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청소년극 <꿈꾸러기>를 활용한 연극교육 프로그램 효과 연구 : -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한 사회성 향상을 중심으로 -

        김예원 성결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55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a theater education program using the youth play <!-- Not Allowed Tag Filtered --><Dreamer> - Focusing on improving sociality through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 Kim Ye Won Department of Education, Major in Theater and Film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SungKyul University, Anyang Korea Advisor; Prof. Lee Won Hyeon This research endeavors to scrutinize the augmentation of sociality in adolescents. characterized as an amalgamation of law-abiding behavior, cooperative spirit, sociability, and autonomy, fostered through engagement in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The study seeks to judiciously select and suitably adapt youth play productions for application within a diverse array of creative experiential contexts, with a particular emphasis on their efficacy in enhancing adolescent sociality. The intent of this scholarly inquiry is to propose a specialized drama education program tailored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is program is envisioned to be underpinned by a series of case studies in classroom settings, employing these modified youth play works as pivotal tools to reinforce sociality among adolescents. In the context of the COVID-19 pandemic and the ensuing era marked by rapid societal transformation, the role of sociality during adolescence assumes an increasingly pivotal position. Specifically, the sociality of adolescents not only exerts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process of socialization as they transition to adulthood but also plays a formative role in shaping the culture of peer relationships within the educational milieu. This encompasses aspects such as the development of relationships with educators, active participation in learning endeavors, adherence to institutional norms, and the overarching evolution of interpersonal dynamics. Collectively, these elements are integral to the socialization process as adolescents navigate the path to adulthood. Particularly notable is the middle school phase characterized by a more heterogeneous environment compared to elementary education. Here, students encounter an expanded variety of academic disciplines and are subject to prolonged instructional periods. Consequently the requisite scope of sociality transcends mere rudimentary interpersonal interactions extending to a more comprehensive range of social competencies demanded across diverse academic subjects and activities. Additionally, the adaptation to peer relationships during this stage becomes a critical component of their social, emotional and behavioral development. The researcher, cognizant of the prevailing necessity and challenges, successfully elicited efficacious outcomes in augmenting sociality during adolescence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an array of programs inclusive of a drama education program. The empirical evidence underscored the imperative for rejuvenating drama education initiatives especially considering the observed paucity of engagement in theatrical pursuits within the autonomous cultural and arts activities in schools. Historicall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South Korea has dedicated substantial efforts towards fostering individuals endowed with both creativity and moral fiber equipped to seamlessly navigate the fluid landscape of an ever-changing society. This overarching objective was prominently featured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which was geared towards the cultivation of creative talents, as well a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hich placed a strong emphasis on developing competencies that mirror the varied demands of a dynamically transforming society. Within the framework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there is a sustained emphasis on the imperative for pedagogical innovation that nurtures the capacity to actively engage with societal transformations, in alignment with the competencies envisaged for future societies. This approach encompasses the fortification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that is integrally connected to real-life experiences, with a primary focus on cultivating a proactive human ethos characterized by creativity and inclusiveness designated as fundamental competencies and objectives. In this context, the 2022 curriculum revision accentuates the vital role of foundational attributes in the augmentation of life-relevant competency education. Through an empathetic and collaborative educational approach it seeks to enhance inclusivity and comprehension. These objectives are closely associated with the essential competencies developed through drama education. The essence of drama education transcends the mere accomplishment of dramatic functions or the mastery of its techniques. It entails engaging learners in the comprehensive journey of drama education where collaboration and communication are pivotal, thereby facilitating the acquisition of social competencies and the amplification of sociality. The drama education program critically facilitates individual recognition of roles within communal contexts cultivates appropriate social relationships promotes cooperative and constructive communication, and necessitates the aptitude to adapt to a dynamically evolving society. Consequently, acknowledging the imperative for a diversified array of drama education programs an expansion of these initiatives is advocated. In alignment with this rationale, a pertinent youth play production was judiciously selected to serve the objectives of this investigation culminating in the formulation of a bespoke drama education curriculum. The research, conducted by the investigator who concurrently assumes the role of a drama pedagogue, was implemented with a cohort comprising 6 pupils from C Middle School in Gyeonggi-do and 28 pupils from G Middle School in Seoul. Each instructional session, extending for a duration of 90 minutes, was systematically executed over a span of 10 sessions. In an effort to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assess the augmentation in participants' sociality, a series of pre-study and post-study surveys were deployed. The ensuing data was meticulously scrutinized employing a mixed-methods research paradigm. Furthermore, to ascertain and reinforce the credibility and pedagogical soundness of the drama education program comprehensive feedback and critical reviews were sought from seasoned educational experts. This input was subsequently disseminated and discussed with the respective educational facilitators at the involved institutions. The findings and implications of this scholarly inquir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drawing upon the thematic essence and societal reflections encapsulated in the youth play production <!-- Not Allowed Tag Filtered --><Dreamer> the researcher adeptly foregrounded social issues through the lens of adolescent experience, discerning societal challenges as they pertain to the adolescent demographic. This perspective eschewed the conventional view of adolescents as societal problems, instead highlighting the societal context in which they exist. This nuanced approach demonstrated its efficacy in bolstering sociality during adolescence. Moreover, the integration of drama education within the realm of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in middle schools, as delineated in the revised 2022 curriculum, manifested discernible pedagogical impacts. This transcended the mere execution of drama's functional aspects, extending to the augmentation of sociality, inclusive of pivotal skills such as communicative, behavioral, emotional, and cognitive competencies. Secondly, the research methodology employed a mixed-methods approach utilizing a specifically designed sociality measurement instrument consisting of 20 closed-ended pre- and post-survey questions. The empirical data revealed an initial average rating of 3.14 on a 5-point scale prior to the introduction of the youth play <!-- Not Allowed Tag Filtered --><Dreamer> drama education program. Subsequent to the program's conclusion a marked enhancement in sociality was observed with scores escalating to 3.30, signifying a substantial increment of 0.16 points. Further in-depth analysis, conducted via open-ended surveys and responses anchored in the participants' post-program experiential narratives elucidated positive shifts across seven pivotal dimensions intrinsic to adolescent sociality: community integration, self-awareness, autonomy, interpersonal interaction, empathy towards others, effective communication, and empathic engagement. Thirdly, the participants engaged in the drama education program exhibited significant advancements in their self-expression capabilities. Participation in the processes of rehearsing and enacting character roles within the production not only fostered both internal and external emotional empathy and communicative exchanges but also exerted a positive influence on their self-confidence. Consequently, through this research the investigator has successfully demonstrated that a drama education program employing the youth play production <!-- Not Allowed Tag Filtered --><Dreamer> is effective in fostering sociality during adolescence. Moreover, in recognizing the critical importance of drama education, there exists an expectation for the formulation and implementation of varied and substantial drama education initiatives. These initiatives are to be incorporated within the ambit of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in secondary school curricula contributing to the ongoing enhancement and rejuvenation of drama education. This perspective underscores the commitment to expanding the pedagogical repertoire in a way that enriches the educational landscape and addresses the evolving developmental needs of adolescents. 청소년극 <꿈꾸러기>를 활용한 연극교육 프로그램 효과 연구 -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한 사회성 향상을 중심으로 - 성결대학교 교육대학원 연극영화교육전공 김예원 지도교수 이원현 본 연구는 창의적 체험활동이 청소년들의 준법성과 협동성, 사교성 그리고 자주성의 결정체인 사회성 향상에 기여함을 전제로 하여본 연구자가 실제 수업 현장에서 활용한 중학교 대상 청소년극 <꿈꾸러기> 연극교육 프로그램 효과를 입증하는 것이 그 목표이다. 코로나 팬데믹 시대를 지나 더욱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의 사회에서 청소년기의 사회성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청소년기의 사회성은 성인이 되어가는 과정에서의 사회화 형성뿐만 아니라 학교생활에서 경험하는 또래 집단 및 교사와의 관계 형성, 학습활동, 학교 규칙 등에서 영향을 끼치게 된다. 특히 중학교 시기는 초등학교의 환경보다 다양한 구성원과 어우러지며 학습자가 경험하게 되는 교과의 종류도 늘어나 수업 시간도 길어지기 때문에 단순한 대인관계에 필요한 사회성에 국한되는 것이 아닌 각 교과 및 활동에서 요구되는 사회성 기술의 범위가 넓어지며, 또래 관계 적응 영역이 사회적, 정서적, 행동적 발달에 핵심적인 역할이 필요하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필요성과 문제점을 인식하여 청소년기 사회성 향상을 위한 청소년극 연극교육 프로그램 적용으로 효과적인 사회성 향상 결과를 도출해낼 수 있었으며, 설문 조사 결과 창의적 체험활동에서 청소년에 특화된 청소년극 연극교육 프로그램이 주효함을 알 수 있었다. 앞서 교육부에서 운영하였던 2009년도 개정 교육과정 인재상과 2015년도 개정 교육과정 역량에서의 공통점은 창의적인 인재로서 끊임없이 변화하는 사회 안에서의 다양한 사회요구를 반영시키는 데에 있어서 창의와 인성을 함께 지닌 인재를 키워내는 데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2022년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마찬가지로 사회적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역량 함양이 가능한 교육 혁신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삶과 연계한 역량 교육의 강화를 핵심역량이자 목표로 하여 창의성과 포용성을 갖춘 주도적인 인간상을 중점으로 두고 있다. 2022년 개정 교육과정 역량에서 언급되는 삶과 연계한 역량 교육의 강화에 있어 기초소양을 강조하고, 공감과 상호협력적 교육을 통하여 포용력과 이해력 증진은 연극교육이 함양하는 핵심역량과 연관된다. 이는 연극의 기능을 단순 성취하고, 습득하는 것이 아닌 학습자가 연극교육의 전반적인 과정을 통해 협업하고 소통해 나아가며 사회적 기술을 습득하여 사회성 향상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연극교육 프로그램은 공동체 안에서의 개인적 역할을 인식하게 하고, 올바른 사회적 관계성을 포함하여 서로 협력하고 긍정적 소통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끊임없이 변화하는 사회에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요구하기 때문에 이러한 필요성을 인식하여 확대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 목적에 적합한 청소년극 작품을 선정하고, 연극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자는 연극 강사로 출강하였던 경기도 소재 C 중학교 6명, 서울시 소재 G 중학교 28명을 대상으로 한 회기당 90분씩 2차시 총 10회기의 수업을 실행하였다. 본 연구 참여자들의 사회성 향상을 측정하기 위하여 연구 사전, 사후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혼합연구방법을 사용하여 연구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연극교육 프로그램의 신뢰도를 위하여 교육 전문가의 피드백과 검토를 받았으며, 해당 학교의 담당 교사와 설문 내용을 공유하여 수정 및 보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극 <꿈꾸러기> 연극교육 프로그램은 청소년 관점에서 사회적 시사점과 문제점을 주요하게 다룸으로 학생들의 사회성 향상에 큰 영향을 주었다. 또한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중학교 창의적 체험활동에 있어 연극교육 통한 교육적 효과를 알 수 있었으며, 이는 연극의 기능을 단순 성취하는 것이 아닌 의사소통, 행동, 정서, 인지적 기능으로서의 사회적 기술을 비롯하여 사회성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극 <꿈꾸러기> 연극교육 프로그램은 청소년기 사회성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는 요소인 공동체, 자기인식, 자율성, 상호작용, 타인 이해, 소통, 공감 총 7개의 범주에서 긍정적인 변화의 결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도출을 위한 사회성 측정 도구로 혼합연구를 진행하여 20개의 문항으로 폐쇄형 사전, 사후 설문 조사를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청소년극 <꿈꾸러기> 연극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총 5점 척도에서 평균 3.14 결과가 나타났으며, 프로그램 후 사회성은 3.30으로 나타나 0.16점의 향상을 보여 유의한 결과를 검증하였다. 셋째, 청소년극 <꿈꾸러기> 연극교육 프로그램은 참여자들의 자기표현 능력 증진에 영향을 미치는 효과가 나타났으며, 작품의 등장인물의 역할을 맡아 연습하고 발표하는 과정에서 내·외적 정서적 공감 및 소통이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자신감에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요컨대, 본 연구자는 청소년극 <꿈꾸러기>를 활용한 연극교육 프로그램이 청소년기 사회성 향상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었다. 또한, 연극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중등학교 교육과정 내 창의적 체험활동에서의 다양하고 구체적인 연극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더불어 연극교육의 지속적인 활성화를 기대한다.

      • Franz Liszt Hungarian Rhapsody No.12에 대한 연구분석

        김예원 청주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의 목적은 리스트의 헝가리 랩소디가 헝가리 민속음악에서 어떤 영향을 받았는지 리스트 헝가리 랩소디 제12번<Hungarian Rhapsody No.12>의 분석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리스트는 낭만주의 시대의 작곡가로서 형식적이고 틀에 박혀있던 고전주의에서 벗어나 다양하고 자유로운 음악을 추구하였고 헝가리 민속음악 또한 자유롭고 다양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리스트가 헝가리 음악에 관심을 느낀 것을 엿볼 수 있었다. 헝가리 민속음악과 집시음악은 자유스러운 리듬과 다양하게 바뀌는 박자,형식등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먼저 헝가리 민속음악에 영향을 받은 헝가리안 랩소디 19곡을 알아보았다. 선율적 특징으로는 헝가리 단음계를 쓴 것, 형식에 있어서는 헝가리 민속 춤곡인 차르다시의 영향을 받은 점, 헝가리 집시음악을 연주하는 악기들(바이올린,침발론)을 사용한 점, 즉흥연주를 위해 카덴짜 성격으로 곡을 작곡한 점 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헝가리 랩소디 제12번을 형식의구성 및 선율의구조, 리듬의형태 및 순환적구조 그리고 조성의 특징으로 나누어 헝가리 민속음악이 헝가리랩소디 제12번에 어떻게 접목되었는지 분석하였다. 헝가리랩소디 제12번의 형식구조에서는 헝가리 민속무곡의 형태인 차르다시 무곡형식을 따르고 있으며 차르다시 무곡의 특징인 느린 랏산 부분이 나타난다. 선율구조에서는 각 동기마다 헝가리 단음계와 장음계를 쓴 것과 멜랑콜리한 성격의 선율, 민속악기 사용과 즉흥적인 음악적 요소가 쓰여진걸 알 수 있었다. 리듬의 형태로는 자유스러운 리듬과, 당김음 등이 많이 쓰였고, 리스트는 곡의 통일감을 주기 위해 순환적 주제를 주로 사용하였다는 것을 알수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ung Rhapsody No.12, by Franz Liszt to see how he was influenced by Hungarian folk music. Liszt was a composer of Romanticism and pursued a variety of music, away from the formal and stereotypical classicism. Hungarian folk music is also free and has a variety of features so it is well understood that Liszt had interest in Hungarian music. Hungarian folk music and gypsy music have free rhythms and diversly varying beats and forms. It was sought to examine 19 Hungarian Rhapsodies influenced by Hungarian folk music. It was found that there are many common features such as they used Hungarian monophonic system for the melody, that they were influenced by the Hungarian folk dance (Csardas) in the form, that they used musical instruments that Hungarian gypsy musicians played (violin and cimbalom), and they composed music with cadenze characteristics for improvisation. In this paper, Hungarian Rhapsody No. 12 was analyzed in terms of form, melody, rhythm, recurring structure, and compositional characteristics. It was tried to see how the Hungarian folk music was grafted to Hungarian Rhapsody No. 12. In the format structure, the Hungarian Rhapsody No. 12 followed the form of the Hungarian folk song Csardas dancing music. It shows the slow lassan which is the characteristics of Csardas. In the melody, it was found that each of the motives used the Hungarian minor scale and the Hungarian major scale, melancholy melody, folk instruments and improvisational musical elements. In the form of rhythm, a lot of free rhythms were found and many syncopations were used. Liszt used recurring themes mainly to give unity of the music.

      • 가격할인이 브랜드 이미지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어의적 단서의 조절적 영향

        김예원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가격할인은 제품이나 서비스의 판매를 촉진하기 위한 비교적 단기적인 동기부여 수단의 총칭으로 소비자에게 현재 구매시점에서 구매할 이유를 제공하는 촉진 방법이다. 즉, 어떤 상품을 구입해야 하는 이유를 제공해 주는 것이 광고의 역할이라면, 어떤 상품을 구입하도록 인센티브를 제공해 주는 것이 바로 판매 촉진 중 하나인 가격할인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가격할인은 소비자에게 제품 관련 정보를 제공하거나 구매행동을 유발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많은 브랜드들이 상당한 시간과 돈을 투자하여 가격할인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가격할인은 일시적으로 매출액 증가에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지나친 가격할인은 오히려 브랜드 이미지에 손상을 줄 수도 있다. 가격할인 광고에 대한 선행연구가 가치지각, 구매의도, 호감도 등에 대하여는 이루어져왔지만, 브랜드 이미지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진한 상태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현실을 감안하여 가격할인을 하였을 때와 가격할인을 하지 않았을 때의 브랜드 이미지와 구매의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할인을 할 때는 어떠한 어의적 단서가 브랜드 이미지와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봄으로써 효과적인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가격할인을 하지 않았을 경우와 가격할인을 하였을 경우, 두 가지 유형의 가격할인 어의적 단서 간에는 브랜드 이미지와 구매의도에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①정상가격 vs 할인율, 정상가격, 할인가격의 브랜드 이미지를 측정 후, 비교한 경우에는 정상가격만을 제시한 패밀리 레스토랑의 광고는 브랜드 이미지에 대한 전문성은 높게 나타났지만, 할인율, 정상가격, 할인가격의 어의적 단서에서는 소비자들이 브랜드 이미지 연상의 독특함, 강도(즉각적으로 떠오름), 자부심에서 높게 평가되었다. ②정상가격 vs 할인가격의 브랜드이미지 차이에서는 정상가격만을 노출시켰을 때 소비자들은 브랜드 이미지의 신뢰성, 전문성, 고급스러움이 높게 나타났으며, 할인가격을 제시하였을 때는 독특하다고 느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①정상가격 vs 할인율, 정상가격, 할인가격, ②정상 가격 vs 할인가격의 구매의도의 차이에 대한 두 유형의 연구결과는 선행연구와 마찬가지로 정상가격만을 제시한 경우보다 어의적 제시 유형(할인율, 정상가격, 할인가격/할인가격)에 상관없이 할인하였을 때, 구매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두 가지 유형의 어의적 단서(할인율, 정상가격, 할인가격 vs 할인가격)간의 브랜드 이미지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는 할인율, 정상가격, 할인가격의 어의적 단서를 제시한 경우가 할인가격 만을 노출시켰을 때보다 브랜드 이미지가 모든 항목에서 높게 나타났다. 넷째, 어의적 단서(할인율, 정상가격, 할인가격 vs 할인가격)의 구매의도를 검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할인율, 정상가격, 할인가격을 제시한 경우는 할인가격 만을 단서로 노출시켰을 때보다 구매의도가 모든 항목에서 높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가격할인을 하여 판매하는 제품은 정상가격으로 판매하는 제품보다 전문성과 신뢰성이 떨어지고, 고급스럽지 않다는 부정적인 브랜드 이미지를 갖지만, 소비자들은 가격할인 하여 판매하는 제품에 대해 더 잘 즉시 생각나고(강도), 브랜드를 독특하게 여기며, 그러한 제품을 사용하는데 자부심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가격할인의 두 가지 유형의 어의적 단서의 차이를 비교해 보면 할인가격만 노출 시켰을 때 보다 할인율, 정상가격, 할인 가격을 노출 시켰을 때 브랜드 이미지가 전체적으로 고르게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할인율, 정상가격, 할인가격의 어의적 제시(semantic cue)는 이용하고 싶고, 다른 사람에게 추천을 하는 등의 구매의도에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 고등학생의 학업적 정서조절이 메타인지를 매개하여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김예원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effects of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on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high school students through meta-cognition empirically.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effect of high school students’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Second, when including meta-cognition as mediating variable, what is the effect of high school students's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For this study, 506 high school students from 3 high schools in Seoul were surveyed. A total of 470 questionnaires were used as research data. On the basis collected data, this study examined the frequency and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ratio metric correlation analysi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and mediating effects using bootstrapping. Baron and Kenny’s 3-step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s used to figure out the relationships among sub-variables and the effect of the mediating variabl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in high school students. Positive reevaluation of emotions among the sub-variables of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was the most positive influence. Second, there a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and meta-cognition, and between meta-cognit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respectively, which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ddition, mediating effects of meta-cognition are found between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the regard of verification of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sub-variables, emotional awareness has a positive effect on goal selection through all sub-variables of meta-cognition. Positive reevaluation of emotions affects all sub-variables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meditating all sub-variables of meta-cognition except future plan. Based on the above results, we can conclude the following. First, high school students’ self-efficacy about the career decision is influenced not only by the reasonable and rational judgment process but also through the internal process which realize and regulate the variable emotions experienced in the academic situation and change them positively. The variable that is the most influential in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high school students is positive reevaluation of emotion. This shows the influential variables to increase self-efficacy for career; the awareness of one's own emotions, the efforts to deal with the emotional responses to achieve a given goal in the academic context, and the effort to shift the emotions experienced in the academic situation positively rather than the degree of ownership of th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Second,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control their own emotions not only helps to predict their behavior, but also influences their understanding and control of cognition, which in turn affects career decision making. The sub-variable of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which has the most effect on goal choice is the awareness of emotion. Also, the awareness of emotion is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in goal choice when mediating the meta-cognition sub-variables, planning, monitoring, and regulation. The more students aware and understand by himself various emotions experienced in academic situations, the more they increase self-confidence to choose goals well for their own career. Third, all meta-cognitive sub-variables of plan, monitoring and regulation have an effect of mediating academic emotional control with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erefore, raising the meta-cognition has a meaningful effect on increasing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학업상황에서 정서조절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학업적 정서조절이 메타인지를 매개로 하여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토하고 분석하는데 있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의 학업적 정서조절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메타인지를 매개로 할 때, 고등학생의 학업적 정서조절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위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도권에 위치한 일반계 고등학교 중 3곳의 고등학생 50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응답완료 된 총 470부의 설문지를 연구 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여 본 연구에서는 먼저 빈도 및 기술통계, Pearson 적률상관 분석을 하였고, bootstrapping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및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Baron과 Kenny(1986)의 3단계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하위변인 간 영향관계 및 매개효과를 고찰하였다. 그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의 학업적 정서조절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학업적 정서조절 하위변인 중 정서의 긍정적 재평가가 가장 큰 정(+)적 영향력을 가진 하위변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업적 정서조절과 메타인지, 메타인지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간에는 각각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으며, 학업적 정서조절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메타인지의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하위변인 간 매개효과 검증에서는 정서의 자각은 메타인지의 모든 하위요소를 매개하여 목표선택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정서의 긍정적 재평가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미래계획을 제외한 모든 하위변인에 메타인지의 모든 하위변인을 매개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분석을 통하여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의 진로결정에 대한 자신감은 단순히 합리적이고 이성적인 판단과정의 영향이외에도 학업상황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정서를 자각·조절하여 긍정적으로 전환하는 내적과정을 통해서도 의미 있는 영향을 받는다는 점이다. 고등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변인은 정서의 긍정적인 재평가로 나타났다. 이것은 학생이 학업상황에서 자신의 정서를 자각하는 것과, 주어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정서적 반응을 처리하는 노력, 정서조절 전략의 소유정도보다 학업상황에서 경험하는 정서들을 긍정적으로 전환하고자하는 노력이 진로에 대한 자신감을 높이는 영향력 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둘째, 학생이 학업상황에서 자신의 정서를 이해하고 조절하는 능력은 자신의 행동을 예측하는 데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인지에 대한 이해와 조절능력에도 영향을 주어 진로결정에 대한 자신감을 갖게 한다. 목표선택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학업적 정서조절의 하위변인은 정서의 자각으로 나타났으며, 메타인지 하위변인인 계획, 점검, 조절을 매개로 할 때에도 정서의 자각이 목표선택에 가장 영향력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업상황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정서에 대해 학습자가 자각하고 이해할수록 자신의 진로에 대한 목표선택을 잘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계획 점검, 조절의 메타인지 하위변인 모두 학업적 정서조절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매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메타인지를 높이는 것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높이는데 의미 있는 효과성을 야기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교사 역량 연구동향 분석 : 코로나19 전후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김예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코로나19로 인해 교육환경이 급격히 변화하면서 교사가 갖추어야 하는 필수역량에 대해서도 새롭게 재조명되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2015 및 2022 국가 개정 교육과정에서 역량 개념을 강조함에 따라 교사 역량의 중요성 또한 함께 대두되었고, 최근까지도 교사 역량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이 학교급별, 역량별, 관점별로 다소 산발적으로 수행되는 경향이 있어, 실제 교육 현장에 적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 전후로 총 6년 간의 교사 역량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을 살펴보며, 교사 역량에 대한 학문적 논의를 종합함과 동시에 코로나19 이후 여전히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역량과 새롭게 강조되는 역량을 함께 확인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한 자료는 Web of Science의 KCI(Korea Journal Database) 카테고리 내에서 논문의 제목, 초록, 저자 키워드에‘교사’및‘역량’키워드가 포함되는 논문들을 수집하였다. 결과적으로, 2017년부터 2019년까지 코로나 이전 시기에 해당하는 논문은 총 1,348편,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코로나 이후 시기에 해당하는 논문은 1,620편이었다. 수집한 학술지 논문의 저자 키워드에 대하여 VOSviewer를 활용해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및 키워드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코로나 이전 교사 역량에 대한 연구 논문의 저자 키워드를 바탕으로 빈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총 5,824개의 키워드 중 최소 5회 이상 등장하는 단어는 103개로 나타났다. 그중 빈도수 상위 10개 키워드는‘핵심역량’,‘역량’,‘예비교사’,‘교사교육’,‘예비유아교사’,‘교육과정’,‘유아교사’,‘인성교육’,‘교사역량’,‘교수역량’순이었다. 한편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한 결과, 연구 주제를 보여주는 클러스터는 총 9개로 확인되었다. 둘째, 코로나 이후 교사 역량 관련 학술지 논문의 저자 키워드에 대한 빈도 분석 결과, 총 7,191개의 키워드 중 최소 5회 이상 출현한 단어는 156개로 나타났다. 그중 빈도수 상위 10개 키워드는‘예비교사’,‘교사교육’,‘핵심역량’,‘유아교사’,‘역량’,‘예비유아교사’,‘코로나19’,‘2015 개정 교육과정’,‘교육과정’,‘교사역량’순이었다.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결과, 총 10개의 클러스터가 도출되었다. 셋째, 코로나 전후 교사 역량 연구에 대한 키워드 네크워크의 특성을 비교한 결과, 코로나 이전에 비해 코로나 이후 최소 빈도수 5 이상인 키워드의 수와 비율 그리고 전체 링크(Link)의 수와 그 크기가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코로나 전후 교사 역량 연구의 클러스터 주제를 비교한 결과, 공통적으로 교육과정, 예비교사 및 유아교사, 진로·특수·문화 교육 역량, 4차 산업혁명에 대한 클러스터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코로나 이전 클러스터에서는 창의·인성 교육 역량과 관련된 주제가, 코로나 이후 클러스터에서는 융합교육 역량에 대한 주제가 나타났다. 또한 코로나 이전에는‘4차 산업혁명 시대 교육 역량’클러스터에 포함되었던 키워드들이 코로나 이후에는 4차 산업혁명과 코로나19, 인공지능과 관련된 3개의 클러스터에 나뉘어 포함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섯째, 코로나 전후 출현빈도 상위 20개 키워드를 비교한 결과, 공통적으로‘예비교사’,‘예비유아교사’,‘유아교사’,‘초등교사’,‘핵심역량’,‘2015 개정 교육과정’,‘역량 기반 교육과정’,‘교사교육’,‘교사역량’,‘교수역량’ 키워드가 나타났다. 차이점으로는, 코로나 이전 시기의 경우‘인성교육’,‘4차 산업혁명’,‘소프트웨어 교육’,‘STEAM(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 Mathematics : 융합인재교육)’,‘창의성’키워드가 빈번하게 나타난 반면, 코로나 이후 시기에는‘코로나19’,‘온라인 학습’,‘원격 교육’,‘AI (Artificial Intelligence : 인공지능)’,‘특수 교사’키워드가 새롭게 등장하였다. 여섯째, 코로나 전후 최소 5회 이상 출현한 교사 및 학교 키워드를 비교한 결과, 동일하게‘예비교사’와‘유·초등교사’,‘초등학교’키워드가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한편, 특정 과목에 대한 교사 키워드로는 코로나 이전의 경우‘영어’와‘과학’교사 키워드를, 코로나 이후에는‘한국어’,‘과학’,‘진로’교사 키워드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학교 키워드와 관련해서는 코로나 이전에는‘초등학교’만 나타난 반면, 코로나 이후에는‘고등학교’,‘직업계 고등학교’,‘중학교’,‘혁신학교’와 같이 다양한 학교 키워드가 발견되었다. 일곱째, 코로나 전후 최소 5회 이상 등장한 역량 관련 키워드를 비교한 결과, 공통적으로 10회 이상 빈번히 출현한 키워드는‘교수역량’,‘창의성’,‘의사소통’역량이었다. 한편, 코로나 이전에 비해 코로나 이후 빈도수가 크게 상승하였거나 빈도수 10회 이상으로 새롭게 등장한 역량 키워드는‘디지털 리터러시’,‘TPACK(Technological Pedagogical and Content Knowledge: 테크놀로지 교수내용지식)’,‘진로 개발 역량’,‘미디어 리터러시’,‘놀이 지원 역량’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코로나19 키워드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역량 키워드를 확인하기 위해, 코로나 이후 교사 역량 키워드 네트워크 맵 상에서‘코로나19’키워드와 연결되어있는 단어와 근접하게 위치한 단어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디지털 리터러시’와‘미디어 리터러시’,‘TPACK’이 코로나19 키워드와 밀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교사 역량 연구의 동향’및‘포스트 코로나 시대 교사 역량’에 대한 결론을 도출하였다. 먼저, 국내 교사 역량 연구의 동향과 관련해서는 연구의 수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그 주제가 다양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교사 역량 관련 연구들이 국가 교육과정과 밀접하게 이루어지는 경향이 있었으며, 주로 유아교사 및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가 많았다. 마지막으로, 교사 역량과 관련해 진로·특수·문화교육 역량에 대한 학문적 관심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 교사 역량에 대한 결론을 정리하면,‘교수역량’과‘의사소통 역량’,‘창의성’의 경우 코로나19 발생 여부와 관계없이 교사 역량 연구에서 여전히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주제로 밝혀졌다. 한편,‘디지털 리터러시’,‘미디어 리터러시’,‘TPACK’은 코로나19의 영향으로 교사 역량 연구에서 새롭게 강조되고 있는 역량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코로나 전후로 국내 교사 역량에 대한 학문적 논의를 비교함으로써, 여전히 중요한 교사 역량 및 새롭게 요구되는 교사 역량을 살펴보았다는 의의가 있다. 이는 이후 시대의 흐름 및 교육 환경의 변화를 고려한 교사 핵심역량 기준을 마련하는 데도 기초적인 자료로써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해 다소 산발적으로 수행되어 온 국내 교사 역량에 대한 연구를 종합적으로 파악하여, 그 동향과 특징을 확인하고 발전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도 가치가 있다. 이후 더욱 정교한 정제 및 분석기법을 활용해 교사 역량 연구의 동향 및 세부 역량 요소를 보다 깊이있게 살펴보는 후속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As the educational environment changes rapidly due to COVID-19, teachers' essential competencies are also being re-examined. Meanwhile, as the concept of competency was emphasized in the 2015 and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eacher competency has also gained importance, and research on it has been actively conducted until a recent date.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se studies tend to be carried out somewhat sporadically by school level, competency, and perspective, making it difficult to apply them to the actual educational field. Therefore, this study looked at domestic research trends on teacher competency for a total of six years before and after COVID-19, synthesizing academic discussions on teacher competency, and confirming the competencies that are still important and newly emphasized after COVID-19. Papers containing‘teacher’and‘competency’keywords in the title, abstract, and author keywords were collected within the KCI (Korea Journal Database) category of Web of Science. A total of 1,348 papers were included in the pre-COVID-19 period from 2017 to 2019, and 1,620 papers in the post-COVID-19 period from 2020 to 2022. Keywords network analysis and frequency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VOSviewer for the author keywords of the collected academic journal papers. The main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frequency analysis based on the author keywords of the papers related to teacher competency before COVID-19, 103 words appeared at least 5 times out of a total of 5,824 keywords. Among them, the top 10 keywords of frequency were ‘core competency’,‘competency’,‘pre-service teacher’,‘teacher training’,‘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curriculum’,‘early childhood teacher’,‘character education’, ‘teacher competency’, and‘teaching competency.’Meanwhile, as a result of keywords network analysis, a total of 9 clusters showing research topics were revealed.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requency of the author keywords of the academic papers related to teacher competency after COVID-19, 156 words appeared at least 5 times out of a total of 7,191 keywords. Among them, the top 10 keywords of frequency were ‘pre-service teacher’,‘teacher training’, ‘core competency’,‘early childhood teacher’,‘competency’,‘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COVID-19’,‘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curriculum’, and‘teacher competency.’ As a result of keywords network analysis, a total of 10 clusters were identified. Thir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keyword network for the research of teacher competency before and after COVID-19,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and ratio of keywords with a minimum frequency of 5 or more and the number and strength of all links increased in the period of post-COVID-19 compared to pre-COVID-19. Fourth,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cluster topics for the study of teacher competency before and after COVID-19, clusters for curriculum, pre-service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competency for career, special and cultural education, and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ppeared in common. On the other hand, in the pre-COVID-19 cluster, topic related to competency of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showed up, and in the post-COVID-19 cluster, topic related to competency for convergence education was identified. In addition, it was revealed that keywords included in the‘Educational Competency in the Ag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cluster before COVID-19 were divided into three clusters related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COVID-19, and AI after COVID-19. Fifth,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top 20 keywords of frequency before and after COVID-19, in common, keywords such as ‘pre-service teache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early childhood teacher’, ‘elementary school teacher’,‘core competency’,‘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competency-based curriculum’,‘teacher training’,‘teacher competency’, and‘teaching competency’appeared. The difference is that before COVID-19,‘character education’,‘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software education’,‘STEAM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 Mathematics)’, and ‘creativity’keywords appeared frequently, while after COVID-19,‘online learning’,‘distance education’,‘AI(Artificial Intelligence)’, and‘special education teacher’keywords showed up newly. Sixth, as a result of comparing teacher and school keywords with at least five frequencies before and after COVID-19,‘pre-service teacher’,‘elementary school teacher’, and‘elementary school’keywords had a high frequency in both periods. On the other hand, as teacher keywords for a specific subject, ’English’and‘science’teacher keywords were identified before COVID-19, and ‘Korean’,‘science’, and‘career’teacher keywords appeared after COVID-19. Regarding school keywords, only‘elementary school’showed up before COVID-19, while after COVID-19, various school keywords such as‘high school’,‘vocational high school’,‘middle school’, and‘innovative school’ were found. Seventh, as a result of comparing competency keywords that appeared at least five times before and after COVID-19,‘teaching competency’,‘creativity’, and‘communication competency’were the keywords with a frequency of more than 10 times in both periods. Meanwhile,‘digital literacy’,‘TPACK’,‘career development competency’,‘media literacy’, and‘play support competency’ were keywords that have increased significantly or appeared more than 10 times since COVID-19. Among them, to identify competency words directly related to the COVID-19, words connected and located close to the‘COVID-19’keyword were searched for on the network map in the post-COVID-19 period. As a result,‘digital literacy’,‘media literacy’, and‘TPACK’were found to have a high relevance to the COVID-19 keyword. By synthesizing the above results, conclusions on‘the research trend of teacher competency’and‘teacher competency in the post-COVID-19 era’were drawn. First, regarding the research trend of domestic teacher competency, the number of studies gradually increased and the subtopic tended to be diversified. Also, studies related to teacher competency have been closely conducted with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here were many cases mainly targeting early childhood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Finally, it was found that academic interest in competency of career, special, and cultural education was high in relation to teacher competency. Next, summarizing the conclusions on teacher competency in the post-COVID-19 era, it was found that‘teaching competency’,‘communication competency’, and‘creativity’are still important topics in teacher competency research regardless of the occurrence of COVID-19. Meanwhile,‘digital literacy’,‘media literacy’, and‘TPACK’were newly emphasized in the research due to the influence of COVID-19.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d still important and newly required teacher competency by comparing academic discussions on domestic teacher competency before and after COVID-19. This can also be used as basic data to arrange core competency standards for teachers considering the trend of the times and change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n addition, it is valuable in that it comprehensively grasped the research on domestic teacher competency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confirmed its trends and characteristics, and presented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After that, it is expected that follow-up studies will be conducted to examine in more depth the trends and detailed competency elements of the teacher competency research using more sophisticated refinement and analysis techniques.

      • Low-level feature maps를 활용한 semantic segmentation 기법

        김예원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최근 CNN 기반 딥러닝 기술의 발전을 바탕으로 semantic segmentation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 중 PSPNet은 PPM을 통해 다양한 스케일에서 문맥 정보를 추출한 뒤 특징 맵과 합쳐줌으로써 성능을 향상시켰지만, 특징 맵을 원본 영상의 크기로 키워주는 단계에서 비교적 단순한 한 개의bilinear interpolation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세부적인 공간적 정보를 잃은 상태인 채 픽셀 단위 예측을 수행하게 되고, 이는 성능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PSPNet에서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연구되지 않았던 디코더를 개선하여, PSPNet에서 얻은 풍부한 의미 정보와 문맥 정보를 유지하면서 세부적인 공간 정보를 보충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bilinear interpolation layer만으로 이루어져 있던 디코더 대신, 제안하는 방법은 skip connection을 이용하여 인코더 단의 공간 정보가 풍부한 특징 맵을 가져와서 특징 맵의 크기를 키울 때 활용한다. Cityscapes 데이터셋에서 진행된 실험 결과는 제안하는 방법을 적용한 PSPNet이 기존 PSPNet보다 정확도가 0.53%p 향상됨을 증명하였다. Recent semantic segmentation has made significant progress based o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Pyramid scene parsing network (PSPNet), one of the state-of-the-art semantic segmentation networks, has achieved outstanding performance by injecting context information into the encoded feature maps with a pyramid pooling module. However, it employs a relatively simple bilinear interpolation layer as a decoder, which does not recover missing spatial details. In this paper, we propose new decoding approach for PSPNet that can reconstruct the precise details more effectively. The proposed approach adopts skip connections between the encoder and decoder, and gradually fuses the low-resolution features with the high-resolution ones in the encoder to enrich the spatial information.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PSPNet using the proposed decoder branch outperforms the conventional PSPNet in terms of segmentation accuracy, achieving 0.53%p higher mIoU on Cityscapes dataset.

      • 청소년의 영적 안녕과 학업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김예원 인천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 well - being, self - esteem and academic stres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lf - 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 well - being and academic stress. In addition, I tried to find concrete intervention plan that can be utilized in the counseling of youth counseling and to use it as basic data. The research problems that have been set up to achieve this objective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youth's spiritual well-being, academic stress, and self-esteem? Second, what is the mediating effect of self - 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 spiritual well - being and academic stress? In order to solve the above research problem, this study follows the following procedur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selected from 1 middle school and 1 high school in Bucheon and Incheon, and 400 students were enrolled in the questionnaires. Of these, 390 respondents were used for the analysis, except for the cases in which the test items were omitted or 10 cases were answered unscath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WIN 23.0,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n this study, spiritual well - being scale, self - esteem scale, and academic stress scale were used.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s between spiritual well - being, academic stress, and self - esteem are as follows: First, spiritual well - being and academic stress a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each other. The higher the spiritual well - being, the lower the academic stress. Religious well - being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all academic stress except test - related stress, which is a sub - factor of academic stress, and existential well - being negatively correlated with all academic stress. It is explained that spiritual well - being has a negative effect on amelioration of stress related to study such as examinations, tasks, and grades of adolescents. In other words, effective intervention of spiritual well-being, which is a positive psychological mechanism for individuals to effectively prevent and reduce them in the academic stress situation of adolescents, is needed. In addition, the correlation between spiritual well - being and self - esteem showed that spiritual well - being and self - esteem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and that spiritual well - being had higher explanatory power than other demographic variables in self - esteem I could. This is an effort and a way to develop and operate various programs that affect spiritual wellbeing for youth with low self-esteem, as well as affecting the enhancement of self-esteem in spiritual well-being. We must strive to develop spiritual wellbeing. Self - esteem was also found to affect the variables related to academic stress as an internal affirmative factor of the individual. The higher the spiritual well - being, the higher the self - esteem was. This implies that spiritual well - being h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 - esteem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academic stress. This implies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that can grow the spiritual well - being and self - esteem, which is an internal psychological protection element of the individual who overcomes the academic stress rather than stressing it. Second, in order to statistically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iritual well-being of adolescents and academic stress, the bootstrapping procedure in SPSS PROCESS Macro showed that spiritual well-being directly affects academic stress and self-esteem Mediated mediating effect. In other words, the effect of spiritual well - being on academic stress was reduced by mediating self - esteem. This suggests that high self - esteem contributes positively to reducing adolescents' negative psychological state by positively perceiving and coping with the stress caused by school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high spiritual well - being and self - esteem of adolescents during adolescence which can experience psychological problems due to high academic stress are very important to manage or cope with stress in academic stress situations. This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an intervention program and concrete alternatives to improve the aspect of spiritual well - being and self - esteem, which are internal strengthening factors of the students' academic stress. Key Words : Spiritual hello, academic stress, self-respect,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내재적 심리요인인 영적 안녕과 자아존중감, 학업스트레스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영적 안녕과 학업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이 미치는 영향을 탐색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청소년 대상 상담 실제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개입 방안을 모색하고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영적 안녕, 학업스트레스, 자아존중감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둘째, 청소년의 영적 안녕과 학업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위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절차를 따랐다. 연구대상은 부천, 인천에 소재하는 중학교 1곳, 고등학교 1곳을 선정하여 그곳에 재학 중인 남녀 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이 중 검사 사항이 누락한 경우나 무성의하게 답변한 10부를 제외하고 총 390명의 응답 결과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3.0에 의해 통계처리하고, Pearson 상관관계 분석, 중다 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는 영적 안녕 척도, 자아존중감 척도, 학업스트레스 척도가 사용되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적 안녕, 학업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사이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먼저 영적 안녕과 학업스트레스는 유의미한 부적상관 관계로 영적 안녕이 높을수록 학업스트레스가 낮아졌으며, 영적 안녕의 하위 요인별 상관을 살펴보면, 종교적 안녕이 단지 학업스트레스의 하위요소인 시험성적 스트레스를 제외한 모든 학업스트레스와 부적 상관이 있었고, 실존적 안녕은 모든 학업스트레스와 부적 상관이 있었다. 이는 청소년의 시험, 과제, 성적 등의 학업과 관련되는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변인으로 영적 안녕이 부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설명된다. 즉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 상황에서 이들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감소시킬 수 있는 개인의 긍정적 심리 기제인 영적 안녕의 효과적인 개입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또한, 영적 안녕과 자아존중감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영적 안녕과 자아존중감은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적 안녕이 자아존중감에 있어서 다른 인구 사회학적 변인들보다 높은 설명력이 있는 변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영적 안녕이 자아존중감을 높이는데 영향을 미치는 만큼, 낮은 자아존중감을 가진 청소년을 위해 영적 안녕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하고, 대상자 중심의 정서에 친밀한 형태로 다가가는 노력과 방안으로써 영적 안녕 개발에 힘써야 할 것이다. 자아존중감 또한 개인의 내적 긍정요인으로서 학업스트레스와 관련된 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영적 안녕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영적 안녕이 자아존중감에 유의미한 정적상관 관계를 형성하고, 학업스트레스와는 부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즉, 학업스트레스를 스트레스로 여기기보다는 이를 극복할 수 있는 개인의 내적 심리 보호 요소인 영적 안녕과 자아존중감을 성장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둘째, 청소년의 영적 안녕과 학업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가 유의미한지 통계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SPSS PROCESS Macro에서 부트스트랩 절차를 실시한 결과, 영적 안녕이 학업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매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영적 안녕이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력을 자아존중감이 매개하여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높은 자아존중감은 청소년이 학업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대처하여 부정적 심리상태를 감소시키는데 긍정적으로 기여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높은 학업스트레스에 따른 심리적 문제를 경험할 수 있는 청소년시기에 청소년의 높은 영적 안녕과 자아존중감이 학업스트레스 상황에서 스트레스를 관리하거나 대처하는데 매우 증요하게 작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개인의 내적 강화요인인 영적 안녕의 측면과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중재프로그램 운영 및 구체적 대안의 제시가 필요할 것으로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