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수박무 분말 첨가 돈육 떡갈비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 활성

        김예솔 조선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수박무의 기능성 식품 소재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고, 수박무 분말과 오메가 밸런스를 조정한 돈육으로 건강 기능성 떡갈비의 개발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시도되었다. 수박무 가식부와 껍질의 이화학적 성분과 품질특성 및 항산화 활성을 비교 측정하였고, 효능이 더 좋은 수박무 가식부 분말을 돈육 떡갈비에 첨가하여 냉장저장 중 품질특성, 항산화 활성 및 저장안정성을 분석하였다. 수박무의 가식부와 껍질의 이화학적 성분을 비교 분석한 결과, 수박무 껍질의 수분 함량이 가식부보다 높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조단백, 조지방, 조회분의 함량은 수박무 껍질이 가식부보다 높았으며, 탄수화물의 함량은 가식부가 더 높았다(p<0.05). 유리당 함량은 수박무 가식부의 경우 fructose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수박무 껍질의 경우 glucose 함량이 가장 높았다. 총 유리당 함량은 수박무 가식부가 껍질보다 높았다(p<0.01). 구성 아미노산은 필수 아미노산 8종과 비필수 아미노산 9종으로 총 17종이 검출되었고, 수박무 가식부와 껍질 모두 glutamic acid 함량이 가장 높았다. 지방산은 포화지방산 11종, 단일불포화지방산 5종, 다가불포화지방산 7종의 총 23종의 지방산이 검출되었으며, 포화지방산과 다가불포화지방산은 수박무 가식부가 껍질보다 높았으며(p<0.01), 단일불포화지방산은 수박무 껍질이 더 높았다(p<0.001). 유기산 함량은 수박무 껍질이 가식부에 비해 약 1.5배 높게 검출되었으며(p<0.01), malic acid 함량이 가장 높았으나, 가식부와 껍질 간의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다. 비타민 함량은 수박무 가식부와 껍질 모두 비타민 C 함량이 가장 높게 검출되었으며, 수박무 껍질보다 가식부의 함량이 높았다(p<0.001). 총 무기질 함량은 수박무 껍질이 가식부보다 높았으며(p<0.01), K의 함량이 가장 높게 측정되었고, Zn, Mn, Cu는 미량으로 검출되었다. 수박무 가식부와 껍질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pH는 수박무 가식부와 껍질 모두 약산성을 나타내었으며, 수박무 껍질의 pH가 더 낮았다(p<0.05). 당도는 생과의 경우 수박무 가식부가 껍질에 비해 낮게 측정되었으며, 진공동결건조한 경우에는 수박무 가식부가 껍질보다 높았다(p<0.001). 색도는 수박무 가식부가 껍질에 비해 L값과 a값이 높았으며, b값은 수박무 껍질이 가식부보다 높았다(p<0.001). 수박무 에탄올 추출물의 수율은 수박무 가식부가 껍질보다 높았다. 수박무 가식부와 껍질의 항산화 활성은 polyphenol 함량, flavonoid 함량, DPPH radical 소거 활성, ABTS radical 소거 활성, FRAP 활성을 측정하였다. polyphenol 함량을 비롯한 다양한 항산화 활성 측정 실험에서 수박무 가식부가 껍질보다 항산화 활성이 좋았다(p<0.001). 수박무 분말 첨가 떡갈비는 항산화 활성이 더 높게 측정된 수박무 가식부 분말을 0%, 1%, 2%, 4% 첨가하였고, 비교를 위해 ascorbic acid 0.05%를 첨가하였다. 떡갈비의 일반성분을 분석한 결과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함량은 대조군이 가장 높았고, 수박무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조회분 함량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수박무 분말 첨가군이 더 높았다(p<0.05). 보수력은 대조군의 보수력이 가장 낮았고, 수박무 분말을 4% 첨가한 W3이 가장 높았다(p<0.05). 가열감량은 대조군이 가장 높았고, 수박무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p<0.05). 조직 특성은 수박무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탄력성, 깨짐성이 감소하고, 경도와 씹힘성은 증가하였다(p<0.05). 이는 육류 함량의 일부를 수박무 분말로 대체하면서 지방 함량의 감소와 식이섬유의 증가로 가열감량이 감소되고, 보수력은 증가하였기 때문이라고 사료된다. 가열 전, 후 색도 변화는 L값과 b값은 수박무 분말 첨가량에 따라 감소하였고, a값은 증가하였다(p<0.05). 떡갈비의 관능검사는 색(color), 조직감(texture), 다즙성(juiciness), 풍미(flavor), 짠맛(saltiness) 및 전체적인 기호도(total acceptability)를 평가하였다. 색, 풍미,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W3이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고, 수박무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점수가 높았다(p<0.05). 저장 기간에 따른 수박무 분말 첨가 떡갈비의 항산화 활성과 저장안정성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항산화 활성으로는 polyphenol 함량, flavonoid 함량, DPPH radical 소거 활성, ABTS radical 소거 활성을 측정하였다. 총 polyphenol 함량은 저장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flavonoid 함량, DPPH radical 소거 활성, ABTS radical 소거 활성은 저장 7일째에 감소하였다. 저장 기간 동안 수박무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는 동일한 양상을 나타냈다(p<0.05). 이는 수박무 분말의 첨가가 떡갈비에 항산화제의 기능성을 부여한 것으로 사료된다. pH 변화는 제조 당일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저장 기간이 경과하면서 pH가 저하되었다(p<0.05). 저장 7일 후에는 수박무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pH도 증가하여(p<0.05) 수박무 분말의 첨가가 pH 변화를 안정화시킴으로써 저장 중 품질변화를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지질 산패도의 변화는 저장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였지만, 수박무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졌다(p<0.05). 휘발성 염기태 질소 함량은 저장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였지만(p<0.05), 수박무 분말 첨가군은 대조군에 비해 낮은 함량을 보였다. 총 미생물 수는 저장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전체적으로 증가하였지만(p<0.05), 대조군에 비해 수박무 분말 첨가군의 총 미생물 수는 낮았으며(p<0.05), 수박무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총 미생물 수가 감소하여 수박무의 미생물 증식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수박무의 영양성분과 품질특성 및 생리 활성을 가식부와 껍질로 구분하여 비교 분석하였다는데 의미가 있고, 수박무 가식부의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였다. 응용연구로 떡갈비에 수박무 가식부 분말을 첨가해 봄으로써 기능성 식품 소재로의 이용 가치를 확인하였고, 이는 건강 기능성 떡갈비로서의 가치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watermelon radish, and to evaluate the functional effects of watermelon radish powder addition on the quality properties and storage characteristics of pork tteokgalbi. It was conducted to compare major nutrients components and bioactive materials between watermelon radish flesh and watermelon radish peel powder. Among the proximate compositions, the carbohydrate content of watermelon radish peel contained lower than that of watermelon radish flesh, while the contents of moisture, crude protein, crude fat, and crude ash were higher in the watermelon radish flesh. Watermelon radish flesh had a higher total free sugar content than peel. The major free sugars of watermelon radish flesh and watermelon radish peel were identified as fructose and glucose. The value of glutamic acid was greater in the amino acids of watermelon radish flesh and watermelon radish peel, and watermelon radish peel had higher total amino acids and essential amino acids. Watermelon radish flesh contained a higher level of saturated and polyunsaturated fatty acids than watermelon radish peel. The contents of organic acid were higher in watermelon radish peel, and the level of malic acid was the highest in both watermelon radish flesh and watermelon radish peel. The contents of vitamin C of watermelon radish flesh and watermelon radish peel were 730.59 mg/100 g and 388.71 mg/100 g respectively. The mineral contents of watermelon radish peel contained higher than that of watermelon radish flesh. pH was higher in flesh than in peel. In the case of raw fruits, the watermelon radish peel contained higher sugar content than watermelon radish flesh. In the case of vacuum freeze-drying, watermelon flesh had a higher sugar content than the peel. The L value and a value were higher in watermelon radish flesh than watermelon radish peel. Ethanol extraction yields of watermelon radish flesh and watermelon radish peel were 34.24% and 15.25% respectively. The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and anthocyanin contents of the watermelon radish ethanol extract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flesh than in peel. The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FRAP values of the watermelon radish ethanol extract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flesh than the peel of watermelon radish. Pork tteokgalbi were made with different levels (0, 1, 2, 4%) of watermelon radish flesh powder and 0.05% ascorbic acid was added for comparison with watermelon radish. 0, 1, 2, 4% and ascorbic acid samples were indicated as CON, W1, W2, W3, and REF respectively. Antioxidant activities,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torage security of watermelon radish pork tteokgalbi were investigated during storage at 4℃, and experiments were conducted on days 0, 7, 14. The addition of watermelon radish flesh powder decreased the moisture, crude protein, crude fat contents, but the ash and carbohydrate contents were increased. Increasing the amounts of watermelon radish flesh powder had an increasing trend of WHC values, but cooking loss decreased. For the textural characteristics, Hardness, chewiness showed higher values with increased watermelon radish flesh powder. L value and b value were decreased as the amounts of watermelon radish flesh powder increased, but the a value was increased. In the sensory evaluation, W3 was preferred the most in terms of color, flavor, and total acceptability. The longer the storage period, the more the polyphenol content was increased, while flavonoi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ere reduced. However, polyphenol content, flavonoid conten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ere increased as the amount of watermelon radish flesh powder increased. As storage time increased, pH value was decreased, TBA, VBN, total plate count values were increased. However, pH value was increased, TBA, VBN, total plate count valu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to the control sample as the amounts of watermelon radish flesh powder increased.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addition of the watermelon radish flesh powder to the pork tteokgalbi has a trend to improve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effects during the refrigerated storage period. Therefore, the result provides useful reference data for efforts to use watermelon radish flesh in meat products as a natural antioxidant and a way to prevent lipid oxidation. More research on watermelon radish pork tteokgalbi is expected to follow.

      • 바이오차르 토양 투입 관리 방안의 타당성 평가 ? 농경 활용을 중심으로

        김예솔 경희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Biochar is defined as pyrolyzed biomass which is intended to be applied into the soil. As biochar contains high contents of stable carbon, its application to agricultural soils can increase soil carbon sequestration. In addition, biochar amendment is also known to improve soil fertility and crop production. However, these benefits are sometimes under debate because production process of biochar requires additional energy and extra greenhouse gases might be emitted during the application process. Hence, overall impacts of biochar utilizing system should be assessed for the entire stages from production to application of biochar. In this study, the feasibility of biochar utilization was evaluated for domestic agricultural system by considering both greenhouse gas emissions and energy balance. Accounting for 10% of crop residues in Korea, the rice hull was selected for feedstock of biochar and the rice hull biochar was assumed to be applied to loamy sand rice paddy soil and Saemangeum reclaimed land soil. We used scenario approach by examining biochar utilization systems in three different scenarios depending on the scale of biomass pyrolysis facility (CHAR_RH small, intermediate, and large). As control scenarios, systems with rice hull biomass application (BIO_RH scenario) and no soil amendment (NO_AMD scenario) were also examined. In every scenario, soil amendments were applied at 2% (w/w) concentration. Three different stages were considered for the overall feasibility assessment and greenhouse gas emissions and energy balance were calculated in each stage. At the first stage, data on the biochar production process were obtained from running the BEAT2 software from UK DEFRA. The second stage was related to biochar application process and soil cultiva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published reports by the government for the domestic agricultural greenhouse gas emissions and energy consumption. The last stage considered the effects of biochar application to soil and lab-scal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produce data for this stage. Data were uniformly converted to ton CO2 eq. ha-1 yr-1 for greenhouse gas emissions and MWh ha-1 for energy balance, respectively. Results showed that greenhouse gas emissions from the CHAR_RH scenarios were -42.09 ~ -21.46 ton CO2 eq. ha-1 yr-1 while those from the BIO_RH and NO_AMD scenarios were +14.00 ~ +19.59 ton CO2 eq. ha-1 yr-1. This indicated that there was no additional emissions of greenhouse gases from the systems on the CHAR_RH scenarios regardless of biochar production scale. The energy balance was estimated as -8.42 ~ +49.39 MWh ha-1 depending on the scenarios. Energy balance was positive for the CHAR_RH intermediate and large scenarios, meaning that the systems are producing the additional energy. Considering both greenhouse gas emissions and energy balance, biochar utilization system was feasible at the CHAR_RH intermediate and large scenarios. In The CHAR_RH small scenario, more energy is needed to sustain the system because the efficiency of biochar producing facility was low. Consequently, the feasibility of biochar application to the domestic agricultural system was dependent on the efficiency of the biochar producing facility. Therefore, improvement in efficiency of pyrolysis technology should be accompanied to ensure the benefit of utilizing biochar. 바이오차르란 폐 바이오매스를 열분해하여 얻는 탄화물로, 이를 토양에 투입하면 원료 물질의 탄소를 고농도로 안정하게 격리할 수 있어 기후변화 완화 잠재력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유기물이 매우 적고 양이온 교환능력이 낮아 생산성이 떨어지는 간척지와 같은 척박한 토양에 투입되었을 때 토양의 비옥도와 양분 이용 효율을 증대시키는 등의 토양 개량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바이오차르의 생산에 따른 에너지의 소모 및 온실가스 배출과 바이오차르의 활용에 의한 편익 간의 수지에 대한 쟁점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바이오차르 토양 투입 방안을 국내에 도입하기 위해서는 바이오차르 활용 시스템의 타당성 검증이 필수적으로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실정을 고려한 바이오차르 농경 활용 시스템을 가정하여 시스템 전단계의 온실가스 배출 수지 및 에너지 수지를 분석함으로써 바이오차르 활용의 타당성을 평가하였다. 먼저 연구 재료로 국내 주요 농업 부산물인 왕겨 바이오매스로 생산한 왕겨 바이오차르를 선정하였으며 이를 양질사토의 논 토양과 새만금 간척지 토양에 각각 투입하는 시나리오를 가정하였다(CHAR_RH 시나리오). CHAR_RH시나리오는 바이오차르 생산 시설의 규모에 따라 소규모, 중간규모, 대규모로 세분화하였다. 또한 비교를 위해 토양 개량제의 투입이 없는 무투입 시나리오와 왕겨 바이오매스를 토양 개량제로서 투입한 BIO_RH 시나리오를 설정하였다. 모든 시나리오는 토양 1 ha를 기준으로 무게기준 2%의 토양 개량제를 투입하는 시스템을 가정하였다. 바이오차르 활용 시스템의 타당성 평가를 위한 자료 수집은 크게 세 단계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는데, 첫 번째 단계인 바이오차르 생산 단계는 바이오에너지 발전시설 평가 소프트웨어인 BEAT2를 구동하여 정보를 수집하였다. 두번째 바이오차르 토양 투입 및 경작 단계에서는 농촌진흥청 연구 보고서, 국내 농업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연구 자료 등을 통해 관련 정보를 수집하였고 마지막으로 바이오차르의 토양 투입에 따른 효과의 연구 자료는 실험실 규모에서 실시한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정리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온실가스 배출 수지와 에너지 수지로 구분하여 각각 ton CO2 eq. ha-1 yr-1 및 MWh ha-1 단위를 기준으로 변환하였다. 그 결과 온실가스 배출 수지는 시스템에 따라 -42.09 ~ +19.59 ton CO2 eq. ha-1 yr-1로 계산되었는데 무투입 시나리오와 BIO_RH 시나리오는 모두 시스템의 온실가스 배출 수지가 양의 값을 보인 반면 CHAR_RH 시나리오는 규모와 무관하게 음의 값으로 시스템에서 온실가스가 저장되어 추가로 배출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에너지 수지는 시스템에 따라 -8.42 ~ +49.39 MWh ha-1로 계산되었는데 CHAR_RH 중간규모 및 대규모를 제외한 나머지 시나리오에서는 에너지 수지가 음의 값으로 시스템에 에너지가 투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온실가스 배출 수지와 에너지 수지를 동시에 고려하면 CHAR_RH 시나리오에서만 바이오차르 활용이 타당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CHAR_RH 소규모 시나리오에서는 바이오차르 생산 시설의 발전 효율이 낮기 때문에 시스템에 에너지가 추가로 투입되어야 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결과적으로 국내 바이오차르 농경 활용의 타당성은 바이오차르 생산 시설의 규모에 따른 효율성에 의해 결정되었다. 따라서 바이오차르 활용에 따른 편익이 보장되기 위해선 국내 바이오차르 열분해 기술의 개발을 통한 효율 개선이 동반되어야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상상력 학습을 적용한 음악 감상 수업지도안 연구 : 중학생을 중심으로

        김예솔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음악은 학교 교육에서 학습자들의 전인적 성장과 올바른 가치관을 형성할 수 있게 하는 중요한 교과이다. 이러한 이유로 음악교육을 통한 정서의 함양과 감성발달을 바탕으로 현대인들에게 필요한, 감정을 표출하고 자신의 정서를 이해하는 방법뿐 아니라 타인의 정서와 감정에 공감하고 인정할 수 있는 과정을 학습하게 하여 사회적 역량을 지닌 인재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학교현장에서 학습자들의 흥미를 높이고 효율적인 음악교육을 위하여 구성주의 교육과정에서 창안한 상상력 학습을 바탕으로 음악 감상영역에 연계한 수업을 제시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음악 감상을 통한 역량함양을 바탕으로 학습자들이 음악에 쉽게 다가갈 수 있도록 하고 음악을 감상하는 데 있어 상상력 학습의 방법을 적용하여 ‘일상의 무기력 상태’에서 벗어나 ‘널리 깨어있음’의 상태로 다른 학습자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나아가 서로의 의견을 공감 및 인정하며 이후 사회적 실천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을 둔 학습이다. 수업 안에서 음악을 접할 수 있는 큰 영역으로 시, 춤, 미술, 극의 4가지 주제로 구분하여 상상력 학습의 활동을 각각의 주제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각 주제에 따른 상상력 학습의 핵심역량 요소에 상상력 학습의 활동구조인 ‘창작하기’, ‘맥락적 정보 수집하기’, ‘질문하기’, ‘성찰하기’를 적용하고 이 수업을 통해 음악 감상에 대한 심미적 체험이 이루어지도록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특히 상상력 학습을 적용한 음악교육은 다음과 같은 사항을 중시하여야 한다. 첫째, 음악 수업 안에서 허용적이고 적극적인 분위기로 수업을 진행하여야 하며 질 높은 질문을 통하여 감상하는 방법을 학습하고 점진적으로심미적 역량을 증진할 수 있는 음악적 질문을 요구한다. 둘째, 학습자들의 심미적 발달을 위해 교사는 학습자들의 정서와 흥미를 예민하게 받아들이고 수업에 적합한 작품을 선정하기 위해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중요시해야 한다. 셋째, 교육자들은 수업에 대한 적극성을 갖추어 학습자들이 결과적으로 음악을 향유하고 실천적으로 음악을 체험을 할 수 있도록 지도하여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상상력 학습을 수업지도에 적용하여 감상의 방법을 제시하고 음악 감상 수업의 교육적 효과와 음악 수업 안에서 학습자들이 실제적으로 음악을 체험할 수 있고 심미적 안목을 증진시키며 사회적 실천을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실천적이고 통합적인 교육 방법을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music is a very significant subject that helps to have overall growth and right sense of values for learners in school education. Thus, this subject can enable people to express their emotion required for contemporary men based on emotional cultivation and development through music education and to learn the process that they can understand the way how to understand one’s feeling and even sympathize with other’s feeling and emotion so that it could cultivate talented people with social ability. Therefore, this study suggest lessons in connection with music appreciation area based on imagination learning on the basis of imagination learning came up with constructivism education course in order to elevate the interest of learners in school and for efficient music education. The education has a purpose to make learners easily approach the music based on capability cultivation through listening to music and share opinion with other learners in the state of wideawakeness bringing them out of lethargy in everyday life by adaptingthe method of imagination education in listening to music so that they can sympathize with other’s opinion and understand each other to lead social practice in future by extension. The research focused on how to apply the imagination learning activity in each subject while classifying as poetry, dancing, art and play as a major field that exposes learners to music in class. While applying the activity structure such as ‘Art Making’, ‘Contextual Information and Research’, ‘Questioning’ and ‘Reflection’ to core ability element of imagination learning according to the subject, this paper suggests guidance in order to provide aesthetic experience in terms of listening to music in this class. The music education that applied the imagination learning should put emphasis on these matters mentioned below. First, the music class will run in the permissive and active atmosphere and requires musical question that learners can study how to listen to music and increase aesthetic ability gradually. Second, teachers should notice the emotion and interest of learners perceptively for their development in terms of esthetics and put emphasis on professionalism increases of teachers in order to select the piece of music suitable for class. Third, the educators should prepare the lessons actively so that they can instruct learners to experience music practically and enjoy music eventually. This research suggests the method of appreciation by applying the imagination learning to instruction in class and it is expected that this method can enjoy education effect of music appreciation class so that learners can experience music practically and increase their aesthetic perspective while providing integrated education method which enables social practice.

      • 터너증후군 여성들의 삶 : 여성성과 결혼을 중심으로

        김예솔 숭실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터너증후군 여성의 삶을 이해하고 이들의 여성성과 결혼에 대해 알아보기 위한 목적이 있다. 이를 실현하고자 터너증후군 성인 환우 9명을 대상으로 2017년 2월~2017년 7월까지 인터뷰를 시행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총 5개의 본질 주제와 9개의 도출 주제, 21개의 의미 단위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5가지의 주제는 ‘무언가 다른 나, 지속된 의문과 불안 그리고 시선’, ‘들어보지 못한 나의 질환명, 터너증후군, ‘사과 무리 속의 배와 같은 나, 보통의 여성과 조금은 다른’, ‘나도 사과라는 깨달음, 변화하는 나’, ‘이제는 평범하게 함께, 다름을 이겨내는 나’로 도출되었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참여자들은 나이, 진단 시기, 증상, 결혼 여부 등에 차이가 있었으며, 대부분이 질환으로 인한 2차 성징 미발현으로 여성호르몬 치료를 받는 중이다. 참여자들은 이와 같은 신체적 영향으로 인하여 대인관계의 어려움, 이성 관계에 대한 부담감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자신의 질환을 상대방이 이해하고 받아줄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으로 인해 미리 상대방과의 관계에 거리를 두는 경우도 볼 수 있었으며, 미혼 참여자의 경우 결혼을 필수가 아닌 선택으로 생각하는 경우가 많았다. 여성성에 대해서는 2차 성징 미발현으로 인하여 사춘기 이후 또래 여자들과 다른 자신의 신체를 비교하게 되면서 ‘나도 여자가 맞나?’ 고민하게 되었으며, 대부분 여성호르몬 복용 이후 신체적 발달로 인해 여성성에 대한 고민은 일정 부분 해소됨을 알 수 있었다. 그밖에 기혼 참여자의 경우 연애와 결혼생활을 통해 자신도 충분히 사랑받을 수 있는 여성이라는 생각과 나도 여자! 라는 인식을 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고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사회복지적 함의와 제언을 정리한다면 다음과 같다. 첫째, 터너증후군을 올바르게 알고 환우들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도록 관심을 가지고 관련 연구가 활성화되어야 한다. 둘째, 터너증후군 환우들 대상으로 의료적 지원과 더불어 사회 복지적 서비스 지원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셋째, 터너증후군 환우 및 가족 간의 소통과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전문기관 및 자조모임 등의 공간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터너증후군 환우들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로 환우들의 삶을 이해하며, 관련 전문가(의료진, 관련 기관, 사회복지사 등)들이 이들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life of the turner syndrome women and examine their femininity and marriage. To this end, the interview was conducted targeting 9 adult patients with the turner syndrome from February, 2017 to July, 2017, and total 5 essence themes, 9 deduction themes, and 21 meaning units were created based on this. 5 themes were ‘I who am different, continuous doubt, anxiety, and eyes’, ‘my disease name I have never heard, turner syndrome’, ‘I who am like a pear among apples, a little different from ordinary women’, ‘realizing I am an apple too, I who change’, ‘now ordinary together, I who overcome difference’. To examine the study result, participants were different in the age, diagnosis time, symptom, and marital status, and most of them were receiving the female hormone treatment because the secondary sex was not revealed due to the disease. Participants had a difficulty in the interpersonal relation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opposite sex due to this physical effect. In particular, some participants already kept the other side at a distance because they doubted the other side would accept their disease, and many of unmarried participants thought the marriage was not essential but optional. When it comes to the femininity, participants compared their body with their peers’ body after the adolescence because the secondary sex was not revealed, worrying ‘Am I a woman too?’. It was confirmed that the agony about the femininity was resolved to a degree due to the physical development after taking the feminine hormone. Married participants said it was an opportunity to think they could be fully loved through the date and marital life and think they were a woman too. The social-welfare undertone and suggestion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based on these results. First, the study related to the turner syndrome should be activated with more attention for people to know the turner syndrome rightly and understand the patients better. Second, it is necessary to provide turner syndrome patients with the medical support and the social-welfare service. Third, the space such as the professional institution and the self-help gathering should be arranged where turner syndrome patients and their families can communicate with other patients and share the information. Hereby this study will be the baseline data for understanding the life of turner syndrome patients with the qualitative study and for relevant experts(medical team, relevant institution, and social workers) to provide these patients with the necessary service.

      • 미술관 사인물 식별성 재고를 위한 색채 기준에 관한 연구 : 고령자를 중심으로

        김예솔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고령화 사회가 진행되면서, 점차 많은 고령자들의 사회 진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문화적으로도 적극적인 활동이 이뤄지고 있다. 이에 각종 문화시설에서 고령자를 위한 시스템을 본격적으로 갖추기 시작하며, 고령인의 문화 관람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아직 고령자의 신체적이고 환경적 특성을 고려한 사인물의 연구 자료는 많지 않은 실정이며, 더욱이 미술관의 관람을 위한 실내 연구에 대한 자료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특히 고령자 가운데는 생리적 노화에 따른 시각적 장애를 가지고 있는 사람의 비율이 높아 일반인에게 맞춰 제작된 사인시스템을 사용하는데 불편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 사회는 다양한 시각적 조건을 가진 사람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모두를 위한 디자인에 맞추기는 어렵다. 하지만 단순히 주변 환경과의 조화만을 생각하고 만들어진 사인시스템은 특정 집단의 경우 이용에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많은 사람들이 방문하는 미술관은 공간의 특성상 다양한 집단의 사람들이 이용하기 때문에 이용이 쉽고 인지하기 쉬운 사인시스템의 체계를 갖춰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기본적인 사인시스템의 시지각적 요소에 대해 분석하고, 고령자의 생리적 시각특성을 고려하여 향후 사인시스템 디자인에 기준이 될 수 있는 객관성 있는 자료들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미술관 및 박물관의 실내 환경을 검토하고, 사인물의 식별성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는데 필요한 색채 기준 및 자료를 제안함으로써 고령자에 대한 이해를 돕고 공공기관의 사인물 식별을 위한 색채계획에 활용할 수 있게 하였다.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본 연구를 하게 된 배경과 목적을 언급하고 연구 범위와 방법을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사인의 기본 개념과 함께 사인디자인시 기본적으로 준수해야 하는 법률규정에 대하여 기술하였고, 고령자의 노화에 대한 이해를 위해 그들의 생리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고령자의 생리적 특성에 의해 색채를 지각하는 범위가 달라지는 것에 대해 상세히 알아보았다. 3장에서는 색채 제안을 하기 위한 현황 조사를 실시하였다. 국내의 미술관 및 박물관 가운데 국립으로 분류된 곳을 선정하고, 서울시와 경기도에서 주관하는 미술관을 선정, 총 네 곳을 선정하여 현재 사용하고 있는 사인물의 식별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다음으로 고령자의 색채지각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일반인과 고령자의 색채 지각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사인물을 제작할 때 기본적으로 준수해야 하는 가인드 라인이 고령자의 시각에 어떻게 지각되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실제 사용되고 있는 색의 현황과 고령자가 지각할 수 있는 색의 차이에 대해 분석하고, 각 대상의 사인물 적용 사항에 대한 세부 분석을 진행하였다. 4장에서는 실제 미술관을 방문하는 고령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사인물의 식별성의 만족도에 대해 조사, 분석하였다. 추출된 결과에 따라 사인물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고령자의 식별성 재고를 위해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5장에서는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미술관의 사인물 활용 사례와 설문의 분석을 통하여 결론을 제시하였으며, 앞으로의 고령화 사회를 대비한 사인물 색채의 활용 기준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의 결과로 고령자의 생리·시각적 특성을 고려한 추천색 범위를 제안하였다. 색채와 생리 특성에 관련하여, 색의 가독성은 문자, 기호, 도형 등과 바탕색의 조합에 따라 관계를 가지며, 그림과 바탕색의 대비효과에 영향을 받는다. 특히 명도 대비가 가장 크게 작용하며, 명대대비가 클수록 가독성이 높아진다. 색의 가독성을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가독 가능한 거리를 측정하거나, 가독 가능한 조도, 가독 가능한 최소 크기를 측정하는 방법들이 있다. 시인성이란 대상물의 존재, 또는 보기 쉬움의 정도를 말하는 것으로, 그 정도가 색에 의해 달라지기 때문에 색의 시인성이라고 표현한다. 시인성의 반대 되는 개념으로는 존재가 예측되지 않는 경우를 말하는 유목성이라는 개념이 있다. 이러한 시인성의 효과는 대상과 배경의 명도차에 의해 가장 큰 영향을 받는다. 연구 결과에 따라 고령자의 시각적 특성상 지각할 수 있는 색의 범위를 유출하였고, 실제 사용되고 있는 사인물에 기준을 적용함으로서 사인물의 식별성을 높일 수 있다. 제안한 색채는 다양한 사인물에 모두 사용이 가능하며, 궁극적으로는 고령자 및 일반인 모두를 배려한 사인물의 배색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As the aging society progresses, more older people are entering the workforce and actively participating in cultural life. For that reason, a lot of cultural institutions are beginning in earnest to have a system set up for the elderly, doing a research on the viewing culture of the aged. However, there is not enough research data about signboards in which considers their physic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much less about a study on the interior of art museums for their efficient viewing. Especially, a high percentage of the elderly have vision problems due to aging, which results in difficulties in using sign systems designed for non-disabled people only. It is difficult to make everything fit for every single person as the society is composed of people with various visual conditions. But a sign system designed only to make harmony with its surrounding environment is not suitable, as certain groups of people might experience inconvenience while using it. Art museums visited by many people should be equipped with a sign system that is easy to use and perceive, for many different groups of people use their facilities. For that reason, I aim to propose objective materials that can work as a standard of sign system design by considering the visual impairment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and analyzing the visual and perceptual elements of the basic sign system. Therefore,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be used for the color planning to discern the signboards of public institutions as well as promote better understanding of the elderly, through reviewing current indoor environment of art galleries and museums and proposing materials and color standards that are necessary to suggest a direction when it comes to the identificability of signboard. First, I mention the background and the object of this research as well as suggest the research range and the methods. Second, I describe the fundamental concept of a sign and the provisions of the law that have to be abided by when designing signs and do a research on the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to help establish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m. Also, I investigate on how the color perception range changes according to their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Third, I examine present condition for the color suggestion. Among domestic museums and art galleries I select four national ones in Seoul city and Kyung-gi province and research on the identificability of signboards currently in use. Next, using a simulation program, I compare and analyze the difference in color perception between the non-elderly and the elderly to grasp the degree of color perception. In addition, I analyze how the basic guide lines that are obligatory when making signboards are perceived by the vision of the elderly. Finally, I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lors currently being used and the ones that can be perceived by the elderly, going on detailed analysis about the application of each given signboard. Fourthly, I investigate and analyze the levels of satisfaction of the elderly visitors in the identificability of the signboards by means of a survey. According to the result I point out the problems of the signboards and suggest improvement directions for the purpose of reconsideration of the identificability for the elderly . Fifth, based on the research result, I propose a conclusio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urvey and some cases of application of signboards in museums and suggest an application standard of the colors of signboards in preparation for aging society.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I proposed a range of recommendable colors considering the visual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When it comes to the colors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the readability of a color is related to the combination of the letter, symbol, figure, etc. with its background color, and at the same time is affected by the contrast effect of the picture and its background color. Especially the brightness contrast is the main factor, because the bigger the contrast, the higher the readability level. To measure the level of the readability of a color, means such as measuring the readable distance, the readable illuminance or the minimum readable size are used. Legibility is the degree to which the existence of an object is understandable or recognizable, and it is described as legibility of color because the degree changes depending on the color. As opposed to legibility, there is a concept called noticability(attrac -tiveness of color), which is used when the existence is unpredictable. The effect of legibility is affected the most by the difference of lightness between the object and its background color.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 I suggested a range of colors that can be perceived by the elderly with the aforementioned characteristics and by applying the standard to the signboards currently in use, the identificability of the signboards is expected to be increased. The proposed colors are all applicable to various kinds of signboards, ultimately making it possible to arrange the colors for both the elderly and the non-elderly.

      • 근대적 개념으로서의 '순수 미술'과 동시대 집단 창작 현상 : '순수 미술'의 제도적 의의를 중심으로

        김예솔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oday's art world, Contemporary collective work is understood as "fine art." However, there has yet to be a concrete discussion on whether Contemporary collective works can be seen as "fine art." Accordingly, this thesis compared modern art as an individual creative act of artists and "social consensus" of contemporary art that views Contemporary collective creation as "fine art" to discuss whether contemporary collective creative works can be considered "fine art." First of all, In Chapter II, we looked at changes in social perception of "fine art" from modern times to today to consider the modern concept of "fine art" that art creation begins with individual artists. In Chapter III, we looked at Contemporary collective creation phenomena and discussions of various perspectives. The last chapter of IV analyzed Contemporary collective creation cases and described the significance of Contemporary collective creation as an expanded concept of "fine art".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not to criticize Contemporary collective creative work, but to better understand contemporary art systems as an extended concept. Contemporary collective creation and creation of individual artists seek insight into life, which contributes to moving forward to a better life. It's just that each person has a different way of pursuing it. It is possible on the premise that contemporary art has expanded compared to modern art. Through this thesis, I hope to understand contemporary art as an expanded concept an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rt into a better area today. 오늘날 미술계에서는 동시대 집단 창작 작업이 ‘순수 미술’로 이해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 동시대 집단 창작 작업들을 ‘순수 미술’로 볼 수 있을지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가 없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동시대 집단 창작 작업들이 ‘순수 미술’로 여겨질 수 있을지에 대한 논의를 위해 예술가 개인의 창작 행위로서의 근대 ‘순수 미술’과 동시대 집단 창작을 ‘순수 미술’로 보는 동시대 미술의 ‘사회적 합의’를 비교 분석했다. 우선 Ⅱ장에서는 미술 창작이 예술가 개인으로부터 시작된다는 근대 ‘순수 미술’ 개념을 고찰하기 위해 근대 이후부터 오늘날까지의 ‘순수 미술’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Ⅲ장에서는 동시대 집단 창작 현상과 이를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의 논의들을 살펴보았다. 마지막 Ⅳ장에서는 동시대 집단 창작 사례들을 분석하여 확장된 ‘순수 미술’ 개념으로서의 동시대 집단 창작 현상의 의의에 대해 서술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동시대 집단 창작 작업을 비판하는 것이 아니라 확장된 개념으로서 동시대 ‘순수 미술’ 체계를 더 잘 이해하는 것이다. 동시대 집단 창작과 예술가 개인의 창작은 삶에 대한 통찰을 추구하며, 이를 통해 더 나은 삶으로 나아가는 일에 기여한다. 단지 각자가 추구하는 방식이 다를 뿐이다. 이러한 결론은 오늘날 ‘순수 미술’은 근대 ‘순수 미술’에 비해 그 영역이 확장되었다는 전제 하에 가능하다. 본 논문을 통해 확장된 개념으로서 동시대 ‘순수 미술’을 이해하고 이를 기반으로 오늘날 미술이 더 나은 영역으로 발전하는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 고령자 부모 돌봄이 여가 및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샌드위치세대 여성을 중심으로

        김예솔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평균 수명의 증가와 고령화로 인하여 부모에 대한 자녀의 부담은 점점 증가하고 있다. 이 부담을 줄이기 위해 정부와 사회에서는 몇 가지 지원 정책을 실시하고 있으나, 신청률이 매우 낮고 심사에서 탈락하여 지원받지 못하는 경우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노부모와 자녀를 모두에게 돌봄을 지원하는 샌드위치세대(만 45~64세)의 경우 자신의 여가시간을 할애하여 돌봄의 의무를 다하고 있다. 그러나 그들의 여가 현황, 돌봄의 의무가 여가 및 삶이 만족에 미치는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가족 돌봄 중 고령의 부모를 돌보는 여성의 돌봄으로 인한 여가손실과 여가현황에 대해 살펴보았다. 먼저, 고령자 부모에게 돌봄을 제공함으로 인해 샌드위치세대 여성의 손실된 여가 가치와 사회 전체 여가손실비용을 측정하였다. 이를 위해 질병비용연구에서 여가손실비용을 측정한 기존 연구를 살피고, 그에 따른 한계를 논하였다. 기존 측정방법은 공통적으로 손실된 여가의 가치를 측정하지 않고 가정하였다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가상가치평가법을 이용하여 손실된 여가의 가치를 직접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 1시간당 돌봄으로 인해 손실된 여가의 가치는 9,313원 ~ 12,739원으로 추정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계산된 샌드위치세대 여성의 지난 1년간 총 돌봄 제공으로 인한 사회 전체 여가손실비용은 최소 7조 4,034억 원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샌드위치세대 여성의 돌봄 의무가 여가문화 활동과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통계적 매칭 방법을 이용하여 ‘여성가족패널조사(8차 조사)’와 ‘2020 국민여가활동조사’의 통합파일을 구축하였다. 분석 결과 돌봄 제공 여부, 주관적 건강상태, 여가비용, 평균 여가시간, 주관적 시간 부족, 수도권 거주 여부는 여가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돌봄 제공 여부는 여가만족에 의해 매개되어 삶의 만족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모에게 돌봄을 제공함에 따라 여가만족과 삶의 만족이 떨어지지만, 그들의 여가만족이 조금이라도 충족된다면 삶의 만족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의학 분야에 한정되어 있던 여가손실의 경제적 가치 측정 방법을 여가손실의 경제적 가치 측정 방법을 여가/문화 연구에서도 활용할 수 있도록 정리하였으며, 적합한 측정 방법을 제시하고 직접 손실된 여가시간의 가치를 측정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질적연구에 그쳤던 돌봄 의무에 따른 여가만족과 삶의 만족의 변화를 확인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돌봄의 의무가 있는 가족원들 또한 여가 및 문화 활동을 증대할 수 있는 제도적·환경적 요인 구축 방안의 바탕이 될 것이다. With an increase in life expectancy and an aging population, the burden of children on parents is increasing. In order to reduce this burden, the government and society are implementing some support policies, but it was found that the application rate is very low and there are many cases where they do not receive support because they are rejected from the screening process. In particular, the Sandwich generation(45-64 years old) who supports care for both elderly parents and children is fulfilling their duty of care by devoting their leisure time. However, research on their leisure status and on the effect of caring duties on leisure and life satisfaction are insufficient. This study analyzed the leisure loss and leisure status of women caring for elderly parents. First, the lost leisure value of the women in the Sandwich generation due to providing care to parents and the cost of leisure loss in society as a whole were measured. Existing studies that measured the cost of leisure loss in COI studies were reviewed, and their limitations were discussed. It was found that the existing measurement method had a limitation in that it was assumed without measuring the value of lost leisure.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the value of lost leisure time was directly measured using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As a result, the value of lost leisure due to care was estimated to be KRW 9,313 to KRW 12,739. Based on this, the total cost of leisure loss caused by the sandwich generation women providing care to their parents over the past year was estimated to be KRW 7.4 trillion. In addition, the influence of the sandwich generation women's caring duties on leisure culture activities and life satisfaction was analyzed. For analysis, a matched file of the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 Families(8th survey)’ and the ‘2020 National Leisure Activity Survey’ was constructed using a statistical matching metho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care provided, subjective health status, leisure cost, average leisure time, subjective lack of time, and residence in the metropolitan area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eisure satisfaction.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he provision of care was mediated by leisure satisfaction and indirectly affected life satisfaction. This means that leisure and life satisfaction decrease as care is provided to parents, but if their leisure satisfaction is satisfied even a little, it has a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This study organized the economic value measurement method of leisure loss, which was limited to the medical field, so that the economic value measurement method of leisure loss could be used in leisure/cultural research. Also, it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s a new measurement method and directly measures the value of lost leisure time. In addition, changes in leisure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care obligations, which were limited to qualitative research, were confi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serve as the basis for the establishment of instituti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that can increase leisure and cultural activities for family members who are obligated to take care of them.

      • 기반시설에 의해 단절된 도시 조직에 대한 입체적 연결과 공공 프로그램 구성 계획안 : 창동역 도시 플랫폼

        김예솔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대도시를 중심으로 도시 확산과 교외화가 진행되어 이동거리가 증가하여 자동차를 이용한 교통이 발달하였다. 이에 따라 교통 체증이 심화 되면서 도시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대중교통 이용률을 높이는 역을 중심으로 한 건축물의 고밀화, 프로그램의 복합화가 이루어졌다. 이는 대중교통 및 보행이용을 촉진하는 TOD(대중교통 지향형 도시개발)로 지속적으로 이것에 대한 관심이 높다. 기반시설의 기능에만 집중한 과거의 접근 방식과 달리, 인접 생활권과 적극적으로 연계한 새로운 유형의 기반시설이 요구되면서 TOD(대중교통 지향형 도시개발)는 변화된 기반시설의 요구를 받아 들여 도시와 함께 변화하고, 상호작용하는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난다. 서울시의 70년대에서 80년대에 건축된 기반시설은 도시민의 생활과 직접적으로 연관된 프로그램과 도시민의 생활과 부재한 프로그램으로 분류할 수 있다. 도시민과 직접적으로 연관된 프로그램을 살펴보면, 최근 지어지고 있는 기반시설로 사람들의 유동인구가 많은 곳에 다양한 방식으로 복합화 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에 반해 오래된 기반시설은 단일화된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도시 개발은 사람들의 이용 빈도가 높은 기반시설을 건축화 시킴으로써 사람간의 접촉, 소통의 빈도를 높이고 일상의 다양성을 제공하는 방향으로 나아간다. 하지만 기반시설이 도시에서 단절의 요소로 작용하고 있는 현실에서 건축화 된 기반시설의 물리적 한계를 극복해야 한다. 네트워크의 거점으로 기반시설은 도시 연결의 매개체로 작동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기반시설이 네트워크의 거점에서 문화적 네트워크의 거점으로 변하는 가능성을 가지게 되는 기반이 된다. 이에 본 연구는 대중교통 중심의 도시를 개발하면서 도시 단절의 요인이 되는 교통 인프라스트럭처를 연결 매개체로 개선하려는 연구이다. 기반시설이 가지는 폭 넓은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기반시설을 보다 입체적으로 개입할 수 있는 여지를 만들어 물리적인 연계를 통해 입체적인 도시를 만들고, 사람들의 일상 공유를 위해 프로그램을 복합화 하는 공공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대상지인 창동역의 물리적인 환경을 분석하여 기반시설의 하부 구조물의 한계를 인정하고 기존 기반시설이 제공하는 다양한 레벨을 이용하여 <창동역 도시 플랫폼>을 계획하고자 한다. 도시를 단절시킨 요인을 우리가 정의해 버린 하나의 그라운드 레벨이라고 생각하고, 기존의 그라운드에서 벗어나 기반시설이 제공하는 다양한 레벨을 새로운 그라운드로 만들어 이 곳을 지나면 도시의 풍경이 변하고 지역주민이 새로운 경험과 이벤트를 통해 라이프가 즐겁게 변하는 장소로 작동하도록 한다. 본 연구는 도시 단절의 요인으로 작용하는 기반시설에 새로운 접근 방식으로 건축적 방안을 제안함으로써 연결의 매개체로 작용하게 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기반시설의 물리적 한계를 극복하는 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The expansion and suburbanization of cities led to the development of automobile transport by increasing the distance traveled. As a result, the traffic jam became more severe, causing urban problems. As an alternative to solving this problem, the high density of buildings and the combination of programs centered on stations that increase public transportation utilization rates are carried out. This is a public transportation-oriented urban development (TOD) that promotes public transportation and pedestrian use, and there is a high interest in this. Unlike past approaches that focused only on the functions of infrastructure, new types of infrastructure actively linked to adjacent living areas are required, and this(TOD) appears in a variety of ways in which changed infrastructure needs are accepted and transformed and interacted with cities.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s infrastructure built in the '70s and '80s can be classified into programs that are directly related to the lives of urbanites and programs that are absent from the lives of urbanites. If you look at the programs directly related to urban residents, you can see that the infrastructure being built recently is being combined in various ways in places with a large floating population. On the other hand, it can be seen that the old infrastructure has a single function. Therefore, urban development moves toward increasing the frequency of human contact, communication, and daily diversity by building infrastructure that is frequently used by people. However, the physical limitations of the built infrastructure must be overcome at a time when infrastructure is acting as a disconnecting factor in the city. Shall be operated as an instrument of the city as a hub of network infrastructure connectivity. This is the basis on which infrastructure has the potential to change from a hub in the network to a hub in the cultural network.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mprove infrastructure, which is a factor in urban disconnection, as a connection medium while developing a city centered on public transportation. Using the wide spectrum of infrastructure, we propose a public program to create a three-dimensional city through physical linkage by creating room for more three-dimensional intervention of infrastructure, and to combine programs for people's daily sharing. By analyzing the physical environment of Changdong Station, which is the target area, we want to recognize the limitations of the infrastructure's substructure and plan the Changdong Station urban platform using the various levels provided by the existing infrastructure. We consider the factors that have cut off the city to be a ground level that we have defined, and turn the various levels provided by infrastructure into new ground, allowing the landscape of the city to change and local residents to operate as a place where life changes joyfully through new experiences and event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cts as a medium of connectivity by proposing architectural measures in a new approach to infrastructure that acts as a factor in urban disconnection, and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a material to overcome the physical limitations of infrastructure.

      • Molecular genetic analysis of nac016 transcription factor in arabidopsis

        김예솔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애기장대에서 T-DNA 삽입으로 유기된 NAM/ATAF1/2/CUC2 (nac016) 돌연변이체를 이용해 잎의 노화와 염류 장해, 가뭄 등 다양한 환경 스트레스 반응 메커니즘을 분자유적학적으로 분석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노화체계에서 NAC016의 조절 기능을 규명하기 위해 nac016 돌연변이체를 분석한 결과 영양생장 단계에서는 대조구와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노화가 시작된 후에서는 두드러지게 노화가 지연되는 것을 확인했다. 인위적으로 암 조건을 처리해 주었을 때에도 nac016 돌연변이체는 노화가 지연되어 잎의 녹색과 광합성능을 유지하였다. 또한, 식물호르몬(ABA, MeJA) 으로 인한 노화 과정에서도 nac016 돌연변이체는 노화가 억제되었다. 반대로 NAC016 과발현체는 노화가 촉진됨으로써 NAC016이 식물 발달상, 암 조건 그리고 호르몬 관련 노화체계에서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Yeast one-hybrid 분석을 통해 전사조절인자인 NAC016이 또 다른 노화 관련 유전자인 NAC029/NAP과 NAC059/ORS1에 결합하여 그들의 발현을 조절한다는 것을 밝혔다. 또한, nap 돌연변이체는 nac016 돌연변이체와 마찬가지로 염분 및 산화 스트레스에 저항성을 나타냈다. 이를 통해 식물 발달상 • 노화를 촉진하는 신호전달로 NAC016이 생성되고 NAP과 ORS1의 전사를 촉진하여 식물체에서 잎의 노화, 염류 장해, 산화 스트레스를 나타낸다는 것을 밝혔다. 더불어 nac016 돌연변이체는 가뭄 스트레스 조건에서도 강한 저항성을 보였고, ABA에 감수성을 보이지 않아 대표적인 가뭄 스트레스 반응 체계인 ABA 관련 작용에서 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전사조절인자인 NAC016의 보다 정확한 역할을 규명하기 위해 건조 처리 전후의 식물체를 이용해 Microarray를 실시한 결과, 건조 처리 후 nac016 변이체에서 가뭄 스트레스 반응에 관련된 여러 유전자의 발현이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Microarray 분석 결과를 토대로 NAC016의 binding element를 예측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