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四君子의 상징으로 본 情感 표현 연구

        김외자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8831

        四君子의 상징으로 본 情感 표현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조형예술학과 동양화전공 김 외 자 지도교수 : 오 순 이 본 논문은 사군자(四君子)의 상징으로 본 정감(情感) 표현에 대한 연구이다. 사군자는 우리나라는 물론 동양회화사에서 시대를 초월하여 문인들이 가장 선호했던 화재(畫材)로서 각 시대의 사회문화적 환경과 정치적 상황에 따라 다양한 모습으로 표출되어 왔다. 말하자면, 사군자도(四君子圖)는 문인들이 그 시대정신을 반영하여 자신을 표현하는 수단이었다. 특히 매(梅)·난(蘭)·국(菊)·죽(竹)의 각 특유의 상징성이나 정감을 부여하여 예술적으로 승화시켰다. 군자는 은대(殷代) 이래 정치적으로 ‘통치자’, 신분의 표식으로서‘의례를 행하는 성직자’등을 의미했다. 그러던 것이 공자 이후 유가적 학문과 도덕적 인격을 갖춘 이상적 인간상을 의미하면서 타고난 신분적 의미에서 일정 수준 이상의 자질과 덕목을 지니면 누구나 군자가 될 수 있었다. 이는 인간의 평가기준을 종래 타고난 신분에서 사람됨을 중시하는 인간중심적 사고로 전환된 것이라는데 의의가 있다. 인간중심적 사고는 천(天)을 기본으로 도(道)를 실현하는 윤리적이면서 철학적인 가치를 포함하는 인(仁)·의(義)·예(禮)·지(智)이며, 이를 실천하는 것이 군자의 도리였다. 사군자는 이러한 군자의 도리와 품성을 상징하게 되었는데 매서운 추위 속에서 봄을 알리는 매화, 홀로 은은한 향을 풍기는 난초, 찬 서리에도 꽃을 피우는 국화, 사시사철 푸르면서도 곧게 자라는 대나무의 속성에 따른 것이다. 특히 이들 사군자는 수묵으로 그려졌는데 먹색 하나와 공백으로 그려지는 화면에서 사군자도는 수많은 사유와 관조의 세계를 표현하는 고차원적 회화였으며 이는 군자가 추구하는 경계를 드러냈다. 따라서 이들 사군자도는 여러 상징을 담고 있다. 상징은 고유의 코드를 지니는 것으로 거의 동일한 정서를 담는데, 동아시아의 전통에서 거의 유사한 의미로 통한다. 매화의 경우 임포(林逋, 967-1028)의 고사로부터 유래하여 ‘은일(隱逸)’을, 난초는 공자(孔子, BC551-BC479)의 공곡유란(空谷幽蘭) 고사로부터 향기의 덕 즉 ‘덕향(德香)’을, 국화는 도연명(陶淵明, 365-427) 의 「귀거래사(歸去來辭)」에서 ‘지절(志節)’을, 그리고 대나무는 『시경(詩經)』에서 언급한 유비군자(有匪君子)의 ‘충정(忠情)’을 대표적 상징으로 한다. 이들의 대표적 사례를 한국과 중국의 네 명의 화가를 통해 살펴보았다. 조선말기 허련(許鍊, 1809-1892)은 남종문인화를 토착화시킨 선비화가로서 그의 <묵매도(墨梅圖)>에서 노매(老梅)는 은일적 삶의 즐거움을 상징화하였다. 김정희(金正喜, 1786-1856)는 서화예술에서‘문자향 서권기(文字香 書卷氣)’를 주장하였는데 그의 <불이선란도(不二禪蘭圖)>에 표현된 난초는 불이선(不二禪)을 체득한 행복감을 난초 향으로 상징화하였다. 청대 말기 오창석(吳昌錫, 1844-1927)은 ‘대사의 화훼화(大寫意 花卉畵)’의 경지를 표현했으며, 그의 <묵국도(墨菊圖)>에서는 오상고절(傲霜孤節)의 의지를 상징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흉중성죽(胸中成竹)의 대 그림을 주장한 북송대의 문동(文同, 1018-1079)은 <도수죽(倒垂竹)>에서 굽어 내리면서도 위로 솟구치는 대나무를 그려 불굴의 의지를 상징화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예를 근거로 연구자는 사계(四季)의 정감으로 본 사군자를 새롭게 재해석 하였다. 봄의 정감은 매화를 매개로 탄생과 소멸에 따른 찰나의 아쉬움으로 상징화되었다. <홀로 피다>, <세상으로 나가다>, <활짝 피다>, <흩어지다>의 네 작품에서 이른 봄 홀로 태어나, 잠시 청향으로 존재를 알리고 바로 흩어지는, 매화꽃의 생성과 소멸을 담았다. 여름의 정감은 난초를 하루의 시간적 변화로 정겨운 풍경을 그렸다. 한 여름날의 일상을 층차를 두고 표현하여 <아침이 오다>, <한낮의 풍경>, <늦은 오후>, <저녁이 내리다>에서 난초는 청아함과 아름다움을 다루고 있다. 가을의 정감은 국화의 담담한 정취로 상징화 되었다. 입추·중추·만추·석추에 대한 국화의 정감은 <가을이 시작되다>, <가을 속에서>, <가을을 느끼다>, <서리 속에 국화를 보다>의 주제로 국화의 색다른 격조를 나타내고 있다. 겨울의 정감은 찬바람을 견디는 대나무에 대한 대견함으로 상징화되었다. 입동(立冬)에서 시작하여 한 겨울 맹동지절(孟冬之節)의 시간적 순환체계로 이어지며 삼동을 나는 대나무의 모습은 <겨울의 시작>, <투명함으로>, <침묵>, <바람으로>의 네 가지 주제로 예스러우면서 강한 대나무를 그렸다. 이상 사군자의 상징으로 본 사계절의 정감 표현 연구는 다음과 같은 조형성을 구현하였다. 첫째, 현대적 감각이 혼용된 다양한 구도 경영으로 사군자의 정감을 나타내고 있다. 전통적 구도를 변형시키는 것으로부터 직선과 곡선의 방향성 활용 및 사각형과 원형 구도의 대비에 의한 기하학적 구조가 강조된 구성으로 현대화하였다. 둘째, 다양한 질감 표현을 통해 사군자의 미묘한 정감을 조형화했다. 수묵을 통한 담묵과 농묵의 번짐 효과, 투명성과 불투명성의 대조적 활용, 아크릴에 의한 두터운 재질감의 활용 등 다양한 질감 효과로 정감 그 자체의 이미지를 조형화하였다. 셋째, 전통 먹색과 현대적 색채와의 융합에 의한 정감을 조형화했다. 먹색은 오색을 갖추었다고는 하지만 꽃의 화려한 색채를 통한 정감의 발현은 먹색만으로 표현하기 힘들고 현대적 감각을 도출하기도 쉽지 않다. 전통 사군자의 상징성을 현대인의 정감으로 상징화하는 역할은 색채가 많은 부분을 담당할 수 있었다. 이렇게 사군자의 생태적 속성으로부터 형성된 전통적 상징성은 새로운 조형성의 활용에 의해 현대인의 삶 속에 투영된 자연스러운 감정과 융합되어 작품화되었다. 이들은 작품 크기에서부터 다양한 화면 구성과 분할, 대상의 선택과 배치, 그리고 재료의 사용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조형언어로 정감의 상징화를 시도하였다. 사군자에 담긴 정신이 인격을 반영하는 매개체로 작용한 이래 사군자도의 전개는 곧 인간정신의 확장을 의미했다. 그러나 그 인간정신의 확장은 점점 퇴보하여 이제는 다가서려는 노력마저 희미해진 게 현실이다. 때문에 본 연구는 감상자들에게 현대적 정감으로 보다 쉽게 다가서는 사군자를 바라는 마음에서 시작되었다. 전통 속으로 깊이 들어가기보다는 전통에 바탕을 두되 인간의 삶을 이해하고 공감하며 행복해 할 수 있는 소소한 정감을 표현한 사군자를 그린 것이다. 즉, 계절의 정감으로 바라보며 그린 사군자가 동시대인과 호흡하며 새로운 이미지로 다가가는 것이 본 연구의 목표이다. 주제어 : 군자, 사군자, 사군자도, 허련, 김정희, 오창석, 문동, 은일, 덕향, 지절, 충정, 정감

      • 凌壺觀 李麟祥의 繪畵世界 硏究

        김외자 수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thesis considers the life, friendship and paintings of Neunghogwan Yi, In Sang (1710~1760), a literary painter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order to shed new light on his art world of painting. Yi, In Sang as a renowned master of three arts – poetry, calligraphy and painting – in that changing time of the late Joseon Dynasty had a strong influence on the next generations through his classic and plain art world with the unswerving consistency of a nobleman. The first thing for understanding such a man is to understand his life and thought, and how those are apparent in his paintings. In spite of his prestigious family background, he likely suffered a good deal of discrimination in the subtle social status of that day because Min Gye, his great-grandfather, was the child of a concubine. However he was able to enter public service thanks to lingering influence of his great-great-grandfather and attained regional city mayor, sub-6th rate office ranking. Maintaining morality and abiding by the doctrine to respect the Ming Dynasty and dishonour Qing Dynasty through deep scholarship and thought, he was able to communicate with great contemporary statesmen and Confucian scholars. Having lost his father early, Yi, In Sang must endure an austere life while his father-like uncle Choi Ji taught him scholarly learning and literature. Since starting public service at the age of 29, Yi had once spent pleasurable time with his acquaintances in Han Yang(Seoul) but after taking a provincial petty office he realized that it was difficult to keep noble fidelity with the burden of public works. So he decided to retire and build a humble house at Seol Seong and lead reclusive life until he died at the age of 51. His art world can be divided into three periods based on painting materials and painting style, which are his study, management, and hermit periods. In the first learning era, he studied on the basis of classic pictorial scripts like "Gaejawoonwhajeion" and "Gossihwabon" and in the second, management period he focused on actual landscape painting, poetry, and the great outdoors based upon his travel experience. Finally, in his last period, he brushed recluse modus vivendi and his humble house showing his loneliness. Though his works were different in accordance with these periods of time, his works constantly embodied his art vision of a noble life and as a mirror of its grade and thought. Therefore historians in the next generations praised his art works as true literati paintings with which other painters in the court could never compete. Painters who were influenced by these paintings of Yi were his friend Yi, Yoon Young, Oh, Chan and in latter generation Yoon, Jae Hong and Jung, Soo Young. All of them accomplished like Yi, In Sang in the Southern Style of Literati Paintings, which are distinguishable by their brush stroke, structure, and painting materials. Considering all of above-mentioned aspects, we could conclude that the literati paintings of Yi, In Sang became an artistic stream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had a strong influence on the coming painters. The characteristics of Yi, In Sang's painting world were his admiration for classic meanings and vitality representing mild, clear transcendence, formed by his austere and clear life, which reveals a high point in the development of literati paintings.

      • 역사문화 특화형 아웃렛쇼핑몰의 집객요인에 관한 연구 : 부여군 롯데아웃렛사례를 중심으로

        김외자 광운대학교 경영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first premium outlet opened in Yeoju in 2007, and the store opening race has continued since then, as not only the domestic large retailors but also foreign outlet businesses with enormous capital and knowhow have joined the entry into the market. Then, in 2013, Buyeo Lotte Outlet opened in Buyeo, Chungnam, with the design fitting the historic city by combining traditional architectural style of Baekje Era and modern architecture. The present study is an empirical study that explored whether the architectural style of Lotte Outlet in Chungnam Buyeo that utilized Baekje culture is a factor that influences customer attraction. The scope of the study is the exploration, confirmation, and verification of visiting factors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ith adult visitors to the Lotte Outlet Shopping Mall in Chungnam Buyeo. In terms of the temporal scope of this study, the investigation included those who made a visit in December when the preliminary and empirical investigations were conducted. In terms of the content scope of the study, concepts, characteristics, changes, types, and status, among others, were investigated to establish the study, and the literature on outlet shopping malls published between 2006 and 2013 were analyzed in the literature review. The content scope of the Buyeo Lotte Outlet Shopping Mall as the case of this study included the materials from 2013 to date. An empirical analysis to test the hypothesis on the nature of the effect, of the tourism factors as a city with Characteristics of Baekje Era and shopping-related factors of the outlet on customer attraction, was conducted. Four factors were derived based on characteristics of users’ shopping behaviors identified from factor analysis, and the findings from the examination by dividing the factors into means of subfactors are as follows. The first and most significant reason for visiting the Buyeo Premium Outlet Shopping Mall was the leisure factor. Interestingly, most frequent response was that they visited this outlet as a place for stress relief due to spatial uniqueness along with sightseeing of the architectural elements, which utilized a traditional Korean architectural style. The second factor was the visit without purpose factor, i.e. visiting without clear purpose. Although it cannot be considered as a generally applied factor due to low mean scores, considering they were variables derived from interviews, it can be observed among specific type of visitors. The third factor is product purchase and service use factor, which is the most basic factor of commercial space. The fourth factor is a promotional factor, i.e., visiting due to promotion by acquaintances or internet promotion. Much like the no apparent purpose factor, this factor also seems to be meaningful to specific visitors and difficult to be classified as a universal factor. Thes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Baekje Era architectural style influenced customer attraction due to spatial uniqueness, and the combination of traditional Korean architectural style and modern style affected customer attraction in commercial real estate, presenting the effects on consumer satisfaction as a future direction for further research. 프리미엄 아웃렛의 시초는 2007년 여주에 최초 개장되었고 국내 대기업 유통업체는 물론 거대한 자본과 노하우를 겸비한 해외 아웃렛 업체까지 시장 진출에 합류되어 아웃렛의 출점 경쟁은 계속 되었다. 그 후 2013년 충남 부여에 백제시대의 전통건축방식과 현대의 건축양식을 접목하여 역사도시에 걸맞는 다자인으로 부여 롯데아웃렛을 개장했다. 본 연구는 충남 부여의 롯데아웃렛이 백제문화를 활용한 건축양식이 집객요인에 대한 영향이 미쳤는지 가능 여부에 대한 요인을 탐색한 실증분석이다. 연구의 대상적 범위는 충남 부여 롯데아웃렛 쇼핑몰의 성인 방문자의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한 방문요인의 탐색 확인 검증을 했다.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예비조사 및 실증조사가 실시되는 12월 방문객을 기준으로 조사했다. 연구의 내용적 범위로는 연구의 정립을 위해 아웃렛 쇼핑몰에 관한 개념과 특징, 변천, 유형, 현황 등을 선행연구를 통해 조사하였고, 문헌고찰을 위한 연구에 있어 2006년부터 2013년까지의 아웃렛 쇼핑몰에 관한 관련 문헌들을 분석하였다. 사례 연구대상지인 부여롯데 아웃렛 쇼핑몰의 내용적 범위로는 개점시기인 2013년부터 현재까지의 자료를 기준으로 하였다. 도시의 특성상 백제시대 도시 주변의 관광적인 요소와 아웃렛의 쇼핑적 요소가 집객요인의 행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가설 검증을 위한 실증분석을 하였다. 요인분석을 통해 이용자의 쇼핑 행동 특성을 파악하여, 요인분석 결과 도출 된 4가지 요인을 세부변수의 평균으로 구분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부여 프리미엄 아웃렛 쇼핑몰을 방문하는 가장 큰 첫째 요인은 여가적 요인이다. 흥미로운 결과로서 한옥적 건축양식을 사용한 건축디자인 요소와 경관을 구경하며, 공간적 특이성으로 인하여 스트레스 해소의 공간으로서 방문하였다는 응답이 가장 높게 도출되었다. 둘째, 요인은 비목적성 요인으로 뚜렷한 목적 없이 방문했다는 요인들이었는데 평균이 낮게 도출되어 일반적인 요인으로는 볼 수 없지만 인터뷰 결과 도출 된 변수들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특정한 방문객에게서 볼 수 있는 요인으로 보여 진다. 셋째, 상업공간의 가장 기본적인 요인으로서 상품구매 및 서비스이용 요인으로 볼 수 있다. 넷째, 홍보요인으로서 지인 및 인터넷 홍보를 통해 방문했다는 요인으로 이 부분도 비목적성 방문요인처럼 특정 방문객들에게 의미가 있는 요인으로 보편적인 요인으로는 분류하기 힘들 것으로 보여 진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백제시대의 건축양식이 공간의 특이성으로 인하여 집객요인에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고, 상업용 부동산이 한옥의 옛 건축방식과 현대의 조합으로 분위기나 디자인이 집객요인의 영향이 있으므로 향후 소비만족도에 미칠 영향의 연구 방향이 제시된다.

      • 노인요양시설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 직무 만족도 연구 : 구리시를 중심으로

        김외자 상지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1. 요약 이 연구는 노인요양시설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의 직무환경요인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라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장기노인요양기관에서 효과적으로 인력관리를 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 개발과 정책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설문은 2011년 9월 29일부터 10월 28일 까지 30일 동안 구리시에 소재하고 있는 요양시설 7곳, 요양보호사 70명과 7곳의 재가방문요양기관의 요양보호사 13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다. 자료분석 방법은 SPSS 17.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빈도분석, 상관관계분석 .근무기관유형에 관한 직무환경요인(인적환경, 물리적환경, 업무전문성, 보상체계)의 직무만족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test(Independent samples t-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사항에서는 40대의 결혼한 여자의 비율이 가장높았다. 학력은 고졸, 근무기간은 1년 이상 3년 미만, 담당인원은 5명이상, 근무형태는 1일2교대의 비율이 높았으며 시설은 재가방문시설비율이 높았다. 월 평균 급여는 110~130만원 사이의 직무환경만족도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건강상태는 94%가 보통이상으로 건강하다고 답했다. 요양보호사의 근무환경요인을 Likert 5점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한 결과 인적환경은 평균3.74점으로 만족도가 높고 유의한 차이를 보인 변수는 상사와 동료관계였다. 업무전문성은 3.49점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변수는 높은 수준의 개인 책임감과 직원들과 협동 작업으로 나타났다. 물리적환경은 평균 3.62점으로 유의한 변수로는 작업장에 대한 자부심과 사회적 인정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보상체계 3.25로 변수로는 급여와 승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전체적으로 분석해 보면 인적환경과 물리적 환경의 직무만족도는 높게 나타나 긍정적인 반면 업무 전문성은 자신들의 높은 책임감에 비해 상사의 전문성은 낮다 로 나타나 상사에 대한 전문성은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보상체계에 대해서는 자신들이 수행하는 업무에 비해 급여수준은 낮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시설에 따른 만족도 조사에서는 재가방문요양시설보다 입소요양시설의 근무환경요인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고 근무환경개선방안에는 충분한 일감이 급여보다 높은 욕구로 안정된 일자리가 더 절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요양보호사 자신들이 인지하고 있는 개선방안에서 인적환경인 상사, 동료관계, 물리적환경인 자기개발과 근무환경, 업무전문성인 보수교육, 보상체계인 급여, 고용안전으로 개선방안욕구를 순차적으로 정리하면 고용안정과 급여인상이 가장 높은 욕구로 나타났고 다음은 근무환경개선과 근로시간개선 상사와 동료관계, 보수교육의 필요성은 가장 낮았다. 요양시설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는 5명이상의 많은 입소자를 돌보는가하면 또한 생활시설의 특성상 1일 2교대, 격일근무는 월 300시간 이상의 업무에 종사하고 있으며 또는1일 3교대 일 때도 월240시간 이상의 장시간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월 평균급여에 대해서는 요양시설이 재가방문요양에 비해 높지만 시간당 급여를 계산하며 요양시설의 급여가 재가시설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민간 개인이 운영하는 노인요양시설은 시설 운영자가 자의적으로 운영하기 때문에 급여수준에 차이가 발생한다. 따라서 민간이 운영하는 대부분의 요양시설에서는장시간의 업무와 낮은 급여가 높은 이직율로 나타나 인력난을 겪고 있다. 따라서 요양시설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의 근무개선방안은 “ 급여의 인상과 함께 업무의 시간이 줄었으면 좋겠다.”로 나타났다. 재가방문요양시설에서 근무하는 요양보호사는 수급자 한사람, 또는 두사람의 가정을 방문하여 요양보호서비스를 제공하는바 상사의 지도, 감독이 없고 가족들의 인정과 함께 업무가 수월하다. 시간당 급여가 요양시설에 비해 높아서 요양보호사들의 근무환경만족도가 높으며 선호하는 직업이다. 그러나 수급자의 사망, 요양시설입소, 등급재판정시 등급하락으로 재가방문요양보호사는 항시 실직의 두려움이 있다. 따라서 재가방문요양시설의 요양보호사의 개선방안에는 “일감이 많아졌으면 좋겠다.” 로 나타났다. 2. 정책제언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도입이 3년을 경과하여 4년차에 접어들었다. 해서 제도는 어느 정도 정착이 되고 안정화되어 가고 있다. 그러나 요양보호사들의 처우는 조금도 나아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보험의 도입취지를 살리고 요양보호사들의 직무환경과 처우를 개선하기 위한 점검이 필요하다. 첫째, 요양시설에서 급여의 인상이 필요하다. 높은 업무량에도 불구하고고졸이상의 40~50대의 결혼한 주부들이 가정경제 생활을 해결하기 위해 선호하는 직업이 요양보호사이다. 업무가 가정의 가사생활경험이 긍정적으로 작용하며 노부모를 부양한 경험은 노인들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비교적 자격증 취득이 쉽고 요양시설은 특별한 경력이 없어도 취업

      • 농촌노인 주거복지정책에 관한 연구 : 충남 부여지역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외자 세종대학교 산업대학원(eMA)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In our country, the aging is in progress with the most rapid speed in the world. The national average aged ratio has already exceeded 10.3% and expecting to become an aged society with aged ratio of 14% in 2018. In preparation for such rapidly progressing aged society, we must consider the problem of medical expense followed by deterioration of health, financial problem, income problem and housing problem which is one of most basic desires for leading human life. For all these problems of aging society, the problem of rural area is more serious than urban area and the situation is that the helping hand of elderly housing welfare policy toward rural area is still lacking. That is why the necessity realized by local government would be even greater and each region seems to show a fast paced movement on elderly housing problems. In Buyeo-gun of Chungcheongnam-do which is the area to be studied in this paper, the aged population of 65 or older is 18,600 out of its total population of 76,504 and could be called an area that has already entered the super-aged society with aged ratio of 24.3%. As a traditional farming province where 41.8% of the population are engaged in agriculture from the development of agriculture based on the wide plain formed at the Geum River Basin, it is a small area with financial independence of 13.7% (2008). Currently, it is impossible to identify the actual conditions of elderly housing or the safety of housing in Buyeo area and the reality is that even the percentage of elderly housing conditions cannot be identified properly. It seems that the housing problem of aged people in the rural area would have to be studied more in-depth because the reality is that the situation on aged residents such as elderly housing conditions, safety or housing convenience in Buyeo area is not identified in detail. Therefore, the purpose was set as identifying the actual conditions of elderly housing and presenting the appropriate elderly housing plan for regional characteristics. The study was performed after identifying the actual conditions on the people who are in desperate need of assistance from the welfare policy of people with low income among the aged people and the elderly housing without safe housing conditions under poor environment without the finances even for the aged people with their own house. And the home repair project is planned on elderly households that can become sufficiently independent with proper assistance. Also, an environment to receive welfare benefits at one place by living in a community at the senior citizen center in the village in case of senior citizens living along within the limit of senior citizens who desire to do so rather than the facility for senior citizens because most aged people are afraid of getting away from the place where they have been living for lifetime despite the fact that they are under poor environment. And for the elderly households with their own houses living in old Korean-style houses, the plan of purchasing the existing Korean-style houses and land from the local government was considered to have a clean and safe housing after building an elderly townhouse near the senior citizen center. Also, the method of supporting partial funds for remodeling project was studied for the elderly households that do not wish to move from the familiar environment. For the methods of securing finances for all these projects, the income can be produced by making a community lumber team with village residents to work together with aged people and creating a joint profit from the earned profit while also establishing a rural area experience village for attracting urban residents to be managed together. For the main businesses, the joint profit of village is made by securing funds with the methods such as herb cultivation, straw & plants handicraft, operation of a joint cabbage and radish farm or livestock industry that can cooperate with the companies within the jurisdiction. This would be mentally and physically helpful as it becomes helpful in creating profits along with becoming stimulus of life by providing pastime for the aged people. 본 논문은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는 우리나라의 노인주거 부문의 현실에서 농촌지역에 이르기까지 노인주거정책과 그 실태에 대해 알아보고자 논문을 진행시켰다. 농촌노인 주거실태를 파악하며 부여지역의 노인주거 정책적 현황과 기존자료로 본 노인주거실태의 상황과 문제점을 파악하며 시사점을 남겼다. 그리고 부여지역 노인주거에 관한 실증조사 및 분석으로 노인주거 실태를 파악하여 현 정책적 노인주거 복지제도에 정책적 방향으로 개선방안을 찾아보았다. 첫째는 집수리사업으로 현재는 저소득층 가구를 중심으로 시행되고 있는 사업이지만, 노인가구만을 위한 주거복지사업을 만들어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약한 노인에게 도움이 되고자 한다. 현재는 자가인 노인주거는 재산이 있는 걸로 간주하여, 집수리 사업에서 제외되고 있지만, 부동산이 있어도 재정이 없는 노인가구에도 집수리를 통하여 열악한 생활에서 안전하고 쾌적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는 마을 여러 곳에 흩어져 외롭게 생활하고 있는 독거노인들을 한곳에 모여 집단으로 생활할 수 있도록 경로당이나 빈집을 개조하여 조성된 주거공간에 모여 모든 복지 서비스를 한 곳에서 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는 부동산이 있는 노인가구는 이 모든 복지에서 제외되고 있지만, 재정이 있는 노인가구는 보증금 지원 하에 리 모델링 사업으로 열악한 주거환경을 안전하고 편리한 주거환경이 되도록 지원하는 것이다. 단 보증금은 월세형식으로 상환하는 방법을 정했다. 넷째는 부동산이 있으나 열악한 주거 환경이고 외롭고 고립된 생활을 하고 있지만 평생 살아온 마을에서 떠남을 두려워하는 노인가구는 지 자체 에서 부동산과 주택 등을 매입해주고 경로당 근처에 노인연립을 지어 마을 노인들을 한곳에서 외롭지 않고 안전하게 복지혜택을 한 곳에서 받을 수 있는 여건을 만들었다. 이 모든 사업은 지 자체와 함께 해야겠지만 자금 확보 방법으로는 마을 주민과 공동체 작목 반을 형성하여 노인들과 함께 일을 할 수 있는 사업을 만들고 공동 수익 창출함으로 수입이 생길 수 있다. 또한 도시민 유치를 위한 농촌 체험마을을 설립하여 지 자체와 마을 주민, 노인가구가 함께 운영하도록 한다. 주요사업으로는 약초재배, 짚 풀 공예, 배추, 무 공동농장을 운영하고 관내기업과 협업할 수 있는 축산업 등으로 자금 확보를 통하여 노인들에게도 수입을 얻을 수 있게 해주는 일거리를 제공하여 삶의 활력소가 생기니 정신적 육체적으로 생활 면까지 도움이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