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상태정수에 따른 등방압밀 자갈-모래 혼합토의 비배수거동

        김우순 인하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과거에 비액상화 지반으로 간주되었던 자갈이나 자갈질 지반에서 액상화 현상이 일어나면서 자갈질 지반에 대한 액상화 거동 연구가 활발해졌다. 하지만 이런 연구들 중 상대밀도 혹은 간극비에 의존한 자갈질 흙의 연구에서 상반된 결과가 도출되었다. 따라서 단순히 상대밀도 혹은 간극비만으로 액상화 저항을 평가하는 기존의 방법은 적합하지 않고, 연구자 간에 상반된 연구 결과도 나오게 되어 새로운 정수의 도입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낮은 구속압력에서 체적팽창 거동을 보이는 모래가 높은 구속압력에서 체적감소 거동을 보이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응력상태를 고려한 상태정수()의 도입으로 흙의 거동을 보다 일관성 있게 표현이 가능할 것이라 생각된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자갈 혼합율 0%, 20%, 40%, 60%의 시료에 대해 상대밀도 20%, 40%, 90%로 공시체를 성형하여 각각의 시료에 상대적으로 낮은 구속압과 높은 구속압을 주어 파괴 거동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정상상태선(Steady State Line, SSL)의 위치는 간극비에 의존하여 자갈 함유율이 증가할수록 상대적으로 아래쪽에 위치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같은 상대밀도라 할지라도 구속압에 따라 조밀하거나 혹은 느슨한 거동을 보였으며, 특히 상대밀도가 80% 이상인 조밀한 시료일지라도 큰 구속압 아래에선 느슨한 거동을 하였다. 이로서 흙의 거동은 상대밀도에 의존하는 것이 아닌 상태정수로서 예측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추후 동적 삼축 시험을 통해 상태정수와 액상화 강도와의 상관관계도 구명할 수 있을 것이다.

      • 北韓 政治思想敎育의 實態에 關한 硏究

        김우순 檀國大學校 敎育大學院 198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education of political ideas in North Korea. We have had the tradition of identical history and culture as a single nation. But we have been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system and ideology through the division of south and North. As a result the confrontation of political ideas connected directly with existence have been inavitable such ideology and system have an important effect upon education because we establish or develop them through political education. I have analyzed the educational system of North Korea in this study. Namely I have inquired them as the maintaining measure of dictatorial regime. The highigh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under the following points. Chapter II I have examined to grasp the ideological education of North Korea the educational policy of poitical ideas, the educational goal of it, the changing process of educational policy, the educational policy of school, the policy of political education. Chapter III I have analyzed the changing history of communism centering around the sole ideas of Kim II Sung in order to the goal and contents of ideological education. Chapter IV I have investigated the present condition of political education. That is to say I have analyzed the system of school education. Then I examined the contents of political education centering around the school tests and them through extra curricular activities around the documents. In this study, I have come to the conclusion that North Korea has developed the system through the political education on the sole ideology and communism. 이 硏究의 目的은 北韓의 政治思想敎育의 寶態 파악에 관한 硏究다. 우리는 單一民族 共通의 歷史的 經驗아래 同質的 文化 傳統을 오래도록 누려온 민족으로서 南北分斷이후 理念과 累制를 달리하게 되어 그 結果로 다른 生活方式을 택하게 되었고, 「自由民主主義」와 「共塵 主義」라는 相互對立的인 理念으로 分製된채 生存問題와 直結되는 政治思想的 對立이 不可避하게 되었다. 이와같이 理念과 體制는 數育을 어떻게 시키느냐에 莫大한 영향을 끼친다. 따라서 새로운 政治理念과 體制를 樹立하고 發展시키기 위해서는 그 政治理急과 體制에 알맞게 變化된 政治敎育을 通해서만 可龍하게 된다. 이 硏究에서는 오늘날의 金日成 獨載體制가 可能하게 된 북한이 그들의 共흩主義 政治홈制를 唯持하고 南韓까지 赤化하기 위하여 幼稚園, 人民學校, 高等中覆校, 大學의 正規 敎育課種을 通해서 어떻게 赤化化하고 있는가를 敎育學的 個l面에서 究明하는데 그 目的을 두었다. 이 論文의 構成內容은 크게 세 部分으로 나누었다. 첫째로 第II章에서는 北韓의 政治思想數育을 把握하기 위하여 「政治思想敎育政策」, 政治思想敎育의 目的, 敎育政策변천過種, 學校敎育政策, 政治敎育政策등을 文獻 中心으로 考察하였다. 둘째로 第III章에서는 現在 北韓 政治思想敎育의 目的과 內容을 「金日成 唯一思想 」이 주축을 이루고 있는 共塵主義 변천사를 時代的으로 區分하여 分析하였다. 세째로 第IV章에서는 北韓의 政治敎育 現況에 對하여 考察해 보았다 즉 累校敎育體系를 分析했고,幼稚園,人民覆校,高等中學校,大學 등의 敎科書를 中心으로 政治敎育에 對한 內容, 定規授業 아닌 課外흙動을 通 한 政治敎育을 文歡 中心으로 分析檢討하였다. 이 硏究는 先行硏究寶料 및 文獻分析올 中心으로 한 記述的 方法을 選擇하였다. 이러한 文獻硏究는 원래 많은 參考文獻을 토대로 이루어지는 것이나 一投的으로 寶料의 제약성이나 現實的 問題때문에 硏究에 限界가 있음을 말하지 않을 수 없다. 이 硏究의 結論으로는 北韓이 政治敎育을 通해서 人間改造作業을 澈底히 展開하여 全人民을 共塵主義 社會建設, 또는 金日成偶像化의 力軍으로 敎育해 오고 있음을 考察할 수 있었다.

      • Louis Hetor Berlioz의 op.7 Les Nults D'Ete 에 대한 분석 연구

        김우순 상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96 국내석사

        RANK : 247631

        L.H. Berlioz의 가곡 중 가장 유명한 예술가곡(Melodie) "Les Nuits D' ete"를 중심으로 하여 Berlioz의 생애와 음악에 대하여 소개 하였으며, 예술가곡 "Les Nuits D' ete"를 가사내용, 형식 화성 분석, 선율, 반주 및 표제음악의 특성으로 분석했다. 이 곡의 분석을 통해 얻어진 결과는 빈번한 전조, 반음계적 선율진행, 표제음악적 특성이다. 예술가곡 "Les Nuits D' ete"의 6곡의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곡 "Villanelle"는 봄을 예찬한 시 (환희, 생명력)이다. 둘째곡 "Le Spectre de Ia rose"는 신비와 우수, 감미로움을 묘사했다. 세째곡 "Sur Ies Iagunes"은 여인의 죽음, 애도, 슬픔을 표현했다. 네째곡 "L'adsence"는 떠나버린 연인에 대하여 간절한 호소와 울부짖음 을 노래했다. 다섯째 "Au Cimetiere"는 슬픔, 죽음, 표지 등을 묘사했다. 여섯째곡 "L'lle inconnue"는 마지막 곡으로 배에 깃발을 달고 어디론가 힘차게 떠나려는 노래로써, 화려하고 밝으며, 활기찬 노래이다. I reached following conclusions by analyzing L.H.Berlioz's "Les Nuits D'Ete>" 1. All 6-piece of his music had Ternary Form. 2. By using Enhnrmonic and Chromatic Melody Sequence, it expressed the Characteristic of French Art song well. 3. In Melody. it had Non-Symmetrical Passage. 4. As for Chord Pattern. the Seven Chord. the Secondary Dominant Chord and the Altered Chord (like Neapolitian sixth Chord, German Sixth Chord and Diminshed Seventh Chord ) were used often 5. In Cadence Pattern, the Third Music was Semi-Perfect Close and All the other Musics were Complete-Perfect Close. 6. The Pattern of Piano Accompaniment was moving diversely. As it had the Pure Function of Accompniment Musical Instrument, Special Function of Sound Effect and Applying Holding Sound through Continuous Pedal use. Accordingly, it leaded perfectly the whole Atmosphere of the music by reflecting the Content of the Poem. 7. When Voice Melody repeated, Teh Accompaniment Figure was sometimes repeated but many times changed variously and harmonized with the Meaning of the Text well. Therefore, Accompaniment Melody was regarded as important as the Change of Voice Melody. As shown above, Art Song "Les Nuits D'ete>" represented Programme Characteristic of French Romanticism Music in his whole music, When Performer understands L.H.Bcrlioz's Music Distinction and Poem's Content well. one can play better.

      • 비인격적 감독이 정서노동에 미치는 영향 : 심리적 안전의 매개효과 및 일터영성의 완충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우순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 행위가 부하의 경험정서-표현정서 불일치 유형 정서노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선행연구에서 정서노동을 표면행위와 내면행위로 구분한 한계점을 보완하고자, Mesmer-Magnus, DeChurch 및 Wax(2012)가 제안한 정서적 일치-불일치 모델에 따라 정서노동을 속으로 느끼는 경험정서와 겉으로 표현하는 표현정서 간의 불일치로 개념화하였다. 직장인 441명의 응답을 SPSS PROCESS Macro 3.3의 7번 조절된 매개 모형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행위는 부하의 경험정서-표현정서 불일치 유형의 정서노동을 증가시켰다. 둘째, 부하가 지각한 심리적 안전이 그 관계를 매개하였다. 셋째, 부하의 일터영성은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행위가 부하의 심리적 안전에 미치는 부적 영향을 감소시켰다. 정서노동을 정적 정서 불일치 유형의 정서노동과 부적 정서 불일치 유형의 정서노동으로 세분화해 추가분석을 실시한 결과, 정적 정서 불일치 유형의 정서노동은 심리적 안전에 의해 완전 매개되었고, 부적 정서 불일치 유형의 정서노동은 심리적 안전에 의해 부분 매개되었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후속 연구 방향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supervisor’s abusive supervision on subordinate’s emotional labor via subordinate’s psychological safety,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ubordinate’s workplace spiritua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or’s abusive supervision and subordinate’s emotional labor. Based on the emotional congruence-discordance continuum developed by Mesmer-Magnus and her colleagues(2012), the present study conceptualized emotional labor as a discrepancy between felt and expressed emotions. In total, 441 responses from full-time employees who have a supervisor were collected for this study. Using SPSS PROCESS Macro program, the present study analyzed the responses and foun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supervisor’s abusive supervision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subordinate’s emotional labor via subordinate’s psychological safety. Second, as a moderator, subordinate’s workplace spirituality had a buffer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or’s abusive supervision and subordinate’s emotional labor via subordinate’s psychological safety. Additionally, the present study examined if there is any difference between the two types of emotional labor: a discrepancy in positive emotions and a discrepancy in negative emo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or’s abusive supervision and a discrepancy in positive emotions was fully mediated by subordinate’s psychological safety, whereas the relationship between abusive supervision and the discrepancy in negative emotions was partially mediated by subordinate’s psychological safety. In the end,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based on the findings.

      • 쓰기활동 및 쓰기-상호동료교수활동이 학업성취도와 과학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우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에서는 과학에서의 쓰기활동 및 쓰기를 통한 상호동료교수활동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과학태도에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지 알아보고 이러한 수업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살펴보았다. 이 연구는 경기도 광명시의 C학교 1학년 194명을 전통 집단, 쓰기활동 집단, 쓰기-상호동료교수활동 집단으로 나누어 약 14주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집단별 비교는 물론, 동일 성별 내에서의 집단별 차이와 쓰기 활동 및 쓰기-상호동료교수활동 집단 내에서의 성별 차이도 함께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학업성취도에서는 쓰기활동 집단이 다른 두 집단에 대해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으며 과학태도에서는 쓰기-상호동료교수 집단이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동일 성별 내 집단별 비교에서는 남학생의 경우, 세 집단 모두 학업성취도와 과학태도에서 유의미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여학생의 경우, 학업성취도에는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으나 과학태도에서 쓰기-상호동료교수활동 집단이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쓰기활동 및 쓰기-상호동료교수활동 집단 내 성별 간 비교에서는 쓰기활동집단의 경우, 학업성취도에서는 성별의 차이가 없었으나 과학태도에서 남학생이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그리고 쓰기-상호동료교수활동 집단의 경우, 학업성취도와 과학태도 모두 유의미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과학태도의 영역별 비교에서 남학생은 과학에 대한 취미적 관심에서, 여학생은 과학적 태도의 수용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쓰기활동 및 쓰기-상호동료교수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조사에서는 두 집단의 많은 학생들이 쓰기수업이 흥미로웠으며 쓰기를 통해 수업집중력이 향상되고 복습의 기회가 생겨 학업성적에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하였다. 또한 쓰기-상호동료교수활동 집단의 학생들은 평소 겪어보지 못했던 교사의 역할 경험에 대하여 흥미롭게 생각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로 볼 때, 쓰기가 학생들의 수업 흥미도를 높이며 수업내용의 재구성 기회를 제공하여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줄 수 있다. 또한 동료 학생과의 상호작용 활동을 통해서 교과에 대한 인식도 더욱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기회가 될 수 있다. 그러므로 과학수업에서도 쓰기를 통한 학생들 간의 상호작용 활동이 좋은 수업전략이 될 수 있다.

      • 特許發明의 强制實施에 관한 硏究

        김우순 忠南大學校 特許法務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idea of balancing the benefits for patentee with those for the public should be a key concept in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legislation. With a view to promoting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industry, Patents Law grants patentees an exclusive right to exploit the patented invention. For the purpose of the same goal, on the other hand, Patents Law imposes a few limits upon the exclusive right of patentees' duration of the right, exception for experiments, and compulsory licenses. Compulsory license refers to the practice of governments to compel the transfer, from a patentee to a third party, of some or all of the patentee's right to produce a patented product, or use a patented process. Article 107 of Patents Law provides that, where a patented invention has not been worked for more than three consecutive years in Korea, except in the case of natural disaster, unavoidable circumstances or other justifiable reasons, a person who desires to work the patented invention may request the patentee or exclusive licensee of such invention a consultation for the consent of a non-exclusive license. Compulsory licenses are also available under Article 107 where the patented invention has not been exploited on a considerable commercial scale or has not. satisfied the domestic demand on adequate degree and conditions in Korea consecutively for three or more years without any justifiable reason,' where the non-commercial exploitation of the patented invention is indispensable for the public interest; and where failure to exploit the patented invention is found by an administrative entity or judiciary as constituting anticompetitive practices. In addition to compulsory licenses under Article 107, Patents Law provides for compulsory licenses under Article 138: the patentee, exclusive or non-exclusive licensee of the second patent may apply for an adjudication on the grant of a non-exclusive license of the first, patent to the extent necessary for exploiting his second patent. Comparative analysis of compulsory licenses under the Patents Law of Korea with those under Western jurisdiction has demonstrated that there are several uncertainties and problems over the terms and conditions of compulsory licenses in Korea. First of all, it; is not clear whether compulsory licenses are available under Article 107 in cases where a patentee imports his patented products and distribute into Korea and does not grant a third party any license to exploit the patented invention. Majority of scholars in Korea regard importation without manufacturing patented invention in Korea as an abuse of patent right and accordingly interpret the Patents Law as allowing for compulsory licenses in such cases. In my opinion is, by contrast, that since the definition of exploitation under the Patents Law include importation there appears to be no abuse by a patentee who simply imports his patented invention and, accordingly, no reason for granting a license to a third party. Secondly, unlike compulsory licenses under Article 138, those under Article 107 may be granted by the Commissioner of the Korean Industrial Property Office without any due process. While appeals against any adjudication under Article 138 may be brought to the Patent Court, those against the decision by the Commissioner under Article 107 must go to the Court for Administrative Law. It is finally submitted in this study that statutory provisions on compulsory licenses are designed as an efficient means of promoting goals of the Patents Law and, also, that terms, conditions and procedures for compulsory licenses will have to be amended to make a better balance between the interests of patentees and those of potential licenses.

      • 발해국 멸망 후의 발해인 : 고려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김우순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Until now, research for people of Bohai(渤海) after it was collapsed has been carried out in terms of history of people of collapsed 'Bohai'. Especially, Korea researched only rebellion forces of Bohai or people of Bohai who were naturalized to Goryeo(高麗) in connection with reversion of Bohai history. However, existing researches dealt only with 'adherents' of 'Bohai' without having focuses on people of Bohai who lived at Liaodong. Therefore, there was a limitation for understanding mutual recognition of Goryeo(高麗) and Bohai(渤海). This paper is intended to abstract meaning of Bohai in Gorye on history at the time of the existence of Bohai by identifying the community of history of Bohai and its members who existed from the collapse of Bohai to Yuan Dynasty(元朝) and relations with Goryeo and mutual recognition. Although Khitan(契丹) conquered Bohai(渤海) in 925, the community of Bohai still existed. Although end of ‘Sumo Mohe(粟末靺鞨)’ and ‘Goguryeo(高句麗) people' who founded Bohai at the time when Dae Joyeong(大祚榮) founded Bohai had different identity for each other, they formed a single community experiencing same history for 200 years after the foundation. Therefore, words such as Bohai, Country of Bohai and people of Bohai continued to appear in many histrical books. Especially, after Khitan conquered Bohai, the name of Bohai was changed into Dongdan(東丹). And Country of Dongdan was moved to Liaoyang(遼陽) in 928. However, 'Country of Bohai' and 'Bohai' were more frequently used and continued than the name 'Dongdan'. It's because community of Bohai existed only with change of its location. Moreover, when Country of Dongdan dispatched envoys with people of Bohai together and it was also a factor causing other people to recognize Dongdan as Bohai. As percentage of people of Bohai was high even though Dongdan was abolitioned in Liaohe valley, this region was called Country of Bohai or Bohai. Thus even after Bohai was collapsed by attack of Khitan, the community of Bohai had long been existed showing its appearance in history. However, it was impossible to continue to maintain identity of people of Bohai(渤海) based on historical experience because Country of Bohai was destroyed. Therefore, people of Bohai shared historical experiences with Han(漢) while they were living at same regions as Han with similar cultural systems and they formed communities with same identities with Han and thus the community of Bohai was believed to be collapsed. Like this, although the community of Bohai had long been existed with Goryeo(高麗), there was no particular relation with Goryeo which they thought to have inherited Goguryeo(高句麗). But there were some cases which rebellion forces of Bohai(渤海) had negotiated with Goryeo and they had been naturalized for Goryeo(高麗). Based on these cases, some scholars who focused on relations between people of Bohai and Goryeo argued that people of collapsed 'Bohai' Bohai after collapse of Bohai had strong identity as descendants of people of Bohai and they had same ethnic sentiments. But rebellion forces of Bohai requested cooperations from many nationality such as Song(宋), Goryeo and Jurchen(女眞). There was just one case which they requested cooperation from Goryeo. And whenever wars or rebellions occur in Liaodong(遼東), people of Bohai, people of Jurchen, people of Khitan(契丹), people of Xi(奚) and Han(漢) were naturalized and naturalization of people of Bohai into Goryeo is not special case enough to have particular meaning. Even from relations between people of Bohai who were governed by Liao(遼), Jin(金) and Yuan Dynasty(元朝), and Goryeo, there is no special evidence that had special sentiment with the community of Bohai and Goryeo. Althouhg there were some roles of people of Bohai for diplomatic areas with Khitan and Goryeo, Goryeo didn't give any special meaning for it. Moreover, there wasn't any case which Goryeo took advantage of same ethnic sentiments with Bohai for diplomatic areas although people of Bohai took higher profiles in the era of Jin(金). Although people of Goryeo and Bohai existed in same era, there wasn't case which they showed same ethnic sentiments. 현재까지 渤海國 멸망 후의 渤海人에 대한 연구는 ‘渤海 遺民史’의 관점에서 진행되어 왔다. 특히 한국에서는 발해사의 귀속과 관련하여 발해인의 반란세력이나 고려 귀화 발해인만을 다루어 연구를 해왔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는 발해 ‘遺民’만을 다루고 요동에 존재했던 발해인에 대해서는 큰 관심을 두지 않았다. 이로 인해 고려와 발해의 상호인식을 확인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 논문에서는 발해국 멸망 후 元代에 이르기까지 존속해 있었던 발해 역사공동체와 그 구성원들과 고려와의 관계 및 상호 인식을 파악함으로써 발해가 존속하고 있던 시기 한국사에서 발해가 차지했던 의미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거란이 925년에 渤海國을 멸망시켰음에도 불구하고 발해 공동체는 존속하였다. 大祚榮이 渤海를 건국할 당시에는 발해를 건국한 粟末靺鞨과 高句麗人이 별개의 정체성을 갖고 있었으나 건국 이후 200년 가까운 기간 동안 동일한 역사적 경험을 하면서 하나의 역사공동체를 형성하였다. 이 때문에 발해국 멸망 후에도 사서에 渤海, 渤海國, 渤海人 등의 표현이 계속 등장하였다. 특히 契丹이 渤海을 정복한 이후 발해국의 명칭을 東丹으로 바꾸었다. 그리고 928년에는 東丹國을 遼陽으로 옮겼다. 그러나 東丹이라는 명칭보다 渤海國, 渤海 호칭이 보다 빈번하고 지속적으로 사용되었다. 그 이유는 거주지가 바뀌었을 뿐 발해인의 공동체가 존속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동란국이 사신 파견을 할 때 발해인을 파견한 것도 외부에서 동란국을 발해로 인식하는 요인이 되었다. 東丹國이 없어진 이후에도 遼河 유역에서 발해인의 비중이 높았기 때문에 이 지역 자체는 渤海國이나 渤海로 호칭되었다. 그리하여 발해국이 925년 契丹의 공격으로 멸망한 후에도 발해 공동체는 장기간 존속하면서 역사에 그 모습을 드러내었다. 그러나 渤海國이 멸망함으로써 독자의 역사적 경험을 통해 발해인의 정체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은 불가능해졌다. 이 때문에 발해인은 동일한 지역 내에 거주하면서 문화적으로나 제도적으로 비슷한 위치에 있던 漢人과 역사적 경험을 공유하게 되었고, 遼東 지역의 漢人과 공동의 정체성을 형성함으로써 元 시기에 발해 공동체는 소멸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발해 공동체가 고려와 동시기에 장기간 존속했음에도 불구하고 고구려 계승을 표방한 고려와 특별한 관계를 보이지는 않았다. 다만 발해 반란 세력이 고려에 교섭하거나 발해인이 고려에 귀화한 사례가 있다. 이를 근거로 발해인과 高麗와의 관계에 초점을 맞춘 일부 학자는 발해국 멸망 후에도 발해 유민이 발해인의 후손으로서 강한 자의식을 가졌고, 그러한 발해 유민이 고려에 동질의식을 가졌다고 보았다. 그러나 발해 반란 세력이 협력을 구한 대상은 宋, 高麗, 女眞 등 다양하게 나타나며, 그 중 고려에 협력을 구한 것은 大延琳의 興遼國 한 번 뿐이었다. 그리고 遼東에서 전쟁이나 반란 등 亂이 발생할 때마다 渤海人, 女眞人, 契丹人, 奚人, 漢人 등이 귀화하였으며, 이런 사례들 중 발해인의 고려 귀화만이 특별한 의미를 부여할 만큼 특징적인 것도 아니다. 遼, 金, 元의 지배하에 있던 발해인과 고려의 관계를 보더라도 발해 공동체와 고려가 서로에 특별한 정서를 가졌다는 증거는 없다. 契丹과 高麗의 외교에서 渤海人의 역할이 있었지만 高麗는 그것에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지 않았다. 게다가 金代에는 발해인이 고위직을 차지한 경우가 증가하였으나 역시 고려가 발해와의 동질의식을 외교에 이용하려 한 경우는 없었다. 고려인과 발해인이 동시기에 존재했음에도 불구하고 양자 간에 동질의식을 드러낸 경우는 없었던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