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노만 맥라렌 애니메이션의 움직임 연출과 기법에 관한 연구

        김우중 상명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노만 맥라렌의 작품에 나타난 애니메이션의 움직임 연출과 기법을 분석해 봄으로써 관련된 그의 실험결과들이 뉴미디어 시대의 창작 활동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고찰하는데 있다. ‘움직임’은 애니메이션을 규정짓는 가장 중요한 미학적 특징이다. 또한 이런 특징을 효과적으로 나타내는 방법이 연출과 표현 기법이다. 그러나 창작과정에서 도구나 미디어 특성의 영향으로 연출과 표현 기법이 종종 한계에 부딪힐 경우가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실험을 통해 표현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는 것이 창작자의 잠재적 욕구이기도 하다, 더욱이 최근에는 디지털 기술과 네트워크의 발달로 대부분의 미디어가 융합을 통해 매체 구분이 없어짐에 따라 애니메이션도 전통적인 방식과 다른 새로운 형식을 요구받고 있으며 새로운 미디어로부터 적극적인 구애를 받고 있다는 점이다. 새로운 흐름에 민감한 타 예술 분야 역시 디지털아트, 미디어아트 등의 장르로 발전하면서 다양한 실험적 과정을 진행 중에 있다. 최근 등장하는 새로운 미디어들은 개인화, 네트워크화, 고기능화 되면서 2차원 이미지보다는 움직이는 영상물에 대한 수요가 커지고 있으며, 시장 환경도 네트워크로 인해 검증받지 못한 개인의 습작까지 국제시장에 선보일 수 있는 글로벌 체제로 바뀌고 있다. 이런 측면에서 본 논문의 대상인 노만 맥라렌은 캐나다국립영화제작소(NFBC)에 43년간 재직하면서 자신이 추구한 작품 세계를 구현하기 위해 애니메이션의 잠재적 특성을 끊임없이 발굴하고, 다양한 분야와의 결합을 통해 새로운 표현기법을 창안했던 작가로써 그의 노력과 성과들은 오늘날 애니메이션이 미학적 체계를 이루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음은 물론, 상업 애니메이션의 대중적 침투로 인해 일반에 인식되던 “오락영화”의 개념을 “예술” 분야의 한 장르로 격상시키는 성과를 이뤄냈다는 점에서 그의 실험결과에 대한 연구는 뉴미디어 환경에 대처해야하는 창작자들에게 애니메이션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한 선행 연구로서의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This study's main objective is to analyze and understand the influence of animation 'movement' direction and technique in Norman Mclaren's works on the new media age. 'Movement' is the most important aesthetic trait in determining an animation. The methods to express this trait effectively are direction and expression technique. However, sometimes the direction and expression technique comes to their limits during creation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tools or the media's nature. Still, the creator has potential desire to overcome the limits of expression via different experiments. Recently,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and networks, most media remove the boundaries through fusion, and animation is encouraged to divert from the traditional ways, and new experimental processes are under way as other trend-sensitive artistic fields extend to digital and media art. Norman Mclaren, the subject of this study, while working for 43 years in the National Film Board of Canada(NFBC), has continuously developed potential traits of animation in order to realize his artistic world and created new expression techniques by converging with other fields. The study on his experiments helps understand the processes that creators who face the new media environment must undergo to expand new possibilities of animation.

      • IEC 61850 기반 IED 시험 교육용 시뮬레이터

        김우중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디지털 변전자동화 시스템의 기술규격이 IEC 61850으로 국제적인 규격화가 이루어진 시점에서 변전소 내에서 제어케이블로 이루어졌던 IED 간의 연결이 네트워크를 통한 상호간의 정보교환이 가능하게 되었다. IED 간의 정보 전달은 특별한 통신규약으로 정의된 GOOSE 메시지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며 GOOSE 메시지에 적용되는 것이 주로 트립, 인터록 등 변전소의 보호를 위한 중요 신호이다 보니 IED의 실 계통 적용 전 이에 대한 신뢰성 및 안전성 검증은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이를 위해 IEC 61850 기반 IED 대상 GOOSE 적합성 통신 시험에 관한 연구 및 Report 적합성 시험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GOOSE 및 Report 적합성 통신 시험을 하기 위한 절차에 대하여 IEC 61850-10에서 제시하고 있지만 기술된 내용은 무엇을 검사할 것인지에 대해 추상적인 방식으로 서술하고 있을 뿐 어떻게 검사할 것인지에 대해서 구체적인 방법은 부족하다. 또한 사용자가 IEC 61850 기반 IED의 시험방법을 학습하기 위해서는 여러 시험장비들이 필요로 되며, 엔지니어링 프로그램의 사용방법을 학습해야 하므로 IEC 61850 프로토콜에 대한 이해가 깊지 않은 사용자에게는 시험환경 구성 방법과 절차를 학습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본 논문에서는 IEC 61850 기반 IED 시험용 시뮬레이터를 개발하여 사용자가 IEC 61850 기반 IED의 기능 시험과 통신 적합성 시험에 대한 방법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Graphic User Interface로 구성하여 사용자의 이해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시뮬레이터 개발은 크로스 플랫폼을 지원하는 C++ GUI 애플리케이션 개발용 툴킷인 Qt Creator를 이용하여 구축하였다. IEC 61850 was published in the early 2000s and is the state of the communication standard for Substation Automation Systems. Current trends in the development of digital substation indicated that IEC 61850 based IEDs(Intelligent Electronic Devices) will be widely used. The IEC 61850 Standard has many benefits such as replacing the conventional copper wiring with a Generic Object Oriented Substation Events(GOOSE) message sent via Ethernet over fiber optic cable. Convention hard-wired inputs and outputs for control and protection function are no longer necessary. The conventional methods of substation interlocking and tripping a breaker via a contract can be replaced by GOOSE messages. One major challenge currently facing IEC 61850 is defining testing procedures.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testing the test device has to simulate the substation process through hard-wired interface between the analog and binary outputs of the test device and the analog and binary inputs of the test object. But, IEC 61850 based IEDs is simulate the substation process through network interface between of test device and test object. This paper presents an educational simulator to test IEDs based on IEC 61850. The simulator is intended to educate test procedure of IEDs based on IEC 61850 without additional hardware and software. The simulator was developed by C++ based User Interface application development tool.

      • 서울시 대기오염측정망 자료를 이용한 도로재비산먼지 배출계수 추정

        김우중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도로교통에 의해 발생하는 입자상 물질(Particulate matter: PM)은 배출원에 따라 크게 exhaust PM과 non-exhaust PM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non-exhaust PM은 타이어, 브레이크, 도로표면 등의 차량관련 마모 입자들과 차량 운행에 의해 재비산된 도로먼지를 포함한다. 도로교통과 관련된 입자상 물질 배출원에 대한 국․내외 연구들은 주로 exhaust PM을 대상으로 진행되어왔으나, 최근에는 배기가스 저감 기술의 개발에 의한 배출량의 감소로 non-exhaust PM의 중요성이 상대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도로교통과 관련한 미세먼지 배출량 및 상대적인 기여도를 파악하기 위해 Thorpe 등(2007)의 방법론을 참고하여 시범적으로 서울시 도로변 및 도시대기측정망의 NOX와 PM10 농도자료를 이용한 도로재비산먼지 배출계수를 추정하고자 하였다. 측정망 자료는 시범적으로 2005년부터 2007년까지의 서울시 도로변 측정망(동대문 측정소) 자료와 도시대기 측정망(효제동 측정소) 자료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Lohmeyer 등의 관계식과 차량의 NOX 배출량을 이용하여 도로교통과 관련된 전체 PM10 배출계수를 산정하였다. 교통관련 전체 PM10 배출량에서 PM2.5는 exhaust PM으로, PM2.5-10은 non-exhaust PM으로 가정하였으며, Non-exhaust PM의 배출계수를 추정하기 위해 이전 측정자료를 참고하여 도로변 PM2.5-10:PM10의 비를 0.4 ~ 0.5로 가정하였다. 마모관련 배출 계수는 유럽의 EMEP/CORINAIR 배출계수식을 적용하였다. 2005년부터 2007년까지의 서울시 측정망 자료를 이용하여 시범적으로 추정한 배출계수를 배출원별로 살펴보면 타이어마모는 2.8 mg/km, 브레이크마모는 8.3 ~ 8.4 mg/km, 도로표면마모는 3.5 ~ 3.6 mg/km, 그리고 도로재비산먼지는 10.6 mg/km ~ 35.5 mg/km으로 추정되었다. Non-exhaust PM 중에서 도로먼지 재비산에 의한 미세먼지 배출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브레이크마모, 도로표면마모, 타이어마모 순으로 기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측정망 자료의 선별 기준 및 배출계수 산정에 필요한 입력자료 등은 추후 보완해야 할 부분이라 사료된다.

      • 과학수사요원의 안전에 관한 연구

        김우중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과학수사요원들은 범죄현장에서 찾은 물리적 증거(Physical Evidence)를 통하여 범죄자가 범죄를 실행한 사실을 증명하거나 피해자 또는 용의자의 신원을 확인한다. 더불어 결백한 용의자의 혐의를 벗겨 주기도하고, 범죄와 관련된 인물의 신원확인을 통해 수사의 범위를 축소시켜주기도 한다. 안타깝지만 이렇게 실체적 진실을 찾기 위한 노력을 하는 과학수사요원의 안전(safety)은 정작 소홀히 다루어지고 있다. 특히나 범죄현장은 곳곳에 위험이 도사리고 있으며, 강력사건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부패가 진행 중인 시체, 출처가 불분명한 약물, 범행에 사용되어진 흉기, 깨어진 유리 등은 과학수사요원의 안전에 위협을 가한다. 이처럼 범죄현장은 사건을 해결할 수 있는 증거물의 보고(寶庫)인 동시에 위험을 간직하고 있는 양날의 칼과 같은 장소이다. 이에 과학수사요원은 범죄현장에 임장함에 있어 스스로 위험을 최소화한 상태로 증거물을 수집해야 할 것이다. 만일 현장의 위험을 간과하거나, 과학수사요원 스스로가 위험에 대한 자각(自刻)을 하지 못한 채 현장에 임한다면 개인의 사고(事故) 뿐만 아니라 증거물의 오염 및 훼손을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위험을 줄이고자 가장 먼저 선행되어야 할 것은 ‘안전보호장구’를 착용하는 것이다. 현장임장에 있어 필수적으로 착용해야 할 보호장구로는 보호의, 마스크, 덧신, 일회용 라텍스장갑, 고글 등이 있다. 물론 현장상황에 따라 추가적으로 헬멧과 안전화 등 추가적인 보호장구를 착용해야 할 때도 있다. 이는 개인의 안전을 지키고 증거물의 오염을 최소화하기 위해 가장 먼저 고려되어야 하는 사항이다. 이러한 안전보호장구가 마련되었다면, 이후에는 현장에서 위험을 가할 수 있는 위험요소들에 대한 인식이 필요하다. 보호장구가 안전을 지킬 수 있는 2차 방어선이라면, 위험요소에 대한 인식 및 예방은 1차 방어선이라 할 수 있다. 위험요소에 대한 인식이 있어야 예방을 할 수 있고 나아가 예방을 하기 위한 보호장구를 착용하는 것을 과학수사요원 스스로 당연시 여길 수 있다. 과학수사요원들이 현장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감식기법에는 스스로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는 물질들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위험물질은 MSDS(Material Safety Data Sheets)를 통해 인체에 대한 위험성 및 가연성여부, 다른 화학물질과의 반응성 및 특이사항 등을 확인할 수 있으며, 접촉 시 응급요령, 보관 시 주의사항 등을 수록하고 있기에 화학물질을 증거물에 적용 전 필수적으로 살펴보아야 한다. 특히 한국은 작업자가 항상 볼 수 있는 곳에 MSDS를 비치하도록 산업안전보건법 제41조(96.7.1 시행)에 의무화되어 있기 때문에 자신이 사용하는 시약의 제조회사를 살펴 본 이후 회사 홈페이지 혹은 안전보건공단(www.kosha.or.kr) 홈페이지를 통해 MSDS를 확인할 수 있다. 더불어 과학수사요원은 이러한 화학물질 이외에도 사체에서 나오는 생물학적 병원균에 대한 예방이 필수적이다. 과학수사요원이 사건현장에 임하다보면 적게는 수일부터 많게는 수개월 혹은 수년이 지나 부패가 된 시체를 접하게 된다. 부패는 세균의 작용에 의해 일어나는 현상으로 부패를 일으키는 세균은 주로 혈관 내 혈액 중에서 번식하며 세균 자체적으로 발생시킨 가스의 압력으로 인해 전신으로 이동한다. 만일 세균이 발생시킨 가스를 흡입하거나 부패에 관여하는 세균에 병원성미생물이 포함되어 인체에 감염될 경우 이는 심각한 건강의 위협을 가져온다. 특히나 현재 사체 내에서 발생하는 병원균이 모두 밝혀진 것은 아니기 때문에 어떠한 미생물이 자신을 공격해 올지는 그 누구도 예측할 수 없다. 때문에 이를 예방하기 위한 방안으로 예방접종 및 안전보호장구의 착용이 필수적이다. 1993년 5월 FBI의 발표에 따르면 10년 동안 7명의 경찰들이 AIDS에 노출되었다고 발표하였다. 우리에게 멀게만 느껴졌던 병원성 세균의 감염이 수사관들에게 흔치는 않으나 분명히 일어나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병원균은 보이지 않는 사이에 나 자신 혹은 내 동료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 우리나라 과학수사요원에게 안전에 관하여 설문한 결과 응답인원 총 329명 중 50%가 넘는 180명(54.7%)의 과학수사요원들이 안전교육을 받은 적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전체의 74.5%인 245명이 MSDS를 모르는 것으로, 86.6%인 285명이 병원균에 대한 감염예방을 하지 않는 것으로 응답하였다. 이처럼 안전을 위협하는 요소들이 범죄현장 및 실험실 곳곳에 숨어있음에도 불구하고, 과학수사요원들은 오늘도 사건에 단서가 될 만한 작은 물리적 증거라도 확보하고자 밤낮없이 고군분투 하고 있다. 과학수사요원의 안전이 보장되지 않는 지금 국민의 생명, 신체, 재산을 지키기 위한 경찰의 임무를 수행하고 있는 과학수사요원들은 불안에 떨고 있다. 과학수사요원들에게 자신의 안전을 증진시키기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이 무엇이며, 정책적인 보완이 필요한 것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정밀한 건강검진’을 1순위로 선택한 것을 통해서 과학수사요원들이 안전에 대해 불안감을 느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불안감을 해소시키기 위해서는 국가적 차원의 지원 및 제도개선이 필수적이다. 과학수사요원들이 요구하는 정밀한 건강검진 및 치료혜택, 장비의 보급 이에 앞선 현장 안전교육이 이루어진다면 과학수사요원의 안전증진은 물론 심리적 안정감으로 보다 효과적인 업무수행이 이루어질 것이다. 하지만 아직까지 과학수사요원의 안전에 관한 연구가 매우 단편적으로 다루어지거나, 한 부분에만 치중하여 다루어져 왔기에 보다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가 과학수사요원의 안전에 관한 포괄적 연구의 첫 걸음으로 도약하기를 희망한다. Forensic physical evidence found at a crime scene by crime scene officers prove the criminal offense or identify the victim or suspect. Moreover, physical evidence could be help to prove suspect’s innocence and narrow down the scope of the investigation by identification of the person associated with crime. Unfortunately, crime scene officer, who are putting effort on finding actual truth, their safety issue is neglectful. Especially the danger is everywhere at crime scene, and a strong case can be easily seen in the ongoing corruption body, unclear medication, used murder weapons, broken glass could set crime scene officer in danger. Thus the crime scenes are the scene of looking for evidence to solve the case as well as could be dangerous scenes. Crime scene officers need to minimize the risk of them before collecting the evidence at the scene. Individual accident or contamination or damage the evidence could be occur if the crime scene officer ignore the risk at scene or no awareness of themselves about risk. Safety protection equipment could help the reducing risk. Essential protective equipment to be worn as a protective clothes, mask, booties, disposable latex gloves and goggles before attending the scene. In addition, additional protective equipment may be required such as helmets and safety shoes depending on site conditions. This ensures the safety of the individual in order to minimize contamination of the evidence. If these safety restraints provided, then need to aware the risk factors at crime scene. If the safety protective equipment is the second line then awareness of the risk factors at sites is the first line to protect ourselves. Once the crime scene officers are aware of the risk factors at sites could prevent the risks further wear the protective equipment for them. A variety of techniques used at crime scene by officers contains dangerous materials that could risk them. All the risk materials have MSDS(Material Safety Data Sheets) which contains information of risk on human and flammability, reactivity with other chemicals and specialty, emergency contact tips, precaution of storage therefore need to look up before using the chemicals. Especially, in South Korea where the operator can always see the provided MSDS by the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Act 41(07/01/96 enforcement), MSDS could be found at manufacture homepage or Safety and Health Agency (www.kosha.or.kr). Moreover, crime scene officers need to prevent biological pathogens coming from the dead body part from chemicals. Crime scene officers are facing the dead body which is left over days, months even years on the site. Corruption as a phenomenon that occurs by the action of bacteria that cause spoilage bacteria in the blood vessels and move around whole body due to the pressure of the gas produced itself. Inhalation of the gas produced by bacteria or infection of the bacteria, which is causing corruption, result in serious health threat. Especially, now pathogens that occur in the body are not all identified that no one can predict when those could attack. Vaccination and wearing protective clothing are essential to prevent any danger. In May 1993, FBI announced that seven police officers were exposed to AIDS during 10 years. Pathogenic bacterial infection is rare but obviously it is happening. Pathogens are threatening me or my colleagues’ safety without notice. In survey results, more than 50 percent of crime scene officers answer that they never received safety training, and 74.5 percent (245 officers) of officer answer that they never heard of MSDS. 86.8 percent (285 officers) of officers responded that they do not prevent infection for pathogens. Crime scene officers are struggling day and night searching little physical evidence which night be a clue in the case although they are working with the elements that threaten the safety around the crime scene and hiding in the laboratory. Crime scene officers are performing the duties such as care life, body and protecting the property and they are shaking with anxiety as they safety in not secure. ‘Fine health check’ was elected as the first priority in order to protect their own safety and what are most needed to change in policy which is telling that they think that their safety is not secure. In order to relieve this anxiety, national level support and system improvements are essential. If safety training on site is in role, it leads to promote safety of them and they can work effectively with peace of mind before receiving fine medical examinations, treatment benefits and better equipment which they required.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about safety of crime scene officers as the researches are treated in a very fragmentary or focusing on one part of safety. This study is regarding the safety of personnel as comprehensive study for the first step in a case.

      • 폐자원의 에너지 재자원화 연구

        김우중 동신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폐자원의 에너지 재자원화를 위해 혼합·제조·실험을 진행하였다. 먼저, 폐자원인 유기성슬러지의 재자원화를 위해 전처리 과정의 적합성 실험을 진행하였고, 연료화를 위한 혼합비 설정을 위해 55번의 제조 실험을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제조한 펠릿의 연료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폐자원인 유기성슬러지는 평균 함수율이 80 %로 건조시스템을 통해 함수율 10 % 까지 낮출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탈수·건조된 슬러지를 이용하여 연료화에 적합한 혼합비는 4.5 : 0.5 : 5.0 (유기성슬러지 : 분변토 : 우드 칩)이였다. 또한, 혼합 후 성형 초기 함수율은 21 %이 가장 적합하였으며, 함수율이 21 % 이상 또는 이하일 때는 성형과정과 성형 후에 문제점이 나타났다. 혼합비와 제조비의 설계 후 펠릿 제조시 성형 수율은 100g 당 82g의 고형연료를 얻을 수 있었다. 발열량 측정에서는 4,500 kcal/kg으로 나타났고, 함수율 4 %, 겉보기밀도 716.05 kg/, 회분 15 % 로서 국내 고형폐기물연료 1급 품질기준에 부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폐자원을 원료로 에너지 재자원화 가능성이 충분한 것을 알 수 있었다.

      • 키바운더를 이용한 평형성 훈련이 대학생 볼링선수의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김우중 인천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키바운더를 이용한 평형성 훈련이 대학생 볼링선수의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대학원 체육학 전공 김 우 중 본 연구는 키바운더를 이용한 평형성 훈련이 볼링 선수들의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대학생 볼링선수 14명이며, 평형성 훈련을 시행하는 실험군 7명과 평형성 훈련을 시행하지 않는 대조군 7명으로 나누어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평형성 훈련은 12주간 시행하였으며, 평형성 훈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두 그룹 모두에서 각각 실험 전, 12주후에 평형성과 경기력을 측정하였다. 실험군 7명에게는 기본훈련과 함께 키바운더를 이용한 평형성 훈련을 처방하였으며, 대조군 7명에게는 기본훈련만 받게 하였으며, 두 군 모두에서 훈련 전, 후에 각각 평형성과 경기력을 측정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수집된 측정 자료들은 SPSS for Window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평형성과 경기력에 대한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증을 훈련 전, 후 실시하였고 집단 내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대응표본 t검증을 훈련 전, 후 실시하였다. 유의수준 는 .05로 설정하였다. 실험 결과는 실험군 선수들의 평형성과 경기력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위의 결과를 미루어 보아 평형성 훈련은 볼링선수의 경기력을 향상시켰으며, 이러한 결과를 기초로 하여 평형성 훈련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다양한 평형성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많은 스포츠 팀에서 평형성 훈련을 실시 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고 싶다. 평형성 훈련은 기존의 경기력 향상 훈련과 병행 할 때 상승효과를 발휘할 것으로 생각된다.

      • 직류 옵셋에 강인한 최소자승법 기반 고속 페이저 추정 기법

        김우중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전력 시스템을 안정적이고 신뢰성 있게 운용하기 위해서는 전력 시스템의 고장을 신속히 판별하고 이를 제거해야 한다. 전력 시스템의 고장을 검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보호 계전기는 피보호 설비의 전압 및 전류 신호를 입력으로 받아 기본 주파수 성분의 페이저 추정하고, 추정된 기본 주파수 성분의 페이저를 이용하여 피보호 설비의 고장 여부를 판별한다. 따라서, 신뢰성 있는 보호 계전기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전압 및 전류 신호에 대한 기본 주파수 성분의 페이저를 정확하게 추정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그러나, 전력 시스템에서 고장이 발생하게 되면 전압 및 전류 신호에는 기본 주파수 성분 외에 고주파 성분과 지수 감쇄하는 직류 옵셋 성분과 같은 노이즈 성분이 포함되며, 이러한 성분들은 기본 주파수 성분의 페이저 추정 결과에 오차를 유발하는 요인이 된다. 일반적으로 전력 시스템의 고장으로 인해 발생하는 고주파 성분은 진행파에 의한 것이며 이는 저역 통과 필터를 이용하여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지수 감쇄하는 직류 옵셋 성분은 저역 통과 필터를 이용하여 제거되지 않으므로 기본 주파수 성분의 페이저 추정 결과에 오차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이 된다. 그러므로, 신뢰성 있는 보호 계전기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신호에 포함된 지수 감쇄하는 직류 옵셋 성분에 의한 대책이 필요하며, 전력 시스템의 안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최대한 빠르게 전력 시스템의 고장을 검출하고 이를 제거해야 한다. 이와 같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신호에 포함된 지수 감쇄하는 직류 옵셋 성분에 강인한 최소자승법 기반의 고속 페이저 추정 기법을 제안하였다. 최소자승법은 모델의 파라미터를 구하기 위한 대표적인 방법 중 하나로써 사전에 설계한 모델과 입력 신호와의 관계를 고려하여 가장 적합한 모델의 파라미터를 추정한다. 따라서, 입력 신호에 포함된 성분을 모두 고려하여 적절한 모델을 설계한다면 정확한 모델의 파라미터를 추정할 수 있다. 그러나, 사전에 설계한 모델에서 고려하지 않은 성분이 입력 신호에 포함되게 되면, 최소자승법을 이용하여 추정된 모델의 파라미터에는 모델에서 고려하지 않은 성분에 의한 영향이 포함되게 된다. 제안하는 기법은 이러한 최소자승법의 특징을 이용하여 설계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입력 신호에 포함된 지수 감쇄하는 직류 옵셋 성분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 고조파 성분과 상수 성분을 고려한 기본적인 최소자승법의 모델을 설계하고, 이를 이용하여 모델의 파라미터를 추정한다. 만약 입력 신호에 지수 감쇄하는 직류 옵셋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추정된 모델의 파라미터는 지수 감쇄하는 직류 옵셋 성분에 의한 영향이 포함되게 된다. 추정된 모델 파라미터 중에서 상수 성분의 파라미터를 이용하면 지수 감쇄하는 직류 옵셋 성분의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으며, 이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지수 감쇄하는 직류 옵셋 성분의 지수항을 추정할 수 있다. 추정된 지수 감쇄하는 직류 옵셋 성분의 지수항과 고조파 성분을 고려한 새로운 최소자승법의 모델을 설계하고, 이를 이용하여 모델의 파라미터를 추정하면, 지수 감쇄하는 직류 옵셋 성분에 의한 영향이 포함되지 않은 정확한 모델의 파라미터를 추정할 수 있다. 제안하는 기법은 신호에 포함된 지수 감쇄하는 직류 옵셋 성분에 의한 영향 없이 정확한 모델 파라미터를 추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최소자승법의 모델을 다시 설계해야 하기 때문에 연산 부담이 증가한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이러한 연산 부담을 줄이기 위해 반주기 적분 신호를 활용하여 제안한 기법의 연산량을 경감시키는 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연산량 경감 기법은 반주기 적분을 통해 신호에 포함된 짝수 고조파 성분을 제거하고, 이 신호에 대한 최소자승법의 모델을 설계함으로써 모델의 파라미터를 추정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 윈도우를 반으로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안된 기법의 연산 부담도 반으로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알고리즘의 성능은 컴퓨터 생성 신호, EMTP 모의 신호, A/D(Analog to Digital)된 신호를 이용하여 검증하였으며, 추가로 제안한 기법의 거리계전요소 시 성능을 검토하였다. 컴퓨터 생성 신호를 이용하여 지수 감쇄하는 직류 옵셋 성분의 시정수의 변화에 따른 제안하는 페이저 추정 기법의 민감도를 분석하였으며, 디지털 보호 계전기의 입력 신호에 포함될 수 있는 백색 잡음에 대한 영향을 검토하였다. EMTP 모의 신호는 고장 거리 및 고장 위상각을 변경하며 A상 지락 고장을 모의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제안하는 페이저 추정 기법의 성능을 검토하였다. A/D된 신호는 EMTP 모의 신호를 COMTRADE 파일로 저장하고, RTDS(Real Time Digital Power System Simulator)를 이용하여 이를 실제 송전선로 보호를 위해 사용되는 GE D60 Line Distance Protection System에 아날로그 신호의 형태로 입력하였다.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는 신호는 이 시스템의 A/D Converter를 통해 디지털 신호로 변경되었으며, 이 시스템에 의해 A/D된 신호를 취득하여 제안하는 페이저 추정 기법의 성능을 검토하였다. 또한, 거리계전요소 적용 시 성능을 검토하기 위하여 거리계전요소의 Zone 1의 경계점 부근에서 고장을 모의하여 제안한 페이저 추정 기법이 적용된 거리계전요소의 성능을 검토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직류 옵셋 성분에 강인한 최소자승법 기반의 페이저 추정 기법은 신호에 지수 감쇄하는 직류 옵셋 성분 및 백색 잡음이 포함된 경우에도 빠르고 정확하게 기본 주파수 성분의 페이저를 추정할 수 있었으며, 전력 시스템의 고장 조건에 영향을 받지 않고 정확하고 빠르게 페이저를 추정할 수 있다. 또한, A/D된 신호에 대한 성능과 거리계전요소 적용 시 성능을 검토함으로써 실제 계전기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제안된 페이저 추정 기법은 신뢰성 높은 고속 디지털 보호 계전기의 구현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The fault of the power system must be removed quickly and accurately to operate the power system stably and reliably. The protection relay used to detect the fault of the power system receives the voltage and current signals of the protection area as inputs and estimates the phasor of fundamental frequency components for the voltage and current signals. Then, the defects of the protection area are detected using the phasor of the estimated fundamental frequency component. Therefore, to implement a reliable protection relay, it is necessary to estimate the phasor of the fundamental frequency component for voltage and current signals accurately. However, when a fault occurs in the power system, voltage and current signals included noise components, such as a high-frequency component and an exponentially decaying DC offset component, in addition to the fundamental frequency component, and these components cause an error in the phasor estimation result. Generally, the high-frequency component caused by the power system fault is due to the raveling wave, which can be removed using a low-pass filter. However, the exponentially decaying DC offset component is not removed using a low-pass filter, which is a major cause of error in the phasor estimation result of the fundamental frequency component. Therefore, to implement a reliable protection relay, it is necessary to eliminate the influence of the exponentially decaying DC offset component included in the fault signal. The power systems must improve system stability and reliability through quick and accurate fault clearance. This paper proposes a fast phasor estimation technique based on the least squares method robust to the exponentially decaying DC offset component included in the fault signal. The least squares method is representative method for obtaining the parameters of the model and estimates the parameters of the most suitable model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del and the input signal. Therefor, if an appropriate model is designed considering all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input signal, the parameters of the accurate model can be estimated. However, if a component that is not considered in the previously designed model is included in the input signal, the parameters of the model estimated using the least squares method include the influence of the component not considered in the model. The proposed algorithm is designed using the features of the least squares method. In this paper, to obtain the information of the DC offset component included in the input signal, first the model of the least squares method considering the harmonic components and the constant component is designed, and the parameter of the model is estimated using this. In this case, the parameter of the estimated model includes the influence of the exponentially decaying DC offset component, and the information of the exponentially decaying DC offset component can be easily obtained using the parameter of the constant component in these parameters. Therefore, the exponentially term of the exponentially decaying DC offset component can be estimated. The model of the new least squares method is designed considering the harmonic components and the exponential term of the exponentially decaying DC offset component. Thus, it is possible to estimate the parameter of the model that does not include the influence from the exponentially decaying DC offset component. The proposed method has the advantage of estimating the accurate model parameters without the influence of the DC offset component included in the signal. However,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computational burden is increased because the model of the least squares method needs to be redesigned. Therefore, to reduce the computational burden, I propose a technique to reduce the computational complexity of the proposed algorithm by using the half-cycle integral signal. The proposed algorithm reduces the data window required to estimate the parameters of the model by half by eliminating the even harmonics contained in the signal through the half-cycle integration and designing the least squares method for the signal. Thus, the computational burden of the proposed algorithm can be reduced by half.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algorithm is verified by computer-generated signals, EMTP-simulated signals, and analog-to-digital (A/D) signals. Additionally, the performance for the case of application to the distance relay was examined. A series of performance evaluations show that the proposed modified phasor estimation algorithm can quickly and effectively suppress the adverse influence of DC offsets in a relaying signal. Furthermore, adopting the proposed algorithm in a distance relay is was not affected by system and fault conditions and the output was stable without an oscillatory response. The performances of the A/D signals and the distance relay were checked to confirm the applicability of the actual relay. As a result, it is believed that the proposed algorithm can contribute to the realization of high-reliability, high-speed digital protection rel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