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체육수업 안전사고 판례와 체육교사 및 수업현장 중심의 담론 분석

        김윤상 忠南大學校 大學院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qualitatively interpret the meaning of the discourses on safety accidents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formed in judicial precedents,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nd class sites to improve safety accidents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e research method applied discourse analysis. Specifically, the discourse was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analytical structuralism. In other words, the textual meaning contained in the literature data focused on judicial precedents and the contextual meaning contained in the class field focused on in-depth interviews with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ere identified. In addition, the current meaning and orientation for quality improvement of each discourse were interpreted and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preventing and reducing safety accidents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re were 3 types of text discourse analysis focused on judicial precedents on safety accidents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First, it is very important to be included in the accident recognition criteria of the School Safety Act. Second, physical education classes are relatively neglected compared to the importance of material compensation for safety accidents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ird, various side effects are occurring due to safety accidents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Meanwhile, there were 3 types of in-depth interviews with physical education teachers on safety accidents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contextual discourse focused on the class field according to domain·taxonomic coding. First, the current situation analysis showed various uncontrollable situations and concerns of teachers. Second, efforts and marginal diagnosis dealt with positive responses, but teachers' efforts and frustration due to environmental factors appeared. Third, opinions on the desired matters expressed regret over the degree of field experience. And it showed the need for a practical and preventive approach in the future. In conclusion, there were 3 the present of safety accidents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terpreted in the analytical structuralist discourse analysis. First, the boundaries of the law were applied to the judgment of safety accidents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creating preconceived notions and stigma. Second, the type of judicial precedents was material compensation-oriented, and the essential purpose of reducing, preventing, and improving safety accidents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was not reached. Third, at the scene of safety accidents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ere continuously circulating in self-reflection, practical attitudes, and improvements. In addition, there were 3 direction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safety accidents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First, physical education classes should be aimed at preventing and improving safety accidents, and students should practice the value of physical activity in their lives. Second,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the structural gap inherent in the text and context of the discourse on safety accidents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must precede. Third, in order to prevent and improve safety accidents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efforts are required to approach fundamental problem-solving measures from a contextual perspective using an interpreted approach. In other words, in order to prevent and improve safety accidents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text based on the law should be 'formal'. And, based on the contextual "meaning" that must be observed for social life, the meaning must be reflected in the field. This is ultimately the same as the goal pursued by physical education, 'practice of physical activity values in life'. Finally,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in relation to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research subject of safety accidents among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conduct overall research on other class hours or educational activities. Second,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research participant from 'career teacher' to 'first-time teacher' and look at the safety accident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from a new perspective. Third,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research method of 'discourse analysis' and to explore specific types of culture such as 'ethnographic analysis'.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수업 안전사고 개선을 위해 판례, 체육교사, 수업 현장에 형성되어 있는 체육수업 안전사고 담론들의 의미를 질적으로 해석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담론 분석 중 해석적 구조주의 관점에서 담론을 분석했다. 판례 중심의 문헌자료에 담긴 텍스트적 의미, 체육교사 심층면담 중심의 수업현장에 담긴 콘텍스트적 의미를 파악했다. 또한, 각 담론의 현재 의미와 질적 개선을 위한 지향점을 체육수업 안전사고 예방과 감소 관점에서 해석했다. 연구 결과, 체육수업 안전사고에 대한 판례 중심의 텍스트 담론 분석은 3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첫째, 학교안전법의 법적 테두리로 진입이 매우 중요하다. 둘째, 체육수업 안전사고 물질적 보상 중시에 비해 체육수업을 상대적으로 경시한다. 셋째, 체육수업 안전사고로 인해 다양한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다. 한편, 체육수업 안전사고에 대한 체육교사 심층면담과 수업현장 중심의 콘텍스트 담론은 영역·분류 코딩(domain·taxonomic coding)에 따라 3가지로 나타났다. 첫째, 현재 실태분석은 다양한 통제 불가능한 상황과 교사들의 다양한 걱정거리가 나타났다. 둘째, 노력과 한계 진단은 긍정적 대처를 하지만 환경적 요인들로 인한 교사의 노력과 좌절로 나타났다. 셋째, 희망 사항 의견은 현장 체감 정도에 대해 아쉬움을 드러내며, 향후 실제적이고 예방적인 접근의 필요성을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해석적 구조주의 담론분석에 나타난 체육수업 안전사고의 현재는 3가지로 나타났다. 첫째, 법의 테두리가 체육수업 안전사고의 판단 여부에 적용되어 선입견과 낙인이 만들어졌다. 둘째, 판례 유형이 물질 보상 중심적이며, 본질적 목적인 체육수업 안전사고 감소·예방·개선에 도달하지 못하고 있었다. 셋째, 체육수업 안전사고 현장은 체육교사가 자기반성과 실천적 태도, 지속적 개선을 순환하고 있었다. 또한, 체육수업 안전사고 질적 개선을 위한 지향점은 3가지로 나타났다. 첫째, 체육수업은 안전사고 예방과 개선을 목적에 두어야 하며, 학생의 신체활동 가치를 삶 속에서 실천하도록 해야 한다. 둘째, 체육수업 안전사고 담론의 텍스트와 콘텍스트에 내재하고 있는 구조적 간극을 이해하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셋째, 체육수업 안전사고 예방과 개선을 위해 해석적 접근을 활용해 콘텍스트 관점에서 본질적인 문제 해결방안에 접근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즉, 체육수업 안전사고 예방과 개선을 위해서는 법전을 기반으로 한 텍스트를 ‘형식적’으로 두어야 한다. 그리고, 사회생활 영위를 위해 지켜야 한다는 콘텍스트적 ‘의미’를 바탕으로 현장에서 그 의미를 반추하여야 한다. 이는 궁극적으로 체육교육이 추구하는 목표인 ‘신체활동 가치의 삶 속 실천’과 같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와 관련하여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체육수업' 중 안전사고라는 연구대상을 확대해 다른 수업 시간 또는 교육활동에 관한 전반적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경력 교사'에서 ‘초임 교사'로 연구참여자를 변화하여 새로운 관점으로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담론 분석'이라는 연구 방법을 변화해 ‘문화 기술적 연구'와 같은 특정한 문화유형에 관한 구체적 탐구가 필요하다.

      • 환경오염 비용부담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 고랭지 무/배추 농업을 중심으로

        김윤상 강원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내 고랭지 지역의 무와 배추 재배로 인한 흙탕물 발생 문제에 대한 대안으로 다년생 작물의 경작과 산림전환의 두 가지 대안에 대한 경제성 분석을 실시함으로써 경제주체이자 흙탕물 발생의 환경오염 원인 제공자인 고랭지 무, 배추 농업인을 비롯한 모든 이해당사자들에게 과학적인 경제적 지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북한강 수계지역 수도권 방향 주민을 대상으로 CVM을 활용한 WTP를 도출하는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2012년 3월말 현재 강원지역(651,414가구)에서 북한강수계 관련 가구(175,374가구)를 모집단으로 하여 본 연구에 사용된 표본의 크기는 표본오차 ±5%인 406개이다. 북한강 지역 거주민을 대상으로 비용부담 주체별 농업환경 정책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에서 고랭지 무/배추 경작제한정책 관련 세 가지 모형 추정결과, 연령이 낮을수록, 한강으로부터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소득대비 고랭지 대안을 위한 WTP 비율이 높을수록 고랭지 무/배추 경작제한 정책에 찬성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설문지 정보의 충분성 모형 추정결과, 설문지 정보제공이 충분치 않거나 보통이라고 평가한 경우 고랭지 무/배추 경작제한에 찬성할 확률은 비용부담주체가 수익자가 되어야 한다고 평가한 경우가 원인자가 되어야 한다고 평가한 경우보다는 0.7% 정도 높게 산출되었으나 거의 비슷하게 나타난 반면에, 설문 정보제공이 충분하다고 평가한 경우에는 원인자가 부담해야 한다고 평가한 확률이 69.39%로서 수익자 부담보다 2.75배 정도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의미 있는 해석이 가능한 항목으로 고랭지 농업지역의 심각성을 강원지역 응답자도 느끼고 있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댐으로 인한 규제가 존재하는 경우에 환경오염에 대한 부담을 누가 할 것인가는 매우 중요한 사안이다. 댐이 없다면 경제행위가 자유롭게 때문에 중하류지역의 경제행위를 위하여 맑은 물을 흘려보내야 한다. 즉, 경제행위로 인해 발생한 이득을 오염자부담원칙에 의거 경제행위에 의해 오염된 물을 정화하여 원래 상태 수준의 맑은 물로 만들어 중하류지역으로 흘려보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댐이 존재할 시에는 이득을 얻을 수 있는 경제행위가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댐으로 인하여 이익을 받는 지역의 지자체와 주민들이 오염비용을 부담해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맑은 한강으로부터 얻어지는 혜택의 수혜자에 의한 수익자부담원칙에 의거 환경오염 방지를 위한 정책비용을 먼저 부담하여 효과가 나타난 이후에 오염자부담원칙에 의거 흙탕물의 원인을 제공하는 원인자 부담이 엄격히 이루어지는 정책이 시행되어야 하겠다. 향후 고랭지 농업의 흙탕물에 의한 환경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정부의 정책시행이 고랭지 지역의 작목전환 및 산림으로의 활용방안과 아울러 한강의 환경보전을 위한 비용부담 주체에 대한 경제학적인 검토가 다각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Cultivation of radish and cabbage in high land areas of Gangwon province is one of the reasons for water contamination including muddy water. Two alternatives, cultivation of perennial crops and forest conversion, have been proposed to resolve the problem. The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scientific and economic indicators to those who are related along the Bukhan river watershed including farmers through evaluating the economic efficiency of the two alternatives. A survey on the local residents along the Bukhan river watershed was carried out 1) to investigate their awareness of its water quality, causes of water contamination, and who pays its abatement costs, and 2) to analyze the probabilities of pros and cons for land use policy in high land cultivation by the evaluation levels of sufficient provision of related information at the survey questionnaire, its identity to their knowledge, and their understanding of it. Also, their WTPs for land use conversion was derived using CVM. The sample size used in this study was 406 from 175,374 households (March 2012) along the Bukhan river of Gangwon province. Three models were estimated. The factor variable is who should pay for water pollution abatement costs, of which agents are divided into three groups: Group Ⅰ (those who believe water pollution abatement cost should be paid by its beneficiaries according to the beneficiary pays principle), Group Ⅱ (those who believe water pollution abatement cost should be paid by its polluters according to the polluter pays principle), and Group Ⅲ (equal sharings of beneficiaries and pollouters). The estimation results show that the respondents who are younger, living nearer to the river with the higher ratio of WTP to their income tend to support the policy to ban cultivating radishes and cabbages in high land of Gangwon province. In the case of less than or equal to average in evaluation of provided questionnaire information, Group Ⅰ’s probability in favor of the farming restriction policy appeared to be about the same as but a little bit higher by 0.7% than that of Group Ⅱ.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greater than average, Group Ⅱ’s probability, 69.39%, is 2.75 times as high as that of Group Ⅰ. Showing the estimation results of questionnaire information identity model and understanding model are the similar tendency, the probabilities of Group Ⅰ and Ⅱ are about the same in all evaluation levels. Since sufficiency, identity, and understanding of provided information at the survey questionnaire play very significant role in evaluating true or false in interviewees’ responses, therefore, they should be very carefully designed. In the future, the government's policy to prevent environmental pollution caused by muddy water from soil erosion by highland cultivation might be implemented for land use conversion of current crops such as radishes and cabbages into other crops to minimize soil erosion and/or forests. In addtion to this, more scientific and economic investigation is needed to protect and manage water quality along the stream since it is very critical who should pay for water pollution along the river related stakeholders.

      • Space syntax를 응용한 전주한옥마을 한옥의 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김윤상 전북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인간의 생활주거공간은 주어진 환경에서 자연 및 인문·사회적 환경에 가장 적합한 형태로 계승 발전되어 지역의 고유한 주거 건축문화로 자리 잡게 되었다. 이러한 주거건축은 고고학, 인류학, 건축학 등의 학문분야에서 다양한 정보를 추출하는 연구대상이 되었다. 건축분야에서는 주거건축의 공간을 위상학적으로 분류하여 정량적 지표를 산출하여 지역별, 실별 공간의 특성을 객관적으로 비교분석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현재 전주한옥마을은 역사마을 관광지로 많은 탐방객이 찾고 있다. 이런 과정에서 전주한옥마을 한옥은 많은 변화가 이루어졌고 현재도 계속 진행되고 있다. 이로 인하여 한옥마을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와 더불어 정체성과 진정성이 상대적으로 상실해 간다는 부정적인 평가도 받고 있다. 이는 전주한옥마을 한옥의 건축적 특성에 대한 분석 없이 방문자의 요구만 충족하기 위해 기존 한옥의 무분별한 철거와 신축, 개보수가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현상은 지역의 건축문화의 고유한 특성이 상실되고 타 지역과 구별되는 주요한 인자 역시 축소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통주거건축과 현대주거건축을 연결하는 근대주거건축인 전주한옥마을 한옥을 대상으로 공간구성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전주한옥마을 한옥의 공간구성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공간구문론을 응용하였다. 그리하여 지금까지 정성적인 측면의 연구와는 다르게 정량적 지표를 추출하여 전주한옥마을 한옥의 공간구성적인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으로는 1. 전주한옥마을 한옥의 경우 전체적으로 전통한옥과 비슷한 공간구성을 하고 있었다. 하지만 근대한옥인 관계로 인하여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전주한옥에서는 전통한옥에서 볼 수 없었던 현관마루가 나타나고 있었다. 현관마루는 일제강점기의 영향을 받은 공간구성양식으로 전주한옥마을이 내부공간 중심적 생활을 하는 서양식 개념이 도입된 일제강점기에 주로 형성되었다는 조성 시기의 환경적 특성을 객관적으로 규명할 수 있었다. 2. 시대적·지역적 공간구성 특성을 보면 전주한옥마을 한옥의 경우 부엌의 통합변수가 전통한옥과 근대시대 타 지역 한옥보다 더 낮게 나타나 위상학적으로 깊은(deep) 공간에 위치하였다. 이는 전주한옥마을 한옥에 근대주거양식이 도입되면서 공·사를 더욱 엄격히 구분하고 사적인 공간의 프라이버시를 지키고자 하는 지역의 시대사회적 특성을 객관적으로 확인 할 수 있었다. 3. 전주한옥마을 한옥은 4가지의 공간 유형화 모델(A, B, C, D)로 구분할 수 있었다. 이를 기준으로 공간구문 변수를 비교하여 전주한옥마을 한옥의 공간 유전자를 도출 하였다. 그 결과 전주한옥의 공간은 구조적으로 전통성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공간을 구성하는 부분에서 내부공간간의 연결개념을 가지는 서구식 공간구성 기법이 도입되어 내부 마루의 통합도가 증가하였다. 전주한옥마을 한옥의 위상학적 공간유전자 배열은 현관마루-마당-안방-건넌방-머릿방, 부엌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관마루가 공간구문적으로 집의 중심공간에 위치해 있어 지역성과 시대성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공간유전자인 것으로 판단된다. 4. 전주한옥마을 한옥의 공간변용은 원형과 현황 공간을 공간구문방식으로 분석하여 정량적으로 산출된 통합변수 값을 비교하였다. 통합변수를 비교한 결과 변수편차가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로 나타났다. 변수편차가 없을 때는 마당 공간의 변용이 크게 없었지만 변수편차가 있을 때는 마당 공간의 변용이 크게 있었다. 마당은 공간을 연결하는 기능으로 특히 전주한옥에서는 뒷마당 공간의 변용이 변수 편차의 범위를 결정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5. 전주한옥마을 한옥의 공간 유전자는 평면형태가 변화한 현황에서도 유지되고 있었다. 시대사회적으로 보면 전주한옥 공간 중 마당과 현관마루는 세입자와 공동으로 사용하였다. 하지만 부엌과 방은 세대별로 구분하여 사용하고 있었다. 1980년대 이후 인구집중에 따른 마당공간을 분화하여 방과 부엌을 추가 형성하게 되었다. 이는 전체공간의 통합적 관계를 낮추는 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전주한옥마을 한옥 공간의 평면 형태의 변화는 건물의 입면 형태적 특성까지 변화시키는 원인으로 사료된다.

      • Interpersonal Rejection Sensitivity of Korean College Students and Their Reactions to Perceived Rejection

        김윤상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resent study validated the Korean version of the Interpersonal Sensitivity Measure (K-IPSM) and explored the two groups’ (high on the K-IPSM score and low on the K-IPSM score) distinctive reactions to perceived rejections. In study 1, the correlation results with other criterion variables (i.e., depression, self-esteem, interpersonal problems, and satisfaction with life) provided support for the convergent and concurrent validity estimates of the K-IPSM. From the result of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ree factors that are suitable for Korean cultural context emerged (Public Self-Awareness and Unassertive Behavior, Fear of Revealing True Self, and Interpersonal Distrust) and 25 items were retained. In study 2, a concept mapping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cognitive and behavioral responses of the two groups. The findings of this investigation demonstrated clear distinctions between the people with high level of rejection-sensitivity (Group 1) and the low level of rejection-sensitivity (Group 2). While Group 1 showed either drastic anger or excessive timidity as a reaction to perceived rejection, Group 2 responded more appropriately to the situation. In summary, this study casts new light on important domains of Korean interpersonal rejection-sensitivity and provides counselors insightful information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both people with high and low levels of rejection-sensitivity.

      • The bone regenerative capacities of nano-hydroxyapatite coated porcine bone mineral in rabbit calvearial defects

        김윤상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구강악안면 수술에서 골 대체물질들이 국소적으로 소실된 골병소에 사용되어져 왔다. nano-hydroxyapatite coated porcine mineral(nHCPBM)을 가토두개골 결손부에 이식하여 소뼈기원인 Bio-OssⓇ(ABBM-B) 와 NuOssTM(ABBM-N) 이식재의 효과를 비교함으로서 골재생 효과를 관찰하였다. 가토두개골의 양측에 한 개씩의 골와동을 형성하여 nHCPBM을 실험군으로 하고 다른 두 이식재를 대조군으로 하여 각각 5개씩의 와동에 이식재를 이식하였고 2주와 4주에 희생하였다. 조직학적 관찰과 조직형태학적 분석 및 미세단층촬영을 시행하였다. 전자주사현미경을 이용하여 nHCPBM의 구조가 ABBM-B와 유사함을 알 수 있었으며 ABBM-B 및 ABBM-N과 화학적으로 성분이 비슷함을 보였다. 조직학적 관찰에서 nHCPBM과 두 대조군의 새로운 골 형성은 이식재 주위에 모두 나타났으며 모든 군에서 어떤 염증 소견은 보이지 않았다. 조직형태학적 분석에서 nHCPBM군의 새로운 골형성은 2주와 4주에서 각각 11.95 ± 0.57 %와 13.21 ± 1.54 %였으며 ABBM-B군은 13.06 ± 0.62 %와 12.37 ± 0.83 %, ABBM-N군은 12.71 ± 1.22 %와 18.30 ± 2.32 %로 나타났다. 세 군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0.05). 미세단층촬영에서도 조직형태학적 분석과 마찬가지로 세 군에서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0.05). 본 논문의 결과, nHCPBM이 골이식재로서 좋은 형태를 보였고, 생체친화적이었으며 소뼈기원인 두 이종골과 비교해서도 훌륭한 골전도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결론적으로 nHCPBM이 새로운 골을 형성하는데 좋은 골이식 재료로서 사용되어질 것이라고 사료된다. Bone substitute materials are used to manage localized local bone loss in the craniofacial regenerative surgery. In this animal study we examined the de novo bone formation in bone defects after insertion of nano-hydroxyapatite coated porcine bone mineral (nHCPBM) in bony defects and compared the regenerative potential of this material to that of other two anorganic bovine bones materials. We made artificial defects in the parietal skull of six to eight-week old rabbits and each rabbit provided two defects. nHCPBM used as test group, Bio-OssⓇ (ABBM-B) and NuOssTM (ABBM-N) used as positive control groups were grafted in each five defects. Histologic, histomorphometric, and microradiographic evaluations were performed on those bone specimens at two and four weeks after the procedure. We could find high porosity and connecting pores in nHCPBM by using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which was similar with the ABBM-B and human bone. A new bone formation has been seen around the grafted material in the histologic examination. The results of new bone formation were similar between the three groups. There was no evidence of an acute inflammatory infiltrate. The newly formed bone in nHCPBM group was 11.95 ± 0.57 % and 13.21 ± 1.54 % at two and four weeks, and that in ABBM-B group was 13.06 ± 0.62 %, 12.37 ± 0.83 %, and in ABBM-N was 12.71 ± 1.22 %, 18.30 ± 2.32 % respectively.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among groups (P>0.05). In the micro-computed tomography analysis, the new bone volume of each defect that was filled with porcine bone graft was similar to two positive control group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reported among groups (P>0.05) Based on these results, it could be suggested that nHCPBM, with high porosity and a proper pore size, has a good biocompatibility and osteoconductive properties that other two ABBMs have. In conclusion, this present study demonstrates that nHCPBM can be a good bone substitute for new bone form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