traditional dance style. It was choreographed in 1949 at request of Kim, Dong Min. Kang, Tae Hong made his Gayaguem Sanjo music shorter to make the dance and taught it Kim, On Kyung who was his only and direct successor to his Sanjo dance. The first performance was staged in the spring festival in Toseong Elementary School in 1950. Secondly, Kang, Tae Hong was an versatile artistic genius not only as a Korean traditional musician creating Gayageum Sanjo, Byeongchang and Changgeuk but also as a choreographer and a dance educator who taught dance to the public for the first time. That was thanks to the meeting with Kim, Dong Min. The relationship of Kim, Dong Min and Kang, Tae Hong was more than just a patron and an artist, which resulted in the creation of Sanjo dance, the essence of his art. Thirdly, the transmission of ⌜Kang, Tae Hong style Gayaguem Sanjo Dance⌟ has gone through till today from a period of formation, development, lost, restoration, and settlement and those were driven by the historical relationship of Kang, Tae Hong, Kim, Dong Min and Kim, On Kyung. What is more, it was very critical to restore his Sanjo dance work with Shin, Myeong Sook, the artistic practitioner of Kang, Tae Hong style Gayaguem Sanjo music. Fourth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nce are the visualization of music, the uniqueness of its origin, the portrayal of movements, concise but elegant and refined beauty and the harmony of a live show. This thesis is the first study on the transmission and characteristics of ⌜Kang, Tae Hong style Gayaguem Sanjo Dance⌟ utilizing additional in-depth interviewing method in addition to analyzing oral archives and oral historical records. This is significant to improve the way of research into traditional dance field. Aso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in the hope of the real and further understanding of ⌜Kang, Tae Hong style Gayaguem Sanjo Dance⌟. Furthermore, it would be rewarding that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diversity of traditional dance discovering countless precious traditional dances that hold huge artistic value but are hidden or excluded from national or loc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register. 본 논문은「강태홍류 산조춤」의 전승과정과 작품의 특징을 분석한 연구이다. 연구의 목적은 「강태홍류 산조춤」의 전승과정과 작품의 특징을 밝혀, 이 춤에 내재된 역사적 가치와 예술성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국가 및 시도 무형문화재 지정에서 제외된 비지정 무형문화재 전통춤들의 학문적 연구에 일조하리라 기대한다. 연구의 방법은 심층면담 및 과거 구술음원 분석을 통한 구술사연구방법과 문헌연구방법이 사용되었다. 「강태홍류 산조춤」은 강태홍류 가야금산조에 맞춰 추는 춤으로, 1949년 강태홍에 의해 안무되어 1950년 김온경이 초연한 실내홀춤 양식의 전통춤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 춤의 전승과정을 다섯 시기로 구분하여 그 변화양상을 살펴보았다. 이유는 약 75년간 지속된 이 산조춤이 강태홍, 김동민, 김온경의 역사적 관계에 의해 형성‧성장하고, 유실되어 다시 복원이 이르는 다양한 변화를 거쳤기 때문이다. 「강태홍류 산조춤」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강태홍류 산조춤」은 작곡자와 안무자가 일치하는 유일한 전통춤이기 때문에‘음악의 시각화’가 강하게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 둘째, 이 춤은 여타 권번 전통춤과는 달리 작품의 의뢰자와 안무자, 전승자가 김동민, 강태홍, 김온경이라는 명확한 안무배경을 지닌‘발생의 명확성’이 있다. 셋째,「강태홍류 산조춤」은 여성들의 일상생활 묘사와 자연물의 행위모방 묘사가 표현되는‘동작의 묘사성’이 뛰어나다. 대표적으로 소매걷움사위, 실패감는사위, 나비사위, 학사위 등이 있다. 넷째, 강태홍의 음악세계와 일맥상통하는 담백한‘표현의 절제미’가 있다. 다섯째, 무용수와 가야금, 장구 연주자와의 교감과 감응이 매우 중시되는‘연희의 감응성’이 있다. 「강태홍류 산조춤」의 전승과정과 작품의 특징을 고찰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강태홍류 산조춤」은 강태홍이 작곡하고 안무한, 전통춤 계열의 산조춤으로 최초의 작품이다. 이 춤은 1949년 김동민의 의뢰로, 강태홍이 본인의 산조를 짧게 다듬어 김온경에게 유일하게 전수한 춤이다. 지금까지 학계에 알려진 이 춤의 초연은 1951년 부산극장이었으나, 이번 연구에서 1950년 봄 토성초등학교 학예회로 밝혀졌다. 둘째, 이 춤의 작곡자 겸 안무자인 강태홍은 가야금산조와 병창, 창극에 천재적인 재능을 가진 국악인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강태홍은 부산지역 일반인에게 최초로 춤을 가르친 무용교육자이자 안무자이다. 국악활동에 비해 잘 알려지지 않은 강태홍의 무용활동은 후원자 김동민과의 인연으로 인한 것이며, 예술적 후원 관계를 넘어 강태홍의 예술세계의 총체인 산조춤을 남기게 된다. 셋째,「강태홍류 산조춤」의 전승과정은 시대상황과 강태홍, 김동민, 김온경의 관계에 의해 굴곡의 역사를 지닌다. 이 작품은 1949년 안무되어 1950년 초연되는 형성과정을 거치며 발전하다, 1957년 강태홍 사망과 함께 춤의 유실기를 겪고, 1989년 신명숙과 함께 산조춤 음악의 복원 및 산조춤 복원이 이루어져, 현재까지 전승되어 오고 있다. 넷째,「강태홍류 산조춤」의 특징은 음악의 시각화, 발생의 명확성, 동작의 묘사성, 표현의 절제미, 연희의 감응성이 있다. 본 연구는「강태홍류 산조춤」의 전승과정과 특징을 구술사연구방법으로 고찰한 최초의 연구이다. 과거 구술자료를 토대로 추가적인 심층면담을 실시한 본 연구는 전통춤 연구의 방법을 확장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강태홍류 산조춤」의 실제적 이해를 돕고, 전통춤의 다양성 확보와 발전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나아가 국가 및 시도 무형문화재 지정에서 제외된 수많은 전통춤 종목 중, 예술성과 무용사적 의미가 큰 춤들을 발굴하고, 연구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