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망초와 북시호 혼합추출물의 항염증 효능 연구

        김유리 삼육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에서는 대식세포인 RAW264.7 세포를 사용하여 예로부터 염증 억제, 피부 재생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망초, 복시호 혼합 추출물의 항염증 효능 및 그 기전을 규명하고 염증 치료 물질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먼저 망초, 북시호 혼합물은 속슬렛(Soxhlet) 추출과 동결 건조 과정을 거쳐 본 연구에 사용할 시료를 준비하였고 이를 SYUEB라고 명명하였다. SYUEB의 세포 독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RAW264.7 세포를 배양 한 다음, MTT assay를 실행하였다. 그리고 폴리페놀 함량과, 항산화 능력을 측정하였으며, lipopolysaccharide (LPS)로 자극받은 대식세포에서의 Nitric Oxide (NO) 생성 및 iNOS 유전자 발현을 측정하였다. 또한 ELISA, RT-PCR 방법을 통해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측정함으로써 SYUEB의 항염증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SYUEB는 사용한 농도에서 세포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폴리페놀함량은 높은 수준으로 측정되었고, 항산화 활성은 양성대조군 Vitamin. C 보다 월등히 높았다. NO 생성능 실험 결과, 활성화된 대식세포에 SYUEB을 처리하였을 때, 세포 활성으로 증가된 NO 생성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리고 ELISA, RT-PCR 분석 결과, 활성화된 대식세포에 SYUEB을 처리하였을 때, 염증 매개 인자인 Tumor Necrosis Factor-α(TNF-α), Interluekin-6(IL-6), Interluekin-1β(IL-1β) 발현을 감소시켰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 망초와 북시호 혼합 추출물인 SYUEB가 항염증 효능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不當勞動行爲制度에 관한 硏究

        김유리 조선대학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Remedy System of unfair labor practice in Korea was introduced in Chapter of the Labor Union Law in 1953, after Korea was liberated from Japan and began to establish its constitution. According to the original version, the system was designed to promote and settle the relationship between management and the laborer in security by means of protecting the Three Basis Rights of Laborers-the right of organization, collective bargaining, and collective action or dispute-from any outside infringement and positive governmental support for the remedy of infringed rights. In addition, it was to restrict unfair intervention or disturbance of management on the autonomous labor movement of the laborer. Although it is hard to deny that the system has brought positive results, it is still far from achieving its true potential due to its violation by management. The Remedy System of Unfair Labor Practice can find the significance in guaranteeing the three Basic Rights of laborers and embodying it in practice by fully eliminating the encroachment of management on union activity of the laborer, and as well, by promoting industrial stabilization and national profit simultaneously. This thesis is showing the disposition and contents of the Remedy System of Unfair Labor Practice in current Labor Union Law by analyzing the cases of unfair labor practice based on agendas of Chapter 39 and the Remedy System in Chapter 40∼44. This thesis further suggests the countermeasure to improve the problem we have in the present system as well as the problem itself. The contents of this are as follows. - Chap. 1 shows the purpose, scope and method of this study as a preface. - Chap. 2 shows the significance and reasons for unfair labor practice through a general overview as well as a comparison of those in some of the world's developed countries. - Chap. 3 shows the different cases of unfair labor practice according to the agendas in Chapter 39 of the Labor Union Law. - Chap. 4 shows the Remedy System in two aspects; the administrative remedy and the judicial one. The focus is mainly on the former. - Chap. 5 shows the problems caused in administering the Remedy System and the countermeasure to come to an ideal adjustment of labor-management relations. - Chap. 6 shows the summarized Remedy System of Unfair Labor Practice and the way to proper management as well as the purport of collective Remedy System as a conclusion.

      • 비대면 관광 체험형 콘텐츠 요소가 VR 경험의 몰입, 기억 및 재참여 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유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에 더해 세계적인 팬데믹 사태를 낳은 코로나19는 비대면으로의 전환을 가속화하였고 대부분의 산업은 코로나19로 인한 위기에서 벗어나기 위한 대응책을 마련하기 위해 힘쓰고 있다. 특히 관광 활동은 대면 위주의 체험을 중심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그 타격이 컸으며, 이에 대한 대응 방안으로 관광 산업에서는 다양한 비대면 서비스와 비대면 관광 상품들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기술의 급격한 발달로 관광객은 인터넷을 통하여 실제 관광에 대한 단순한 정보를 얻는 데에서 더 나아가 사전에 관광을 체험해 볼 수 있거나 심지어 실제 관광을 대체하여 가상 관광을 즐길 수 있게 되었다. 비대면 관광 콘텐츠가 실제 관광 활동의 대체재로 기능하기 위해서는 관광객이 가상 환경에 몰입하여 실제 관광지에서의 체험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가상현실(VR)은 가상 관광 경험에 대한 상호 작용과 몰입감을 제공하는 시뮬레이션된 환경을 제공하여 관광객이 실제 환경을 보고 듣고 느끼며 체험하고 있다고 믿도록 하여 관광 산업에서 주목을 받고 있는 기술이다. 기술이 단순히 실제 관광에 대한 의사결정을 위한 도움책에서 벗어나 그 자체로 관광 상품이 된 시점에서 관광 업계에서는 비대면 관광 콘텐츠가 관광 상품으로써 관광객의 기억에 남고 다시 관광에 참여하고자 할 수 있도록 전략적으로 콘텐츠를 제작해야 할 것이다. 비대면 관광 체험형 콘텐츠는 관광 산업의 새로운 대응 전략으로 급부상하였으나, 그 중요성에 비하여 비대면 관광 체험형 콘텐츠와 관련된 연구는 제한적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따라서 관련 연구는 더욱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대면 관광 체험형 콘텐츠 요소와 콘텐츠 이용자의 몰입과 기억, 재참여 의도 간의 영향 관계를 파악하였으며, 체험경제이론을 적용하여 비대면 관광 체험형 콘텐츠 요소를 교육적 체험 요소, 오락적 체험 요소, 일탈적 체험 요소, 심미적 체험 요소의 4가지 체험 요소로 세분화하였고, S-O-R 모형을 적용하여 비대면 관광 체험형 콘텐츠 요소를 자극(stimulus)으로, VR 경험에 대한 몰입과 기억을 유기체(organism)로, 재참여 의도를 반응(response)으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후속 연구의 토대를 마련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관광 업계가 나아가야 할 비대면 관광 체험형 콘텐츠 개발의 중요성과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먼저 S-O-R 모형, 체험경제이론, 비대면 관광 체험형 콘텐츠, 몰입, 기억, 재참여 의도에 대한 문헌 검토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일반인을 대상으로 비대면 관광 체험형 콘텐츠를 시청하게 한 뒤 설문에 응답할 수 있도록 하여 온라인 조사를 진행하였고, 총 326부를 수거하여 이를 모두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비대면 관광 체험형 콘텐츠의 네 가지 요소 중 일탈적 체험 요소와 심미적 체험 요소는 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비대면 관광 체험형 콘텐츠의 교육적 체험 요소를 제외한 오락적, 일탈적, 심미적 체험 요소는 기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몰입은 재참여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넷째, 기억은 재참여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비대면 관광 체험형 콘텐츠의 일탈적, 심미적 체험 요소와 재참여 의도 간의 관계에서 몰입의 매개효과를, 비대면 관광 체험형 콘텐츠의 오락적, 일탈적, 심미적 체험 요소와 재참여 의도 간의 관계에서 기억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교육적 체험 요소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가상현실 기술을 활용한 테마파크 어트랙션 맥락의 비대면 관광 체험형 콘텐츠가 교육적 체험을 경험하기 어렵다는 특성이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이러한 관점에서 관광 업계에서는 비대면 관광 체험형 콘텐츠 개발 및 기획 시, 교육적 체험 요소를 보완하여 관광객이 교육적 체험을 할 수 있는 콘텐츠 구축에 더욱 집중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오락적, 일탈적, 심미적 체험 요소를 강화한다면 이용자의 재참여 의도를 높여 더욱 완성도 높은 콘텐츠를 개발할 수 있을 것이며 전략적이고 지속 가능한 비대면 관광의 성장을 이끌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한다. 본 연구는 S-O-R 모형을 중심으로 비대면 관광 체험형 콘텐츠 요소가 VR 경험의 몰입, 기억 및 재참여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관광 산업에서의 비대면 관광 체험형 콘텐츠의 중요성과 방향성을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보였다. 그러나 향후 관광 산업에서의 비대면 관광의 지속 가능한 성장과 발전을 위해서는 많은 표본의 확보, 비대면 관광 체험형 콘텐츠들에 대한 비교 분석 및 조사 대상 범위의 확대 등 추가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고 판단된다. In addition t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COVID-19, which has caused a global pandemic, has accelerated the tran sition to non-face-to-face, and most industries are striving to come up with cou ntermeasures to escape the crisis caused by COVID-19. In particular, tourism ac tivities were centered on face-to-face experiences, so the damage was great, an d as a countermeasure, various non-face-to-face services and products began to appear in the tourism industry.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technology, touris ts can experience virtual tourism in advance or even enjoy virtual tourism by re placing real tourism, going beyond obtaining simple information on real tourism through the internet. In order for non-face-to-face tourism content to function a s a substitute for actual tourism activities, tourists must be immersed in the vir tual environment so that they can experience actual tourist attractions. From thi s point of view, virtual reality (VR) technology is a simulated environment that provides interaction and immersion in virtual tourism experiences, and is attracti ng attention in the tourism industry by allowing tourists to believe that they are seeing, hearing, feeling, and experiencing the real environment. This is the time when tourism products incorporating technology have become tourism products t hemselves, away from simply helping make decisions about actual tourism. In th e tourism industry, strategies should be established so that non-face-to-face tou rism content can remain in the memory of tourists as a tourism product and wa nt to participate in tourism again. Although non-face-to-face tourism experience -type content has rapidly emerged as a new response strategy for the tourism i ndustry, research related to it has been limited compared to its importance, and related research is considered to be more necessary. Therefore, this study identif ied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non-face-to-face tourism experience-type content elements, immersion, memory, and re-participation intention of content u sers. And by applying the S-O-R model, non-face-to-face tourism experience-ty pe content elements were analyzed by setting them as stimulus, VR experience i mmersion and memory as organism, and VR re-participation intention as respon s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foundation for follow-up research was lai d, and based on this, the importance and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of non-fa ce-to-face tourism experience-type content that the tourism industry should mo ve forward.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first, a literature review was con ducted on non-face-to-face tourism experience-type content elements, VR experi ence immersion, memory, and VR re-participation intention. In addition, an onlin e survey was conducted by allowing the general public to watch non-face-to-fa ce tourism experience-type content and respond to the survey, and a total of 32 6 copies were collected and used for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the deviant escapism element s and esthetics experience elements of non-face-to-face tourism experience-type conten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user's immersion in VR experienc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entertainment, escapism, and esthetics experience elements excluding the education experience element of non-face-to-face tourism experien ce-type conten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user's memory. Third, it was found that all four experience elements of non-face-to-face tourism experience-type co nten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user's intention to re-participate in VR. Fourt h, VR experience immers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VR re-participation inten tion, and fifth, memor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VR re-particip ation intention. Finally, the mediating effect of VR experience immersion in the r elationship between escapism and esthetics experience elements of non-face-to-f ace tourism experience-type content and VR re-participation intention was verifi ed. Based on the derived results, the escapism and esthetics experience factors of non-face-to-face tourism experience content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VR experience immersion, memory, and VR re-participation intention. This study was significant in that it identified the effects of non-face-to-face tourism experience-type content elements on VR experience immersion, memory, and VR re-participation intention, focusing on the S-O-R model, and derived the importance and direction of non-face-to-face tourism experience-type content in the tourism industry. However, for the sustainable growth and development of n on-face-to-face tourism in the tourism industry in the future, additional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such as securing many samples, comparative analysis of n on-face-to-face tourism experience-type contents, and expansion of the scope of survey targets. Key words: Non-face-to-face Tourism Experience-type Content Elements, VR Experience Immersion, Memory, VR Re-participation Intention, S-O-R model, Ex perience Economy Theory

      • 대학 취업지도자의 직무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교육요구분석 : 4년제 대학을 중심으로

        김유리 韓國技術敎育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4년제 대학 취업정보실에 근무하는 행정직원을 대상으로 직무분석을 통하여 교육을 필요로 하는 직무영역을 도출해 낸 후, 영역별 세부직무의 교육요구를 분석하고 그 우선 순위를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현행 취업지도자 직무교육프로그램 운영 실태를 분석한다. 연구문제 2. 취업지도자 직무분석을 통한 직무영역별 교육요구 우선순위를 분석한다. 연구문제 2-1. 근속년수 변인에 따른 직무영역별 교육요구 우선순위 비교한다. 연구문제 2-2. 직무영역별 교육내용에 관한 요구를 분석한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우선 대학생 취업지도 경력 5년 이상인 취업지도자를 대상으로 직무분석을 한 후, 3가지 직무영역을 도출해내었다. 교육요구분석을 하기 위한 도구로서 요구분석 관련 참고문헌을 검토함으로써 제작된 교육요구질문지를 전문가에게 타당성 검증을 거친 후 E-mail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교육요구 질문지는 현행 취업지도자 직무교육프로그램 만족도에 대한 평가, 희망 교육방법 등 현행 취업지도자 직무교육프로그램 만족도를 묻는 설문문항을 직무영역별 교육요구 우선순위를 분석하기 이전에 삽입하였으며 대학 취업지도자의 3가지 직무영역별 교육요구에 관하여는 Misanchuk(1982)와 Scissions(1982)의 분석틀을 따랐으며 세부직무내용을 중요도, 숙달도, 기대수준 등으로 나누어 5점 리커르트 척도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자료분석을 위한 통계패키지는 SPSS 10.0을 활용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취업지도자들은 현행 취업지도자 직무교육 프로그램에 대하여 보통수준으로 만족하고 있었다. 이것이 공공기관 주관이든 사설 취업전문기관 주관이든 경력별 근속년수별로 프로그램을 나누어 정기적이고 체계적인 그리고 현업에 도움이 되는 교육프로그램이어야 한다는 요구가 있었다. 둘째, 근속년수에 따른 직무영역별 교육요구 우선순위에 있어서 초보, 중급, 숙련 취업지도자 집단간에 뚜렷하게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것으로 미루어 보아 근속년수에 따라서 다른 교육프로그램이 제공되어져야 한다기 보다 세 집단간에 공통적으로 교육요구가 높은 직무에 대한 심화 교육프로그램이 요청됨을 시사하고 있다. 단, 상담영역의 '진로 및 취업교육프로그램 개발/운영하기' 직무에 대해서 초보, 중급 취업지도자 집단보다 숙련 취업지도자의 교육요구가 뚜렷하게 차이가 나는 직무내용에 대해서는 취업지도자의 근속년수에 따라 차별적으로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세 가지 직무영역 중 교육 및 지도영역 부문에 있어서 교육을 가장 필요로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것으로 미루어 보아, 취업지도자 세 가지 직무영역 중 상담영역, 행정영역보다는 교육 및 지도영역에의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로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연령, 학력, 직급, 근무년수에 따라 각 직무영역별로 교육내용에 있어 차이가 없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the educational needs in detail of the job duties of administrators working at the university career service center after job analysis and are to determine the order of job duty priority. The subjects of study are as follows: 1. To analyze the current operational situation of job training programs according to the job duties. 2. To analyze the order of priority in training needs through job analysis. 2-1. To compare the order of priority of educational needs in proportion to the length of service. 2-2. To analyze the needs for training contents in relation to three categories (Education and Guidance, Counseling, Administration) according to job duties. I analyzed the job duties of administrators with over five years experience in the university career center and then separated the job duties into the three categories. In order to analyze the training needs, I sent out surveys through E-mail after a careful inspection of the suitability of a questionnaire made by examining records related to training needs analysis. The survey was composed of questions like the assessment of feeling of satisfaction about the present job training program and the desired training method. The study follows the analysis method suggested by Misanchuk(1982) and Sciccions(1982) using a training needs analysis in three categories of job duties. The contents of the detail job duties included 'Importance', 'Proficiency' and 'Expectation' made by five Rickert measure. I used the SPSS 10.0 statistics program for this study. This study has four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I found the satisfaction of the current training program to be normal. Regardless of under the auspices of the public institution and the private-run company, the desired program is believed to help in the performance of the present job duties, is systematic, and periodical. The program is also discriminated in relation to the length of service. Second, I found that there were not enough differences between beginner group, the intermediate group and the expert group in order of priority in the three categories of job duties according to the proportion of the length of service. As a result, it is not necessary to supply other program in proportion to the length of service, but it is necessary to supply a more in depth training program for the common job duties. In particular, 'to develop and operate the career guidance program' of the Counseling duties should be given to the expert group in proportion to the length of service rather than the beginner group or intermediate group. Third, I found the training needs for the Education and Guidance section is the highest of the three categories. As a consequence, I found the need for training program for the Education and Guidance category is higher than both the Counseling and the Administration categories. Fourth,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training contents according to age, academic background, job position or length of service.

      • 한국어 학습자의 발표능력 신장을 위한 교육방안 연구

        김유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한국어 학습자, 특히 한국 대학에서 수학하고 있는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발표 교육의 필요성을 느끼고, 그들의 발표 능력의 향상을 위한 발표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학문적 상황에서의 발표는 학술적인 의사소통을 수행하는 중요한 도구로 학습자들에게 자주 요구되는 과제이다. 이러한 발표 과제는 한국인 모어 화자에게도 부담되고 어려운 과제이며 한국어 학습자들에게는 더욱 큰 부담이 된다. 한국어 학습자들을 위한 다양한 발표 교육 방안과 그 내용이 고안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기존 연구에서는 세부적인 요인만을 연구대상으로 삼고 한정적인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들의 발표 능력 향상을 위한 체계적인 발표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교육 방안을 수립하기 위해 실제 외국인 학습자들이 수행한 발표 자료를 분석하여 발표 구성적, 수행적 측면에서 그 특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성공적인 발표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을 청중평가를 통해 분석하였다. 또한 발표 교육 내용의 항목 설정과 중요도를 수립하기 위하여 청중의 발표 평가 결과와 유학생들의 자기 평가 및 요구 조사 결과를 비교하였다. 먼저 외국인 학습자들의 발표 자료를 분석한 결과 발표 구성의 미흡함과 문법적인 측면의 오류가 많이 나타났다. 발표 내용의 구성 및 자료 요약은 청중 평가에서도 중요한 평가 요소로 작용하였다. 하지만 발표 수행에서 나타나는 문법적인 요소의 오류는 청중 평가 분석 결과와 비교했을 때 큰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오히려 발음과 억양, 제스처 및 시선이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요소는 청중 평가의 상위 점수를 받은 학생들과 하위 점수를 받은 학생들과의 차이에서 더 뚜렷하게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는 언어적 요소에만 치중하고 있는 발표 교육에 큰 시사점을 주며 발표 자료를 준비하고 수행하는 전반적인 관점에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함을 말해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자들의 발표 능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켜줄 수 있는 발표 교육 방안으로 공동체 언어 학습의 원리를 적용한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학습자가 발표 능력을 기르기 위해서는 직·간접적으로 발표를 체험하고 스스로 그 특징을 터득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탐구 학습의 원리와 반성적 평가의 원리를 이용하여 수업의 모형을 수립하고 그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educational measures for international students to develop their presentation skills in academic. Presenting themselves in public is one of important abilities frequently needed for students. Oral presentation in academic area is a critical tool for academic success. That’s why presentation in academic area is more difficult for international students. So special attentions or cares are needed to develop. But previous studies are mainly focused on only detailed factors of presentation. This study provides systematic approach to improve presentation skills for international students. First,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presentation are reviewed. Then, based on this, Students’ presentations performed in actual classes are analyzed, and problems are pointed out. Also, some factors affecting successful presentations are analyzed through audience rating. In order to establish criteria and degree of importance in educational measures for improving presentation skills, audience’s evaluation and self-evaluation by international students are compared. First result of the students’ presentations analysed is that contents and organization of presentation materials were inadequate. Also students made many grammatical errors. contents and organization of presentation materials are turned to be crucial for audience rating. However, compared to audience rating, grammatical errors on presentation is not a big problem to audience. Instead pronunciation, intonation, gesture, and gaze are more influential.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provides educational measures based on the CLL(Community Language Learning) of teaching method. To develop international students’s ability of presentation, they need a lots of opportunity to build up their presentation experience. The CLL has some principle for that, one is research learning principle another is self-reflection principle. Consequently, this study use those principles and provide educational measures.

      • 아동에 대한 사회적 지지가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을 중심으로

        김유리 경기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사회적 지지가 사회적 유능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여,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 발달에 도움이 되는 교육, 상담에 효과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초적인 자료로써의 활용과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을 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조사는 수원시 내 12개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초등학교 3~6학년 아동 13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제변수에 따른 사회적 지지의 차이와 관련하여 분석한 결과, 3학년과 6학년, 지역아동센터 다닌 기간이 ‘15개월 이하’와 ‘26개월~35개월 이하’라고 응답한 아동들이 학교교사지지를 가장 많이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친구지지는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가정의 경제력에서 ‘아주 혹은 조금 못사는 편’이라고 응답한 아동이 더 많이 지각한다고 나타났다. 둘째, 통제변수에 따른 사회적 유능성의 차이와 관련하여 분석한 결과, 지역아동센터에 다닌 기간이 ‘26개월~35개월 이하’라고 응답한 아동들이 주도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부모와 함께 사는 아동들이 사회참여도, 주도성, 인기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동의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유능성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유능성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 세운 가설이 채택되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아동의 사회적 지지가 사회적 유능성에 미친 영향에 대해 분석한 결과, 가족지지와 지역아동센터의 사회복지사지지에서는 유의한 결과를 얻지 못하였다. 그러나 친구지지는 사회적 유능성의 하위요인인 사교성, 대인적응성, 사회참여도, 주도성, 인기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학교교사지지는 사회적 유능성의 하위요인 중 대인적응성을 제외한 사교성, 사회참여도, 주도성, 인기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사회적 유능성도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사회적 지지가 사회적 유능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는 것이었다. 아동이 환경과 상호작용하면서 긍정적으로 발달할 수 있는 능력인 사회적 유능성에 사회적 지지가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가 지역아동센터의 프로그램 개발과 아동에 맞는 사회복지서비스 설계에 기초자료로써 활용할 수 있다는 것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 팀 과제 수행 시 사회적 태만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지각된 사회적 태만의 조절효과 분석

        김유리 한림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대학교, 회사 등 조직에 속해 있는 사람이라면 상사, 부하, 동료 때문에 힘들었던 적은 없는가? 팀을 이루어 직무를 수행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우리에게는 피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조직구성원들의 태만함을 꼭 한번쯤은 경험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태만과 관련된 연구가 많이 이루어져야함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거의 찾아볼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팀을 이루어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사회적 태만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주변의 사회적 태만을 지각하는 것만으로도 태만행동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연구 1과 연구 2로 구분하여 연구 1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태만행동의 문항을 구성하여 대학생들의 태만행동에 대한 특징을 파악했고, 연구 2는 연구 1에서 구성된 태만행동 문항을 이용하여 직장인들의 태만행동에 대한 특징을 파악하였다. 태만행동은 본인평가와 타인평가로 나누어 측정하였으며, 본인평가는 참가자 본인이 생각하는 자신의 태만행동, 타인평가는 같은 팀 구성원들이 생각하는 참가자의 태만행동으로 정의하였다. 지각된 사회적 태만도 구성원 태만지각과 집단 태만지각으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구성원 태만지각은 참가자가 속한 팀의 구성원들에 대한 태만지각이고, 집단 태만지각은 다른 팀과 비교했을 때 우리 팀에 대한 태만지각으로 정의하였다. 사회적 태만에 대한 예측변인들을 크게 개인특징과 프로젝트 특징으로 묶어 구체적으로 어떤 특징이 태만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 지각된 사회적 태만이 이들의 관계를 조절하는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구체적으로 어떤 특징이 태만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대학생과 직장인의 공통점으로는 개인적 기여가 태만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차이점으로는 직장인의 경우 개인적 기여, 성실성, 집단태만지각이 태만행동을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반면 학생의 경우에는 어떠한 태만행동이냐에 따라 다른 결과를 나타냈다. 또 다른 차이점으로 지각된 사회적 태만의 조절효과는 직장인에게서만 나타났고, 대학생의 경우에는 두 개의 예측 변인(개인의 책임과 구성원태만지각의 상호작용, 과업정체성과 집단태만지각의 상호작용)에서 주효과만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핵심은 주변의 태만을 지각하는 것이 태만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것을 알아보는 것인데, 직장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에서 성실성이 높은 사람일지라도 구성원들이 태만하다고 지각하면 태만행동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주변의 태만지각만으로도 태만행동에 큰 영향을 준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참가자들에게 팀 프로젝트 활동의 부정적 측면과 활동에 열심히 참여하지 않았던 적이 있다면 이유가 무엇이었는지에 대해 기술하게 한 결과, 의사소통의 어려움이나 구성원의 태만행동으로 인한 불편함을 호소할 뿐만 아니라 자신이 잘못한 것에 대해서도 솔직하게 기술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직장인은 피드백이나 보상과 관련된 내용을 대학생은 단합이나 화합과 관련된 내용을 기술해주었다. 마지막으로는 결과에 대한 종합논의와 연구의 의의,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부모 교육 프로그램 개발

        김유리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parenting stress, parent behavior, parenting efficacy, psychological well-being and marital satisfaction. Parent education program used in this study, is developed and instituted by researcher of this study.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8 parents who have ASD children were recruited. They participated in a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3 weeks, 6 ses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parenting stress, parenting behavior, parenting efficacy, psychological well-being and marital satisfaction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pre-program and post-program. This indicated that parenting stresses, negative parenting behavior are diminished and positive parenting behavior, parenting efficacy, psychological well-being and marital satisfaction are increased. Second, Participants went through changes during this program. Clin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for future researches. 본 연구는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부모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프로그램이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와 양육 행동, 양육 효능감, 심리적 안녕감, 부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프로그램은 선행 연구를 참조로 본 연구의 연구자에 의해 개발 및 실시 되었다. 연구 대상은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을 자녀로 둔 어머니 또는 아버지로 총 8명이었다. 3주 간 총 6회기의 부모 교육 프로그램과 1회의 추수 지원에 참여하였다. 연구 결과,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부모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은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부정적 양육 행동을 감소시키고, 긍정적 양육 행동과 양육 효능감, 심리적 안녕감, 부부 만족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참가자들은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자폐스펙트럼 자녀와 정상 발달 자녀에 대한 긍정적 경험을 하였고, 부부 관계가 개선되었으며 참가자 자신도 자녀의 장애를 수용하고 자녀의 장애에 대한 죄책감을 덜게 되는 효과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 부모를 대상으로 특정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했다는 점과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행동 중재에 대한 부모 교육 프로그램이 대부분이었던 기존의 연구 동향과 달리 부모와 가족의 어려움을 다루는 통합적인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는 점, 그리고 비교적 단기적으로 실시된 프로그램임에도 불구하고 효과가 검증되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부모 교육 프로그램을 널리 실시하고 프로그램을 정교화하기 위한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공하였다.

      • Effects of socio-demographic factors on residential electricity consumption in Korea

        김유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국의 고령화 속도는 주요 선진국들의 고령화 속도와 비교하여 매우 빠른 편으로, 미국 통계국은 한국이 고령사회에서 초고령사회로 진입하는데 세계에서 가장 빠른 수준인 27년이 걸린다고 전망하였다. 인구고령화 현상은 성장, 고용, 복지 등 경제 및 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에너지 소비 행태에 구조변화를 일으킬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최근 학계에서는 인구고령화를 포함한 사회·인구학적 요인들이 에너지 소비 변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특히 대부분의 관련 연구들은 주로 수송부문과 가정부문에 집중되어 있는데, 이는 사회·인구학적 현상이 산업 및 발전 부문보다 수송 및 가정부문에 더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기 때문이다. 고령화가 수송부문과 가정부문의 에너지소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아직까지 사회·인구학적 요인들을 세분화하여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패널분석을 실시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화를 포함한 사회·인구학적 요인들이 국내 1인당 주거용 전력수요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 하는것이다. 사회·인구학적 요인을 크게 고령화, 소득, 생산가능인구, 교육수준, 가구원크기, 성별, 자가점유율, 그리고 주택형태로 세분화하여 분석을 진행한다. 이 외에 전력소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는 전력가격, 냉방도일, 그리고 난방도일 변수를 분석에 포함한다. 분석범위는 세종시를 제외한 16개 광역자치단체이며, 분석기간은 2000년부터 2016년까지인 지역별 패널자료를 사용한다. 지역별 패널자료를 사용할 경우 변수들간의 다중공선성(multi-collinearity) 문제의 해결과 시간에 따른 전력소비의 변동성을 포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실증분석을 실시하기에 앞서 관련 선행연구의 조사와 정리를 통해 이론적 근거 및 관련 연구들을 소개한다. 그 뒤,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연구 가설을 설정하여 검정한다. 첫째, 인구 고령화가 증가하면 1인당 주거용 전력 소비량이 감소한다. 둘째, 가구원의 크기가 증가하면 1인당 주거용 전력 소비량이 감소한다. 셋째, 교육수준, 성별차이, 생산가능인구, 자가점유율은 주거용 전력 소비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넷째, 난방도일(HDDs: Heating Degree Days)과 냉방도일(CDDs: Cooling Degree Days)이 증가하면 주거용 전력 소비량이 증가한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소득, 가격, 고령화, 가구원크기, 냉방도일, 난방도일 변수들을 채택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패널 공적분 검정 결과, 변수들 간에 장기균형관계가 성립함을 확인하였으며, FMOLS와 DOLS 분석기법을 사용하여 변수들의 장기균형 벡터를 추정하였다. FMOLS와 DOLS 분석결과 고령화, 전력가격, 가구원크기가 증가하면 주거용 전력소비가 장기적으로 감소하고, 개인소득, 난방도일, 냉방도일이 증가하면 주거용 전력소비가 장기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패널 고정효과 및 확률효과 모형 추정 결과 고령화, 전력가격, 가구원크기가 증가하면 주거용 전력소비가 감소하고, 개인소득, 난방도일, 냉방도일이 증가하면 주거용 전력소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고령화 현상이 주거용 전력소비 감소의 요인임을 확인하였으나, 고령화 사회는 국가적으로 보면 매우 큰 부담이다. 한국의 인구고령화가 전례 없는 속도로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따른 인구구조 변화가 향후 주거용 전력 소비에 미치는 영향은 크게 변동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가구원크기가 증가할수록 주거용 전력 소비가 줄어드는데, 이는 세대당 인구수가 증가할수록 한 가정에서 가전기기를 공유하여 사용하는 빈도가 늘어나기 때문이다. 가전기기를 대상으로 한 에너지 효율적인 설계와 보급을 장려하는 정책의 도입이 바람직해 보인다. 난방도일이 증가할수록 주거용 전력소비가 증가한다는 것은, 최근 전력으로 난방 설비를 가동하는 건물이 많아지면서 가스난방의 대체로 겨울철 전기난방이 사용되거나, 값싼 전기요금으로 인해 전기를 사용하는 보조 난방 기구의 사용이 증가하는 것에서 설명될 수 있다. 냉방도일이 증가할수록 주거용 전력소비가 증가하는 현상은 과거에 비해 에어컨과 냉방기기를 보유하고 사용하는 가정이 늘어난 데 기인한다. 소득이 증가할수록 주거용 전력소비가 증가한다는 것은, 가처분소득의 증가로 인해 개인의 구매력이 증가하면서, 이들이 전기를 사용하는 가전제품을 더 많이 구매하고 사용하는 현상에서 비롯된다. 최근 한국은 공식적으로 고령사회에 진입하였으며, 국제사회는 한국의 고령화가 훨씬 더 빠르게 진행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고령사회에서 정책은 훨씬 더 신중하게 수립되어야 한다는 점을 비추어 보았을때, 향후 주거용 전력소비를 줄이기 위하여 가격정책만을 고수하는 것은 한계가 있어 보인다. 안정적인 주거용 전력 수급을 위하여 고령화를 포함한 여러 요인들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This study conducts empirical analyses on how population aging and other socio-demographic factors affect residential electricity consumption per capita in 16 municipalities, excluding Sejong City, in the Republic of Korea during the period of 2000-2016. By doing so, the study proves how each socio-demographic factor affects differently to the residential electricity consumption in the Republic of Korea, considering its current trends of fast-growing aging society. The study uses the following components of socio-demographic factors: the share of population aged 65 and above for population aging, the number of households, the share of population aged 15~64 for working age population, the number of households, female to male ratio for gender difference, per capita income, education level, dwelling types including the ratio of apartments to houses and the ratio of apartments to multi-houses, and homeownership rate. Also, the effects of electricity price, heating degree days (HDDs), and cooling degree days (CDDs) variables on the residential electricity consumption are discussed to produce more thorough empirical results. For empirical analysis, the study chooses fully modified least squares (FMOLS) and dynamic least squares (DOLS) estimators with panel cointegration methods and fixed effects and random effects models for panel data estimations. Using panel data has the benefits of accounting for the regional differences and time-variant effects, effectively controlling for the possibly existing multi-collinearity problems. The following hypotheses are tested: 1) Population aging and residential electricity consumption exhibit a negative relationship; 2) Increase in household size reduces residential electricity consumption per capita; 3) Education level, gender difference, working age population, and homeownership do no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residential electricity consumption; 4) Heating degree days (HDDs) and cooling degree days (CDDs) have positive relationships with residential electricity consumption. The study chooses the foll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for analysis: Income, price, population aging, household size, heating degree days, (HDDs) and cooling degree days (CDDs). The results of the panel cointegration test confirm the presence of a long-run equilibrium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and using FMOLS and DOLS approaches, the cointegrating vectors are estimated. The results of FMOLS and DOLS indicate that as population aging, electricity price, and household size increase, residential electricity consumption decreases in the long run; as personal income, heating degree days (HDDs), and cooling degree days (CDDs) increase, the residential electricity consumption increase in the long run. The panel estimation results of fixed effects and random effects model show that as population aging, electricity price, and household size increase, residential electricity consumption decreases; as personal income, heating degree days (HDDs), and cooling degree days (CDDs) increase, the residential electricity consumption increases. The study makes the following conclusions from the empirical results. First, as population aging continues to unfold in the Republic of Korea, residential electricity consumption per capita will likely be reduced; however, this does not mean that population aging is a desirable condition in the Republic of Korea. Rapid population aging signals the lack of accessibility to and affordability of energy for the vulnerable elderly households in the Republic of Korea, possibly leading to the worsened energy equity problems of especially the vulnerable elderly groups that are short of the access to energy. Further, population aging in the Republic of Korea will rather have varying effects on the volatility of residential electricity consumption in the future considering that population aging will progress at an unprecedented rate. Second,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household size and residential electricity consumption can be interpreted that as the number of people per household increases, the frequency of household sharing and using the home appliances increases. Third,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heating degree days (HDDs) and residential electricity consumption can be explained by the recent increase in the number of buildings which operate heating system with electricity or by the increase in the use of electric auxiliary heating devices attributable to cheap electricity prices of the Republic of Korea. Fourth, increase in the residential electricity consumption by the increase in cooling degree days (CDDs) means that more households nowadays own and use air-conditioners at homes than in the past. Lastly,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creasing disposable income and increasing residential electricity consumption, this can be attributed to the increased purchasing power of consumers which enables them to purchase and continue to use the electrical appliances for cooling. Recently, the Republic of Korea has officially entered the era of an “aged society,” and it is predicted that the country will get older at a much faster pace. Given that the policies must be designed and implemented in comprehensive and precise manners in an aged society, it seems that sticking solely to the price policy to reduce the future residential electricity consumption possess some critical limitations. Hence, the government must consider the number of influential factors, including socio-demographic aspects associated with population aging and temperature effects when designing effective policies that ensure stabilizations of the residential electricity demand and supp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