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김예지 졸업 공연 "We are not different"

        김예지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63

        본 논문은 실용음악학과 석사과정의 이수를 위한 졸업 공연 "We are not different"에서 발표된 자작곡들의 내용을 분석한 논문이다. 본 논문은 대학원에서 습득한 음악 이론 및 작곡 기법, 편곡 기법 등의 지식을 바탕으로 공연 곡의 악곡 형식, 악기 편성, 음악적 특징 등 각 작품에 대한 주제와 내용에 대한 설명 및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공연은 "We are not different"라는 주제로, 공연의 네 번째 연주 곡으로 지정한 작품이기도 하다. 한 개인의 관점에서 특정 상황이나 사물을 사유(思惟)한 경험이, 넓은 관점에서는 그 사람에게만 경험해 본 일이 아니라 타자(他者) 역시 그의 삶의 시각에서 비슷한 경험이 있고, 비슷한 생각을 해봤을 것이라고 생각 한 부분에서 출발하였다. 또 한 바로 그 지점에서 동병-상련(同病相憐)의 마음을 느낌으로, 한 개인이 위로를 얻는다는 주제를 담고 싶었다. 모든 곡 들은 일상에서 바라본 관찰과 시선에 주목해서 작업했다. 졸업 작품은 총 6곡의 자작 곡으로 구성되어있다. 본 논문을 통하여 공연의 내용이 상세히 전달되고 공연의 기획 및 의도가 잘 전달되기를 바란다.

      • 상상의 이미지를 투영한 유희적 표현

        김예지 청주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47

        유희는 인간 생활 속에 자연스럽게 녹아들어 있는 기본적이고 보편적인 정신요소 중의 하나로, 원초적인 흔적은 어린아이들의 ‘놀이’에서 찾을 수 있다. 이는, 인간의 본성 중에는 즐거움을 찾으려는 유희의 정서가 크게 내재되어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며, 인간은 어릴 적부터 무의식적으로 유희를 추구해 왔음을 방증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유희의 즐거움을 삶의 가장 큰 목표로 삼고 있으며, 유희의 감정이 본인의 행복과 직결된다고 여기고 있다. 이에 따라 지루할 수도 있는 삶에서 즐거움을 만끽하기 위해 ‘상상’이라는 정신 활동을 수시로 활용하며 지낸다. 본 연구자에게 있어서 ‘상상하는 것’은 평범할 수도 있는 일상을 좀 더 재미있고 흥미롭게 보내기 위한 습관 중의 하나이며, 이는 곧 유희적인 요소로 작용하는 ‘놀이’의 한 종류라고 할 수 있다. 상상은 현실 세계에서 이루어낼 수 없는 소소한 욕망을 실현시켜 주고, 자유로움과 즐거움을 만끽하게 해준다. 또한 이러한 상상 속 이미지들을 가치 있는 조형으로 표현하는 것은 또 다른 창조의 유희를 만끽하게 해주며, 이는 즐거움을 배가시키고 가장 순수하고 자유로운 ‘나’를 마주하게 해준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상상’을 활용하여 유니크하고 재미있는 캐릭터 오브제를 제작함으로써 사람들에게 무궁무진한 상상의 즐거움을 선사하고자 하였다. 작품들은 시즌 1과 시즌 2로 나누어 각각 스토리를 구성하였으며 시즌 1에서는 6개의 작품을 시리즈로, 시즌 2에서는 4개의 작품을 시리즈로 제작하였다. 첫 번째 시즌은 ‘Welcome to my world’라는 제목으로서, 본인의 상상 속에 등장하는 6종의 캐릭터를 작품으로 제작한 것이고, 두 번째 시즌은 ‘Hello my moldy friends’라는 제목으로서, 지하 세계에 살고 있는 4종류의 곰팡이들을 상상하며 작품을 제작한 것이다. 상상의 세계를 표현한 본 연구 작품들이 즐거움과 긍정적인 에너지를 전달하기 위한 매개체로서, 관조자들에게 독특한 즐거움이 있는 환상적 상상의 세계를 선사할 뿐만 아니라, 각자의 순수하고 즐거웠던 순간의 감정들을 떠올리며 소소하고도 묘한 웃음을 지을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주기를 기대해 본다. Amusement is a fundamental and universal psychological element that is inherent to human life, and the primitive form of amusement can be found in children’s ‘play’. In other words, seeking amusement is part of human nature and we unconsciously and constantly seek to have fun. As the author of this research, I consider the fun of amusement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goals in life, and believe that emotions associated with amusement are directly related to personal happiness. ‘Imagination’ as a mental activity is a useful tool for me to have fun in a life that otherwise can be mundane and routine. ‘The act of imagining’ is one of my habits to make ordinary everyday life more fun and interesting, and it is also a form of play that serves as a amusing element. Imagination allows me to realize whimsical desires that cannot be indulged in reality and to feel free and pleasure. Expressing these images from my imagination in art forms is a way of increasing the pleasure of creation, which provides more fun and lets me discover ‘myself’ as an innocent and free-thinking individual. In this paper, ‘imagination’ is used as a tool to create unique and fun character objects, thereby sharing the fun of unlimited imagination with others. These works are combined to make stories in two seasons. Season 1 is made up of 6 works and Season 2 consists of 4 works. The title of Season 1 is “Welcome to My World” in which 6 kinds of character from my imagination make a full story. Season 2, “Hello, My Moldy Friends” is a story based on my imagination of 4 different kinds of fungus growing in the underground world. The works in this research that expresses the world of my imagination are expected to serve as a medium for delivering fun and positive energy, usher viewers in the fantastic world of imagination and unique fun, and remind them of the feelings they had in their blissful innocence, giving them oddly-pleasing and satisfying smiles and giggles.

      • 영어 사역구문에 관한 연구 : 제약기반문법을 중심으로

        김예지 강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영어를 포함한 모든 자연언어의 문장은 그 구조가 단순하거나 복잡할 수 있다. 문장이 단순히 하나의 핵심이 되는 어휘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그 구조는 비교적 단순하다. 반면에 하나의 문장 안에 핵심이 되는 어휘가 두 개 이상 존재하여 하위절(embedded clause)을 그 내부에 포함하는 상위절(matrix clause)로 이루어지는 하나의 문장은 그 구조가 예상보다 훨씬 더 복잡하다. 이러한 다양한 보문구조(complement structure)를 가진 문장의 상위절과 하위절을 연계하여 그 전체구조를 기술하는 방법은 그리 간단하지 않다. 이러한 이유로 보문구조는 어떠한 문법이론이라도 반드시 기술해야 하는 언어의 주요한 현상으로 여겨져 왔다. 대개 보문구조의 대표적인 유형은 통제구문(control construction)과 인상구문(raising construction)으로 대표된다. 이 두 구문 중 통제구문에 해당하는 사역구문(causative construction) 또한 그 간의 많은 연구의 대상이 되어 왔다. 본 논문의 대상은 바로 이러한 복잡한 보문구조를 가진 사역구문과 그 문장의 핵심이 되는 어휘인 사역동사들과 관련된 문법적 현상들이다. 사역구문에 대한 기존의 논의는 Lakoff(1965, 1966, 1967), Rosenbaum(1967), Ross(1967), McCawley(1968), Kiparsky and Kiparsky(1968), Postal(1969), Geis(1970, 1973), Jackendoff(1972), Chomsky(1980), 안승신(1986), Pollard & Sag(1994), Sag, Wasaw, and Benders(2003), 조세연(2009) 등이 있다. 더불어 본 논문의 연구대상은 영어의 전형적인 사역동사인 cause, make, have, get 으로 한정한다. 본 논문의 목적은 영어 사역구문의 특성을 통사적, 의미적, 화용적 측면에서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형식화하기 위하여 제약기반(constraint-based)문법 이론에 입각한 어휘유형 계층체계(lexical type hierarchy)와 어휘목록(lexical entry)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Ⅱ장에서는 그간의 사역구문에 관한 연구가 중심이 되었던 목적어 통제동사(object control verbs)가 어떻게 구성되느냐 보다는 Geis가 주장한 다양한 특성을 살피고 그것을 어떻게 분석했는냐에 대해 최근 분석들을 살펴본다. Ⅲ장에서는 제약기반문법 이론을 기반으로 하여 영어 사역구문에 대해 분석한다. Ⅲ장의 1에서는 이 논문의 논지를 이끌어 가기 위한 이론적 토대로 사용되는 핵어중심 구구조문법(HPSG)을 간략히 소개하고 HPSG를 기술하는데 사용되는 기제로써 원리와 규칙에 대한 개요를 제시한다. Ⅲ장의 2에서는 조세연(2009)에서 Geis가 제시한 사역동사의 다섯 가지의 특질을 HPSG에 의해 어떻게 설명하는지를 제시한다. Ⅳ장에서는 제약기반문법 이론에 의한 영어 사역동사의 어휘를 분석하기 위해 영어 사역구문의 특질을 통사적 특질과 의미적 특 질로 나누어 설명한다. Ⅳ장의 1에서는 영어 사역구문에 주로 사용되는 사역동사 cause, make, have, get의 분포적 양태를 살펴 각각의 개별적 특성을 파악하고 통사적 유사점과 차이점을 비교 분석한다. 그리고 모든 사역구문에 존재하는 의미적 인과 관계를 설정하고 기존에 논의되어왔던 사역구문에 대한 의미적 분석들을 통해 사역동사들의 의미적 속성과 차이점을 Ⅳ장의 2에서 설명한다. 사역구문에 대한 총체적이고 효과적인 분석을 위해 조세연(2009)을 바탕으로 사역동사 어휘소의 어휘목록에 통사정보와 더불어 의미정보를 상세하게 명시한 새로운 어휘목록을 제안한다. Ⅳ장의 3에서는 사역구문들의 구조를 HPSG(2003)에 기초한 수형도로 나타내어 이 논문에서 제안한 어휘목록의 어휘제약에 따라 통사정보와 의미정보가 유기적으로 상호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본 논문의 내용들을 종합 정리하여 결론을 내리고 이 논문이 제안한 분석의 장단점 및 앞으로의 연구과제들을 제시한다. This thesis attempted to explain, within the framework of the constraint-based theory, the syntactic, semantic, and pragmatic properties of English causative verb constructions. Among English causative verbs, it focused on cause, make, have, and get. Early theses on various properties of English causative constructions employed, under the Generative Semantics framework, transformational rules, which assume underlying structures for causative constructions. Geis (1973) provided idiosyncratic properties of English causative constructions by giving various data and proposed some transformational rules such as the Agent Creation rule and rule ordering, to account for the syntactic and semantic aspects of causative verbs. In contrast, Cho (2009) took, as its theoretical framework, Head-driven Phrase Structure Grammar (HPSG) under a constraint-based analysis and proposed a few lexical constraints in order to explain the properties of English causative constructions provided by Geis. This thesis fully adopted the points of Cho's argument, and then not only examined the syntactic properties of each causative verb more specifically, but also represented the semantic and pragmatic properties in terms of the lexical constraints proposed by Cho and existing grammatical tools in HPSG. To describe the syntactic properties of English causative constructions, this thesis examined the syntactic distributional behaviors of causative verbs such as cause, make, have, and get and specified the lexical entries of them. Although these causative verbs belong to the same category, causative-verb-lexeme (causv-lxm) in the lexical hierarchy Cho presented, each verb exhibits syntactically idiosyncratic properties. On this basis, this thesis describes the syntactic information of each causative verb by specifying each relevant lexical entry. Also, with respect to semantic and pragmatic properties of English causative constructions, this thesis explains the relation between cause and effect of causative constructions and examines the semantic and pragmatic properties of each causative verb. In considering the meanings of causative constructions, this thesis explains the semantic and pragmatic information of causative constructions by describing the semantic part of lexical entries Cho provided in much more detail and by specifying the pragmatic part of lexical entries. This results in an integrated analysis of English causative constructions covering all syntactic, semantic and pragmatic aspects. Finally, this thesis gives some examples and tree diagrams based on HPSG(2003). By applying the rules and principles of HPSG, this thesis accounts for how syntactic, semantic, and pragmatic information of a causative verb interacts systematically in a causative sentence. This thesis has four strong points. First, by giving a few lexical constraints this thesis refrains from generating abundant grammar rules. Second, it classifies verb types more specifically by adopting the lexical hierarchy Cho presented and adding some causative verbs to causv-lxm. Third, in describing lexical information of a causative verb, it includes the pragmatic information which relates to some contextual or situational meanings as well as the semantic information which relates to the literal meaning. Finally, it describes the relevant lexical information effectively since it specifies all the syntactic, semantic, and pragmatic information of a causative verb within the well organized lexicon of HPSG (2003).

      • 대학생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가 대인관계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자기개념명확성의 매개효과

        김예지 동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 문 초 록 대학생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대인관계유능성 : 자기개념명확성의 매개효과 김예지 동신대학교 대학원 상담심리학과 (지도교수 송 연 주)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및 세 가지 하위요인(완벽주의적 자기노력, 불완전함 은폐노력-행동적, 불완전함 은폐노력-언어적)과 대인관계유능성의 관계를 확인하고,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및 세 가지 하위요인과 대인관계유능성의 관계에서 자기개념명확성의 매개효과가 유의한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G시 및 J지역에 소재한 대학교의 남·여 대학생 513명을 대상으로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대인관계유능성, 자기개념명확성 척도를 실시한 후, 수집된 자료는 SPSS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 변인들 간 관련성을 분석하고, Baron과 Kenny의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Sobel 검증을 통해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및 세 가지 하위요인과 대인관계 유능성, 자기개념명확성 간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완벽주의적 자기노력과 대인관계유능성은 정적상관을 나타냈고, 불완전함 은폐노력-언어적은 대인관계유능성과 부적상관을 나타냈다. 반면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의 총합과 불완전함 은폐노력-행동적은 대인관계유능성과의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지 않았다.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총점 및 3개 하위요인은 모두 자기개념명확성과 부적상관을 나타냈고, 대인관계유능성과 자기개념명확성은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대인관계유능성의 관계에서 자기개념명확성이 매개하는지 살펴보았다. 완벽주의적 자기노력과 대인관계유능성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완전함 은폐노력-언어적과 대인관계유능성의 관계에서는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의 총합과 불완전함 은폐노력-행동적은 대인관계유능성 간의 관계에서 자기개념명확성의 매개효과를 가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완벽주의적 자기제시는 타인에게 극단적으로 완벽한 인상을 주기 위해 과도한 노력을 할 뿐 타인과 효과적으로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능력에는 영향을 주지 않음을 의미한다. 위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주요 용어: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완벽주의적 자기노력, 불완전함 은폐노력-행동적, 불완전함 은폐노력-언어적, 대인관계유능성, 자기개념명확성 Abstract College Student's Perfectionistic Self Presentat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Concept Clarity Kim Ye Ji Counseling Psychology The Graduate School Dongshin University (Direct by Professor Song Yeon ju)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college student's perfectionistic self presentation, three factors of perfectionistic self presentation(Perfectionistic Self Promotion, Nondisplay of Imperfection, Nondisclosure of Imperfection),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concept clarity on the previous relationship. To conduct this study, questionnaires on perfectionistic self presentation,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self-concept clarity were administered to 513 college students in G city and J province.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through SPS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proposed by Baron & Kenny(1996), Sobel test(Sobel, 1982) to analyze the correlation among the variables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concept clarity.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llege student's perfectionistic self presentation, three factors of perfectionistic self presentat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proved to be significantly correlated. Perfectionistic self promotion turned out to be positively correlated with interpersonal competence, while nondisclosure of imperfec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interpersonal competence. On the other hand, the correlation between total perfectionistic self presentation and nondisplay of imperfection did not prove to be significant. Total perfectionistic self presentation and three factor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self-concept clarity, while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self-concept clarity were positively correlated. Secon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concept clar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tic self presentat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Self-concept clarity appeared to play the role as a partial mediator between perfectionistic self promot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Self-concept clarity has been shown to fu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nondisclosure of imperfect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However, total perfectionistic self presentation and nondisplay of imperfection were found not to mediate the influence of self-concept clarity on interpersonal compet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perfectionistic self presentation only means a heroic effort to give a perfect impression to others, although it does not contribute to forming and maintaining the relationships with others effectively.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key words: Perfectionist Self Presentation, Perfectionistic Self Promotion, Nondisplay of Imperfecion, Nondisclosure of Inperfection, Interpersonal Competence, Self-Concept Clarity

      • 서울 서교동 주거지의 상업화와 건축물 변화 연구 : 서교동 351-485번지 일대의 단독주택지를 중심으로

        김예지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1960년대 후반 토지구획정리사업으로 조성된 서교동 351- 485번지 일대의 건축물을 중심으로 주거지의 형성과 변화과정을 살펴보았다. 지역성을 지닌 공간에 상업이 침투함에 따라 어떻게 건축물에 영향을 주었고, 그에 따른 블록의 변화가 어떻게 일어나는지를 분석하여 연구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를 통해 서울 서교동 주거지에 형성된 주거건축물의 변화를 도시와의 관계 속에서 이해하고자 하였다. 첫 째, 서교동 351-485번지는 1960년대 토지구획정리사업에 의해 단독주택지로 조성되었으나, 지역적 특성에 의한 상권의 침투로 점점 상업화되어가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1960년대 토지구획정리사업지구들은 서울의 인구집중에 의한 주택수요의 급증에 따라 서울의 평면적 확대가 대대적으로 이루어졌다. 특히 서교동 일대는 1957년 ‘서교구획정리사업지구’로 고시되면서 전형적인 농촌의 경관에서 마포지역에서도 가장 부유하고 복잡해진 곳으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이 후 홍대지역이라는 지역성을 지닌 공간으로 변화면서 이 일대는 학교주변으로 상업지역이 활성화 되었고, 1980년대 초 개통된 지하철 2호선의 영향으로 지역중심으로 역할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도시 공간 구조의 영향은 주변 주택가에 점진적으로 영향을 주었으며, 주거지역으로 상업시설이 확장되어 나가는 결과를 낳았다. 현 대상지도 거시적으로 살펴보면 행정구역상 홍대지역과 함께 서교 토지구획정리사업으로 계획되어 지역적, 지리적, 문화적인 영향으로 비추어 보았을 때, 홍대지역이라는 지역적 특성과 정체성에 의해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보인다. 홍대지역은 기존 지역의 이미지인 미술과 언더그라운드라는 장소적 매력과 더불어 이른바 문화관련 전문 직종들의 사무실이 하나 둘씩 이곳으로 몰려들고 있다. 출판사를 비롯해 디자인스튜디오, 광고, 영화, 방송, 사진, 인터넷 컨텐츠 등 제3차산업으로 이루어진 문화산업직종들과 전문가들이 모이면서 복합적인 문화자산과 다양성을 가진 장소로 현재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본 연구의 대상지인 서교동 351-485번지 일대의 상업화 양상도 디자인/출판과 관련된 사무실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이는 크게 도시적 스케일로 보았을 때 홍대지역이라는 지역적 특성으로 현재 대상지의 상업화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둘 째, 단독주택지로 조성된 서교동 351-485번지는 1~2층 규모의 단독주택과 몇몇 근린생활시설들이 계획됐으나, 시기별 건축물 변화에 의해 현재는 다양한 건축 유형으로 변화되었다. 1960년대부터 단독주택이 지어졌고, 이후 여러 가구가 거주하는 다가구 주택이 나타나기 시작하여 1970년대에 초반에는 보편적 주거유형으로 자리 잡았다. 1980년대부터는 일부 단독주택이 멸실되면서 그 자리를 근린생활시설과 다가구/다세대주택으로 개축되었다. 평균 4~6층 규모의 다가구/다세대 주택, 근린생활주택으로 바뀌었고, 1990년대 초반부터 초기의 단독주택들이 멸실되거나, 대부분 수익성 있는 상업시설로 용도 변화되면서, 최소한 1층과 반 지하 부분이 주변가로에 바로 대응하는 상업시설로 개조되는 형상이 현재까지 나타나고 있다. 셋 째, 서교동 351-485번지 블록 내에 분포되어 있는 건축 유형은 총 6개로 분류된다. 계획 초기 단계에 지어져 여전히 남아있는 단독주택 유형(R-1), 단독주택으로 쓰이면서 일부를 근린생활시설로 사용하는 유형(RC-1), 단독주택의 형태는 유지하고 있지만 용도는 근린생활시설인 유형(RC-2)으로 나뉜다. 또 80년대 이후 새로 신축된 다가구/다세대주택 유형(M-1), 다가구/다세대주택 일부를 근린생활시설로 사용하는 유형(MC-1), 70년대부터 신축된 근린생활시설 및 건물 전체를 근린생활시설로 사용하는 유형(C-1)으로 분류되었다. 특히, 주거유형에서 용도 변화되어 상업화되는 과정에서 6개의 유형 중 기존의 단독주택 유형에서 가장 많은 상업화의 변화가 보였고, 건축물 변화가 가장 적극적이고 뚜렷한 모습으로 상업화 되어가고 있다. 그 외 다가구/다세대주택으로 개축된 유형에서는 앞서 단독주택 유형의 건축물 변화보다 다소 소극적이고 육안으로 식별하기 어려운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또한 대상지의 상업화용도 중 가장 많은 비율을 보이는 사무실 용도의 건축유형이 다가구/다세대 주택 보다는 단독적으로 공간을 가질 수 있는 단독주택 유형을 선호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현재 블록의 상업화 양상을 가장 뚜렷하게 보여주는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넷 째, 서교동 351-485번지는 단독주택 주거지로 조성되었으나 상업용도의 침투로 복합적인 지역으로 변화하고 있다. 하지만 상업화 되어가는 가운데 여전히 내부 블록에는 단독주택, 다가구/다세대주택이 지속적으로 지어지고 있어 주거지로서의 기능을 여전히 담당하고 있다. 또한 홍대지역의 행정적 범위의 테두리안에 속해 있지만, 아직까지는 홍대앞 부분과 같이 홍대지역의 직접적인 영향이 덜하고, 홍대앞 부분이 상업화를 거치는 과정과 비슷한 양상이 서교동 351-485번지 블록내부에도 보여진다. 이는 연구의 대상지 또한 과도기적인 상업화 양상이 점진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본 논문에서 논한 바와 같이 서교동 351-485번지 일대는 토지구획정리사업과 홍대지역이라는 지역적 특성과 도시적 배경으로부터 상업화되었다. 변화는 시대적 변화과정과 주변 지역의 지역성 속에서 특징적 양상을 보였다. 이를 통해 현재 주거지가 상업화되는 과정에서 도시조직과 건축물이 어떻게 상호 반응하는지 살펴 볼 수 있었고 일정 주거지의 상업화 과정과 건축·도시의 변화과정을 파악하는데 의의를 갖는다.

      • Johannes Brahms의<Sonata No. 1 for Violin and Piano in G major, Op. 78>분석연구 : 고전주의적 성향을 중심으로

        김예지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nalyzes the Violin Sonata No. 1 in G major, Op. 78 of Johannes Brahms(1833-1897).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understand the idiomatic style of his music and to help performers achieve a higher level of performance accordingly. Even though he belonged in the late Romantic Era, Brahms inherited the Classical tradition and established his own musical style, quite different from the contemporary trend to pursue new and innovative musical styles and expressions. With the Romantic lyricism in the Classical form, his works presented a new direction of development for music of the Romantic era. Brahms composed many works of chamber music, whose genre represented his musical style so well that they could be regarded as an important basis for understanding his music. The Violin Sonata No. 1 in G major Op. 78 is his first violin sonata composed during a period of 1878 to 1879, in Pörtschach, Austria which was known for beautiful scenery. The sonata is often subtitled “Regenlied” because Brahms used a melody at the opening of the third movement from his lied “Regenlied” (Op. 59, No. 3) with lyrics from a poem of Klaus Groth (1810-1899). The three movements are composed in the order of sonata form - ternary form - rondo form. At the time of composing this piece, Brahms was using techniques which were characterized by cyclic treatment of the thematic melodies or motives to organize and unify the music. These characteristics can be found in this sonata as well. The first movement is in a traditional sonata form in G major. It follows Classical compositional techniques that develop and transform themes presented in various forms such as sequence and contrapuntal motion, while it also shows Romantic characteristics through chromatic progression and coloristic chord progression. The second movement is a piece in a slow ternary form starting in E flat major composed of ABA' Coda and characterized by lyrical melodies in sorrow, which shows his romantic side very well. The third movement is a piece in second rondo form that starts in G minor and ends in G major, composed of ABA'CA'' and a Coda. It is characterized by a frequent use of the contrapuntal techniques such as rhythmic transformation and expansion of motives, crossing of parts, imitation, reduction and expansion of interval relation. It highlights the organization and unity of the whole piece by remi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ovement, repeating the melodies of the second movement and transforming and reproducing the dotted rhythm that is the major motive of the first movement. This study looked into Brahms' Violin Sonata No. 1 in G major Op. 78 from various angles, such as his life, characteristics of his music and the background for its composition, and analyzed its forms, melodies, rhythms, chords and compositional techniques in depth. As a composer of late Romantic period who succeeded the spirit of Classical style, Brahms revived various genres of the Classical music including a sonata form. Brahms also added Romantic elements appropriately by using colorful chord progressions, unique rhythms, and melancholic melodies, which gave birth to the music which had not existed before. Thus Brahms very well deserves a significant place in the history of music. 본 논문은 요하네스 브람스(Johannes Brahms, 1833-1897)의 Violin Sonata No. 1 in G major Op. 78을 분석함으로써 작곡가의 작풍을 이해하고, 연주자로 하여금 이를 반영하는 수준 높은 연주를 구현하게 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브람스는 고전주의 음악양식과 전통을 계승한 작곡가로 후기 낭만주의시대에 활동하였지만, 새롭고 혁신적인 음악양식과 표현을 추구하던 당시 시대의 흐름과는 다른 자신만의 음악세계를 구축하였다. 고전주의적 형식 속에 낭만주의적 서정성을 갖춘 그의 작품은 낭만주의시대 음악에 새로운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브람스는 실내악곡을 많이 작곡하였는데, 이는 브람스 음악을 이해함에 있어 중요한 바탕이 된다. Violin Sonata No. 1 in G major Op. 78은 1878-1879년에 작곡된 브람스의 첫 바이올린 소나타로, 아름다운 풍광을 지닌 오스트리아 푀르차흐(Pörtschach)에서 작곡되었으며 클라우스 그로트(Klaus Groth, 1819-1899)의 시를 가사로 하는 브람스의 가곡 ‘비의 노래(Regenlied, Op. 59, No. 3)’의 선율이 3악장의 서두에 인용되어 ‘비의 노래’라는 부제로 불리기도 한다. 각 악장은 소나타 형식-3부 형식-론도형식 순으로 이루어져있다. 이 곡을 작곡할 당시의 그의 작품들에는 주제선율이나 동기를 효과적으로 순환시켜 통일성을 부여하는 특징이 많이 나타났는데 이는 해당 작품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1악장은 G Major의 전통적인 소나타형식이다. 동형진행, 대위적진행과 같이 제시된 주제들을 여러 가지 형태로 발전, 변형시켜 전개해나가는 고전주의적 작곡기법을 따르고 있으며 반음계진행, 색채적인 화성진행을 통해 낭만주의적 특징도 함께 보여주고 있다. 2악장은 ABA' Coda로 구성된 E flat major로 시작되는 느린 3부형식의 곡이며, 애수를 띈 서정적 선율이 특징적이며 브람스의 낭만성을 잘 드러낸다. 3악장은 G minor로 시작하여 G major로 끝맺는 론도형식의 곡으로 ABA'CA''와 Coda로 이루어져있다. 동기의 리듬변형과 확장, 성부교차, 모방, 음정관계 축소 및 확장과 같은 대위적 기법을 잘 활용한 것이 특징이며, 2악장의 선율을 재현하고 1악장의 주요 동기였던 부점리듬을 변형, 재현하는 등 각 악장의 특징들을 다시 연상시켜 곡 전체의 유기성과 통일성을 부각시켰다. 본 논문을 통해 브람스의 생애, 브람스 음악의 특징, 해당 작품의 창작배경 등 Violin Sonata No. 1 in G major Op. 78의 작품배경에 대해 다각도로 살펴보았으며 형식, 선율, 리듬, 화성, 작곡기법을 분석하여 더욱 심층적으로 접근해보았다. 브람스는 고전주의적 정신을 계승하는 후기 낭만주의 작곡가로, 소나타를 비롯한 여러 고전적 장르의 음악들을 다시 꽃피웠다. 또한 색채적인 화성진행과 독특한 리듬, 우수에 찬 선율을 사용하는 등, 낭만적 요소를 적절히 가미하여 이전에 없던 새로운 자신만의 음악을 탄생시켰기에 음악사적으로 브람스의 위치는 매우 중요하다 할 수 있겠다.

      • 포도(캠벨얼리)와 오디 혼합 비율에 따른 과실주의 품질특성

        김예지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캠벨얼리로 만든 와인의 부족한 점을, 오디를 혼합하여 개선해 보고자 하는 의도로 시작하였다. 캠벨얼리에 오디를 여러가지 비율로 혼합함으로써, 색상, 타닌과 수렴성, 총 폴리페놀 성분을 증가시키고, 오디의 혼합 비율이 전체적인 와인의 품질에 구체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제조한 시료는 총 7가지로 시료 A는 캠벨얼리 100%, B는 캠벨얼리 80%, 오디 20%, C는 캠벨얼리 60%, 오디40%, D는 캠벨얼리 50%, 오디 50%, E는 캠벨얼리 40%, 오디 60%, F는 캠벨얼리 20%, 오디 80%, G는 오디 100%로 제조하였다. 최종 알코올은 7가지 모두 6.5-7.5% 안의 수치를 기록하였다. 주요 유기산은 malic acid, tartaric acid, succinic acid, lactic acid로 확인되었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캠벨얼리 포도의 값보다 오디 과실에서 2배가량 높은 값이 나타났다. 색도, 탁도 및 색조 값 또한 오디 함유율이 높은 와인에서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관능적 평가의 색상면에서도 캠벨얼리보다 짙은 색상을 띄는 오디 함유량이 높은 와인에 높은 선호도를 나타났다. 와인 전문가들이 관능적 평가에서 높게 평가하고 있는 와인의 바디감과 수렴성면에서도 오디의 함유율이 높은 와인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캠벨얼리 80%, 오디 20% 혼합한 시료 B가 가장 긍정적인 작용을 하는것으로 판단된다. 수치 분석과 관능평가를 종합적으로 살펴 보았을때, 캠벨얼리와 오디를 혼합함으로써, 가설처럼 와인의 색상이 짙어졌으며, 수렴성이 증가하였고, 폴리페놀 성분이 증가하였다. 캠벨얼리와 오디를 혼합하여 와인을 제조하는 것은 긍정적인 시도로 볼 수 있으며, 향후 좀 더 다양한 과종을 다양한 비율로 캠벨얼리와 혼합함으로써, 국산 와인을 다양화시키고 소비층을 넓혀 국내 와인 시장 규모 확대에 기여할 수 있다고 판단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ether in Campbell Early grape wine blend with Mulberry wine has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in wine industry, comparing to grape wine which was made by just Campbell Early wine making method.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purpose, this study employed 7 groups of wine making methods, which are blended with Mulberry on various proportion on same condition to make a comparison and analysis each other. In view of Change in Reducing sugar concentration results Mulberry wine is more than others. In view of Change in Alcohol concentration that on Campbell Early wine showed high Alcohol concentration than other Mulberry wines. The pace of Alcohol concentration changes during wine fermentation was similar each other among all wine making method. pH changes of wine during fermentation was similar each other among all wine making method but in first day I measured pH it shows that Mulberry wine had high pH measures than Campbell Early grape but during fermentation it shows the pH measures were keep decreased and at 16 days after fermentation pH measures were all stabilized. In case of Total phenol of wine during fermentation, the group which has more Mulberry proportion were higher than Campbell Early wine. And it showed that in colors of the wines Intensity and Turbidity showed the wines in more proportion of Mulberry has more higher measures and shows more stable in view of color. It showed big difference with the group which has high proportion of Campbell Early grape wine. This study which analyzed major organic acids in each group as well found out malic acid, tartaric acid, succinic acid and lactic acid in all 7 groups of wines. Among the 7 groups of wines many people prefer 80% of Campbell Early and 20% of Mulberry blended wine and showed the blended wines has more complexity and has promising industries than by making one kind of fruit.

      •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일본어Ⅰ 교과서 어휘 분석

        김예지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서 작성된 고등학교 일본어 교과서인 『일본어Ⅰ』의 6종 교과서에 나온 어휘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6종 교과서의 어휘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전체어수와 개별어수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6종의 교과서에 사용된 어휘에 기본 어휘가 얼마나 반영되었는지를 알아보았다. 교육과정에서는 기본 어휘 중 500낱말 내외를 사용해야 한다고 되어있다. 이에 5종의 교과서가 500낱말이라는 기준에 맞게 기본어휘를 반영하였고, 1종의 교과서 조금 부족하게 반영하였으나, 기준에서 많이 벗어나는 범위는 아니었다. 다음으로 어종을 분석한 결과, 고유 일본어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이어서 한자어, 외래어, 혼종어 순으로 많이 사용되었다. 품사를 분석한 결과, 명사가 전체의 70.2%를 차지하고 있었다. 또한 6종 교과서의 공통어휘를 분석한 결과, 6종 모두에 사용된 어휘는 204개로 전체 어휘에 비해 매우 낮은 어휘량을 보였다. 6종 교과서에서 공통으로 사용된 어휘 중에서 161개가 기본 어휘에 속했다. 그리고 오히려 공통으로 사용되지 않은 어휘가 615개로 공통으로 사용된 어휘보다 더 많은 어휘량을 보였다. 교육과정에서 교과서를 제작하는데 있어서 어휘 선정에 조금 더 명확한 선정 기준을 제시해 준다면 공통 어휘 비율이 더 높아 질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상의 결과들을 모두 확인 할 수 있는 어휘 데이터베이스를 작성하였고, 이 어휘 데이터베이스가 차후의 어휘를 연구하는 연구자나 교육자에게 연구 목적이나 교과서 선정에 있어서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本論文では、2007年改訂教育課程につき、作成された高等学校日本語テキストである『日本語Ⅰ』の6種のテキストに使われた語彙をデータベース化し、分析を実施した。6種のテキストの語彙データベースを基盤として述べ語数と別個語数を調査した。そして6種のテキストに使われた語彙の中、基本語彙がどれだけ反映されているのかを調べた。教育課程では、「基本語彙の中の500単語の内外を使用すべき」と記されている。その結果、5種のテキストが500単語の内外という基準に合わせて基本語彙を反映している。しかし、1種のテキストだけ基準に合わせて反映しなかったことがわかった。だが、基準から少しだけ離れていただけで、基準を守っていないとは言えない範囲である。続いて語種を分析した結果、和語が一番多く使われていた。その次で漢語、外来語、混種語の順で多く使われている。そして、品詞を分析した結果、名詞が全体の70.2%を占めていた。また、6種のテキストの共通語彙を分析した結果、6種のみんなに使われている共通語彙は204個で、全体の語彙に比べ、とても少ない語彙数を示した。そして6種のテキストに共通で使われた語彙の中、161個が基本語彙に含まれていた。それに反して、共通で使われていない語彙は615個で、共通に使われている語彙よりもっと多かった。教育課程でテキストを作成するときの語彙の選定にはっきりした選定基準を示していれば、共通語彙の割合が今よりもっと高めると思う。以上の結果をみんな確認できる語彙データベースを作成したので、これを使って今後、語彙研究をする研究者や教育者に研究目的やテキスト選定に役立てればいいと思う。

      • 자기의식과 일상만족이 신기성 욕구에 미치는 영향 : 탈일상동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예지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boundaries between daily life and tourism are gradually fading. Tourism types deviate from the concept of traditional tourism that presupposes extraordinary space and time. Tourism Needs and lifestyles are diversifying, ranging from the desire not to travel to the desire to travel much. As such, the distinction between daily life and tourism is becoming ambiguous due to diversification of individual tourism needs and lifestyle. Similar tourism experiences in daily life are accelerating, but academic research is insufficient. In order to comprehensively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aily life and tourism, this study used C. G. Jung's individuation theory as a conceptual framework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lf-consciousness and Life satisfaction on Novelty need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Escapism motivation. The survey targets 600 residents aged 20 to 70 living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 The proportional allocation method of age, region was applied. Based on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August 22 to August 25, 2022. For the analysis of the finally obtained dat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Amos 24 and SPSS 25 statistical programs. The relationship between daily life and tourism was quantitatively investigated on how the degree of self-consciousness in daily life affects Life satisfaction, how it affects the desire to escape from daily life according to Life satisfaction, and finally, how it affects the desire to pursue newness in tourism. First, self-consciousness had a nega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and second, self-consciousness had a positive(+) effect on both self-expansion and self-avoidance, and the higher the level of self-consciousness in daily life, the higher the escapism motivation. Third, Life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scapism motivation, and in detail, Life satisfac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he escapism motivation, and the lower the satisfaction, the higher the escapism motivation.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effect of Life satisfaction on novelty Need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Self-expansion and Self-avoidance had an indirect effect between life satisfaction and Novelty Needs. Fifth, Escapism Motiv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Novelty Needs. In detail, As self-expansion increases the Novelty Needs. However, Self-avoidance decreases the Novelty Need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daily life and tourism was adjusted according to youth and middle age, which are the period of individuation. This study attempted a new interpretation of various forms of tourism including daily life and tourism needs. It is of great significance that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daily life and tourism has been integrally interpreted from the perspective of Jung's theory of individuation. 일상과 관광의 경계가 점차 희미해지고 있다. 전통적인 관광 즉, 비일상적인 공간과 시간을 전제로 하던 관광 개념에서 벗어난 일상을 포함하는 관광의 형태가 빠르게 늘고 있다. 집에서 휴식, 명상 등 여가활동을 하면서 크게 여행하고 싶지 않은 욕구에서부터 디지털 기기를 가지고 다니며 일과 여행을 병행하는 높은 관광욕구 등 관광욕구와 라이프스타일이 다변화되고 있다. 이처럼 개인의 관광욕구 다양화, 라이프스타일 다변화에 따른 일상과 관광의 구분이 모호해지고 있다. 또한 일상에서 유사 관광경험 등을 통해 일상에서의 충족화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으나, 학술적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일상과 관광의 관계를 통합적으로 규명하기 위하여 융(C. G. Jung)의 개성화 이론을 개념적 틀로 삼아 일상에서의 자기의식과 일상만족이 신기성 욕구에 미치는 영향과 함께 탈일상동기의 매개효과를 규명하였다. 조사대상은 서울시와 인천광역시, 경기도에 거주하는 만 20세 이상 70세 미만의 도시민 600명이다. 연령별, 지역별, 성별 구성비를 기준으로 비례할당방식을 적용하였다. 구조화된 설문지를 바탕으로 2022년 8월 22일부터 8월 25일간 조사가 진행되었다. 최종 확보된 데이터의 분석을 위해 Amos 24, SPSS 25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일상에서 느끼는 자기의식 정도가 일상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일상만족에 따라 일상을 벗어나고자 하는 탈일상동기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와 최종적으로 일상과 다른 새로움에 대한 관광욕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일상과 관광의 관계를 정량적으로 규명하였다. 연구 결과, 첫 번째로 자기의식은 일상만족에 음(-)의 영향을 주어, 자기의식이 높아질수록 일상만족이 낮아졌다. 두 번째로 자기의식은 탈일상동기인 자기확장과 자기회피 모두 양(+)의 영향을 가져, 일상에서의 내적 자아, 외적자아, 타인과의 상호작용에서의 불안감 등 자기의식 수준이 높을수록 일상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탈일상동기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로 일상만족은 탈일상동기에 음(-)의 영향을 가져 일상에서 만족감이 낮을수록 일상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탈일상동기가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네 번째로 일상만족이 신기성 욕구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적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일상만족과 신기성 욕구의 영향관계에서 탈일상동기인 자기확장과 자기회피가 매개변수로 적용하여 간접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검증하였다. 다섯 번째로 탈일상동기는 신기성 욕구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긍정적인 결과를 추구하기 위한 탈일상동기인 자기확장이 높아질수록 신기성 욕구는 높아지는 반면, 일시적으로 불안한 생각을 제거하기 위한 탈일상동기인 자기회피가 높아질수록 신기성 욕구는 낮아졌다. 또한 개성화 시기인 청년기와 중년기에 따라 일상과 관광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일상을 포함한 관광의 다양한 형태와 관광욕구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였다. 관광을 일상과 상반된 개념으로 다뤄온 전통적인 관광에서 더 나아가 일상과 관광의 영향관계를 융(Jung)의 개성화 이론의 관점으로 통합적으로 해석했다는 것에 큰 의의가 있다.

      • 기업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ESG Materiality 이슈 분석

        김예지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투자자, 규제 기관 및 정책 입안자의 요구로 인해 기업가치에 영향을 미치는ESG Materiality정보 공시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고 있다. 하지만 현업은 ESG Material Issue에 대해 인지하지 못하고 있으며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어려워 공시 자체를 할 수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ESG Materiality(중요성)에 대한 개념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는 어떤 ESG Issue가 있는지를 알기 위해 ESG Materiality 관련된 Dimension별 세부 이슈 파악 및 정리하고 얼마나 중요한지를 알기 위해 계량 경제 모델 테스트를 통해 ESG Materiality Issue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ESG Material Issue는 미래 기업가치인 Tobin’s q에 긍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나 ESG Immaterial Issue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산업군 별 ESG Material Issue를 세부적으로 분석한 결과 산업군별 중ESG Material Issue에 대해 유의미한 영향이 있는 Issue 와 유의미한 영향이 없는 Issue 가 있었다. 또한ESG Immaterial Issue에 있어서도 유의미한 영향이 있는 Issue 와 유의미한 영향이 없는 Issue 가 산업군별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ESG와 기업가치 관련 문헌에 ESG Materiality를 탐색함으로써 새로운 연구 동기를 부여하였으며 공시 관련 연구에 있어 의사결정의 유용성 제고하였다는데 학술적 기여점이 있다. 또한 평가회사/투자회사/기업/Standard 입장에서 다양한 ESG Issue 중 Materiality에 따라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기반을 마련한 것에 실무적 의의를 가진다. Regulations on the disclosure of ESG materiality information that affects corporate value are being reinforced owing to demands from investors, regulators, and policy makers. However, some businesses are not aware of the ESG material issues, and it is difficult to identify the impact on corporate value, making it impossible to disclose. Therefore, this study utilized the concept of ESG materiality. There are studies on the usefulness of ESG disclosure in decision-making, little is known about the impact of ESG materiality on corporate value. Hence, this study identified and organized detailed issues per dimension related to ESG materiality in order to identify which ESG issues exist and confirmed the impact of ESG materiality issues on corporate value through an econometric model test to determine how important they are. ESG material issues had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Tobin's q, the future corporate value, but ESG immaterial issues were not significant. Detailed analysis of ESG material issues by industry group was thereby performed, and there were issues that had a significant impact on ESG material issues by industry group and issues that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In addition, in ESG immaterial issue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issues with a significant impact and issues without a significant impact by industry group. This study has academic contributions in that it provides motivation for new research by exploring ESG materiality in literature related to ESG and corporate value and improves the usefulness of decision-making in research related to disclosure. In addition, it has practical significance in establishing a basis for decision-making according to materiality among various ESG issues from the perspective of evaluation companies/investment companies/corporations/standar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